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039A -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 Google Patents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039A
KR20190045039A KR1020180029716A KR20180029716A KR20190045039A KR 20190045039 A KR20190045039 A KR 20190045039A KR 1020180029716 A KR1020180029716 A KR 1020180029716A KR 20180029716 A KR20180029716 A KR 20180029716A KR 20190045039 A KR20190045039 A KR 20190045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piral pattern
extension pipe
lower extens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815B1 (ko
Inventor
팡 린 양
Original Assignee
팡 린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팡 린 양 filed Critical 팡 린 양
Publication of KR2019004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나사결합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덮개체를 입구부에서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킬 때, 내덮개가 덮개체의 회전운동의 영향을 받아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내에서 하부연장관까지 이동하여 개공과 내덮개의 방출구멍을 열어 서로 통하게 하며, 또한 방출구멍을 통해 첨가물을 떨어뜨려 용기 내에 담긴 액체 중으로 혼합되어 들어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 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명확하며, 또한 덮개체를 입구부에서 회전시켜 뺄 때, 방출구멍이 다시 밀봉 상태로 되어져 덮개체 내에 남은 첨가물이 외부로 흘러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SEALING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EALING CAP}
본 발명은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중화민국 특허 공고 제 TWI508903, TWI508899호의 발명안은 모두 본 발명 신청인의 기존의 발명 내용으로서 이 두 발명 모두 병마개와 용기에 관한 것이며, 그 중 병마개는 모두 덮개체와 고정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성부품세트를 덮개체에 설치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첨가물을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덮개체를 회전시킴으로서 첨가물을 고정부품세트에 노출된 개구를 통해 방출하여 해당 첨가물이 용기 내의 액체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술된 덮개체의 회전에 관해 설명해 보면, 덮개체를 느슨한 상태로 회전시키고 고정부품이 덮개체를 따라 위로 이동하여 고정부품 상의 개구가 노출될 수 있게 한 후, 첨가물을 방출하여 용기를 흔들어 줌으로써 첨가물이 용기 내의 액체와 충분히 혼합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혼합된 액체를 음용하는 경우, 반드시 해당 덮개체를 느슨하게 상태로 회전시켜 분리를 시키기 때문에 첨가물과 액체를 함께 음용하는 과정 중에 덮개체 동작이 비교적 많아지고 또한 분리시킬 때 개구에 액체가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내덮개와 덮개체의 나사 갈협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덮개체와 입구부의 나사 결합 방향을 형성함으로써 덮개체를 입구부에서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킬 때, 내덮개가 서로 대응되는 하부연장관에 대해 용기의 개구 내로 이동시키게 되며, 하부연장관의 개공과 내덮개의 방출구멍을 열어 서로 통하게 하고, 방출구멍을 통해 첨가물을 떨어뜨려 용기 내에 담긴 액체 중으로 혼합되어 들어가게 한 후, 용기를 흔들어 첨가물과 용기 내의 액체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덮개체의 동작이 비교적 적고 밀봉덮개를 열어 음용할 때 밀봉덮개에도 누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용기본체를 포함하여, 그 내부는 수납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입구부를 포함하며, 해당 입구부는 수납공간과 서로 통해 있는 개구를 갖추고 있다.
내덮개를 포함하며, 해당 내덮개는 속이 빈 형태로 양 끝단에는 각각 개방단과 밀폐단이 형성되며, 또한 외부테두리는 해당 입구부의 개구 내에서 잠시 그 내벽과 견고하게 저항이 되는 저항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내덮개는 해당 저항부와 밀폐단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해당 내덮개는 그 내부테두리에 최소한 하나의 제1내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다.
