KR20190079013A -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013A
KR20190079013A KR1020170180899A KR20170180899A KR20190079013A KR 20190079013 A KR20190079013 A KR 20190079013A KR 1020170180899 A KR1020170180899 A KR 1020170180899A KR 20170180899 A KR20170180899 A KR 20170180899A KR 20190079013 A KR20190079013 A KR 2019007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location
road name
nam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235B1 (ko
Inventor
유기윤
임장혁
김성용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2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위치 정보 DB서버가 도로명주소 속성정보, 국가지점번호 속성정보와 사용자생성 속성정보를 각각 도로명주소 DB, 국가지점번호 DB와 사용자 생성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위치정보 융합모듈이 위치정보 DB서버의 도로명주소 DB, 국가지점번호 DB와 사용자 생성 DB로부터 융합 위치정보 DB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정보창 생성 및 수정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도로명주소로 검색창을 통해 검색되거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상의 위치 격자가 선택되면, 검색되거나 선택된 격자에 해당하는 정보 창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항목에 입력 또는 편집 요청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수정창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은, 사용자가 별칭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위치 식별정보)을 검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주소 체계에서는 나타내지 못했던 위치 정보를 표현하기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생성한 위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Method for Location Identification Using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혼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위치 식별 형식이 하나로 통일되어 제공되며, 기존의 주소 체계에서는 나타내지 못했던 위치 정보를 표현하기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생성한 위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소란 사람이 생활하는 근거가 되는 곳으로 법에 따라 부여된 도로명, 건물 번호 및 상세주소에 의하여 표기되는 주소특정 대상의 위치 및 우편물의 배송지의 정보를 말한다. 뿐만 아니라 주소는 위치를 표시하거나 식별하는 기본적인 방법이자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인프라이며 주소 정보는 우리가 사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에 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거대한 그릇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도로명주소 뿐만 아니라 해양수산부의 해양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수평 해상도(6단계), 통계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집계구 단위 등 여러가지 공간 격자 혹은 점, 선, 면 단위의 위치 식별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행정안전부는 도로명주소(도로명, 건물번호, 상세주소), 국가기초구역, 국가지점번호를 부여 관리하고 있다. 도로명주소는 도로에는 도로명을, 건물에는 도로를 따라 체계적으로 번호를 부여하여 “도로명 + 건물번호”의 형태로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인데, 법적 소재지로 흔히 사용되는 주소이다. 상세주소는 도로명주소의 건물번호 다음에 표기하는 동, 층, 호에 대한 내용인데, 통일된 방법으로 개별주소를 부여하는 법정주소이고, 도로명주소에 함께 표기된다. 도로명주소에서는 각 도로마다 부여한 번호를 상위체계로 각 도로에 붙어있는 건물을 하위체계로 하여 번호를 부여한다. 도로명주소의 도로 코드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국의 도로에 겹치지 않게 부여된 7자리 숫자로 구성된 번호를 사용한다. 도로위계(1) + 일련번호(6)로 구성된다. 도로위계는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 1:고속도로, 2:대로(폭>40m or 왕복 8차선 이상), 3:로(12m<폭<40m or 왕복 2차로 이상 8차선 미만), 4:길. 또한, 시군구코드(5)와 도로명코드(7)를 합친 12자리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도로명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건물을 포함한 기타 객체 위치식별자와 매칭되어 제공된다. 특히 도로명주소사업에서 건물을 인접한 도로를 기반으로 명명하기 때문에, 건물의 출입구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식별자와 도로명 코드가 매칭된 형태로 도로명주소 홈페이지에서 제공된다.
국가기초구역은 도로명주소법에 따라, 지형지물, 행정계, 인구, 도시계획 등을 고려하여 국토를 일정한 단위로 나누어 설정한 5자리(시, 군, 구 3자리, 일련번호 2자리)의 숫자 코드이다. 국가기초구역은 통계청 인구센서스의 기준 및 우편번호로 사용되고 있다.
