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900A -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900A
KR20190051900A KR1020187036666A KR20187036666A KR20190051900A KR 20190051900 A KR20190051900 A KR 20190051900A KR 1020187036666 A KR1020187036666 A KR 1020187036666A KR 20187036666 A KR20187036666 A KR 20187036666A KR 20190051900 A KR20190051900 A KR 2019005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access network
stat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2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in packet switch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3Interconnection of networks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s, e.g. tunne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57Arrangements for supporting packet reassembly or reseque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이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패킷을 전송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두 가지 기본적인 모드가 있는 바, 한 가지는 아이들 모드(즉 통상적으로 말하는 대기 상태)이고, 다른 한 가지는 연결 모드이다. 단말 장치가 연결 모드에 처할 때, 해당 단말 장치와 향상된 범용 지상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이 존재한다.
단말 장치가 아이들 모드에 처하였을 때, 만일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여야 한다면, 단말 장치는 아이들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여야 하고,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 후 단말 장치는 다시 연결 모드로부터 아이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하지만 단말 장치가 아이들 모드와 연결 모드 사이에서 빈번하게 전환되는 것은 단말 장치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패킷을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면, 단말 장치가 제1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제1패킷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상기 제1 패킷이 비교적 작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상태(해당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해당 제1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확정하고, 만일 제1 패킷이 비교적 크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2 상태(해당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해당 제1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 장치가 패킷이 다름에 따라 상응한 상태를 사용하여 패킷을 수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를 선택하여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을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1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2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구성할 때의 구성 정보일 수 있고, 또한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 자체의 일부 속성 정보일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해당 속성 정보에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서비스 품질(Qo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어,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하는데 유리하다.
제1 방면의 제2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3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지시 정보를 통하여 직접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한 후 직접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원활하게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방면의 제2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4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직접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외, 또한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자체로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방면의 제4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5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6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는 외,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직접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단독의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제1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송신한 정보일 수 있다.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7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제1 패킷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한 하나의 단독의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방면의 제7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8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프로토롤(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된다.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9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한 패킷이다.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기타 패킷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기타 패킷으로부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1 방면의 제9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10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는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N개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패킷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제2 패킷을 수신한 후, 제2 패킷에 포함된 N개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 중에서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바, 이로써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제1 방면의 제9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11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어 순차 번호가 N인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다수의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패킷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제2 패킷을 수신한 후, 제2 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 중에서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바, 이로써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제1 방면의 제9 구현 방식 내지 제11 구현 방식의 어느 한 가지를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12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된다.
제1 방면 및 제1 방면의 제1 내지 제12 구현 방식의 어느 한 가지를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제13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제5 지시 정보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통지하여, 단말 장치가 상응한 상태로 패킷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단말 장치로 해당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패킷을 송신함과 아울러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제2 방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해당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제2 방면의 제1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상기 패킷이 비교적 작다면, 단말 장치는 제1 상태(해당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고, 만일 패킷이 비교적 크다면, 단말 장치는 제2 상태(해당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패킷이 다름에 따라 상응한 상태를 사용하여 패킷을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를 선택하여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을 더욱 훌륭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방면의 제2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사전 취득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해당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2 방면의 제2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방면의 제3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사전 취득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 장치는 그 전에 사전 취득한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직접 패킷을 송신할 때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제2 방면의 제2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방면의 제4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사전 구성된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단말 장치는 직접 사전 취득한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패킷을 송신할 때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 자체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자체로 패킷을 송신할 때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방면의 제4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제2 방면의 제5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제1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단말 장치에는 제2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기억장치, 송수신기와 프로세서가 포함되며, 상기 기억장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방면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6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기억장치, 송수신기와 프로세서가 포함되며, 상기 기억장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방면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는 제1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다.
