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33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331A
KR20190077331A KR1020197010405A KR20197010405A KR20190077331A KR 20190077331 A KR20190077331 A KR 20190077331A KR 1020197010405 A KR1020197010405 A KR 1020197010405A KR 20197010405 A KR20197010405 A KR 20197010405A KR 20190077331 A KR20190077331 A KR 20190077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longitudinal direction
illusion
rear por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다카 나나우미
다카시 노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에 부여된 기능을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적어도 흡수체(3), 표면 시트(4) 및 이면 시트(5)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재로 구성되는 흡수성 물품(2)으로서, 복수의 자재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갖는 기능을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기능을 갖는 부분 또는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착시 도형(41)이 묘화된 착시부(40)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이나 실금 패드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흡수성 물품은 속옷에 장착되어 사용되지만, 적절하게 장착되지 않으면, 배설액 등이 흡수성 물품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고, 외부에 새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다.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장착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흡수성 물품에 장착용의 표식을 부여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흡수성 물품에 표식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신체에 면하는 표면, 제1 말단부 영역 및 제2 말단부 영역을 갖는 부인 위생 물품으로서, 만곡한 다리 개구부의 부분에 의해서 양측이 경계지어지는 가랑이 부분을 갖는 속옷에 설치된다. 부인 위생 물품은, 신체에 면하는 표면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강화 표식을 포함한다. 기능 강화 표식은, 부인 위생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강화된 부분에 대응한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기능 강화 표식에 의해, 사용자는 물품의 기능 강화된 부분을 알 수 있고, 물품을 속옷 내에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표 제2008-522671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기능 강화 표식은,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표시 또는 신호이며, 구체적으로는 선, 선분, 곡선, 밴드, 화살표, 언어, 그림, 도장, 도트, 반점, 음영, 줄무늬 모양, 꽃잎, 태양광선, 물결과 같은 추상적인 표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식은, 기능 강화된 부분의 위치나 흡수성 물품의 방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강화된 기능의 내용 그 자체를 상기시키는 것은 아니고, 흡수성 물품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도 아니다. 그 때문에, 아무런 설명이 없는 상태로, 이러한 표식을 보는 것만으로는, 그 표식이 무엇을 나타내고 있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고, 따라서 기능의 강화를 나타내는 것인지, 흡수성 물품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인지도 알기 어렵다. 만일, 기능의 강화를 나타낸다고 알았다고 해도, 어떠한 기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인지가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만일 흡수성 물품의 방향을 나타낸다고 알았다고 해도, 표식이 있는 쪽이 전방부인 것인지 후방부인 것인지가 이해하기 어렵다. 그 결과, 사용자는 기능 강화 표식의 의도를 적절하게 파악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는, 시행 착오를 반복하지 않으면,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취급할 수 없고, 적절하게 장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물품에 부여된 기능을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복수의 자재로 구성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자재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갖는 기능을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상기 기능을 갖는 부분 또는 상기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착시 도형이 묘화된 착시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는, 복수의 자재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갖는 기능을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착시 도형이 묘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착시 도형을 한눈에 보는 것만으로, 아무런 설명이 없는 상태라도, 착시부 또는 착시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해당 기능을 갖는 것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취급할 수 있어,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2)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있고, 상기 길이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재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착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상기 착시부에 묘화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즉 후방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기능은, 장착자의 양다리의 움직임과 후방 부분을 연동시켜 움직이기 쉽게 하여, 흡수성 물품의 장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장착할 때, 후방 부분을 부주의하게 후방으로 인장하면, 후방 부분이 신장되어 버려, 상정되고 있는 것보다도 신장된 상태로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되거나, 흡수성 물품이 속옷으로부터 틀어져 장착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흡수성 물품은, 당초 상정되어 있던 장착 위치로부터 틀어져 버리고, 상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시부를 후방 부분에 배치하고, 즉 후방 부분에 착시 도형을 묘화하고 있다. 그 착시 도형은, 후방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착시 도형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 부분이 신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후방 부분을 신장시키지 않도록 취급하면서 흡수성 물품을 장착하는 것, 즉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3)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프레이저 윌콕스 착시 도형을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프레이저 윌콕스 착시 도형, 즉 길이 방향을 따라, 휘도가 상이한 색을 반복 배치하는 도형을 착시 도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즉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후방 부분을 신장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흡수성 물품을 장착하는 것, 즉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것에 더하여, 사용자가 사용 전에 흡수성 물품을 신장시키지 않아도, 신축성이 특히 우수한 (즉 장착감이 우수한) 고품질의 흡수성 물품이라는 기대감을 사용자에게 조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4)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기하학적 