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879A -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879A
KR20190017879A KR1020197000249A KR20197000249A KR20190017879A KR 20190017879 A KR20190017879 A KR 20190017879A KR 1020197000249 A KR1020197000249 A KR 1020197000249A KR 20197000249 A KR20197000249 A KR 20197000249A KR 20190017879 A KR20190017879 A KR 2019001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mol
liquid developer
mass
monom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조 도쿠나가
야스타카 아카시
나오히코 츠치다
준지 이토
야스히로 아이치
준 시라카와
료 나토리
와카 하세가와
아야노 마시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03G9/13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polymer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03G9/12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olouring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03G9/125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liqu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03G9/13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polymer components
    • G03G9/13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polymer component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그리고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이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이고,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이고,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0.9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현상제.

Description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년간,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하는 복사기, 팩시밀리 및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컬러 화상의 고화질화, 장치의 고속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 중에서 고정밀 도트, 세선 화상의 재현성이 양호하고, 계조 재현성이 양호하며, 컬러 재현성이 우수하고, 고속에서의 화상 형성이 우수한 액체 현상제를 사용한 전자 사진 기술을 이용한 고화질 고속 디지털 인쇄 장치의 개발이 왕성해지고 있다.
종래부터 액체 현상제로서, 캐리어액 중에 착색 수지 미립자인 토너 입자를 분산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캐리어액으로서는 탄화수소계 유기 용제나 실리콘 오일 등의 비수계 절연성 액체가, 감광 드럼 상의 정전 잠상의 전위를 어지럽히지 않기 위함, 또한 보관 중의 휘발을 억제하기 위함 등의 이유로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토너 입자를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캐리어액 중에서의 안정성 및 투광성의 관점, 건식 현상 방식과 마찬가지의 열과 압력에 의한 정착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의 관점 및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열과 압력에 의한 토너 입자의 정착성이 캐리어액의 토너 내부로의 침입이나, 분산제의 영향으로 저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가 카르복실산으로서 트리멜리트산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염기성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현상제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고화질화를 달성하기 위해 토너 입자를 1㎛ 이상 3㎛ 이하의 소직경으로 하고, 클리닝성을 높이기 위해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를 0.90 이상 0.96 이하로 한 액체 현상제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 52930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63985호 공보
액체 현상제를 사용한, 고화질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감광 드럼의 정전 잠상을 토너 입자가 충실히 재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토너 입자가 캐리어액 중에서 유동하기 쉽고, 감광 드럼 표면 상에 있어서 정전 잠상에 대한 추종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프탈산과 트리멜리트산을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토너 입자를 갖는 현상제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토너 입자는, 캐리어액 중에서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열과 압력에 의한 정착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해당 토너 입자는 분쇄법에 의해 얻어진 부정형인 것이며, 우수한 정전 잠상 재현성을 얻기 위해서는 가일층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토너 입자를 사용한 액체 현상제는, 600dpi 이상이라는 감광 드럼 상의 고정밀 잠상에 대한 충분한 추종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우수한 정전 잠상 재현성을 갖고, 고화질 화상이 얻어지는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그리고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이며,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산 성분으로서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이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이고,
해당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0.9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현상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그리고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이며,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 해당 안료 및 용제를 함유하는 안료 분산액을 제조하는 안료 분산 공정,
해당 안료 분산액에 해당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혼합 공정,
해당 혼합액으로부터 해당 용제를 증류 제거하는 증류 제거 공정을 갖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산 성분으로서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이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이고,
해당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0.9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정전 잠상 재현성을 갖고, 고화질 화상이 얻어지는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 이상 ×× 이하」나 「○○ 내지 ××」라는 기재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끝인 하한 및 상한을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액체 현상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그리고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포함한다.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산 성분으로서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이다.
또한,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모노머 유닛이란, 폴리머 또는 수지 중의 모노머 물질이 반응한 형태를 말한다.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임으로써, 토너 입자 표면이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에 대하여 연화 또는 팽윤되기 어려워져, 캐리어액 중에서 이동하기 쉬워진다. 또한, 현상 프로세스에 있어서 감광 드럼 표면과 토너 입자의 부착력이 작아져, 정전 잠상으로의 추종성이 향상되며, 그 결과 도트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은, 가일층의 도트 재현성 향상의 관점에서 2.0몰% 이상 30.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임으로써,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과의 친화성이 낮아진다. 그 결과, 상기한 토너 입자 표면의 연화 또는 팽윤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어, 도트 재현성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은, 가일층의 도트 재현성 향상의 관점에서 80.0몰% 이상 100.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일층의 도트 재현성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몰 이상 3.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몰 이상 3.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당 평균 부가 몰수가 1.0몰 이상 3.0몰 이하임으로써, 상기한 토너 입자 표면의 연화 또는 팽윤 억제 효과가 안정적으로 얻어지며, 결과로서 우수한 도트 재현성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해당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50 이상 1.000 이하이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0.950 이상임으로써, 감광 드럼 표면과의 부착력이 억제되어, 정전 잠상으로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정전 잠상으로의 추종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65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70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토너 입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 내의 값이면, 액체 현상제에 의해 형성되는 토너 화상의 해상도를 충분히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산 성분으로서 적어도 트리멜리트산과, 알코올 성분으로서 적어도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를 원료로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규정을 만족하는 한에 있어서, 그 밖의 다가 카르복실산 및 그 밖의 다가 알코올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구성 성분으로서 병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중축합 반응에 있어서, 트리멜리트산 및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수지 구조가 얻어지는, 해당 트리멜리트산 및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의 유도체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유도체로서는, 무수화물, 에스테르화물 또는 클로라이드화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해당 다가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류 또는 그의 무수물;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과 같은 알킬디카르복실산류 또는 그의 무수물; 탄소수 6 이상 18 이하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로 치환된 숙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 푸마르산, 말레산 및 시트라콘산과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류 또는 그의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이나 그의 무수물.
