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948A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948A
KR20190057948A KR1020170155459A KR20170155459A KR20190057948A KR 20190057948 A KR20190057948 A KR 20190057948A KR 1020170155459 A KR1020170155459 A KR 1020170155459A KR 20170155459 A KR20170155459 A KR 20170155459A KR 20190057948 A KR20190057948 A KR 2019005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il
housing
vibration mot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662B1 (ko
Inventor
윤금영
강승렬
양현석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155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접하게 위치하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코일,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코일과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무음의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진동 모터는 이동부의 행정거리가 짧고,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기존의 편심 회전형 진동 발생장치에 비해, 시작과 정지 시에 빠른 진동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진동 모터는 고정자와 진동자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품이다.
진동 모터는 진동자의 운동 방향에 따라 회전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 모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빠른 반응속도, 잔진동의 적음 및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진동 모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5562(공고일 2011년 08월 08일)에 개시되어 있다.
선형 진동모터의 진동력은 진동자의 무게와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최근 진동 모터가 탑재되는 휴대 단말기 등의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진동 모터도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진동자도 소형화됨에 따라 충분한 진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 모터의 진동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접하게 위치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코일,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코일과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마그네트와 접하게 위치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코일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자신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요크는 상기 중량체의 장착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에 위치한 요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 위치한 요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설치 높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설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설치 높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설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 사이를 연결할 수 있거나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코일이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서 위치하고, 코일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마그네트와 중량체가 위치하므로, 마그네트와 중량체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최대한으로 증가되어, 중량체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증가되는 중량체의 무게로 인해 진동 모터의 진동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코일이나 마그네트에 요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화 회로가 좀 더 효율적으로 형성되며, 코일 쪽으로 자화 회로가 좀 더 집중되도록 한다.
더욱이, 마그네트에 접해있는 중량체의 일부에 요크가 위치할 때, 요크 장착을 위해 중량체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장착홈이 위치하므로, 요크의 장착이 좀 더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탄성체의 한 예에 대한 사사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진동 모터(10)는 하우징(100), 고정자(200), 진동자(300), 그리고 탄성체(40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진동 모터(10)를 구비하여 진동 모터(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진동 모터(1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가 위치한다.
하우징(100)은 원통형 기둥이나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형태에 따라 내부 공간의 형태가 정해진다.
하우징(100)은 브라켓(bracket)(110) 및 이 브라켓(110)과 연결되어 있는 케이스(120)를 구비한다.
브라켓(110)은 하우징(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형이나 다격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120)는 브라켓(110) 위에 위치하고 진동 모터(10)의 덮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케이스(120)는 하우징(100)의 측부과 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인 내부 공간이 하부를 통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110)과 케이스(120)에 의해 둘러 싸여진 내부 공간에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가 위치한다.
이러한 브라켓(110)과 케이스(120)는 자성체나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고정자(200)와 진동자(300)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자(300)는 고정자(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선형 왕복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고정자(200)와 진동자(300)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정자(200)는 진동자(300)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일컬으며 진동자(300)는 고정자(200)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예에서, 고정자(200)는 회로기판(210), 하우징(100)의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코일(220)을 구비한다.
또한 진동자(300)는 마그네트(310)와 마그네트(310)와 연결되어 있는 중랑체(320)를 구비한다.
하지만, 본 예와 달리, 진동 모터의 설계에 따라서, 고정자(200)는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진동자(300)는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자(200)의 회로기판(210)은 진동 모터(10)의 동작의 제어하는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220)은 하우징(100)의 측면, 즉, 케이스(110)의 내부 측면을 따라서 해당 방향으로 복수 번 권선되어 있는 코일로서, 코어(core)가 존재하지 않는 코어리스 코일(coreless coil)이다.
