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296A -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296A
KR20190018296A KR1020170103087A KR20170103087A KR20190018296A KR 20190018296 A KR20190018296 A KR 20190018296A KR 1020170103087 A KR1020170103087 A KR 1020170103087A KR 20170103087 A KR20170103087 A KR 20170103087A KR 20190018296 A KR20190018296 A KR 20190018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attern
pads
driving circuit
complex func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072B1 (ko
Inventor
김상용
홍무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0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01L27/32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제 1기판 및 제 1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복수의 신호라인들과(DL / GL)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그러한 표시패널과 본딩영역에서 결합되고,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및 구동IC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장치와, 표시패널과 구동회로 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신호패드들 또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회로 장치, 구동회로 장치가 결합된 표시장치 및 구동회로 장치가 결합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 및 정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각 종 정보 및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무기발광 표시장치(IOLED: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퀀텀닷 디스플레이(Quantum Dot Display), Flexible 디스플레이, Rollabl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거나,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영상을 표시하거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관련된 구동회로가 있어야 하며, 뿐만 아니라 구동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도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표시장치 내에 영상의 최소 단위인 픽셀에 영상신호를 인가하거나 픽셀을 제어해야 영상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픽셀 단위 별로 픽셀에 픽셀에 영상신호를 인가하거나 픽셀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복수의 신호라인 및 최소 1개 이상의 TFT(Thin Film Transistor)가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반적인 표시장치(30)의 복수의 구동회로들(12)은 표시패널(20)의 후면에 결합되어 데이터 라인들(또는 소스 신호 라인들)이나 게이트 라인들(또는 스캔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회로들(12)은 구동회로 드라이브 IC(11)가 실장되고, 메인 컨트롤 보드(10)와 연결케이블(16,17)등을 통해 연결되며, T-con과 같은 제어회로(18)를 제어된다. 복수개의 구동회로들(12)을 효과적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케이블(16,17)과 구동회로들 사이에는 서브 컨트롤 보드(14,15)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회로들(12)은 표시장치(30)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와 게이트 신호(또는 스캔 펄스)를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구동회로들(12)을 표시패널(20)에 실장하는 방법은 드라이브 IC(11)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을 표시패널(20)에 접합하는 방법, 드라이브 IC(11)가 실장된 회로를 표시패널(20) 상에 직접 접합하는 COG(Chip On Glass)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구동회로(12)의 드라이브 IC(11)를 실장하기 위한 연성 회로 기판은 COF(Chip on film)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e) 등이 있다. 드라이브 IC(11)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과 표시패널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가 중간에 삽입되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OF형태의 구동회로(12)와 표시패널(20)이 접합은 표시패널(20)의 끝단에서 이루어지며, 접합시에는 열과 압력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접합부는 표시패널(20)의 끝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와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 COF 형태의 구동회로(12)와 표시패널(20)의 접합부는 외부 수분이나 외부 물질 등에 취약할 수 있다.
한편, COF 형태의 구동회로(12)와 표시패널(20)의 접합부에 외부 수분이나 외부 물질 때문에 오염이 되거나, 영향을 받게 되면, 표시장치(30)의 영상에 이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회로(12)가 정확한 구동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표시패널(20)에 인가해야 하는데, 위와 같은 접합부에서 발생되는 요인에 의해, 정확한 구동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구동회로(12)가 표시패널(20)의 화소부 또는 표시패널(20)의 일부를 센싱해야 하는 경우에도, 접합부에 외부 수분이나 외부 물질 때문에 오염이 되거나, 영향을 받게 되면, 정확한 센싱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표시장치(30)에 표시되는 영상에 선이 보이는 라인딤(Line Dim)이 발생하거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영상에 이상이 발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들은 표시장치(30)의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도 있으며, 특히,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의 경우, 수분이나 외부 물질로 인해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서 전기적인 숏트가 발생하여 화재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표시 성능에 저하가 없고, 표시장치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이물 등으로부터 표시장치를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표시영상의 오류나 표시장치의 불량이 사전에 방지되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이물 등을 표시장치 외부로 방출하거나, 수분이나 이물 등의 존재여부를 센싱하여 검출하고 표시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화소부를 안정적으로 센싱하여 화소부의 특성을 감지하고, 변화된 화소부의 특성을 반영하여, 우수한 표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기판 및 제 1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과 본딩영역에서 결합되고,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및 구동IC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패널과 구동회로 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신호패드들 또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은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에서 제 1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신호패드들은 제 1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제 2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은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 또는 제 1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제 3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근접거리는 상기 제 2근접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3근접거리는 상기 제 1근접거리 또는 상기 제 2근접거리보다 짧은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딩영역이 이방성 도전필름(ACF)으로 표시패널과 구동회로 장치가 결합되는 영역이고, 복합기능패턴은 본딩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본딩영역과 오버랩되어 배치되며, 표시패널의 신호패드들과 절연되거나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절연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구동회로 장치가 표시패널의 화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 장치이거나 게이트 구동회로 장치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더욱 포함하고, 이방성 도전필름(ACF)은 복합기능패턴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구동회로 장치에 형성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과 표시패널의 제 1기판에 형성된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더욱 포함하고, 이방성 도전필름(ACF)의 적어도 일부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 사이에도 배치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과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구동회로패드의 말단부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이 이격된 거리는 제 1 구동회로패드의 일측부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이 이격된 거리와 동일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방향으로 배치된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의 폭은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의 폭과 동일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이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방향으로 배치된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의 폭은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패드의 폭과 