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612A -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612A
KR20190046612A KR1020180090136A KR20180090136A KR20190046612A KR 20190046612 A KR20190046612 A KR 20190046612A KR 1020180090136 A KR1020180090136 A KR 1020180090136A KR 20180090136 A KR20180090136 A KR 20180090136A KR 20190046612 A KR20190046612 A KR 2019004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bt
weight
plasticizer
tp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102018009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612A/ko
Priority to US16/156,244 priority patent/US10913846B2/en
Priority to CN201811293692.8A priority patent/CN110791060A/zh
Publication of KR2019004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612A/ko
Priority to KR1020200112946A priority patent/KR102518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52Polycarboxylic acids or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3/56Polyesters derived from ester-forming derivatives of polycarboxylic acids or of polyhydroxy compounds other than from esters thereof
    • C08G63/58Cyclic ethers; Cyclic carbonates; Cyclic sulfites ; Cyclic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수지에 식물성오일이나 친환경 가소제를 혼합하여 경도를 낮추고 PET-G(Glycol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와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수지로 물성과 가공성을 보완하며 가소제와 혼합성이 우수한 코아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의 코폴리머)를 혼합하여 내열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PBT(Polybutylene Terehpthalate)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가소제 10 내지 120 중량부와,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s)수지 1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PBT ELASTO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수지에 식물성오일이나 친환경 가소제를 혼합하여 경도를 낮추고 PET수지 복합체(PET Copolymer)와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수지 및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수지로 물성과 가공성을 보완하며 가소제와 혼합성이 우수한 코아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를 혼합하여 내열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PVC)은 내후성, 인장강도, 신장율, 긁힘성, 접착성, 내마모성 등의 우수한 물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대표적인 범용수지로 특히 연질PVC(soft PVC)는 비닐레더(vinyl leather), 타포린, 필름이나 시트(sheet), 사출제품, 압출 제품 등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범용 수지이나, 최근 가소제(plasticizer)의 인체유해성과 PVC수지의 환경적인 문제로 인해 점차 PVC제품의 사용이 제한, 금지되고 있으나, 대체원료 부재로 가방, 건축용, 광고용 등으로 아직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비닐레더나 타포린과 같이 직물과 접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재활용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소각처리 함에 따라 환경문제와 비용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연질 PVC를 대체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극히 부분적이며, 완전한 대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PBT(Polybutylene Terehpthalate) 수지를 기제수지로 하고 PET수지 복합체(PET Copolymer)와 TPEE수지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수지 를 보조제로 하고 식물성 오일이나 가소제같은 액체의 혼합성이 우수한 코아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를 이용하여 식물성 오일이나 친환경 가소제가 혼합된 무독이며 고주파 접착성, 인쇄성, 접착제 접착등 2차 가공성도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을 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4614호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수지에 엘라스토머(elastomer) 수지를 용융혼합(alloy)한 PETG 얼로이 수지를 포함하고, 엘라스토머 수지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에 폴리에테르 글리콜(Polyether Glycol)을 공중합한 엘라스토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시트.'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도록 하나 주로 경질시트, 품용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연질화(softening)의 어려움으로 연질필름이나 연질시트 제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4614호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친환경수지로 연질PVC보다 내한성, 내열성, 내유성 등 양호한 물성과 가공성도 우수한 조성물로 연질 PVC를 이용한 사출, 압출제품은 물론 필름이나 시트를 대체할 수 있으며, 외부용 비닐레자나 타포린 제조도 가능하고 PP, PE같은 올레핀계통과 폴리우레탄 계통의 후가공성(고주파가공, 인쇄성, 접착성 등)의 불량으로 가공이 어려웠던 분야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DOP나 DINP같은 프타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 유아나 아동용품, 의료용품 제조도 가능한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가소제 10 내지 120 중량부와,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s)수지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아셀 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 10 내지 100 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식물성 오일을 10 내지 100 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아셀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는 아크릴고무계 코풀리머(Acrylic rubber based cor-shell copolymer), 부타디엔고무계 코폴리머(Butadiene rubber based cor-shell type copolmer), 씨리콘/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sillicone/acryl rubber based core-shell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PBT수지는 20중량% 내지 100중량%를 PET수지 복합체(PET Copolymer)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수지 10중량% 내지 100중량%를 추가 혼합하거나,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s) 10중량% 내지 100중량%를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수지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은 친환경수지로 연질PVC보다 내한성, 내열성, 내유성 등 양호한 물성과 가공성도 우수한 조성물로 연질 PVC를 이용한 사출, 압출제품은 물론 필름이나 시트를 대체할 수 있으며, 외부용 비닐레자나 타포린 제조도 가능하고 PP, PE같은 올레핀계통과 폴리우레탄 계통의 후가공성(고주파가공, 인쇄성, 접착성 등)의 불량으로 가공이 어려웠던 분야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DOP나 DINP같은 프타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 유아나 아동용품, 의료용품 제조도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에서는 내한성, 내열성, 내후성이 우수한 PBT수지를 기제수지로하고 친환경 가소제 및 식물성오일을 혼합하여 경도를 낮추고 내열성, 내후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타 수지와의 혼합성과 상용성이 우수한 TPEE수지를 혼합하여 인장강도, 신율같은 물성을 보완하고 PBT수지와의 상용성과 가공성이 양호한 PET수지 복합체(PET Copolymer)를 혼합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며 TPEE수지를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수지로 대체하거나 혼합하여 접착성이나 고주파가공성 같은 후가공성을 개선하고 친환경 가소제나 식물성오일과 혼합성과 상용성이 양호하고 PBT수지와도 상용성이 양호한 코아셀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를 선정하였다.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수지는 테레프탈산이 1,4-부탄디올과 반응하여 만들어지며 EP(engineering plastic)로 분리된다.