해당 다가 알코올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에틸렌옥사이드 이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부텐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소르비톨, 1,2,3,6-헥산테트롤, 1,4-소르비탄,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1,2,4-부탄트리올, 1,2,5-펜탄트리올, 글리세롤, 2-메틸프로판트리올, 2-메틸-1,2,4-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1,3,5-트리히드록시메틸벤젠.
액체 현상제에 있어서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한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복수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토너 입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더하여 그 밖의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그 밖의 수지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비닐톨루엔 등의 스티렌 및 그의 치환체의 단독 중합체; 스티렌-p-클로로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나프탈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α-클로로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메틸에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에틸에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메틸케톤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페놀 수지, 천연 수지 변성 페놀 수지, 천연 수지 변성 말레산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수지, 푸란 수지, 에폭시 수지, 크실렌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테르펜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석유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액체 현상제 중의 토너 입자 농도는,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따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1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정도로 하면 된다.
액체 현상제에 있어서 토너 입자는 정착성을 높이기 위해 왁스를 함유해도 된다. 해당 왁스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며, 공지된 왁스를 공지된 함유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토너 입자는 안료를 함유한다. 해당 안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모든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 또는 안료를 분산매로서 불용성의 수지 등에 분산시킨 것, 안료 표면에 수지를 그래프트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옐로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C.I.피그먼트 옐로 1, 2, 3, 4, 5, 6, 7, 10, 11, 12, 13, 14, 15, 16, 17, 23, 62, 65, 73, 74, 83, 93, 94, 95, 97, 109, 110, 111, 120, 127, 128, 129, 147, 151, 154, 155, 168, 174, 175, 176, 180, 181, 185; C.I.배트 옐로 1, 3, 20.
적색 또는 마젠타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C.I.피그먼트 레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1, 22, 23, 30, 31, 32, 37, 38, 39, 40, 41, 48:2, 48:3, 48:4, 49, 50, 51, 52, 53, 54, 55, 57:1, 58, 60, 63, 64, 68, 81:1, 83, 87, 88, 89, 90, 112, 114, 122, 123, 146, 147, 150, 163, 184, 202, 206, 207, 209, 238, 269;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9; C.I.배트 레드 1, 2, 10, 13, 15, 23, 29, 35.
청색 또는 시안색을 나타내는 안료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C.I.피그먼트 블루 2, 3, 15:2, 15:3, 15:4, 16, 17; C.I.배트 블루 6; C.I.애시드 블루 45, 프탈로시아닌 골격에 프탈이미드메틸기를 1 내지 5개 치환한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
녹색을 나타내는 안료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C.I.피그먼트 그린 7, 8, 36.
오렌지색을 나타내는 안료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C.I.피그먼트 오렌지 66, 51.
흑색을 나타내는 안료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카본 블랙, 티타늄 블랙, 아닐린 블랙.
백색을 나타내는 안료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염기성 탄산연,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티타늄산스트론튬.
토너 입자 중에 있어서의 안료의 분산에는, 토너 입자의 제조 방법에 따른 분산 수단을 사용하면 된다. 분산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볼밀, 샌드밀, 어트리터, 롤밀, 제트밀, 호모지나이저, 페인트 셰이커, 니더, 아지테이터, 헨쉘 믹서, 콜로이드밀, 초음파 호모지나이저, 펄밀, 습식 제트밀 등이 있다.
안료의 분산을 행할 때에 안료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료 분산제로서는, 수산기 함유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장쇄 폴리아미노아미드와 고분자량 산에스테르의 염, 고분자량 폴리카르복실산의 염, 고분자량 불포화산에스테르, 고분자 공중합물,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변성물,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에스테르, 안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료 분산 보조제로서, 각종 안료에 따른 시너지스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안료 분산제 및 안료 분산 보조제의 첨가량은, 안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상 5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액체 현상제는, 토너 입자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토너 입자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해당 토너 입자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어 시판품인 아지스퍼 PB817(아지노모또사제), 솔스퍼스 11200, 13940, 17000, 18000(닛본 루브리졸사제)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토너 입자 분산제로서, 적어도 하기 일반식 (A)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와 하기 일반식 (B)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를 모두 함유하는 고분자이며,
해당 분산제가, 해당 일반식 (A)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를 말단 이외의 위치에 갖는 토너 입자 분산제 A가 바람직하다. 해당 토너 입자 분산제 A로서는, 상기 아지스퍼 PB817(폴리알릴아민과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자기 축합물의 반응물) 등이 해당한다.
한편, 상기 솔스퍼스 13940(폴리에틸렌폴리아민과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자기 축합물의 반응물로부터 얻어지는 아미노기는, 말단의 아미노기 이외는 모두 2급 아미노기, 또는 3급 아미노기이다. 즉, 말단 이외에 1급 아미노기를 갖지 않는다)은, 해당 토너 입자 분산제 A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식 (A) 중, K는 1급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단위이다.]
Figure pct00002
[식 (B) 중, Q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알킬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단량체 단위이다.]
