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82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823A
KR20190020823A KR1020197002928A KR20197002928A KR20190020823A KR 20190020823 A KR20190020823 A KR 20190020823A KR 1020197002928 A KR1020197002928 A KR 1020197002928A KR 20197002928 A KR20197002928 A KR 20197002928A KR 20190020823 A KR20190020823 A KR 2019002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plug
contact
shie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222B1 (ko
Inventor
신타로 호리노
겐타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저배화한 상태라도, 서로 접속되는 2개의 커넥터의 차폐 구조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10)는,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벽(32)과, 한 쌍의 외주벽(32)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33)를 가지는 제 1 인슐레이터(30), 및 제 1 인슐레이터(30)에 보지된 제 1 차폐 부재(60)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20)와, 감합 볼록부(33)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83)를 가지는 제 2 인슐레이터(80), 및 제 2 인슐레이터(80)에 보지된 제 2 차폐 부재(110)를 구비하는 제 2 커넥터(70)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70)의 감합시에, 제 1 차폐 부재(60)와 제 2 차폐 부재(110)가 감합한다.

Description

커넥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8월 4일에 일본국에 특허 출원된 특원2016-153685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시킨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자기기에서는 정보량의 증가 또는 통신 속도의 고속화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고, 기기 내의 노이즈 대책이 중요한 과제가 되어 있다. 반면에, 근래의 전자기기는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어, 전자기기 내에 실장(實裝)되는 커넥터 자체에도 소형화가 요구된다. 그래서, 저배화(低背化)한 커넥터에 있어서도, 서로 접속되는 2개의 커넥터가 각각 가지는 실드 구조를 확실하게 접촉시키고, 충분한 노이즈 차폐 효과를 얻는 것이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노이즈에 대한 차폐 효과를 얻기 위하여, 2개의 실드 부재가, 하우징의 외주면의 대략 전역을 덮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8-14687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저배화한 상태에서, 서로 접속되는 2개의 커넥터의 실드 구조를 접촉시키는 점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저배화한 상태라도, 서로 접속되는 2개의 커넥터의 차폐 구조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는,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벽과, 당해 한 쌍의 외주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를 가지는 제 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 보지(保持)된 제 1 차폐 부재,
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감합 볼록부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를 가지는 제 2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보지된 제 2 차폐 부재,
를 구비하는 제 2 커넥터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상기 제 1 차폐 부재와 상기 제 2 차폐 부재가 감합한다.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굴곡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제 2 차폐 부재와의 감합시에, 상기 굴곡부를 수용하는 탄성 변형부를 가진다.
제 3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외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 1 외주측 차폐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외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 2 외주측 차폐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주측 차폐부와 상기 제 2 외주측 차폐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다.
제 4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내측 단부(端部)에 제 1 계합부(係合部)를 가지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내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계합부와 상기 제 2 계합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계합한다.
제 5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선단으로부터, 제 1 인슐레이터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 마련되는 유인부를 가진다.
제 6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부를 관통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가진다.
제 7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제 1 외주측 차폐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제 1 실장부를 가진다.
제 8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실장부는, 상기 제 1 외주측 차폐부의 상기 단부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연장 돌출된다.
제 9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제 2 외주측 차폐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제 2 실장부를 가진다.
제 10 관점에 관련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실장부는, 상기 제 2 외주측 차폐부의 상기 단부로부터 감합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에 의하면, 저배화한 상태라도, 서로 접속되는 2개의 커넥터의 차폐 구조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면시(上面視)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리셉터클 커넥터 단체(單體)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 단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리셉터클 콘택트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X-X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XII-X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플러그 커넥터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러그 커넥터 단체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플러그 성형품 중 플러그 인슐레이터만을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플러그 콘택트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XVIII-XVI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플러그 전원 콘택트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XX-XX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의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한 상태에서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a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감합 전의 모습을, 도 22의 XXIII-XXIII 화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b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감합 후의 모습을, 도 22의 XXIII-XXIII 화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a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감합 전의 모습을, 도 22의 XXIV-XXIV 화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b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감합 후의 모습을, 도 22의 XXIV-XXIV 화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이고, 제 2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70)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커넥터가 플러그의 역할을 하고, 제 2 커넥터가 리셉터클의 역할을 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플러그 커넥터(70)는,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하여, 각각 수직 방향으로 감합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플러그 커넥터(7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감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플러그 커넥터(70)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하여, 각각 평행 방향으로 감합되어도 되고, 일방이 수직 방향, 타방이 평행 방향에 의한 조합으로 감합되어도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 또는 플러그 커넥터(70)는, 리지드 기판 이외의 회로 기판,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PC)에 접속되어도 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1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큰 구성 요소로서, 리셉터클 커넥터(20)(제 1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70)(제 2 커넥터)를 구비한다.
도 2는, 리셉터클 커넥터(20)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20) 단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리셉터클 콘택트(40)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X-X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XII-X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2∼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는, 큰 구성 요소로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제 1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40)(콘택트)와, 4개의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와,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제 1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는, 절연성이면서 내열성의 합성 수지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도 5 참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는,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부(31)와, 바닥판부(31)의 상면의 전후측 주연부(周緣部)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벽(32)과, 바닥판부(3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한 쌍의 외주벽(32)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33)를 구비한다. 외주벽(32)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간되는 감합 볼록부(33)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외주벽(32)과 감합 볼록부(3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한 쌍의 감합 오목부(34)를 구성한다.
