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152A -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152A
KR20190034152A KR1020187035823A KR20187035823A KR20190034152A KR 20190034152 A KR20190034152 A KR 20190034152A KR 1020187035823 A KR1020187035823 A KR 1020187035823A KR 20187035823 A KR20187035823 A KR 20187035823A KR 20190034152 A KR20190034152 A KR 20190034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liquid
air
tank
steriliz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와타나베
사토시 와카사
타이죠 마츠카와
타쿠야 키타자토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멸균조(3) 내로부터 공기 제거 후, 멸균조(3) 내에 증기를 공급하고 멸균조(3) 내의 피멸균물을 멸균하는 증기멸균장치(2)에 사용된다. 열교환기(30)는 멸균조(3) 외부에 설치되고, 멸균조(3)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부(32)를 갖는 동시에, 이 중공부(32) 내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액체의 통액부(33)를 가진다. 판정 수단은 통액부(33)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에 따라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한다. 열교환기(30)의 상기 중공부(32)는 일단부에 멸균조(3)가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에 통액부(33)보다 바깥쪽에 돌출부(34)를 갖춘다. 멸균 공정 중, 열교환기(30)에서 응축하지 않고 잔류하는 공기는 상기 돌출부(34)로 압출된다.

Description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
본 발명은 증기멸균장치의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확인하기 위한 에어리크 감지장치와, 이 에어리크 감지장치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8월3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2016-152449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증기멸균장치는 아시다시피, 멸균조 내부를 포화 증기 분위기로 조성하여 멸균조 내부의 피멸균물을 증기로 멸균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외부에서 멸균조 내부에 공기 유입)가 발생하면 멸균조 내부를 포화 증기 분위기로 유지하지 못하고 소기의 멸균을 도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기존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치를 초과한 에어 리크의 유무)를 사전에 확인하기 위해 운전 전에 리크 테스트를한다. 구체적으로는 멸균조 내부를 일단 감압하여 유지하고 그 사이의 압력 상승을 감시하여 에어 리크의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0-237287호 공보
그러나, 기존 기술과 같이 운전 전에 리크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 만으로는 운전 중 (즉 증기 멸균 중)에 생긴 에어 리크를 감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증기멸균장치는 운전 개시 후 멸균조 내부의 감압을 수반하는 전처리 공정에서 멸균조 내부에서의 공기 제거를 도모할 수 있지만, 이 전처리 공정에서 멸균조 내부를 감압했을 때, 외부에서 멸균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멸균조와 문의 간격새를 밀봉하기 위해 패킹을 가압 공기로 문에 미는 경우가 있는데(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1), 가압 공기의 압력은 멸균조 내부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패킹 홈에서 누출된 가압 공기가 멸균조 내부에 유입될 우려도 있다. 그리고 기존 기술에서는 이러한 운전 중의 에어 리크를 감지할 수 없다.
한편, 출원인은 운전 중에 발생한 에어 리크를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크 감지장치를 제안하고 이미 특허 출원을 했다(특원 2015-215403). 이 장치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관(35)과 외관(36)의 이중관 구조의 열교환기(30)를 구비하고, 내관(35)의 중공 구멍은 멸균조 내부와 연통되어 내관(35)과 외관(36) 사이의 원통형 공간은 통액부(33)로 물이 통과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30)는 각 관(35), (36)의 축선을 상하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통액부(33)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설정 유량으로 물이 통과된다. 열교환기(30)에로의 급수구에 입구온도센서(46)가 설치되는 한편, 열교환기(30)로부터의 배수구에 출구온도센서(47)가 설치된다. 그리고 두 온도센서(46), (47)의 검출 온도차, 즉 통액부(33)에 대한 물의 출구온도와 입구온도의 온도차에 따라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열교환기(30)에 있어서, 증기는 응축하지만 공기는 응축하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에어 리크가 있으면 상기 온도차가 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에어 리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증기멸균장치의 경우 멸균 온도(전술한 것과 같이 포화 증기 분위기에서 멸균이 이루어 지므로 다시 말해 멸균 압력)를 바꾸어 운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121℃(205kPaA)의 표준 멸균 및 135℃(313kPaA)의 고온 멸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운전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멸균 온도를 변경하면 멸균조 내부 나아가 내관(35) 내의 압력도 변화하기 때문에, 내관(35) 내의 공기의 압축 상태가 변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있어서, (A)는 멸균 온도가 121℃인 경우, (B)는 멸균 온도가 135℃인 경우이며, 각각의 내관(35) 상부의 망점부가 공기 고임(공기 농도가 높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실제로 내관(35)에는 증기와 공기가 혼합되어 존재하고 위쪽으로 갈수록 공기 농도(공기 분압이라고 할 수도 있다)가 높아지도록 공기가 고인다. 따라서, 도면에서 망점부는 공기 농도가 소정보다 높게 되어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고 그것을 공기 고임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 고임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열교환기(30)에서 멸균조 내부로부터 증기가 공급되는데, 그 증기는 열교환기(30)에서 통수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응축수는 아래쪽으로 탈락한다. 이때 멸균조 내부로부터의 증기에 공기가 혼입되어 있으면, 공기는 응축되지 않고 남겨지게 된다. 그리고 멸균조 내부에서 열교환기(30)로 향하는 증기의 흐름에 따라 포화 증기에 혼입되어 있던 공기는 열교환기(30)에 갇힌 상태로 되어 열교환기(30)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 농도가 서서히 상승한다. 이렇게 하여 내관(35)의 위쪽으로 갈수록 공기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기(30)에서의 공기 농도의 상승은 응축 열전달률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멸균조 내부에서 증기 멸균 중에 에어 리크가 발생한 경우, 내관(35) 내의 상부에는 서서히 공기가 고인다. 다만, 같은 도면(A), (B)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같은 공기량일지라도 멸균 온도가 다르면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내관(35) 내를 차지하는 공기 고임의 크기가 다르게 된다. 이외에도, 공기 고임의 공기 농도는 증기 압력의 저하로 인해 상대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멸균 규격(JIS규격)에 있어서 허용되는 에어 리크량 일지라도 멸균 온도가 낮으면 열교환기(30) 내에서의 통수와의 열교환을 방해하여 판정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 중 발생한 에어 리크를 감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멸균 온도 변화에도 대응 가능한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멸균조 내부로부터 공기를 제거한 후에 멸균조에 증기를 공급하고 멸균조 내부의 피멸균물을 멸균하는 증기멸균장치에 사용되며, 상기 멸균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멸균조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동시에 이 중공부 내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액체의 통액부를 갖는 열교환기와,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에 따라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는 일단부에 상기 멸균조가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에 상기 통액부보다 바깥쪽으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크 감지장치이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에어리크 감지장치의 열교환기는 중공부가 멸균조 내부와 연통하는 동시에, 통액부에는 액체가 통과된다. 따라서, 열교환기에 있어서 멸균조 내부로부터의 증기의 응축 열전달에 의해 통액부의 액체는 가온되어 승온된다. 이때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가 있으면 열교환기의 중공부에도 증기를 동반하여 공기가 도입되기 때문에 증기에 공기가 혼입된만큼 통액부 액체에의 열 전달량이 감소하고 통액부 액체의 승온이 방해된다. 이를 이용하여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에 따라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게다가 증기멸균장치의 운전 중, 즉 증기 멸균 중에 있어서, 에어 리크의 유무 및 양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중공부는 멸균조에의 연결측과 반대측에 통액부보다 바깥쪽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가 있을 경우, 통액부 액체와의 열교환으로 응축하지 않고 남은 공기는 멸균조 내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혼합기(공기를 미량 포함한 증기)에 의해 돌출부에 밀려 나오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열교환부에 있어서 공기 농도의 상승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에 있어서 응축하지 않은 공기를 돌출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멸균조 내부에서의 혼합기와 통액부의 액체와의 열교환이 잔류 공기에 의해 저해되지 않는다. 