또한, 해당 토너 입자 분산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액체 현상제는,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함유한다.
해당 비수계 용액은 체적 저항률이 높고 전기 절연성이 있으며, 실온 부근에서 저점도인 액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해당 비수계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파라핀계 용매 등의 탄화수소계 유기 용제나 실리콘 오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보다 토너 입자의 도트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토너 입자에 정착성을 부여하지 않고, 경화형의 캐리어액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비수계 용액은, 토너 입자에 함유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하지 않는 액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25℃에서, 비수계 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용해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1질량부 이하이도록 비수계 용액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형의 캐리어액을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액은 중합성 액상 모노머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중합성 액상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모노머, 비닐에테르 화합물 및 에폭시나 옥세탄 등의 환상 에테르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인체에 대한 안전성, 고저항 및 저점도라는 관점에서 비닐에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비닐에테르 화합물이란, 비닐에테르 구조(-CH=CH-O-C-)를 갖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해당 비닐에테르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R'-CH=CH-O-C-로 표시된다(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해당 비닐에테르 화합물은, 하기 식 (C)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식 (C) 중, n은 1 분자 중의 비닐에테르 구조의 수를 나타내고, 1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다. R은 n가의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n은,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직쇄 또는 분지된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5 이상 12 이하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환식 탄화수소기 및 탄소수 6 이상 14 이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해당 지환식 탄화수소기 및 해당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R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이상 18 이하의 직쇄 또는 분지된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해당 비닐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옥틸비닐에테르, 2-에틸헥실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옥타데실비닐에테르, 벤질비닐에테르, 디시클로펜타디엔비닐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비닐에테르, 트리시클로데칸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2-에틸-1,3-헥산디올디비닐에테르, 2,4-디에틸-1,5-펜탄디올디비닐에테르,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비닐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비닐에테르, 1,2-데칸디올디비닐에테르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현상제를 자외선 등의 광에너지를 사용하여 캐리어액을 경화시킨 경우, 상기 중합성 모노머와 함께 광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란, 소정의 파장의 광을 감지하여 산 및 라디칼을 발생하기 위한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로서,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오늄염 화합물, 술폰 화합물, 술폰산에스테르 화합물, 술폰이미드 화합물, 디아조메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해당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액의 체적 저항률의 저하가 적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성 액상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부 이상 1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 0.5질량부 이하이다.
Figure pct00004
[식 (1) 중,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하고, x는 1 내지 8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3 내지 17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해당 광중합 개시제의 산 발생 효율의 향상, 감광 파장의 장파장화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증감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상기 경화형 캐리어액이 소정의 광에너지를 받기 전에 중합을 개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합 금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양이온 중합 금지제로서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또는 아민류를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금지제로서는, 페놀계 수산기 함유 화합물, 메토퀴논(히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히드로퀴논, 4-메톡시-1-나프톨 등의 퀴논류, 힌더드아민계 산화 방지제,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프리 라디칼, N-옥실 프리 라디칼 화합물류, 질소 함유 복소환 머캅토계 화합물,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 아스코르브산류, 황산아연, 티오시안산염류, 티오 요소 유도체, 각종 당류, 인산계 산화 방지제, 아질산염, 아황산염, 티오황산염, 히드록실아민 유도체, 방향족 아민, 페닐렌디아민류, 이민류, 술폰아미드류, 요소 유도체, 옥심류, 디시안디아미드와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의 중축합물, 페노티아진 등의 황 함유 화합물, 테트라아자아눌렌(TAA)을 베이스로 하는 착화제, 힌더드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현상제는, 필요에 따라 전하 제어제를 포함해도 된다. 해당 전하 제어제로서는,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아마인유, 대두유 등의 유지; 알키드 수지, 할로겐 중합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산성기 함유 수용성 염료, 방향족 폴리아민의 산화 축합물, 나프텐산코발트, 나프텐산니켈, 나프텐산철, 나프텐산아연, 옥틸산코발트, 옥틸산니켈, 옥틸산아연, 도데실산코발트, 도데실산니켈, 도데실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2-에틸헥산산코발트 등의 금속 비누류; 석유계 술폰산 금속염, 술포숙신산에스테르의 금속염 등의 술폰산 금속염류; 레시틴 및 수소 첨가 레시틴 등의 인지질; t-부틸살리실산 금속 착체 등의 살리실산 금속염류;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술폰산 함유 수지, 히드록시벤조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체 현상제에는, 그 밖에도,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해당 토너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건식 분쇄법이나 습식 분쇄법 등의 분쇄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분산 중합법이나 계면 중합법 등의 중합법, 전상 유화법이나 용해 현탁법 등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그리고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이며,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 해당 안료 및 용제를 함유하는 안료 분산액을 제조하는 안료 분산 공정,
해당 안료 분산액에 해당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혼합 공정,
해당 혼합액으로부터 해당 용제를 증류 제거하는 증류 제거 공정을 갖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산 성분으로서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이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이고,
해당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0.9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료 분산 공정]
우선, 폴리에스테르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함유하는 안료 분산액을 제조한다. 해당 안료 분산액에는, 얻어지는 토너 입자 중의 안료 분산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안료 분산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비수성 용액 중에서의 토너 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토너 입자 분산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용제는,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해당 안료 분산액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안료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가열 3축 롤밀로 용융 혼련하고, 용융 혼련물을 용제에 용해시켜, 분산액을 얻는 방법,
안료, 안료 분산제 및 용제를 혼합하고, 어트리터, 볼밀, 샌드밀 등의 미디어형 분산기, 고속 믹서, 고속 호모지나이저 등의 비미디어형 분산기로 안료를 습식 분산시킨 후, 용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토너 입자 분산제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고속 분산기로 분산 혼합하여, 안료 분산액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은, 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5질량부 이상 15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75질량부 이하이다.