착시의 기울기 착시 도형을 포함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기하학적 착시의 기울기 착시 도형, 즉 길이 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상이한 도형을 조합하여 배치하는 도형을 착시 도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즉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5)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원근법으로 형성된 도형을 포함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이차원의 도형이 삼차원의 도형으로 보이는 착각을 일으키는 원근법으로 형성된 도형을 착각 도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안에 보이는 요소와 바로 앞에 보이는 요소가 혼재하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6) 상기 착시 도형은, 적어도 1종류의 패턴 요소가 상기 폭 방향으로 나열하여 구성되는 패턴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턴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변형하는,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적어도 1종류의 패턴 요소가 폭 방향으로 나열하여 구성되는 패턴을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패턴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변형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7) 상기 복수개의 패턴의 크기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상기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복수개의 패턴의 크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된 도형을 착각 도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8) 상기 복수개의 패턴의 상기 폭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복수개의 패턴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의 치수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형성된 도형을 착각 도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9) 상기 복수개의 패턴의 사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넓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는,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복수개의 패턴 사이의 길이 방향의 치수 간격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넓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도록 형성된 도형을 착각 도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0) 상기 복수개의 패턴은,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파형 또는 스프링형으로 나열하고 있는, 상기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복수개의 패턴이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을 따라 파형 또는 스프링형으로 나열한 도형을 착각 도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이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1) 상기 복수의 자재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부는 상기 보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보조 시트의 상기 흡수체측의 표면에 묘화되는, 상기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시 도형이 보조 시트의 흡수체측의 표면에 묘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즉 흡수성 물품을 장착할 때에 보기 쉬운 피부측으로부터 착시 도형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축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표면 시트보다도 섬유 밀도가 높은 보조 시트에 착시 도형을 묘화할 수 있기 때문에, 착시 도형을 보다 명확하게 그릴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시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2) 상기 복수의 자재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부는 상기 표면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는, 상기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시 도형이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기때문에, 사용자는,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즉 흡수성 물품을 장착할 때에 보기 쉬운 피부측으로부터 착시 도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축하는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3) 상기 복수의 자재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부는 상기 이면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는, 상기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라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시 도형이 이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면 시트측으로부터 착시 도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포장 상태의 이면 시트가 겉 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신축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에 묘화된 도형을 본 것만으로, 그 도형이 부착된 부분이 갖는 기능을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착시 도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및 흡수체에 관해서 생리용 냅킨을 예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팬티라이너, 경실금 패드를 들 수 있다. 그 흡수성 물품이 흡수 대상으로 하는 액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사용자의 액상 배설물, 체액 등을 들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흡수성 물품(2)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흡수성 물품(2)을 전개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흡수성 물품(2)에는 착시 도형이 묘화되어 있지만, 도 1 및 도 2에서는 그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2)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본체부(2a)와, 길이 방향(L)의 대략 중앙부에 폭 방향(W)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랩부(2b, 2b)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2)은, 폭 방향(W)의 중심을 통과하여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한 쌍의 플랩부(2b, 2b)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을 통과하여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마주하여 위쪽이 흡수성 물품(2)의 전방이며, 마주하여 아래쪽이 흡수성 물품(2)의 후방이다. 흡수성 물품(2)의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과 후술되는 흡수성 물품(2)의 각 자재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일치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2) 및 그 각 자재에 공통으로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이용한다. 「평면에서 보아」란 전개한 상태의 흡수성 물품(2)을 상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피부측」및「비피부측」이란, 흡수성 물품(2)의 사용자에 의한 흡수성 물품(2)의 장착시, 두께 방향(T)으로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측 및 먼 측을 각각 의미한다.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폭 방향(W)의 내측 및 외측의 방향으로 한다. 폭 방향 중심선(CW)을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길이 방향(L)의 내측 및 외측의 방향으로 한다. 이들 정의도 흡수성 물품(2)의 각 자재에 공통으로 이용한다.
