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122A -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122A
KR20190073122A KR1020170174461A KR20170174461A KR20190073122A KR 20190073122 A KR20190073122 A KR 20190073122A KR 1020170174461 A KR1020170174461 A KR 1020170174461A KR 20170174461 A KR20170174461 A KR 20170174461A KR 20190073122 A KR20190073122 A KR 20190073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polypropylene
elastom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999B1 (ko
Inventor
김학수
이한기
박문규
손완호
최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99B1/ko
Priority to US16/212,560 priority patent/US10745547B2/en
Priority to DE102018221200.7A priority patent/DE102018221200B4/de
Priority to CN201811510041.XA priority patent/CN109971108B/zh
Publication of KR2019007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8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Abstract

본 발명은 내스크래칭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COMPLEX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CRATCH-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내스크래칭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성형이 용이한 범용의 플라스틱인데 반해, 내열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어, 높은 기계적 물성이나 내열성이 요구되는 부품의 제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폴리프로필렌에 보강하는 기술이 사용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압출기와 같은 혼련 장비를 사용하여 휘스커, 탈크(Talc) 및 유리섬유 등의 무기물과 폴리프로필렌수지를 혼합함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자동차용 내외장 부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834호 등과 같이 자동차의 내장부품의 주요 무기필러(filler)로는 유리섬유, 휘스커 및 탈크(Talc)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의 제조에 첨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무기필러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내열성 및 굴곡탄성율과 같은 물성은 향상되지만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무를 첨가하여 충격강도 보완 및 표면에 슬립성을 부여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그 동안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히 고무처방 및 표면에 슬립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기계적 물성 한계와 내스크래치성능을 만족하기 위해 슬립제를 과량 처방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고온 성형시 휘발에 의한 외관 불량은 물론 성형 후 백화 현상이 나타나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무기 필러 측면의 관련기술은 유리섬유의 경우 성형 부품의 표면에 요철이 생기거나, 섬유가 들뜨거나 하는 등의 표면 평활성의 불량 문제 및 충격강도 향상에 한계를 보인다. 또한 휘스커 및 탈크는 기계적인 물성 구현은 가능하지만 성형 부품의 외관 주요 품질 특성인 내스크래치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면서 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도 뛰어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834호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과 기계적 물성이 모두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은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30~70중량%, 고무 탄성체 10~20중량%, 보강재 10~18중량%,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 2~4중량% 및 슬립제 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80g/10min(230℃, 2.16k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에틸렌-프로필렌의 코폴리머이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의 중량 대비 상기 에틸렌의 중량이 2~10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 탄성체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 탄성체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5~10중량% 및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글라스울, 탈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직경이 3~8㎛이고 길이가 0.3~1.0mm인 침상형태의 글라스울 5~9중량% 및 평균입도가 5㎛ 이하인 판상형태의 탈크 5~9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휘스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는 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메르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메틸 디 메톡시 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립제는 실록산계 슬립제이고, 호모폴리프로필렌에 실록산이 슬립제 중량 대비 50~70중량% 첨가되어 있는 마스터배치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UV안정제, 윤활제, 이형제, 안료, 대전방지제, 가공조제, 상용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재, 예를 들어 도어 트림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고충격성, 고강성 및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은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30~70중량%, 고무 탄성체 10~20중량%, 보강재 10~18중량%,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 2~4중량% 및 슬립제 1~5중량%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할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의 함량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한 것임을 미리 밝힌다. 만약 그 기준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항상 변경된 기준을 명시할 것이므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어떠한 구성을 기준으로 함량을 기술한 것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High crystalline block copolymer polypropylene, HCPP)
상기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의 기본 원료로서, 그 함량은 3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30중량% 미만이면 전반적인 기계적 물성이 모두 저하되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80g/10min(230℃, 2.16kg 하중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30g/10min(230℃, 2.16kg) 미만이면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고, 80g/10min(230℃, 2.16kg)를 초과하면 충격 강도, 강성(굴곡 탄성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일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중량 대비 상기 에틸렌의 중량이 2~10중량%인 것일 수 있다. 2중량% 미만이면 충격 강도가 저하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충격 강도는 향상되나 강성이 저하된다.
(2) 고무 탄성체
상기 고무 탄성체는 충격 강도 등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무 성분의 탄성중합체(elastomer), 구체적으로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고, 그 함량은 10~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이면 충격 강도가 저하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 탄성체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5~10중량% 및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각각 5중량% 미만이면 충격 강도가 저하되고, 각각 10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의 함량이 10~15중량%(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중량 기준)이고, 용융지수가 20g/10min 내지 30g/10min(230℃, 2.16k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는 용융지수가 20g/10min 내지 30g/10min(230℃, 2.16kg)인 것일 수 있다.