안료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은, 안료 1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이다.
[혼합 공정]
안료 분산 공정에 이어서, 혼합 공정을 행한다. 혼합 공정은, 안료 분산 공정에서 얻어진 안료 분산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시키지 않는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하지 않는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의 첨가에 의해 상 분리가 일어나, 안료를 내포하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석출되게 된다.
해당 혼합 공정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 분리될 때까지 비수계 용액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 분리되는」이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용해된 수지 용액에 대하여 비수계 용액을 첨가하고, 백탁이 확인된 시점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 분리되었다」고 생각한다.
해당 혼합 공정에 있어서는, 비수계 용액을 첨가할 때 고속 전단력을 부여하면 된다. 해당 고속 전단 장치로서는, 교반 전단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호모지나이저, 호모 믹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량, 회전수, 형식 등 다양한 것이 있지만, 생산 양식에 따라 적당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한 경우의 회전수로서는, 500rpm 이상이 바람직하다.
해당 혼합 공정의 온도는, 용제, 비수계 용액의 응고점 이상, 비점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 내지 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혼합 공정에서의 교반 전단(고속 전단 장치의 회전수 등에 의한 조정)이나, 상기 토너 입자 분산제의 종류나 첨가량을 조절하면 된다.
[증류 제거 공정]
혼합 공정에 이어서,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액으로부터 용제를 증류 제거한다. 해당 용제의 증류 제거 방법으로서는, 증발 등이 적합하다. 예를 들어, 0 내지 60℃에서 1 내지 200kPa의 감압하에 용제를 증류 제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증류 제거 공정에서 얻어진 토너 입자 분산체에,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및 전하 제어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액체 현상제를 제조하면 된다.
광중합 개시제 및 전하 제어제 등의 첨가제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가열, 교반하면 된다. 또한, 액체 현상제를 제조에 있어서, 토너 입자의 세정 등의 단위 조작을 적절히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당 용제로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물류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해 능력이 있는 경우에는,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여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제, 비수계 용액의 SP값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제, 비수계 용액의 순서대로 큰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제의 SP값의 차가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SP값(용해도 파라미터: Solubility Parameter, 단위: (cal/cm3)1/2)이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제의 용해성을 정하는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극성 용제에 녹기 쉽고, 비극성 용제에는 녹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한편, 비극성의 수지는 반대의 경향이 된다. 이 친화성의 강도를 판단하는 인자가 용해도 파라미터(SP값)이며, δ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는 용제와 용질의 SP값의 차가 작을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SP값의 정의 및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Gold book(Version 2.3.3, 2014/2/24) solubility parameter, δ(1397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여러 물성의 분석 방법 및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석 1>
액체 현상제로부터의 토너 입자의 분리는, 원심 분리와 세정에 의해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현상제 50ml를 원심관에 넣고, 원심 분리 장치(베크만·콜터사제: Allegra 64R Centrifuge)를 사용하여, 15000rpm, 10분간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 처리를 행한다.
토너 입자의 침강을 확인하고, 상청액을 데칸테이션으로 제거하여, 제거한 상청액과 동량의 헥산을 가한다. 스파튤러로 5분간 교반하고, 헥산으로 충분히 세정한 후,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 처리를 행한다. 헥산을 3회 가하여 제거한 후, 실온 조건에서 헥산을 증발시켜, 토너 입자를 얻는다.
얻어진 토너 입자를 중클로로포름에 용해하고, 닛본 덴시(주)제의 푸리에 변환형 핵자기 공명 장치인 JNM-ECA(1H-NMR)를 사용하여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조성 분석을 한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석 2>
얻어진 토너 입자를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하고, HLC8120 GPC(검출기: RI)(도소사제)를 사용하여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을 측정한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의 측정>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플로식 입자 상 분석 장치 「FPIA-3000형」(시스멕스사제)을 사용하여, 해당 장치의 조작 매뉴얼에 따라 측정한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이온 교환수 20ml에 분산제로서 알킬벤젠술폰산염을 0.02g 가한 후, 측정 시료 0.02g을 가하고, 발진 주파수 50kHz, 전기적 출력 150W의 탁상형의 초음파 세정기 분산기 「VS-150」(벨보 클리어사제)을 사용하여 2분간 분산 처리를 행하여, 측정용의 분산액으로 한다. 이 때, 분산액의 온도가 10℃ 이상 40℃ 이하가 되도록 적절히 냉각한다.