덮개체를 포함하며, 해당 덮개체는 제2내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나사결합 방식으로 입구부의 제1외나선형무늬부에 결합되며, 그 개구 중에는 하부연장관이 설치되고, 해당 하부연장관을 통해 첨가물을 수납 공간으로 용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끝단은 빈 상태로 개공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하부연장관의 외부테두리에는 제2외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내덮개는 해당 제1내나선형무늬부을 통해 해당 제2외나선형무늬부에 나사 결합되어 해당 하부연장관이 끝단이 해당 밀폐단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해당 개공과 해당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은 모두 잠시 밀봉된 상태로 서로 통하지 않은 상태이며, 그중 해당 내덮개는 제1내나선형무늬부와 해당 하부연장관의 제2외나선형무늬부의 나사결합 방향으로 설치되며, 또한 해당 제2내나선형무늬부와 해당 제1외나선형무늬부의 나사결합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해당 내덮개는 저항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저항부는 입구부의 개구 중에서 잠시 내벽에 견고하게 저항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덮개체가 해당 입구부에서 견고하게 조임 회전할 때, 해당 내덮개는 해당 덮개체의 회전운동을 따라 해당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내로 이동하며, 전술된 나사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과 서로 대응되는 해당 하부연장관가 해당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해당 하부연장관이 끝단이 분리되어 해당 밀폐단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해당 하부연장관의 개공과 해당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은 모두 서로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술된 첨가물이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을 따라 용기 안으로 떨어뜨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과 비교했을 때 뚜렷한 장점과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아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은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조작 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명확하며, 남은 첨가물이 외부로 흘러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덮개체, 내덮개, 용기본체의 입체 분해 배치도이다.
도2는 도1의 밀봉덮개와 용기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해부한 구조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덮개체, 내덮개, 용기본체의 입체 분해 배치도이다.
도4는 도2의 덮개체를 시계 방향으로 아래로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켰을 때의 해부 상태도이며, 도면 내에서 첨가물이 방출구멍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5는 도4의 덮개체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위로 느슨하게 회전시켰을 때의 해부 상태도이며, 도면 내에서 내덮개를 덮개체를 따라 회전하여 입구부에서 분리되게 하는 상태를 볼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해부 구조도이며, 도면 내에 당김고리가 설치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네 번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덮개체에 설치된 누출방지부품이 분리되고 또한 빨대를 내관의 천공을 거쳐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중으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덮개체, 내덮개, 용기본체의 입체 분해 배치도이며, 도면 내에 노즐세트가 덮개체의 상부연장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복수 개 밀봉덮개 세트가 용기본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덮개체, 내덮개, 용기본체의 해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도11의 내용은 본 발명에서 선택하여 사용한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본 발명의 신청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에 관한 것으로 선택 사용한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에서 도1및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술된 밀봉덮개는 용기본체(1)에 설치되어 있고, 내덮개(2)와 덮개체(3)를 포함하고 있다. 그 중,
도2에 나타난 용기본체(1)의 경우, 그 내부에 수납공간(11)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입구부(12)를 갖추고 있고,. 입구부(12)에는 수납공간(11)과 서로 통해 있는 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중에서 용기본체(1)는 음료가 들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병이다. 본 실시예 중에서 서술한 용기본체(1)는 임의로 취하여 전술된 밀봉덮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중에 판매되는 병 제품의 뚜껑을 제거한 병에 전술된 밀봉덮개를 다시 이용하면 된다.