특히 멸균 온도 (즉 증기 압력)가 낮고 공기의 압축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도 잔류 공기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에 있어서 멸균 온도에 상관없이 정확한 온도 변화를 감시하여 에어 리크의 유무 및 양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리크 감지장치가 멸균조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멸균조 내부에 있어서 피멸균물 수용 공간을 좁힐 우려가 없고, 피멸균물의 출입을 방해할 우려도 없다. 또한 에어 리크 감지장치가 멸균조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멸균 증기에 의해 외부에서 열을 받을 우려가 없고, 에어 리크의 유무와 양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열교환기는 내관과 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내관은 일단부가 상기 외관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멸균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내관의 중공구멍이 상기 멸균조 내부와 연통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돌출부로서 상기 외관보다 바깥쪽으로 연출되어 연출선단부(延出先端部)를 페쇄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의 원통형 공간으로 이루어진 상기 통액부에 상기 액체로서의 물이 통과되고, 상기 원통형 공간에 대한 급배수용의 입구부가 상기 외관의 둘레측벽에 상기 외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에어리크 감지장치이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을 사용하여 열교환기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내관의 단부를 멸균조에 연결하는 한편, 내관의 타단부를 외관보다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응축하지 않고 남은 공기를 고이게 하기 위한 돌출부로 할 수 있다. 또한 내관과 외관 사이의 원통형 공간이 통액부이고, 외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입구부로부터 액체가 출입한다. 그리고 통액부에 통과하는 액체로서 물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동시에 만일의 열교환기의 손상에도 안전하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외관에는 상기 내관의 상기 돌출부를 덮는 연장관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관의 돌출부와 상기 외관의 연장관부의 간극은 상기 통액부로서의 상기 원통형 공간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에 기재된 에어 리크 감지장치이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관의 돌출부를 덮는 연장관부를 외관에 설치하고, 내관의 돌출부와 외관의 연장관부의 간극을 통액부에 연통시켰다. 그러면 내관의 돌출부의 열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내관 및 상기 외관은 축선을 상하 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외관에 설치한 급배수용의 입구부의 내부, 아래쪽의 입구부가 상기 원통형 공간에의 급수구로 되는 한편, 위쪽의 입구부가 상기 원통형 공간으로부터의 배수구로 되고, 상기 원통형 공간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향해 물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기재된 에어 리크 감지장치이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관은 하단부가 멸균조에 연결되기 때문에, 내관으로의 증기 도입과 내관으로부터의 응축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내관과 외관 사이의 원통형 공간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향해 물이 통과하는 때문에 해당 원통형 공간으로부터의 통풍을 도모할 수 있고, 정확하게 에어 리크의 유무 및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통액부에는 액체가 설정 유량으로 통과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와 출구온도에 따라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 리크 감지장치이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통액부에 액체를 설정 유량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와 출구온도에 따라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멸균조 내부에서 피멸균물을 멸균 중,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출구온도와 입구온도와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5에 기재된 에어 리크 감지장치이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통액부에 액체를 설정 유량으로 통과시키면서 멸균조 내부에서 피멸균물을 멸균 중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출구온도와 입구온도와의 온도차에 따라 용이하고 확실하게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리크 감지장치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로서, 피멸균물이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에어리크 감지장치가 연결되는 멸균조와, 이 멸균조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흡인 배출하여 상기 멸균조 내부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과, 감압된 상기 멸균조 내부에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멸균조 내부 압력을 회복하는 복압(復壓) 수단과, 상기 멸균조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급증(給蒸) 수단과, 상기 멸균조 내부로부터 증기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drain) 배출 수단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멸균조 내부의 기체를 외부에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과, 상기 멸균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멸균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이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멸균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 상기 멸균조 내부의 피멸균물을 증기로 멸균하는 멸균 공정, 상기 멸균조 내부로부터 증기를 배출하는 배기 공정 및 상기 멸균조 내부를 감압하여 피멸균물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멸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상기 열교환기에 액체를 통과시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멸균장치이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증기멸균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멸균 공정에 있어서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열교환기에 액체를 통과시켜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 중 출구온도 외, 입구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입구온도도, 또한 유량을 설정 유량으로 유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량도 상기 멸균 공정 중에 소정 시간마다 운전데이터 기억수단에 저장하고, 이 운전데이터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기기에 출력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7에 기재된 증기멸균장치이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출구온도 외에 선택적으로 입구온도 및 유량을 멸균 공정 중에 소정 시간마다 운전데이터 기억수단에 저장해두고 필요에 따라 소정 기기에 출력 가능하기 때문에 멸균 관리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에 의하면, 운전 중에 발생한 에어 리크를 감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멸균 온도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는 도1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멸균 온도가 121℃인 경우, (B)는 멸균 온도가 135℃인 경우이며, 각각 내관 상부의 망점부가 공기 고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3은 멸균 온도121℃에서, 에어 리크의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A)와 (B)가 도2의 에어리크 감지장치의 경우, (A') 및 (B')가 도6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4은 멸균 온도135℃에 있어서, 에어 리크의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A)와 (B)가 도2의 에어리크 감지장치의 경우, (A') 및 (B') 도6의 에어리크 감지장치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5은 도1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선출원 발명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멸균 온도가 121℃인 경우, (B)는 멸균 온도가 135℃인 경우이며, 각각 내관 상부의 망점부가 공기 고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에어리크 감지장치(1)와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2)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에서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1)를 증기멸균장치(2)보다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하, 우선 증기멸균장치(2)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에어 리크 감지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증기멸균장치(2)는 피멸균물이 수용되는 동시에 에어리크 감지장치(1)이 연결되는 멸균조(3)와, 이 멸균조(3) 내의 기체를 외부로 흡인 배출하고 멸균조(3) 내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4)과, 감압된 멸균조(3) 내에 외기를 도입하여 멸균조(3) 내의 압력을 회복하는 복압 수단(5)과 멸균조(3)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급증 수단(6)과 멸균조(3) 내에서 증기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배출 수단(7)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멸균조(3) 내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8)과 이러한 각 수단(4)-(8)을 충분히 제어할 제어 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피멸균물은 특별히 따지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의료기구이다. 피멸균물은 선택적으로 멸균 가방, 부직포 또는 멸균 용기 등에 보관되어 있어도 된다. 피멸균물은 멸균조(3) 내의 선반에 실리거나 대차에 실려 대차와 함께 멸균조(3)에 수용된다.
