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882A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882A
KR20190044882A KR1020170137396A KR20170137396A KR20190044882A KR 20190044882 A KR20190044882 A KR 20190044882A KR 1020170137396 A KR1020170137396 A KR 1020170137396A KR 20170137396 A KR20170137396 A KR 20170137396A KR 20190044882 A KR20190044882 A KR 2019004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helf
base support
plate
uni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범수
김성은
정현준
정상득
Original Assignee
정범수
정현준
정상득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범수, 정현준, 정상득, 김성은 filed Critical 정범수
Priority to KR102017013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882A/ko
Publication of KR2019004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판 형상의 선반, 선반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조립공에 삽입 설치하는 베이스 지지부재,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측에 삽입 설치하며, 선반의 저면이 걸림상태로 안착되게 하면서 선반을 지지하는 걸림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y furniture}
본 발명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 및 취향에 따라 연결상태로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이전의 형태에서 벗어나 개성화되고 있으며 주거 환경의 변화에 따라 주거 공간 안으로 빌트 인(Builtin)되는 등 주변 생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형태의 가구들이 요청되고 있다.
이를 위해 대두된 주문형 가구는 틀에 박힌 형태를 벗어났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능동적으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비싸 일반 가정까지 보급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 대안으로 사각형의 상자를 쌓아서 임의의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공간박스 등이 새로운 가구의 종류로 대두되었으나, 각각의 박스가 단순히 포개져 구성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로부터 가구의 조립과 분해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가구가 분해되었을 경우 운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고 다양하게 가구 내부의 공간을 꾸밀 수 있어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조립식 가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가구는 나사나,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를 사용하여 패널을 조립하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많고, 조립 가능한 형상이 한정됨으로써 사용장소나 사용용도에 따른 변형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가구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359호(2006.11.13)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 장소나 용도에 따른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판 형상의 선반, 상기 선반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조립공에 삽입 설치하는 베이스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선반의 저면이 걸림상태로 안착되게 하면서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걸림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반이 다단으로 복수개 배치될 경우, 상기 걸림 지지부재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 관 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순차적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이 다단으로 복수개 배치될 경우, 상기 걸림 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 관 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측방향에 순차적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는, 직경이 커질수록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판,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하단에 연결되는 바닥판,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양단과 각각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단을 연결하는 수직판,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의 상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 및,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의 하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을 각각 연결되게 하면서 조립식 가구의 좌우수평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브라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베이스 지지부재를 선반의 조립공에 삽입되게 설치할 때, 선반이 베이스 지지부재 외측에 삽입 설치된 걸림 지지부재를 통해 걸림 상태로 지지되게 하는 바, 선반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 장소나 용도에 따른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설치 상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설치 상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조립식 가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조립식 가구의 결합상태 구성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설치 상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선반(100), 베이스 지지부재(200), 걸림 지지부재(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반(100)은 이후 설명될 베이스 지지부재(200) 및 걸림 지지부재(3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선반(100)은 각종 물건을 안착상태로 안정적인 수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00)은 물건을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구비한 상태로 다단으로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선반(100)에는 베이스 지지부재(200)를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조립공(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공(110)은 상기 선반(100)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공(110)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하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후 설명될 베이스 지지부재(200) 및 걸림 지지부재(300)의 수평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반(100)에는 조립공(110)에 삽입 배치되도록 링 단면 형상을 가지는 연결 고정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를 삽입 배치시 상기 조립공(110)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가 상기 조립공(110)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삽입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반(10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는 상기 선반(100)의 조립공(110)에 삽입되게 배치한다. 이같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는 상기 선반(100)의 조립공(110)에 삽입상태로 상기 선반(100)에 연결 배치됨으로써, 다단으로 상기 선반(100)을 배치할 때 각각의 선반(100)을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는 이후 설명될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를 연결 지지하는 바, 걸림 지지부재(300)가 상기 선반(100)을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봉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를 상기 조립공(110)에 삽입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반(100)을 걸림 지지되게 하는 관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외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립공(110)에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가 삽입된 상기 선반(100)의 저면을 걸림상태로 안착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의 내경은,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 외측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의 외경은, 상기 조립공(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가 상기 선반(100)을 안정적으로 걸림상태로 거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는 상기 선반(100)을 다단으로 배치시, 각각의 상기 선반(100)을 걸림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관 부재(301,302)들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301,302)들은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301,302)들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설치하는 상기 선반(100)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서로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의 첫번째 단위 관 부재(301)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 외측 하단에 삽입상태로 상단에 배치된 선반(100)의 저면에 걸림되면서 하단에 배치된 선반(100)을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두번째 단위 관부재(302)는 다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 외측에 삽입되면서 두번째 단위 관부재(302)의 하단은 상기 최하단에 배치된 선반(100)에 걸림 배치되고, 두번째 단위 관부재(302)의 상단에 걸림 거치되도록 상단에 배치되는 선반(100)의 조립공(110)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에 삽입되게 배치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상판(40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바닥판(5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40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상기 바닥판(500)의 길이방향 양단과 연결되게 하는 수직판(6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400)과 상기 수직판(600)의 상단 및 상기 바닥판(500)과 상기 수직판(600)의 하단은 나사나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400)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600)의 상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 및 상기 바닥판(500)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600)의 하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에는 상호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식 가구의 좌우수평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브라켓(700)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상판(400)과 상기 바닥판(500) 및 상기 수직판(600)에 각각 나사나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400)의 저면 및 상기 바닥판(500)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대응되게 삽입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상판(400)의 저면 및 상기 바닥판(500)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의 설치작업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판(400)과 상기 바닥판(500) 및 상기 수직판(600)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바닥판(500)을 설치장소의 바닥에 배치한 후,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하단을 수직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 외측에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의 하단에 배치할 첫번째 단위 관 부재(301)를 삽입 설치한다.