PBT수지는 테레프탈산이 1,4-부탄디올과 반응하여 만들어지며 각종 EP(engineering plastic)중에서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결정성 수지로 결정화 속도가 빠르므로 성형 사이클이 짧고 내후성, 내마찰, 내마모 특성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전기, 전자, 자동차부품등에 주로 사용된다. 특히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이며 고온에서도 물성 저하폭이 좁고(120℃∼130℃에서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 고온, 고하중에서도 변형이 없다. 융점은 220℃∼225℃이다. 우수한 물성을 보유한 PBT수지로 PET-G수지를 대체 하므로서 PET-G수지를 기제로한 에라스토머의 물성을 크게 개선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 예 1>
원재료 조성 예 (단위 : kg)
성 분 실 험 예
1 2 3 4 5 6
W300A 100 100 100 100 100 100
가소제(NEO-P) 100 150 200 250 300 350
혼합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W300A 100 100 100 100 100 100
식물성오일(팜유) 50 75 100 125 150 200
혼합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1)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미스비시레이온의 W300A임.
(2)NEO-P :친환경 에스계 가소제로 애경유화의 상품명이다.
(3)팜유 :일반적으로 식물성오일중 비교적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연질PVC는 PVC RESIN에 가소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PVC와 가소제와의 혼합성과 상용성이다. 혼합성과 상용성이 불량하면 물성과 가공성의 저하로 제품화할 수가 없거나 설사 조성물이 형성되어도 양질의 조성물를 얻을 수 없다.
PVC RESIN은 분말상태며 입자가 다공성(porosity)이어서 수퍼믹서로 혼합하여도 가소제 흡수가 용이하나 PBT, PET-G, TPEE수지 같은 pellet상태의 플라스틱은 오일이나 가소제 같은 액체상의 원료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다.
수지가 분말상태, 입자상태, 다공성에 따라 수지의 가공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질PVC는 PVC레진과 안정제, 활제, 기타 첨가제와 가소제를 혼합기(수퍼믹서)에 넣어 100℃이상의 열에서 혼합하고 압출기로 170℃∼190℃의 열로 용융 혼합(mixing)하고 냉각하여 절단하면 입자상태의 연질PVC조성물이 완료된다.
PBT나 PET-G같은 입자(pellet)상태의 수지를 연질화(softening)하기 위하여 오일이나 가소제를 압출기의 베럴(barrel)내에서 수지를 용융함과 동시, 오일이나 가소제를 정량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강제 혼합한다. 오일펌프는 압출기 베럴에 구멍을 만든 후 그 구멍과 정량 오일펌프의 호수와 연결하여 강제 공급(side feeding)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이러한 혼합방법은 정량펌프를 사용하여도 정확한 양의 오일이나 가소제의 혼합이 어려우며 비교적 오일이나 가소제의 혼합성이 양호한 PBT나 PET-G도 30중량부 이상 혼합은 거의 불가능 하고 가능하여도 생산성이 낮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말상태의 코아셀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를 중간재로 선택하였다.
코아셀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는 주로 PVC 충격보강제(impact modifier)로 사용되며 셀(shell)부분과 코아(core)부분의 2중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셀부분은 주로 아크릴이나 SAN수지 같은 수지이고 코아부분은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시리콘고무 같은 고무로 구성된다.
부타디엔계 코폴리머는 타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아크릴계나 시리콘계 코폴리머는 주로 내후성 향상을 위한 충격보강제로 사용한다. 이들 코폴리머는 구형(원형)의 분말상태로 오일이나 가소제의 흡수성이 양호하며 PBT, PET수지복합체(PET Copolymer), TPEE수지와 TPU와 상용성이 양호하여 <실시 예1>에서는 우선 분말 상태인 아크릴계 코아셀형코폴리머인 W300A(일본 미스비시레이온사 제조)를 PVC와 같은 방법으로 상용성과 혼합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용 수퍼믹서에서 표1의 실험예1에서 6까지 NEO-P와 팜유의 혼합상태를 시험하였다.PVC 레진도 가소제의 종류에따라 혼합량이나 혼합상태가 다르다. W300A도 가소제나 오일의 종류에따라 혼합량이나 혼합상태가 다르다, 애경유화의 NEO-P와 식물성 오일 중에서 팜유가 비교적 W300A와 상용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어 표1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혼합온도는 약 30℃로 수퍼믹서에서 2분간 혼합하였다.