제8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네트워크 측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는 제2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더욱 명확한 설명을 진행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될 도면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하기 설명 중의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의 기술자로 말하면 창조성적인 노력이 필요없이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기타 도면을 취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6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또는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및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단말 장치,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이라 불릴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할 있는 바, 예를 들면 단말은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라 불림) 또는 이동 단말이 구비된 컴퓨터 등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은 또한 휴대식, 소형의, 핸드핼드, 컴퓨터에 내용된 또는 차량용 이동 장치일 수 있으며, 이들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글로벌 이동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또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 있으며, 또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릴레이 스테이션 또는 접속점, 또는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성 관리 실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고, 또한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GW)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 우선 단말 장치의 아이들 모드와 연결 모드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아이들 모드는 단지 하나의 아이들(Idle) 상태만 있다. Idle 상태에서, UE의 모든 연결은 접속층에서 모두 오프되어 있다. UTRAN에서는 아이들 모드에 처한 UE를 위하여 컨텍스트를 구성하지 않았으며, 만일 하나의 특정된 UE를 검색하려면, 단지 한 셀 내에서 모든 UE 또는 동일한 페이징 시간대를 모니터링하는 다수의 UE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여야 한다.
연결 모드에는 모두 네 가지 상태가 존재하는 바, CELL-PCH(셀 페이징 채널 상태), URA-PCH(UTRAN 등록 구역 페이징 채널 상태), CELL-FACH(셀 전향 접속 채널 상태)와 CELL-DCH(셀 전용 채널 상태)이다. 그 중에서, CELL-DCH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연결의 연결 모드로서, 또한 “황성화 상태”라 불릴 수 있다.
도1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110: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한다.
상기 제1 패킷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송신한 다운링크 데이터 중의 패킷일 수 있다.
120: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해당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이다.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단말 장치가 연결 모드 하에 처하여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때의 두 가지 상태인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일 수 있음을 이해할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단말 장치가 연결 모드에 처하였을 때의 두 가지 부동한 상태로서, 그 중에서, 제1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단말 장치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제2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없으며, 단말 장치의 이동은 네트워크 측 장치로 말하면 감지할 수 없는 것이다.
제2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가 하나의 셀에서 다른 한 셀로 이동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사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고,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구체적인 명칭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130: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패킷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면, 단말 장치가 제1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제1 패킷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상기 제1 패킷이 비교적 작다면(패킷의 크기가 비교적 작다는 것을 말함),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상태(해당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확정하고, 만일 제1 패킷이 비교적 크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2 상태(해당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패킷이 다름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를 사용하여 패킷을 수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가 어떤 상태에서 패킷을 수신하는지 확정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더욱 훌륭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보조 정보를 취득하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보조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보조 정보에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구성한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보조 정보에는 베어러의 정보와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구성할 때 구성한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장치가 해당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어느 한 아이들 필드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다수의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현재 패킷을 수신할 때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여기에서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는 바, 즉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구성할 때 이미 단말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였고, 또한 관련 지시 정보를 구성 정보에 포함시키며, 이로써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직접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구성 정보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구성할 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위하여 구성한 정보일 수 있고, 여기에서의 구성 정보에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 자체의 속성 정보, 예를 들면 패킷 크기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직접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자체의 일부 속성 정보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속성 정보에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는 구체적으로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딜레이 정보,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의 크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딜레이가 비교적 클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딜레이가 비교적 작을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 딜레이가 사전 설정된 역치를 초과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여야 한다고 판단하고, 데이터 딜레이가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작을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활성화 상태에 처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제1 패킷이 비교적 작을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제1 패킷이 비교적 클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패킷의 크기가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작을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여야 한다고 판단하고, 제1 패킷의 크기가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활성화 상태에 처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제1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 또는 도착 시간 간격이 비교적 길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제1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 또는 도착 시간 간격이 비교적 작을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이 사전 설정된 역치를 초과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여야 한다고 판단하고, 제1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이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작을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활성화 상태에 처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또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여러 가지에 의하여 공동으로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제1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송신한 정보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송신하기 전에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직접 해당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고, 이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제1 패킷을 송신하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제1 패킷을 수신한 후, 다시 제1 패킷을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하나의 단독의 지시 정보(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패킷 전송 시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는 외, 또한 유사한 지시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패킷에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해당 제3 지시 정보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어,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취득하며; 단말 장치가 해당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상기 제1 패킷은 또한 기타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접속 네트워크 장치 또는 단말 장치는 제1 패킷에 포함된 기타 패킷의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기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정보는 제1 패킷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ling Protocol for the Userplane,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2 패킷에 포함된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그 중에서,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2 패킷은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한 패킷이다.
