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874A -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874A
KR20190073874A KR1020170175096A KR20170175096A KR20190073874A KR 20190073874 A KR20190073874 A KR 20190073874A KR 1020170175096 A KR1020170175096 A KR 1020170175096A KR 20170175096 A KR20170175096 A KR 20170175096A KR 20190073874 A KR20190073874 A KR 20190073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hickness
welding
trail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704B1 (ko
Inventor
정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7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3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 B23K26/032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us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는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를 각각 구비하는 제1 클램핑부 및 제2 클램핑부; 및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의 각각의 상기 상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 사이에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이 배치 시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의 각각의 상기 상부 지그와 상기 하부 지그 간의 각각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WELDING MATERIAL THICKNESS MEASUR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간의 두께 편차를 산정하고,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을 용접할 수 있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 열연 코일은 제조사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열원 코일은 별도의 용접을 통해 제조사의 요구에 맞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장치는 선행 코일 테일부와 후행 코일의 헤드부를 상호 용접할 수 있다.
이때, 용접기는 열원 코일의 강종, 두께, 폭과 같은 코일의 정보를 수신 받아, 수신된 정보에 맞는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여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을 용접한다.
특히,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 각각의 두께 정보는 레이저 강도 및 용접 속도 등의 용접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두께 정보는 열연 공정에서 생산된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평균 두께를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평균 두께는 용접기에서 용접 시 실제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두께와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 간의 두께 편차가 있는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 간의 두께 편차가 반영되지 않은 두께 정보가 용접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을 용접 시 용접부의 불량 발생으로 인한 용접부의 파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 특허 10-103225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께가 다른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이 용접기로 제공 시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두께 편차를 산정하여, 두께 편차에 따른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여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용접 시 용접부의 불량을 방지하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는 선행 코일을 고정하는 제1 상부 지그 및 제1 하부 지그를 구비하는 제1 클램핑부; 후행 코일을 고정하는 제2 상부 지그 및 제2 하부 지그를 구비하는 제2 클램핑부; 및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1 클램핑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지그와 상기 제1 하부 지그는 상기 선행 코일의 폭 보다 넓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상부 지그와 상기 제2 하부 지그는 상기 후행 코일의 폭 보다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상부 지그와 상기 제1 하부 지그에 서로 마주 보게 각각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상부 지그와 상기 제2 하부 지그에 서로 마주 보게 각각 배치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각각의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선행 코일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 상부 지그와 상기 제1 하부 지그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후행 코일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상부 지그와 상기 제2 하부 지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선행 코일의 두께와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 간의 두께 편차를 판단하고, 상기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두께 편차에 따른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용접 방법은 제1 클램핑부 및 제2 클램핑부를 통해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을 각각 고정 하는 코일 고정 단계; 상기 고정 단계에서 선행 코일의 두께에 따라 제1 클램핑부가 이격되는 이격거리와 후행 코일의 두께에 따라 제2 클램핑부가 이격되는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단계; 상기 두께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 간의 두께 편차를 산정하는 두께 편차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두께 편차에 따른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 및 상기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에서 산정된 용접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을 용접하는 용접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정단계는 레이저 강도(laser power), 용접 속도(welding speed), 초점거리(focus distance), 예열파워(preheater power), 용접봉 공급 속도(wire speed), 용접 간극(welding gap), 레이저 헤드 압력(laser head pressure)중 적어도 둘 이상의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며, 상기 용접 단계는 상기 용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용접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에 배치된 감지부를 통해서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두께 편차를 실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정확한 두께 편차가 반영된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할 수 있어, 용접부의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부의 불량으로 인한 재용접의 줄일 수 있으며, 용접부의 파단을 방지하여 생산성 및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용접 소재 두께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에 감지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용접 소재의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용접 소재 두께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에 감지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용접 소재의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1)는 제1 클램핑부(100), 제2 클램핑부(200), 용접기(300), 감지부(400), 판단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핑부(100)는 선행 코일(C1)을 고정하기 위해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클램핑부(100)는 선행 코일(C1)의 테일부를 고정할 수 있다.
선행 코일(C1)은 제1 클램핑부(100)의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는 선행 코일(C1)의 폭(D1) 보다 넓은 폭(D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클램핑부(100)는 선행 코일(C1)의 폭(D1)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용접 시 발생할 수 있는 선행 코일(C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클램핑부(200)는 후행 코일(C2)을 고정하기 위해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클램핑부(200)는 후행 코일(C2)의 헤드부를 고정할 수 있다.
후행 코일(C2)은 제2 클램핑부(200)의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는 후행 코일(C2)의 폭(D3) 보다 넓은 폭(D4)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클램핑부(200)는 후행 코일(C2)의 폭(D3)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후행 코일(C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용접기(300)는 제1 클램핑부(100)와 제2 클램핑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클램핑부(100)와 제2 클램핑부(200)가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을 고정 시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이 접촉된 접촉면을 상호 용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접기(300)는 레이저 용접기로 이루어지며,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강종, 두께, 폭의 정보를 수신 받아, 수신된 정보에 맞는 용접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을 용접할 수 있다.
