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338A -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338A
KR20190067338A KR1020170167178A KR20170167178A KR20190067338A KR 20190067338 A KR20190067338 A KR 20190067338A KR 1020170167178 A KR1020170167178 A KR 1020170167178A KR 20170167178 A KR20170167178 A KR 20170167178A KR 20190067338 A KR20190067338 A KR 2019006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eration
settling tank
sidewall
set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룡
조규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to KR102017016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338A/ko
Publication of KR2019006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6Mammoth pumps, e.g. air lift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 내부에 발생하는 채널현상을 제거하고 침전물의 반송을 원활하게 하여 오폐수 처리 성능을 높이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폭기조; 상기 제1폭기조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1폭기조에서 폭기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제2폭기조; 상기 제2폭기조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폭기조에서 폭기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앙격벽과, 상기 중앙격벽과 이격되어 설치되되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면으로 이루어진 침전조;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1폭기조 사이에 연결설치되되, 상기 침전조 하부의 침전물이 상기 제1폭기조로 이송되게 하는 에어리프트펌프;및 상기 침전조로부터 처리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소독조로 구성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측벽면에 에어가 공급되게 하는 침전조폭기장치가 설치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Device for air blower at settling tank of sewage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 내부에 발생하는 채널현상을 제거하고 침전물의 반송을 원활하게 하여 오폐수 처리 성능을 높이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과 같이 장기간 고립된 환경에서 발생하는 분뇨 및 생활하수는 최근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나 규제로 인하여 자체적인 처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오수 처리를 위하여 가장 일반적인 기술이 여러 단계의 정화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정화된 물을 만들고 이를 소독하여 배출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더욱이, 정화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유식 미생물 반응기인 MBBR(Moving bed bio reactor)가 각 과정이 수행되는 탱크(Tank)에 포함되어 있고, 외부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각 탱크의 하부측에 설치된 제1폭기장치와 제2폭기장치에 보냄으로써, 제1폭기장치와 제2폭기장치로부터 나오는 에어에 의해 오수를 대류시켜 상기 MBBR과의 접촉 및 내부의 미생물의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폭기(Aeration)방법이 사용된다.
기존의 장치들은 크게 제1폭기조와 제2폭기조 및 침전조로 이루어져, 각 단계별로 정화된 오수가 다음 단계로 이동하여 정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침전조는 제1폭기조와 제2폭기조에서 정화된 물이 넘어온 후, 내부에 형성된 중앙격벽에서 부유물은 침전되고, 부유물 없이 정화된 물이 중앙격벽의 옆에 형성된 측벽면에 모여 소독조로 물이 넘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침전조의 하부에 모이는 슬러지는 활성슬러지(Activated sludge)로써, 하수나 폐수의 처리에 관여하는 혼합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어, 오폐수처리장치의 정화작용에 있어, 큰 역할을 한다.
활성슬러지는 제1폭기조와 제2폭기조로부터 형성되고 정화과정에서 넘어온 것이므로, 다시 그 역할을 하기 위하여 제1폭기조로 다시 보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에어리프트펌프에 의해 활성슬러지를 제1폭기조로 보내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단순히 에어리프트 펌프에 의해서만 반송되게 된다.