측정에는, 표준 대물 렌즈(10배)를 탑재한 상기 플로식 입자 상 분석 장치를 사용하고, 시스액에는 파티클 시스 「PSE-900A」(시스멕스사제)를 사용한다. 상기 순서에 따라 제조한 분산액을 상기 플로식 입자 상 분석 장치에 도입하고, HPF 측정 모드에서, 토탈 카운트 모드로 3000개의 토너 입자를 계측하여, 입자 해석시의 2치화 역치를 85%로 하고, 해석 입자 직경을 원 상당 직경 0.25㎛ 이상 10㎛ 이하로 한정하여,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를 구한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수산기가의 측정>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수산기가의 측정은 JIS K0070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의 측정>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직경 분포 측정 장치(호리바 세이사꾸쇼제: LA-950)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10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테레프탈산 57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10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감압 장치, 수분리 장치, 질소 가스 도입 장치, 온도 측정 장치 및 교반 장치를 장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160℃에서 교반한다. 그 후, 디부틸주석옥사이드 0.3질량부를 투입하여, 용기 내를 7000Pa까지 감압하고, 서서히 210℃까지 승온하여 축중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기 내로부터 취출하여 냉각, 분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2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10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테레프탈산 50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17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2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3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10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테레프탈산 60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7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3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4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5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몰)
·에틸렌글리콜 12질량부
·테레프탈산 35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6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4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5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8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몰)
·에틸렌글리콜 5질량부
·테레프탈산 56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1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5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6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5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에틸렌글리콜 12질량부
·테레프탈산 17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25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6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7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55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0.8몰)
·에틸렌글리콜 11질량부
·테레프탈산 18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26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7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8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6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몰)
·에틸렌글리콜 10질량부
·테레프탈산 19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28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8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9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55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에틸렌글리콜 11질량부
·테레프탈산 67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9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10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55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에틸렌글리콜 11질량부
·테레프탈산 13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31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10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11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45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에틸렌글리콜 14질량부
·테레프탈산 16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24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11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12의 제조예>
·에틸렌글리콜 25질량부
·테레프탈산 14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3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12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13의 제조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10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1몰)
·테레프탈산 50질량부
·무수 트리멜리트산 17질량부
상기 모노머의 혼합물 100질량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을 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13을 얻었다.
<안료 분산제 1의 합성예>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카르보디이미드 당량 262의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톨루엔 용액(고형분 50%) 100질량부 및 N-메틸디에탄올아민 8.5질량부를 투입하고, 약 100℃에서 3시간 유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산기를 반응시켰다.
이어서 말단에 카르복시기를 갖는 수 평균 분자량 8500의 ε-카프로락톤 자기 중축합물 39.6질량부를 투입하고, 약 80℃에서 2시간 유지하여, 카르보디이미드기와 카르복시기를 반응시킨 후, 감압하에서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여 수 평균 분자량 약 13000의 안료 분산제 1(고형분 100%)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
[안료 분산 공정]
·안료(C.I.피그먼트 블루 2; 다이니찌 세까 고교(주)제) 10질량부
·안료 분산제 1 10질량부
·테트라히드로푸란(THF) 80질량부
를 혼합하고, 직경 0.5mm의 글래스 비즈를 사용하여 비즈밀로 교반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1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고속 분산기(프라이믹스사제, T.K. 로보 믹스/T.K.호모 디스퍼 2.5형 날개)로 혼합하고, 40℃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안료 분산액 1을 얻었다.
[혼합 공정]
얻어진 안료 분산액 1을, 호모지나이저(IKA사제: 울트라터랙스 T50)를 사용하여 고속 교반(회전수 20000rpm)하면서, 비수계 용액인 도데실비닐에테르(DDVE) 140질량부를 조금씩 첨가하여, 혼합액 1을 얻었다.
[증류 제거 공정]
얻어진 혼합액 1을 가지 플라스크에 옮기고, 도쿄 리카 기카이(주)사제 로터리 증발기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하면서 50℃에서 THF를 완전히 증류 제거하여, 비수계 용액 중에 토너 입자를 함유하는 토너 입자 분산체 1을 얻었다.
얻어진 토너 입자 분산체 1(10질량부)을 원심 분리 처리하고, 상청액을 데칸테이션에 의해 제거하고, 제거한 상청액과 동일한 질량의 새로운 DDVE로 치환하고, 재분산하였다.
그 후, 레시놀 S-10(수소 첨가 레시틴, 닛꼬 케미컬즈(주)제) 0.10질량부, 비수계 용액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를 90질량부, 하기 식 (A-1)로 표시되는 광중합 개시제 0.30질량부, KAYAKURE-DETX-S(닛본 가야쿠(주)제) 1질량부를 가하여, 액체 현상제 1을 얻었다.
Figure pct00005
액체 현상제 1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15.3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100.0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표 1 중에서 C라 기재한다)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70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5질량%이고, 산가는 11.5mgKOH/g, 수산기가는 48.0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5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1㎛였다.
<액체 현상제 2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2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5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2를 얻었다.
액체 현상제 2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24.6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100.0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5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6질량%이고, 산가는 18.0mgKOH/g, 수산기가는 50.0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0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0㎛였다.
<액체 현상제 3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3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3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3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10.2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100.0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66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3질량%이고, 산가는 9.8mgKOH/g, 수산기가는 46.5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2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2㎛였다.
<액체 현상제 4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4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4를 얻었다.
액체 현상제 4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15.8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51.3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1.5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1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4질량%이고, 산가는 12.0mgKOH/g, 수산기가는 47.5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65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2㎛였다.
<액체 현상제 5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3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6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5를 얻었다.
액체 현상제 5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2.1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80.2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1.5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72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1질량%이고, 산가는 10.2mgKOH/g, 수산기가는 15.3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0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0㎛였다.
<액체 현상제 6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6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6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6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54.8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50.6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69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2.1질량%이고, 산가는 25.2mgKOH/g, 수산기가는 60.0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2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3㎛였다.
<액체 현상제 7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7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15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7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7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56.6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55.1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0.8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74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1.0질량%이고, 산가는 24.8mgKOH/g, 수산기가는 59.2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4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3㎛였다.
