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544A -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544A
KR20190046544A KR1020170140458A KR20170140458A KR20190046544A KR 20190046544 A KR20190046544 A KR 20190046544A KR 1020170140458 A KR1020170140458 A KR 1020170140458A KR 20170140458 A KR20170140458 A KR 20170140458A KR 20190046544 A KR20190046544 A KR 2019004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channel
display device
sensing chan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760B1 (ko
Inventor
박철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7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IC,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오터치 입력을 구분하는 터치 I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INPUT UNIT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 내에 배치되고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냉장고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빌트인 타입(Built-In Type)의 냉장고는 주방의 수납장 등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가구도어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가구도어가 부착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는 저장실 내부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내에 장착된 경우, 고내 습기 및 냉기에 의해 PCB 등의 부품은 영향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 입력, 특히 정전식 터치 입력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고내 습기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막에 따른 오터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장고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 등에 의한 오터치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IC,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오터치 입력을 구분하는 터치 IC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IC를 포함하고, 전방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터치 입력 기판 각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은 복수의 센싱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은, 상기 복수의 센싱 채널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가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와 상기 터치 입력 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에는, 상기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텍스트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중 제1 센싱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1 센싱 채널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중 제1 센싱 채널과, 상기 제1 센싱 채널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오터치 입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압축기, 상기 저장실의 상단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압축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오터치 입력을 구분하는 터치 I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IC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중 제1 센싱 채널에 대해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 센싱 채널에 매칭되는 동작 또는 기능을 판별하고, 판별된 동작 또는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부는 센싱 채널들 및 센싱 채널들 사이에 형성되는 가드 채널들을 구비하여, 센싱 채널들 및 가드 채널들에 대한 터치 입력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수막 등에 의한 오터치 입력인지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습도가 높은 냉장고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되는 수막으로 인한 오터치 입력에 의해 냉장고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오작동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막으로 인한 오터치 입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빌트인 냉장고와 같이 냉장고 외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기 어려운 제품에 대해, 냉장고 내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냉장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상부에 출력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력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력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조명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명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조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냉장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상부에 출력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력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은 냉장고(1) 도어 방향, 즉 사용자가 냉장고(1)를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0)을 구비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저장실(110)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6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주방이나 특정 공간에 가구장(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가구장 내에 상기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은 도어패널(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저장실(110)을 구비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저장실(110)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상기 가구장 내로 수용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600)는, 상기 도어패널(7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700)의 회전 시, 상기 도어패널(700)와 연결된 상기 냉장고 도어(600)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110)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600)가 상기 저장실(110)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패널(700)이 상기 냉장고 도어(600)의 외측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600)를 커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6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도어패널(700)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60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패널(700) 및 상기 냉장고 도어(600)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800)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다관절 힌지 어셈블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실(110) 상단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명부를 일체로 연결한 출력모듈(500)이 설치된다.
그 이유는 냉장고 도어(600)의 전면이 도어패널(700)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냉장고 도어(600)에 설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력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출력모듈(500)은 상기 저장실(110)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110)을 향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3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조명부(300)를 하나의 몸체로 연결하고 상기 캐비닛(100)에 고정되는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조명부(300)는 결합부(400)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하나의 모듈로 저장실(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가독성 확보를 위해 전방의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300)는 후방의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방의 하측(도면상의 좌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조명부(300)는 후방의 하측(도면상의 우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실(110)의 전방에 서있는 사용자는 가독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조명부(3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저장실(110)의 후방의 하측을 향해 빛을 제공하기 때문에, 저장실(11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조명부(300)를 직접적으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저장실(110) 내측까지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브라켓 타입의 결합부(40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조명부(300)가 하나의 모듈로 연결된 상태로, 저장실의 상측 선단에 장착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다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실(110)의 상면에는 냉기 가이드(9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900)는 상기 저장실(110)의 상면에 고정되고, 내측에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930)를 구비한다. 상기 유로(930)는 기계실 측과 연결되어 증발기(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유로(930)의 냉기는 토출구(910,920)를 통해 저장실(11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토출구(910,920)는 저장실(11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단에 형성된 토출구(910)를 통해 토출된 냉기는 상기 출력모듈(500)에 의해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구(910)의 위치는 상기 출력모듈(5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토출구(910)에서 토출된 냉기는 출력모듈(500)의 후벽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고, 이후, 출력모듈(500)의 경사면(430)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하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토출구(910)는 출력모듈(5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토출구(910)에서 토출된 냉기는 출력모듈(500)에 의해 저장실(110)의 선단까지 안내되면서 유동되어 출력모듈(500)의 하부까지 냉기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600)까지 냉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력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면에 구비되는 광 투과성 재질의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피씨비 어셈블리(220)와,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220)가 수용되는 수용홈(231)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후방에 배치되며, 선단의 테두리(232)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후방은 후면커버(230)에 의해 보호되고, 전방은 투과성 재질의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정전식 터치(Touch) 타입의 디스플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로로부터 각종 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후면커버(230)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 내측을 향해 볼록한 걸림부가 구비된 고정 후크(21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230)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후크(211)에 끼워지는 플랜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커버(230)의 수용홈(231)에 피씨비 어셈블리(220)를 수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후방에서 후면커버(230)를 접근시키면, 상기 후면커버(230)의 플랜지(232)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탄성 변형되는 고정 후크(211)에 걸리고,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후면커버(230)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후면커버(230)는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는 검정색의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커버(210)는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광원(LED)이 꺼지면,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광원(LED)이 꺼진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디스플레이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히든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다.