이 때, 활성슬러지의 응집력에 의하여 침전조 하부에 슬러지가 침착되는 경우가 잦아, 상기 에어리프트펌프로의 활성슬러지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그에 따라 제1폭기조로 활성슬러지가 회수되는 양도 적어지게 되어, 제1폭기조에서의 미생물에 의한 정화작용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침착된 활성슬러지에 의하여 채널링(Channeling)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침전된 일부의 활성슬러지만 반송되고 그 이후는 침전조의 중앙격벽으로 리턴된 양만큼 증가된 유입수만 반송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침잠된 활성슬러지가 침잠된데서 이탈하게 되면, 상기 침전조의 중앙격벽 밖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침전조의 중앙격벽 외부는 소독조로 이동되어야 하는 침전 후 정화된 물만 있어야 하는 공간에 활성슬러지 부유물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KR 10-1226547 B1 KR 10-1210536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침전조의 측벽면에 침착되는 활성슬러지를 침전조 중앙격벽의 외부면에 설치된 침전조폭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 분산·반송시킴으로써,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에서 정화되어 소독조로 넘어가는 물의 수질을 개선하고, 더불어 제1폭기조에 활성슬러지의 원활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1폭기조에서의 정화기능도 향상시키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는 제1폭기조; 상기 제1폭기조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1폭기조에서 폭기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제2폭기조; 상기 제2폭기조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폭기조에서 폭기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앙격벽과, 상기 중앙격벽과 이격되어 설치되되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면으로 이루어진 침전조;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1폭기조 사이에 연결설치되되, 상기 침전조 하부의 침전물이 상기 제1폭기조로 이송되게 하는 에어리프트펌프;및 상기 침전조로부터 처리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소독조로 구성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측벽면에 에어가 공급되게 하는 침전조폭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전조폭기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중앙격벽 외부면에 설치되되 토출구가 하향배치되어 있는 침전조폭기관; 상기 침전조폭기관에 에어를 공급하는 침전조폭기배관;및 상기 침전조폭기배관에 공급되는 에어가 조절되는 침전조폭기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침전조폭기밸브는 상기 에어리프트펌프의 작동 후 기설정된 시간 후 작동하며, 상기 침전조폭기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중앙격벽 외부면에 복수개 설치되되, 토출구가 상기 침전조의 측벽면으로부터 약 1 내지 2cm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1폭기조와 제2폭기조를 거쳐 침전조로 넘어온 활성슬러지를 원활하게 제1폭기조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활성슬러지에 의한 정화작용이 극대화될 수 있다.
침전조의 측벽면에 침착되는 활성슬러지가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중앙격벽으로 공급되는 오수가 침전물의 침전 후에 중앙격벽의 외부, 즉 측벽면측으로 상승되는 정화된 물의 이동경로가 좁아지게 되어 정화성능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침착되는 활성슬러지의 제거를 통하여 해소될 수 있다.
활성슬러지가 침착되었다가 이탈하는 경우에, 그 이탈위치에서 상부로 상승할 수밖에 없는데, 활성슬러지의 침착위치가 측벽면이므로, 이탈된 활성슬러지가 측벽면의 정화된 물의 위치에 부유물로서 존재하게 되는 문제를, 침착된 활성슬러지를 침전조폭기장치에서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분산시켜 침전조 하부에 연결된 에어리프트펌프로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여 침전조에 활성슬러지가 침착되지 않게 하여 해결함으로써, 수질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침전조에 침착되는 활성슬러지의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이에 소요되는 인력의 소요 및 작업시 가동의 중단 등에 따른 손실이 사라지게 된다.
침전조폭기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하향 에어에 의해 침전조 내부에 폭기가 되어, 침전조 내부에서도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침전조폭기장치에 의해 침착되는 활성슬러지가 거의 없어지게 되므로, 활성슬러지가 고결화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동이 원활하게 되어 에어리프트펌프 내부나 침전조 하부의 폐색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의 부분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 이용되는 MBBR의 실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의 부분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 이용되는 MBBR의 실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폭기조(100), 제2폭기조(200), 침전조(300), 에어리프트펌프(400) 및 침전조폭기장치(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폭기조(100)를 살펴본다.
제1폭기조(100)는 오수가 최초 투입되는 곳으로써, 내부에 MBBR이 포함되어 있어 미생물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진다.
제1폭기조(100) 내부의 오수는 수위가 후술할 제2폭기조(200)와 침전조(300)에 비하여 가장 높이 형성되어, 폭기에 의하여 정화된 오수가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제2폭기조(200)로 오수가 이동하게 된다.
제1폭기조(100)로 오수가 유입되는 입구에는 유입구스크린(110)이 설치되어 있어, 이물질 중 부피가 큰 것은 1차적으로 걸러지고 작은 이물질이 포함된 오수만이 제1폭기조(100)로 유입이 된다.