<액체 현상제 8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8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15질량부
·솔스퍼스 S-13940; 닛본 루브리졸(주)제 6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8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8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55.8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58.2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1.5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1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5.3질량%이고, 산가는 26.1mgKOH/g, 수산기가는 61.0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48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0.9㎛였다.
<액체 현상제 9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9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9를 얻었다.
액체 현상제 9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0.0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54.1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71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3질량%이고, 산가는 12.1mgKOH/g, 수산기가는 14.3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1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3㎛였다.
<액체 현상제 10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10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6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10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10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62.1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52.8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4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6.4질량%이고, 산가는 25.8mgKOH/g, 수산기가는 59.9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3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1㎛였다.
<액체 현상제 11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11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11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11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55.1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45.2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78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1.2질량%이고, 산가는 23.9mgKOH/g, 수산기가는 58.0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72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2㎛였다.
<액체 현상제 12의 제조예>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의 [안료 분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12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5질량부
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액체 현상제 1의 제조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액체 현상제 12를 얻었다.
액체 현상제 12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16.2몰%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0.0몰%였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2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2질량%이고, 산가는 14.8mgKOH/g, 수산기가는 28.0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68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2㎛였다.
<액체 현상제 13의 제조예>
[안료 분산 공정]
·안료(C.I.피그먼트 블루 2; 다이니찌 세까 고교(주)제) 10질량부
·안료 분산제 1 10질량부
·테트라히드로푸란(THF) 80질량부
를 혼합하고, 직경 0.5mm의 글래스 비즈를 사용하여 비즈밀로 교반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 100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13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질량비 1:1로 미리 혼합한 것
120질량부
·네오겐 SC-F(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 10질량부
상기 처방을 혼합한 후, 1몰/L의 암모니아수: 100질량부를 가하여, 고속 분산기(프라이믹스사제, T.K.로보 믹스/T.K.호모 디스퍼 2.5형 날개)에 의해 충분히 교반하고, 혼합물의 온도를 25℃로 유지하면서, 80질량부의 탈이온수를 적하하고, 교반을 더 계속하면서, 탈이온수: 20질량부를 가함으로써, W/O 유화액을 경유하여,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분산질이 분산된 O/W 유화액을 얻었다.
이어서, 해당 O/W 유화액을 교반 용기에 옮기고, O/W 유화액의 온도를 25℃로 한 후, 5.0%의 황산나트륨 수용액: 40질량부를 적하하고, 분산질의 합일을 행하고, 합일 입자의 형성을 행하였다. 적화 후, 30분의 교반을 행하고, 탈이온수: 20질량부를 첨가하고, 합일 입자를 포함하는 O/W 유화액을 감압 환경하에 놓고,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하여, 토너 입자의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에 대하여 고액 분리를 행하고, 또한 수중으로의 재분산(리슬러리), 고액 분리를 반복하여 행함에 따른 세정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얻어진 웨트 케이크를 건조함으로써, 건조 토너 입자를 얻었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건조 토너 입자: 20질량부, 비수계 용액인 도데실 비닐에테르(DDVE): 80질량부, 토너 입자 분산제(아지스퍼 PB-817;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제) 4.5질량부를 샌드밀에 의해 24시간 혼합하여, 토너 입자 분산체 13을 얻었다.
얻어진 토너 입자 분산체 13(10질량부)을 원심 분리 처리하고, 상청액을 데칸테이션에 의해 제거하고, 제거한 상청액과 동일한 질량의 새로운 DDVE로 치환하고, 재분산하였다.
그 후, 레시놀 S-10(수소 첨가 레시틴, 닛꼬 케미컬즈(주)제) 0.10질량부, 비수계 용액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를 90질량부, 상기 식 (A-3)으로 표시되는 광중합 개시제 0.30질량부, KAYAKURE-DETX-S(닛본 가야쿠(주)제) 1질량부를 가하여, 액체 현상제 13을 얻었다.
액체 현상제 13 중의 토너 입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A라 기재한다)은 24.6몰%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표 1 중에서 B라 기재한다)은 100.0몰%였다.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1몰이었다.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500이고, 분자량 1000 이하의 비율은 0.6질량%이고, 산가는 18.0mgKOH/g, 수산기가는 50.0mgKOH/g이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0.948이고, 토너 입자의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D50)은 1.1㎛였다.
<실시예 1>
액체 현상제 1을,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드럼 상의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화질의 평가를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액체 현상제 1은 현상액 탱크(16)에 균일 농도 용액으로서 100g 투입하였다.
액체 현상제 1은 소정의 전위로 조정된 공급 롤러(15)에 도포되어 현상 롤러(13)에 운반된다. 현상 롤러(13)로 이동한 액체 현상제 1은 스퀴지 롤러(14)에서 원하는 현상제 농도(25 내지 35질량%)로 조정되어,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 사이의 현상 닙에 운반된다.
감광 드럼(10)은 본 실시예에서는 아몰퍼스 실리콘 드럼을 사용하고, 현상 닙 상류의 대전기(11)에 의해 표면 -600V로 대전시켰다. 대전 후, 노광기(12)에 의해 화상부의 전위가 -200V가 되도록 1200dpi의 1 도트 1 스페이스의 잠상을 형성시켰다. 감광 드럼(10)의 주속도는 700mm/s로 하였다.