이후, 상기 선반(100)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즉, 상기 선반(100)의 조립공(110)에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를 삽입되게 하면서, 상기 선반(100)의 저면은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의 첫번째 단위 관 부재(301) 상단을 통해 걸림상태로 안착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 외측에 두번째 단위 관 부재(302)를 삽입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두번째 단위 관 부재(302)의 하단은 하부의 배치된 상기 선반(100)의 상면에 걸림상태로 안착 배치된다.
이후, 상측으로 다시 다른 상기 선반(100)의 조립공(110)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에 삽입되게 하면서, 상측의 선반(100)이 두번째 단위 관 부재(302)의 상단을 통해 걸림상태로 안착 배치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에 상기 선반(100)을 연결 설치되게 한 후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상단에 상기 상판(400)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400)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바닥판(50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되게 하도록 상기 수직판(600)을 설치한 후, 상기 상판(400)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바닥판(50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상기 수직판(600)의 상단 및 하단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를 상기 선반(100)의 조립공(110)에 삽입되게 설치할 때, 상기 선반(100)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의 외측에 삽입 설치된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를 통해 걸림 상태로 지지하는 바, 상기 선반(100)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 장소나 용도에 따른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설치 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조립식 가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조립식 가구의 결합상태 구성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선반(100a), 베이스 지지부재(200a), 걸림 지지부재(300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반(100a)은 이후 설명될 베이스 지지부재(200a) 및 걸림 지지부재(300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선반(100a)은 각종 물건을 안착상태로 안정적인 수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00a)은 물건을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구비한 상태로 다단으로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선반(100a)에는 베이스 지지부재(200a)를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조립공(11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공(110a)은 상기 선반(100a)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공(110a)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하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후 설명될 베이스 지지부재(200a) 및 걸림 지지부재(300a)의 수평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00a)은 다단으로 배치되게 복수개를 구비할 경우, 각각의 선반(100a) 위치에 따라 조립공(110a)의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되게 한다. 즉, 상부에 배치되는 선반(100a)의 조립공(110a) 직경은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선반(100a)의 조립공(110a)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선반(100a)의 상하 위치에 따른 조립공(110a)의 직경을 달리함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선반(100a)의 조립공(110a)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바, 다단으로 상기 선반(100a)을 배치할 때 이후 설명될 걸림 지지부재(300a)의 단위 관 부재(310a)를 삽입 배치되게 한 상태에서 걸림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선반(100a)에는 조립공(110a)에 삽입 배치되도록 링 단면 형상을 가지는 연결 고정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나 걸림 지지부재(300a)를 삽입 배치시 상기 조립공(110a)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나 걸림 지지부재(300a)가 상기 조립공(110a)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로 삽입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반(100a)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는 상기 선반(100a)의 조립공(110a)에 삽입되게 배치한다. 이같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는 상기 선반(100a)의 조립공(110a)에 삽입상태로 상기 선반(100a)에 연결 배치됨으로써, 다단으로 상기 선반(100a)을 배치할 때 각각의 선반(100a)을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는 이후 설명될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를 연결 지지하는 바, 걸림 지지부재(300)가 상기 선반(100a)을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봉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를 상기 조립공(110a)에 삽입 배치시킨 상기 선반(100a)을 걸림상태로 지지되게 하는 관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외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립공(110a)에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가 삽입된 상기 선반(100a)의 저면을 걸림상태로 안착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는 상기 선반(100a)을 다단으로 배치시, 선택적으로 상기 조립공(110a)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선반(100a)을 걸림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관 부재(310a,310b)들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310a,310b)들은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310a,310b)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단위 관 부재(310a,310b)의 직경이 커질수록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310a,310b)들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 외측에 삽입 배치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 외측으로 갈수록 단위 관 부재(310a,310b)의 길이가 짧아짐으로 인해, 상기 선반(100a)을 다단으로 배치시, 각각의 단위 관 부재(310a,310b) 상단에 상기 선반(100a)의 저면이 걸림상태로 안착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의 첫번째 단위 관 부재(310a)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 외측에 삽입상태로 상단에 배치된 선반(101a)의 저면에 걸림되면서 상단의 선반(100a)을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첫번째 단위 관 부재(310a)의 외측에 삽입되는 두번째 단위 관 부재(310b)는 상기 첫번째 단위 관 부재(310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하단에 배치된 선반(101b)의 저면에 걸림되면서 하단의 선반(101b)을 지지되게 한다. 이때, 하단의 선반(101b)에 형성된 조립공(110b) 직경은 상기 첫번째 단위 관 부재(310a)를 삽입 관통되게 할 수 있도록 상단의 선반(101a)에 형성된 조립공(110a)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상판(400a)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바닥판(500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400a)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상기 바닥판(500a)의 길이방향 양단과 연결되게 하는 수직판(600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400a)과 상기 수직판(600a)의 상단 및 상기 바닥판(500a)과 상기 수직판(600a)의 하단은 나사나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400a)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600a)의 상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 및 상기 바닥판(500a)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600a)의 하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에는 상호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식 가구의 좌우수평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브라켓(700a)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700a)은 상기 상판(400a)과 상기 바닥판(500a) 및 상기 수직판(600a)에 각각 나사나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400a)의 저면 및 상기 바닥판(500a)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대응되게 삽입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상판(400a)의 저면 및 상기 바닥판(500a)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의 설치작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판(400a)과 상기 바닥판(500a) 및 상기 수직판(600a)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바닥판(500a)을 설치장소의 바닥에 배치한 후,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하단을 수직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 외측에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의 단위 관 부재(310a)를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단위 관 부재(310a)는 상기 선반(100a)의 상하 방향 설치하고자 하는 단수에 따라 달리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선반(100a)을 2단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한 쌍의 상기 단위 관 부재(310a,310b)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외측에 삽입 설치한다.
이후, 상기 선반(100a)을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즉, 상기 선반(100a)의 조립공(110a)에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를 삽입되게 하면서, 상기 선반(100a)의 저면은 상기 걸림 지지부재(300a)의 단위 관 부재(310a,310b) 상단을 통해 걸림상태로 안착 배치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에 상기 선반(100a)을 연결 설치되게 한 후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의 상단에 상기 상판(400a)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400a)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바닥판(500a)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연결되게 하도록 상기 수직판(600a)을 설치한 후, 상기 상판(400a)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바닥판(500a)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상기 수직판(600a)의 상단 및 하단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를 상기 선반(100a)의 조립공(110a)에 삽입되게 설치할 때, 상기 선반(100a)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200a) 외측에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된 단위 관 부재(310a)를 통해 걸림 상태로 안착되게 하면서 지지하는 바, 상기 선반(100a)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 장소나 용도에 따른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 선반 110,110a: 조립공
200,200a: 베이스 지지부재 300,300a: 걸림 지지부재
301,302, 310a,310b: 단위 관 부재 400,400a: 상판
500,500a: 바닥판 600,600a: 수직판
700,700a: 브라켓