제1폭기조(100)의 하부에는 제1폭기장치(130)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의 송풍기(10)로부터 충분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제1폭기조(100) 내부의 오수의 활성슬러지에 의한 유기질의 분해가 왕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폭기장치(130)는 후술할 제2폭기장치(210), 침전조폭기장치(500) 및 에어리프트펌프(400) 등과 같이 송풍기(1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데, 자세한 결합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폭기조(100)에서 제2폭기조(200)에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1배리어(150)가 설치되어 있다. 제1배리어(150)의 일측은 제1폭기조(100)의 오수 최대높이보다 낮은 측에 잠겨있고, 타측은 제1폭기조(100)에서 제2폭기조(200)로 연결되는 유출구에 연결되어 있다. 제1배리어(150)의 잠겨있는 일측의 끝단에는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어, 제1폭기조(100) 내부의 MBBR이 제2폭기조(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폭기조(100)의 상부에는 에어리프트펌프(400)로부터 침전조(300) 하부에 침전된 활성슬러지가 회수되는 회수구가 설치될 수 있다. 활성슬러지가 오수의 이동과 함께 제2폭기조(200)와 침전조(300)로 이동으로 인하여, 제1폭기조(100) 내부의 활성슬러지가 감소하는 현상을 에어리프트펌프(400)를 이용하여 회수함으로써 제1폭기조(100) 내부의 활성슬러지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회수구에는 에어리프트펌프스크린(170)이 설치되어, 제1폭기조(100)의 MBBR이 역류하여 에어리프트펌프(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폭기조(200)를 살펴본다.
제2폭기조(200)는 제1폭기조(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1폭기조(100)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오수가 넘어와 2차적으로 오수를 정화할 수 있다. 제1폭기조(100)와 같이 내부에 MBBR이 존재하게 되고, 하부에 위치한 제2폭기장치(210)에 의하여 폭기되어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폭기장치(210)는 상술한 제1폭기장치(13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폭기조(100)에서 제2폭기조(200)로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에는 제1배리어스크린(2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2폭기조(200)에 존재하는 MBBR이 제1폭기조(1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폭기조(200)에서 침전조(300)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2배리어(250)가 설치되어 있다. 제2배리어(250)의 일측은 제2폭기조(200)의 오수 최대높이보다 낮은 측에 잠겨있고, 타측은 제2폭기조(200)에서 침전조(300)로 연결되는 유출구를 관통하여 후술할 침전조(300)의 중앙격벽(330) 위에 오수가 공급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침전조(300)를 살펴본다.
침전조(300)는 제2폭기조(200)로부터 2차 정화된 오수가 공급되고, 내부의 활성슬러지와 같은 침전물이 침전될 수 있도록 오수의 흐름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침전조(300)는 측벽면(310)과 중앙격벽(330)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측벽면(310)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깔대기형으로 구성되되, 사각뿔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작의 용이성이나 공간의 활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측벽면(310)의 하부에는 에어리프트펌프(400)와 연결되는 회수구가 있어, 침전조(300) 하부에 침전된 활성슬러지를 제1폭기조(100)로 회수시킬 수 있다. 측벽면(310)의 상부에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침전조(300)에서 침전물의 침전 후 정화된 오수가 유출구를 통하여 소독조(600)로 이동할 수 있다.
중앙격벽(330)은 직사각형의 관형 구조물로써,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상부에는 상술한 제2배리어(250)의 일측이 위치하고 있어 제2폭기조(200)로부터 오수가 공급될 수 있다. 중앙격벽(330)은 측벽면(310)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격벽(330)의 하부 끝단은 침전조(300)의 측벽면(310)의 내부면에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앙격벽(330)의 상부에서 공급된 오수는 하향하며 방사형으로 확산되고, 내부의 침전물이 침전되어 정화된 오수는 측벽면(310)을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중앙격벽(330)에 공급되는 오수와 침전 후의 오수는 중앙격벽(330)에 의하여 격리되는 방법으로 오수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중앙격벽(330)의 외부면에는 침전조폭기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에어리프트펌프(400)를 살펴본다.
에어리프트펌프(400)는 일측은 상기 침전조(300)에 설치되고, 타측은 제1폭기조(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리프트펌프(400)는 송풍기(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압에 의하여 침전조(300) 하부의 활성슬러지를 제1폭기조(100)로 회수하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침전조(300)의 하부 침전물은 상술한 중앙격벽(330)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오수와 함께 에어리프트펌프(400)로 들어가게 된다. 에어리프트펌프(400)에 연결된 송풍기(10)로부터 에어리프트펌프배관(410)을 통하여 에어를 공급받아 에어리프트펌프(400) 내부에 공급된 침전물인 활성슬러지를 공압을 이용하여 제1폭기조(100)로 회수시킬 수 있다.