(3) 보강재
상기 보강재는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글라스울, 탈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고, 그 함량은 10~1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이면 강성 및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고, 18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중량이 증가하여 경량화에 적합하지 않으며 표면의 거칠기가 과도해져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재는 특정 크기 및 형상의 글라스울 5~9중량% 및 특정 크기 및 형상의 탈크 5~9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울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고 탈크의 함량이 9중량%를 초과하면 내스크래치성 및 강성이 저하되고, 상기 글라스울의 함량이 9중량%를 초과하고 탈크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강성 및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글라스울은 직경이 3~8㎛이고 길이가 0.3~1.0mm인 침상형태의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울의 길이가 0.3mm 미만이면 충격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되고, 1.0mm를 초과하면 역시 충격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도어 트림 등의 부품에 적용하였을 때 사이드 임팩트의 평가 성능이 만족스럽지 않다.
상기 탈크는 평균입도가 5㎛ 이하, 자세히는 3~5㎛인 판상 형태의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재는 휘스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휘스커를 포함하면 침상형 구조와 백색도 때문에 내크스래치성과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도어 트림 등의 부품에 적용하였을 때 사이드 임팩트의 평가 성능이 만족스럽지 않다.
(4) 커플링제
상기 커플링제는 고분자 소재와 상기 보강재 간의 계면 접착성을 높이고 그 결과 복합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모두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일 수 있고, 그 함량은 2~4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범위에 속하는 함량이어야 충격 강도,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스크래치성이 균형 있게 향상된다.
상기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는 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메르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메틸 디 메톡시 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로 실란계 커플링제 중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아미노계 실란 등의 다른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면 도어 트림 등의 부품에 적용하였을 때 사이드 임팩트의 평가 성능이 만족스럽지 않다.
(5) 슬립제
상기 슬립제는 표면에 슬립성을 부여하여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실록산계 슬립제일 수 있고, 그 함량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이면 상기 슬립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간의 상용성을 저해한다.
상기 실록산계 슬립제는 호모폴리프로필렌에 실록산이 슬립제 중량 대비 50~70중량% 첨가되어 있는 마스터배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베이스 수지가 호모폴리프로필렌인 것으로서, 이에 실록산과 같은 초고분자 실리콘 폴리머를 전술한 함량만큼 첨가한 뒤 고르게 분포되도록 혼합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6) 첨가제
상기 첨가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산화방지제, UV안정제, 윤활제, 이형제, 안료, 대전방지제, 가공조제, 상용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고, 그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발포 사출 성형, 발포 저압 사출 성형, 가스 압축 성형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그 이용되는 분야에 제한이 없으나, 자동차의 내장재, 예를 들어 도어 트림 부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이하의 표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1) HCPP: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80g/10min(230℃, 2.16kg)인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CB5230, CB5260 대한유화)
2) Co-PP: 용융지수가 35g/10min 내지 50g/10min(230℃, 2.16kg)인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EP5077 폴리미래)
3) SEBS: 스티렌 함량이 13%이고, 용융지수가 22g/10min(230℃, 2.16kg)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엘라스토머(G1657, Kraton)
4) EOR: 용융지수가 30g/10min인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EG8407, DOW)
5) 아미노계 실란: 3-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JH-A110, JHSi)
6) 메르캅토계 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JH-S189, JHSi)
7) 슬립제: 호모폴리프로필렌에 실록산 함량이 50%인 마스터배치(MB50-001, DOW CORNING)
8) 첨가제: UV안정제, 내열안정제, 분산제, 활제 및 안료
실험예
(1) 평가 항목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 표2와 같은 항목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표2의 요구 물성은 자동차의 내장재로 사용될 때 요구되는 물성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2
(2) 측정 방법
상기 실시예1~3 및 비교예1~17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니카타 180ton 전동식 사출기로 사출 성형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사출시 온도는 피딩 호퍼부에서 노즐 순으로 180℃/210℃/220℃/220℃, 사출 압력은 30~100Mpa이었다.
상기 시험편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 용융지수(MI):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2N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하였다.
- 비중: ASTM D 79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에 의거하여 시험속도 50mm/min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 굴곡 탄성률: ASTM D790에 의거하여 30mm/min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노치(notched) 가공 시편으로 측정하였다.