외주벽(32)의 전벽(前壁)(32a)의 상면 및 후면과, 바닥판부(31)의 바닥면(상면)과, 감합 볼록부(33)의 전면(前面) 및 상면에 걸치는 부분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4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콘택트 장착 홈(35)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오목하게 마련된다(도 6 참조). 마찬가지로, 외주벽(32)의 후벽(32b)의 상면 및 전면과, 바닥판부(31)의 바닥면(상면)과, 감합 볼록부(33)의 후면 및 상면에 걸치는 부분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4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콘택트 장착 홈(35)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오목하게 마련된다. 콘택트 장착 홈(35)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콘택트 장착 홈(35)의 수는,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수와 동일하다. 콘택트 장착 홈(35)은, 감합 볼록부(33)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감합 볼록부(33)의 내측에 보다 깊게 오목하게 마련된 변형 허용 홈(35a)을 구비한다(도 7 참조). 콘택트 장착 홈(35)은, 전벽(32a) 및 후벽(32b)의 후면 및 전면에 각각 형성된 홈 부분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마련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택트 계합 돌기(35b)를 구비한다.
전벽(32a)의 좌우 양단부의 상면 및 후면과, 바닥판부(31)의 바닥면(상면)과, 감합 볼록부(33)의 좌우 양단부의 전면 및 상면에 걸치는 부분에는,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를 장착하기 위한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이 오목하게 마련된다(도 6 참조). 마찬가지로, 후벽(32b)의 좌우 양단부의 상면 및 전면과, 바닥판부(31)의 바닥면(상면)과, 감합 볼록부(33)의 좌우 양단부의 후면 및 상면에 걸치는 부분에는,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를 장착하기 위한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의 수는,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수와 동일하다.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은, 감합 볼록부(33)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감합 볼록부(33)의 내측에 보다 깊게 오목하게 마련된 변형 허용 홈(36a)을 구비한다(도 8 참조).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은, 전벽(32a) 및 후벽(32b)의 후면 및 전면에 각각 형성된 홈 부분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마련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 콘택트 계합 돌기(36b)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연부(兩緣部)에는,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37)가 형성된다(도 5 참조). 한 쌍의 지지부(37)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연부끼리에서 점대칭인 배치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37)는, 각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일방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타방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부(37) 전체의 전후폭은, 각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전벽(32a)의 외면과 후벽(32b)의 외면의 사이의 전후폭보다 크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4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 또는 코르손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도 9 참조). 각 리셉터클 콘택트(4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下地)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된다.
리셉터클 콘택트(4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41)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콘택트(40)는, 실장부(41)의 내측 단부의 상방에 연속하는 부분과, 당해 부분과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고 또한 대향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계지부(係止部)(42)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콘택트(40)는, 한 쌍의 계지부(42)를 접속하는 만곡부(43)와, 내측에 형성된 계지부(42)에 연속하는 대략 S자 형상의 탄성 접촉편(44)과, 탄성 접촉편(44)의 선단부에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접촉부(45)(제 1 접촉부)를 구비한다.
만곡부(43)는, 접촉부(45) 중 만곡부(43)측으로 가장 돌출하는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탄성 접촉편(44)은 만곡부(43)보다 폭이 넓다. 탄성 접촉편(44)의 선단은, 접촉부(45) 중 만곡부(43)측으로 가장 돌출하는 부분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 위치에 형성된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4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하방으로부터 압입되고, 한 쌍의 계지부(42)와 콘택트 계합 돌기(35b)가 계합하면서 콘택트 장착 홈(35)의 좌우 내벽면에 계지한다. 이에 의해, 각 리셉터클 콘택트(40)는, 각 콘택트 장착 홈(35)에 대하여 보지된다(도 4, 도 10 참조). 리셉터클 콘택트(4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콘택트 장착 홈(35))에 보지되면, 탄성 접촉편(44)이 변형 허용 홈(35a)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된다. 따라서, 탄성 접촉편(44)은, 변형 허용 홈(35a)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도 10 참조). 각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실장부(41)는, 외주벽(32)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즉, 각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실장부(41)의 선단은, 외주벽(32)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51)를 구비한다(도 11 참조).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는, 실장부(51)의 내측 단부의 상방에 연속하는 부분과, 당해 부분과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고 또한 대향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계지부(52)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는, 한 쌍의 계지부(52)를 접속하는 만곡부(53)와, 내측에 형성된 계지부(52)에 연속하는 대략 S자 형상의 탄성 접촉편(54)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는, 탄성 접촉편(54)의 선단부에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접촉부(55)와, 내측에 형성된 계지부(52)의 상부에 위치하는 돌기(56)를 구비한다.