멸균조(3)는 내부 공간의 감압 및 가압에 견디는 중공 용기이며, 일반적으로 대략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멸균조(3)는 피멸균물을 출입시키는 문(도시 생략)을 정면(도1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앞쪽)에 구비된다. 다만, 정면과 배면에 각각 문을 구비하고, 한쪽 문을 멸균조(3) 내에 멸균 전의 피멸균물을 넣기 위한 반입문(搬入扉)으로 하고 다른쪽 문을 멸균조(3) 외부의 멸균후의 피멸균물을 꺼내기 위한 반출문(搬出扉)으로 해도 된다. 어쨌든 문을 닫음으로 하여 멸균조(3)의 개구부를 밀폐되게 닫을 수 있다. 즉, 멸균조(3) 및 문의 간격새는 패킹(도시 생략)으로 봉인된다. 이때 멸균조(3)의 개구부에 따라 설치한 환상 패킹을 가압 공기로 문에 밀어 양자의 간극을 밀봉해도 된다.
멸균조(3) 내부를 외측으로부터 따뜻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멸균조(3)의 외벽에 증기 재킷(9)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증기멸균장치(2)는 내통(10)과 외통(11)을 구비하고, 내통(10)에서 멸균조(3)가 구성되어 내통(10)과 외통(11)과의 간격이 증기 재킷(9)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 재킷(9)은 멸균조(3)의 상하 좌우의 각 벽체에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증기 재킷(9)에는 재킷 급증로 (도시 생략)을 통해 증기가 공급되고, 그 증기의 응축수는 재킷 드레인 배출로(도시 생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증기 재킷(9) 내를 소정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증기 재킷(9) 내로의 증기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멸균조(3) 내부를 외측으로부터 소정 온도에서 가열할 수 있다.
감압 수단(4)은 진공 배기로(12)를 통해 멸균조(3) 내의 기체를 외부로 흡인 배출한다. 멸균조(3) 내에서의 진공 배기로(12)에는 진공 밸브(13), 수봉식(水封式) 진공 펌프(14) 및 체크 밸브(15)가 차례로 설치된다. 또한, 진공 배기로(12)에는 진공 밸브(13)와 진공 펌프(14) 사이에 증기 응축용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진공 밸브(13)를 개방함과 동시에 진공 펌프(14)를 작동시킴으로써 멸균조(3) 내의 기체를 외부로 흡인 배출하여 멸균조(3) 내를 감압할 수 있다.
복압 수단(5)은 감압 멸균조(3) 내에 급기로(給氣路)(16)를 통해 외기를 도입한다. 멸균조(3) 내로의 급기로(16)에는 에어 필터(17), 급기 밸브(18) 및 체크 밸브(19)가 차례로 설치된다. 다만, 급기 밸브(18)와 체크 밸브(19)는 설치 순서를 바꿔도 된다. 멸균조(3)에서 감압된 상태에서 급기 밸브(18)를 개방하면 차압에 의해 외부 공기를 멸균조(3) 내로 도입하여 멸균조(3) 내의 압력을 회복할 수 있다. 그 때, 에어 필터(17)에 의해 청정한 공기가 멸균조(3) 내로 도입된다. 또한, 급기 밸브(18)를 개도(開度)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멸균조(3)의 압력 회복을 천천히 실시할 수 있다.
급증 수단(6)은 급증로(20)를 통해 멸균조(3) 내로 증기(포화 증기)를 공급한다. 급증로(20)에는 급증 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급증 밸브(21)를 개방함으로써 증기 공급원(도시 생략)에서 증기를 멸균조(3) 내로 공급할 수 있다. 급증 밸브(21)의 개폐 또는 개도를 조정하여 멸균조(3) 내부의 증기 공급의 유무 또는 양을 변경할 수 있다.
드레인 배출 수단(7)은 드레인 배출로(22)을 통해 멸균조(3) 내에서 증기의 응축수를 배출한다. 멸균조(3) 내에서의 드레인 배출로(22)에는 스팀 트랩(23) 및 체크 밸브(24)가 차례로 설치된다. 급증 수단(6)에 의해 멸균조(3)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동안 증기의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 수단(7)에 의해 멸균조(3) 밖으로 배출된다.
배기 수단(8)은 가압된 멸균조(3) 내에서 배기로(25)를 통해 기체를 도출한다. 멸균조(3) 내에서의 배기로(25)는 배기 밸브(26) 및 체크 밸브(27)가 차례로 설치된다. 멸균조(3)가 가압된 상태에서 배기 밸브(26)를 개방하면 압력에 의해 멸균조(3) 내의 기체를 외부로 도출하여 멸균조(3) 내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배기로(25)는 상류(上流)측 (멸균조(3)측)에 있어서 드레인 배출로(22)과 공통 관로(管路)로 되어 있다.
멸균조(3)에는 멸균조(3)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28)와 멸균조(3)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9)가 설치된다. 압력 센서(28)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따지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시예와 같이 멸균조(3)의 윗측부에 설치된다. 한편, 온도 센서(29)는 멸균에 관한 각종의 규격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공통 관로(드레인 배출로(22)와 배기로(25)의 공통 관로) 중 멸균조(3)의 출구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수단은 상기 각 센서 (28), (29)의 검출 신호와 경과 시간 등에 따라 상기 각 수단 4~8을 충분히 제어할 제1제어기(도시 생략)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밸브(13), 진공 펌프(14), 급기 밸브(18), 급증 밸브(21), 배기 밸브(26), 압력 센서(28) 및 온도 센서(29) 등은 제1제어기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제어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절차(프로그램)에 따라 멸균조(3) 내의 피멸균물의 멸균을 도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증기멸균장치(2)는 터치 패널(도시 생략) 외에 선택적으로 조작 버튼(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이들도 제1제어기에 연결된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입력 패널을 배치하여 구성되며, 디스플레이에 각종 표시를 실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 버튼을 누르면 입력 패널에서 그것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화면을 바꿔 가며 각종 설정 또는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터치 패널의 표시화면의 데이터와 증기멸균장치(2)의 동작용 프로그램 등은 정보 기억부(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있다. 이 정보 기억부는 후술하는 운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운전데이터저장부(운전데이터 기억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증기멸균장치(2)는 운전 내용을 특별히 따지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예열 공정, 전처리 공정, 멸균 공정, 배기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 급기 밸브(18) 및 배기 밸브(26)를 열 수 있는 반면, 이외의 각 밸브(13), (21)는 닫혀 있고, 진공 펌프(14)는 정지하고 있다. 그리고 예열 공정중 또는 그 전후에는 멸균조(3) 내에 피멸균물이 수용되어 멸균조(3)의 문은 기체가 통과하지 않도록 닫혀진다. 이때, 급기 밸브(18) 및 배기 밸브(26)도 닫혀진다.
예열 공정에서 멸균조(3) 내를 가열한다. 구체적으로는 증기 재킷(9)에 증기를 공급하고 증기 재킷(9) 내를 소정 압력으로 유지함으로써 멸균조(3) 내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한다. 예열 공정의 시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전처리 공정을 시작하지만 예열 공정의 내용은 이후의 각 공정에 있어서도 계속해서 실시된다.