반면,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광원(LED)이 켜진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온도상태, 기능키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과율을 조절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후면커버(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틈새를 통해 습기가 침투되어 피씨비 어셈블리(220)에게 영향을 미치고,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우,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후면커버(230)의 연결부위에 방수부재(250)를 부착한다.
상세히,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후면커버(230)의 결합부위에 부틸방수테이프(BUTYL TAPE, 250)를 붙여 고내의 습기가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후면커버(230)의 결합부위를 통해 피씨비 어셈블리(220)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에는 상기 고정 후크(211)가 형성된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통해 고내의 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전면에, 상기 통공이 형성된 부분에 부틸방수테이프(BUTYL TAPE, 250)를 붙여 고내의 습기가 피씨비 어셈블리(220)로 침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내의 냉기에 의해 피씨비 어셈블리(220)가 영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서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면커버(230)의 후방에 단열커버(240)를 씌운다.
상세히, 저장실 뒤쪽에서 나오는 냉기가 피씨비 어셈블리(220)에 전달되지 않도록 후면커버(230)의 후방에 단열커버(240)를 씌운다.
상기 단열커버(240)는 상기 후면커버(230)가 수납되는 수납홈(241)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230)의 후방에 배치되며,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단열커버(240)는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커버(230)에 수용된 피씨비 어셈블리(220)는 고내 냉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냉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커버(240)에는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홈(242)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후면커버(230)에도, 상기 단열커버(240)의 배선홈(24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선홈(233)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배선이 배선홈(233,24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결과적으로는 캐비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서, 조명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명부의 종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조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조명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30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그 간격이 벌어지면서 양측에 경사면(310a,310b)을 형성하는 조명 케이스(310)와, 상기 조명 케이스(3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광원(320)과, 상기 조명케이스(310)의 하단에 고정되는 광 투과성 재질의 조명 커버(330) 및, 상기 조명 케이스(310) 및 조명 커버(330)의 양측을 차폐하는 측면커버(3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명 케이스(31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된 광원(320)의 빛이, 조명 커버(3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거나, 조명 케이스(310)의 내측면에서 반사된 후, 조명 커버(3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어, 저장실(110)을 밝게 비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340)에는 상기 광원(320)의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320)이 배선홀(3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캐비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 케이스(310)는 내측면에 반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케이스(310)는 압출성형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케이스(310)는 내측 상단에 상기 광원(320)이 수용되는 수납공간(311)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311)의 하측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312)가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312)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314)이 마련되고, 상기 돌기부(312)의 단부는 경사부(315)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320)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판(321)과 LED소자(32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320)의 기판(321)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공간(311)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LED소자(322)는 상기 슬릿(314)에 배치되어 슬릿(314)을 통해 LED소자(322)의 빛이 조명 케이스(310)의 하측으로 조사되고, 조명 커버(3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슬릿(314)의 폭은 상기 LED소자(322)의 폭 보다 크고, 기판(321)의 폭 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315)는 LED소자(322)의 빛이 퍼지는 각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LED소자(322)의 빛이 경사부(315)의 모서리 등에서 차단되지 않고,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케이스(310)는, 내측 하단에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314)를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조명 커버(330)는 양측단부에 상기 홈부(314)에 끼워지는 돌기부(3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부(314)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홈부(314)에 돌기부(331)가 끼워지면서, 상기 조명 커버(330)는 조명 케이스(3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커버(330)는 양측에 측벽(332)을 형성하고 그 측벽(332)의 상단에 상기 홈부(314)에 끼워지는 돌기부(33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케이스(310)의 양측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명커버(330)의 측벽(332)을 커버하는 날개부(316)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케이스(310)의 경사면(310a,310b) 사이의 각도(α1)는, 상기 광원(320)의 빛이 퍼지는 각도(α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원(320)의 빛이 퍼지는 각도(α2)는 120°일 수 있고, 조명 케이스(310)의 경사면(310a,310b) 사이의 각도(α1)는 110°일 수 있다.
