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936A -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936A
KR20190053936A KR1020197011688A KR20197011688A KR20190053936A KR 20190053936 A KR20190053936 A KR 20190053936A KR 1020197011688 A KR1020197011688 A KR 1020197011688A KR 20197011688 A KR20197011688 A KR 20197011688A KR 20190053936 A KR20190053936 A KR 2019005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ology
bearer
correspondence
uplink gra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432B1 (ko
Inventor
야리 자오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5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89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여 numerology가 도입된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또한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고, 업링크 그랜트와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이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 및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numerology의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09월 23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610849572.6호,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 부분으로 한다.
Numerology(베이스밴드 파라미터)은 다수의 양상,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간격, CP (Cyclic Prefix) 길이 등과 관련한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dio Access Network,RAN) (1)에서의 전문용어이다.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5G 시스템)에 도입된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네트워크측 노드는 CU(Central Unit,중앙유닛) 및 TRP (Transmission Reception Point, 송수신 포인트)를 포함하고, 사용자 측 노드는 단말이다. 네트워크 측에서, 중앙 유닛 (CU)은 어떤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송수신 포인트(TRP)를 제어하고, TRP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통신한다. 즉, 네트워크측 노드는 CU 및 TRP를 포함하는 2계층 네트워크 구조이다. 하나 이상의 TRP는 단말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단말에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다. 하나의 TRP 하에서 복수의 빔 방향으로의 송신이있을 수있다.
미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numerology 설계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RAN1에 도입되고, 상이한 numerology은 정의된 바와 같이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모드로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numerology이 도입되는 경우, 가능한 MAC(Medium Access Control,매체 액세스 제어)방식에서, 네트워크측은 numerology마다 각각 스케쥴링한다
상이한 numerology 설계가 3GPP RAN1에 도입되고, 상이한 서비스의 상이한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요구가 있기 때문에, 전송에 대한 상이한 numerology이 상이한 서비스에 적용되지만, 이 경우에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어떻게 결정할 지에 대해 아직까지 안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다수의 numerology이 도입되는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은,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또는 논리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서,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은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은,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및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numerology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numerology의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numerology의 파라미터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시그널링 결정 모듈;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정보 결정 모듈; 및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또는 논리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할당을 위한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구성 결정 모듈; 및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numerology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numerology의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numerology의 파라미터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고,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네트워크측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기를 통해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한다.
상기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또한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여 업링크 그랜트와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이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 및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numerology의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의 서술에 필요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하 서술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은 자명하며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는 한 이들의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고, 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가 단말을 도와서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얻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단말(10)과 네트워크측 장치(20)를 포함한다.
단말(10)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고,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또한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고, 업링크 그랜트와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이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 및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numerology의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및/또는 논리 채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측 장치(20)는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이하, 제 1 대응 관계 및 제 2 대응 관계의 구성 방법을 각각 설명한다.
(가) 제 1 대응 관계의 구성.
<방식 1> 제 1 구성 정보는 제 1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업링크 그랜트에서 numerology식별자를 운반하고, 그 업 링크 그랜트를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의 그랜트에 포함된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업링크 그랜트에서 numerology식별자를 직접 운반한다.
단말은 numerology식별자에 대응하는 numerology와 베어러식별자의 업링크 그랜트 상이에 직접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식별자는 단지 일례로서 상기 한 바와 같이 업 링크 그랜트를 통해 통지되지만, 사용자 장비가 제 1 대응 관계를 통지받을 수 있는 임의의 구현예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방식 2> 제 1 구성 정보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을 위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을 위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를 구성한다.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numerology를 결정하여, 물리 리소스에 대응하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을 위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를 구성한다.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numerology를 결정하여 물리 리소스에 대응하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방식 3> 제 1 구성 정보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을 위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업 링크 그랜트와 바인딩한다)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구성한다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업링크 데이터 전송 리소스와 바인딩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을 위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구성한다.
단말은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numerology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을 위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구성한다.
단말은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numerology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방식 4> 제 1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업링크 그랜트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운반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포함되는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후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numerology를 결정한다. 그 다음,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포함되는 업링크 그랜트와 결정된 numerology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위 방식들은 예에 불과하며 단말을 위해 제 1 대응 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방식들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 1 대응 관계를 직접 단말에 대해 구성할 수 있다.