도1및 도2에 나타난 내덮개(2)는 속이 빈 형태이며, 그 양 끝에는 각각 개방단(21)과 밀폐단(22)이 설치되어 있고, 내덮개(2)는 그 외부테두리에 저항부를 갖추고 있다. 내덮개(2)는 해당 저항부가 입구부(12)의 개구(13) 내벽(121)에 잠시 머무르며 견고하게 저항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덮개(2)는 해당 저항부와 밀폐단(22)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23)이 설치되며, 내덮개(2)는 내부테두리에 제1내나선형무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중에서 제1내나선형무늬부(24)는 해당 저항부와 개방단(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1 및 도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에서 서술된 저항부는 복수 개의 고리형돌출부(25)이며, 각 고리형돌출부(25)는 내덮개(2)가 존재하는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고리형의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고리형돌출부(25) 사이에는 O자형고리(251)가 설치되고, 해당 O자형고리(251)는 누출 방지 기능 및 고리형돌출부(25)를 보조하여 내벽(121)에 고정시키는 효과를 갖추고 있다. 도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두번 째 실시예의 경우, 서술된 저항부 역시 복수 개의 돌출부(25A)이며, 해당 복수 개의 돌출부(25A)는 내덮개(2)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고리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12)는 개구(13) 내에 복수 개의 홈부(122)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돌출부(25A)를 대응하여 삽입 위치시킨 후, 내덮개(2)의 개구(13) 내에서 입구부와 서로 대응하여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 중에서, 복수 개의 방출구멍(23)이 또한 내덮개(2)에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볼 발명 중에서 말하는 저항부는 입구부(12)의 개구(13) 내벽(121)에 잠시 머무르며 견고하게 저항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저항부가 내벽(121)에 존재하는 것은 결코 위치이동이나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고 내덮개(2)가 힘을 받아 상술된 견고하게 저항하는 저항력의 힘보다 커질 때, 상기 저항부의 저항을 극복하고 내덮개(2)가 개구(13) 내에서 위치이동을 하거나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3에서 나타난 덮개체(3)의 경우, 견고하게 조임 회전 혹은 느슨하게 풀림 회전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입구부(12)에 결합되고, 이러한 나사 결합은 덮개체(3)에 있는 제2내나선형무늬부(31)와 입구부(12)의 제1외나선형무늬부(123)가 서로 고정 설치되어 나사 결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덮개체(3)는 하부연장관(32)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하부연장관(32)이 덮개체(3)에서 입구부(12)에 나사 결합할 때, 해당 개구(13) 내로 뻗어 들어가게 되며, 하부연장관(32) 내에는 첨가물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33)이 형성되며, 하부연장관(32)이 끝단이 투공 형태로 된 개공(34)을 갖추고 있으며, 하부연장관(32) 외부테두리에는 제2외나선형무늬부(321)가 설치되며, 제1내나선형무늬부(24)가 제2외나선형무늬부(321)에 나사 결합으로 하고, 하부연장관(32) 끝단까지 나사 갈협되어 끝단이 밀폐단(22)과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서 개공(34)과 방출구멍(23)이 모두 잠시 밀폐된 형태가 되어 서로 통하지 않게 된다. 서술된 첨가물의 예를 들어보면 액상 형태의 식초, 술, 커피 혹은 가루 형태의 비타민 녹차가루, 효모가루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물을 용기본체(1) 내에 담긴 액체 혹은 분말에 넣어 혼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내덮개(2)는 제1내나선형무늬부(24)와 하부연장관(32)의 제2외나선형무늬부(321)의 나사 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며, 덮개체(3)와 입구부(12)의 나사 결합 방향과는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즉 제2내나선형무늬부(31)와 제1외나선형무늬부(123)의 나사 결합의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술된 밀봉덮개는 이미 용기본체(1)의 입구부(12)에서 회전하며, 만약 수납공간(33) 내에 담긴 첨가물을 방출구멍(23)을 통해 떨어뜨리고 싶을 경우, 덮개체(3)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입구부(12)와 서로 대응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아래로 강하게 회전되어 들어가게 되고, 하부연장관(32)이 개구(13) 내에서 회전을 하게 되여 수납공간(11) 내로 이동하게 되며, 내덮개(2)에는 복수 개의 고리형돌출부(24)가 잠시 내벽(121)에 머무르며 견고하게 저항을 하게 되기 때문에 하부연장관(32)을 따라 회전을 하지 않게 되지만 하부연장관(32)은 수납공간(11) 내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전술된 나사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결합으로 인해 하부연장관(32)의 회전 운동을 할 때, 내덮개(2)의 제1내나선형무늬부(24)가 제2외나선형무늬부(321)에 결합되어 구동되어 짐으로 이와 대응되는 하부연장관(32)은 다시 수납공간(11) 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덮개체(3)가 입구부(12) 견고하게 조임 회전할 때, 내덮개(2)가 덮개체(3)의 회전 운동을 따라 개구(13) 내에서 수납공간(11)의 내부로 이동하고, 또한 전술된 나사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부연장관(32)과 서로 대응되어 수납공간(1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개공(34)과 방출구멍(23)까지 이동하여 모두 열리고 서로 통한 상태가 된다. 즉 이를 통해 전술된 첨가물이 방출구멍(23)을 통해 수납공간(11) 내로 떨어뜨려지며 액체와 혼합된다. 또한 덮개체(3)가 입구부(12)에서 견고하게 조임 회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용기본체(1)를 흔들어 첨가물이 액체에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면 된다.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술된 첨가물이 혼합된 액체를 마실 경우, 덮개체(3)를 입구부(12)에서 시계 바늘 반대 방향으로 덮개체(3)가 입구부(12)에서 분리될 때까지 느슨하게 풀어주어 개구(13)를 노출 시키기만 하면 된다.