다시 말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때, 제1 패킷 자체에 포함된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 또는 기타 패킷에 포함된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패킷에는 제1 패킷을 포함하는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는 하기 두 가지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1) 제2 패킷에는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는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해당 N개 패킷에는 제2 패킷과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2) 제2 패킷에는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어 순차 번호가 N인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해당 다수의 패킷에는 제2 패킷과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다시 말하면, 제2 패킷으로 말하면, 제2 패킷 자체의 제4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기타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패킷을 송신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제2 패킷을 수신한 후, 제2 패킷에 포함된 N개 패킷 또는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 중에서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바, 이로써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제1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단말 장치로 제2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패킷에서,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제2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하나의 데이터 상태(Data State) 필드를 추가하고, 데이터 상태 필드에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패킷을 수신한 후, 제1 패킷을 분석하기만 하면 바로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그 후 다시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바로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제1 패킷에 기타 패킷의 제3 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또한 제2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하나의 데이터 상태(Data State) 필드를 추가할 수 있는 바, 만일 제2 패킷의 순차 번호가 1이라면, 제2 패킷의 데이터 상태 필드는 순차 번호가 1부터 순차 번호가 N(N은 1보다 큰 정수)까지인 N개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이 N개 패킷에는 제2 패킷 자체 및 제1 패킷이 포함된다. 만일 제2 패킷의 순차 번호가 3이라면, 제2 패킷의 데이터 상태 필드는 순차 번호가 3부터 순차 번호가 N(N은 3보다 큰 정수)까지인 다수의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패킷에는 제2 패킷 자체 및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된다.
제1 패킷에 포함된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와 제2 패킷에 포함된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의 작용은 동일한 바, 이들은 모두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는 것이며, 단지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는 제1 패킷에 포함되고,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제2 패킷에 포함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표 1] GTP-U 헤더 필드
Figure pct00001
선택적으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패킷을 송신하기 전,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5 지시 정보는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현재 제1 상태에 처하여 있고,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제1 상태로 확정하였다고 가정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로 제1 상태로 제1 패킷을 수신하라고 통지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직접 단말 장치로 제1 패킷을 송신할 수도 있다.
만일 단말 장치가 현재 제2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해당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해당 제5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일련의 상호작용 과정을 거쳐,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스위칭되고, 그 후 제1 상태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일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로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통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위의 내용에서는 도1을 참조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으며, 아래 도2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의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2의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210: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해당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이다.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단말 장치가 연결 모드 하에 처하여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때의 두 가지 상태인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RRC 연결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단말 장치가 연결 모드에 처하였을 때의 두 가지 부동한 상태로서, 그 중에서, 제1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단말 장치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제2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없으며, 단말 장치의 이동은 네트워크 측 장치로 말하면 감지할 수 없는 것이다. 제2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가 하나의 셀에서 다른 한 셀로 이동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사이에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고,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220: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현재 처한 상태가 제1 상태라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가 210 단계를 거쳐 단말 장치가 업링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가 제2 상태라고 확정하였다면, 단말 장치는 현재의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그 후 제2 상태로 패킷을 송신하여야 하며, 만일 단말 장치가 210 단계를 거쳐 단말 장치가 업링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가 제1 상태라고 확정하였다면, 단말 장치는 상태의 전환을 진행할 필요가 없고, 단말 장치는 제1 상태에서 패킷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해당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상기 패킷이 비교적 작다면, 단말 장치는 제1 상태(해당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고, 만일 패킷이 비교적 크다면, 단말 장치는 제2 상태(해당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패킷이 다름에 따라 상응한 상태를 사용하여 패킷을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를 선택하여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을 더욱 훌륭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사전 취득한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는 단말 장치가 그 전에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취득하거나 또는 계약 정보로부터 취득한 것일 수 있으며, 도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는 또한 단말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취득한 것일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업링크 패킷을 송신하여야 할 때, 이러한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업링크 데이터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말 장치가 사전 취득한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말 장치가 사전 구성된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속성 정보에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하여 직접 단말 장치가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베어러 또는 패킷의 자체의 일부 속성 정보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는 구체적으로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딜레이 정보,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의 크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직접 사전 취득한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 자체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말 장치가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딜레이가 사전 설정된 역치를 초과할 때,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딜레이가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작을 때,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패킷의 크기가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작을 때,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패킷 크기가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 또는 도착 시간 간격이 사전 설정된 역치를 초과할 때,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 또는 도착 시간 간격이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작을 때,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또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여러 가지에 의하여 공동으로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말 장치가 현재 제1 상태에 처하여 있고, 단말 장치가 업링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하는 것에는, 만일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제2 상태로 확정하였다면, 단말 장치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되며; 단말 장치가 제2 상태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업링크 패킷을 송신하기 전, 판단을 거쳐 해당 업링크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가 활성화 상태라고 확정하였으나, 단말 장치가 현재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단말 장치는 우선 비활성화 상태에서 황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이어 활성화 상태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패킷을 송신하여야 한다. 