동일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의 내각은 90도 이상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은 벤딩부를 가지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의 내각은 90도 이상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는 오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는 곡선형태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는 제 1기판과 구동회로 장치를 정렬 시키는 얼라인 마크(Alignment Mark)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3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4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구동회로 장치에 배치되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표시패널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복수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과 마주하며 배치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신호라인들은 표시패널의 화소부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라인들이거나, 화소부에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전원 라인들이거나, 화소부에 보조 전압을 전달하는 보조 라인들이거나, 화소부에 게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게이트 신호라인들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5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5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복합기능패턴,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6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거나,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6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복합기능패턴 및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7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거나,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7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3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부를 포함하고, 발열부는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과 타측에 배치되는 구동회로 연결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의 전기적 저항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의 전기적 저항 또는 표시패널의 신호패드들의 전기적 저항보다 높은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더욱 포함하고,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과 타측에 배치되는 구동회로 연결패드들(125)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과 타측에 배치되는 구동회로 연결패드들(125)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여, 전기적으로 센싱된 센싱값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제 1복합기능패턴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에 미리 설정된 특정 전압을 인가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기판 및 제 1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본딩영역에서 결합되고,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및 구동IC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장치에 있어서, 구동회로 장치에 배치되며, 복수의 신호패드들 또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은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에서 제 1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은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에서 제 2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동회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표시패널과 구동회로 장치 사이에서 본딩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필링층를 더욱 포함하며, 필링층은 이방성 도전필름(ACF)으로 형성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의 물질이 표시패널의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표시패널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실링제를 더욱 포함하고, 표시패널의 일측부에 인접하여,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부 및 사이드 실링제의 일부와 컨택하여 배치되는 보강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 복합기능패턴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오픈부를 포함하고, 제 2복합기능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오픈부를 포함하고 제 1오픈부 및 제 2오픈부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 1기판 및 제 1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과 본딩영역에서 결합되고,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및 구동IC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패널과 구동회로 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신호패드들 또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된 센싱값이 미리정해진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복합기능패턴에 제 1신호 또는 제 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복합기능패턴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는 단계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이며, 복합기능패턴에 제 1신호 또는 제 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에 제 1신호 또는 제 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인 표시장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표시 성능에 저하가 없고, 표시장치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가 표시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이물 등으로부터 표시장치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표시영상의 오류나 표시장치의 불량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가 표시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이물 등을 표시장치 외부로 방출하거나, 수분이나 이물 등의 존재여부를 검출하여 표시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가 표시장치의 화소부를 안정적으로 센싱하여 화소부의 특성을 감지하고, 변화된 화소부의 특성을 반영하여, 우수한 표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표시장치의 후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도 2에서 PA에 해당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를 도 4에서 EA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도 4의 A - A'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도 4의 B - B'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회로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합기능패턴의 일부가 변경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합기능패턴의 일부가 오픈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합기능패턴의 일부가 휘어진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합기능패턴의 일부가 얼라인 마크로 활용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이 배치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도 17의 C - C'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이 배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도 19의 D - D'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의 일부가 오픈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합기능패턴이 발열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도 25 및 도 2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에서 복합기능패턴이 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복합기능패턴, 센싱부, 제어부, 전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이는 각 구성 요소간에 직접 접촉하면서 위치하는 경우를 이야기 할 수도 있지만, 각 구성 요소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위치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또는 '무기발광표시장치' 또는 '전계발광표시장치' 또는 '플라즈마표시장치' 또는 '퀀텀닷 표시장치' 등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실시예들에 해당하는 범위의 표시장치 및 구동회로 장치를 구비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상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이격거리(D1 ~ D9)들은 별도의 기재가 없어도, 필요에 따라서 서로 동일한 길이이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근접거리(D10 ~ D30)들은 별도의 기재가 없어도, 필요에 따라서 서로 동일한 길이이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는 표시패널(200), 데이터 구동회로 장치(220), 게이트 구동회로 장치(230), 제어회로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 장치(220)는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신호라인들(DL1, DL2, DL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 구동회로 