전처리 공정에서 멸균조(3) 내의 공기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압 수단(4)에 의해 멸균조(3) 내를 감압하고 그 때 급증 수단(6)에 의한 급증을 동반해도 된다. 또한 감압 수단(4)에 의해 멸균조(3) 내를 일단 감압한 후, 급증 수단(6)에 의한 급증과 감압 수단(4)에 의한 감압을 반복해도 되고, 급증 수단(6)에 의한 급증으로 대기압 이상의 압력까지 멸균조(3) 내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급증 수단(6)에 의한 급증과 배기 수단(8)에 의한 배기를 반복해도 된다. 어느쪽이어도 멸균조(3) 내에서의 공기 제거를 도모한 후, 최종적으로는 급증 수단(6)에 의한 급증으로 멸균조(3) 내를 멸균 압력까지 승압한다. 그리고 온도 센서(29)의 검출 온도가 멸균 온도가 되고, 압력 센서(28)의 검출 압력이 멸균 압력이 되면 다음 단계로 이행한다.
멸균 공정에서 멸균조(3)의 피멸균물을 증기로 멸균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센서(29)의 검출 온도가 멸균 온도(일반적으로 121℃ 또는 135℃)를 유지하도록 급증 수단(6)을 제어하여 멸균 시간을 유지하여 멸균조(3) 내 피멸균물을 멸균한다. 또는 압력 센서(28)의 검출 압력이 멸균 압력(멸균 온도에 해당하는 포화증기압력)을 유지하도록 급증 수단(6)을 제어하여 멸균 시간을 유지함으로써 멸균조(3) 내의 피멸균물을 멸균한다. 그 후, 급증 수단(6)에 의한 급증을 중지하고 다음 단계로 이행한다.
배기 공정은 가압 멸균조(3) 내에서 증기를 배출하여 멸균조(3) 내의 압력을 대기압 근처까지 낮춘다. 구체적으로는 배기 밸브(26)를 개방하여 멸균조(3) 외부로 증기를 도출한다. 배기 밸브(26)의 개방으로 설정배기시간을 경과하거나 멸균조(3) 내의 압력이 설정배기압력(대기압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압력)까지 떨어지면 배기 밸브(26)를 폐쇄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행한다.
건조 공정에서는 멸균조(3)의 피멸균물을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감압 수단(4)에 의해 멸균조(3) 내를 건조 압력까지 감압하여 건조 시간을 유지하여 멸균조(3)의 피멸균물을 진공 건조시킨다. 다만, 건조 공정에서는 감압 수단(4)에 의한 건조 압력까지의 감압과 복압 수단(5)에 의한 대기압 근처까지의 압력 회복을 반복하고 있다. 피멸균물의 건조 후, 감압 수단(4)을 정지하는 한편, 복압 수단(5)에 의해 멸균조(3) 내를 대기압까지 회복시켜 일련의 운전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에어리크 감지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에어리크 감지장치(1)는 멸균조(3)에 연결되는 열교환기(30)와 열교환기(30)에 대한 급배수 수단(31)과, 이 급배수 수단(31)을 제어함과 동시에 멸균조(3)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제2제어수단(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열교환기(30)는 멸균조(3) 외부에 설치되고, 멸균조(3)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부(32)를 갖는 동시에 이 중공부(32) 내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액체의 통액부(33)가 있다. 즉, 열교환기(30)는 중공부(32) 내의 유체와 통액부(33)의 통액을 혼합하지 않고 열교환한다. 통액부(33)에 통과하는 액체는 특별히 따지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물(상온수)이다. 이하, 통액부(33)에 통과하는 액체는 물로 설명하지만, 기타 액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열교환기(30)는 전술한 중공부(32)와 통액부(33)를 갖고, 중공부(32)의 일단부에 멸균조(3)가 연결되는 한편, 중공부(32)의 타단부에 후술하는 외측에 돌출부(34)를 구비한다면 그 구성을 특별히 따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30)는 금속제 이중관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30)는 도1에서 축선을 상하 방향에 따라 배치된 내관(35)과 이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관(36)을 구비한다.
내관(35) 및 외관(36)은 바람직하게는 단면 원형모양으로 되어 축선을 갖추면서 배치된다. 또한 내관(35) 및 외관(36)의 각 관부는 선택적으로 여러 부재가 연결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다만, 내관(35)은 적어도 외관(36)의 하단부보다 윗쪽은 열응력을 고려하여 단일의 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관(36)은 도1에서 부호L로 표시된 영역을 기본 부분(본체부)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단순히 외관(36)이라고 할 때, 일반적으로 외관(36)의 본체부를 말한다. 한편, 내관(35)은 외관(36)의 하단부보다 아래로 연출(延出)함과 동시에, 외관(36)의 상단부보다 윗쪽으로 연출한다. 즉, 자세한 내용은 변형예로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30)의 기본 구성은 도5와 같이 내관(35)이 외관 (36)을 관통하여 축방향 양측으로 연출한 구성으로 된다.
도1에서 내관(35)의 하단부는 연통관(37)을 통해 멸균조(3)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내관(35)의 중공 구멍이 멸균조(3) 내부와 연통된다. 한편, 내관(35)의 상단부는 외관(36)보다 위쪽으로 연출하고, 이 연출부의 상부 개구는 상단벽(38)으로 닫혀진다. 또한 내관(35) 중 외관(36)보다 위쪽으로의 연출부를 단순히 돌출부(34)라고 한다.
내관(35)의 돌출부(34)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멸균 공정에서 공기 고임으로 기능하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멸균 온도가 최소(즉 증기압이 최소)이고 또한 적어도 멸균 규격에서 허용되는 최대 에어 리크도(또한, 에어 리크도란 소정 시간 내에서의 멸균조(3) 내의 공기에 의한 승압분을 가리킨다(kPa/min))의 공기가 증기에 혼입된 경우에 그 혼합물이 멸균 공정 열교환기(30)에서 통수와 열교환하여 공기가 남아 있지만, 그 잔류 공기를 멸균 공정 중에 모을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외관(36)의 길이의 1/2배~1배 정도가 되어 도시예에서는 3/4배 정도로 되어 있다.
외관(36)의 상단부에는 내관(35)의 돌출부(34)를 덮는 연장관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연장관부(39)는 외관(3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외관(36)은 별체의 관을 외관(36)에 연결되어도 된다.
외관(36)의 하단부에서 외관(36)의 하부 개구(즉 외관(36)과 내관(35)의 간극)는 하단벽(40)으로 닫혀진다. 한편, 외관(36)의 연장관부(39)의 상단부에서 연장관부(39)의 상부 개구는 상단벽(41)으로 닫혀진다. 이때 내관(35)의 상단벽(38)과 외관(36)의 상단벽(41)을 공통화하여 하나의 상단벽에 내관(35)과 외관(36)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여도 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관(35)의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한 열응력 완화를 위해 도시예와 같이 내관(35)과 외관(36)을 서로 다른 상단벽(38), (41)으로 닫고 둘 사이에 간극을 열어 두어도 된다.
내관(35)의 외주면과 외관(36)의 내주면 사이의 원통형 공간은 재킷 모양의 통액부(33)로 한다. 때문에 외관(36)의 둘레벽에는 외관(36)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통액부(33)에 대한 급배수용의 입구부(36a),(36b)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외관(36)의 둘레벽의 상하 양단부에는 외관(3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하여 원통형의 입구부(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입구부(36a), (36b)는 통액부(33)에 대한 물의 출입구이며, 급배수 수단(31)에 연결된다.