PVC는 보통 100℃ 이상 10분에서 20분 정도 혼합하나 W300A는 낮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혼합하여야 케익현상(덩어리 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에스터계 가소제는 식물성 오일이나 다른 계통의 가소제에 비하여 W300A와 상용성과 혼합성이 양호하여 혼합량이 증가하여도 비교적 끈적임 현상이 덜하여 다량의 가소제를 혼합할 수 있다.
표 1 실험예1에서 6까지 실시한 결과 실험예1,2,3,4는 혼합상태가 양호하였으나 실험예5는 다소의 끈적임 현상이 있었으나 케익현상이 발생할 정도는 아니였으며 실험예6은 끈적임 현상이 심하고 케익현상이 있어 혼합공정에서 PBT수지나 입자형태의 타 수지를 추가 혼합하여도 혼합물의 끈적임(sticky) 현상으로 원료공급이 용이하지 않고 생산성 저하 현상도 보였다.
팜유는 NEO-P에 비하여 수지와의 상용성과 혼합상태가 불량하여 표1과 같이 혼합량을 줄여 실시하였다.
<실시 예 2>
원재료 조성예 단위 : kg
성 분 실 험 예
1 2 3 4 5 6 7
PB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W300A 0 5 10 30 50 60 70
NEO-P 10 10 20 60 100 120 140
상용성,혼합성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성 분 실 험 예
1 2 3 4 5 6 7
PB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W300A 0 5 10 30 50 60 70
식물성오일(팜유) 10 10 20 60 100 125 150
상용성,혼합성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1)PBT ; 시료는 LG케미칼의 GP1000S임(2)W300A 미스비시레이온의 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
(3)NEO-P : 친환경 에스계 가소제로 애경유화의 상품명
실시예 2에서는 PBT수지와 가소제와 팜유의 상용성, 혼합성을 중점으로 시험하였다.
실시예 1의 실험예 3에서와 같이 W300A 100중량부에 가소제 NEO-P를 200증량부, 팜유는 150중량부 혼합하였을 경우가 끈적임 현상이 없는 가장 가공하기 좋은 상태며 NEO-P나 팜유의의 혼합량도 적정하여 이를 선택, 실시예 2에서는 표21과 표22의 실험예 1에서 7까지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21, 표22의 실험예1에서는 PBT수지 100중량부에 NEO-P와 팜유만 10중량부를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70℃까지 10분간 가열 혼합하였으나 NEO-P나 팜유의 흡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혼합물의 끈적임 현상으로 공급이 불가능하여 압출가공할 수가 없었으며 실험예2에서 7까지는 먼저 W300A와 NEO-P와 팜유를 각각 혼합기에 투입하고 1분간 혼합한 후 PBT수지를 혼합기에 투입하고 다시 1분간 혼합한 후 30mm TWIN압출기로 220∼230℃의 온도로 용융 혼합하고 냉각하여 절단하고 입자화한 후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PBT수지는 PVC에 비하여 타 수지나 가소제, 오일, 활제, 충진제와 같은 첨가제의 혼합이 용이치 않고 상용성도 PVC보다 불량하다. 따라서 연질화나 물성개선이 용이하지도 않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W300A의 양호한 상용성과 혼합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NEO-P는 에스터계 친환경 가소제로 PBT와 상용성과 혼합성이 양호하고 식물성 오일중 팜유는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가격도 비교적 저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표21의 실험예5에서와 같이 비교적 많은 량의 NEO-P 혼합량에도 블루밍(Blooming)현상은 있었으나 표면침출현상(bleeding)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표22의 실험예 6에서는 시편을 15일 간의 방치기간 후 관찰결과 표면침출현상(bleeding)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NEOP보다 팜유의 상용성이 불량한 이유로 판단된다.
DOP, DINP, DIDP, DBP 등 프탈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 및 PVC에 주로 사용하는 일반 범용 가소제는 PBT와 상용성이 불량하여 심각한 표면침출현상(Bleeding)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에스테르(ester)계 가소제는 PBT와 상용성과 혼합성이 양호하여 PVC용 일반 범용가소제나 식물성 오일에 비하여 물리적 물성도 양호하고 특히 내후성이 크게 개선되어 레자나 타포린 등 옥외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정도의 내후성을 보였다.
에스터계 가소제(ester-based plasticizer)는 산과 알콜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에스테르 반응은 통상 산 촉매 또는 금속 촉매하에서 실시된다. 프타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의 독성물질 논란으로 PVC의 환경문제와 더불어 사용 기피되고 있어, 프탈레이트(phthalate)가 포함되지 않은 에스터계의 물질를 기본 골격으로 하면서도 프타레이트계 가소제와 동등한 가소화 효율을 보유한 카르복시릭 아로메틱 에스테르(carboxylic aromatic ester), 벤젠디카르복시릭산 에스테르(benzendicarboxylic acid ester), 다이이소노닐에스테르(diisononyl ester) 등 친환경 가소제가 개발되고 사용량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유채유, 콩기름, 야자유를 에스테르화시킨 식물성 오일과 바이오디젤유(Bio-Diesel)도 가소화 효율과 상용성도 양호하다. 바이오디젤유는 유채유나 콩기름을 에스테르화 한 것이며 야자유, 폐식용유도 사용된다.