장치(230)는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게이트 신호라인들(GL1, GL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신호라인들(DL1, DL2, DL3)은 데이터 신호라인(DL1), 메인 전원라인(DL2), 보조 전원라인(DL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게이트 구동회로 장치(230)는 메인 전원라인(DL1) 또는 보조 전원라인(DL3)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에 적합한 신호 또는 전압을 표시패널(200)에 인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도 2에서 PA에 해당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는 복수의 화소부(PA)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화소부(PA)에는 데이터 전압(Vdata), 메인 전원(VDD) 보조 전원(Vref) 스캔 신호(Scan), 센스 신호(Sense) 등과 같은 복수의 신호 또는 복수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수의 화소부(PA)는 표시장치(300)의 발광부(OLED)의 발광량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및 캐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부(PA)는 적어도 제 1트랜지스터(T1), 제 2트랜지스터(T2), 제 1캐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트랜지스터(T1)는 제 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고, 제 2트랜지스터(T2)는 발광부(OLED)와 연결되어 발광부(OLED)에 필요한 만큼의 전류를 흘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캐패시터(C1)의 제 1전극은 제 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제 1캐패시터(C1)의 제 2전극은 제 2트랜지스터(T2)의 소스전극 또는 드레인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수의 화소부(PA)는 제 3트랜지스터(T3)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제 3트랜지스터(T3)는 제 2트랜지스터(T2)와 발광부(OLED)는 사이의 노드를 보조 전원 라인(DL3)을 통해 초기화 하거나, 그 노드의 전압 또는 전류를 보조 전원 라인(DL3)을 통해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수의 화소부(PA)의 제 1트랜지스터(T1)는 제 1게이트 신호 라인(GL1)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 2트랜지스터(T2)는 제 2게이트 신호 라인(GL2)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은 도 4와 같이 표시패널(200)과 결합된 복수의 구동회로 장치(102)를 포함한다. 구동회로 장치들(102)은 표시패널(200)의 후면에 실장되거나 결합되어 표시패널(200)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DL1 ~DL3) 또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라인들(GL1, G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회로 장치들(102)은 구동회로 IC(101)가 실장되고, 메인 컨트롤 보드(109)와 연결케이블(106, 107)등을 통해 연결되며, T-con과 같은 제어회로(108)를 통해 제어된다. 복수개의 구동회로 장치들(102)을 효과적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케이블(106,107)과 구동회로 장치(102)들 사이에는 서브 컨트롤 보드(104,10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브 컨트롤 보드(104,105)는 제어하는 구동회로 장치를 분할하여 제어하도록 2개 이상의 서브 컨트롤 보드(104,105)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복합기능패턴(103)을 포함하여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표시패널(200)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결합된 구동회로 장치(102)를 도4에서 EA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구동 IC(101)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이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들(125)이 타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 및 복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들(125)은 구동 IC(101)와 연결배선들(126)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구동회로 장치(102)는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의 본딩영역(BA)에서 결합되고,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신호라인들(DL1 ~ DL3) 및 복수의 게이트 신호라인들(GL1, GL2)에 필요한 신호 및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 장치(102)는 표시패널(200)의 화소부(PA)를 복수의 신호라인들(DL1 ~ DL3) 중 어느 하나의 라인을 이용하여 센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서브 컨트롤 보드(104)와 연결영역(CA)에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 되어, 메인 컨트롤 보드(109)로부터 오는 신호 및 전압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는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거나, 구동회로 장치(102) 또는 표시패널(200) 각각에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기능패턴(103)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구동회로 장치(102)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이 수분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표시장치(300)를 보호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표시패널(200)과 구동회로 장치(102)가 결합되는 본딩영역(BA)과 오버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합기능패턴(103)은 본딩영역(BA)내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복합기능패턴(103)의 일부가 본딩영역(BA)을 벗어나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200)의 신호패드들(124b)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결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도4의 A - A'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표시패널(200)은 제 1기판(100)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실링제(12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의 일측부에 인접하여, 구동회로 장치(102)가 서로 결합된다.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부에 배치되며, 사이드 실링제(120)의 일부와 컨택(contact)하는 보강제(121)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사이드 실링제(120)는 표시패널(200)의 일측부로 발생하는 빛샘을 억제할 수 있으며, 보강제(121)는 구동회로 장치(102)가 표시패널(200)과 결합될 때, 더욱 결합력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이드 실링제(120)와 보강제(121)는 표시패널(200)과 구동회로 장치(102)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은 제 2기판(110)과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 2기판(110)은 표시패널의 화소부(PA)로 침투하는 수분을 방지하거나, 화소부(PA)를 보호하는 엔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층의 역할을 한다. 표시패널(200)의 제 2기판(110) 상부에는 서브 컨트롤 보드(104)가 위치할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절연층(111)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111)은 제 2기판(110)과 서브 컨트롤 보드(104)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표시패널(200)과 구동회로 장치(102) 사이에서 본딩영역(BA)에 인접하여 필링층(122)이 배치된다. 필링층(122)은 표시패널(200)과 구동회로 장치(102)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제 역할을 하며, 외부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때, 필링층(122)은 본딩영역(BA)에서 일부 돌출되어 나온 이방성 도전필름(122)일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구동회로 장치(102)와 서브 컨트롤 보드(104)가 연결영역(CA)에서 구동회로 연결패드(125)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구동회로 연결패드(125)와 서브 컨트롤 보드(104)는 이방성 도전필름(122)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부는 표시패널(200)의 일측 끝단에서 일정거리에 해당하는 근접거리(Proximity Distance) 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을 참조하면,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부는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제 5근접거리(D30) 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끝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도4의 B - B'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과 결합되어 있다. 