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446A - Optical sheet - Google Patents

Optica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446A
KR20190010446A KR1020180082197A KR20180082197A KR20190010446A KR 20190010446 A KR20190010446 A KR 20190010446A KR 1020180082197 A KR1020180082197 A KR 1020180082197A KR 20180082197 A KR20180082197 A KR 20180082197A KR 20190010446 A KR20190010446 A KR 20190010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tical sheet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rele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2672B1 (en
Inventor
히사토 야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6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optical sheet in which a problem that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are taken by a single withdrawal when the optical sheet is taken out one by one from a stack of optical sheets. The optical sheet has a surface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release film in this order, and a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betwee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release film is 0.40 or less. In the release film,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is desirable if an existence ratio of silicon atom is 3% or more.

Description

광학 시트{OPTICAL SHEET}Optical sheet {OPTICAL SHEET}

본 발명은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heet.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각종 모바일 기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으로서는 종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A polarizing plate is widely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specially in recent years, various mobile apparatuses such as a smart phone. As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aligned on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s conventionally used.

편광판은, 그 표면의 오물이나 상처를 방지하기 위한 박리 가능한 표면 보호 필름(프로텍트 필름이라고도 불린다.) 및 박리 필름(세퍼레이트 필름이라고도 불린다.)을 표면에 점착한 광학 시트로서 시장에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polarizing plate is generally distributed on the market as an optical sheet in which a peelable surface protective film (also referred to as a protective film) and a release film (also referred to as a separate film) are adhered to the surface to prevent dirt and scratches on the surface thereof .

편광판을 액정 셀과 같은 표시 소자에 접합할 때는, 상기 광학 시트가 여러장 겹쳐진 적층체로부터 광학 시트 1장씩 취출한다. 그리고 광학 시트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통해 표시 소자에 접합된다.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a display element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the optical sheet is taken out one by one from the stacked layers of the optical sheets. Then, the release film is peeled from the optical sheet and bonded to the display element through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특허문헌 1에는, 광학 시트의 취출 공정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광학 시트의 취출을 기계에 의해 자동화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와 같이 광학 시트의 취출을 자동으로 행하면, 1회의 취출로 복수의 광학 시트를 취출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이하, 다중 취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있었다. Patent Document 1 proposes automating the take-out of the optical sheet by a machine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the taking-out process of the optical sheet (Patent Document 1). When the optical sheet is automatically taken out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that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are taken out by one take-ou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multiple takeout).

또한, 편광판이 두꺼운 경우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광학 시트가 분리되기 때문에 다중 취출이 일어나기 어렵지만, 요즘에는 편광판 박형화 요구가 강해지고 있어, 광학 시트의 자중에 의한 분리 작용이 작기 때문에, 다중 취출이 발생하기 쉽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polarizing plate is thick, since the optical sheet is separated by its own weight of the optical sheet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it is difficult to take out multiple sheets. However, nowadays, the demand for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becomes strong, Since the action is small, multiple take-out is likely to occur.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6-30891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 2006-308912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시트가 여러 장 겹쳐진 적층체로부터 1장씩 광학 시트를 취출할 때에 다중 취출이 일어나기 어려운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sheet which is unlikely to cause multiple ejection when the optical sheets are taken out one by one from a stack of optical sheets stacked one on another.

[1] 표면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박리 필름을 이 순서로 가지고, [1] hav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release film in this order,

상기 표면 보호 필름과 상기 박리 필름 사이의 동마찰 계수가 0.40 이하인 광학 시트. Wherein an optical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release film is 0.40 or less.

[2] 상기 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은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이 3% 이상인 청구항 1에 기재한 광학 시트. [2] The optical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has a silicon atom content of 3% or more.

[3] 상기 박리 필름은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마킹을 가지고, [3] The peeling film has a mark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박리 필름의 면적에 대한 상기 마킹 면적의 비율이 2% 이하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광학 시트. The optical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atio of the marking area to the area of the release film is 2% or less.

광학 시트가 여러 장 겹쳐진 적층체로부터 1장씩 광학 시트를 취출할 때에 다중 취출이 일어나기 어려운 광학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cal sheet which is unlikely to cause multiple ejection when the optical sheets are taken out one by one from the stacked layers of the optical sheets.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시트가 갖는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 시트가 복수 겹쳐진 적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시트를 박리 필름 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마킹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aminated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perimposed.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optica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lease film sid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marking.