국가지점번호는 도로명주소법에 따라, 전 국토 및 이와 인접한 해양을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구획한 지점마다 부여한 번호로서 100km 단위는 문자를 사용하고 이하부터는 가로와 세로를 각각 10,000으로 나눈 정수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국가지점번호는 소방, 경찰, 산림청 등과 연계하여 산 등의 건물이 없는 지역의 긴급구조 시 위치 찾기에 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설악산대청봉은 기준점으로부터 동쪽 384.85km, 북쪽 713.33km지점에 있으며 '라아 8485 1333'으로 표기할 수 있다.
도로명주소와 국가기초구역은 국민들이 쉽게 접하고 인지도가 높은 주소 체계이고, 포털(도로명안내시스템)과 OpenAPI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지점번호는 법적 근거가 있는 주소 체계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유로 인해 정부 내부적으로만 사용하거나 일부의 산간지역 등에서 구조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등,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지도가 떨어지고 다른 위치정보들과의 호환 및 연계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각 도로명주소, 국가기초구역의 shp 파일을 열어보면, 고유번호(Unique Number)라는 항목이 존재한다. 고유번호라 함은 토지의 개별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필지별 아라비아숫자로 부여한 가변성이 없는 번호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지적법전문개정 당시에 전산화를 대비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필지번호(PNU)의 개념과 같다. 토지·임야대장의 카드화사업과 병행 전국의 토지에 대하여 고유번호를 일제히 부여하였으며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하여 관할구역이 변경될 경우에는 시·도지사 경유 내무부장관의 고유번호 신규부여 및 변경에 대한 사전 승인을 받아 가제정리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고유번호는 전산화사업이 완료된 후 각종자료의 검색에 Key의 역할을 하게 되며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10자리와 지번에 해당하는 9자리를 포함하여 19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8597호 (2010.02.17.공개)는 사용자 참여형 경로 및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로안내 단말기를 장착한 수많은 일반 차량이 자신의 경로운행기록을 서버로 업로드하게 하고, 서버에서는 수집된 경로정보를 가공하여 소통시간 개념의 교통지수를 산출하여 전국 모든 도로에 대해서 교통지도를 생성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경로안내에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는 교통지도를 생성하는데 한정되는 것이고 전 국토의 위치 정보를 모두 나타내지는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8597호(2010.02.17.공개): 사용자 참여형 지능형 교통지도 생성 및 이를 이용한 경로안내 방법
현재 사용되는 주소 체계에서는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와 국가지점번호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 식별자들이 각각 별개로 제공되어 있으며, 특히 도로명 주소는 도로가 존재하지 않거나 건물이 없는 곳에서는 주소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어 전 국토의 위치 정보를 모두 나타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현재의 도로명주소는 점점 입체화되는 도시의 위치 표시에 한계가 있다.
국가지점번호는 전 국토를 10m단위의 격자 크기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지만 산악, 해양 등 통행이 어렵고 설치가 의무화된 지역에서만 활용하고 있고, 널리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불완전한 위치 식별 방식은 응급상황 발생 시에 문제가 된다. 가령 육교 내의 승강기의 경우에는 도로명주소로 표현이 불가능하여 응급 출동이 요구될 시 위치 표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명 주소와 국가지점번호 정보를 융합한 위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 국토에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위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형의 도로기반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해서 기존 도로명주소를 이용하고, 기존 주소 체계로 표현할 수 없는 위치는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호환되는 국가지점번호와 도로명주소를 통해 기계를 위한 코드가 아닌 사용자가 부여한 별칭을 사용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위치를 인지하고 공간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위치 정보 DB서버가 도로명주소 속성정보, 국가지점번호 속성정보와 사용자생성 속성정보를 각각 도로명주소 DB, 국가지점번호 DB와 사용자 생성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위치정보 융합모듈이 위치정보 DB서버의 도로명주소 DB, 국가지점번호 DB와 사용자 생성 DB로부터 융합 위치정보 DB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정보창 생성 및 수정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도로명주소로 검색창을 통해 검색되거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상의 위치 격자가 선택되면, 검색되거나 선택된 격자에 해당하는 정보 창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항목에 입력 또는 편집 요청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수정창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은, 사용자가 별칭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위치 식별정보)을 검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생성 DB의 격자 번호는 국가지점번호 DB의 격자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융합 위치정보 DB의 격자 번호도 국가지점번호 DB의 격자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계(b)에서 생성된 융합 위치정보 DB에는 도로명주소 코드, 국가지점번호, 별칭 식별번호와 주소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계(b)에서 위치정보 융합모듈이 도로명주소를 생성하는 융합 과정은, (e) 도로명주소 DB의 지번과 국가지점번호 DB의 지번을 비교하여 상호 지번이 동일한 국가지점번호 DB의 격자를 탐색하는 단계와; (f) 상기 탐색된 국가지점번호 DB의 격자가 도로명주소 DB의 지번 폴리곤 내에 포함되면 그 국가지점번호 DB의 해당 격자는 도로명주소 DB의 지번에 해당하는 도로명주소가 할당되고, 상기 탐색된 국가지점번호 