구동회로 장치(102)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은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과 이방성 도전필름(122)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방성 도전필름(122) 내부에는 복수의 도전볼(123)이 배치되어 있어서,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과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높이(H2)는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의 높이(H3)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높이는 단면의 바닥면에서부터 상면까지의 수직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제 1높이(H1)를 가지며,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방성 도전필름(122)은 복합기능패턴(103)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합기능패턴(103)은 이방성 도전필름(12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과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회로 장치(102)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은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과 이방성 도전필름(122)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방성 도전필름(122) 내부에는 복수의 도전볼(123)이 배치되어 있어서,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과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에 형성된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방성 도전필름(122)의 적어도 일부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 사이를 이방성 도전필름(122)으로 채움으로써, 외부 수분이나 이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높이는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높이나, 표시패널(200)의 신호패드들(124b)의 높이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의 높이가 구동회로패드들(124a) 보다 높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높이가 신호패드들(124b)보다 높게 형성되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 사이에 배치된 이방성 도전필름(122)은 구동회로패드들(124a)과 신호패드들(124b) 사이에 배치된 이방성 도전필름(12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구동회로 기판(122)상에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이 배치되고,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은 미리 정해진 이격거리(Separation Distance)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구동회로패드들(124a) 중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과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구동회로패드(124a-1)의 말단부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이 이격된 제 1 이격거리(D1)는 제 1 구동회로패드(124a-1)의 일측부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이 이격된 제 2 이격거리(D2)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제 1 이격거리(D1)와 제 2이격거리(D2)는 구동회로 장치(102) 설계 제약사항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에서 일정거리에 해당하는 근접거리(Proximity Distance) 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를 참조하면,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말단부는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제 1근접거리(D10) 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이때, 제 1근접거리(D10)는 0.1mm에서 100mm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에서 일정거리에 해당하는 근접거리(Proximity Distance) 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를 참조하면, 구동회로 장치(102)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는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제 3근접거리(D11) 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이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제 3근접거리(D11)는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말단부가 구동회로 장치(102)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제 1근접거리(D10)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이때, 제 3근접거리(D11)는 0.1mm에서 100mm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솔더레지스트(SR) 및 구동 IC(101)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솔더레지스트(SR)는 구동회로패드들(124a)을 서로 절연시키거나, 구동회로패드들(124a)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구동 IC(101)는 솔더레지스트(SR)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구동 IC(101)는 솔더레지스트(SR)보다 하부에 형성되거나, 내부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이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되는 경우,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패드들(124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구동회로패드들(124a)과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기능패턴(103)은 솔더레지스트(SR)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패드들(124a)에 전기적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복수의 부분 복합기능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9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방향으로 배치된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제 2방향으로 배치된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표시패널(2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표시패널(200)은 제 1기판(122)상에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과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이 배치되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과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은 미리 정해진 이격거리(Separation Distance)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신호패드들(124b) 중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과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신호패드(124b-1)의 말단부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이 이격된 제 8이격거리(D8)는 제 1 신호패드(124b-1)의 일측부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이 이격된 제 9이격거리(D9)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제 8이격거리(D8)와 제 9이격거리(D9)는 표시패널(200)의 설계 제약사항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표시패널(200)의 신호패드들(124b)은 표시패널(200)의 일측 끝단에서 일정거리에 해당하는 근접거리(Proximity Distance) 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패널(200)의 신호패드들(124b)의 말단부는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제 2근접거리(D20) 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이때, 제 2근접거리(D20)는 0.1mm에서 100mm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표시패널(200)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표시패널(200)의 일측 끝단에서 일정거리에 해당하는 근접거리(Proximity Distance) 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패널(200)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제 4근접거리(D21) 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이때,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이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제 4근접거리(D21)는 신호패드들(124b)의 말단부가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제 2근접거리(D20)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이때, 제 4근접거리(D21)는 0.1mm에서 100mm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표시패널(200)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복수의 부분 복합기능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방향으로 배치된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b-1), 제 2방향으로 배치된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103b-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방향은 예를 들면,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이 정렬된 방향일 수 있다. 제 2방향은 예를 들면,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b-1)은 제 1길이(length)의 폭(W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130b-2)은 제 2길이(length)의 폭(W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길이의 폭(W1) 및 제 2길이의 폭(W2)은 서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130b-2)은 제 2길이의 폭(W2)은 신호패드들(124b)의 제 3길이의 폭(W3)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이 표시패널(200)에 형성되는 경우, 복합기능패턴(103)은 신호패드들(124b)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신호패드들(124b)과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기능패턴(103)은 표시패널(200)에 다른 금속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합기능패턴(103)은 게이트 금속층, 소스/드레인 금속층, 반도체층, 투명도전층들 중 하나 이상의 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기능패턴(103)은 표시패널(200)에 비금속 절연층들중 하나 이상의 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합기능패턴(103)은 게이트 절연층, 보호층, 패시베이션(Passivation)층들 중 하나 이상의 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합기능패턴(103)의 일부가 변경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거나, 구동회로 장치(102) 또는 표시패널(200) 각각에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합기능패턴(103)은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구동회로 장치(102)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1)을 포함하고,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와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103-2)을 포함하고,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 및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103)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을 더욱 포함한다.