각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하방으로부터 압입되고, 한 쌍의 계지부(52)와 전원 콘택트 계합 돌기(36b)가 계합하면서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의 좌우 내벽면에 계지한다. 이에 의해, 각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는, 각 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에 대하여 보지된다(도 4, 도 12 참조).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전원 콘택트 장착 홈(36))에 보지되면, 탄성 접촉편(54)이 변형 허용 홈(36a)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된다. 따라서, 탄성 접촉편(54)은, 변형 허용 홈(36a)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도 12 참조). 각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실장부(51)는, 외주벽(32)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즉, 각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실장부(51)의 선단은, 외주벽(32)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전후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서로 동일 형상의 동일 부품이다(도 3, 도 13 참조). 각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금속판(도전성 재료)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각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그 외면에 의해 구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외주측 차폐부(61)(제 1 외주측 차폐부)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외주측 차폐부(61)의 하연부로부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측(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탄성 변형부(62)를 구비한다. 탄성 변형부(62)는, 외주측 차폐부(61)의 하연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만큼 수평으로 연장 돌출되고, 수평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의 단연부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상측 방향으로 굴곡한다(도 12 참조). 외주측 차폐부(61)와 탄성 변형부(6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상방에 개구한다.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탄성 변형부(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63)과, 탄성 변형부(62)의 선단으로부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 마련되는 유인부(64)를 추가로 구비한다.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외주측 차폐부(6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실장부(65)(제 1 실장부)를 구비한다. 실장부(65)는, 외주측 차폐부(61)의 하단부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실장부(65)의 좌우 방향의 위치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63)의 좌우 방향의 위치와 일치한다. 즉, 실장부(65)의 선단은, 관통 구멍(6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도 3 참조).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내측의 좌우 양단부에 돌출 마련되는 계합부(66)(제 1 계합부)를 구비한다(도 13 참조). 계합부(66)는, 외주측 차폐부(61)의 내측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클로 형상으로 한 쌍 돌출 마련된다.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외주측 차폐부(61)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짧은 부분(67)을 가진다. 대향하는 짧은 부분(67)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비대칭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향하는 짧은 부분(67) 중, 일방의 짧은 부분(67)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타방의 짧은 부분(67)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다. 대향하는 짧은 부분(67) 중, 전후 방향의 길이가 보다 긴 짧은 부분(67)의 전후폭은, 리셉터클 커넥터(20) 전체의 전후폭의 절반보다 크다. 한 쌍의 짧은 부분(67)에는, 각각 장착부(68)가 형성된다. 장착부(68)는, 단면시에 있어서 대략 コ자 형상이다. 즉, 장착부(68)는, 좌우 양측면과 상면의 3면에 의해 구성된다. 한 쌍의 장착부(68) 중, 일방의 장착부(68)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타방의 장착부(68)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다. 장착부(68)의 상연부는 R형상이 된다.
각 리셉터클 차폐 부재(60)는, 한 쌍의 장착부(68)와 지지부(37)가 상방으로부터 계지함으로써,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보지된다(도 4, 도 10, 도 12 참조). 리셉터클 차폐 부재(6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에 보지되면,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일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와 이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벽(32)과, 탄성 변형부(62) 및 유인부(64)가,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다. 즉, 외주벽(32)과, 탄성 변형부(62) 및 유인부(64)와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에 걸치는 공극(S1)이 형성된다. 이 때,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실장부(41)의 선단 및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실장부(51)의 선단은, 공극(S1)에 있어서, 상하 방향(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부터 각각 시인 가능하다(도 3 참조).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실장부(65)의 선단은, 관통 구멍(63)에 있어서, 상하 방향(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리셉터클 차폐 부재(6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에 보지되면,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외주측 차폐부(61)의 상연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외주벽(32) 및 감합 볼록부(33)의 상면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도 10, 도 12 참조).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차폐 구조는, 전후 좌우 방향을 따른 이중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차폐 구조는, 평판 형상의 외주측 차폐부(61)와 탄성 변형부(62) 및 유인부(64)와의 좌우 방향을 따른 이중 구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그 차폐 구조는, 장착부(68)의 좌우 양측면에 의한 전후 방향을 따른 이중 구조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서는, 회로 기판(CB1)(리지드 기판. 제 1 회로 기판. 도 10, 도 12 참조)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각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실장부(41)가 납땜된다.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전원 패턴에 대하여, 각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실장부(51)가 납땜된다.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대하여,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각 실장부(65)가 납땜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0)는, 회로 기판(CB1)에 대하여 실장된다.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는 다른 전자 부품(예를 들면, CPU, 컨트롤러, 메모리 등)이 실장된다.
플러그 커넥터(7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14∼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플러그 커넥터(70)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러그 커넥터(70) 단체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플러그 성형품(75) 중 플러그 인슐레이터(80)만을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플러그 콘택트(90)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XVIII-XVI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 단체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XX-XX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플러그 커넥터(70)는, 큰 구성 요소로서 플러그 성형품(75)과, 4개의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와,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제 2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플러그 성형품(75)은, 플러그 인슐레이터(80)(제 2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90)(콘택트)로 구성된다.
플러그 성형품(75)은, 절연성이면서 내열성의 합성 수지료를,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90)와 함께 인서트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이다. 플러그 성형품(75)을 구성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80)는,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판부(81)와, 바닥판부(81)의 상면의 주연부 전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상 벽(82)을 구비한다(도 16 참조). 바닥판부(81)와 고리 형상 벽(8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감합 오목부(83)를 구성한다.
고리 형상 벽(82)의 전벽(82a) 및 후벽(82b)에는, 전후 양면 및 상면에 걸치는 단면 대략 U자 형상의 복수의 콘택트 보지 홈(84)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오목하게 마련된다. 복수의 콘택트 보지 홈(84)에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90)가 각각 보지된다. 복수의 콘택트 보지 홈(84)의 수는, 플러그 콘택트(90)의 수와 동일하다.