상술된 설명으로 본 발명이 갖춘 장점을 쉽게 알 수 있으며, 내덮개(2)를 제1내나선형무늬부(24)와 덮개체(3)의 하부연장관(32)의 제2외나선형무늬부(321)의 나사 결합 방향으로 설치하고, 덮개체(3)와 입구부(12)의 나사 방향의 반대로 결합하여, 덮개체(3)를 입구부(12)에서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키게 되면 내덮개(2)가 하부연장관(32)과 대응하여 용기본체(1)의 수납공간(11) 내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내덮개(2)의 방출구멍(23)이 노출되며, 이를 통해 첨가물을 노출된 방출구멍(23)을 통해 떨어뜨릴 수 있게 되고, 이어서 용기본체(1)를 흔들어 첨가물을 담겨있는 액체 내에 골고루 혼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와 기존의 방식인 덮개체를 반드시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키고 다시 느슨하게 풀어 첨가물을 첨가한 후 흔들어 주고 다시 느슨하게 풀어 음용을 하는 구조에 비해 간단하게 견고하게 조임 회전을 하고 느슨하게 풀림 회전을 하는 동작을 한 번만 진행하면 될 뿐만 아니라 방출구멍(23)이 덮개체(3)가 입구부(12)에서 분리될 때 밀폐 상태가 되기 때문에 누출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번 째 실시예에서는 용기와 밀봉덮개가 상품화된 세트로서 전술된 시중에서 얻을 수 있는 용기에 다시 밀봉덮개를 함께 사용하는 것과는 다른 형태이다. 그러므로 당김고리(35)를 덮개체(3)에 연결시키고, 당김고리(35)가 덮개체(3)를 따라 입구부(12)에 회전해 들어갈 때 당김고리(35)는 덮개체(3)의 입구부(12)에 견고하게 조일 수 있는 공간을 남기게 되고, 이때 만약 덮개체(3)를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키면 당김고리(35)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실수로 덮개체(3)를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켜 첨가물이 수납공간(34)으로 흘러 들어가는 방지할 수 있다. 첨가물을 흘러 들어가게 하고 싶을 때, 덮개체(3)를 입구부(12)에 대해 견고하게 조임 회전시키기 전에 당김고리(37)를 덮개체(3)에서 분리시켜 덮개체(3) 바닥부에 원래 존재하던 당김고리(35)의 공간을 확보하여 덮개체(3)가 입구부(12)에서 다시 견고하게 조임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전술된 방식으로 조작하면 첨가물을 방출구멍(23)을 통해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 중에서, 서술된 밀봉덮개의 덮개체(3)는 개공이 없는 형태이며, 또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덮개체(3)에 개공을 설치하여 빨대를 수납공간(11)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전술된 실시예의 덮개체(3)의 기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빨대(4)를 삽입 시킬 수 있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도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네번 째 실시예 중에서 내덮개(2)와 하부연장관(32)이 나사 결합을 할 때, 내관(36)의 한 끝단이 하부연장관(32) 내에서 덮개체(3)까지 뻗어 나오게 되고, 다른 끝단이 밀폐단(22)까지 뻗어 나오게 된다. 또한 통공(221)을 통해 내관(36)이 이를 관통하게 된다. 내관(36)은 천공(361)을 관통하여 밀폐단(22)과 덮개체(3)에 이르게 되고, 또한 천공(361) 밀폐시키는 덮개체(3)의 한 끝단에 누출방지부품(37)을 갖추고 있다. 해당 누출방지부품(37)은 여기에서는 붙임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빨대(4)가 누출방지부품(37)을 관통해 천공(361)의 한 끝단에서 멀어질 때, 천공(361)이 덮개체(3)와 밀폐단(22)을 통과해 용기본체(1) 내로 삽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관(36)의 한 끝단도 역시 밀폐단(22)을 관통해 들어가고, 다른 한 끝단은 덮개체(3)까지 관통해 들어가게 되어 (도면에는 미표시) 빨대(4)가 삽입될 수 있는 천공(361)을 제공하게 된다.