DB의 격자가 도로명주소 DB의 지번 폴리곤의 경계에 걸쳐있다면 그 국가지점번호 DB의 해당 격자는 도로명주소 DB의 복수의 지번 폴리곤 중 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지번 폴리곤의 지번에 해당하는 도로명주소가 할당되는 단계, 및 (g) 국가지점번호 DB의 격자에 도로명주소가 할당된 후, 국가지점번호 DB와 융합 위치정보 DB의 국가지점번호로 매칭을 시행하여 융합 위치정보 DB의 각 격자에 도로명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의 정보 창에 출력되는 정보는, 융합 위치정보 DB로부터 불러온, 해당 격자에 대한 주소 정보(도로명주소+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도로명주소, 국가지점번호와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을 포함하고, 정보 수정창에 출력되는 정보는, 융합 위치정보 DB로부터 불러온,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주소 정보와 국가지점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성인식 모듈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단계(c)에서의 정보창과 정보 수정창의 해당하는 입력 창에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계(d)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위치 식별정보)을 검수하는 과정은, (h)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이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을 수신하는 단계와; (i)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이 수신된 위치의 해당 격자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별칭 정보가 있는지 사용자 생성 DB에서 확인하는 단계와; (j)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은,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가 있다면 서버 관리자의 갱신 여부 판단에 따라 기존의 등록한 별칭 정보를 안내하고 종료하거나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를 갱신 편집하여 사용자 생성 DB에 저장하고,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가 없다면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은 서버 관리자의 별칭 정보의 적합성 판단에 따라 사용자 생성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k)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은 사용자 생성 DB에 저장된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정보를 융합과정을 거쳐 다시 융합 위치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은 현재 혼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위치 식별 형식이 하나로 통일되어 제공되며, 기존의 주소 체계에서는 나타내지 못했던 위치 정보를 표현하기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생성한 위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산업에서 요구하는 위치정보가 고도화되고, 도시가 복잡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수집되는 산업의 변화에 맞추어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전반적인 산업 능률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추후 AR(Augmented Reality)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구글 글래스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거나 모바일에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과 관련된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에서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에서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 식별 정보의 검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이 적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현재의 도로명주소로는 위치 표현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으로 위치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에 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제시된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에서, 일실시예로 웹서버(1)는 사용자단말기(3)와 위치정보 DB서버(10)에 접속되어 각종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여기서 사용자단말기(3)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모바일단말기 또는 노트북PC나 데스크톱PC 등이 적용된다. 웹서버(1)에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웹서버(1)로 연결하여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을 실행하면 도 3 및 도 4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의 위치정보 융합모듈(20)은 접속된 위치정보 DB서버(10)에서 융합 위치정보 DB(14)를 생성한다.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의 정보창 생성 및 수정 모듈(30)은 도 3의 검색창을 통해 검색되거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상의 선택된 격자에 해당하는 정보 창을 출력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수정 제안 기능도 수행한다.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의 음성인식 모듈(4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다.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의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 식별정보, 즉, 별칭을 검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치 정보 DB서버(10)는 도로명주소 DB(11),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를 포함하고 있다. 도로명주소 DB(11)는 juso.go.kr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 DB를 이용하고 그 속성은 다음의 표 1과 같고,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의 속성은 각각 다음의 표 2와 표 3과 같은데 앱 관리자나 사용자에 의해 테이블로 작성되어 저장된다. 즉, 위치 정보 DB서버(10)는 도로명주소 속성정보, 국가지점번호 속성정보와 사용자생성 속성정보를 각각 도로명주소 DB(11),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에 저장하게 된다(S10).