전벽(82a)의 좌우 양단부에는, 전후 양면 및 상면에 걸치는 단면 대략 U자 형상의 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후벽(82b)의 좌우 양단부에는, 전후 양면 및 상면에 걸치는 단면 대략 U자 형상의 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에는,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가 장착된다. 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의 수는,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수와 동일하다.
플러그 인슐레이터(80)의 좌우 양연부에는, 2개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86)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부(86)는, 플러그 인슐레이터(80)의 좌우 양연부끼리에서 점대칭인 배치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86)는, 각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일방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타방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부(86) 전체의 전후폭은, 각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고리 형상 벽(82)의 전후폭보다 크다.
각 플러그 콘택트(90)는,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 또는 코르손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도 17 참조). 각 플러그 콘택트(9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된다.
플러그 콘택트(9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91)를 구비한다. 플러그 콘택트(90)는, 실장부(91)의 내측 단부의 상방으로부터 연속하고,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접촉부(92)(제 2 접촉부)와, 접촉부(92)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93)를 구비한다. 플러그 콘택트(90)는, 접촉부(92)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돌기(94)와, 연장 돌출부(93)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인부(95)를 추가로 구비한다.
연장 돌출부(93)의 대략 U자의 선단은 접촉부(92)와 동일한 정도의 높이 위치에 형성된다.
각 플러그 콘택트(90)는, 실장부(91)의 선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내면 전체와 콘택트 보지 홈(84)이 접면함으로써, 각 콘택트 보지 홈(84)에 대하여 보지된다(도 18 참조). 플러그 콘택트(90)가 플러그 인슐레이터(80)(콘택트 보지 홈(84))에 보지되면, 각 플러그 콘택트(90)의 실장부(91)는, 고리 형상 벽(82)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즉, 각 플러그 콘택트(90)의 실장부(91)의 선단은, 고리 형상 벽(82)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101)를 구비한다(도 19 참조).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는, 실장부(101)의 내측 단부의 상방으로부터 연속하고, 내측을 향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102)와, 연장 돌출부(102)의 외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접촉부(103)를 구비한다.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는, 연장 돌출부(102)의 외측 부분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계지부(104)와, 연장 돌출부(102)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인부(105)를 구비한다.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는, 연장 돌출부(102)의 외면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 1 돌기(106)와, 접촉부(103)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 돌기(107)를 추가로 구비한다.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는, 연장 돌출부(102)의 대략 U자의 선단에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108)를 추가로 구비한다.
각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는, 플러그 성형품(75)의 상방으로부터 압입되고, 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의 외측의 홈부와 계지부(104)가 계지함으로써, 각 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에 대하여 보지된다(도 14, 도 16, 도 20 참조).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가 플러그 성형품(75)(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에 보지되면, 각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실장부(101)는, 고리 형상 벽(82)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즉, 각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실장부(101)의 선단은, 고리 형상 벽(82)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각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스태빌라이저(108)는, 전원 콘택트 장착 홈(85)의 내측의 최심부에 계합한다(도 20 참조).
전후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서로 동일 형상의 동일 부품이다(도 21 참조). 각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금속판(도전성 재료)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각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그 외면에 의해 구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외주측 차폐부(111)(제 2 외주측 차폐부)를 구비한다. 외주측 차폐부(111)의 내측에는, 외주측 차폐부(111)와 평행한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차폐부(112)가 위치한다. 내주측 차폐부(112)의 좌우폭은, 외주측 차폐부(111)보다 짧고, 또한, 내주측 차폐부(112)의 하연부는, 외주측 차폐부(111)의 하연부보다 상방에 위치한다(도 18, 도 20, 도 21 참조).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내주측 차폐부(112)의 상연부와 외주측 차폐부(111)의 상연부를 접속하는 만곡 접속부(113)를 구비한다. 만곡 접속부(113)의 단면 형상은,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만곡 형상이다. 외주측 차폐부(111)와, 내주측 차폐부(112)와, 만곡 접속부(113)는,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굴곡부(114)를 구성한다. 굴곡부(114)는, 플러그 성형품(75)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외주측 차폐부(11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실장부(115)(제 2 실장부)를 구비한다. 실장부(115)는, 외주측 차폐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다.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외측의 좌우 양단부에 오목하게 마련되는 계합부(116)(제 2 계합부)를 구비한다(도 21 참조). 계합부(116)의 위치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계합부(66)의 위치에 대응한다. 계합부(116)는, 외주측 차폐부(111)의 외측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오목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된다.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외주측 차폐부(111)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플러그 인슐레이터(80)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짧은 부분(117)을 가진다. 대향하는 짧은 부분(117)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비대칭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향하는 짧은 부분(117) 중, 일방의 짧은 부분(117)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타방의 짧은 부분(117)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다. 대향하는 짧은 부분(117) 중, 전후 방향의 길이가 보다 긴 짧은 부분(117)의 전후폭은, 플러그 커넥터(70) 전체의 전후폭의 절반보다 크다. 한 쌍의 짧은 부분(117)에는, 각각 장착부(118)가 형성된다. 장착부(118)는, 단면시에 있어서 대략 コ자 형상이다. 즉, 장착부(118)는, 좌우 양측면과 상면의 3면에 의해 구성된다. 한 쌍의 장착부(118) 중, 일방의 장착부(118)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타방의 장착부(118)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다. 장착부(118)의 상연부는 R형상이 된다.