<광학 시트> <Optical sheet>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시트(10)는 표면 보호 필름(2), 편광판(1) 및 박리 필름(3)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 필름이다. 광학 시트(10)에 있어서, 표면 보호 필름(2), 편광판(1) 및 박리 필름(3)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시트(10)에 있어서, 표면 보호 필름(2) 및 박리 필름(3)은 각각 광학 시트의 가장 표면을 구성하는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heet 10 shown in Fig. 1 is a laminated film hav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2, a polarizing plate 1 and a release film 3 in this order. In the optical sheet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the polarizing plate 1, and the release film 3 are laminated in this order. In the optical sheet 10,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and the release film 3 are preferably members constituting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optical sheet.

광학 시트(10)는, 광학 시트(10)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각각 반송하면서 롤투롤로 장척형의 광학 시트를 제조하고, 이것을 재단함으로써 얻더라도 좋고, 소정 형상의 각 부재를 각각 준비하여 순차 적층함으로써 얻더라도 좋다. The optical sheet 10 may be obtained by preparing an elongated optical sheet with a roll roll while conveying the respec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sheet 10 and cutting the same to prepare respective members of a predetermined shape, .

광학 시트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The shape of the optical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polygon such as a rectangle or a triangle, a circle, an ellipse, or a combination thereof.

광학 시트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8600∼2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600∼687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시트의 면적이 18600 ㎟보다 작은 경우, 상기한 것과 같이 자중에 의해 개개의 광학 시트로 분리되기 어렵기 때문에, 본원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다. 광학 시트의 면적이 2500 ㎟보다 크면, 후술하는 것과 같이 마찰력을 조정하기 쉽다. The area of the optical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for example, 18600 to 2500 mm 2, more preferably 12600 to 6870 mm 2. When the area of the optical sheet is smaller than 18600 mm &lt; 2 &g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into individual optical sheets due to its own weight as described above. If the area of the optical sheet is larger than 2500 mm &lt; 2 &gt;, it is easy to adjust the frictional force as described later.

같은 관점에서, 광학 시트가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직사각형상인 경우, 긴 변의 길이는 17.3∼6.6 cm인 것이 바람직하며, 15.5∼11.0 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짧은 변의 길이는 10.8∼3.7 cm인 것이 바람직하며, 8.7∼6.2 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rom the same viewpoint, when the optical sheet is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and short sides, the length of long sides is preferably 17.3 to 6.6 cm, more preferably 15.5 to 11.0 cm, and the length of short sides is 10.8 to 3.7 cm More preferably 8.7 to 6.2 cm.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보호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의 동마찰 계수는 0.40 이하이고, 0.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박리 테이프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 등을 박리할 때에, 박리 테이프와 표면 보호 필름 등과의 밀착력을 높인다고 하는 관점에서, 동마찰 계수는 0.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 이상이라도 좋다. 동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따른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betwee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release film is preferably 0.40 or less and preferably 0.30 or less. On the other hand, when peel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or the like using the peeling tape,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is preferably 0.10 or more, more preferably 0.20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adhesion between the peeling tape an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or the like.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is 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동마찰 계수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박리 필름 표면의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이나 박리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표면의 표면 저항율 등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 저항율에 의해 동마찰 계수를 제어하는 경우, 박리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의 적어도 한쪽은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이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ratio of the presence of silicon atoms on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and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s described later. When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is controlled by the surface resistivit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release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on film has an antistatic function, and both of them preferably have an antistatic function.

이하, 광학 시트가 갖는 각 부재에 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spective members of the optical sheet will be described.