(나) 제 2 대응 관계의 구성.
<방식 1> 제 2 구성 정보는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의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장치를 제 2 대응 관계를 직접 단말에 대해 구성할 수 있다.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대한 위의 구성 설명은 예에 불과하며 단말이 제 2 대응 관계를 사용하기 전이면 언제든지 단말을 위해 구성할 수 있다.
<방식 2> 제 2 구성 정보는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업링크 그랜트에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포함시켜, 업링크 그랜트를 단말로 송신한다.
한편, 단말은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 2 대응 관계를 단말에 대해 직접 구성할 수 있다.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단말을 위해 구성하는 것에 예에 불과하며 제 2 대응 관계를 단말에 위해 구성할 수 있는 정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방식 3>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업링크 그랜트에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를 포함시켜, 업링크 그랜트를 단말로 송신한다. 또한 단말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동일한 QoS파라미터에 대응하는 numerology와 베어러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단말을 위해 구성하는 것이 예에 불과하며 제 5 대응 관계를 단말에 대해 구성할 수 있는 정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제 6 대응 관계를 구성하는 것이 예에 불과하며 단말이 제 2 대응 관계를 사용하기 전에 어제든지 단말을 위해 구성할 수 있다.
<방식 4>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및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를 구성한다. 또한, 단말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동일한 QoS파라미터에 대응하는 numerology와 베어러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구성하는 것이 예에 불과하며 제 5 대응 관계를 단말에 대해 구성할 수 있는 정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제 6 대응 관계를 구성하는 것이 예에 불과하며 단말이 제 2 대응 관계를 사용하기 전에 어제든지 단말을 위해 구성할 수 있다.
<방식 5> 제 2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말은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구성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numerology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numerology와 확립된 베어러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할 수 있다.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구성하는 것이 예에 불과하며 단말이 제 2 대응 관계를 사용하기 전에 어제든지 단말을 위해 구성할 수 있다.
<방식 6> 제 2 구성 정보는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를 구성하며, 또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를 구성한다. 또한, 단말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베어러의 QoS파라미터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가 확립될 때 구성된 QoS파라미터에 대응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알 수 있다. 그 다음,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이전에 결정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numerology를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numerology와 확립된 베어러 사이에서 대응 관계를 확립한다.
위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구성하는 것이 예에 불과하며 제 4 대응 관계와 제 7 대응 관계를 단말에 대해 구성할 수 있는 정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을 위해 QoS를 구성하는 것이 예에 불과하며 단말이 제 2 대응 관계를 사용하기 전에 어제든지 단말을 위해 구성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업링크 그랜트는 임의의 스케쥴링 시그널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등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할 때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한다.
상기 단말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Prioritized Bit Rate)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한다.
상기 단말은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이다.
예를 들어, 베어러,베어러A, 베어러B 및 베어러C가 있으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베어러C, 베어러A, 베어러B로 결정한다.
우선 베어러C의 PBR에 따라 모든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에서 베어러C를 위해 리소스를 할당한 후, 베어러A의 PBR에 따라 모든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에서 베어러A를 위해 리소스를 할당한 후, 마지막으로 베어러B의 PBR에 따라 모든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에서 베어러B를 위해 리소스를 할당한다.
어떤 베어러의 데이터에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거나, 할당 가능한 리소스 중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가 있는 경우,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될 때까지 또는 리소스가 모두 고갈될 때까지 (할당될 수 있는 모든 리소스가 할당됨) 베어러 C, 베어러 A, 베어러 A의 순서로 각 캐리어마다 리소스를 계속 할당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상기 단말이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할 때, 상기 단말은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상기 단말은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물리 계층 파라미터는, 서브캐리어간격, CP( Cyclic Prefix)길이 및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전송 시간간격)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제 1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는 시그널링 결정 모듈(200);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는 정보 결정 모듈(201); 및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20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또는 논리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202)은, 또한,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202)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202)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202)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202)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202)은,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제 1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구성 결정 모듈(300); 및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송 모듈(30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numerology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301)은, 또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numerology의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numerology의 파라미터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제 2 단말은, 프로세서(401), 메모리(404) 및 송수신기(40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4)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고,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기(402)는 프로세서(401)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또는 논리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401)는 또한,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401)는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401)는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401)는,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401)는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여기서,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401)는,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도4에서, 버스 아키텍처(버스(400)로 대표)에 있어서, 버스(400)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스(400)는 범용 프로세서(401)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404)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400)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403)는 버스(400)와 송수신기(402)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402) 는 하나 이상의 요소 일 수 있거나,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인 다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다수의 요소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402) 는 다른 장치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수신기(402)는 프로세서(401)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팅 시스템의 성질에 따라, 키패드, 모니터,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05)가 더 제공 될 수있다.