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의 벤딩부의 내각(A1)은 90도이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 또는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와 거리가 증가하게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 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일측에 위치한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의 벤딩부의 내각(A1)은 타측에 위치한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의 벤딩부의 내각(A1)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거나, 구동회로 장치(102) 또는 표시패널(200) 각각에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과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고 도 11과 차이가 나는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1)은 벤딩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벤딩부의 내각(A3)은 90도 이상 180도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구동회로 장치(102)가 표시패널(200)과 결합하여 표시패널(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때,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1)이 벤딩부를 포함하게 되면, 수분이 일정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설계 할 수 있으므로, 외부 수분이 표시장치(30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합기능패턴(130)의 일부가 오픈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은 벤딩부에 오픈부(P1)가 형성되어 내부에 이미 침투한 수분이나 이물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의 오픈부(P1)는 통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활용 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1)은 및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은 오픈부(P1)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픈부(P1)를 통해 내부에 이미 침투한 수분이나 이물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103-1)의 중간 부분에 오픈부(P1)를 형성하여, 수분이나 이물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의 오픈부(P1)는 통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활용 될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합기능패턴(103)의 일부가 휘어진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의 벤딩부는 곡선형으로 설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벤딩부를 곡선형으로 설계하여 배치하는 경우, 구동회로패드들(124a) 중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마지막 구동회로패드와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103-3)과의 이격거리(Separation Distance)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구동회로패드들(124a)이 복합기능패턴(103)으로부터 받는 영향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합기능패턴(103)의 일부가 얼라인 마크(Alignment Mark, AM)로 활용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3 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의 일부가 얼라인 마크(AM)로 활용될 수 있도록 얼라인 마크(AM)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얼라인 마크(AM)를 구동회로 장치(102)에 삽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3 부분 복합기능패턴(103-3)에 포함된 얼라인 마크(AM)는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얼라인 마크(AM)는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모양과 크기로 설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얼라인 마크(AM)는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103)이 배치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복합기능패턴(103) 또는 3개의 복합기능패턴(103)이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103)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복합기능패턴(103)이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되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은 표시패널(200)에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서로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되거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표시패널(2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이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복합기능패턴(103)은 다른 복합기능패턴(103)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보다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로부터 더욱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복합기능패턴(103)은 다른 복합기능패턴(103)을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의 일측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된다. 또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의 모양과 크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설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도 17의 C - C'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는 표시패널(200)과 결합되어 있다. 구동회로 장치(102)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은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과 이방성 도전필름(122)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방성 도전필름(122) 내부에는 복수의 도전볼(123)을 포함하고 있어서,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과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을 각각 전기적으로 도통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높이는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의 높이는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높이보다 더욱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의 높이는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의 높이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높이는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높이나 신호패드들(124b)의 높이보다 높거나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2개이상의 부분 복합기능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시패널(200)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2개이상의 부분 복합기능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회로 장치(102)의 2개이상의 부분 복합기능패턴은 표시패널(200)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과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2개이상의 부분 복합기능패턴들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은 서로 정확히 얼라인(Align)되어 짝을 이룰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 오버랩(Overlap)되면서, 서로 조금씩 어긋나서 짝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2개이상의 부분 복합기능패턴들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경우, 2개이상의 부분 복합기능패턴들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필름(122)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상에는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표시패널(200)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이 배치된다.