표21 실험예2,3,4,5는 상용성과 혼합성이 양호하여 브리딩(bleeding)현상도 없었으나 실험예6은 약간의 브리딩(bleeding)현상이 있었으나 개선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실시예7은 브리딩(bleeding)현상이 심하였다. 표22의 실험예6은 브리딩(bleeding)현상이 심하여 개선하여도 부루밍(bloomig)현상이 발생하였다.
브리딩(bleeding)현상이 심한 이유는 수지에 비하여 과다한 가소제나 팜유같은 액체상태물질의 혼합량이 과다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질PVC는 보통 가소제의 함량이 30PHR이상이다. 따라서 연질PVC를 대체할 정도의 PBT수지의 연질화하기 위하여는 가소제나 오일의 혼합량을 증량하여야 하는데 상용성이 불량하면 브리딩(bleeding)현상이나 브로밍(blooming)현상이 발생한다.
연질수지에서 가장 주의하여야할 부작용이 브리딩(bleeding)현상과 브로밍(blooming)현상이다.
식품용이나 완구용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이나 바이오디젤유가 선호되며 친환경 가소제는 완구용이나 일반 비닐제품용으로 사용된다.
<실시 예 3>
원재료 조성예 단위 :kg
성 분 실 험 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PB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223A 5 5 10 10 20 40 40 40 100 100 100 100
NEO-P 10 10 20 20 40 80 80 80 100 120 120 120
TPEE 0 5 10 20 40 40 80 100 120
TPU 0 5 10 20 40 40 80 100 120
상용성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혼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부작용 백화현상 표면불량 blooming blooming
성 분 실 험 예
1 2 3 4 5 6 7 8
PET-G(KN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223A 15 15 15 15 20 20 20 20
NEO-P 30 30 30 30 40 40 40 40
TPEE(D경도40) 50 100 10 150
TPU(A경도75) 50 100 10 150
경도(A) 97 97 96 96 97 97 93 87
인장강도 kgf/㎟ 1.82 1.60 1.8 96 200 1.88 1.55 78
신율(%) 365 93 378 217 154 100 463 301
(1)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은 ㈜코오롱에서 제조되는 품목번호 KP3340임.
(2)PBT ; 시료는 LG케미칼의 GP1000S임
(3)C223A :미스비시레이온의 부타디엔고무계 코아셀형 코폴리머.
(4)NEO-P : 친환경 에스계 가소제로 애경유화의 상품명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s)수지는 하드세그먼트(crystallizable glycol terepohthalate)와 소프트세그먼트(amorphous elastomeric polytetramethylene ether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는 불록코폴리머로 고무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고 내열성, 내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PVC, TPU, PET-G 등 타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시험결과 PBT수지와의 상용성도 우수하여 PBT수지를 기제로한 에라스토머의 물성개선에 적합한 수지로 판단되었다.
TPEE수지의 탄성은 하드세그먼트가 결정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가교점으로 되고 무정형의 소프트세그먼트가 유연성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발현되며 하드세그먼트는 주로 강직성, 모듈러스, 기계적강도, 내열성, 내유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소프트세그먼트는 고무탄성, 유연성, 저온특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소프트세그먼트의 비율이 높으면 엘라스토머의 특성인 반발탄성, 유연성, 내충격성등이 우수한 현상이 나타나므로 소프트세그먼트 비율이 높은 저경도(D경도 40이하)의 TPEE수지를 선택하면 양호한 혼합성과 상용성이 우수하고 경도도 낮추는 효과도 있다. TPU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일종으로 탄성(elasticity), 투명성, 내유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수지이며 자동차, 가구, 신발, 스포츠 용품, 의료용등 가장 용도가 많은 수지중 하나로 연질 pvc의 대체로 점차 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에태르(polyether)계가 있으며 폴리에스터계 TPU는 내마모성, 기계적물성, 내화학성, 사출가공성이 양호하며 폴리에태르계 TPU는 내한성, 내 가수분해성이 우수하며 PVC, ABS, SBS, TPEE등 타 수지와 상용성과 혼합성이 양호한 불럭코폴리머 수지로 물성 개선용으로도 사용하는 우수한 물성을 보유한 수지이고 PET-G는 PET Copolymer중 물성도 양호하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지이다.
실험예3에서는 PBT수지와 부타디엔고무계 코아셀형 코폴리머인 C223A, 친환경 가소제인 NEO-P와 PET 복합체(PET Copolymer)인 PET-G수지를 혼합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물성의 결점을 TPEE수지와 TPU수지를 혼합하여 보강하는 실험을 표31, 32 와 같이 실시하였다.