또한 내관(35)의 돌출부(34)와 외관(36)의 연장관부(39)에서 돌출부(34)의 외주면과 연장관부(39)의 내주면 사이(및 내관(35)의 상단벽(38)과 외관(36) 상단벽(4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은 통액부(33)와 연통한다. 도시예에서는 내관(35)과 외관(36) 사이의 원통형 공간이 돌출부(34)와 연장관부(39)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한다.
이렇게하여 돌출부(34)와 연장관부(39)의 간극에도 통액부(33)에 통과하는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하면 내관(35) 부분의 열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관(35)은 외관(36)의 하단부에서 하단벽(40)에 용접되어 유지되고 상단부를 자유단으로 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내관(35)의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한 열응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통액부(33)는 말 그대로 기본적으로 액체를 일방 통행으로 유통시키는 영역을 말한다. 내관(35)의 돌출부(34)와 외관(36)의 연장관부(39)의 간극은 액체가 흐르기 어렵기 때문에 통액부(33)와 구별할 수 있다. 양자의 경계선(통액부(33)의 상단 위치)은 입구부(36a), (36b)의 배치에 따라 다르지만 적어도 상단의 입구부(36b)의 내주면의 최상부와 대응하는 부분까지 통액부(33)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서 부호L로 표시된 영역을 통액부(33)로 하고 있다.
내관(35)의 하단부는 도시예에서는 연통관(37)을 통해 멸균조(3)와 연결된다. 연통관(37)은 예를 들어, 내관(35)과 동일한 내외 직경을 갖는 관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연통관(37)과 내관(35)을 연속적으로, 즉 하나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 연통관(37)의 내외경을 내관(35)의 내외경과 달리하여도 된다. 또한, 열교환기(30) 및 연통관(37)은 단열재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열교환기(30)는 벽체에 장착용 플랜지(42)가 설치되어 있다.
급배수 수단(31)은 열교환기(30)의 통액부(33)에 통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30)의 통액부(33)는 내관(35)과 외관(36) 사이의 원통형 공간으로부터 구성되지만, 이 원통형 공간은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통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측의 입구부(36a)가 급수구로 되고 위측의 입구부(36b)가 배수구로 된다.
급배수 수단(3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액부(33)에는 급수로(43)와 급수로(43)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관(36)의 둘레벽의 상하 양단부에는 외관(3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출하여 원통형의 입구부(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의 입구부(36a)에 급수로(43)가 연결되는 한편, 상측의 입구부(36b)에 배수로(44)가 연결된다. 이때, 도시예에서는 각 접속부에 T자형관(45)((45X), (45Y))이 사용되고 있다. T자형관(45)은 좌우 방향으로 연출하는 직 관 (짧은 관) 주관부(45a) 및 그 주관부(45a)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는 지관부(45b)가 일체 형성된 있다.
그리고 하단의 입구부(36a)와 급수로(43)는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즉, 아래의 T자형관(45X)은 주관부(45a)를 좌우 방향에 따라 배치하고 하나의 개구부가 하측의 입구부(36a)에 연결되고 다른 개구부에는 후술하는 입구온도센서(46)가 설치되면서 폐쇄된다. 그리고 지관부(45b)를 아래로 향해 배치하여 그 하부 개구에 급수로(43)가 연결된다.
한편, 상단의 입구부(36b)와 급수로(43)는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즉, 위쪽의 T자형관(45Y)은 주관부(45a)를 좌우 방향에 따라 배치하고하나의 개구부가 상측의 입구부(36b)에 연결되고 다른 개구부에는 후술하는 출구온도센서(47)가 설치된하면서 폐쇄된다. 그리고 지관(枝管)부(45b)를 위쪽으로 향해 배치하고, 그 상부 개구에 급수로(43)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교환기(30)의 통액부(33)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물이 통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교환기(30)의 통액부(33)에서 환기를 자연스럽게 도모할 수 있으며, 통액부(33)의 통수 및 중공부(32) 내의 유체와의 열교환을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급수로(43)에는 열교환기(30)로 향해 스트레이너(48), 급수 밸브(49) 감압 밸브(50) 및 유량조정용노즐(51)가 차례로 설치된다. 스트레이너(48)는 수중의 불순물을 포착하고 급수 밸브(49)는 전자 밸브로 구성되어 감압 밸브(50)는 출구측 압력을 소정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유량조정용노즐(51)에 의해 급수 밸브(49)의 개방 시 설정 유량으로 열교환기(30)에 통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밸브(49)를 열어, 급수원의 압력에 의해 열교환기(30)에 통수할 수 있다. 그러나, 급수원의 압력에 따라 급수 밸브(49) 대신 또는 이에 더하여, 급수로(43)에 급수 펌프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다음의 설명에서 급수 밸브(49)의 개방시 급수 펌프를 작동시키면 된다. 또한, 급수 펌프를 정유량 펌프로 구성할 경우 감압 밸브(50) 및 유량조정용노즐(51)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배수로(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의 T자형관(45Y)의 지관부(45b)에 연결된다. 그 때 위쪽으로 향한 지관부(45b)의 상부에 연결되고, 도시예에서는 엘보우(elbow)관 등의 적절한 배관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아래의 배수 피트(pit) 등을 향해 배관된다. 또한, 배수로(44)는 선택적으로 배수 밸브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배수 밸브는 급수 밸브(49)와 연동하여 개폐를 제어한다.
통액부(33)에 대한 물의 입구온도와 출구온도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온도 센서(46), (47)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액부(33)의 입구부에는 입구온도센서(46)가 설치되는 한편, 통액부(33)의 출구부에는 출구온도센서(47)가 설치된다. 도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의 T자형관(45X)의 주관부(45a)는 하나의 개구부가 열교환기(30)의 입구부(36a)에 연결되고 다른 개구부에 입구온도센서(46)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측의 T자형관(45Y)의 주관부(45a)는 하나의 개구부가 열교환기(30)의 입구부(36b)에 연결되고 다른 개구부에 출구온도센서(47)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기타 급수로(43) 또는 배수로(44)는 선택적으로, 통수 유량을 감시하는 유량 센서(도시 생략)를 설치해도 된다. 특히, 유량조정용노즐(51)이 없는 등으로 하여 설정 유량으로 통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량 센서가 설치된다.
제2제어수단은 상기 각 센서(46), (47)의 검출 신호와 경과 시간 등에 따라 급배수 수단(31) 등을 제어하는 제2제어기(도시 생략)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밸브(49)의 다른 입구온도센서(46) 및 출구온도센서(47) 등은 제2제어기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제어기는 아래에 설명과 같이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도 기능한다.
제2제어기는 제1제어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터치 패널(도시 생략), 조작 버튼(도시 생략) 및 정보 기억부(도시 생략)가 연결된다. 그리고 이 정보 기억부는 후술하는 운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운전데이터저장부(운전데이터 기억수단)로도 기능한다.