본체부(2a)는 각이 둥근 장방형, 세장 타원형 또는 장원형의 형상을 갖고, 본체부(2a)의 길이 방향(L)의 양단 가장자리부의 외부 가장자리(2T1, 2T2)는, 대략 반원형 또는 사발형의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2a)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4)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5)와, 표면 시트(4)와 이면 시트(5)의 사이에 배치된 액흡수성 및 액유지성의 흡수체(3)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4)의 비피부측의 면과 흡수체(3)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고, 흡수체(3)의 비피부측의 면과 이면 시트(5)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표면 시트(4)의 비피부측의 면의 가장자리와 이면 시트(5)의 피부측의 면의 가장자리는 접착제로 접합된다. 본체부(2a)의 표면 시트(4)와 흡수체(3)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는 영역에는,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전방 근처에서 폭 방향(W)의 중앙에, 장착 시에 배설구에 접촉하는 영역, 즉 배설구 접촉 영역(STA)이 설정된다. 플랩부(2b)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한 쌍의 플랩부(2b, 2b)의 양단부(붙어 있는 부분) 및 중앙부의 위치가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양단부 및 중앙부의 위치와 거의 중복되도록 형성된다. 본체부(2a)에는, 배설구 접촉 영역(STA) 내 및 그 주위에, 표면 시트(4)와 흡수체(3)를 표면 시트(4)측으로부터 압착하여 형성되는 압착부(26)가 형성된다(도 2에서는 흡수체(3)의 압착부(26)의 기재를 생략함).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배설구 접촉 영역(STA) 상에 도트형의 중앙 압착부(26a)가 형성되고,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폭 방향(W)의 양측에 홈형의 측부 압착부(26b, 26b)가 형성되며,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홈형의 전방부 압착부(26c) 및 후방부 압착부(26d)가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2)의 본체부(2a) 및 한쌍의 플랩부(2b, 2b)는, 흡수성 물품(2)을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도시되지 않음)를, 이면 시트(5)의 피부면측에 구비한다. 고정부는 박리 시트로 피복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흡수성 물품(2)은, 상기와 같이 복수의 자재, 즉 표면 시트(4), 흡수체(3) 및 이면 시트(5)로 구성되어 있고, 또 배설액 누설 방지용의 누설 방지벽(도시되지 않음)이나 배설액 확산용의 보조 시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흡수성 물품(2)에 있어서 공지된 자재를 포함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의 흡수성 물품(2)은, 상기의 복수의 자재의 적어도 하나가 무언가 기능을 갖고 있고, 그 기능을 갖는 부분 또는 그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착시 도형이 묘화된 착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착시란, 시각에 관한 착각인 것으로, 면·선·점이나 이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형에 있어서, 크기·길이·방향 등이 객관적인 그것들과는 달리 보이게 되는 현상이며, 착시 도형은 착시를 일으키는 도형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눈속임 그림(트롱프뢰유 : Trompe-l'oeil)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2)이 착시 도형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아무런 설명이 없는 상태라도, 착시 도형을 한번 보는 것만으로 흡수성 물품(2)이 그 기능을 갖는 것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그 착시 도형에서 생기는 착각에 의해, 그 기능의 내용을 시인할 수 있고, 착시 도형이 묘화되어 있는 위치에 의해, 그 기능을 갖는 부분의 위치를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착시 도형으로부터 그 기능 및 위치를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취급할 수 있고,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착시 도형에 의한 기능의 시인이란, 사람이 착시 도형을 시각으로 파악하고, 파악한 착시 도형을, 크기·길이·방향·움직임 등의 객관적인 그것들과는 다른 것처럼 파악함으로써, 파악된 내용을 생기게 하는 기능이 거기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길이 방향(L)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 도형이 흡수성 물품의 소정 부분에 묘화되어 있는 경우, 사람이 착시 도형을 시각으로 파악하고, 파악한 그 착시 도형을 길이 방향(L)으로 움직인다고 파악함으로써, 길이 방향(L)으로 움직이는 기능이 그 소정 부분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착시로서는, 예컨대, 정지하고 있는 것이 움직여 보이는 움직임의 착시(예시: 프레이저 윌콕스 착시, 오오우치 착시), 형태나 크기나 기울기에 관한 기하학적 착시(예시: 기울기 착시(Y 접합부의 착시)), 없는 것이 보이는 착시(시각적 보완), 물건에 깊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입체시·공간시(원근법), 크레이터 착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흡수성 물품(2)에 부여되는 기능 및 착시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흡수성 물품(2)에는 신장성이라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즉, 흡수성 물품(2)은, 길이 방향(L)의 후방의 부분(30)에 신장성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흡수성 물품(2)은, 길이 방향(L)의 신장성이 폭 방향(W)의 신장성보다도 높다. 여기서는, 「신장성」이란, 어떤 물건에 인장력이 인가되었을 때, 그 물건의 형상이 그 방향으로 신장하는 성질을 말한다. 이 경우, 인장력이 소실되었을 때, 그 물건의 형상이 거의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 좋고, 원래의 형상에 근접하지만 원래의 형상으로 완전히 되돌아가지 않아도 좋다. 흡수성 물품(2)에는, 길이 방향(L)의 후방의 부분(30)에 신축성이라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어도 좋고, 즉 길이 방향(L)으로 신축성을 가져도 좋다. 「신축성」이란, 어떤 물건에 인장력이 인가되었을 때, 그 물건의 형상이 그 방향으로 신장하고, 인장력이 소실되었을 때, 그 물건의 형상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말하고, 「탄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어떤 물건이「신장성」이나「신축성」을「갖는다」란, 그 물건의 신장의 정도로서 인장 신도(파단 신도)가 적어도 3% 이상인 것을 말한다. 반대로, 어떤 물건이「신장성」이나「신축성」을「갖지 않는다」또는「거의 갖지 않는다」란, 그 물건의 신장의 정도로서 인장 신도(파단 신도)가 0% 또는 3% 미만인 것을 말한다. 인장 신도(파단 신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섬유 시트의 인장 신도의 시험으로 측정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4)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경계로 하여, 전방의 부분(4a)과 후방의 부분(4b)을 갖는다. 후방의 부분(4b)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갖고, 전방의 부분(4a)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거의 갖지 않는다. 따라서, 표면 시트(4)는, 후방의 부분(4b)에 길이 방향(L)의 신장성이라는 기능을 갖는다. 후방의 부분(4b)은 신장성에 더하여,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져도 좋다. 신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기어 연신 처리를 들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신축성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4)는, 후방의 부분(4b)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면 시트(5)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경계로 하여, 전방의 부분(5a)과 후방의 부분(5b)을 갖는다. 