- 열변형 온도: ASTM D648에 의거하여 0.45MPa 응력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 내스크래치 평가: MS210-05에 의거하여 에릭슨시험기로 하중 10N 긁힘 속도 1000 mm/min으로 가로/세로 20회씩 2mm 간격으로 시험 하였으며, 측정은 BYK 색차계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단, 엠보시편은 HL-225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사이드 임팩트 평가: ES-I, ES-II에 의거하여 충돌시험을 평가하였다.
(3) 결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의 평가 결과는 이하의 표3과 같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3을 참조하면, 실시예1~3의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시험편은 ⅰ) 충격 강도가 400J/m 이상으로 자동차 내장재의 충돌 성능을 만족하고, ⅱ) 굴곡 탄성율(강성)이 2,100Mpa 이상으로 자동차 내장재의 하중에 의한 변형 및 강성을 만족하며, ⅲ) 내스크래치성(?L=1.2이하)이 0.5 이하로 매우 우수하며 외관 품질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1 및 비교예2(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의 함량이 2중량% 미만)는 굴곡 탄성율이 2,100Mpa 미만 및 충격 강도가 400J/m 미만으로 만족스럽지 않다.
비교예3(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의 함량이 4중량% 초과) 역시 굴곡 탄성율이 2,100Mpa 미만 및 충격 강도가 400J/m 미만으로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비교예4(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 대신에 아미노 실란계 커플링제를 포함)는 굴곡 탄성율 및 충격 강도가 만족스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임팩트 평가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비교예5(글라스울의 길이가 0.3mm 미만)는 굴곡 탄성율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충격 강도 역시 만족스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6(글라스울의 길이가 1.0mm 초과)은 충격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었고, 굴곡 탄성율 역시 만족스럽지 않으며, 사이드 임팩트 평가를 통과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7(고무 탄성체를 구성하는 SEBS와 EOR의 함량이 각각 5중량% 미만)은 신율과 충격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었고, 사이드 임팩트 평가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비교예8(고무 탄성체를 구성하는 SEBS와 EOR의 함량이 각각 10중량%를 초과)은 인장 강도와 굴곡 강도가 저하되었으며, 특히 굴곡 탄성율이 현저히 나빠졌다.
비교예9(고무 탄성체가 EOR만으로 구성) 및 비교예10(고무 탄성체가 SEBS만으로 구성) 역시 인장 강도와 굴곡 강도가 저하되었으며, 특히 굴곡 탄성율이 현저히 나빠졌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11(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은 전반적인 기계적 물성 즉, 인장 강도, 굴곡 강도 및 굴곡 탄성율이 모두 저하되었다.
비교예12~13(고결정성이 아닌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이 다량 첨가)은 굴곡 탄성율 및 충격 강도가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15(보강재가 5중량% 미만의 탈크와 9중량% 초과의 글라스울로 구성)는 굴곡 탄성율이 다소 저하되었고, 충격 강도가 현저히 나빠졌다.
비교예16(보강재가 9중량% 초과의 탈크와 5중량% 미만의 글라스울로 구성)은 굴곡 탄성율이 다소 저하되었고, 내스크래치성이 나빠졌다.
비교예17(보강재가 휘스커임)은 충격 강도와 내스크래치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4)

  1.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30~70중량%;
    고무 탄성체 10~20중량%;
    보강재 10~18중량%;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 2~4중량%; 및
    슬립제 1~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80g/10min(230℃, 2.16kg)인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결정성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에틸렌-프로필렌의 코폴리머이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의 중량 대비 상기 에틸렌의 중량이 2~10중량%인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엘라스토머 5~10중량%; 및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글라스울, 탈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직경이 3~8㎛이고 길이가 0.3~1.0mm인 침상형태의 글라스울 5~9중량%; 및 평균입도가 5㎛ 이하인 판상형태의 탈크 5~9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휘스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르캅토 실란계 커플링제는 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메르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메틸 디 메톡시 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제는 실록산계 슬립제이고, 호모폴리프로필렌에 실록산이 슬립제 중량 대비 50~70중량% 첨가되어 있는 마스터배치인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UV안정제, 윤활제, 이형제, 안료, 대전방지제, 가공조제, 상용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재인 성형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도어 트림 부품인 성형품.