제2제어기는 증기멸균장치(2)에서 실행 중인 공정을 파악 가능하도록 제1제어기에도 연결된다. 그러나, 이것을 대신하여 제2제어기는 제1제어기와 공통화해도 된다. 즉, 증기멸균장치(2)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기에 멸균조(3) 내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판정 기능을 갖게 해도 된다. 다음, 제1제어기와 제2제어기가 공통의 하나의 제어기로 구성된 예를 설명하지만, 제1제어기와 제2제어기로 나누어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제어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멸균장치(2)의 운전을 제어하고 제2제어기가 다음에서 언급한 각 처리를 실행한다. 제1제어기와 제2제어기를 나누어 구성할 경우, 기존 또는 기설의 증기멸균장치(2)에 본 실시예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1)를 나중에 설치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이하, 본 실시예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멸균장치(2)로는 예열 공정, 전처리 공정, 멸균 공정, 배기 공정 및 건조 공정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전처리 공정에서 멸균조(3) 내에서의 공기 제거가 이루어 지지만, 이에 따라 멸균조(3) 내부와 연통하는 열교환기(30)의 내관(35) 내(즉 중공부(32) 내의)에서도 공기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그 후의 멸균 공정에서는 멸균조(3) 내로 증기가 도입되는데, 이에 따라 열교환기(30)의 내관(35) 내에도 증기가 도입된다.
상기 각 공정 중, 적어도 멸균 공정 중, 급배수 수단(31)에 의해 열교환기(30)의 통액부(33)에 통수한다. 예를 들어, 멸균 공정의 시작과 함께, 급수 밸브(49)를 열어, 열교환기(30) 통액부(33)에 통수한다. 이는 중공부(32) 내의 유체와 통액부(33)의 통수가 열교환되어 통액부(33)의 출구측 수온은 입구측 수온보다 높아진다. 즉, 열교환기(30)에서 멸균조(3) 내에서의 증기의 응축열전달에 의해 통액부(33)의 통수는 가온되어 승온된다. 여기서 만일 멸균조(3)에서의 에어 리크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전처리 공정에서 멸균조(3) 내를 감압할 때 외부에서 멸균조(3) 내로 공기가 유입하거나 멸균조(3)와 문과의 간극을 밀봉하는 패킹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공기가 멸균조(3) 내로 유입하는 경우), 열교환기(30)의 중공부(32)에도 증기에 동반하여 공기가 도입되고, 증기에 공기가 혼입된만큼, 통액부(33)의 통수로의 열전달 량이 감소하고 통액부(33)의 통수의 승온이 방해된다. 이를 이용하여 통액부(33)에 대한 통수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에 따라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치를 넘는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공기가 차지하는 비율과 농도라고 할 수도 있다)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멸균 공정 중(다만 멸균 공정의 시작으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의 멸균 공정 중 등으로 해도 된다), 통액부(33)에 대한 물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에 따라 멸균조(3) 내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는 입구온도센서(46), 출구온도센서(47) 및 유량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열교환기(30)에서 통수가 가온되는 열량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열량이 설정치 미만인지 아닌지에 의해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리크의 양이 많을수록, 열교환기(30)에서 통수가 가온되는 열량이 줄고 에어 리크의 양 및 열교환기(30)의 통수가 가온량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30)의 통수가 가온되는 열량에 따라 에어 리크의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시예처럼, 통액부(33)에 설정 유량으로 물을 통과시키면 통액부(33)에 대한 물의 입구온도와 출구온도에 따라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즉 통액부(33)에 통수 유량을 설정 유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경우, 제어기는 입구온도센서(46) 및 출구온도센서(47)의 검출 신호에 따라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이때 멸균 공정 중 열교환기(30)에 대한 물의 출구온도와 입구온도의 온도차가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온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고, 온도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가 없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차가 작을수록, 에어 리크의 양이 많을 것이기 때문에, 온도차에 따라 에어 리크의 양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의 판정은 멸균 공정 중에 있어서의 통수의 출구온도와 입구온도의 최대 온도 차이에 따라 실시해도 된다.
또한 통액부(33)에 설정 유량으로 물을 통과시킴과 동시에 통액부(33)의 입구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면 통액부(33)에 대한 물의 출구온도에 따라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액부(33)에의 통수 유량을 설정 유량으로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통액부(33)의 급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경우, 입구온도센서(46)의 설치를 생략하고 제어기는 출구온도센서(47)의 검출 신호에 따라 멸균조(3)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이때 멸균 공정 중 열교환기(30)에 대한 물의 출구온도가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멸균조(3)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출구온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멸균조(3)에서의 에어 리크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고 출구온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가 없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출구온도에 따라 에어 리크의 양을 알 수 있다.
어쨌든, 기존의 리크 테스트와 달리 멸균 운전 중의 에어 리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멸균 공정의 종료 시까지, 에어 리크의 유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선택적으로 그 결과를 출력기기(예를 들어 증기멸균장치(2) 또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1)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그 취지를 출력기기(예를 들어 터치 패널)에 출력하여 이상을 통지한다. 혹은 이 대신에 또는 이외에증기멸균장치(2)의 운전을 중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1)는 내관(35)이 통액부(33)보다 바깥쪽으로의 돌출부(34)를 구비하기 때문에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가 있는 경우, 통액부(33)의 통수와의 열교환으로 응축하지 않고 남은 공기는 멸균조(3) 내에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혼합기(공기를 미량 포함한 증기)에 의해 돌출부(34)에 밀려 나오기 때문에 열교환기(30)의 열교환부에서 공기 농도의 증가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30)에서 응축하지 않는 공기를 돌출부(34)로 이동시킴으로써 멸균조(3) 내에서의 혼합기와 통액부(33)의 통수와의 열교환이 잔류 공기에 의해 저해되지 않는다. 특히 멸균 온도(즉 증기 압력)가 낮고 공기의 압축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도 잔류 공기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0)에서 멸균 온도와 관계없이 정확한 온도 변화를 감시하여 에어 리크의 유무 및 양을 판정할 수 있다.
도2는 본 실시예의 에어리크 감지장치(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멸균 온도가 121℃인 경우이고, (B)는 멸균 온도가 135℃인 경우이며, 각각 내관(35) 상부의 망점부가 공기의 고임(공기 농도가 높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6은 비교예로서 내관(35)에 돌출부(34)가 없는 에어리크 감지장치(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멸균 온도가 121℃인 경우이고, (B)는 멸균 온도가 135℃인 경우이며, 각각의 내관(35) 상부의 망점부가 공기의 고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에서 실제로 내관(35)이나 그 돌출부(34)는 증기와 공기가 혼합되어 존재하고 위쪽으로 갈수록 공기 농도(공기 분압이라고 할 수도 있다)가 높아지도록 공기가 고인다. 따라서, 도면에서 망점부는 공기 농도가 비교적 높게 되어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고, 그것을 공기 고임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A)와 도6(A)의 비교 및 도2(B)와 도6(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도6), 통액부(33) 내의 통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하지 않고 남은 공기는 통액부(33)와 대응하는 높이의 내관(35) 내에 고이기 때문에 열교환을 지속적으로 저해하지만,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한 경우(도2), 통액부(33)내의 통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하지 않고 남은 공기는 통액부(33)보다도 위쪽의 돌출부(34)에 밀려 멸균조(3) 내로부터의 기체와의 열교환을 저해하지 않는다.