감지부(400)는 제1 클램핑부(100) 및 제2 클램핑부(200)의 각각에 배치되어,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400)는 제1 센서(410)와 제2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410)는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선행 코일(C1)은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상부 지그(110)가 하강되며 선행 코일(C1)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1 센서(410)는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가 이격된 거리에 기초하여 선행 코일(C1)의 두께(h1)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센서(410)는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센서(410)는 발광 및 수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센서(410)는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에서 선행 코일(C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410)는 선행 코일(C1)의 간섭 없이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 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며, 이격된 거리를 기초로 하여, 선행 코일의 두께(h1)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420)는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후행 코일(C2)은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상부 지그(210)가 하강되며 후행 코일(C2)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2 센서(420)는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가 이격된 거리에 기초하여 후행 코일(C2)의 두께(h2)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센서(420)는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센서(420)는 발광 및 수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센서(420)는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에서 후행 코일(C2)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서(420)는 후행 코일(C2)의 간섭 없이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 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며, 이격된 거리를 기초로 하여, 후행 코일의 두께(h2)를 감지할 수 있다.
판단부(500)는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선행 코일의 두께(h1)와 후행 코일의 두께(h2)를 기초로 하여,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를 판단하고,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에 따른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판단부(500)는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에 따라 용접기(300)로 제공될 수 있는 레이저 강도(laser power), 용접 속도(welding speed), 초점거리(focus distance), 예열파워(preheater power), 용접봉 공급 속도(wire speed), 용접 간극(welding gap), 레이저 헤드 압력(laser head pressure) 등의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와 관련된 용접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용접기(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방법(S1)은 코일 고정 단계(S10), 두께 감지단계(S20), 두께 편차 판단단계(S30),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S40) 및 용접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고정 단계(S10)는 제1 클램핑부(100) 및 제2 클램핑부(200)를 통해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을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코일 고정 단계(S10)에서 선행 코일(C1)의 테일부는 제1 클램핑부(100)의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후행 코일(C2)의 헤드부는 제2 클램핑부(200)의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두께 감지단계(S20)는 코일 고정 단계(S10)에서 선행 코일(C1)의 두께에 따라 제1 클램핑부(100)가 이격되는 이격거리와 후행 코일(C2)의 두께에 따라 제2 클램핑부(200)가 이격되는 이격거리에 따라 선행 코일의 두께(h1)와 후행 코일의 두께(h2)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선행 코일의 두께(h1)는 제1 클램핑부(100)의 제1 상부 지그(110)와 제1 하부 지그(120) 사이에 배치된 제1 센서(41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후행 코일의 두께(h2)는 제2 클램핑부(200)의 제2 상부 지그(210)와 제2 하부 지그(220) 사이에 배치된 제2 센서(42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두께 편차 판단단계(S30)는 두께 감지단계(S20)에서 감지된 선행 코일의 두께(h1) 및 후행 코일의 두께(h2)를 기초로 하여,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 간의 두께 편차를 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두께 편차 판단단계(S30)는 선행 코일의 두께(h1) 및 후행 코일의 두께(h2)를 기초로 하여, 판단부(500)가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 간의 두께 편차를 판단할 수 있다.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S40)는 두께 편차 판단단계(S30)에서 판단된 두께 편차에 따른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할 수 있다.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S40)는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에 따라 용접기(300)로 제공될 수 있는 레이저 강도(laser power), 용접 속도(welding speed), 초점거리(focus distance), 예열파워(preheater power), 용접봉 공급 속도(wire speed), 용접 간극(welding gap), 레이저 헤드 압력(laser head pressure)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S40)는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를 기초로 하여 판단부(500)가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할 수 있다.