따라서, LED소자(322)에서 발생된 빛의 경계가 조명 케이스(310)의 내측면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조명 커버(330)의 끝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점 조명(spot)의 끝단이 제거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면 조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명 커버(330)는, 유백색의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LED소자(322)에서 발생된 빛은 유백색 반투명의 조명 커버(3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면서 더더욱 면 조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에 따르면, 조도는 최대한 확보하면서 면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LED소자(322)와 조명 커버(330)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확보(약 30mm이상)하여, 외부에서 점 조명(spot)의 경계가 흐릿해져 육안으로 식별될 수 없어, 결과적으로 면 조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적 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중심부에 제1개구(411)가 형성된 제1커버(410)와, 상기 제1커버(41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명부(300)가 노출되는 제2개구(421)가 마련된 제2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40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 및 상기 제2커버(42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410)의 상단과, 상기 연장부(440)의 상단은 상기 캐비닛(10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버(410)의 상단과, 상기 연장부(440)의 상단에는 상단 고정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단 고정부(45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410), 제2커버(420), 연결부(430), 연장부(440)의 양측도 캐비닛(100)의 양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버(410), 제2커버(420), 연결부(430), 연장부(440)의 양측에는 측면 고정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측면 고정부(45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내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명부를 하나의 출력모듈로 구성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갖고, 종래 대비 쉽게 고내에 장착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고내의 냉기 및 습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링구조 및 단열구조가 개선되어 PCB 등의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만큼의 조도는 최대한 확보하면서, 점 조명이 아닌 면 조명을 구현하여, 외관상 미려한 효과도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냉장고(1)의 각종 동작 상태(예컨대, 고내 온도, 이상 상태 여부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냉장고(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설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피씨비 어셈블리(220)는 상기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을 통해 피씨비 어셈블리(220)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피씨비 어셈블리(220)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 발광 소자(222), 리플렉터(reflector; 223), 및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판(2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디스플레이 커버(2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해당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IC(221a; 도 1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IC(221a)는, 제어부(1700; 도 17 참조)의 제어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222)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제어부(17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고내 온도나 이상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은 에폭시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되는 동판(copper plate)에 회로가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IC(221a)는 상기 회로와 연결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222)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의 전방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IC(221a)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발광 소자(222)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발광 소자(222)와 디스플레이 커버(210) 사이에는 광 통로(228)가 형성되어, 발광 소자(22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광 통로(228) 및 디스플레이 커버(21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광 통로(228)를 형성하기 위해, 리플렉터(223)와 터치 입력 기판(224) 각각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발광 소자(22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발광 소자(222)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리플렉터(223)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플렉터(223)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터치 입력 기판(224)을 지지할 수 있다. 리플렉터(223)는 레진(resin)이나 노릴(noryl) 등의 재질로 구현되어, 발광 소자(22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리플렉터(223)를 통과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리플렉터(223)는 발광 소자(22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으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터치 입력 기판(224)은 리플렉터(223)와 디스플레이 커버(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입력 기판(224)에는 사용자의 손 등이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소정 위치를 터치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700)로 전송하는 터치 입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 기판(224)은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221)과 유사하게, 에폭시 플레이트(225)의 적어도 일 면에 동판(226, 227)이 부착되고, 동판(226, 227)에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는 정전식 터치 입력 방식에 따라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부는 터치 입력의 감지 및 신호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 IC(225a; 도 16 참조)와 센싱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에폭시 플레이트(225)의 전면에 부착된 제1 동판(226)에는, 상기 센싱 채널을 형성하는 회로 패턴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는, 센싱 채널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 채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가드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동판(226)에는 상기 가드 채널을 형성하는 회로 패턴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채널과 상기 가드 채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 기판(224)의 터치 IC(225a)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형성되는 수막에 의한 터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14 내지 도 1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발광 소자(222) 사이에는, 발광 소자(22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이용하여 특정 텍스트나 기호 등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필름(229)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필름(229)은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터치 입력 기판(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름(229)은 발광 소자(222) 및 광 통로(228)와 대응하는 위치에, 특정 텍스트나 기호 등을 나타내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소자(222)의 발광 시, 상기 패턴을 통해 광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특정 텍스트나 기호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IC(221a)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 중 제1 발광 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텍스트 