현상 롤러(13)에는 -400V의 바이어스를 인가하고, 마이너스 대전된 현상제가 선택적으로 화상부로 이동한다. 캐리어액은 현상 닙부에서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의 양쪽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현상제 농도는 보다 높아지면서 후속 공정으로 보내지게 된다.
중간 전사 롤러(17)에는 +200V의 전압을 인가하고, 감광 드럼(10) 상의 잠상부에 현상된 현상제를 1차 전사시켰다.
감광 드럼(10) 상에 남은 토너 입자 및 캐리어액은 클리닝 블레이드(21)로 긁어내어진다.
2차 전사 롤러(18)에는 +1000V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위에 유지되는 종이 등의 미디어(20)에 중간 전사 롤러(17) 상의 현상제를 2차 전사시켰다.
2차 전사된 미디어 상의 현상제는 소량의 캐리어액을 동반하고 있으며, 캐리어액이 자외선 경화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화상이 미디어 상에 정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용 램프(19)는 385±5nm의 파장 범위에 조도 피크를 갖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 경화용 램프(19) 아래를 미디어가 통과함으로써 정착 공정을 행하였다.
감광 드럼(10) 상의 도트 재현성 평가는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현상 롤러(13)로부터 감광 드럼(10) 상에 현상된 현상제가 중간 전사 롤러(17)에 전사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를 정지시켰다. 그 후, 신속하게 감광 드럼(10)을 장치로부터 취출하고, 디지털 현미경 VHX-5000(키엔스사제)으로 감광 드럼(10) 상의 화상을 관찰하여, 이하의 지표로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의 지표)
A: 도트가 균일하며 누락이 전혀 없음
B: 도트가 독립되어 있으며, 비산 등의 폐해도 없음
C: 도트를 인식할 수 있음
D: 도트를 인식할 수 없는 부분이 많이 보임
액체 현상제 1을 사용한 본 실시예에서의 감광 드럼(10) 상의 도트는 균일성이 높고, 누락이 전혀 없으며, 상기 평가 지표에서는 A가 되었다.
또한, 별도 제작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균일성이 높고, 매끄러우며 우수한 화질이었다.
<실시예 2>
얻어진 액체 현상제 2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트 재현성은 우수하며, A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
얻어진 액체 현상제 3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트 재현성은 우수하며, A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4>
얻어진 액체 현상제 4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는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비화상부로의 토너 비산이 없고, 도트가 독립되어 있으며, B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거칠거칠함이 없고 균일한 화질이었다.
<실시예 5>
얻어진 액체 현상제 5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는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도트 재현성은 우수하며, B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거칠거칠함이 없고 균일한 화질이었다.
<실시예 6>
얻어진 액체 현상제 6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는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도트 재현성은 우수하며, B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거칠거칠함이 없고 균일한 화질이었다.
<실시예 7>
얻어진 액체 현상제 7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6에는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도트의 인식은 할 수 있는 레벨이며, C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용상 문제 없는 균일한 화질이었다.
<비교예 1>
얻어진 액체 현상제 8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도트를 실질적으로 인식할 수 없으며, D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뒤떨어진 것이었다.
<비교예 2>
얻어진 액체 현상제 9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도트를 실질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레벨로 토너 입자가 비산되어 있으며, D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뒤떨어진 것이었다.
<비교예 3>
얻어진 액체 현상제 10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도트를 실질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레벨로 토너 입자가 비산되어 있으며, D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뒤떨어진 것이었다.
<비교예 4>
얻어진 액체 현상제 11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도트의 누락, 토너 입자의 비산이 많이 보이며, D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뒤떨어진 것이었다.
<비교예 5>
얻어진 액체 현상제 12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도트가 전혀 재현되지 않았고, D 평가로 하였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뒤떨어진 것이었다.
<비교예 6>
얻어진 액체 현상제 13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입하여 도트 재현성의 평가, 종이 상 정착 화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도트의 누락이 많이 보이며, D 평가로 하였다. 또한, 조대한 토너 입자가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종이 상의 정착 화상도 거칠거칠함이 많이 보이고,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상당히 뒤떨어진 것이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액체 현상제의 여러 물성과 도트 재현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표 1에 있어서,
A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몰%)을 나타내고,
B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몰%)을 나타내고,
C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몰)를 나타낸다.
10: 감광 드럼, 11: 대전기, 12: 노광기, 13: 현상 롤러, 14: 스퀴지 롤러, 15: 공급 롤러, 16: 현상액 탱크, 17: 중간 전사 롤러, 18: 2차 전사 롤러, 19: 경화용 램프, 20: 미디어, 21: 클리닝 블레이드

Claims (12)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그리고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이며,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산 성분으로서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이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이고,
    해당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0.950 이상이고,
    해당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이 중합성 액상 모노머, 및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현상제.
    Figure pct00007

    [식 (1) 중,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하고, x는 1 내지 8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3 내지 17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몰 이상 3.0몰 이하인, 액체 현상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액상 모노머가 비닐에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현상제.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현상제가 토너 입자 분산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해당 토너 입자 분산제가 하기 식 (A)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 및 하기 식 (B)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액체 현상제.
    Figure pct00008

    [식 (A) 중, K는 1급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단위이다.]
    Figure pct00009

    [식 (B) 중, Q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알킬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단량체 단위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 분산제가 폴리알릴아민과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자기 축합물의 반응물을 함유하는, 액체 현상제.