도8 및 도9의 내용은 다섯 번째 실시예이며 이를 참조해 보면, 덮개체(3)에 천공(361)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덮개체(3)의 꼭대기부에 상부연장관(38)이 설치되고, 해당 상부연장관(38)은 해당 하부연장관(32)이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381)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해당 상부연장관(38)은 제3외나선형무늬부(382)를 갖추고 있고, 해당 제3외나선형무늬부(382)와 덮개체(3) 내의 제2내나선형무늬부(31)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무늬를 갖추고 있다. 천공(361)은 덮개체(3)의 한 끝단이 상부연장관(38)을 관통하고, 해당 상부연장관(38)은 흡수부품(5)을 연결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흡수부품(5)은 빨대(51)가 내관(36)과 천공(361)을 관통하여 용기본체(1) 내로 뻗어 들어가게 되며, 해당 흡수부품(5)을 동작시키는 경우 용기본체(1) 내에 전술된 첨가물이 혼합되어 담겨있는 용액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서술된 흡수부품(5)이 하나의 노즐인 경우를 예로 들은 것이며 흡수부품(5)은 제3외나선형무늬부(382)에 고정 설치되어 용기본체(1) 내에 담긴 액체를 흡수해 스프레이 상태로 분무하게 된다. 또한 흡수부품(5)은 상술된 노즐 외에도 기타 상부연장관(38)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일정한 기능을 갖춘 부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젖병 꼭지를 상부연장관(38)에 설치한 후, 사람이 용기본체(1)에 담긴 액체를 흡수하여 음용할 수 있다.
이에 의거하여 첫 번째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밀봉덮개가 있을 경우, 도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밀봉덮개의 하부연장관(32)에 내덮개(2)가 설치되어 있을 때 다른 하나의 밀봉덮개의 상부연장관(38) 내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두 개의 밀봉덮개 중 하나의 덮개체(3)에 있는 제2내나선형무늬부(31)와 다른 하나의 상부연장관(38)에 있는 제3외나선형무늬부(382)는 서로 대응하여 잠금 설치되며 관통 연결되고, 그 결과 수납 공간의 절약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덮개체(3)의 상부연장관(38)은 흡수부품(5)이 직접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으를 통해 흡수부품(5)의 빨대(51)가 용기본체(1) 내로 뻗어 들어가 용액을 흡수할 수 있어 흡수부품(5)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다.
