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777B1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777B1
KR102037777B1 KR1020170155457A KR20170155457A KR102037777B1 KR 102037777 B1 KR102037777 B1 KR 102037777B1 KR 1020170155457 A KR1020170155457 A KR 1020170155457A KR 20170155457 A KR20170155457 A KR 20170155457A KR 102037777 B1 KR102037777 B1 KR 10203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housing
elastic body
vibration motor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46A (ko
Inventor
윤금영
강승렬
양현석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15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 요크,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제2 요크, 상기 제1 요크에 감겨 있는 제1 코일, 상기 제2 요크에 감겨 있는 제2 코일,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무음의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진동 모터는 이동부의 행정거리가 짧고,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기존의 편심 회전형 진동 발생장치에 비해, 시작과 정지 시에 빠른 진동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진동 모터는 고정자와 진동자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품이다.
진동 모터는 진동자의 운동 방향에 따라 회전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 모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빠른 반응속도, 잔진동의 적음 및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진동 모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5562(공고일 2011년 08월 08일)에 개시되어 있다.
선형 진동모터의 진동력은 진동자의 무게와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최근 진동 모터가 탑재되는 휴대 단말기 등의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진동 모터도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진동자도 소형화됨에 따라 충분한 진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 모터의 진동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 요크,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제2 요크, 상기 제1 요크에 감겨 있는 제1 코일, 상기 제2 요크에 감겨 있는 제2 코일,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하우징의 상부 쪽으로 연장되게 위치하는 기둥 부분과 상기 기둥 부분 위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쪽과 대면하도록 평판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부분을 갖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하부 쪽으로 연장되게 위치하는 기둥 부분과 상기 기둥 부분 위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 쪽과 대면하도록 평판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1 요크의 기둥 부분에 감겨 있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요크의 기둥 부분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1 요크의 상부 부분의 외경은 상기 제1 코일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요크의 하부 부분의 외경은 상기 제2 코일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보조 요크와 제2 보조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요크의 하부면의 높이는 상기 제1 요크의 상부 부분의 하부면의 위치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요크의 상부면의 높이는 상기 제2 요크의 하부 부분의 하부면의 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제2 보조 요크의 상부를 접합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접합되고 상기 탄성체의 타측 단부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와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접합되고 상기 탄성체의 타측 단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와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접합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접합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하우징의 하부와 상부에 서로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고 위치하는 제1 및 제1 요크로 의해, 진동 모터의 자기 회로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코일과 마그네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력의 생성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 및 제2 요크 각각에 제1 및 제2 코일이 형성됨에 따라 대응하는 마그네트와의 전자기력 형성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탄성체의 한 예에 대한 사사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진동 모터(10)는 하우징(100), 고정자(200), 진동자(300), 그리고 탄성체(40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진동 모터(10)를 구비하여 진동 모터(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진동 모터(1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가 위치한다.
하우징(100)은 원통형 기둥이나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형태에 따라 내부 공간의 형태가 정해진다.
하우징(100)은 브라켓(bracket)(110) 및 이 브라켓(110)과 연결되어 있는 케이스(120)를 구비한다.
브라켓(110)은 하우징(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형이나 다격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120)는 브라켓(110) 위에 위치하고 진동 모터(10)의 덮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케이스(120)는 하우징(100)의 측부과 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인 내부 공간이 하부를 통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110)과 케이스(120)에 의해 둘러 싸여진 내부 공간에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가 위치한다.
이러한 브라켓(110)과 케이스(120)는 자성체나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고정자(200)와 진동자(300)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자(300)는 고정자(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선형 왕복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고정자(200)와 진동자(300)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정자(200)는 진동자(300)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일컬으며 진동자(300)는 고정자(200)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예에서, 고정자(200)는 회로기판(210), 회로기판(210)과 케이스(120)에 위치하는 한 쌍의 요크(221, 222) 및 각 요크(221, 222)에 위치하는 한 쌍의 코일(231, 232)을 구비한다.