특히 멸균 온도가 낮은 경우, 내관(35) 내의 압력이 낮아지는 만큼, 공기 고임이 커지게 되고, 열교환부(통액부(33)와 대응하는 높이의 내관(35) 내)의 공기 농도가 상승하기 쉽다. 따라서 도6(A)와 같이,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하지 않으면 내관(35) 내의 잔류 공기의 영향이 크고, 멸균 규격(JIS 규격)에서 허용되는 에어 리크량이라도 열교환기(30) 내에서의 통수와의 열교환이 방해되어 판정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도2(A)와 같이,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하면, 멸균조(3) 내에서의 증기압에 의해 잔류 공기를 돌출부(34)로 압출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기(30)의 열교환부에는 멸균조(3) 내에서의 혼합기체(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고, 그 혼합기체와 통액부(33)의 액체가 열교환된다. 열교환기(30)에서 응축되지 않은 공기를 돌출부(34)로 이동시킴으로써 멸균조(3) 내로부터의 혼합기체와 통액부(33)의 통수와의 열교환이 잔류 공기에 의해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열교환기(30)에서 멸균 온도와 상관없이 정확한 온도 변화를 감시하여 에어 리크의 유무 및 양을 판정할 수 있다.
도3은 멸균 온도121℃에서, 에어 리크의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A)와 (B)가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한 에어 리크 감지장치(1)(도2)의 경우, (A') 및 (B')가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하지 않은 에어 리크 감지장치(1)(도6)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4는 멸균 온도135℃에서, 에어 리크의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A)와 (B)가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한 에어 리크 감지장치(1)(도2)의 경우, (A') 및 (B')가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하지 않은 에어 리크 감지장치(1)(도6)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에서 T는 멸균조(3)의 온도(좌종축(左從軸), P는 멸균조(3) 내의 압력(우종축(右從軸)), P는 멸균조(3) 내의 압력(우종축(右從軸)), T는 출구온도센서(47)의 검출 온도와 입구온도센서(46)의 검출 온도와의 온도차(좌종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축은 경과 시간이고, 예열 공정으로부터 건조 공정까지의 각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멸균조 내부 온도T가 121℃부근(도3) 또는 135℃부근(도4)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되는 부분이 멸균 공정에 대응한다. 또한 각 그래프의 아래쪽에는 리크도(kPa/min) 및 멸균 공정 중의 최대 온도차ΔT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에서 (A)와 (A')의 비교 및 (B)와 (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리크량이라도 내관(35)에 돌출부(34)를 설치함으로써 ΔT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멸균 온도 즉 증기 압력이 낮은 경우에도 ΔT에 따라 안정하고 확실하게,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즉, 멸균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수온 변화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멸균 온도 영역(121~135℃)에서 에어 리크의 판정 기준으로의 온도차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멸균 규격(JIS)보다 적은 에어 리크량(리크도)은 정상이라고 판정하는 한편, 멸균 규격보다 많은 에어 리크량은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각 그래프의 아래쪽에 멸균 공정 중 최대 온도차ΔT를 수치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 수치에 따라 에어 리크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에어리크 감지장치(1)와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2)에 의하면, 에어리크 감지장치(1)(특히 열교환기(30))가 멸균조(3) 외부에 설치되므로 멸균조(3) 내에서 피멸균물의 수용 공간을 좁힐 우려가 없고, 피멸균물의 출입을 방해할 우려도 없다. 또한 에어리크 감지장치(1)가 멸균조(3)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멸균 증기에 의해 외부에서 열을 받을 우려가 없고, 멸균조(3) 내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를 정확히 알 수 있다.
그런데 제어기 (제1제어기 또는 제2제어기)는 다음과 같이 하여 멸균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액부(33)에 대한 물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 중 출구온도 외의 입구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구온도도 또한 유량을 설정 유량으로 유지하지 않는 경우, 유량도 적어도 멸균 공정 중에 소정 시간마다 운전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이 운전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기기에 출력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유량조정용노즐(51)에 의해 설정 유량으로 통수할 경우, 입구온도센서(46)와 출구온도센서(47)의 각 검출 온도를 소정 시간마다 (예를 들어 몇초 간격으로) 운전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이 때 운전마다 운전 시간, 멸균조건 (멸균 압력, 멸균 온도, 멸균 시간) 등의 각종 설정치 외의 실제 운전 중의 소정 시간마다의 멸균조(3)의 압력이나 온도 등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운전 시간에 따라 운전데이터저장부로부터 취득하여 터치 패널 등에 출력 가능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과거의 기록 확인이 가능하며, 멸균 관리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도1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변형예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1)는 상기 실시예의 에어 리크 감지장치(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양자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해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5에서는 열교환기(30)의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외의 구성은 도1과 같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관(35) 및 외관(36)의 축선을 상하 방향에 따라 배치하고 있으나, 본 변형예에서는 내관(35) 및 외관(36)의 축선을 좌우 방향에 따라 배치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30)의 사용 시의 자세는 특별히 따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내관(35) 및 외관(36)을 상하 방향에 따라 배치하는 것이 내관(35)에서 응축수의 배출이나 통액부(33)로부터의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열교환기(30)의 중공부(32)는 일단부에 멸균조(3)가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에 통액부(33)보다 바깥쪽으로의 돌출부(34)를 구비하는 점은 상기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내관(35)과 외관(36)의 하단부(아래쪽)를 일단부(한쪽)라고 할 수 내관(35)과 외관(36)의 상단부(위쪽)를 타단부(다른 한쪽)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관(35)은 통액부(33)보다 바깥쪽에 돌출부(34)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34)는 외관(36)의 연장관부(39)에 의해 덮여 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내관(35)의 돌출부(34)는 외관(36)의 연장관부(39)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즉, 외관(36)에 연장관부(39)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 경우, 외관(36)의 축 방향 양단부에서 내관(35)의 간격이 단벽(40), (41)으로 막혀있다. 또한 내관(35)의 돌출부(34)를 포함한 열교환기(30)는 단열재로 덮는 것이 된다.