각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한 쌍의 장착부(118)와 지지부(86)가 상방으로부터 계지함으로써, 플러그 성형품(75)에 대하여 보지된다(도 14, 도 18, 도 20 참조). 플러그 차폐 부재(110)가 플러그 성형품(75)에 보지되면,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일부는, 플러그 인슐레이터(80)와 이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리 형상 벽(82)과, 내주측 차폐부(112)가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다. 즉, 고리 형상 벽(82)과, 내주측 차폐부(112)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에 걸치는 공극(S2)이 형성된다. 이 때, 플러그 콘택트(90)의 실장부(91)의 선단 및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실장부(101)의 선단은, 공극(S2)에 있어서, 상하 방향(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부터 각각 시인 가능하다(도 15).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차폐 구조는, 전후 좌우 방향을 따른 이중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차폐 구조는, 평판 형상의 외주측 차폐부(111)와 내주측 차폐부(112)의 좌우 방향을 따른 이중 구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그 차폐 구조는, 장착부(118)의 좌우 양측면에 의한 전후 방향을 따른 이중 구조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70)는, 회로 기판(CB1)과 평행한 판재인 회로 기판(CB2)(리지드 기판. 제 2 회로 기판. 도 18, 도 20 참조)의 일방의 면에 형성한 실장면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플러그 콘택트(90)의 실장부(91)가,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납땜된다. 각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실장부(101)가,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전원 패턴에 대하여 납땜된다.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각 실장부(115)가,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대하여 납땜된다.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는, 플러그 커넥터(70)와는 다른 전자 부품(예를 들면, 고기능용 모듈, 반도체, 대용량 메모리 등)이 실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70)를 접속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도 1의 커넥터(1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가 감합한 상태에서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감합시의 모습을, 도 22의 XXIII-XXIII 화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a는, 감합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23b는, 감합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4a 및 도 24b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감합시의 모습을, 도 22의 XXIV-XXIV 화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a는, 감합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24b는, 감합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도 23a 및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70)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반대로 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대략 일치시키면서, 서로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7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서로의 위치가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상술과 같이, 외주측 차폐부(61)의 상연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외주벽(32) 및 감합 볼록부(33)의 상면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만곡 접속부(113)와 최초로 맞닿는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70)가 리셉터클 커넥터(20) 내에 유인된다. 마찬가지로, 서로의 위치가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장착부(118)의 하연부와, 동일하게 R형상인,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장착부(68)의 상연부가 접촉하여, 전자가 후자에 의해 유인된다.
반면에,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 상술과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장착부(68)는, 플러그 커넥터(70)의 장착부(118)와 맞닿는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는 감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각 커넥터끼리를 무리하게 감합하려고 해도, 장착부(68) 및 장착부(118)의 각각의 금속 평면이 서로 맞닿는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70)를 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서로의 위치가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플러그 콘택트(90)의 유인부(95) 및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유인부(105)를 포함하는 전벽(82a) 및 후벽(82b)의 하단면이, 외주벽(32)의 내연부와 접촉함으로써, 전벽(82a) 및 후벽(82b)이 감합 오목부(34)에 침입한다. 즉, 플러그 콘택트(90)의 유인부(95) 및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유인부(105)가, 감합 오목부(34) 내에 침입한다(도 23b, 도 24b 참조). 플러그 커넥터(70)를 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유인부(64)에 의해,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굴곡부(114)가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 때, 플러그 콘택트(90)의 플러그 돌기(94)와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접촉부(45)가 접촉하고, 플러그 돌기(94)가, 탄성 접촉편(44)을 변형 허용 홈(35a) 내에 있어서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플러그 돌기(94)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접촉부(45)를 타고 넘어, 접촉부(92)와 접촉부(45)가 접촉한다. 플러그 콘택트(90)와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접촉은, 접촉부(92)와 접촉부(45)의 접촉에 의한 한 점만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부(45) 중 만곡부(43)측으로 가장 돌출하는 부분과 접촉부(92)의 대응하는 부분이, 1개의 접점을 구성한다. 이상에 의해, 플러그 콘택트(90) 및 리셉터클 콘택트(4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CB2)과 회로 기판(CB1)이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제 1 돌기(106) 및 제 2 돌기(107)가, 돌기(56)와 접촉부(55)의 간격을 확대하도록 탄성 접촉편(54)을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제 1 돌기(106) 및 제 2 돌기(107)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돌기(56) 및 접촉부(55)를 각각 타고 넘는다. 그 후, 제 1 돌기(106)와 돌기(56)가 계합하고, 접촉부(103)와 접촉부(55)가 접촉한다.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와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접촉은, 제 1 돌기(106)와 돌기(56)의 계합 및 접촉부(103)와 접촉부(55)의 접촉에 의한 두 점이다. 이상에 의해,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 및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CB2) 및 회로 기판(CB1)의 쌍방으로의 전원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 때, 감합 오목부(83)가 감합 볼록부(33)에 감합하고, 고리 형상 벽(82)의 전벽(82a) 및 후벽(82b)이 감합 오목부(34)에 각각 감합한다(도 22, 도 23b, 도 24b). 플러그 차폐 부재(110)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와 감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차폐 부재(110)와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감합시에, 굴곡부(114)가, 탄성 변형부(62)에 의해 수용된다. 이 때,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외주측 차폐부(111)와,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외주측 차폐부(61)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다. 굴곡부(114)와 탄성 변형부(62)가, 단면시에 있어서 내측의 한 점에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주측 차폐부(112)와 탄성 변형부(62)의 상연부가, 단면시에 있어서 내측의 한 점에서 접촉한다.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계합부(116)와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계합부(66)가 계합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는 완전히 접속된다.