후방의 부분(5b)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갖고, 전방의 부분(5a)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거의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이면 시트(5)는, 후방의 부분(5b)에 길이 방향(L)의 신장성이라는 기능을 갖는다. 후방의 부분(5b)은 신장성에 더하여,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져도 좋다. 신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기어 연신 처리를 들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신축성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면 시트(5)는, 후방의 부분(5b)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체(3)는, 흡수체 본체부(3m)를 구비하고,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흡수체 본체부(3m)에서의 이면 시트(5)측의 면에 접합된 캐리어 시트(3n)를 구비한다. 흡수체 본체부(3m)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경계로 하여, 전방의 부분(3ma)과 후방의 부분(3mb)을 갖는다. 후방의 부분(3mb)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갖고, 전방의 부분(3ma)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거의 갖지 않는다. 따라서, 흡수체 본체부(3m)는 후방의 부분(3mb)에 길이 방향(L)의 신장성이라는 기능을 갖는다. 신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흡수체 본체부(3m)의 후방의 부분(3mb)에 복수의 절개부(3S)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절개부(3S)로서는, 예컨대 대략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대략 길이 방향(L)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열한 복수의 절개부를 들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흡수체 본체부(3m)가 길이 방향(L)의 후방에 장력이 인가되었을 때, 이들 복수의 절개부(3S)가 길이 방향(L)으로 넓어짐으로써 신장성이 발현된다. 절개부(3S)의 형상으로서는, 직선형(본 실시의 형태)이나, 파선형 등을 들 수 있다. 절개부(3S)의 배치로서는, 후방의 부분(3mb) 내에서 개개의 절개부(3S)를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배치하는 방법이나, 가상적인 마름모 형상의 소영역 내에 개개의 절개부(3S)를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배치하고, 또한, 그 마름모 형상의 소영역을 후방의 부분(3mb) 내에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배치하는 방법(본 실시의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절개부(3S)로서, 원형이나 타원형의 개구부와 같은 간극을 갖는 형상이라도 좋다. 또, 표면 시트(4)와 흡수체(3) 사이에 액체의 확산을 보조하는 보조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더욱 구비하는 경우, 보조 시트는, 흡수체 본체부(3m)와 마찬가지의 외형 및 절개부를 갖고, 그 절개부에 의해 길이 방향(L)으로 신장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캐리어 시트(3n)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경계로 하여, 전방의 부분(3na)과 후방의 부분(3nb)을 갖는다. 후방의 부분(3nb)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갖고, 전방의 부분(3ma)은 길이 방향(L)으로 신장성을 거의 갖지 않는다. 따라서, 캐리어 시트(3n)는, 후방의 부분(3nb)에 길이 방향(L)의 신장성이라는 기능을 갖는다. 후방의 부분(3nb)은 신장성에 더하여, 신축성을 가져도 좋다. 신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소정 방향으로 신장성을 갖는 신장성 시트를 후방의 부분(3nb)에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소정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신축성도 부여할 수 있다. 전방의 부분(3na)과 후방의 부분(3nb)은 동일한 시트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이라도 좋고, 신장성(또는 신축성)이 상이한 2종류의 시트로 형성되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방의 부분(3na)에는 신장성이 없는 시트를 이용하고, 후방의 부분(30nb)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를 이용하여 신축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흡수체(3)는, 흡수체 본체부(3m)와 캐리어 시트(3n)가 중첩됨으로써 후방의 부분(3mb+3nb; 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제외함)에서 신장성을 발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체(3)는, 캐리어 시트(3n)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신축성을 발현할 수 있다. 흡수체 본체부(3m)의 후방의 부분(3mb)은 복수의 절개부(3S)만으로 신장성을 발현하지만, 수축성은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고, 따라서 신축성도 충분하지는 않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축성을 갖는 캐리어 시트(3n)를 흡수체 본체부(3m)에 점착함으로써, 흡수체(3)에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다. 캐리어 시트(3n)는, 흡수체 본체부(3m)가 신장했을 때에, 복수의 절개부(3S)가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흡수체 본체부(3m)가 형붕괴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표면 시트(4), 흡수체 본체부(3m), 캐리어 시트(3n), 이면 시트(5), 고정부 및 박리 시트의 재료로서는, 흡수성 물품(2)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표면 시트(4)의 재료로서는, 부직포, 직포, 액투과공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이들의 복합 시트를 들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예컨대 천연 섬유, 재생 섬유, 무기 섬유, 합성 수지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체 본체부(3m)의 재료로서는, 펄프 섬유, 합성 섬유, 흡수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보조 시트의 재료로서는, 부직포, 펄프 섬유,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캐리어 시트(3n)로서는, 일축 방향으로 신축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특히, 일축 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지만 그 일축 방향에 직교하는 타축 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합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5)의 재료로서는,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합성 수지 필름, 부직포와 합성 수지 필름의 복합 시트, SMS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고정부의 재료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박리 시트의 재료로서는, 종이나 수지 시트의 기재에 실리콘수지계의 박리재를 도공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4)(보조 시트), 흡수체 본체부(3m), 캐리어 시트(3n) 및 이면 시트(5) 사이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흡수성 물품(2)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열가소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포장 시트의 재료로서는, 흡수성 물품(2)을 포장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지 필름이나 종이,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2)에 있어서, 후방의 부분(4b)(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제외함)에 신장성을 갖는 표면 시트(4)와, 후방의 부분(5b)에 신장성을 갖는 이면 시트(5)와, 후방의 부분(3mb+3nb; 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제외함)에 신축성을 갖는 흡수체(3)가 두께 방향(T)으로 중첩되어 있다. 