<편광판> <Polarizer>

편광판(1)은 적어도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 소자이며, 통상은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추가로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 편광자와는 다른 광학 기능을 갖는 다른 광학 필름 등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그 표면에 적층되는 수지층(예컨대 하드코트층, 대전방지층, 방현층, 광확산층, 위상차층(1/4 파장의 위상차치를 갖는 위상차층 등), 반사방지층, 저굴절율층, 방오층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광학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자에 접합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2)은 이 수지층의 표면에 적층되어도 좋다. The polarizing plate 1 is a polarizing element including at least a polarizer, and usually further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film bond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there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polarizer, another optical film having an optical fun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larizer, and the like.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has a resin layer (for example, a hard coat layer, an antistatic layer, an antiglare layer, a light diffusing layer, a retardation layer (a retardation layer having a retardation value of 1/4 wavelength), an antireflection layer, At least one kind of optical layer selected from an antiglare layer and the like).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bonded to the polarizer through the adhesive layer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may b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편광판(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200 ㎛ 이하이고, 자중에 의해 다중 취출이 생기기 쉬운, 150 ㎛ 이하, 나아가서는 125 ㎛ 이하인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는 현저하다. 편광판(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e when it is not more than 200 mu m and not more than 150 mu m, and more specifically not more than 125 mu m, which is liable to cause multiple ejection due to its own weigh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1 is preferably 30 占 퐉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0 占 퐉 or more.

(1) 편광자(1) Polarizer

편광판(1)을 구성하는 편광자는, 그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흡수형의 편광자이며,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 필름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 등의 가교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가교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The polariz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1 absorbs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vibration surface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thereof and absorbs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vibration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And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align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suitably used. The polarizer may be, for example,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step of adsorbing a dichroic dye by s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 step of treat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dsorbed with a dichroic dye with a crosslinking solution such as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a step of washing after the treatment with the crosslinking liquid.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예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포함한다.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 saponified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can be used. As the polyvinyl acetate resin,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and the like can be given.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meth) acrylamides having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ammonium groups,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th) acryl" mea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crylic and methacrylic. (Meth) acryloyl &quot;, &quot; (meth) acrylate &quot;, and the like.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mol%이고, 98 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이고, 1500∼5000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The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JIS K 6726.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자(편광 필름)의 원단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이 채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원단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편광자의 두께를 15 ㎛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5∼35 ㎛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Su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sed as a raw film of a polarizer (polarizing film). The method of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is employed.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 based fabric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use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5 to 35 탆 in order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5 탆 or le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20 mu m.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의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가교 처리 전 또는 가교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The uniaxial stretching of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can be performed before,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dyeing the dichroic dye. In the case of uniaxial stretching after dyeing, the uniaxial stretching may be carried out before or during the crosslinking treatment. In addition,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these plural steps.

일축 연신함에 있어서는, 원주 속도가 다른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한, 일축 연신은 대기 속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라도 좋고, 용제나 물을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라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8배이다. In uniaxial stretching, the film may be uniaxially stretched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velocities, or uniaxially stretched using hot rolls. The uniaxial stretching may be dry stretching in which drawing is performed in the atmosphere, or wet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is swollen with a solvent or water. The draw ratio is usually 3 to 8 time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필름을 이색성 색소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나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의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method for dye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for example, a method of immersing the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is employed. As the dichroic dy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subjected to immersion treatment in water before the dyeing treatment.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가교 처리로서는 통상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crosslinking treatment after dyeing with a dichroic dye, a method in which a dy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is employed.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it is preferable that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contains potassium iodide.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특히 편광자의 두께를 15 ㎛ 이하로 하는 것은 광학 시트의 박막화에 유리하다.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2 ㎛ 이상이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usually 30 μm or less, preferably 2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5 μm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10 μm or less. Particularly, it is advantageous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5 mu m or less to make the optical sheet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usually 2 占 퐉 or more.