이 때, 국가지점번호 DB(12)에서는 1m×1m의 격자를 최소한의 크기로 가지며 사용자 생성 DB(13)의 격자 번호는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 번호(예를 들어, 10m×10m의 격자인 경우 '라아 8485 1333', 1m×1m의 격자인 경우 '라아 84851 13331')를 그대로 사용한다(표 3의 국가지점번호는 표 2의 국가지점번호를 불러옴).
상기 도로명주소 DB(11),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의 대표정보는 다음의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PK(Primary key), 즉, 도로명주소 코드, 국가지점번호와 별칭 식별번호로 식별된 후, 위치정보 융합모듈(20)에 의해 융합 위치정보 DB(14)인 다음의 표 4의 FK(Foreign key)로 불러온다. 표 4는 융합 위치정보 DB(14)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로명주소 DB(11),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의 정보로부터 PK(Primary key) 뿐만이 아니라 일부 하위 항목도 불러와서 융합하여 표 4의 매칭 테이블로 저장된 후 융합 위치정보 DB(14)를 생성하게 된다(S20). 융합 위치정보 DB(14)는 국가지점번호 DB(12)의 국가지점번호를 불러와 이용하므로 융합 위치정보 DB(14)의 격자 번호도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위치정보 융합모듈(20)이 상기 융합 위치정보 DB(14)에 도로명주소를 생성하기 위한 융합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도로명 주소와 격자 지도를 병합할 때 이종의 공간정보 간의 융합 기법에 따라 Equal 매칭, Overlay 매칭 등의 기법 중 적합한 연계 및 융합 기법을 적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도로명주소 DB(11),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의 일부정보를 불러온다.
다음으로,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과 국가지점번호 DB(12)의 지번을 비교하여 상호 지번이 동일한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를 탐색한다. 지번은 거의 모든 식별자에 존재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번을 식별자들의 연계키로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은 폴리곤 단위이고,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는 정사각형 단위인데 상세한 위치 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는 최소 크기인 1m×1m에 가까울수록 좋으므로, 폴리곤 단위인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 내에는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가 복수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탐색된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가 도로명주소 DB(11)의 상기 지번 폴리곤 내에 포함된다면 그 국가지점번호 DB(12)의 해당 격자는 도로명주소 DB(11)의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도로명주소가 할당된다(Equal 매칭). 참고로, 도로명주소는 건물인 경우 주출입구의 좌표로 나타나는 Point 단위이다.
상기 탐색된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가 도로명주소 DB(11)의 상기 지번 폴리곤의 경계에 걸쳐있다면(즉, 격자 내에 복수의 지번 폴리곤이 각각 일부가 있는 경우) 그 국가지점번호 DB(12)의 해당 격자는 도로명주소 DB(11)의 상기 복수의 지번 폴리곤 중 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지번 폴리곤의 지번에 해당하는 도로명주소가 할당된다(Overlay 매칭).
단, 도로명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지번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과 국가지점번호 DB(12)의 지번을 비교하여 상호 지번이 동일한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가 탐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탐색되지 않는 국가지점번호 DB(12)의 모든 격자 각각에는 국가지점번호는 존재하나 도로명주소는 할당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상기 Equal 매칭과 Overlay 매칭 및 도로명주소가 할당되지 않는 경우 모두 국가지점번호 DB(12)와 융합 위치정보 DB(14)의 국가지점번호로 매칭을 시행하여 융합 위치정보 DB(14)의 각 격자에 도로명주소를 저장하여 융합 과정을 완료한다.