PBT수지나 PET-G수지는 타 수지나 가소제, 활제, 충진제, 난연제 등 기타 첨가제와 혼합하면 PVC보다 심한 기계적 물성 저하 현상을 가져온다.
비교적 상용성이 양호한 C223A와도 이러한 현상의 일종인 백화현상(whitening)이 발생하고 갈라짐 현상(crack)도 나타난다. 가공성도 불량하여 제품표면의 결함도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가소제나 오일 같은 액체류 물질을 보통 20%이상 혼합하면 없어지나, 과도한 액체물질의 혼합으로 경도저하와 동시 인장강도와 신율, 탄성 같은 심각한 기계적 물성 감소를 가져온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PBT수지와 PET-G수지와 상용성이 가장 우수한 TPEE수지와 TPU수지를 혼합함으로서 극복할 수 있다. 가능한 저경도의 TPEE수지나 TPU수지를 혼합하면 경도 저하효과도 있어 W300A나 가소제의 혼합량도 줄일 수 있다. PBT와 PET-G수지는 TPEE나TPU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하나 W300A와는 양호한 정도는 아니다.
따라서 PBT수지나 PET-G수지에 C223A의 혼합량이 증가하면 인장강도, 신율, 탄성 같은 물성의 악화현상이 나타나며, TPEE수지나 TPU수지는 PBT수지나 PET-G수지, 그리고 C223A와도 상용성이 우수하여 상용화제(compatibility)와 같은 역할을 한다. 본 조성물에 적당한 상용화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31 실험예1은 PBT수지와 C223A와 NEO-P를 혼합한 조성물로 혼합 상태는 양호하나 백화현상이 심하였다. 실험예2에서 실험예6까지는 TPEE수지와 TPU수지의 혼합량을 점차 증량하여 물성 개선상태를 관찰하였다. 실험예2는 약간의 백화현상이 있었으나 후도(thickness)가 0.05mm이하의 필름에서는 백화현상이 관찰되지 않을 정도로 개선되었으나 사출된 시편에서는 불량한 표면상태가 관찰되어 실험예3,4,5,6과 같이 TPEE수지와 TPU수지를 증량한 결과 사출한 시편의 표면상태도 양호하게 되었다.
PBT수지에 가소제나 오일류의 액상물질를 혼합하는 것이 연질화하는 최적의 방법이나 bleeding이나 blooming같은 부작용을 해소하고 가공성과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액상물질의 흡수성이 양호한 W300A와 상용성이 우수한 TPEE수지나 TPU수지를 첨가해야 하는데 액상물질의 혼합량이 증가하면 W300A나 TPEE수지와 TPU수지도 비슷한 비율로 혼합량을 증가하여야 된다.
실험예7에서 실험예 12까지 NEO-P의 혼합량을 증량함과 동시 TPEE수지와 TPU수지를 각각 증량하여 TPEE수지와 TPU수지의 혼합성과 상용서을 비교한 결과 비슷한 상태를 보였으며,표32에서는 PET-G수지에 C223A와 NEOP를 혼합한 조성물에 TPEE수지와 TPU수지를 각각 혼합하여 물성비교 실험을 실시 하였다. TPEE수지는 경도가 가장 낮은 D경도 40인 SK Chemical의 품묵번호 240D와 TPU수지는 A경도 75인 ㈜코롱의 품목번호 475A를 각각 혼합하여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연질필름이나 준경질시트의 경도는 A95이상이나 비닐레더나 0.1mm이상의 두께가 두꺼운 시트는 A경도 80이하인 경우도 있다. PVC수지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A경도 90이하의 조성물를 구하는 경우 인장강도, 신율과 같은 물성저하와 가소제나 오일의 표면침출 현상이나 Blooming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가소제나 오일의 혼합량을 최소화 하고 경도가 낮은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D경도 40이하의 TPEE수지의 제조는 높은 원가와 생산이 용이하지 않으나 TPU는 A경도 60이하의 저경도 TPU도 제조되고 있어 A경도 90이하의 조성물를 구하고저 TPEE수지의 대체재로 TPU를 선택하여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표32의 실험예에서 TPEE를 혼합하는 경우가 TPU를 혼합하는 경우보다 전반적으로 물성은 양호하나 실험예 7과 8에서와 같이 혼합량이 150중량부로 증량하면 TPU수지가 TPEE에 비하여 경도가 저하 현상이 양호하고 실험예 8과 같이 A경도 78은 TPEE를 혼합하여서는 불가능하고 TPU수지를 혼합하므로서 고주파 가공성과 접착성도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다. TPU의 최대 결점은 불량한 가공성이다. 본 실험에서 시편의 사출 가공 시 TPEE수지가 혼합된 실험예1,3,5,7은 습기를 제거하지 않고 사출하여도 양호한 시편 제조가 가능하였으나 실험예2,4,6,8은 습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양호한 시편제조가 불가능 하였으며 사출시간도 길었으나 TPU수지에 비하면 양호한 사출가공성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는 TPU수지에 본 발명의 조성물를 혼합하면 가공성이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 예 4>
원재료 조성예 단위 :kg
성 분 실 험 예
1 2 3 4 5 6
PBT 100 50 100 50 100 50
W300A 20 20 20 20 20 20
가소제 40 40 40 40 40 40
TPEE 50 50 100 100 150 150
PET-G 0 50 0 50 0 50
인장강도 1.61 1.56 1.65 1.50 1.73 1.55
혼합성.상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가공온도(사출) 210∼220 190∼200 210∼220 190∼200 210∼220 190∼200
(1)PBT ; 시료는 LG케미칼의 GP1000S임(2)W300A : 미스비시레이온의 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
(3)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은 ㈜코오롱에서 제조되는 품목번호 KP3340임.