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는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 중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와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4이격거리(D4)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표시패널(200)과 결합된 구동회로 장치(102)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구동회로 장치(102)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이 배치된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 중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와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3이격거리(D3)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 3이격거리(D3)는 제 4이격거리(D4)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제 3이격거리(D3)는 제 4이격거리(D4)보다 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제 3이격거리(D3)와 제 4이격거리(D4)를 다르게 설정하게 되는 경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사이에 이방성 도전필름(1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사이가 이방성 도전필름(122)으로 채워지게 되므로, 외부 수분이나 이물 등이 침투를 방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3이격거리(D3)와 제 4이격거리(D4)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외부 수분이나 이물 등이 침투하는 경로를 증가시켜, 그것들의 침투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103)이 배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 사이에 3개 이상의 복수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복합기능패턴(103)이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103)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복합기능패턴(103)이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되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30b)은 표시패널(200)에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서로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되거나 표시패널(2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이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복합기능패턴(103)은 다른 복합기능패턴(103)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로부터 제 7이격거리(D7) 만큼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로부터 제 6이격거리(D6) 만큼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로부터 제 5이격거리(D5) 만큼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복합기능패턴(103)은 다른 복합기능패턴(103)을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의 일측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될 수 있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의 일측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의 모양과 크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설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도 19의 D - D'에 해당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구동회로 장치(102)의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은 표시패널(200)의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과 이방성 도전필름(122)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높이는 복수의 신호패드들(124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구동회로 장치(102)에 형성되어 있고,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표시패널(200)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의 높이,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높이,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 수 있다. 또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의 높이,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높이,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의 높이는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높이나 신호패드들(124b)의 높이보다 높거나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또는 복수의 신호패드들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정하게 되는 경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사이에 이방성 도전필름(1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과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의 사이가 이방성 도전필름(122)으로 채워지게 되므로, 외부 수분이나 이물 등이 침투를 방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합기능패턴들의 이격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외부 수분이나 이물 등이 침투하는 경로를 증가시켜, 그것들의 침투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21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수의 복합기능패턴(103)의 일부가 오픈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구동회로 장치(102)와 표시패널(200)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부(P1,P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제 1 오픈부(P1)를 복수개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103b)은 제 2 오픈부(P2)를 복수개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오픈부(P1)와 제 2오픈부(P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오픈부(P1)와 제 2오픈부(P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면, 외부 수분이나 이물 등의 침투 경로를 길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오픈부(P1,P2)는 이미 수분이나 외부 이물 등이 표시패널(200) 내부로 침투한 경우, 복수의 오픈부(P1,P2)를 통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활용 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합기능패턴(103)이 발열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는 전기적 발열 장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복합기능패턴(103)의 발열부를 통해서, 복합기능패턴(103) 주변의 수분이나 이미 침투한 수분은 강제적으로 증발 될 수 있다. 발열부는 발열을 위해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는 복수의 구부러진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전압이 인가되면, 발열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합기능패턴(103)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은 전기적으로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 연결패드들(125)중 하나 또는 그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 연결패드들(125)은 서브 컨트롤 보드(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발열부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서브 컨트롤 보드(104)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발열부를 포함하는 복합기능패턴(103)은 표시패널(200)의 제 1기판(100)에 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패널(200)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신호패드들로부터 발열부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발열부의 전기적 저항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회로패드들(124a)의 전기적 저항 또는 상기 표시패널의 신호패드들(124b)의 전기적 저항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열부는 발열을 위해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합기능패턴(103)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 IC(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IC(101)는 연결패드들(125)을 통해서, 발열부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서브 컨트롤 보드(104)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24, 도 25 및 도 26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 및 표시장치(300)의 후면에 부착된 구동회로 장치(102)에서 복합기능패턴(103)이 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기능패턴(103)은 센서부는 복합기능패턴(103)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합기능패턴(103) 자체가 센서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센서부를 통해서 복합기능패턴(103) 및 복합기능패턴(103) 주변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이물 등의 존재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복합기능패턴(103)의 센서부를 센싱(Sensing)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Sensing)이란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Detect)하기 위해 센서부를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수분이나 이물 등에 의해 2개 이상의 복합기능패턴(103)이 전기적으로 숏트(Short) 되는 경우, 복합기능패턴(103)의 센서부를 센싱하기 이전의 센싱값(A)과 센싱한 이후의 센싱값(B)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센싱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수분 이나 이물 등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싱값에 따라 어떤 물질이 존재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수분의 전기적 특성과 이물의 전기적 특성이 달라서,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의 센싱값과,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의 센싱값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 따른 센싱값에 따라 수분이 존재하는지 이물 등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300)는 복합기능패턴(103)이나 복합기능패턴(103)의 주변에 수분이나 이물 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발열부를 통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 이때, 수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발열부를 발열시켜, 수분을 