이때, 케이스(120)의 내부 측면과 인접한 코일(220)의 외측면 부분은 케이스(120)의 내부 측면과 접합되어 있어, 코일(230)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230)의 가운데 부분에는 원기둥이나 사각 기둥과 같은 형태의 빈 공간이 형성되고, 코일(230)의 빈 공간 내에 고정자(300)의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220)의 양단은 회로 기판(210)의 해당 단자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당 단자를 통해 회로 기판(210)으로부터 코일(220) 에 전기적인 신호, 예 교류 전류가 인가되어 마그네트(31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즉, 진동힘)이 발생한다.
이때, 코일(220)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방향은 마그네트(310)의 착자 형태 및 코일(220)과 마그네트(310)의 배치 관계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진동자(300)는 이미 기재한 것처럼, 마그네트(310)와 중량체(weight)(32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는 코일(220)의 권선에 의해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한다.
이때, 마그네트(310)는 중량체(320)의 내부 측면과 접하게 장착되므로,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마그네트(310)는 코일(22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코일(220)의 내측면과 인접하게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마그네트(310)의 형상은 코일(220)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가운데 부분에 원형이나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구멍인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이나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마그네트(31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대응하고 있는 코일(22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전력을 생성한다.중량체(320)는 정해진 크기의 중량을 가지는 물체로서, 중량체(320)의 질량에 의해 진동자(300)의 공진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중량체(320)의 질량을 조정해 진동자(300)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320)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또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예로, 중량체(320)는 텅스텐과 같이 철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의 중량체(3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그네트(31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중공부 내에 마그네트(310)와 결합되게 위치하므로, 중량체(320)의 형상은 마그네트(310)의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이처럼, 중량체(320)는 마그네트(31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자기력에 의한 마그네트(310)의 진동 시 중량체(320) 역시 진동한다.
이러한 본 예와 같이 케이스(102)의 내측면을 따라 코일(220)이 위치하고 있고, 코일(220)의 내부 공간에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가 위치함에 따라서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최대한으로 증가된다.
이로 인해, 중량체(320)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증가되는 중량체(320)의 무게로 인해 진동 모터(10)의 진동 효율이 향상된다.
탄성체(400)는 진동자(300)를 하우징(10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40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내측판부(예, 일측 단부)(410), 내측판부(410) 외곽에 형성되는 외측판부(예, 타측 단부)(420), 그리고 내측판부(410)와 외측판부(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구비한다.
이때, 연결부(430)의 개수는 복수 개이고, 연결부(430)는 내측판부(410)와 외측판부(420)를 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탄성체(400)는 마그네트(310)와 하우징(100)의 하부, 예를 들어 브라켓(110)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탄성체(400)의 외측판부(420)는 마그네트(310)의 하부면과 결합되고, 내측판부(410)는 브라켓(110)의 상부면과 결합된다. 이때, 탄성체(400)와 해당 부분(110, 320)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지만, 이에 달리 다른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400)로 인해, 진동자(30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 도 3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진동 모터에서, 도 1과 비교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진동 모터(10a)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진동 모터(10a)는 도 1과 비교할 때, 코일(220)의 고정 높이와 탄성체(400)의 배치 위치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에서, 코일(220)과 코일(220)에 인접한 마그네트(310)의 설치 높이는 실질적으로 유사하여, 코일(220)의 최고 높이와 마그네트(310)의 최고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코일(220)과 마그네트(310)의 최저 높이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도 3에 도시한 진동 모터(10a)에서, 코일(220)의 높이는 마그네트(310)의 높이와 상이하여, 코일(220)의 높이는 마그네트(310)의 높이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코일(220)의 최고 높이는 인접한 마그네트(310)의 최고 높이보다 낮고, 코일(220)의 최저 높이 역시 인접한 마그네트(310)의 최저 높이보다 낮다.
도 3에서, 탄성체(40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탄성체(300)는 도 2와 비교하여 상하 반전된 형태로 하우징(100)의 상부에 접착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100)의 상부인 케이스(120)의 상부 내측면에 탄성체(400)의 내측판부(410)이 접해 있고, 마그네트(310)의 상부면에 외측판부(420)가 접해 있다.