  7.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 그리고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이며,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 해당 안료 및 용제를 함유하는 안료 분산액을 제조하는 안료 분산 공정,
    해당 안료 분산액에 해당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혼합 공정,
    해당 혼합액으로부터 해당 용제를 증류 제거하는 증류 제거 공정을 갖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산 성분으로서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트리멜리트산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2.0몰% 이상 60.0몰% 이하이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을 함유하고,
    해당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 유래의 전체 모노머 유닛 중의, 해당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유래의 모노머 유닛의 함유 비율이 50.0몰% 이상 100.0몰% 이하이고,
    해당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0.950 이상이고,
    해당 비수계 용액을 포함하는 캐리어액이 중합성 액상 모노머, 및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10

    [식 (1) 중,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하고, x는 1 내지 8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3 내지 17의 정수를 나타낸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몰 이상 3.0몰 이하인,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액상 모노머가 비닐에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11.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현상제가 토너 입자 분산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해당 토너 입자 분산제가 하기 식 (A)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 및 하기 식 (B)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11

    [식 (A) 중, K는 1급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단위이다.]
    Figure pct00012

    [식 (B) 중, Q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알킬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6 이상의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단량체 단위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입자 분산제가 폴리알릴아민과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자기 축합물의 반응물을 함유하는,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KR1020197000249A 2016-06-14 2017-06-13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KR20190017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7989A JP2017223791A (ja) 2016-06-14 2016-06-14 液体現像剤及び該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JPJP-P-2016-117989 2016-06-14
PCT/JP2017/021820 WO2017217410A1 (ja) 2016-06-14 2017-06-13 液体現像剤及び該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879A true KR20190017879A (ko) 2019-02-20

Family

ID=6066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249A KR20190017879A (ko) 2016-06-14 2017-06-13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07794A1 (ko)
EP (1) EP3470928A4 (ko)
JP (1) JP2017223791A (ko)
KR (1) KR20190017879A (ko)
CN (1) CN109328324A (ko)
WO (1) WO2017217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090A1 (ja) * 2016-11-22 2018-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硬化型液体現像剤及び硬化型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US10649357B2 (en) 2016-12-22 2020-05-12 Ka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developer
JP2018156025A (ja) * 2017-03-21 2018-10-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液体現像剤、液体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7140609B2 (ja) 2017-09-28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及び該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JP7034780B2 (ja) * 2018-03-16 202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
JP7237644B2 (ja) * 2019-02-25 202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現像剤及び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CN111483249B (zh) * 2020-05-12 2022-02-22 深圳市凯沃尔电子有限公司 一种根据温度区间范围对热敏点加热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3029A (en) 1976-01-31 1977-08-05 Toyoda Autom Loom Works Ltd Noise-reducing apparatus for special car
JP2014163985A (ja) 2013-02-21 2014-09-08 Konica Minolta Inc 液体現像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3029B2 (ja) * 2007-12-27 2013-09-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湿式現像剤
JP6291708B2 (ja) * 2012-09-26 2018-03-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71347B2 (ja) * 2012-10-17 2016-08-1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EP2955579A4 (en) * 2013-02-08 2016-09-07 Sakata Inx Corp LIQUID DEVELOPER
JP2014215603A (ja) * 2013-04-30 2014-11-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液体現像剤、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現像剤カートリッジ
CN105765464A (zh) * 2013-11-28 2016-07-13 佳能株式会社 紫外线固化型液体显影剂
AU2015215601B2 (en) * 2014-02-04 2019-07-04 Sakata Inx Corporation Liquid developer
JP6331536B2 (ja) * 2014-03-18 2018-05-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液体現像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3029A (en) 1976-01-31 1977-08-05 Toyoda Autom Loom Works Ltd Noise-reducing apparatus for special car
JP2014163985A (ja) 2013-02-21 2014-09-08 Konica Minolta Inc 液体現像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0928A1 (en) 2019-04-17
EP3470928A4 (en) 2020-01-22
JP2017223791A (ja) 2017-12-21
US20190107794A1 (en) 2019-04-11
WO2017217410A1 (ja) 2017-12-21
CN109328324A (zh)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879A (ko) 액체 현상제 및 해당 액체 현상제의 제조 방법
JP5293029B2 (ja) 湿式現像剤
US9857716B2 (en) Curable liquid developer and image-forming method using curable liquid developer
JP6504917B2 (ja) 硬化型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JP6096966B2 (ja) 液体現像剤
JP5003455B2 (ja) 湿式現像剤
JP2016224404A (ja) 硬化型液体現像剤及び該硬化型液体現像剤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5824721B2 (ja) 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KR101687421B1 (ko) 전자사진 장치
JP5870654B2 (ja) 液体現像剤
US20180348658A1 (en) Curable liquid developer and method for producing curable liquid developer
WO2018043327A1 (ja) 液体現像剤
JP6019919B2 (ja) 液体現像剤、現像剤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11624987B2 (en) Liquid developer
CN105301921B (zh) 带正电的调色剂、液体显影剂、显影剂、显影剂盒、处理盒、成像装置和成像方法
WO2019177136A1 (ja) 液体現像剤
JP2001022117A (ja) トナー及びその製法
US10423084B2 (e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developer
JP2013205623A (ja) 液体現像剤
CN112041755A (zh) 液体显影剂
JP6469618B2 (ja) 液体現像剤
JP2018205688A (ja) 硬化型液体現像剤及び該硬化型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US20120196221A1 (en) Carbon based black toners prepared via limited coalescence process
JP2019095762A (ja) 液体現像剤の製造方法
JP2020177190A (ja) 液体現像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