프로세서(401)는 버스(400)를 관리하고, 통상의 운영 시스템 등을 실행하는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메모리(404)는 프로세서(401)가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 될 수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401)는 CPU,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일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제 2 네트워크측 장치는 프로세서(501), 메모리(504) 및 송수신기(50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501)는 메모리(504)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기를 통해 502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송수신기(502)는 프로세서(501)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numerology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01)는 또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numerology의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numerology의 파라미터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도5에서 버스 아키텍처(버스(500)로 표시), 버스(500)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스(500)는 프로세서(501)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504)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500)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503)는 버스(500)와 송수신기(502)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한다. 송수신기(502)는 요소 일 수 있거나, 다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다수의 요소 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시하는 단위이다. 프로세서(501)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안테나(505)를 통해 무선 매체를 통해 전송되고, 또한 안테나(505)는 프로세서(501)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한다.
프로세서(501)는 버스(500)를 관리하고 정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 전압 조정, 전원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고, 메모리(504)는 프로세서(501)가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 될 수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1)는 CPU, ASIC, FPGA 또는 CPLD일 수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의 과제 해결 원리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과 유사하므로 상기 방법의 실시는 방법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600에서, 단말은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한다.
단계 601에서, 상기 단말은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한다.
단계 602에서,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또는 논리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은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할당 조건이 충족 될 때까지 ;
여기서,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네트워크측 장치가 단말을 도와서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700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701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numerology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관계;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numerology의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numerology의 파라미터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안을 사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단계 1:단말은 numerology와 물리 계층 구성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말이 정확한 numerology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단말은 numerology에 대응하는 각각의 물리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이 미리 제공될 수있다.
일 실시 예에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 파라미터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단말로 통지될 수도 있다.
단계 2: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의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다.
여기서, 업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PDCCH)에 numerology식별자가 포함되며, 단말은 업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numerology와 UL grant 사이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3:단말은 numerology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다음 방식들 중의 하나에 의해 numerology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t1:베어러가 확립될 때,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Alt2:업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PDCCH)를 통해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운반한다.
Alt3:업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PDCCH)를 통해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운반하고, 단말은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구성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4: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구성한다.
단말은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5: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과의 베어러가 확립될 때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구성한다.
단말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6: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구성된 QoS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됨),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4:단말은 numerology를 기반으로 하여 PDU(Protocol Data Unit,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4 계층 사용자 플레인 프로토콜 스택이 존재한다. 즉, PDU가 구성되어 MAC 계층에 의해 하위 계층으로 전달되는데, 여기서 상기 PDU는 MAC PDU (여기서는 프로토콜 스택이 나중에 최적화될 경우, 상기 PDU의 명칭은 달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PDU는 물리 계층에 바로 인접한 상위 계층 PDU를 지칭한다).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UL grant(업링크 그랜트 정보 )에 대해 PDU 패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Step1:단말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모든 베어러의 대응 관계를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순서를 맺어 각 베어러에 대응하는 PBR에 따라 제 1 차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Step2:단말은 제 1 차에서 리소스를 할당한 후 나머지 리소스가 존재할 경우 step 1에서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제 2 차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단말은 각 캐리어의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될 때까지 또는 numerology에 대응하는 UL grant의 모든 리소스가 고갈될 때까지 제 2차에서 리소스를 할당한다.
실시예 2:
단계 1:단말은 numerology와 물리 계층 구성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말이 정확한 numerology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단말은 numerology에 대응하는 각각의 물리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이 미리 제공될 수있다.
일 실시 예에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 파라미터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단말로 통지될 수도 있다.
단계 2:단말은 네트워크측의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다.
여기서 numerology를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와 바인딩하고,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에 따라,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3:단말은 numerology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다음 방식들 중의 하나에 의해 numerology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t1:베어러가 확립될 때,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Alt2:업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PDCCH)를 통해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운반한다.