도1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이며, 제1실시예와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밀봉덮개에서 응용하는 용기본체(6)는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입구부를 갖추고 있으며(도면에는 미표시) 여기에 흡수부품(5)이 설치되고, 용기(1)를 폐합시키기 위해 개구(12) 갖추고 있고, 용기본체(6) 한 옆에는 다른 하나의 입구부(61)를 설치하고, 서술된 밀봉덮개 역시 덮개체(3)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목부(51)에 설치되고,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은 사용 방식으로 전술된 첨가물을 입구부(61)로 부터 용기(5) 내로 떨어뜨려 용액과 혼합시킴으로써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용기본체 11: 수납공간 12: 입구부
121: 내벽 : 121 122: 홈부 123: 제1외나선형무늬부
13: 개구 2: 내덮개 21: 개방단
22: 밀폐단 221: 통공 23: 방출구멍
24: 제1내나선형무늬부 25: 고리형돌출부 251: O자형고리 25A: 돌출부 3: 덮개체 31: 제2내나선형무늬부
32: 하부연장관 321: 제2외나선형무늬부 33: 수납공간
34: 개공 35: 당김고리 36: 내관
361: 천공 37: 누출방지부품 38: 상부연장관 381: 공간 382: 제3외나선형무늬부 4: 빨대
5: 흡수부품 51: 빨대 6: 용기본체
61: 입구부

Claims (10)

  1. 밀봉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본체 상에서 견고하게 조임 회전을 하거나 느슨하게 풀림 회전을 할 수 있는 나사 결합 형태로 개구의 입구부에 설치되며,
    해당 밀봉덮개는,
    내덮개를 포함하며, 해당 내덮개는 속이 빈 형태로 양 끝단에는 각각 개방단과 밀폐단이 형성되며, 또한 외부테두리는 해당 입구부의 개구 내에서 잠시 그 내벽과 견고하게 저항이 되는 저항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내덮개는 해당 저항부와 밀폐단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해당 내덮개는 그 내부테두리에 최소한 하나의 제1내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덮개체를 포함하며, 해당 덮개체는 제2내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나사결합 방식으로 입구부의 제1외나선형무늬부에 결합되며, 그 개구 중에는 하부연장관이 설치되고, 해당 하부연장관을 통해 첨가물을 수납 공간으로 용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끝단은 빈 상태로 개공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하부연장관의 외부테두리에는 제2외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내덮개는 해당 제1내나선형무늬부을 통해 해당 제2외나선형무늬부에 나사 결합되어 해당 하부연장관이 끝단이 해당 밀폐단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해당 개공과 해당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은 모두 잠시 밀봉된 상태로 서로 통하지 않은 상태이며, 그중 해당 내덮개는 제1내나선형무늬부와 해당 하부연장관의 제2외나선형무늬부의 나사결합 방향으로 설치되며, 또한 해당 제2내나선형무늬부와 해당 제1외나선형무늬부의 나사결합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해당 내덮개는 저항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저항부는 입구부의 개구 중에서 잠시 내벽에 견고하게 저항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덮개체가 해당 입구부에서 견고하게 회전할 때, 해당 내덮개는 해당 덮개체의 회전운동을 따라 해당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내로 이동하며, 전술된 나사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과 서로 대응되는 해당 하부연장관가 해당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해당 하부연장관이 끝단이 분리되어 해당 밀폐단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해당 하부연장관의 개공과 해당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은 모두 서로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술된 첨가물이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을 따라 용기 안으로 떨어뜨려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저항부는 복수 개의 내덮개가 존재하는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고리형의 돌출된 형태로 고리형돌출부가 형성되며, 혹은 복수 개의 내덮개가 존재하는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고리형의 돌출된 형태로 배열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해당 내덮개의 제1내나선형무늬부는 해당 저항부와 개방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내덮개와 하부연장관이 나사 결합을 할 때, 내관의 한 끝단이 하부연장관 내에서 밀폐단 혹은 덮개체 중 하나까지 뻗어 나오게 되고, 다른 끝단이 밀폐단 혹은 덮개체 중 하나까지 뻗어 나오게 되며, 내관은 천공을 관통하여 밀폐단과 덮개체에 이르게 되고, 또한 천공을 밀폐시키는 덮개체의 한 끝단에 누출방지부품을 갖추고 있으며, 빨대가 누출방지부품을 관통해 천공의 한 끝단에서 멀어질 때, 천공이 덮개체와 밀폐단을 통과해 용기본체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