둘째,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S30)인데, 사용자는 도 3과 같은 화면을 통해 특정 위치의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의 화면은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이 설치되어 있는 웹서버(1)에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2)은 상기 융합 위치정보 DB(14)와 도로명주소 전자지도(211)를 이용하는데,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를 도로명주소 등으로 검색창(212)을 통해 검색하거나 직접 전자지도 상의 원하는 위치 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명주소 전자지도(211) 상의 격자는 융합 위치정보 DB(14)의 국가지점번호 격자를 활용한 것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를 도로명주소 등으로 검색창(212)을 통해 검색하거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211) 상의 위치 격자가 선택되면 정보창 생성 및 수정 모듈(30)은 검색되거나 선택된 격자에 해당하는 정보 창(213)을 출력하는데, 이들 정보는 융합 위치정보 DB(14)로부터 불러온다. 여기서 정보 창(213)에 출력되는 정보는 해당 격자에 대한 주소 정보(도로명주소+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도로명주소, 국가지점번호,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및 고시일자 등인데, 융합 위치정보 DB(14)에는 해당 격자에 대한 주소 정보, 도로명주소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등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공란으로 출력되고, 도로명주소는 존재하지 않으나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만 있는 격자의 주소 정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만 출력된다.
나아가 정보창 생성 및 수정 모듈(30)은 정보수정 제안 기능(214)으로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수정창(도 4)을 출력한다. 정보 수정 창에서는 상기 정보창(213)과 유사하게 사용자ID(215),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216), 주소 정보(217), 국가지점번호(218), 고시일자(219) 등이 출력되며,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216) 항목만 입력 또는 편집 요청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사용자ID를 제외한 정보들은 융합 위치정보 DB(14)로부터 불러오고, 융합 위치정보 DB(14)에는 해당 격자에 대한 주소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등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공란으로 출력되며, 도로명주소는 존재하지 않으나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만 있는 격자의 주소 정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만 출력된다. 사용자가 별칭을 입력 및 편집 요청(220)함으로써 별칭 정보 등록 과정을 마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때 구글에서 제공하는 음성인식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나 별칭 정보를 음성으로도 입력할 수 있게 하여 기기 사용이 불편한 노약자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의 방법은 사용자가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입력 기능(221)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음성 입력 도구는 사용자의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4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면, 구글 API를 호출하여 구글 API 내의 알고리즘을 거쳐 음성은 텍스트로 변환된다. 텍스트 변환 결과를 음성인식 모듈(40)이 정보창(213)과 정보 수정창(도 4)에서 해당하는 입력 창(212. 216)에 입력하면 음성인식 과정은 종료된다.
셋째,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 식별정보, 즉, 별칭을 검수하는 과정(S40, 도 5)이다.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을 수신하여(S100) 수신된 위치의 해당 격자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별칭 정보가 있는지 사용자 생성 DB(13)에서 확인한다(S200).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가 있다면 서버 관리자는 현재 그 위치의 실제 사용되는 목적에 맞게 별칭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갱신 여부를 판단한다(S300). 이 때, 기존에 등록된 고시 일자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변경 여부 등은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확인한다. 수신된 위치의 해당 격자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별칭 정보가 없어도 서버 관리자는 현재 그 위치의 실제 사용되는 목적에 맞게 별칭 정보가 입력되었지를 확인해야 한다(S400).
별칭 정보의 갱신이 필요하지 않다면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기존의 사용자가 등록한 별칭 정보를 안내하고 출력하여 종료하고(S500), 갱신이 필요하다면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사용자가 입력한 수신된 별칭이 기존의 사용자 생성 DB(13)에서 중복되는지를 확인하여 중복된다면 다른 별칭 정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며 마지막으로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를 갱신 편집하는 과정을 수행(S600)하고 편집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정보를 사용자 생성 DB(13)에 저장(S700)하여 종료한다. 사용자 생성 DB(13)에 저장된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정보는 상술한 융합과정을 거쳐 다시 융합 위치정보 DB(14)에 연계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이를 컴퓨터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언어를 통해 직접 알고리즘을 코딩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해수욕장, 공원 또는 캠핑장과 같은 건물이 없는 곳에서는 현 도로명주소로 위치 표현이 불가능하고, 도시의 인구가 늘어나고 고도화됨에 따라 도로 상공 및 지하가 개발되고 있고 출입구 1개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여러 개의 지하 공간이나 다층(多層)의 도로에 각각 출입문을 공유하는 형태의 건물들이 생기고 있으며, 대학 캠퍼스나 대규모 아파트와 같은 건물군의 경우는 주출입구에만 도로명주소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이 없는 곳 또는 건물군 내의 지점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위치정보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을 감안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 