이 때,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는, 서로 감합한 상태에서, 각각의 일부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80)와 이간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변형부(62) 및 유인부(64)는, 외주벽(32)과 고리 형상 벽(8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다. 내주측 차폐부(112)는, 외주벽(32)과 고리 형상 벽(8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다.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간의 공극의 위치와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간의 공극의 위치가, 짧은 쪽 방향으로 상이하다(도 2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에 의해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후 방향의 공극이,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에 의해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후 방향의 공극과 중첩하지 않는다. 즉, 접속된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내부는,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에 의해, 완전히 위요(圍繞)된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10)는, 저배화한 상태라도,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를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에 의해 구성되는 차폐 구조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플러그 차폐 부재(110)가 굴곡부(114)를 가짐으로써 플러그 차폐 부재(110)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감합 작업시 또는 실장시의 휨, 뒤틀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차폐 부재(60)가 탄성 변형부(62) 및 유인부(64)를 가짐으로써, 플러그 차폐 부재(110)와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와의 감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감합시에 외주측 차폐부(61)와 외주측 차폐부(111)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또는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미소(微小)한 위치 어긋남 및 뒤틀림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와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감합시에 상기의 위치 어긋남 및 뒤틀림에 의해 부여되는, 리셉터클 콘택트(40)와 플러그 콘택트(90)의 감합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계합부(66)와 계합부(116)가 계합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접속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가 복수의 관통 구멍(63)을 가짐으로써, 저배화되었다고 해도 탄성 변형부(62)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즉, 탄성 변형부(62)를 추종성이 우수하여 소성 변형하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탄성 변형부(62)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와 플러그 차폐 부재(110)와의 감합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파손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복수의 관통 구멍(63)에 의해, 실장부(65)를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가 실장부(65)를 가짐으로써, 납땜에 의해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와 회로 기판(CB1)의 접지 패턴을 도통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플러그 차폐 부재(110)가 실장부(115)를 가짐으로써, 납땜에 의해 플러그 차폐 부재(110)와 회로 기판(CB2)의 접지 패턴을 도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콘택트(40) 및 플러그 콘택트(90) 등에 외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리셉터클 콘택트(40) 및 플러그 콘택트(90) 등으로부터의 노이즈가 외부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실장부(65)가 내측으로 연장 돌출됨으로써, 실장부(65) 자체도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실장부(115)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됨으로써,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와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감합시에,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상연부를 회로 기판(CB2)에 가능한 한 근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노이즈의 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일부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일부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80)의 쌍방과 이간됨으로써,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내부에 리셉터클 콘택트(40), 플러그 콘택트(90)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노이즈의 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커넥터(10)는, 탄성 변형부(62)와 굴곡부(114)가 한 점에서 접촉함으로써, 노이즈의 흐름을 흩뜨리지 않고 접지 패턴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노이즈의 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커넥터(10)는, 감합시에 외주측 차폐부(61)와 외주측 차폐부(111)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위치 어긋남 및 뒤틀림에 의해 부여되는, 리셉터클 콘택트(40)와 플러그 콘택트(90)의 감합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각각의 대향하는 짧은 부분의 길이가 비대칭이고, 한 쌍의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한 쌍의 플러그 차폐 부재(110)에 의해 외주에 공극을 만들지 않고 내측의 구성부를 완전하게 위요하므로, 노이즈의 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는, 충분한 노이즈 차폐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외측이 평판 형상의 외주측 차폐부(61)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평면으로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외측이 평판 형상의 외주측 차폐부(111)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평면으로 받을 수 있다. 즉, 커넥터(10)는, 외면이 복잡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노이즈의 차폐 효과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전후 좌우 방향을 따른 구조가 각각 이중 구조로 됨으로써, 노이즈의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감합시에 플러그 차폐 부재(110)가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와 처음으로 접촉함으로써, 플러그 콘택트(90) 및 리셉터클 콘택트(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80) 및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장착부(68)의 상단부와 장착부(118)의 상단부가 R형상을 이루고, 유인의 기능이 실현됨으로써, 감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장착부(68) 및 장착부(118)가 단면시에 있어서 대략 コ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80)의 대응하는 부분을 3방향으로부터 보호하여, 감합시의 각 인슐레이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저배화한 상태라도,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한 실장의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즉, 작업자는,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실장부(41),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실장부(51) 및 리셉터클 차폐 부재(60)의 실장부(65)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함으로써, 납땜이 정확하게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플러그 콘택트(90)의 실장부(91) 및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실장부(101)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함으로써, 납땜이 정확하게 행해져 있는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플러그 콘택트(90) 및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가 각각 유인부(95) 및 유인부(105)를 가짐으로써, 감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스태빌라이저(108)를 가짐으로써,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의 플러그 성형품(75)으로부터의 말림을 방지하고, 플러그 