또는 기호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 또는 활성화됨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IC(221a)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 중 제2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텍스트 또는 기호에 해당하는 기능이 중지 또는 비활성화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부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부(224a, 224b)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 및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 및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은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 각각은 대응하는 광 통로(228)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 각각은 제1 동판(226)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3에서 상술한 필름(229)의 텍스트 또는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이나 동작을 설정하거나 실행하기 위해, 상기 텍스트 또는 기호가 표시되는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또는 기호가 표시되는 위치는 광 통로(228)와 대응하는 위치이고, 사용자가 상기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광 통로(228)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센싱 채널(226a)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 채널(226b)은 복수의 센싱 채널(226a)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센싱 채널(226a)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드 채널(226b)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가드 채널(226b)은 인접한 센싱 채널(226a)과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되어, 사용자의 센싱 채널(226a)에 대한 터치 입력 시 인접한 가드 채널(226b)로부터 터치 입력이 함께 감지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터치 IC(225a)는 센싱 채널(226a) 및/또는 가드 채널(226b) 각각이 형성된 위치 상의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사용자의 손 등 신체 일부가 접촉하거나, 수막(예컨대, 물방울 등)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신체 일부의 접촉이나 수막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을 참조하면, 센싱 채널(226a)에 대한 정전 용량을 제1 정전 용량(C1)이라 하고, 가드 채널(226b)에 대한 정전 용량을 제2 정전 용량(C2)이라 가정한다. 예컨대, 터치 입력 등이 없는 상태에서의 제1 정전 용량(C1)과 제2 정전 용량(C2)은 동일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센싱 채널(226a)이 형성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하거나 수막이 형성되는 경우, 제1 정전 용량(C1)이 변경될 수 있다. 터치 IC(225a)는 제1 정전 용량(C1)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센싱 채널(226a)이 형성된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 채널(226a)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터치 IC(225a)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700)로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가드 채널(226b)이 형성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하거나 수막이 형성되는 경우, 제2 정전 용량(C2)이 변경될 수 있다. 터치 IC(225a)는 제2 정전 용량(C2)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가드 채널(226b)이 형성된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가드 채널(226b)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더라도, 터치 IC(225a)는 제어부(1700)로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IC(225a)는 센싱 채널(226a) 및/또는 가드 채널(226b)에 대한 터치 입력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터치 입력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수막 등에 의한 오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 IC(225a)는 구분된 터치 입력이 수막 등에 의한 오터치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해당 터치 입력이 센싱 채널(226a)에 대한 터치 입력이더라도 제어부(1700)로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터치 IC(225a)가 센싱 채널(226a) 및/또는 가드 채널(226b)에 대한 터치 입력을 구분하는 방법의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터치 IC(225a)는 복수의 센싱 채널들 중 제1 센싱 채널(226a)으로부터만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면, 터치 IC(225a)는 제1 센싱 채널(226a)과, 상기 제1 센싱 채널(226a)과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 각각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은 수막에 의한 오터치 입력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수막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막은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막이 형성되는 영역은 센싱 채널(226a)이 위치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가드 채널(226b)이 위치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210)에 맺히는 물방울은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를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는 물방울에 의해, 제1 센싱 채널(226a) 및 그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에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IC(225a)는, 제1 센싱 채널(226a), 및 제1 센싱 채널(226a)과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 각각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은 수막에 의한 오터치 입력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IC(225a)는 제1 센싱 채널(226a)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어부(1700)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치 IC(225a)는 제1 센싱 채널(226a) 및 제1 센싱 채널(226a)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 각각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센싱 채널(226a)에 대한 제1 정전 용량(C1)의 변화량과,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 각각에 대한 제2 정전 용량(C2)의 변화량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수막 등에 의한 오터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정전 용량(C1)의 변화량이 제2 정전 용량(C2)의 변화량보다 큰 경우, 터치 IC(225a)는 감지된 터치 입력이 제1 센싱 채널(226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IC(225a)는 제1 센싱 채널(226a)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7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정전 용량(C1)의 변화량이 제2 정전 용량(C2)의 변화량과 같거나 작은 경우, 터치 IC(225a)는 감지된 터치 입력이 수막 등에 의한 오터치 입력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IC(225a)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7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부(224a, 224b)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226b)을 구비하고, 센싱 채널(226a) 및/또는 가드 채널(226b)에 대한 터치 입력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아니면 수막 등에 의한 오터치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습도가 높은 냉장고(1)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터치 입력부(224a, 224b)에 대한 오터치 입력에 의해 냉장고(1)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오작동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IC(221a)와 터치 IC(225a), 제어부(1700), 및 압축기(171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제어 구성이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냉장고(1)는 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0)는 냉장고(1) 내에 구비된 각종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컴퓨터, 및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0)는 터치 IC(225a)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각종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다.