업링크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장치는 계속하여 활성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또한 활성화 상태로부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위의 내용에서는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으며, 아래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3 내지 도6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3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300)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310);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인 확정 모듈(320);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330)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단말 장치가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여, 단말 장치가 제1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패킷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상기 제1 패킷이 비교적 작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1 상태(해당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확정하고, 만일 제1 패킷이 비교적 크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제2 상태(해당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제1 패킷을 수신하도록 확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패킷이 다름에 따라 상응한 상태를 사용하여 패킷을 수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를 선택하여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을 더욱 훌륭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모듈(340)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모듈(320)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취득 모듈(34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취득 모듈(340)은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정 모듈(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확정 모듈(320)은 구체적으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취득 모듈(340)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모듈(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모듈(340)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모듈(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확정 모듈(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한 패킷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는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N개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어 순차 번호가 N인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다수의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신 모듈(330)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400)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인 확정 모듈(410);
상기 제1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420)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우선 해당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상기 패킷이 비교적 작다면, 단말 장치는 제1 상태(해당 제1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확정하고, 만일 패킷이 비교적 크다면, 단말 장치는 제2 상태(해당 제2 상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음)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패킷이 다름에 따라 상응한 상태를 사용하여 패킷을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를 선택하여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전송을 더욱 훌륭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확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사전 취득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확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확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확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5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500)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510);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송수신기(520);
상기 기억장치(5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인 프로세서(530)가 포함되며;
상기 송수신기(520)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패킷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은, 단말 장치가 제1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패킷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53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며; 확정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53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530)는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530)는 구체적으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수신기(520)는 구체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현재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53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53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53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한 패킷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는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N개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어 순차 번호가 N인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다수의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수신기(520)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6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600)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610);
상기 기억장치(6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인 프로세서(620);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패킷을 송신하는 송수신기(63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해당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여, 단말 장치가 패킷과 매칭되는 상태에서 해당 패킷을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620)는 구체적으로, 사전 취득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620)는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620)는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620)는 구체적으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확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결합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이용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 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아닌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40)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프로토롤(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2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한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는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N개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어 순차 번호가 N인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다수의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5.