KR1020170174461A 2017-12-18 2017-12-18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45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61A KR102451999B1 (ko) 2017-12-18 2017-12-18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US16/212,560 US10745547B2 (en) 2017-12-18 2018-12-06 Polypropylen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DE102018221200.7A DE102018221200B4 (de) 2017-12-18 2018-12-07 Polypropylenverbundharzzusammensetzung mit hervorragender Kratzbeständigkeit und mechanischen Eigenschaften und ein Formgegenstand umfassend dieselbe
CN201811510041.XA CN109971108B (zh) 2017-12-18 2018-12-11 具有优异耐刮擦性和机械特性的聚丙烯复合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61A KR102451999B1 (ko) 2017-12-18 2017-12-18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122A true KR20190073122A (ko) 2019-06-26
KR102451999B1 KR102451999B1 (ko) 2022-10-06

Family

ID=6667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461A KR102451999B1 (ko) 2017-12-18 2017-12-18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45547B2 (ko)
KR (1) KR102451999B1 (ko)
CN (1) CN109971108B (ko)
DE (1) DE10201822120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3844A (zh) * 2018-11-02 2019-04-02 武汉金牛经济发展有限公司 一种聚烯烃用低析出色母粒及其制备方法
CN110964261A (zh) * 2019-12-19 2020-04-07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刮擦、低气味、低光泽聚丙烯玻璃棉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549265A (zh) * 2021-06-25 2021-10-26 浙江晟祺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095A (ko) * 1999-08-25 2001-03-15 유현식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918290B1 (ko) * 2008-03-18 2009-09-1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유동성 및 내 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성형품
KR20140084749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외장재
KR20150030834A (ko) 2013-09-12 2015-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20170088615A (ko) * 2016-01-25 2017-08-02 정범구 글라스울을 보강제로 이용한 플라스틱부품 제조용 합성수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0547A (en) * 1992-10-30 1994-04-05 Phillips Petroleum Company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unds with improved properties
JP2002241540A (ja) * 2001-02-15 2002-08-28 Jsr Corp 油展1,2−ポリブタジエ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15506B2 (en) 2001-10-15 2004-11-09 Jsr Corporation Oil-resistant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oldings using the same
WO2005066265A1 (en) 2003-12-31 2005-07-2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Fille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scratch resistance
US20070155884A1 (en) 2004-11-12 2007-07-05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Fille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scratch resistance
JP2006199930A (ja) 2004-12-24 2006-08-03 Advanced Plastics Compounds Co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及びその成形体
KR100762298B1 (ko) 2006-12-29 2007-10-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나노복합체 수지 조성물
KR101357911B1 (ko) * 2011-12-19 2014-02-05 삼성토탈 주식회사 저 선팽창, 저 비중 특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E102013203651A1 (de) * 2013-03-04 2014-09-04 Evonik Degussa Gmbh Mercaptosilan-Polymer-Abmischung
KR101558703B1 (ko) * 2013-12-20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7531960B (zh) 2015-04-13 2020-10-23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热塑性组合物和制品
JP2016222808A (ja) * 2015-05-29 2016-12-28 豊田合成株式会社 樹脂材料組成物及び射出成形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095A (ko) * 1999-08-25 2001-03-15 유현식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918290B1 (ko) * 2008-03-18 2009-09-18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유동성 및 내 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성형품
KR20140084749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외장재
KR20150030834A (ko) 2013-09-12 2015-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20170088615A (ko) * 2016-01-25 2017-08-02 정범구 글라스울을 보강제로 이용한 플라스틱부품 제조용 합성수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71108B (zh) 2023-07-28
US20190185652A1 (en) 2019-06-20
DE102018221200A1 (de) 2019-06-19
DE102018221200B4 (de) 2022-05-19
US10745547B2 (en) 2020-08-18
KR102451999B1 (ko) 2022-10-06
CN109971108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151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7208536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anti-scratch characteristics
KR101874918B1 (ko) 저비중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US10233316B2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
US10160855B2 (en) Non-painting metallic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10148391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73122A (ko)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20070017872A (ko)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1526586B1 (ko)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14194B1 (ko) 고유동 고내충격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1543060A2 (en) Impact modified polyolefin compositions
KR101783084B1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6765052B2 (en) Olefin type thermoplastic elastomer
KR101876021B1 (ko)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52760B1 (ko) 저 비중, 내스크래치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80957B1 (ko)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9944782B2 (en)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having high impact strength and high adhesion
KR101871099B1 (ko) 저비중, 저선팽창을 갖는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KR10155101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127349B1 (ko) 플로우 마크가 개선된 무도장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2023047080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体
KR102036948B1 (ko) 내스크래치, 내오염 성능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