용접 단계(S50)는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S40)에서 산정된 용접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을 용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용접 단계(S50)는 용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용접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접 단계(S50)에서 용접기(300)는 판단부(500)에서 산정된 용접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용접기(30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접기(300)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에 따른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판단부(500)에서 산정된 용접 파라미터 중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와 관련된 용접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용접기(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1)는 제1 클램핑부(100)와 제2 클램핑부(200)에 배치된 감지부(400)를 통해서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두께 편차를 실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선행 코일(C1)과 후행 코일(C2)의 정확한 두께 편차가 반영된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할 수 있어, 용접부의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부의 불량으로 인한 재용접의 줄일 수 있으며, 용접부의 파단을 방지하여 생산성 및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100: 제1 클램핑부
110: 제1상부 지그 120: 제1 하부 지그
200: 제2 클램핑부 210: 제2 상부 지그
220: 제2 하부 지그 300: 용접기
400: 감지부 410: 제1 센서
420: 제2 센서 500: 판단부
600: 제어부 C1: 선행 코일
C2: 후행 코일 h1: 선행코일의 두께
h2: 후행 코일의 두께

Claims (8)

  1. 선행 코일을 고정하는 제1 상부 지그 및 제1 하부 지그를 구비하는 제1 클램핑부;
    후행 코일을 고정하는 제2 상부 지그 및 제2 하부 지그를 구비하는 제2 클램핑부; 및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1 클램핑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지그와 상기 제1 하부 지그는 상기 선행 코일의 폭 보다 넓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상부 지그와 상기 제2 하부 지그는 상기 후행 코일의 폭 보다 넓게 이루어지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상부 지그와 상기 제1 하부 지그에 서로 마주 보게 각각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상부 지그와 상기 제2 하부 지그에 서로 마주 보게 각각 배치되는 제2 센서
    를 포함하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각각의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지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선행 코일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 상부 지그와 상기 제1 하부 지그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후행 코일의 양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상부 지그와 상기 제2 하부 지그에 배치되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선행 코일의 두께와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 간의 두께 편차를 판단하고, 상기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두께 편차에 따른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7. 제1 클램핑부 및 제2 클램핑부를 통해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을 각각 고정 하는 코일 고정 단계;
    상기 고정 단계에서 선행 코일의 두께에 따라 제1 클램핑부가 이격되는 이격거리와 후행 코일의 두께에 따라 제2 클램핑부가 이격되는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단계;
    상기 두께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의 두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 간의 두께 편차를 산정하는 두께 편차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두께 편차에 따른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 및
    상기 용접 파라미터 산정단계에서 산정된 용접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행 코일과 상기 후행 코일을 용접하는 용접 단계
    를 포함하는 용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정단계는
    레이저 강도(laser power), 용접 속도(welding speed), 초점거리(focus distance), 예열파워(preheater power), 용접봉 공급 속도(wire speed), 용접 간극(welding gap), 레이저 헤드 압력(laser head pressure)중 적어도 둘 이상의 용접 파라미터를 산정하며,
    상기 용접 단계는 상기 용접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용접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용접 방법.
KR1020170175096A 2017-12-19 2017-12-19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KR10200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96A KR102008704B1 (ko) 2017-12-19 2017-12-19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96A KR102008704B1 (ko) 2017-12-19 2017-12-19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74A true KR20190073874A (ko) 2019-06-27
KR102008704B1 KR102008704B1 (ko) 2019-08-08

Family

ID=6705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096A KR102008704B1 (ko) 2017-12-19 2017-12-19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407B1 (ko) * 2021-12-15 2023-08-22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유도가열 솔더링 코일 및 지그 유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600B2 (ja) * 1995-04-20 2000-09-11 日本鋼管株式会社 レーザー溶接機
KR101032256B1 (ko) 2009-05-13 2011-05-0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플래쉬 버트 용접에서의 소재간 최초 접합위치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12112898A (ja) * 2010-11-26 2012-06-14 Jfe Steel Corp 板材溶接部の段差量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8012440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맞대기 용접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600B2 (ja) * 1995-04-20 2000-09-11 日本鋼管株式会社 レーザー溶接機
KR101032256B1 (ko) 2009-05-13 2011-05-0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플래쉬 버트 용접에서의 소재간 최초 접합위치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12112898A (ja) * 2010-11-26 2012-06-14 Jfe Steel Corp 板材溶接部の段差量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8012440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맞대기 용접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704B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6721B2 (ja) 溶接品質判定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溶接機
JP2008254069A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チップの磨耗検証方法
KR20190073874A (ko)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JP2010188367A (ja) 摩擦撹拌接合のツール挿入方法
JP5070749B2 (ja) 溶接合否判定装置及び溶接合否判定方法
KR20200058397A (ko) 용접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44138A (ko) 링 프로젝션 용접의 용접품질 평가방법
JP2014144468A (ja) 溶接品質保証装置および溶接品質保証方法
KR100758028B1 (ko) Ccfl용 전극용접장치의 높이보정방법 및 그 장치
JP2013063447A (ja)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JP4448041B2 (ja) 放射温度計の光軸位置決め方法
KR100270098B1 (ko) 용접품질 판정장치 및 방법
JP3938055B2 (ja) シーム溶接の良否判定方法および装置
JP2013022597A (ja) ラップシーム溶接部の溶接良否判定方法および溶接良否判定装置
KR100241029B1 (ko) 용접품질 판정장치 및 방법
KR20160130030A (ko) 강관 용접 장치
JP6965905B2 (ja) 溶接良否判定用設定値の算出方法、溶接良否判定用設定値の算出装置、及び溶接方法
JP7464430B2 (ja) 溶接部の良否判定方法及び溶接部の良否判定装置
JP5938799B2 (ja) スポット溶接品質監視方法及び監視装置
KR100275636B1 (ko)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KR102370392B1 (ko) 냉연공정 소재의 두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WO2020074462A5 (ko)
KR100843832B1 (ko) 용접기의 용접상태 판단장치
KR100567599B1 (ko) 용접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용접방법 및 그러한 용접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접장치
JP4642221B2 (ja) アプセットバット溶接における初期突合せ状態の良否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