그런데, 본 변형예에서는 외관(36)에 연장관부(39)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내관(35)의 돌출부(34)는 수냉되지 않기 때문에 내관(35)에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한 열응력이 생기기 쉽다. 또한 내관(35)는 외관(36)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단벽(40), (41)에 용접된다. 따라서 내관(35)은 이른바 양쪽으로 유지되지만, 자유도가 없어지는만큼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한 열응력이 생기기 쉽다. 그런 점에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내관(35)의 돌출부(34)를 수냉 시킬수 있고 또한 내관(35)과 외관(36)의 용접 부분이 한곳이기 때문에 내관(35)의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한 열응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크 감지장치(1)와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2)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제어를 포함)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특히, (a) 멸균조(3) 외부에 설치되고, 멸균조(3)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부(32)를 갖는 동시에 이 중공부(32) 내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액체의 통액부(33)를 갖는 열교환기(30)와, (b) 통액부(33)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 중 적어도 출구온도에 따라 멸균조(3)에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c) 중공부(32)는 일단부에 멸균조(3)가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에 통액부(33)보다 바깥쪽으로의 돌출부(34)를 구비한다면 다른 구조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0)와 멸균조(3)를 연결하는 연통관(37)은 선택적으로 개폐 밸브를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어 건조 공정에서 개폐 밸브를 닫아 둠으로써 멸균조(3) 내로부터 열교환기(30)에 전열("`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에어 리크의 유무 및 양의 판정 중(멸균 공정 중) 입구온도센서(46)의 검출 온도가 상한 온도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급수 밸브(49)의 고장 등으로 통수가 원하는만큼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정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1 에어리크 감지장치
2 증기멸균장치
3 멸균조
4 감압 수단
5 복압 수단
6 급증 수단
7 드레인 배출 수단
8 배기 수단
28 압력 센서
29 온도 센서
30 열교환기
31 급배수 수단
32 중공부
33 통액부
34 돌출부
35 내관
36 외관
37 연통관
39 연장관부
43 급수로
44 배수로
46 입구온도센서
47 출구온도센서
49 급수 밸브
50 감압 밸브
51 유량조정용노즐

Claims (8)

  1. 멸균조 내부로부터 공기를 제거한 후 멸균조 내에 증기를 공급하고 멸균조 내의 피멸균물을 멸균하는 증기멸균장치에 사용되며,
    상기 멸균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멸균조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동시에 이 중공부 내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액체의 통액부를 갖는 열교환기와,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에 따라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는 일단부에 상기 멸균조가 연결되는 한편, 타단부에 상기 통액부보다 바깥쪽으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관과 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내관은 일단부가 상기 외관보다 바깥쪽으로 연출하여 상기 멸균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내관의 중공 구멍이 상기 멸균조 내부와 연통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돌출부로서 상기 외관보다 바깥쪽으로 연출하여 연출선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의 원통형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통액부에 상기 액체로서의 물이 통과되어
    상기 원통형 공간에 대한 급배수용의 입구부가 상기 외관의 둘레벽에, 상기 외관의 긴변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외관에는 상기 내관의 상기 돌출부를 덮는 연장관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관의 돌출부와 상기 외관의 연장관부의 간극은 상기 통액부로서의 상기 원통형 공간에 연통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내관 및 상기 외관은 축선을 상하 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외관에 설치한 급배수용의 입구부 중, 아래쪽의 입구부가 상기 원통형 공간에의 급수구로 되는 한편, 위쪽의 입구부가 상기 원통형 공간에서의 배수구로 되어,
    상기 원통형 공간에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향해 물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액부에는 액체가 설정 유량으로 통과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와 출구온도에 따라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멸균조 내에서 피멸균물을 멸균 중,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출구온도와 입구온도와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크 감지장치.
  7. 청구항1 내지 청구항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 리크 감지장치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로서,
    피멸균물이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에어 리크 감지장치가 연결되는 멸균조와,
    이 멸균조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흡인 배출하여 상기 멸균조 내부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과,
    감압된 상기 멸균조 내부에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멸균조 내부의 압력을 회복하는 복압 수단과,
    상기 멸균조 내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급증 수단과,
    상기 멸균조 내부로부터 증기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배출 수단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멸균조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과,
    상기 멸균조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멸균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이러한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멸균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 상기 멸균조 내부의 피멸균물을 증기로 멸균하는 멸균 공정, 상기 멸균조 내부로부터 증기를 배출하는 배기 공정 및 상기 멸균조 내부를 감압하여 피멸균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멸균 공정에있어서, 상기 에어 리크 감지장치의 상기 열교환기에 액체를 통과시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멸균조 내부로의 에어 리크의 유무 또는 양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멸균장치.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통액부에 대한 액체의 입구온도, 출구온도 및 유량 중 출구온도 외의 입구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입구온도도, 또한, 유량을 설정 유량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유량도, 상기 멸균 공정 중에 소정 시간마다 운전데이터 기억수단에 저장하고, 이 운전데이터 기억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기기에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멸균장치.
KR1020187035823A 2016-08-03 2017-02-28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 KR20190034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2449 2016-08-03
JP2016152449A JP6738559B2 (ja) 2016-08-03 2016-08-03 エアリーク検知装置とこれを備えた蒸気滅菌装置
PCT/JP2017/007609 WO2018025432A1 (ja) 2016-08-03 2017-02-28 エアリーク検知装置とこれを備えた蒸気滅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152A true KR20190034152A (ko) 2019-04-01

Family

ID=6107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823A KR20190034152A (ko) 2016-08-03 2017-02-28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38559B2 (ko)
KR (1) KR20190034152A (ko)
WO (1) WO2018025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2884B1 (ja) 2021-10-29 2023-03-03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給水設備滅菌システム、給水設備滅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287A (ja) 1999-02-25 2000-09-05 Miura Co Ltd 蒸気滅菌装置の気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392B2 (ja) * 1981-01-12 1985-08-08 株式会社千代田製作所 蒸気滅菌機の空気障害除去装置
JPH0672830B2 (ja) * 1988-05-13 1994-09-14 株式会社フジクラ ヒートパイプの試験方法
JP2001346861A (ja) * 2000-06-12 2001-12-18 Miura Co Ltd 滅菌システム
CN104081063B (zh) * 2012-01-30 2016-08-24 樱花精机株式会社 蒸气灭菌装置
US20140154150A1 (en) * 2012-11-28 2014-06-05 Dana Products, Inc. Air removal test strip
JP6489423B2 (ja) * 2015-02-06 2019-03-27 三浦工業株式会社 工程試験装置とこれを備えた蒸気滅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287A (ja) 1999-02-25 2000-09-05 Miura Co Ltd 蒸気滅菌装置の気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5432A1 (ja) 2018-02-08
JP2018019868A (ja) 2018-02-08
JP6738559B2 (ja)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0876B (zh) 氣體減壓供應裝置、具備其之壓缸櫃、閥箱及基板處理裝置,以及氣體減壓供應方法
US4687635A (en) Porous load vapor sterilization cycle
US8865087B2 (en) Steam sterilizer
EP1795845A2 (en) Steam-heating apparatus
US20090152179A1 (en) Method for Blowing Free a Wetted Hydrophobic Filter,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6489423B2 (ja) 工程試験装置とこれを備えた蒸気滅菌装置
KR20190034152A (ko)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
JP4564172B2 (ja) 真空下で実施される脂肪油の処理工程を監視する方法と設備
JP4883463B2 (ja) 蒸気滅菌装置
JP6540697B2 (ja) 滅菌装置及び滅菌方法
JP6555477B2 (ja) エアリーク検知装置とこれを備えた蒸気滅菌装置
JP4962677B2 (ja) 蒸気滅菌装置における滅菌判定方法
CN111420078A (zh) 一种高压蒸汽灭菌装置及灭菌方法
JP2022091040A (ja) 滅菌装置
CN113324399B (zh) 酸排风管道中残余液体的去除装置、方法及酸排风***
KR20220112267A (ko) 탱크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212593115U (zh) 一种高压蒸汽灭菌装置
JP7035541B2 (ja) 真空解凍装置
JP2015231409A (ja) 過酸化水素ガス滅菌器
GB2458170A (en) An air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volume of air in a steam sample from an autoclave
JP4120283B2 (ja) 充填バルブ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異常検出装置
JP6530266B2 (ja) 吸排制御方法、吸排制御機構及びサージタンク
JP5332820B2 (ja) 圧力容器
EP0916350A1 (en) Autoclaves
JP2020038043A (ja) 食品機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