성형품(75)에 대한 보지 후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플러그 전원 콘택트(100)가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와 두 점에서 접촉하고, 협지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감합 시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플러그 돌기(94), 제 1 돌기(106) 및 제 2 돌기(107)가 플러그 커넥터(70)의 발거 방향에 있어서의 극복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빠짐 방지 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 환원하면, 커넥터(10)는, 감합시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플러그 돌기(94), 제 1 돌기(106) 및 제 2 돌기(107)에 의해, 감합시에 작업자에 대하여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커넥터(10)는 작업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커넥터(10)는, 콘택트 계합 돌기(35b)가 리셉터클 콘택트(40)의 한 쌍의 계지부(42)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조립시 또는 사용시의 리셉터클 콘택트(40)의 전후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콘택트(40)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에 대한 보지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전원 콘택트 계합 돌기(36b)가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한 쌍의 계지부(52)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조립시 또는 사용시의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전후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50)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0)에 대한 보지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40) 및 플러그 콘택트(90)는, 커넥터(10)가 저배화한 상태라도,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리셉터클 콘택트(40)는, 만곡부(43)의 높이가 접촉부(45)의 높이보다 낮아짐으로써, 감합시에 만곡부(43)와 실장부(91)의 사이의 이간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콘택트(40)는, 플러그 콘택트(90)와의 전기적 결합을 억지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40)는, 탄성 접촉편(44)이 만곡부(43)보다 폭이 넓음으로써,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40)는, 탄성 접촉편(44)의 선단 위치가 접촉부(45)의 높이 위치와 동일한 정도이도록 구성됨으로써, 마찬가지로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러그 콘택트(90)는, 연장 돌출부(93)의 대략 U자의 선단 위치가 접촉부(92)의 높이 위치와 동일한 정도이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터브 성분을 저하시킬 수 있고,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러그 콘택트(90) 및 리셉터클 콘택트(40)는, 감합시에 한 점에서만 서로 접촉함으로써,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하고,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회로 기판(CB1)에 실장한 상기 전자 부품(예를 들면, CPU, 컨트롤러, 메모리 등)과 회로 기판(CB2)에 실장한 상기 전자 부품(예를 들면, 고기능용 모듈, 반도체, 대용량 메모리 등)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송 특성이 양호한 고속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記述)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사이에서, 각 차폐 부재의 구조가 교체되어도 된다.
계합부(66)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합부(116)가 클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커넥터(10)는, 플러그 차폐 부재(110)로부터 외주측 차폐부(111) 및 내주측 차폐부(112)의 일방을 생략해도 된다. 반면에, 커넥터(10)는, 외주측 차폐부(111) 및 내주측 차폐부(112)와는 다른 차폐부를 1개 이상, 외주측 차폐부(111) 및 내주측 차폐부(112)와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마련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외주측 차폐부(61)와는 다른 차폐부를 1개 이상, 외주측 차폐부(61)와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마련해도 된다.
리셉터클 차폐 부재(60) 및 플러그 차폐 부재(110)의 기재(基材)를 수지에 의해 구성하고, 당해 기재(수지)의 표면을 도전성 재료에 의해 도금 또는 코팅해도 된다.
10 : 커넥터
20 : 리셉터클 커넥터(제 1 커넥터)
30 :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제 1 인슐레이터)
31 : 바닥판부
32 : 외주벽
32a : 전벽
32b : 후벽
33 : 감합 볼록부
34 : 감합 오목부
35 : 콘택트 장착 홈
35a : 변형 허용 홈
35b : 콘택트 계합 돌기
36 : 전원 콘택트 장착 홈
36a : 변형 허용 홈
36b : 전원 콘택트 계합 돌기
37 : 지지부
40 : 리셉터클 콘택트(콘택트)
41 : 실장부
42 : 계지부
43 : 만곡부
44 : 탄성 접촉편
45 : 접촉부(제 1 접촉부)
50 : 리셉터클 전원 콘택트
51 : 실장부
52 : 계지부
53 : 만곡부
54 : 탄성 접촉편
55 : 접촉부
56 : 돌기
60 : 리셉터클 차폐 부재(제 1 차폐 부재)
61 : 외주측 차폐부(제 1 외주측 차폐부)
62 : 탄성 변형부
63 : 관통 구멍
64 : 유인부
65 : 실장부(제 1 실장부)
66 : 계합부(제 1 계합부)
67 : 짧은 부분
68 : 장착부
70 : 플러그 커넥터(제 2 커넥터)
75 : 플러그 성형품
80 : 플러그 인슐레이터(제 2 인슐레이터)
81 : 바닥판부
82 : 고리 형상 벽
82a : 전벽
82b : 후벽
83 : 감합 오목부
84 : 콘택트 보지 홈
85 : 전원 콘택트 장착 홈
86 : 지지부
90 : 플러그 콘택트(콘택트)
91 : 실장부
92 : 접촉부(제 2 접촉부)
93 : 연장 돌출부
94 : 플러그 돌기
95 : 유인부
100 : 플러그 전원 콘택트
101 : 실장부
102 : 연장 돌출부
103 : 접촉부
104 : 계지부
105 : 유인부
106 : 제 1 돌기
107 : 제 2 돌기
108 : 스태빌라이저
110 : 플러그 차폐 부재(제 2 차폐 부재)
111 : 외주측 차폐부(제 2 외주측 차폐부)
112 : 내주측 차폐부
113 : 만곡 접속부
114 : 굴곡부
115 : 실장부(제 2 실장부)
116 : 계합부(제 2 계합부)
117 : 짧은 부분
118 : 장착부
CB1 : 회로 기판(제 1 회로 기판)
CB2 : 회로 기판(제 2 회로 기판)
S1 : 공극
S2 : 공극

Claims (10)

  1. 대향하는 한 쌍의 외주벽과, 당해 한 쌍의 외주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를 가지는 제 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 보지된 제 1 차폐 부재,
    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감합 볼록부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를 가지는 제 2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보지된 제 2 차폐 부재,
    를 구비하는 제 2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상기 제 1 차폐 부재와 상기 제 2 차폐 부재가 감합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굴곡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제 2 차폐 부재와의 감합시에, 상기 굴곡부를 수용하는 탄성 변형부를 가지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외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 1 외주측 차폐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외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 2 외주측 차폐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주측 차폐부와 상기 제 2 외주측 차폐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내측 단부에 제 1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내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계합부와 상기 제 2 계합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계합하는,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부의 선단으로부터, 제 1 인슐레이터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 마련되는 유인부를 가지는,
    커넥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부를 관통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제 1 외주측 차폐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제 1 실장부를 가지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장부는, 상기 제 1 외주측 차폐부의 상기 단부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커넥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제 2 외주측 차폐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는 복수의 제 2 실장부를 가지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장부는, 상기 제 2 외주측 차폐부의 상기 단부로부터 감합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커넥터.