이들 자재가 중첩됨으로써, 흡수성 물품(2)은, 후방의 부분(30)에 있어서 신장성(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축성)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흡수성 물품(2)은, (폭 방향 중심선(CW)보다도) 전방의 부분 및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 있어서 신장성을 갖지 않고, 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제외한 (폭 방향 중심선(CW)보다도) 후방의 부분(30)에 있어서 신장성을 갖는다. 즉, 하나의 흡수성 물품(2) 중에서, 대강 전방의 부분과 후방의 부분(30)에서 신장성을 바꾸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2)을 고정부에 의해 속옷에 고정했을 때, 흡수성 물품(2)에 있어서의 전방의 부분 및 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속옷 장착자의 신체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제외한 후방의 부분(30)을 신체의 움직임과 함께 신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속옷 장착자가 보행했을 때, 양 다리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흡수성 물품(2)에 가해지는 하중을, 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제외한 후방의 부분(30)이 신장하여 변형함으로써 감하거나, 흡수하거나 할 수 있다. 그 때, 배설구 접촉 영역(STA) 및 전방의 부분은 신장하지 않기 때문에, 속옷 장착자의 신체에 안정되게 밀착할 수 있고, 배설구 접촉 영역(STA)은 배설구(질구)에 안정되게 밀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방의 부분이나 배설구 접촉 영역(STA)이 신장성을 갖지 않는 것에 의해, 후방의 부분(30)의 비틀림 등의 변형이 전방의 부분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전방의 부분은 원래 양 다리의 움직임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신체에 안정적으로 밀착하기 쉽고, 그러므로 그러한 전방의 부분에 신장성을 갖지 않는 부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후방의 부분(30)으로부터의 변형의 전달을 저지하는 능력을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2)에서는 전방의 부분과 후방의 부분(30)에서 속옷 장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서로 상이한 거동을 취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흡수성과 장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기구는, 각 부재가 신장성이 아니라 신축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효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2)은, 흡수성 물품(2)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심선(CW)의 후방의 부분(30)에, 길이 방향(L)의 신장성(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축성)이라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의 흡수성 물품(2)에 있어서의, 신장성이라는 기능이 부여된 후방의 부분(30)에, 그 기능을 시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 착시부(40)가 형성된다. 도 3, 도 4는,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2)의 후방의 부분(30) 중, 신장이 보다 현저한 부분, 즉 배설구 접촉 영역(STA)보다도 길이 방향(L)의 후방의 부분(31)에 있어서, 착시 도형(41)을 갖는 착시부(40)가 형성된다. 여기서는, 착시부(40)는 흡수성 물품(2)의 후방의 부분(31)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4)에 설치되고, 착시 도형(41)은 장착자에게 시인 가능하도록 표면 시트(4)의 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어 있다. 다만, 착시부(40)(착시 도형(41))는, 장착자에게 시인 가능하면, 표면 시트(4)의 비피부측의 표면, 흡수체(3)의 피부측의 표면, 및 이면 시트(5)의 비피부측의 표면의 어느 하나에 그려져 있어도 좋다. 혹은, 착시부(40)(착시 도형(41))는, 표면 시트(4)와 흡수체(3)의 사이에 보조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조 시트의 피부측 또는 비피부측의 표면에 그려져 있어도 좋다.
도 3, 도 4의 착시 도형(41)은, 프레이저 윌콕스 착시 도형이다. 프레이저 윌콕스 착시란, 암(暗)으로부터 명(明)으로의 휘도 구배(연속적 또는 불연속적)를 갖는 도형을, 휘도 구배를 따라 반복해서 그림으로써, 그 도형이 구배의 방향으로 움직여 보인다는 착시로, 정지하고 있는 것이 움직여 보이는 움직임의 착시의 일종이다. 도 3의 예에서는, 길이 방향(L)을 따라 불연속적인 휘도 구배(예시: 4단계)를 갖는 패턴을, 길이 방향(L)을 따라 반복하도록 나열한 착시 도형(41)이 그려져 있다. 따라서, 착시 도형(41), 즉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고, 그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도 4의 예에서는, 길이 방향(L)을 따라 불연속적인 휘도 구배를 갖는 패턴을, 길이 방향(L)을 따라 반복하도록 나열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서로 인접하는 패턴의 휘도 구배가 서로 어긋나도록 나열한 착시 도형(41)이 그려져 있다. 따라서, 착시 도형(41), 즉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에 의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고, 그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에 의해 신장·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으로 신장·신축하도록 시인 가능한 착시 도형(41)을 (착시부(40)의) 후방의 부분(31)에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의 부분(31)을 보는 것에 의해, 후방의 부분(31)이 신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후방의 부분(31)을 신장시키지 않도록 취급하면서 흡수성 물품(2)을 장착하는 것, 즉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2)에 묘화된 도형을 본 것만으로, 그 도형이 부착된 부분이 갖는 기능을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2)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적섬(積纖) 장치의 회전 드럼이 회전되고, 재료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적섬 재료가,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패턴 플레이트에서의 부압실에 연통한 홈 내에 퇴적된다. 그것에 의하여, 패턴 플레이트의 홈 내에, 복수의 흡수체 본체부(3m)가 연결된 형상을 갖는 적섬체가 형성된다. 이 때, 패턴 플레이트의 홈의 형상에 의해, 예컨대 평량이 전면에서 대체로 균일한 적섬체나, 평량이 많은 영역을 부분적으로 갖는 적섬체가 형성된다. 이어서, 형성된 홈 내의 적섬체가 패턴 플레이트와 함께 정압실에 도달하면, 적섬체가 패턴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고, 흡수체 연속체로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흡수체 연속체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앤빌 롤과 컷트 롤에 끼워짐으로써, 흡수체 연속체에 있어서의 흡수체 본체부(3m)의 후방의 부분(3mb)에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의 절개부(3S)가 형성된다. 이어서, 복수의 절개부(3S)를 갖는 흡수체 연속체는, 캐리어 시트(3n)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캐리어 시트에 점착된다. 이어서, 연속 캐리어 시트 부착 흡수체 연속체는,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앤빌 롤과 컷트 롤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개개의 캐리어 시트(3n) 부착 흡수체 본체부(3m), 즉 흡수체(3)가 된다. 이어서, 표면 시트(4)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표면 시트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그 연속 표면 시트 상에 개개의 흡수체(3)가 소정의 간격으로 적재되고, 연속 표면 시트와 흡수체(3)가 접합된다. 이어서, 연속 표면 시트 부착 흡수체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앤빌 롤과 엠보스 롤 사이에 끼워짐으로써(엠보스 가공), 압착부(26)가 형성된다. 이어서, 이면 시트(5)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이면 시트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연속 표면 시트 부착 흡수체와 접합되고, 계속해서 흡수성 물품(2)의 형상으로 잘라내어진다. 그 후, 흡수성 물품(2)의 표면 시트(4)의 후방의 부분(4b)의 표면에 잉크젯 프린터로 착시 도형(41)이 인쇄됨으로써, 착시부(40)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흡수성 물품(2)이 형성된다.