또한 진동자(300)는 마그네트(310), 마그네트(310)와 연결되어 있는 중량체(320), 그리고 마그네트(31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보조 요크(331, 332)를 구비한다.
하지만, 본 예와 달리, 진동 모터의 설계에 따라서, 고정자(200)는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진동자(300)는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자(200)의 회로기판(210)은 진동 모터(10)의 동작의 제어하는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요크(221, 222)인 제1 요크(221)와 제2 요크(222)는 인접하게 대응하는 마그네트(310)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한 쌍의 요크(221, 22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와 하부에, 예를 들어, 회로기판(210)과 케이스(120)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마주보고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요크(221)와 제2 요크(222)는 상하 반전된 형태로 위치하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반대편에 위치한다.
각 요크(221, 222)는 세로 방향을 연장되어 있는 기둥 부분(2211, 2221)과 기둥 부분(2211, 2221)의 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부분(2212) 및 하부 부분(2222)을 구비한다. 이때, 상부 부분(2212)과 하부 부분(2222)은 원형의 평면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요크(221)의 기둥 부분(2211)은 하우징(100)의 하부, 예를 들어, 회로 기판(210)의 상부 내부면에서 하우징(100)의 상부 쪽, 예를 들어, 케이스(120)의 쪽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상부 부분(2212)은 기둥 부분(2211) 위에서 케이스(120)의 상부 쪽과 대면하도록 위치한다.
삭제
또한, 제2 요크(222)의 기둥 부분(2221)은 하우징(100)의 상부, 예를 들어, 케이스(120)의 상부 내부면에서 하우징의 하부, 예를 들어, 회로 기판(210) 쪽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하부 부분(2222)은 회로 기판(210)의 상부 쪽과 대면하도록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요크(221, 222)의 상부 및 하부 부분(2212, 2222)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반대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한 쌍의 코일(231, 232)인 제1 및 제2 코일(231, 232)은 하우징(100)의 하부인 회로 기판(210) 위쪽에 위치하며, 각각 해당 방향으로 복 수번 권선된 코일로서, 제1 및 제2 코일(231, 232) 각각의 양단은 회로 기판(210)의 해당 단자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해당 단자를 통해 회로 기판(210)으로부터 각 제1 및 제2 코일(231, 232)에 전기적인 신호, 예 교류 전류가 인가되어 마그네트(31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즉, 진동힘)이 발생한다.
각 코일(231, 232)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방향은 마그네트(310)의 착자 형태 및 코일(231, 232)과 마그네트(310)의 배치 관계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각 요크(221, 222)의 해당 기둥 부분(2211, 2221)의 중심에서부터 외측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 요크(221, 222)의 상부 및 하부 부분(2212, 2222)의 거리, 즉 상부 및 하부 부분(2212, 2222)의 반지름의 크기(R11, R21)는 각 요크(221, 222)의 해당 기둥 부분(2211, 2221)의 중심에서부터 외측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해당 코일(231, 232)의 거리(R12, R22)보다 크다.
결국, 각 요크(221, 222)의 상부 및 하부 부분(2212, 2222)의 외경은 각 코일(231, 232)의 외경보다 크다.
이로 인해, 각 코일(231, 232)은 해당 요크(221, 222)의 외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부분없이 해당 요크(221, 222)의 상부 및 하부 부분(2212, 2222)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각 요크(221, 222)의 상부 및 하부 부분(2212, 2222)의 외부로 돌출되는 코일(231, 232)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진동자(300)의 진동 동작이 이루어질 때 진동자(300)가 코일(231, 232)에 부딪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진동 모터(10)의 소음이나 충격 발생을 방지하며 진동자(300)에 의한 코일(231, 232)의 손상이나 파손이 역시 방지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는 각 요크(221, 222)의 상부 부분(2212, 2222)의 외경은 각 코일(231, 232)의 외경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진동자(300)는 이미 기재한 것처럼, 마그네트(310), 중량체(weight)(320), 그리고 마그네트(310)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보조 요크(331, 332)를 구비한다.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에 구멍인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형상(즉, 도넛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중량체(320)의 중공부 내에는 마그네트(310)가 위치하며, 마그네트(310)의 중공부 내에는 해당 코일(231, 232)이 감겨 있는 고정자(200)의 제1 및 제2 요크(221, 22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310)는 중량체(320)의 내부 측면과 접하게 장착되므로, 마그네트(310)와 중량체(32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중량체(320)는 정해진 크기의 중량을 가지는 물체로서, 중량체(320)의 질량에 의해 진동자(300)의 공진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중량체(320)의 질량을 조정해 진동자(300)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320)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또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예로, 중량체(320)는 텅스텐과 같이 철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중량체(320)는 마그네트(31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자기력에 의한 마그네트(310)의 진동 시 중량체(320) 역시 진동한다.