KR1020197002928A 2016-08-04 2017-08-01 커넥터 KR102189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3685 2016-08-04
JP2016153685A JP6117415B1 (ja) 2016-08-04 2016-08-04 コネクタ
PCT/JP2017/027932 WO2018025874A1 (ja) 2016-08-04 2017-08-0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23A true KR20190020823A (ko) 2019-03-04
KR102189222B1 KR102189222B1 (ko) 2020-12-09

Family

ID=5866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928A KR102189222B1 (ko) 2016-08-04 2017-08-01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01182B2 (ko)
JP (1) JP6117415B1 (ko)
KR (1) KR102189222B1 (ko)
CN (1) CN109565134B (ko)
WO (1) WO2018025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1375B2 (ja) * 2017-05-29 2020-09-23 京セラ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573135B2 (ja) * 2017-11-06 2019-09-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
CN108110454B (zh) * 2017-11-28 2020-07-31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7910677B (zh) * 2017-11-28 2020-05-2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7102329B2 (ja) * 2018-05-11 2022-07-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7108531B2 (ja) * 2018-12-27 2022-07-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KR20200088637A (ko) 2019-01-15 2020-07-23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20220360023A1 (en) * 2019-06-20 2022-11-10 Ls Mtron Ltd. Board connector
CN216872292U (zh) * 2019-06-24 2022-07-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以及具备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套件
CN112259990A (zh) * 2019-07-02 2021-01-22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多通道连接器及其组合件
JP7348045B2 (ja) * 2019-12-03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の実装構造
JP7388901B2 (ja) * 2019-12-10 2023-11-2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417856B2 (ja) 2020-01-15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102499673B1 (ko) * 2020-12-11 2023-02-1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499672B1 (ko) * 2020-12-11 2023-02-1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499669B1 (ko) * 2021-01-26 2023-02-1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505915B1 (ko) * 2021-01-26 2023-03-0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505943B1 (ko) * 2021-01-26 2023-03-0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WO2024062955A1 (ja) * 2022-09-22 2024-03-2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342A (ja) * 1998-10-20 2000-05-1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2006059589A (ja) *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8146870A (ja) 2006-12-06 2008-06-26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9606B2 (ja) * 2003-08-22 2009-07-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43926B2 (ja) * 2004-04-28 2008-09-03 船井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プリント基板への接続構造
JP2006012625A (ja) * 2004-06-25 2006-01-12 Smk Corp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09129490A (ja) * 2007-11-21 2009-06-11 Nitto Denko Corp 配線回路基板
JP5896959B2 (ja) * 2013-06-14 2016-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US9300064B2 (en) * 2014-01-17 2016-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2016058270A (ja) * 2014-09-10 2016-04-21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256426B2 (ja) *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6145529B2 (ja) * 2016-03-01 2017-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JP6701345B2 (ja) * 2016-08-04 2020-05-27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EP3937316A1 (en) * 2016-09-19 2022-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342A (ja) * 1998-10-20 2000-05-1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2006059589A (ja) *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8146870A (ja) 2006-12-06 2008-06-26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222B1 (ko) 2020-12-09
US10601182B2 (en) 2020-03-24
WO2018025874A1 (ja) 2018-02-08
CN109565134A (zh) 2019-04-02
US20190173233A1 (en) 2019-06-06
CN109565134B (zh) 2020-07-31
JP6117415B1 (ja) 2017-04-19
JP2018022631A (ja)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823A (ko) 커넥터
KR20190016120A (ko) 커넥터
KR20190022839A (ko) 콘택트
JP5881666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8113884B2 (en) Connector
TW201914120A (zh) 電連接器
US20200091654A1 (en) Electric connector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JP6231593B2 (ja) コネクタ
JP2023160893A (ja) コネクタ
KR101473266B1 (ko) 커넥터
KR20150028202A (ko) 커넥터
KR20180021895A (ko) 플러그 커넥터
KR20080083726A (ko) 커넥터
JP6266734B1 (ja) コネクタ
CN107204544B (zh) 卡缘连接器
JP2018129165A (ja) コネクタ
US2008016082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201801418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