  5. 제 4항에 있어서, 덮개체의 꼭대기부에 상부연장관이 설치되고, 해당 상부연장관은 해당 하부연장관이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해당 상부연장관은 제3외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제3외나선형무늬부와 덮개체 내의 제2내나선형무늬부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무늬를 갖추고 있으며, 천공은 덮개체의 한 끝단이 상부연장관을 관통하고, 해당 상부연장관은 흡수부품을 연결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흡수부품은 빨대가 내관과 천공을 관통하여 용기본체 내로 뻗어 들어가게 되며, 해당 흡수부품을 동작시키는 경우 용기본체 내에 전술된 첨가물이 혼합되어 담겨있는 용액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
  6.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해당 용기본체 내부에는 수납공간을 갖추고 있고, 또한 입구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입구부는 해당 수납공간과 서로 통해 있는 개구를 갖추고 있고;
    내덮개를 포함하며, 해당 내덮개는 속이 빈 형태로 양 끝단에는 각각 개방단과 밀폐단이 형성되며, 또한 외부테두리는 해당 입구부의 개구 내에서 잠시 그 내벽과 견고하게 저항이 되는 저항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내덮개는 해당 저항부와 밀폐단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해당 내덮개는 그 내부테두리에 최소한 하나의 제1내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덮개체를 포함하며, 해당 덮개체는 제2내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나사결합 방식으로 입구부의 제1외나선형무늬부에 결합되며, 그 개구 중에는 하부연장관이 설치되고, 해당 하부연장관을 통해 첨가물을 수납 공간으로 용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끝단은 빈 상태로 개공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하부연장관의 외부테두리에는 제2외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내덮개는 해당 제1내나선형무늬부을 통해 해당 제2외나선형무늬부에 나사 결합되어 해당 하부연장관이 끝단이 해당 밀폐단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해당 개공과 해당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은 모두 잠시 밀봉된 상태로 서로 통하지 않은 상태이며, 그중 해당 내덮개는 제1내나선형무늬부와 해당 하부연장관의 제2외나선형무늬부의 나사결합 방향으로 설치되며, 또한 해당 제2내나선형무늬부와 해당 제1외나선형무늬부의 나사결합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해당 내덮개는 저항부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저항부는 입구부의 개구 중에서 잠시 내벽에 견고하게 저항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덮개체가 해당 입구부에서 견고하게 회전할 때, 해당 내덮개는 해당 덮개체의 회전운동을 따라 해당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내로 이동하며, 전술된 나사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과 서로 대응되는 해당 하부연장관가 해당 용기본체의 수납공간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해당 하부연장관이 끝단이 분리되어 해당 밀폐단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해당 하부연장관의 개공과 해당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은 모두 서로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술된 첨가물이 최소한 하나의 방출구멍을 따라 용기 안으로 떨어뜨려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해당 저항부는 복수 개의 내덮개가 존재하는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고리형의 돌출된 형태로 고리형돌출부가 형성되며, 혹은 복수 개의 내덮개가 존재하는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고리형의 돌출된 형태로 배열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8. 제 6항에 있어서, 해당 내덮개의 나선형무늬부는 해당 저항부와 개방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9. 제 6항에 있어서, 내덮개와 하부연장관이 나사 결합을 할 때, 내관의 한 끝단이 하부연장관 내에서 밀폐단 혹은 덮개체 중 하나까지 뻗어 나오게 되고, 다른 끝단이 밀폐단 혹은 덮개체 중 하나까지 뻗어 나오게 되며, 내관은 천공을 관통하여 밀폐단과 덮개체에 이르게 되고, 또한 천공을 밀폐시키는 덮개체의 한 끝단에 누출방지부품을 갖추고 있으며, 빨대가 누출방지부품을 관통해 천공의 한 끝단에서 멀어질 때, 천공이 덮개체와 밀폐단을 통과해 용기본체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덮개체의 꼭대기부에 상부연장관이 설치되고, 해당 상부연장관은 해당 하부연장관이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해당 상부연장관은 제3외나선형무늬부를 갖추고 있고, 해당 제3외나선형무늬부와 덮개체 내의 제2내나선형무늬부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무늬를 갖추고 있으며, 천공은 덮개체의 한 끝단이 상부연장관을 관통하고, 해당 상부연장관은 흡수부품을 연결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흡수부품은 빨대가 내관과 천공을 관통하여 용기본체 내로 뻗어 들어가게 되며, 해당 흡수부품을 동작시키는 경우 용기본체 내에 전술된 첨가물이 혼합되어 담겨있는 용액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KR1020180029716A 2017-04-14 2018-03-14 밀봉덮개 및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KR102052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12455A TWI626198B (zh) 2017-04-14 2017-04-14 Cover and container having the cover