주소의 한계점인 ①도로명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위치, ②건물군 내의 특정 위치, ③입체적인 위치에 대해서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위치정보를 구축한다는 개념으로, 도로명주소와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한 격자로 부여된 주소 정보 두 가지를 통합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인식할 수 있는 주소를 부여할 수 있게 하고 현재 도로명 주소 체계가 지원하지 않는 장소의 위치 식별 정보가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구축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법적소재지로서 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POI(Point of Interest)들을 국가지점번호를 통해 등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이 적용된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국가지점번호는 1m×1m의 격자를 최소크기로 가질 수 있으므로 가로등과 푸드트럭과 같은 곳에도 위치정보를 부여할 수 있고, 도 7은 현재의 도로명주소로는 위치 표현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으로 위치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해수욕장과 건물군 및 복수의 출입구가 존재하는 건물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주소가 전 국토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주소가 공간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된다. 예를 들면, 대기정보와 같은 공간정보를 주소정보를 통해 관리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1: 웹서버 2: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용 애플리케이션
3: 사용자단말기 10: 위치 정보 DB서버
11: 도로명주소 DB 12: 국가지점번호 DB
13: 사용자 생성 DB 14: 융합 위치정보 DB
20: 위치정보 융합모듈 30: 정보창 생성 및 수정 모듈
40: 음성인식 모듈 50: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

Claims (7)

  1. (a) 위치 정보 DB서버(10)가 도로명주소 속성정보, 국가지점번호 속성정보와 사용자생성 속성정보를 각각 도로명주소 DB(11),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위치정보 융합모듈(20)이 위치정보 DB서버(10)의 도로명주소 DB(11), 국가지점번호 DB(12)와 사용자 생성 DB(13)로부터 융합 위치정보 DB(14)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정보창 생성 및 수정 모듈(30)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도로명주소로 검색창(212)을 통해 검색되거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211) 상의 위치 격자가 선택되면, 검색되거나 선택된 격자에 해당하는 정보 창(213)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216) 항목에 입력 또는 편집 요청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수정창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사용자가 별칭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위치 식별정보)을 검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생성 DB(13)의 격자 번호는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융합 위치정보 DB(14)의 격자 번호도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생성된 융합 위치정보 DB(14)에는 도로명주소 코드, 국가지점번호, 별칭 식별번호와 주소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위치정보 융합모듈(20)이 도로명주소를 생성하는 융합 과정은,
    (e)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과 국가지점번호 DB(12)의 지번을 비교하여 상호 지번이 동일한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를 탐색하는 단계와;
    (f) 상기 탐색된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가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 폴리곤 내에 포함되면 그 국가지점번호 DB(12)의 해당 격자는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에 해당하는 도로명주소가 할당되고, 상기 탐색된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가 도로명주소 DB(11)의 지번 폴리곤의 경계에 걸쳐있다면 그 국가지점번호 DB(12)의 해당 격자는 도로명주소 DB(11)의 복수의 지번 폴리곤 중 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지번 폴리곤의 지번에 해당하는 도로명주소가 할당되는 단계, 및
    (g) 국가지점번호 DB(12)의 격자에 도로명주소가 할당된 후, 국가지점번호 DB(12)와 융합 위치정보 DB(14)의 국가지점번호로 매칭을 시행하여 융합 위치정보 DB(14)의 각 격자에 도로명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정보 창(213)에 출력되는 정보는, 융합 위치정보 DB(14)로부터 불러온, 해당 격자에 대한 주소 정보(도로명주소+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도로명주소, 국가지점번호와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을 포함하고, 정보 수정창에 출력되는 정보는, 융합 위치정보 DB(14)로부터 불러온,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주소 정보와 국가지점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인식 모듈(40)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단계(c)에서의 정보창(213)과 정보 수정창의 해당하는 입력 창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위치 식별정보)을 검수하는 과정은,
    (h)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이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을 수신하는 단계와;
    (i)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이 수신된 위치의 해당 격자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별칭 정보가 있는지 사용자 생성 DB(13)에서 확인하는 단계와;
    (j)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가 있다면 서버 관리자의 갱신 여부 판단에 따라 기존의 등록한 별칭 정보를 안내하고 종료하거나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를 갱신 편집하여 사용자 생성 DB(13)에 저장하고, 이미 입력된 별칭 정보가 없다면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서버 관리자의 별칭 정보의 적합성 판단에 따라 사용자 생성 DB(13)에 저장하는 단계, 및