(4)PET-G ; SK chemical의 품목번호 KN100.
PBT수지는 가공(사출)온도가 230℃정도로 오일이나 가소제로 연질화 하여도 210∼220℃정도로 비교적 가공온도가 높다. 특히 사출온도는 낮은 온도가 유익하다. 실시예4에서는 PBT엘라스토머의 가공온도를 낮추고저 표4실험예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PET-G수지는 PBT수지와 상용성이 양호하고 W300A나 TPEE수지와도 상용성이 양호한 편이다.
PET-G수지는 그리콜 변성PET수지(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PET수지의 물성, 가공성 개선을 위하여 공단량체로 CHDM(1,4-cyclohexanedimethanol)를 첨가하여 공중합한 비결정 수지로 투명하고 우수한 광택, 인쇄성, 내충격성,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가공성 폭이 넓으며 환경호르몬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소각 폐기할 때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수지이고 가격도 비교적 저가이며 경질시트, 식품용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가공온도도 190∼200℃ 정도로 낮다. 일반적으로 적당한 고주파가공 온도는 160∼180℃이며 발포제의 발포온도는 160∼190℃가 적당하다.
PBT엘라스토머의 가공온도는 210∼220℃로 높아 가공온도를 20∼30℃정도 낮출필요가 있다. 가공온도가 높으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불량율도 높아진다. 수지 가공성에 있어서 가공온도와 유동성은 중요 요인 중 하나이다. 사출가공에 있어서는 가능한 낮은 가공온도와 양호한 용융흐름(melt flow rate)이 가공성 향상과 가공불량을 줄일 수 있고 튜부나 이형제품과 같은 압출가공은 낮은 가공온도와 낮은 용융흐름(점도가 높은 )이 가공성을 용이하게 하며 필름같은 T-DIE를 이용한 압출은 낮은 가공온도와 양호한 용융흐름이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PBT수지의 가공온도는 약230℃이고 PET-G수지의 가공온도 보다 20∼30℃ 높으며 PBT수지의 유동지수는 약 30g/10min정도이고 PET-G수지의 유동지수는 약10g/min정도로 PBT의 용융흐름이 양호하다. 표4 실험예 1과2, 3과4, 5와6에서와 같이 PBT수지를 PET-G수지로 50중량부 대체하므로서 가공온도를 10∼20℃ 낮출 수 있으며 유동지수는 10∼15g/10min정도 낮아진다. 이는 가공방법에 따라 PBT수지와 PET-G수지를 혼합하거나 대체함으로서 가공성을 조정할 수 있다. TPEE수지의 용융온도와 용융지수는 PET-G수지와 거의 비슷하다.
표4 실험예1에서 실험예2와 같이 PBT수지와 PET-G수지를 1:1의 비율로 시험을 실시한 결과 가공온도가 20℃정도 낮아졌으며 3과4, 5와6의 실시예에서도 같은 현상으로 사출표면도 양호하였다. 그러나 실시예1에서 6과 같이 PET-G수지의 혼합으로 인장강도 약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TPEE수지의 함량을 증가하면 보완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약간의 인장강도 개선효과가 있고 경도도 2∼3정도 낮아졌다.
인장강도 약화 현상은 W300A와 PET-G수지와의 상용성이 PBT수지와의 상용성보다 불량한 이유인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 예 5>
원재료 조성예 단위 :kg
성 분 실 험 예
1 2 3 4 5 6
PBT 100 100 100 0 0 0
W300A 0 10 20 0 10 20
C-223A 20 10 0 20 10 0
가소제(neo-p) 40 40 40 40 40 40
TPEE 100 100 100 100 100 100
PET-G 0 0 0 100 100 100
경도(A) 94 92 90 92 92 90
인장강도kgf/㎟ 1.73 1.67 1.71 1.70 1.66 1.65
사출온도(℃) 210 210 210 190 190 190
혼합성.상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내후성(1개월옥외노출) 변색 변색(약) 무변색 변색 변색(약) 무변색
(1)PBT ; 시료는 LG케미칼의 GP1000S임
(2)W300A : 미스비시레이온의 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
(3)C-223A : 미스비시레이온사 제조.
(4)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은 ㈜코오롱에서 제조되는 품목번호 KP3340임.