다만, 착시 도형(41)을 묘화하는 방법은, 상기 잉크젯 프린트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다른 인쇄 기술(예시: 스크린 프린트 기술)을 이용하여 묘화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의 흡수성 물품(2)에서는, 착시 도형(41)이 표면 시트(4)의 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면 시트(4)측으로부터, 즉 흡수성 물품(2)을 장착할 때에 보기 쉬운 피부측으로부터 착시 도형(41)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2)의 신축하는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착시부(40)는 보조 시트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착시 도형(41)은 보조 시트의 흡수체(3)측의 표면에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함으로써 묘화된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표면 시트(4)측으로부터, 즉 흡수성 물품(2)을 장착할 때에 보기 쉬운 피부측으로부터 착시 도형(41)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신축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표면 시트(4)보다도 섬유 밀도가 높은 보조 시트에 착시 도형(41)을 묘화할 수 있기 때문에, 착시 도형(41)을 보다 명확하게 그릴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시인시킬 수 있다.
혹은, 착시부(40)는 이면 시트(5)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착시 도형(41)은 이면 시트(5)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함으로써 묘화된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이면 시트(5)측으로부터 착시 도형(41)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포장 상태의 이면 시트(5)가 겉 쪽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신축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기능을 갖는 후방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신장성이라는 기능이 부여된 후방의 부분(30)의 착시부(40)는, 도 3이나 도 4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를 가져도 좋다. 이하, 착시부(40)의 다른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착시 도형(41a)은, 기하학적 착시의 기울기 착시의 Y 접합부의 착시를 적용한 도형이다. 기하학적 착시란, 물건의 크기(길이, 넓이), 방향, 각도, 형태 등의 평면 도형의 성질이 주위의 선이나 형태 등의 관계를 기초로 실제와는 다르게 보인다는 착시이다. Y 접합부의 착시(의 물결의 착시)란, 짙은 색과 옅은 색의 바둑판 무늬 모양의 각에 백과 흑의 별형을 교대로 두고, 일부의 영역에서 그 패턴을 뒤집으면, 영역과 배경이 분리하여, 따로따로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a) 중,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폭 방향(W)의 우측의 영역이, 물결쳐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실질적으로는 당해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한편, 착시 도형(41a) 중,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폭 방향(W)의 좌측의 영역이, 물결쳐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실질적으로는 당해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양자를 맞추면, 후방의 부분(31)은 전체로서,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착시 도형(41a)을 (착시부(40)의) 후방의 부분(31)에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의 부분(31)을 보는 것에 의해, 후방의 부분(31)이 신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후방의 부분(31)을 신장시키지 않도록 취급하면서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신장성이라는 기능이 부여된 후방의 부분(30)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착시 도형(41b)은, 물건에 깊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인 원근법을 적용한 도형이다. 원근법이란, 자연의 물상을 눈에 보이는 것과 동일한 거리감으로 화면에 묘사하는 방법으로, 즉 삼차원의 형상을 이차원의 도면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며, 따라서 이차원의 도형이 삼차원의 형상으로 보이는 착시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b)은, 영점 투시 투영을 이용하여, 두께 방향(T)의 앞측으로 팽창된 영역과 안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이 길이 방향(L)을 따라 교대로 연속적으로 나열한 파형 또는 메쉬형의 삼차원의 형상을 그린 이차원의 도형이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물결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후방의 부분(31)은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착시 도형(41b)을 (착시부(40)의) 후방의 부분(31)에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의 부분(31)을 보는 것에 의해, 후방의 부분(31)이 신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후방의 부분(31)을 신장시키지 않도록 취급하면서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신장성이라는 기능이 부여된 후방의 부분(30)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착시 도형(41c)도, 도 6의 착시 도형(41b)과 마찬가지로 원근법을 적용한 도형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c)은, 2점 투시 투영을 이용하여, 두께 방향(T)의 안측으로 위치하는 직방체와 앞측으로 위치하는 직방체가 길이 방향(L)을 따라 교대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삼차원의 형상을 그린 이차원의 도형이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을 따라 부분적으로 팽창되고, 물결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후방의 부분(31)은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착시 도형(41c)을 (착시부(40)의) 후방의 부분(31)에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의 부분(31)을 보는 것에 의해, 후방의 부분(31)이 신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후방의 부분(31)을 신장시키지 않도록 취급하면서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7의 예에서는 직방체가 그려져 있지만 다른 입체(예시: 다면체, 구, 타원체)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착시부의 착시 도형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착시 도형이라도 좋다. 예컨대, 착시 도형은, 적어도 1종류의 패턴 요소(예시: 점, 선, 원, 타원, 다각형, 별형, 꽃형, 잎형, 하트형, 입체형)가 폭 방향(W)으로 나열하여 구성되는 패턴을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그 복수개의 패턴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서서히 변형하고 있다. 이하, 도 8∼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d)은, 패턴 요소인 구가 폭 방향(W)을 따라 나열하여 구성되는 구 패턴을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그 복수개의 구 패턴의 크기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서서히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고 있다. 바꿔 말하면, 각 구 패턴의 구는, 길이 방향(L)을 따라, 도중까지 서서히 커지고, 도중으로부터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주기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하여, 물결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후방의 부분(31)은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도 9는,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e)은, 패턴 요소인 마름모형이 폭 방향(W)을 따라 나열하여 구성되는 마름모형 패턴을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그 복수개의 마름모형 패턴의 길이 방향(L)의 치수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서서히 커지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복수개의 마름모형 패턴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서서히 커지고 있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을 따라 부분적으로 팽창되고, 물결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후방의 부분(31)은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 도 9의 예에서는, 길이 방향(L)에 인접하는 마름모형 패턴은, 마름모형이 서로 폭 방향(W)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지만, 마름모형이 상호 폭 방향(W)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복수개의 마름모형 패턴의 길이 방향(L)의 치수가 서서히 커지지만, 복수개의 마름모형 패턴의 폭 방향(W)의 치수가 서서히 커져도 좋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복수개의 마름모형 패턴의 치수가 서서히 커지지만, 복수개의 마름모형 패턴의 치수가 서서히 작아져도 좋다.