    (k) 위치 식별정보 검수 모듈(50)은 사용자 생성 DB(13)에 저장된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 정보를 융합과정을 거쳐 다시 융합 위치정보 DB(14)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0170180899A 2017-12-27 2017-12-27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05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899A KR102053235B1 (ko) 2017-12-27 2017-12-27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899A KR102053235B1 (ko) 2017-12-27 2017-12-27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13A true KR20190079013A (ko) 2019-07-05
KR102053235B1 KR102053235B1 (ko) 2019-12-06

Family

ID=6722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899A KR102053235B1 (ko) 2017-12-27 2017-12-27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3127A (zh) * 2019-11-29 2021-06-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道路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5665480A (zh) * 2022-10-25 2023-01-31 广州至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渲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597A (ko) 2010-01-22 2010-02-17 (주)테슬라시스템 사용자 참여형 지능형 교통지도 생성 및 이를 이용한 경로안내 방법
JP2012093422A (ja) * 2010-10-25 2012-05-17 Denso Corp 音声認識装置
KR20140097805A (ko) * 2013-01-30 2014-08-07 권형석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KR101591970B1 (ko) * 2015-04-06 2016-02-11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KR101809685B1 (ko) * 2017-01-19 2017-12-18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597A (ko) 2010-01-22 2010-02-17 (주)테슬라시스템 사용자 참여형 지능형 교통지도 생성 및 이를 이용한 경로안내 방법
JP2012093422A (ja) * 2010-10-25 2012-05-17 Denso Corp 音声認識装置
KR20140097805A (ko) * 2013-01-30 2014-08-07 권형석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KR101591970B1 (ko) * 2015-04-06 2016-02-11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KR101809685B1 (ko) * 2017-01-19 2017-12-18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3127A (zh) * 2019-11-29 2021-06-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道路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2883127B (zh) * 2019-11-29 2023-12-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道路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5665480A (zh) * 2022-10-25 2023-01-31 广州至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渲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665480B (zh) * 2022-10-25 2024-06-07 广州至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渲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235B1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0666B2 (en) Geographic database with detailed local data
KR101691620B1 (ko) 드론에서 항공 수집한 원시영상의 분석과 mms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 갱신시스템
EP2584515B1 (en) Navig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CN103337221B (zh) 一种室内地图制作方法及室内地图
JP2009520992A (ja) ユニバーサル位置参照オブジェクト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7226688A (ja) 位置検索装置及び位置検索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Schroder et al. Giving the ‘right’route directions: The requirements for pedestrian navigation systems
JP2012070133A (ja) 地点履歴検索システム、地点履歴検索装置、サーバ装置、端末装置、地点履歴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988715B (zh) 一种基于开源方式的全球网络地名数据库的构建方法
Kostrikov et al. Geoinformation approach to the urban geographic system research (case studies of Kharkiv region)
Keay Urban trans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WO2022125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using discrete micro- location identifiers
Sabri et al. A multi-dimensional analytics platform to support planning and design for liveable and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CN114328790A (zh) 一种数字孪生城市的资源数据建库管理方法
Fonte et al. Classification of building function using available sources of VGI
KR20010105569A (ko) 3차원 부동산 지도정보 인터넷 서비스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방법
KR20190079013A (ko)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533004B1 (ko)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Hirtle Neighborhoods and Landmarks.
Sushma et al. Finding an optimal path wit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based Network analysis
Abubakar et al. Efficient tour planning for tourist sites visitation in Lokoja, Nigeria: A multi-scenario analysis using GIS
Zimmermann-Janschitz et al. Independent mobility for persons with VIB using GIS
Wasserburger et al. Web-based city map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CN108287846B (zh) 一种导航电子地图数据的制作方法和***及导航设备
JP3673504B2 (ja) 地理情報検索システムと地理情報検索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