(5)PET-G ; SK chemical의 품목번호 KN100.
PBT나 PET-G같이 입자상태(pellet)의 원료를 compounding방법으로 연질화 하는 경우, 오일이나 가소제 같은 액상원료의 흡수성과 상용성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PVC, PS, PP같은 플라스틱의 충격을 보강하기 위하여 아크릴고무나 부타디엔계 고무를 주로 혼합하여 충격강도를 보강하나 bale상태의 아크릴고무나 부타디엔고무는 니더(neader)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고무 가공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가공하나 생산성이나 편리성의 결함으로 주로 분말상태의 코아셀형 코폴리머나 SBS나 SEBS같은 입자(pellet)상태의 원료를 사용한다.
실시예5에서는 PBT수지와 PET-G수지에 대한 아크릴고무계 코폴리머와 부타디엔고무계 코포리머의 상용성과 물성변화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5 실험예 1∼3은 PBT수지, 4∼6은 PET-G수지를 주 원료로 한 조성물에서 W300A(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와 C-223A(부타디엔 고무계 코폴리머:MBS)의 혼합으로 인한 변화를 비교하였다.
실험예1과 3, 4와 5같이 C-223A를 W300A로 대체한 결과 경도가 2∼4A 정도 낮아지고, 시험예1과3에서 경도가 낮아지는 비율에 비하여 인장강도는 양호하였다.
이는 W300A가 C-223A보다 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실험예4∼6에서는 큰변화가 없었다. PET-G수지는 PBT수지와 달리 W300A나 C-223A와의 상용성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편 사출온도는 PBT수지 조성물이 PET-G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20℃ 높았으며 실험예1∼3,4∼6에서와 같이 W300A가 양호한 내후성을 보였다.
부타디엔 고무에 비하여 아크릴고무의 우수한 내후성이 원인으로 판단되며 PET-G수지를 기재로한 조성물도 부타디엔고무계인 C-223A(MBS)를 아크릴고무계인 W300A로 대체하므로서 내후성 보강이 가능하여 외부용도로도 가능하다.
<실시 예 6>
원재료 조성예 단위 :kg
실 험 예
시험편 1 시험편 2 시험편 3
수지종류 : part PVC:100 PET-G:100 PBT:100
가소제(NEOP) : part 40 40 40
C223A 20 20
경도(A) 94±3 95±3 94±3
열특성(VSP) : 4.6kg/㎠·℃ 65.4℃ 67.6℃ 129.2℃
내한성(LTB) : ℃ -20 -53이하(비파괴) -53이하(비파괴)
※VSP (Vicat softening temperature) : ASTM D1525
연질PVC의 최대의 결점은 불량한 내열성과 내한성이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TOTM(Trioctyl trimellitate )같은 내열성 가소제나 DOA(Dioctyl adipate )같은 내한성 가소제를 혼합하여 개선하여도 한계가 있어 100℃ 이상의 내열성이나 -30℃이하의 내한성을 요구하는 용도에 사용이 불가능하다. 실시예6에서는 표6실험예와 같이 실시하였다. 시험편1,2,3과 같이 유사한 경도에서의 내열성과 내한성을 비교한 바와 같이 내열성이나 내한성은 수지의 물성에 따라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편 1과 2의 열변형 온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며 PBT수지를 주 원료로 한 시험편 3의 열변형 온도는 129.2℃로 유사한 경도의 열가소성플라스틱(Thermoplastic) 중 최고의 열변형온도를 보유한 수지로 생각되며 이러한 열변형 온도(HDT : Heat Distortion Temperature)는 PBT수지의 열변형온도가 155℃(4.6kg/㎠)정도로 높은 원인으로 생각된다. 시험편 2와 3의 내한성(LTB)은 PVC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하며 내한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블록코폴리머와 유사하며 PBT수지와 PET-G수지의 내한성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실험예에서 조성물의 용도에따라서 PBT수지와 PET-G수지의 혼합비와 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와 부타디엔계코폴리머의 선택이 조성물의 물성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충진제, 난연제, 활제, 자외선방지제, 산화방비제, 가공조제, 발포제와 같은 보조제를 첨가하므로서 다양한 용도의 조성물를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은 친환경수지로 연질PVC보다 내한성, 내열성, 내유성 등 양호한 물성과 가공성도 우수한 조성물로 연질 PVC를 이용한 사출, 압출제품은 물론 필름이나 시트를 대체할 수 있으며, 외부용 비닐레자나 타포린 제조도 가능하고 PP, PE같은 올레핀계통과 폴리우레탄 계통의 후가공성(고주파가공, 인쇄성, 접착성 등)의 불량으로 가공이 어려웠던 분야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DOP나 DINP같은 프타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 유아나 아동용품, 의료용품 제조도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6)

  1.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가소제 10 내지 120 중량부와,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s)수지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코아셀 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 10 내지 100 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을 10 내지 100 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코아셀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는 아크릴고무계 코풀리머(Acrylic rubber based cor-shell copolymer), 부타디엔고무계 코폴리머(Butadiene rubber based cor-shell type copolmer), 씨리콘/아크릴고무계코폴리머(sillicone/acryl rubber based core-shell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PBT수지는 20중량% 내지 100중량%를 PET수지 복합체(PET Copolymer)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수지 10중량% 내지 100중량%를 추가 혼합하거나,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s) 10중량% 내지 100중량%를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수지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KR1020180090136A 2017-10-24 2018-08-02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KR20190046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136A KR20190046612A (ko) 2017-10-24 2018-08-02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US16/156,244 US10913846B2 (en) 2017-10-24 2018-10-10 Polybutylene terephthalate elastomer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CN201811293692.8A CN110791060A (zh) 2017-10-24 2018-11-01 具有耐热性的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弹性体组合物