도 10은,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f)은, 패턴 요소인 띠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구성되는 띠 패턴을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그 복수개의 띠 패턴의 길이 방향(L)의 치수(폭)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작은 치수로부터 서서히 큰 치수가 되는 주기를 반복하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복수개의 띠 패턴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작은 치수로부터 서서히 큰 치수가 되는 주기를 반복하고 있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주기적으로 팽창되고, 물결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후방의 부분(31)은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 도 10의 예에서는, 복수개의 띠 패턴의 길이 방향(L)의 치수가 작은 치수로부터 서서히 큰 치수가 되는 주기를 반복하지만, 큰 치수로부터 서서히 작은 치수가 되는 주기를 반복해도 좋고, 작은 치수로부터 큰 치수를 경유하여 작은 치수가 되는 주기를 반복해도 좋고, 큰 치수로부터 작은 치수를 경유하여 큰 치수가 되는 주기를 반복해도 좋다.
도 11은,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g)은, 패턴 요소인 하트가 폭 방향(W)을 따라 파형으로 나열하여 구성되는 파형 하트 패턴을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그 복수개의 파형 하트 패턴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서서히 넓어지고 있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을 따라 부분적으로 팽창되고, 물결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후방의 부분(31)은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도 12는,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h)은, 패턴 요소인 하트가 폭 방향(W)을 따라 나열하여 구성되는 하트 패턴이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그 복수개의 하트 패턴의 폭 방향(W)의 위치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서서히 변화하고 있고, 하트는 길이 방향(L)을 따라 파형으로 나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폭 방향(W)으로 물결치고 있고, 길이 방향(L)으로 진행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후방의 부분(31)은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도 13은,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i)은, 패턴 요소인 스프링형의 나선이 폭 방향(W)을 따라 나열하여 구성되는 스프링 패턴이 길이 방향(L)을 따라 그려지고 있다. 여기서, 스프링 패턴의 스프링이 신축하는 방향은, 길이 방향(L)에 대응하고 있다. 그 결과, 후방의 부분(31)이 실질적으로는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후방의 부분(31)이 길이 방향(L)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착시 도형(41d∼41i)을 (착시부(40)의) 후방의 부분(31)에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의 부분(31)을 보는 것에 의해, 후방의 부분(31)이 신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후방의 부분(31)을 신장시키지 않도록 취급하면서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각 예에 있어서, 패턴 요소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점, 선, 원, 타원, 다각형, 별형, 꽃형, 잎형, 하트형, 입체형, 다면체 등, 여러 가지의 도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2)에서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2)은,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 높은 흡수 성능이라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흡수성 물품(2)에 있어서의, 높은 흡수 성능이라는 기능이 부여된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 착시부(40)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흡수 성능을 높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흡수체 본체부(3m)의 배설구 접촉 영역(STA)의 섬유나 흡수성 폴리머의 밀도나 평량을, 그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높게 하는, 즉 부피를 높게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4는, 흡수성 물품(2)에서의 착시부(4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착시 도형(41j)은, 크레이터 착시 도형이다. 크레이터 착시란, 어떤 대상의 상단이 밝고 하단이 어두울 때에는, 그 대상은 튀어나와 보인다는 착시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배설구 접촉 영역(STA)이 높은 흡수 성능을 갖는 부분이 타원형으로 표시되고, 그 타원형의 길이 방향(L)의 전방이 밝고, 후방이 어둡게 그려지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2)을 장착하면서 그 흡수성 물품(2)을 볼 때, 타원형의 길이 방향(L)의 전방을 상단, 후방을 하단으로서 보게 된다. 따라서, 착시 도형(41j)의 타원형은 두께 방향(T)으로 튀어나와 보이고, 실질적으로는 부피가 커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타원형이 두께 방향(T)으로 튀어나오고, 부피가 커 보이는 것처럼 시인 가능한 착시 도형(41j)을 배설구 접촉 영역(STA)에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의 부분(31)을 보는 것에 의해, 배설구 접촉 영역(STA)이 부피가 큰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그 기능에 기초하여, 시행 착오를 하지 않더라도, 배설구 접촉 영역(STA)을 배설구에 접촉하도록 취급하면서 흡수성 물품(2)을 장착하는 것, 즉 흡수성 물품(2)을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4의 예에서는, 착시 도형(41j)으로서 크레이터 착시 도형을 이용하여, 배설구 접촉 영역(STA)이 부피가 큰 것처럼 보이도록 하고 있지만, 예컨대 기하학적 착시의 기울기 착시의 만곡 착시의 팽창의 착시를 이용해도 좋다. 기울기 착시란, 어떤 선에 별도의 선이 교차할 때, 이들의 교차각 중의 예각측을 과대시하는 방향으로 선이 기울어 보이는 착시이며, 체르나 착시나 프레이저 착시로 예시된다. 만곡 착시란, 우측으로 기울어 보이는 기울기 착시와 좌측으로 기울어 보이는 기울기 착시를 합했을 때, 매끄럽게 만곡한 선이 지각되는 착시이며, 행 착시로 예시된다. 팽창의 착시란, 그 만곡하는 선을 이차원으로 했을 때에 안 길이 방향으로도 굽은 인상을 받아, 팽창된 것처럼 보이는 착시이며, 바둑판 무늬 모양 착시와 어긋난 선의 착시를 조합한 이차원 만곡 착시이다.