에어리프트펌프(40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리프트펌프밸브(430)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리프트펌프밸브(430)와 후술할 침전조폭기밸브(550)는 상호간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침전조폭기장치(500)를 살펴본다.
침전조폭기장치(500)는 침전조(300) 내부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침전조(300)의 측벽면(310)에 침착되는 침전물을 공압으로 분산하여 제1폭기조(100)로 반송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침전조폭기장치(500)는 침전조폭기관(510), 침전조폭기배관(530) 및 침전조폭기밸브(550)로 구성될 수 있다.
침전조폭기관(510)은 상기 침전조(300)의 중앙격벽(330) 외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써, 송풍기(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나오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침전조폭기관(510)의 끝단은 침전조(300)의 측벽면(310)의 내부면에 가깝게 되도록 설치되되, 침전조(300)의 중앙격벽(330) 외부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침전조(300)의 측벽면(310)으로부터 1 내지 2cm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침전조(300)의 측벽면(3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크면 침전조폭기관(51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압이 분산되어, 효과적으로 침착된 활성슬러지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침전조폭기관(510)은 침전조폭기배관(530)에 의해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침전조폭기배관(530)은 송풍기(10)와 침전조폭기관(510)을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써, 복수개로 형성된 침전조폭기관(510)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침전조폭기배관(530)은 송풍기(10)로부터 후술할 침전조폭기밸브(550)까지는 하나의 경로로 이루어지되, 침전조폭기밸브(550)에서부터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침전조폭기밸브(550)는 침전조폭기배관(530)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밸브로 형성되어 간헐적으로 개폐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침전조폭기밸브(550)는 상술한 에어리프트펌프밸브(430)가 개방되고 1 내지 2분 후에 개방될 수 있다.
에어리프트펌프밸브(430)의 개방으로 인하여 에어리프트펌프(400) 내의 활성슬러지가 제1폭기조(100)로 이동하면 발생하는 에어리프트펌프(400) 내의 공백에, 활성슬러지가 더욱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침전조(300)에서 정화된 오수는 소독조(600)로 이동된다. 소독조(600)는 정화된 오수에 존재하는 대장균과 같은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약품처리가 행해지는 곳으로써, 정화된 오수의 배출 전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소독조(600) 내부에는 약품처리를 위하여 공급된 약품이 잘 혼합되도록 소독조폭기관이 설치되는 소독조폭기장치(6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에어의 공급되는 공압을 이용하여 약품을 소독조(600) 내의 정화된 오수에 효과적으로 혼합이 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폭기장치(130), 제2폭기장치(210), 에어리프트펌프(400) 및 침전조폭기장치(500)의 결합관계를 살펴본다.
송풍기(10)에서 공급되는 에어는 이에 연결된 메인배관에 의하여 제1폭기장치(130), 제2폭기장치(210), 에어리프트펌프(400) 및 침전조폭기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송풍기(10)로부터 제공되는 에어가 분기되는 배관에 의하여 각 장치로 공급이 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제1폭기장치(130)와 제2폭기장치(210)에 연결되는 배관에는 수동식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폭기장치(130)와 제2폭기장치(210)는 에어의 공급에 의하여 제1폭기조(100)와 제2폭기조(200)의 계속적인 폭기에 의한 정화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수동식 밸브에 의하여 에어의 공급을 조절하면 된다.
에어리프트펌프(400)와 침전조폭기장치(500)에 연결되는 배관에는 전자식 밸브인 에어리프트펌프밸브(430)와 침전조폭기밸브(550)가 설치되어 자동으로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리프트펌프(400)와 침전조폭기장치(500)에는 에어의 공급이 계속적일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리프트펌프밸브(430)와 침전조폭기밸브(550)의 개폐에 시간차를 두는 상호작용에 의하여, 에어리프트펌프(400)에 에어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나서 1 내지 2분 후에 침전조폭기장치(500)에 공급되는 에어는 공급될 수 있다.