Alt3:업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PDCCH)를 통해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운반하고, 단말은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구성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4: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구성한다.
단말은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5: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과의 베어러가 확립될 때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구성한다.
단말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6: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구성된 QoS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됨),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4:단말은 numerology를 기반으로 하여 PDU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4 계층 사용자 플레인 프로토콜 스택이 존재한다. 즉, PDU가 구성되어 MAC 계층에 의해 하위 계층으로 전달되는데, 여기서 상기 PDU는 MAC PDU ((여기서는 프로토콜 스택이 나중에 최적화될 경우, 상기 PDU의 명칭은 달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PDU는 물리 계층에 바로 인접한 상위 계층 PDU를 지칭한다).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UL grant에 대해 PDU 패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Step1:단말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모든 베어러의 대응 관계를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순서를 맺어 각 베어러에 대응하는 PBR에 따라 제 1 차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Step2:단말은 제 1 차에서 리소스를 할당한 후 나머지 리소스가 존재할 경우 step 1에서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제 2 차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단말은 각 캐리어의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될 때까지 또는 numerology에 대응하는 UL grant의 모든 리소스가 고갈될 때까지 제 2차에서 리소스를 할당한다.
실시예 3:
단계 1:단말은 numerology와 물리 계층 구성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말이 정확한 numerology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단말은 numerology에 대응하는 각각의 물리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이 미리 제공될 수있다.
일 실시 예에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 파라미터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단말로 통지될 수도 있다.
단계 2:단말은 네트워크측의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다.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3:단말은 numerology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다음 방식들 중의 하나에 의해 numerology와 베어러 간의 대응 관계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t1:베어러가 확립될 때,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Alt2:업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PDCCH)를 통해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운반한다.
Alt3:업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PDCCH)를 통해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운반하고, 단말은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구성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4: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을 위해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구성한다.
단말은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QoS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5: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과의 베어러가 확립될 때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구성한다.
단말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Alt6: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구성된 QoS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거나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됨),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대응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4:단말은 numerology를 기반으로 하여 PDU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4 계층 사용자 플레인 프로토콜 스택이 존재한다. 즉, PDU가 구성되어 MAC 계층에 의해 하위 계층으로 전달되는데, 여기서 상기 PDU는 MAC PDU ((여기서는 프로토콜 스택이 나중에 최적화될 경우, 상기 PDU의 명칭은 달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PDU는 물리 계층에 바로 인접한 상위 계층 PDU를 지칭한다).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UL grant에 대해 PDU 패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Step1:단말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모든 베어러의 대응 관계를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순서를 맺어 각 베어러에 대응하는 PBR에 따라 제 1 차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Step2:단말은 제 1 차에서 리소스를 할당한 후 나머지 리소스가 존재할 경우 step 1에서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제 2 차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단말은 각 캐리어의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될 때까지 또는 numerology에 대응하는 UL grant의 모든 리소스가 고갈될 때까지 제 2차에서 리소스를 할당한다.
본 기술 분야 내의 당업자들이 명백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하여, 본 출원은 풀 하드웨어실시예, 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하는 실시예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및 광학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방법, 디바이스(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부터 수행한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를 유도하여 특정된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하는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일련의 오퍼레이션 절차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실시하는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수행한 명령은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절차를 제공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동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6)

  1. 단말은 베이스 밴드 파라미터(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또는 논리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은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이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9.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및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numerology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numerology의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numerology의 파라미터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13.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시그널링 결정 모듈;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정보 결정 모듈; 및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 또는 논리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 및/또는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numerology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및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또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물리 리소스 간의 제 3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다음 구현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업링크 그랜트를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numerology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업링크 그랜트에서 운반되는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및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베어러가 확립될 때 운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통지 받은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베어러가 확립될 때 단말에 의해 구성된 베어러의 QoS파라미터, 및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 완료한 후, 할당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할당 조건이 총족되지 않는 경우, 할당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할당 순서에 따라 베어러 각각의 PBR에 의해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할당되지 않은 리소스로부터 각 베어러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하고,
    여기서, 상기 할당 조건은 모든 베어러의 데이터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되거나 리소스가 고갈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프로토콜의 약정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한 구성에 따라, numerology와 물리 계층 파라미터 간의 제 8 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 8 대응 관계에 따라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단말.