이러한 탄성체(400)의 배치 관계는 도 1의 진동 모터(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진동 모터(10b-10g)는 도 1과 비교하면, 코일(220)과 마그네트(310) 중 하나에 부착되어 있는 요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때, 요크(yoke)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1의 진동 모터(10)와 달리,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진동 모터(10b-10g)는 고정자나 진동자에 추가로 요크를 더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진동 모터(10b)는, 도 1과 비교할 때, 코일(2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1 요크(231, 2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진동 모터(10c)는 도 4와 비교할 때, 코일(22)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예, 하부면)에 위치하여 자신이 위치한 해당 면(예, 하부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하나의 요크(2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요크(231, 232)는 인접한 마그네트(310)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자기 회로가 코일(220) 쪽으로 집중하도록 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요크(231, 232)에 의해, 코일(220)과 마그네트(310)의 사이의 전자기력의 발생력이 증가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진동 모터(10d-10g)는 마그네트(31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 면을 따라서 요크(331, 332)가 배치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의 진동 모터10d)에서는 마그네트(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제1 및 제2 요크(331, 332)가 위치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도 7의 진동 모터(10e)에서는 마그네트(31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 예를 들어 하부면에 하나의 요크(332)가 위치하여 해당 면(예, 하부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요크(331, 332)를 장착하기 위해, 요크(331, 332)가 장착되는 마그네트(310)는 해당 면에 장착되는 요크(331, 332)의 두께만큼 감소한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마그네트(310)의 두께 감소로 인해, 마그네트(31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요크(331, 332)도 마그네트(310)와 함께 인접한 코일(220)과 대면하게 위치하여 자기 회로의 형상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진동 모터(10f, 10g)도 도 6 및 도 7과 같이 마그네트(31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 요크(331, 332)가 위치한다. 또한 해당 요크(331, 332)가 위치함에 따라 마그네트(310)의 두께 역시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요크(331, 332)의 두께만큼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하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진동 모터(10f, 10g)는 추가적으로 마그네트(310)의 해당 면에 장착되는 요크(331, 332)의 일부가 인접한 중량체(320)에도 위치한다.
이를 위해, 중량체(32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마그네트(310) 쪽으로부터 연장되는 해당 요크(331, 332)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홈에 해당 요크(331, 332)의 일부가 위치한다.
이때, 장착홈은 중량체(34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외측 모서리 부분(즉, 마그네트(31)과 접해 있는 부분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처럼, 마그네트(310)의 해당 면에 해당 요크(331, 332)가 위치함에 따라 코일(220) 쪽으로의 자성 회로의 형성이 집중되어 전자기력의 발생 효율성이 좋다.
더욱이, 중량체(400)에 형성된 장착홈에 해당 요크(331, 332)가 장착되므로, 요크 장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31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요크(331, 332)가 위치할 때, 하우징과 진동자(300)를 연결하는 탄성체(400)는 마그네트(31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대신 마그네트(310)의 하부면이나 상부면에 위치한 요크(331, 332)의 면과 하우징(100)의 상부[예, 케이스(120)의 상부 내측면]이나 하우징(100)의 하부[예, 브라켓(110)의 상부면]에 각각 연결 및 결합된다.
다음,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10h)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서는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진동 모터(10h)는 코일(220)의 장착 위치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예의 경우, 코일(220)는 케이스(120)의 내부 측면에 위치하는 대신 하우징(100)의 하부에 브라켓(110) 위에 장착된다.
이로 인해, 본 예의 진동 모터(10h)는 브라켓(110)과 케이스(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00), 회로기판(210)과 브라켓(110) 위에 위치하고 있는 코일(220)을 구비하고 있는 고정자(200),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를 구비하고 있는 진동자(300), 그리고 탄성체(400)를 구비한다.