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사전 취득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사전 취득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사전 구성된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1.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인 확정 모듈;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제1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패킷에 대응되는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7.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취득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8.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 패킷의 제3 지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프로토롤(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30.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제1 패킷의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수신한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는 N개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N개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시작되어 순차 번호가 N인 다수의 패킷의 제4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바, 상기 다수의 패킷에는 상기 제2 패킷과 상기 제1 패킷이 포함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33. 제30항 내지 제3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패킷의 GTP-U 헤더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34. 제21항 내지 제3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35.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 중의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는 상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처할 때의 서로 다른 상태인 확정 모듈;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상태에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셀 재선택 과정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태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속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집합 중의 모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스위칭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전 취득한 상기 패킷과 대응되는 베어러의 정보 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 정보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패킷이 전송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러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속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데이터 딜레이, 패킷 크기, 패킷 송신 시간 간격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패킷을 송신할 때 처하여야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87036666A 2016-09-13 2016-09-13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KR20190051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8923 WO2018049570A1 (zh) 2016-09-13 2016-09-13 传输数据的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900A true KR20190051900A (ko) 2019-05-15

Family

ID=6161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666A KR20190051900A (ko) 2016-09-13 2016-09-13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805881B2 (ko)
EP (1) EP3457805B1 (ko)
JP (1) JP2019532527A (ko)
KR (1) KR20190051900A (ko)
CN (2) CN109417737B (ko)
TW (1) TWI743184B (ko)
WO (1) WO2018049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7611B (zh) * 2020-06-23 2023-05-23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更新寻呼周期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5881B2 (en) * 2003-08-25 2005-12-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during a cell reselection
SE0400341D0 (sv) 2004-02-13 2004-02-13 Ericsson Telefon Ab L M Direct transition to cell DCH
CN101047427A (zh) 2006-04-24 2007-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资源调度策略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及设备
US8780744B2 (en) 2010-01-25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allocation of dedicated channel (DCH) resource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2413534B (zh) * 2010-09-26 2014-09-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的方法、***和设备
CN102761942B (zh) * 2011-04-29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状态切换方法、非激活定时器启动方法和用户设备
CN103168490A (zh) * 2011-10-13 2013-06-19 华为技术有限公司 分流判决方法、高移动性状态识别方法及设备
KR101657864B1 (ko) * 2012-04-27 2016-09-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이동국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JP6022244B2 (ja) * 2012-07-17 2016-11-0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制御方法
CN103338500A (zh) * 2012-12-24 2013-10-02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网络侧设备和终端设备
EP3073788B1 (en) * 2013-11-21 2018-06-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arget network side device
CN103763748A (zh) * 2014-01-23 2014-04-3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16061786A1 (zh) 2014-10-23 2016-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重同步的方法及装置
CN105848223A (zh) * 2016-03-02 2016-08-1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的控制方法及设备
CN107370573B (zh) * 2016-05-12 2022-10-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2527A (ja) 2019-11-07
TWI743184B (zh) 2021-10-21
EP3457805B1 (en) 2022-11-02
EP3457805A1 (en) 2019-03-20
CN112702778B (zh) 2023-05-23
TW201813423A (zh) 2018-04-01
US10805881B2 (en) 2020-10-13
EP3457805A4 (en) 2019-08-14
US12022389B2 (en) 2024-06-25
CN109417737A (zh) 2019-03-01
US20190215768A1 (en) 2019-07-11
CN112702778A (zh) 2021-04-23
CN109417737B (zh) 2021-01-15
WO2018049570A1 (zh) 2018-03-22
US20200396683A1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9392B2 (ja) 移動性管理の方法、端末および基地局
KR101124132B1 (ko) 셀 전용 채널로의 직접 이행
CN107770824B (zh) 用于小区切换的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US9839051B2 (en) Selecting an access method while performing handov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32567A (ko) Ue 성능을 획득하는 방법, 단말, 및 기지국
WO2014094309A1 (zh) 最小化路测测量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EP3592034A1 (en) Switch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EP3606281B1 (en) Paging method, paging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EP3661278B1 (en) Methods for paging, access network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WO2018053770A1 (zh) 用于管理链路的方法和装置
US202300380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inactive state, and user equipment
KR20190075998A (ko)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단말 설비와 네트워크 설비
US9408117B2 (en) Base station device, handover controlling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202238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EP3220708B1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transmission in unlicensed band
WO2017045177A1 (zh) 移动性管理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1010184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 페이징 수신을 큐잉 동작 안에 도입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
CN109845330A (zh) 一种信令传输的方法、装置及***
CN112753249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201500399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 정보 전달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