즉, 에어리프트펌프밸브(430)가 개방되어 에어리프트펌프(400)에 에어가 공급되는 중에, 1 내지 2분 후에 침전조폭기밸브(550)가 개방되어 침전조폭기장치(500)에 에어가 공급된 후 수초 후에 침전조폭기밸브(550)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0)의 메인배관은 상술한 소독조(600)의 소독조폭기장치(610)에도 연결되어, 소독조폭기관에 에어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송풍기
100: 제1폭기조
110: 유입구스크린
130: 제1폭기장치
150: 제1배리어
170: 에어리프트펌프스크린
200: 제2폭기조
210: 제2폭기장치
230: 제1배리어스크린
250: 제2배리어
300: 침전조
310: 측벽면
330: 중앙격벽
400: 에어리프트펌프
410: 에어리프트펌프배관
430: 에어리프트펌프밸브
500: 침전조폭기장치
510: 침전조폭기관
530: 침전조폭기배관
550: 침전조폭기밸브
600: 소독조
610: 소독조폭기장치

Claims (4)

  1. 제1폭기조;
    상기 제1폭기조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1폭기조에서 폭기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제2폭기조;
    상기 제2폭기조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폭기조에서 폭기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앙격벽과, 상기 중앙격벽과 이격되어 설치되되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면으로 이루어진 침전조;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1폭기조 사이에 연결설치되되, 상기 침전조 하부의 침전물이 상기 제1폭기조로 이송되게 하는 에어리프트펌프;및
    상기 침전조로부터 처리된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소독조로 구성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측벽면에 에어가 공급되게 하는 침전조폭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폭기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중앙격벽 외부면에 설치되되 토출구가 하향배치되어 있는 침전조폭기관;
    상기 침전조폭기관에 에어를 공급하는 침전조폭기배관;및
    상기 침전조폭기배관에 공급되는 에어가 조절되는 침전조폭기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폭기밸브는 상기 에어리프트펌프의 작동 후 기설정된 시간 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폭기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중앙격벽 외부면에 복수개 설치되되, 토출구가 상기 침전조의 측벽면으로부터 1 내지 2cm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KR1020170167178A 2017-12-07 2017-12-07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KR20190067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78A KR20190067338A (ko) 2017-12-07 2017-12-07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78A KR20190067338A (ko) 2017-12-07 2017-12-07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38A true KR20190067338A (ko) 2019-06-17

Family

ID=6706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178A KR20190067338A (ko) 2017-12-07 2017-12-07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73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36B1 (ko) 2010-06-21 2012-12-10 (주)종합엔텍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226547B1 (ko) 2012-11-02 2013-01-25 (주)호승기업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36B1 (ko) 2010-06-21 2012-12-10 (주)종합엔텍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226547B1 (ko) 2012-11-02 2013-01-25 (주)호승기업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8097A (en) Contaminated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1638970B1 (ko)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BG109181A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дълбоко биологично пречистване на отпадни води
CN101730664B (zh) 从污水中析出磷的设备和方法
US3850808A (en)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192174B1 (ko) 하폐수고도처리장치
JPH07275877A (ja) 小規模合併浄化槽
US6773596B2 (en) Activated sludge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effluent with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CN108483794B (zh) 一种污水处理***
CN103112944A (zh) 内循环硝化滤池
SE1951184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JP2000084578A (ja) 接触曝気槽
KR20190067338A (ko)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KR20190084602A (ko) 선박용 엠비비알 오폐수 처리장치
JP4365734B2 (ja) 膜分離汚水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40093378A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JP2005137991A (ja) 排水処理装置
RU178554U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ков
KR100816714B1 (ko) 고도정수처리장치
JPH0710384B2 (ja) 汚水類処理装置
JPS60193596A (ja) 汚水処理装置
KR101180338B1 (ko) 하수처리장치
KR100481821B1 (ko) 기체용해 및 물질분리에 의한 수처리 장치
KR102545064B1 (ko) 다단계 하수처리 시스템
KR102614473B1 (ko) Mbr이 구비된 혼합형 하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