본 예의 코일(220)은 회로 기판(210)이 위치하고 있지 않는 브라켓(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케이스(120)의 내부 측면을 따라서 정해진 방향으로 권선된다. 이로 인해, 도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코일(220)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 내에 진동자(30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코일(220)은 케이스(120)의 내부 측면과는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일(220)이 하우징(100)의 측면인 케이스(120)의 측면과 이격되게 하우징(100)의 하부인 브라켓(110)에 위치함에 따라 케이스(120)의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브라켓(110)에 무거운 무게를 갖는 코일(220)이 위치한다. 이로 인해, 브라켓(110)과 이격되게 케이스(120)의 내부 측면에 위치할 때보다 코일(220)의 위치가 좀 더 안정적이고, 진동 모터(10h)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공중에 떠 있는 코일(220)의 부착 상태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위험이 크게 감소한다.
이러한 진동 모터(10h)의 경우에도,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의 진동 모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0a-10h: 진동 모터 100: 하우징
110: 브라켓 120: 케이스
200: 고정자 210: 회로 기판
220: 코일 231, 232, 331, 332: 요크
300: 진동자 310: 마그네트
320: 중량체 400: 탄성체

Claims (13)

  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접하게 위치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코일;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코일과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는 진동 모터.
  2. 제1항에서,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마그네트와 접하게 위치하는 중량체
    를 더 포함하는 진공 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코일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요크를 더 포함하는 진공 모터.
  4. 제2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요크를 더 포함하는 진공 모터.
  5. 제4항에서,
    상기 중량체는 자신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중량체의 장착홈에 위치하는 진동 모터.
  6. 제4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에 위치한 요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7. 제4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 위치한 요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8. 제1항에서,
    상기 코일의 설치 높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설치 높이와 상이한 진동 모터.
  9. 제1항에서,
    상기 코일의 설치 높이는 상기 마그네트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진동 모터.
  10. 제1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11. 제10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는 진동 모터.
  12. 제10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는 진동 모터.
  13. 제1항에서,
    상기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이격되어 있는 진동 모터.
KR1020170155459A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KR10206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59A KR102066662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59A KR102066662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48A true KR20190057948A (ko) 2019-05-29
KR102066662B1 KR102066662B1 (ko) 2020-01-15

Family

ID=6667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459A KR102066662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367A (ko) * 2008-08-23 2010-03-05 유성정밀 주식회사 리니어 진동모터
KR20120059882A (ko) * 2010-12-01 2012-06-11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30070100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20140061586A (ko) * 2012-11-12 2014-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KR20150042897A (ko) * 2013-10-12 2015-04-22 박준 선형 진동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367A (ko) * 2008-08-23 2010-03-05 유성정밀 주식회사 리니어 진동모터
KR20120059882A (ko) * 2010-12-01 2012-06-11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30070100A (ko) * 2011-12-19 2013-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20140061586A (ko) * 2012-11-12 2014-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KR20150042897A (ko) * 2013-10-12 2015-04-22 박준 선형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662B1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914B1 (ko) 선형 진동모터
US8299658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US8288899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0985905B1 (ko) 선형 진동기
KR100967033B1 (ko) 수평 진동자
US10978941B2 (en) Vibration motor
KR20140061586A (ko) 선형진동모터
KR101079409B1 (ko) 수평 진동자
KR101148530B1 (ko) 선형 진동자
US11043888B2 (en) Vibration motor
CN10665569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WO2005115094A2 (en) Vibr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120146433A1 (en) Linear vibrator
KR101095565B1 (ko) 수평 선형 진동기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WO2018157515A1 (zh) 用于线性振动马达的壳体以及线性振动马达
KR101022899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914530B1 (ko) 진동 발생 장치
KR102054831B1 (ko) 진동 모터
KR20190057948A (ko) 진동 모터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KR20110037335A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2054835B1 (ko) 진동 모터
KR102280172B1 (ko) 진동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