증발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발열부를 발열시키는 것보다, 이물을 제거하나 구동회로 장치(102)를 교체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을 포함한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에만 센서부를 포함될 수도 있지만,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에만 센서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 모두에 센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센서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는 구동IC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IC 내부의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센싱할 수도 있고, 구동 IC(101) 내부에 별도의 센싱부를 구성하여 센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300)는 복합기능패턴(103)이나 복합기능패턴(103)의 주변에 수분이나 이물 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 IC(101)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발열부를 통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을 포함한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연결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에만 센서부를 포함될 수도 있지만,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에만 센서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 모두에 센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센서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는 서브 컨트롤 보드(104)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센싱부는 메인 컨트롤 보드(109)에 위치하여 복합기능패턴(103)의 센서부를 센싱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300)는 복합기능패턴(103)이나 복합기능패턴(103)의 주변에 수분이나 이물 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동회로 장치의 연결패드(125)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발열부를 통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을 포함한다. 이때,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연결패드(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구동회로 장치(102)의 구동 IC(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에만 센서부를 포함될 수도 있지만,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에만 센서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 모두에 센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의 센서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는 구동IC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IC 내부의 ADC를 이용하여, 센싱 할 수도 있고, 구동 IC(101) 내부에 별도의 센싱부를 구성하여 센싱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300)는 복합기능패턴(103)이나 복합기능패턴(103)의 주변에 수분이나 이물 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동회로 장치의 연결패드(125)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발열부를 통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
도 2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 센싱부(240), 제어부(250), 전원부(2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300)의 복합기능패턴(103)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은 각각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에 포함된 센서부를 통해서, 수분이나 이물 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센싱부(240)는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및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에 포함된 센서부를 센싱한다. 센싱부(240)가 복합기능패턴(103)을 센싱 주기 및 센싱 시간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센싱부(240)가 센싱한 센싱값은 제어부(250)로 전달된다. 제어부(250)는 전달받은 센싱값이 어느 정도 인지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복합기능패턴(103)에 필요한 신호(제 1신호) 또는 전압(제 1전압)을 센싱부(240)를 통해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103a) 또는 제 3단위 복합기능패턴(103c)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복합기능패턴(103)에 필요한 신호 또는 전압을 센싱부(24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복합기능패턴(103)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제어부(250)는 필요한 신호 또는 전원을 전원부(260)에 공급 요청을 하거나 전원부(26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표시장치
200: 표시 패널
102: 구동회로 장치
101: 구동 IC
103: 복합기능패턴
104: 서브 컨트롤 보드
109: 메인 컨트롤 보드
DL1 ~ DL3: 구동 신호 라인들
GL1 ~ GL2: 게이트 신호 라인들
124a: 구동회로패드
124b: 신호패드

Claims (28)

  1. 제 1기판 및 상기 제 1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본딩영역에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및 구동IC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장치;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구동회로 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또는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에서 제 1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은 상기 제 1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제 2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 또는 상기 제 1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제 3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접거리는 상기 제 2 근접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 3 근접거리는 상기 제 1 근접거리 또는 상기 제 2 근접거리보다 짧은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영역은 이방성 도전필름으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구동회로 장치가 결합되는 영역이고,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본딩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본딩영역과 오버랩되어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신호패드들과 절연되거나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절연된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 장치는 상기 표시패널의 화소부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 장치이거나 게이트 구동회로 장치인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이방성 도전필름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은 상기 복합기능패턴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에 형성된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 1기판에 형성된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이방성 도전필름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 사이에도 배치되는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과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구동회로패드의 말단부와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이 이격된 제 1이격거리는 상기 제 1 구동회로패드의 일측부와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이 이격된 제 2이격거리와 동일한 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방향으로 배치된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의 폭은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의 폭과 동일한 표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방향으로 배치된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의 폭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패드의 폭과 동일한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의 내각은 90도 이상인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은 벤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의 내각은 90도 이상인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는 오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는 곡선형태인 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말단부들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신호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구동회로패드들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상기 제 1부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제 2부분 복합기능패턴과 만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부분 복합기능패턴의 벤딩부는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구동회로 장치를 정렬 시키는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3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4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표시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회로 장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표시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과 마주하며 배치되는 표시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은 상기 표시패널의 화소부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라인들이거나, 상기 화소부에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전원 라인들이거나, 상기 화소부에 보조 전압을 전달하는 보조 라인들이거나, 상기 화소부에 게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게이트 신호라인들인 표시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5이격거리 만큼 이격되거나,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중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5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복합기능패턴,