마그네트(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보조 요크(331, 332)는 마그네트(310)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여 코일(231, 232)이 있는 중심부 쪽으로 자기 회로가 집중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1 및 제2 보조 요크(331, 332)는 마그네트(310)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금속, 즉,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코일(231, 232)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코일(231, 232)과 마그네트(310)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보조 요크(331, 332)에서, 제1 보조 요크(331)의 하부면의 위치는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요크(221)의 상부 부분(2212)의 하부면의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제2 보조 요크(332)의 상부면의 위치는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2 요크(222)의 하부 부분(2222)의 상부면의 위치보다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보조 요크(331, 332)와 대응되는 제1 및 제2 요크(221, 222)와의 위치 관계로 인해, 제1 및 제2 보조 요크(331, 332)의 기능이 향상되어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및 제2 코일(231, 232)로 자기 회로의 집중 현상이 더욱 향상된다.
탄성체(400)는 진동자(300)를 하우징(10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원형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40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내측판부(예, 일측 단부)(410), 내측판부(410) 외곽에 형성되는 외측판부(예, 타측 단부)(420), 그리고 내측판부(410)와 외측판부(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구비한다.
이때, 연결부(430)의 개수는 복수 개이고, 연결부(430)는 내측판부(410)와 외측판부(420)를 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탄성체(400)는 하우징(100)의 케이스(120)의 상부 내부면과 중량체(320)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 즉, 케이스(120)와 인접한 부분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탄성체(400)의 내측판부(410)는 케이스(120)의 상부 내부면과 결합되고, 외측판부(420)는 중량체(320)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된다. 이때, 탄성체(400)와 해당 부분(120, 320)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지만, 이에 달리 다른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400)로 인해, 진동자(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비교할 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예의 진동 모터(10a, 10b, 10c)는 탄성체(400)의 접합 상태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진동 모터(10a)에서, 탄성체(400)는 도 2에 도시한 탄성체(400)를 상하 반전시킨 형태로 하우징(100)과 진동자(300) 사이를 접합시킨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탄성체(400)의 내측판부(410)는 제1 보조 요크(331)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고, 외측판부(420)는 케이스(120)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진동 모터(10b)에서, 탄성체(400)는 도 2에 도시한 탄성체(400)를 상하 반전시킨 형태로 하여 하우징(100)의 하부인 브라켓(110)과 진동자(300)의 중량체(320) 사이를 결합시킨다.
이때, 탄성체(400)는 회로 기판(210)이 위치하지 않는 브라켓(110)의 가장 자리 부분과 접합될 수 있고, 탄성체(400)의 크기를 브라켓(110)의 가장 자리 부분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400)의 내측판부(410)는 브라켓(110)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외측판부(420)는 중량체(320)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탄성체(400)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하부인 브라켓(110)에 진동자(300)를 결합시키므로, 진동자(300)의 무게로 인해 탄성체(400)의 접합 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감소한다.
도 5에 도시한 진동 모터(10c)에서는 두 개의 형태를 갖는 탄성체(400)를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상부와 하부에 진동자(300)를 결합시킨다.