<섬유 시트의 인장 신도(파단 신도)>
(1) 측정 대상의 흡수성 물품(2)의 자재에 있어서의 측정해야 할 부분을, 150 mm×25 mm(길이 방향×폭 방향)의 사이즈로 컷트하고, 측정 시료로 한다.
(2) 최대 하중 용량이 50 N인 로드 셀을 구비한 인장력 시험기(시마즈세이사쿠쇼(주) 제조, 오토그래프, 형식 AGS-1 kNG)를 사용하여, 3개의 측정 시료 각각에 관하여, 100 mm의 척간 거리, 100 mm/분의 인장 속도의 조건으로 인장 신도를 측정한다.
(3) 3개의 측정 시료의 인장 신도의 평균치를 최종적인 인장 신도로서 산출한다.
2 : 흡수성 물품 3 : 흡수체
4 : 표면 시트 5 : 이면 시트
40 : 착시부 41 : 착시 도형

Claims (13)

  1. 복수의 자재로 구성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자재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갖는 기능을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상기 기능을 갖는 부분 또는 상기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착시 도형이 묘화된 착시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있고,
    상기 길이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재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착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상기 착시부에 묘화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프레이저 윌콕스 착시 도형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기하학적 착시의 기울기 착시 도형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후방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시인 가능한 원근법으로 형성된 도형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시 도형은, 적어도 1종류의 패턴 요소가 상기 폭 방향으로 나열하여 구성되는 패턴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턴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변형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의 크기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흡수성 물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의 상기 폭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흡수성 물품.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의 사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넓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는 흡수성 물품.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은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파형 또는 스프링형으로 나열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재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부는 상기 보조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보조 시트의 상기 흡수체측의 표면에 묘화되는 흡수성 물품.
  12.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재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부는 상기 표면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는 흡수성 물품.
  13.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재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시부는 상기 이면 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착시 도형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묘화되는 흡수성 물품.
KR1020197010405A 2016-11-09 2016-11-09 흡수성 물품 KR201900773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3270 WO2018087850A1 (ja) 2016-11-09 2016-11-0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331A true KR20190077331A (ko) 2019-07-03

Family

ID=6211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405A KR20190077331A (ko) 2016-11-09 2016-11-0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7145B2 (ko)
KR (1) KR20190077331A (ko)
CN (1) CN109922767A (ko)
WO (1) WO2018087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6713B (zh) * 2019-11-26 2021-10-29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弹性贴合的一次性卫生巾
JP2022082496A (ja) * 2021-08-17 2022-06-02 未紅 小西 新規生理用ナプキ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下着
WO2024004417A1 (ja) * 2022-06-27 2024-0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おむ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2671A (ja) 2004-12-15 2008-07-0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機能強化標識を有する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920100299A (el) * 1991-08-02 1993-06-07 Johnson & Johnson Inc Μέ?οδος για την ενίσχυση αποδοχής από μέρους του κοινού ενός απορρίψιμου μετά την χρήση απορροφητικού πυρήνα και το προϊόν που προκύπτει.
US7402157B2 (en) * 2001-12-19 2008-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perception of depth
US20030181882A1 (en) * 2002-03-22 2003-09-25 Yasuo Toyoshima Absorbent article
US8469937B2 (en) * 2007-07-05 2013-06-25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elastics
US20090157021A1 (en) * 2007-12-14 2009-06-18 Sullivan Suzanne K Articles with informative patter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162910B2 (en) * 2008-05-07 2012-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olored regions
US20120029457A1 (en) * 2010-07-27 2012-02-02 Beth Goldman Mason Absorbent Articles Bearing Graphics Visually Coordinated To Clothing
US10280543B2 (en) * 2014-04-08 2019-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making zoned apertured webs
US20150282998A1 (en) * 2014-04-08 2015-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2671A (ja) 2004-12-15 2008-07-0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機能強化標識を有する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22767A (zh) 2019-06-21
JPWO2018087850A1 (ja) 2019-09-26
WO2018087850A1 (ja) 2018-05-17
JP6707145B2 (ja)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5431B2 (ja) 吸収性物品
AU2008337183B2 (en) Articles with informative patter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04569B1 (ko) 흡수성 물품의 수용체
US20100100067A1 (en) Articles with a series of graphical objects providing a functional cue
EP2371333A1 (en) Thin absorptive article
JP2017526449A (ja) 表示部及び/又は色を有する吸収性物品
AU2010332412B2 (en) Package with indicative windows
AU2012396080A1 (en) An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layered topsheet
RU2723828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трусов
JP2010131297A (ja) 吸収性物品
JP2010178932A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KR20190077331A (ko) 흡수성 물품
KR20160048778A (ko) 흡수성 물품
CN101594843B (zh) 吸收性物品
JP2006334113A (ja) 吸収性物品
JP6146763B2 (ja) 吸収性物品
JP6842886B2 (ja) 吸収性物品
JP6227253B2 (ja) 吸収性物品
JP2006167141A (ja) 吸収性物品
JP6226947B2 (ja) 吸収性物品
JP3224044U (ja) 吸収性物品
JP2012161423A (ja) 吸収性物品
JP2018104101A (ja) 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パッケージ
JP2018079035A (ja) 吸収性物品
JP2018102639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