KR1020200112946A KR102518411B1 (ko) 2017-10-24 2020-09-04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267 2017-10-24
KR20170138267 2017-10-24
KR1020180090136A KR20190046612A (ko) 2017-10-24 2018-08-02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46A Division KR102518411B1 (ko) 2017-10-24 2020-09-04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12A true KR20190046612A (ko) 2019-05-07

Family

ID=616282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136A KR20190046612A (ko) 2017-10-24 2018-08-02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KR1020200112946A KR102518411B1 (ko) 2017-10-24 2020-09-04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46A KR102518411B1 (ko) 2017-10-24 2020-09-04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13846B2 (ko)
EP (1) EP3476896B8 (ko)
JP (1) JP2019077867A (ko)
KR (2) KR20190046612A (ko)
ES (1) ES296225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7352A (zh) * 2019-12-25 2020-04-24 会通新材料(上海)有限公司 一种聚酯型热塑弹性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5356B (zh) * 2023-01-18 2024-04-12 苏州西沃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寒pet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14B1 (ko) 2007-01-23 2010-12-28 (주)엘지하우시스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946B2 (ko) * 1973-09-13 1978-08-17
JPS5554347A (en) * 1978-10-18 1980-04-21 Teijin Ltd Industrial fastener
JPS5573751A (en) * 1978-11-28 1980-06-03 Teijin Ltd Tubing made of polyester resin
JPH0715049B2 (ja) * 1986-12-01 1995-02-22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646603B2 (ja) * 1988-01-13 1997-08-27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962611B2 (ja) * 1991-02-12 1999-10-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1939380A (zh) * 2008-02-04 2011-01-05 帝人株式会社 树脂组合物以及成型品
FR2937039B1 (fr) * 2008-10-13 2011-11-18 Roquette Freres Compositions elastomeriques a base d'esters d'une matiere amylace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telles compositions
CN105237964A (zh) * 2015-09-30 2016-01-13 滁州优胜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高抗冲pbt/bovc/tpu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70060229A (ko) * 2015-11-23 2017-06-01 이호영 물성이 개선된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KR101692873B1 (ko) * 2016-08-17 2017-01-06 이호영 내후성이 개선된 친환경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KR20190088143A (ko) * 2018-01-17 2019-07-26 이호영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적층직물
KR102162574B1 (ko) * 2018-06-28 2020-10-07 이호영 재활용이 가능하고 접착력이 우수한 포장용필름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14B1 (ko) 2007-01-23 2010-12-28 (주)엘지하우시스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7352A (zh) * 2019-12-25 2020-04-24 会通新材料(上海)有限公司 一种聚酯型热塑弹性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6896B1 (en) 2023-08-23
EP3476896A1 (en) 2019-05-01
EP3476896C0 (en) 2023-08-23
JP2019077867A (ja) 2019-05-23
KR20200106481A (ko) 2020-09-14
KR102518411B1 (ko) 2023-04-05
ES2962254T3 (es) 2024-03-18
US10913846B2 (en) 2021-02-09
US20200040178A1 (en) 2020-02-06
EP3476896B8 (en)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873B1 (ko) 내후성이 개선된 친환경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KR0130822B1 (ko) 그라프팅된, 다층-상의,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4503B1 (ko)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물
KR102190181B1 (ko) 강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조성물과 이의 제법 및 용도
KR10251841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CN101275011A (zh) 高抗冲击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372643B1 (en) Complex composition of styrene-based block copolymer and pbt resin
KR20170060229A (ko) 물성이 개선된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CN110791060A (zh) 具有耐热性的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弹性体组合物
KR101667453B1 (ko) 친환경 연질 mbs 수지 조성물
KR102162574B1 (ko) 재활용이 가능하고 접착력이 우수한 포장용필름 조성물
JP4953597B2 (ja) ポリブチレンサクシネート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589551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20200093500A (ko)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KR20220120900A (ko) 연질 친환경 접착필름
US20190217584A1 (en) Recycl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laminated fabric
KR102129227B1 (ko) 친환경 연질 mbs 수지 조성물
KR101433354B1 (ko)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장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화
KR20200088259A (ko) 재활용이 가능하고 접착력이 우수한 포장용필름 조성물
JP202318058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CN102199318A (zh) 夹花水晶台垫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