    상기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6이격거리 만큼 이격되거나, 상기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6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하나의 신호패드와 제 7이격거리 만큼 이격되거나, 상기 하나의 구동회로패드와 제 7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 3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타측에 배치되는 구동회로 연결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의 전기적 저항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회로패드들의 전기적 저항 또는 상기 표시패널의 신호패드들의 전기적 저항보다 높은 표시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타측에 배치되는 구동회로 연결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타측에 배치되는 구동회로 연결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회로 연결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여,
    상기 전기적으로 센싱된 센싱값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 또는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및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에 미리 설정된 특정 전압을 인가하는 표시장치.
  26. 제 1기판 및 상기 제 1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본딩영역에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및 구동IC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 장치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또는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에서 제 1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은 상기 구동회로 장치의 일측 끝단에서 제 2 근접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동회로 장치.
  27. 제 1기판 및 상기 제 1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신호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본딩영역에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 및 구동IC를 포함하는 구동회로 장치;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구동회로 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패드들 또는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패드들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센싱값이 미리정해진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합기능패턴에 제 1신호 또는 제 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능패턴은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 및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단위 복합기능패턴을 전기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이며,
    상기 복합기능패턴에 제 1신호 또는 제 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 2단위 복합기능패턴에 제 1신호 또는 제 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인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70103087A 2017-08-14 2017-08-14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3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87A KR102034072B1 (ko) 2017-08-14 2017-08-14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87A KR102034072B1 (ko) 2017-08-14 2017-08-14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96A true KR20190018296A (ko) 2019-02-22
KR102034072B1 KR102034072B1 (ko) 2019-10-18

Family

ID=6558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087A KR102034072B1 (ko) 2017-08-14 2017-08-14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928B1 (ko) * 2019-12-31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WO2023234550A1 (ko) * 2022-05-31 2023-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799A (ko) 2020-07-10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640A (ja) * 1994-08-15 1996-02-27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01917A (ko) * 2003-06-28 2005-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씨오지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97000A (ko) * 2004-03-30 2005-10-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50106843A (ko) * 2004-05-06 2005-11-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구동회로와의 오정열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JP2008047781A (ja) * 2006-08-18 2008-02-28 Nec Lcd Technologies Ltd テープキャリア、液晶表示装置用テープキャリア、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32867A (ko) * 2009-09-24 2011-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10033660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동회로
KR20120075114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640A (ja) * 1994-08-15 1996-02-27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01917A (ko) * 2003-06-28 2005-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씨오지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97000A (ko) * 2004-03-30 2005-10-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50106843A (ko) * 2004-05-06 2005-11-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구동회로와의 오정열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JP2008047781A (ja) * 2006-08-18 2008-02-28 Nec Lcd Technologies Ltd テープキャリア、液晶表示装置用テープキャリア、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32867A (ko) * 2009-09-24 2011-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10033660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동회로
KR20120075114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928B1 (ko) * 2019-12-31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WO2023234550A1 (ko) * 2022-05-31 2023-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072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145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5865B1 (ko) 표시 장치
EP3288082B1 (en) Display device
US7994810B2 (en) Electro-optical device
US10452181B2 (en) Touchscreen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9930784B2 (en) Display device having dummy terminals
JP4627140B2 (ja) 表示装置
KR102308663B1 (ko)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KR20180025421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18296A (ko) 표시장치, 구동회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80062508A (ko) 표시 장치
KR1025988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53612A (ko) 투명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KR20180004881A (ko) 인쇄회로기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01978A (ko)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90024326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80062274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70118509A (ko) 표시장치
US20230157090A1 (en) Display device
US11404000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a bonding state of a driver integrated circuit therein
US11921945B2 (en) Touch display device
TWI838867B (zh) 觸控顯示裝置
US20230124340A1 (en) Touch Display Device
KR2023007218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