이때, 두 개의 탄성체(400)는 서로 상하 반전 형태를 갖고 있고, 도 1과 도 4에 도시한 형태로 두 개의 탄성체(400)가 각각 위치한다.
즉, 하우징(100)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1 탄성체(400)의 내측판부(410)는 케이스(120)의 상부 내부면과 결합되고, 외측판부(420)는 중량체(320)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 탄성체(400)의 내측판부(410)는 브라켓(110)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외측판부(420)는 중량체(320)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탄성체(400)를 이용하여 진동자(300)를 하우징(10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시키므로, 진동자(300)의 연결 상태가 좀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예에서, 탄성체(400)의 접합 동작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진동 모터(10a-10c)의 탄성체(400)의 크기는 해당 진동 모터(10a-10c)의 크기, 접착 위치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진동 모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0a, 10b, 10c: 진동 모터 100: 하우징
110: 브라켓 120: 케이스
200: 고정자 210: 회로 기판
221: 제1 요크 222: 제2 요크
231: 제1 코일 232: 제2 코일
300: 진동자 310: 마그네트
320: 중량체 400: 탄성체
331: 제1 보조 요크 332: 제2 보조 요크

Claims (12)

  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 요크;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제2 요크;
    상기 제1 요크에 감겨 있는 제1 코일;
    상기 제2 요크에 감겨 있는 제2 코일;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하우징의 상부 쪽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코일이 감겨있는 기둥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의 상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상기 기둥 부분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평판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부분을 갖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하부 쪽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코일이 감겨있는 기둥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의 하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상기 기둥 부분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평판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요크의 상부 부분은 상기 제2 요크의 하부 부분과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요크의 상부 부분의 외경은 상기 제1 코일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요크의 하부 부분의 외경은 상기 제2 코일의 외경보다 큰
    진동 모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보조 요크와 제2 보조 요크
    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보조 요크의 하부면의 높이는 상기 제1 요크의 상부 부분의 하부면의 위치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요크의 상부면의 높이는 상기 제2 요크의 하부 부분의 하부면의 위치보다 높은
    진동 모터.
  7. 제5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제2 보조 요크의 상부를 접합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8. 제1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9. 제1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10. 제9항에서,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접합되고 상기 탄성체의 타측 단부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와 접합되는 진동 모터.
  11. 제9항에서,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접합되고 상기 탄성체의 타측 단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와 접합되는 진동 모터.
  12. 제9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접합하는 제1 탄성체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접합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진동 모터.
KR1020170155457A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KR10203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57A KR102037777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57A KR102037777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46A KR20190057946A (ko) 2019-05-29
KR102037777B1 true KR102037777B1 (ko) 2019-11-29

Family

ID=6667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457A KR102037777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685A (ko) * 2010-11-20 2012-05-31 이인호 선형 진동기
KR101163612B1 (ko) * 2010-12-01 2012-07-09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70005686A (ko) * 2015-07-06 2017-01-16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 장치
KR20170035464A (ko) * 2015-09-23 2017-03-31 이인호 선형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46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US8941273B2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US8941272B2 (en) Linear vib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85905B1 (ko) 선형 진동기
US8299658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CN207475380U (zh) 线性振动马达
KR101969438B1 (ko) 선형진동모터
US8138639B2 (en) Linear vibrator
US20150123498A1 (en) Linear vibr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8461729B2 (en) Linear vibrator
US20170126109A1 (en) Vibration motor
US8450886B2 (en) Linear vibrator
US9954425B2 (en) Linear vibrating motor
KR20100046600A (ko) 선형 진동기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KR102054831B1 (ko) 진동 모터
KR101914530B1 (ko) 진동 발생 장치
CN111921828B (zh) 振动产生装置
KR102066662B1 (ko) 진동 모터
KR102054835B1 (ko) 진동 모터
KR101362586B1 (ko) 소형의 기능성 진동발생장치
KR102280172B1 (ko) 진동 발생기
KR101681901B1 (ko) 진동 모터
US20220345019A1 (en) Vibration motor and hap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