TW106112455 2017-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039A true KR20190045039A (ko) 2019-05-02
KR102052815B1 KR102052815B1 (ko) 2019-12-05

Family

ID=6325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716A KR102052815B1 (ko) 2017-04-14 2018-03-14 밀봉덮개 및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64899B2 (ko)
KR (1) KR102052815B1 (ko)
TW (1) TWI62619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567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엔피베버리지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220147317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7881B (zh) * 2022-03-10 2024-01-02 普瑞派医用新材料(无锡)有限公司 一种分离存储内容物的瓶盖以及可蒸煮的杀菌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3161A (ja) * 1997-03-26 1998-10-13 Mitsubishi Materials Corp 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容器
JP2011219149A (ja) * 2010-04-13 2011-11-04 Atlas Kasei Kk 容器の蓋体構造および該蓋体構造を用いた容器
JP2012519631A (ja) * 2009-03-03 2012-08-30 イム,ヒョビン 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287A (ko) * 2003-02-10 2004-08-18 조영국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US6926138B1 (en) * 2003-08-18 2005-08-09 Mark Floyd Basham Bottle cap including an additive dispenser
KR100593246B1 (ko) * 2003-11-28 2006-06-28 조영국 용기
JP3139281U (ja) * 2007-11-26 2008-02-07 正行 牧田 ボトルキャップ
EP2292525A1 (en) * 2009-09-04 2011-03-09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ontainer closure assembly
JP2015030479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光未来 水素水生成用キャップ
TW201532908A (zh) * 2014-02-25 2015-09-01 Fang-Lin Yang 瓶蓋及具有該瓶蓋之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3161A (ja) * 1997-03-26 1998-10-13 Mitsubishi Materials Corp 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容器
JP2012519631A (ja) * 2009-03-03 2012-08-30 イム,ヒョビン 容器蓋
JP2011219149A (ja) * 2010-04-13 2011-11-04 Atlas Kasei Kk 容器の蓋体構造および該蓋体構造を用いた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567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엔피베버리지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220147317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815B1 (ko) 2019-12-05
TWI626198B (zh) 2018-06-11
JP2018177368A (ja) 2018-11-15
TW201836943A (zh) 2018-10-16
JP6564899B2 (ja)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4309C (en) Child resistant concentrate cartridge and associated dilut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69942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KR20190045039A (ko)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
US20050115845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RU2008120866A (ru) Крышка-дозатор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слива двух отдельных жидкостей в определенном количественном соотношении
WO2007030663B1 (en) Inner container attachable to primary container cap
US10414563B2 (en) Sealing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ealing cap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JP6184900B2 (ja) 泡噴出容器
CN108725988B (zh) 封盖及具有该封盖的容器
KR20070121008A (ko) 마개 장치
KR200497215Y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JP5305337B2 (ja) 混合用容器
JP6343558B2 (ja) スクイズ式計量注出容器
JP5371665B2 (ja) キャップ付容器
TWM557715U (zh) 封蓋及具有該封蓋之容器
JPH1191789A (ja) カバーキャップ付き混合分配容器
JP2013103738A (ja) 混合容器
JP5785059B2 (ja) 混合容器
JP2010260595A (ja) 混合容器
JP5378136B2 (ja) キャップ付容器
JP2018070228A (ja) 密封口栓
JPH0326131Y2 (ko)
JP2009131619A (ja) 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