  21.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구성 결정 모듈 -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및,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네트워크측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numerology식별자;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및
    업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데이터전송 리소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네트워크측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
    numerology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4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numerology 간의 제 5 대응 관계;
    베어러와 QoS파라미터 간의 제 6 대응 관계;
    QoS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제 7 대응 관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네트워크측 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numerology의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numerology의 파라미터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을 위한 네트워크측 장치.
  25.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측이 단말을 위해 구성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결정하고, 결정된 numerology에 대응하는 업링크 그랜트와 numerology에 대응하는 베어러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 1 구성 정보와 제 2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업링크 그랜트 간의 제 1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구성 정보는 numerology와 베어러들 간의 제 2 대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기를 통해 단말로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대응 관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에 따라 베어러를 결정하며,또한, 상기 베어러와 상기 업링크 그랜트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장치.
KR1020197011688A 2016-09-23 2017-09-01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2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49572.6A CN107872897B (zh) 2016-09-23 2016-09-23 一种进行上行数据操作的方法和设备
CN201610849572.6 2016-09-23
PCT/CN2017/100241 WO2018054211A1 (zh) 2016-09-23 2017-09-01 一种进行上行数据操作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936A true KR20190053936A (ko) 2019-05-20
KR102212432B1 KR102212432B1 (ko) 2021-02-03

Family

ID=6169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688A KR102212432B1 (ko) 2016-09-23 2017-09-01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08939B2 (ko)
EP (1) EP3518598B1 (ko)
JP (1) JP6845310B2 (ko)
KR (1) KR102212432B1 (ko)
CN (1) CN107872897B (ko)
WO (1) WO2018054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428456B2 (en) * 2016-11-04 2021-11-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53986B1 (en) * 2010-04-01 2016-09-07 Sun Patent Trust Transmit power control for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s
KR101335869B1 (ko) * 2009-08-12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2143596B (zh) * 2011-04-20 2014-03-19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调度方法和***
WO2014139562A1 (en) * 2013-03-13 2014-09-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calable bandwidth design for ofdm
WO2015119359A1 (ko) * 2014-02-04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데이터 단위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517182A (zh) * 2014-09-26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信令的发送方法及装置
EP3051736B1 (en) * 2015-01-30 2020-04-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ioritization in the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sidelink logical channels in ProSe direct communications
US10548129B2 (en) * 2015-02-11 2020-01-28 Apple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employing unified flexible 5G air interface
US10333752B2 (en) * 2015-03-13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Guard-band for scaled numerology multiplexing
CN117500082A (zh) * 2016-03-30 2024-02-02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5g灵活的rat***中的独立的l2处理和控制架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517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72897B (zh) 2020-03-24
US10708939B2 (en) 2020-07-07
JP2019534610A (ja) 2019-11-28
EP3518598A4 (en) 2019-08-14
US20200037344A1 (en) 2020-01-30
CN107872897A (zh) 2018-04-03
EP3518598B1 (en) 2021-06-30
JP6845310B2 (ja) 2021-03-17
EP3518598A1 (en) 2019-07-31
KR102212432B1 (ko) 2021-02-03
WO2018054211A1 (zh)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0697B2 (ja) 通信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デバイス
US11153778B2 (en) Buffer status report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516820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sidelink and terminal
EP36378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configuring novel quality of service architecture in dual connectivity system
US20140094183A1 (en) Resource allocation for d2d communication
JP6438044B2 (ja) バッファステータスを報告及び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139376B (zh) 载波集合的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1090486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ccess network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CN109787791B (zh) 通信方法及通信设备
WO2015044771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processing via dual connectivity
CN107154840B (zh) 资源分配控制方法、装置及***
US20220369291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02209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EP3695642A1 (en) Management of bitrate for ue bearers
JP2022544259A (ja) ユーザ装置及びスケジューリングノード
JP2021180353A (ja) 基地局、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710819A (zh) 无线通信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1328140A (zh) 侧链通信方法和装置
KR102212432B1 (ko) 업 링크 데이터 조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021043A1 (en) HANDLING OVERLAPPING OF MULTIPLE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 (PUSCHs)
WO2018054336A1 (zh) 消息的发送方法和装置
EP33893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viding resource
WO2015085562A1 (zh) 协调负载平衡的***、设备和方法
EP4040878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