Claims (6)

  1.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판 형상의 선반과;
    상기 선반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조립공에 삽입 설치하는 베이스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선반의 저면이 걸림상태로 안착되게 하면서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걸림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다단으로 복수개 배치될 경우,
    상기 걸림 지지부재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 관 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순차적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한 조립식 가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다단으로 복수개 배치될 경우,
    상기 걸림 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 관 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외측방향에 순차적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한 조립식 가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조립식 가구.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관 부재는, 직경이 커질수록 길이가 짧게 형성된 조립식 가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판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하단에 연결되는 바닥판과,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양단과 각각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단을 연결하는 수직판 및,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의 상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 및,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수직판의 하단이 연결된 모서리부분을 각각 연결되게 하면서 조립식 가구의 좌우수평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조립식 가구.

KR1020170137396A 2017-10-23 2017-10-23 조립식 가구 KR20190044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96A KR20190044882A (ko) 2017-10-23 2017-10-23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96A KR20190044882A (ko) 2017-10-23 2017-10-23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82A true KR20190044882A (ko) 2019-05-02

Family

ID=6658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396A KR20190044882A (ko) 2017-10-23 2017-10-23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8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173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US7150364B2 (en) Shelving
US7878340B1 (en) Custom-fitted wine rack system
US8641003B2 (en) Shelving end brackets with interchangeable pieces for supporting hang rods of different sizes
US20030189020A1 (en) Storage track
US3066774A (en) Supporting column for partitions
US8777022B2 (en) Universal storage and shelving system
US11224289B1 (en) Shelf support assembly
US20220378195A1 (en) Combined type shelf
KR102186586B1 (ko) 무볼트 프레임가구
KR20190044882A (ko) 조립식 가구
JP2016049220A (ja) システムデスク
JP2008055032A (ja) 簡易組立棚
KR102497931B1 (ko)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1835701B1 (ko) 조립형 다용도 선반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JP5898809B1 (ja) ハンガーラック
KR101614834B1 (ko) 장식 가구용 접이식 패널
KR101834497B1 (ko) 조립식 선반구조
KR101850399B1 (ko) 소파용 장식장
JP5917585B2 (ja) 収納ユニット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KR200266673Y1 (ko) 조립식 수납 선반
KR102338617B1 (ko) 회전형 책장이 구비된 테이블
KR200343168Y1 (ko) 조립식 장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