터치 IC(225a)는 터치 입력부(224a, 224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226a)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7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0)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센싱 채널(226a)에 매칭되는 동작이나 기능을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700)는 판별된 동작이나 기능의 실행 등을 처리하기 위해, 냉장고(1)에 구비된 특정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빙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빙 기능과 매칭되는 제1 센싱 채널(226a)에 대해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IC(225a)는 제1 센싱 채널(226a)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제어부(17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0)는 수신된 제1 신호로부터, 제1 센싱 채널(226a)과 매칭되는 제빙 기능을 실행하도록 냉장고(1) 내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0)는 터치 IC(225a)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판별된 동작이나 기능의 실행/중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 IC(221a)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IC(221a)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된 동작이나 기능의 실행/중지 상태를 표시하도록 발광 소자(22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제빙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IC(221a)는 상기 제빙 기능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도록, 상기 제빙 기능과 대응하는 발광 소자(222)를 온 시킬 수 있다.
압축기(1710)는 냉장고(1)의 저장실(110)에 대한 냉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압축기(1710)는 리니어 압축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제어부(1700)는 터치 IC(225a)로부터 저장실(110)의 온도 조절을 위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압축기(17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저장실(1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IC;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오터치 입력을 구분하는 터치 IC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IC를 포함하고, 전방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터치 입력 기판 각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은 복수의 센싱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은, 상기 복수의 센싱 채널들 사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가드 채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와 상기 터치 입력 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에는,
    상기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텍스트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패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중 제1 센싱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1 센싱 채널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중 제1 센싱 채널과, 상기 제1 센싱 채널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오터치 입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압축기;
    상기 저장실의 상단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압축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오터치 입력을 구분하는 터치 IC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 기판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은 복수의 센싱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은, 상기 복수의 센싱 채널들 사이에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지 않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중 제1 센싱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1 센싱 채널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IC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 센싱 채널에 매칭되는 동작 또는 기능을 판별하고,
    판별된 동작 또는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 중 제1 센싱 채널과, 상기 제1 센싱 채널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드 채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오터치 입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냉장고.
KR1020170140458A 2017-10-26 2017-10-26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0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58A KR102403760B1 (ko) 2017-10-26 2017-10-26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58A KR102403760B1 (ko) 2017-10-26 2017-10-26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544A true KR20190046544A (ko) 2019-05-07
KR102403760B1 KR102403760B1 (ko) 2022-05-30

Family

ID=6665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458A KR102403760B1 (ko) 2017-10-26 2017-10-26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4292A (zh) * 2020-05-12 2021-11-16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KR20220150600A (ko) 2021-05-04 2022-11-11 김두식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필름 및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1996A (ja) * 2007-10-12 2009-05-21 Sony Corp 接触センサ
KR20110008931A (ko)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JP2011060170A (ja) * 2009-09-14 2011-03-24 Alps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JP2013134361A (ja) * 2011-12-26 2013-07-08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01509354B1 (ko) * 2013-12-12 2015-04-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그의 노이즈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1996A (ja) * 2007-10-12 2009-05-21 Sony Corp 接触センサ
KR20110008931A (ko)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JP2011060170A (ja) * 2009-09-14 2011-03-24 Alps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JP2013134361A (ja) * 2011-12-26 2013-07-08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01509354B1 (ko) * 2013-12-12 2015-04-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그의 노이즈 검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4292A (zh) * 2020-05-12 2021-11-16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CN113654292B (zh) * 2020-05-12 2024-05-28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KR20220150600A (ko) 2021-05-04 2022-11-11 김두식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필름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760B1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292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CN110546445B (zh) 在制冷器具上的信息显示
JP5106245B2 (ja) 冷蔵庫
JP5481733B2 (ja) 家具
JP5197172B2 (ja) 冷蔵庫
KR102011019B1 (ko) 냉장고
JP5988880B2 (ja) 冷蔵庫
JP5197185B2 (ja) 冷蔵庫
ES2773223T3 (es) Frigorífico
JP2013068402A (ja) 冷蔵庫
US8393746B2 (en) Light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8089244A (ja) 冷蔵庫
JP2006336985A (ja) 冷却庫
KR101373088B1 (ko) 냉장고
KR20190046544A (ko) 터치 입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490426B2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20190010342A (ko) 냉장고
US11454388B2 (en) Refrigerator
KR20210128685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JP6517977B2 (ja) 冷蔵庫
CN113739488B (zh) 冰箱
JP6325632B2 (ja) 冷蔵庫
JP7175125B2 (ja) 冷蔵庫
US20240085098A1 (en) Refrigerator
JP7153772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