(2) 보호 필름(2) Protective film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할 수 있는 보호 필름은,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일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which can be laminat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light transmittance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such as a chain polyolefin resin (polypropylene resin or the like), a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Etc.);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cellulose and diacetyl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resin; (Meth) acrylic resin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resins; Polystyrene type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based resin; Acrylonitrile-styrene series resin; Polyvinyl acetate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 resins; Polyamide based resin; A polyacetal-based resin; Modified polyphenylene ether-based resin; Polysulfone resins;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Polyarylate resins; Polyamideimide series resin; A polyimide-based resin, or the like.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수지(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에,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hain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resins (copolymers composed mainly of polyethylene resins or ethylene, which are homopolymers of ethylene), and polypropylene resins (copolymers composed mainly of polypropylene resin or propylene as a homopolymer of propylene) A homopolymer of an olefin, and a copolymer comprising two or more kinds of chain olefins.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며,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1-24051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3-1488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3-122137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라프트 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수소화물이다. 그 중에서도 환상 올레핀으로서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같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s a generic name of resins polymerized by using cyclic olefin as a polymerization uni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1-240517, JP-A-3-14882, JP-A-3-122137 And the resins described therein.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ring-opened (co) polymers of cyclic olefins,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typically, random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nd chain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A graft polymer modified with a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hydride thereof. Among them, a norbornene resin using a norbornene monomer such as norbornene or a polycyclic norbornene monomer as the cyclic olefin is preferably used.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하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외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2가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2가의 디올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대표예로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축합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The polyester-based resin is a resin having an ester bond except for the following cellulose ester-based resin, and is generally composed of a polycondensation product of a polyvalent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polyhydric alcohol. As the poly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a bivalent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dimethylterephthalate and dimethyl naphthalenedicarboxylate. As the polyhydric alcohol, a dihydric diol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glycol, propanediol, butanediol, neopentyl glycol and cyclohexanedimethanol.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olyester-based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ch is a polycondensation product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can be mentioned.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된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C1-6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가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100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 The (meth) acrylic resin is a resin mainly composed of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Specific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resin include poly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acrylic acid ester-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 acrylate-styrene copolymer (MS resin and the like); A copolymer of methyl methacrylate and a compound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ate norbornyl copolymer, etc.) . Preferably, a polymer mainly composed of a poly (meth) acrylate C 1-6 alkyl ester such as poly (meth) acrylate is used, more preferably methyl methacrylate as a main component (50 to 100 wt% Is 70 to 100% by weight).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물이나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것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cellulose ester resin is an ester of cellulose and a fatty acid. Specific examples of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propionate, and cellulose dipropionate. In addition, copolymers and hydroxyl groups thereof may be partially modified with other substituents. Of these, cellulose triacetate (triacetylcellulose) is particularly preferabl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르보네이트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The polycarbonate resin is an engineering plastic composed of a polymer having a monomer unit bonded through a carbonate group.

보호 필름의 위상차치를,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한 값으로 제어하는 것도 유용하다. 예컨대, 인-플레인 스위칭(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보호 필름으로서 실질적으로 위상차치가 제로인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위상차치가 제로란,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R0)가 10 nm 이하이고,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치(Rth)의 절대치가 10 nm 이하이고, 파장 480∼750 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치(Rth)의 절대치가 15 nm 이하인 것을 말한다. It is also useful to control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protective film to a value suitab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an in-plane switching (IPS) mode, it is preferable to use a film whose retardation value is substantially zero as a protective film. The phase difference is substantially zero, the in-plane phase difference (R 0 ) at a wavelength of 590 nm is 10 nm or less, the absolute value of the thickness direction phase difference (R th ) at a wavelength of 590 nm is 10 nm or less, Means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thickness direction phase difference value R th at 750 nm is 15 nm or less.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의 모드에 따라서는, 보호 필름에 연신 및/또는 수축 가공 등을 행하여 적합한 위상차치를 부여하여도 좋다. 예컨대, 시야각 보상을 목적으로 하여, 보호 필름으로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또는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판(1)은, 편광자와 위상차층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 혹은 원 편광판, 또는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시야각 보상 기능을 겸비한 편광판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mo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suitable retardation value may be given by stretching and / or shrinking the protective film. For example, a single-layer or multi-layered retardation layer (or film) can be used as a protective film for the purpose of viewing angle compensation. In this case, the polarizing plate 1 may be a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or circular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lamination structure of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or a polarizing plate having a viewing angle compensating function including a retardation layer.

보호 필름의 두께는 통상 1∼100 ㎛이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두께라면, 편광자를 기계적으로 보호하여, 습열 환경 하에 노출되더라도 편광자가 수축되지 않고, 안정된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usually 1 to 100 占 퐉, but it is preferably 5 to 60 占 퐉, more preferably 5 to 50 占 퐉, from the viewpoints of strength and handleability. If the thickness is within this range, the polarizer is mechanically protected, and even if exposed under a humid environment, the polarizer is not shrunk and stable optical characteristics can be maintained.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 보호 필름은 동종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종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두께가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더욱이, 동일한 위상차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다른 위상차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In the case where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these protective films may be composed of the same type of thermoplastic resin or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thermoplastic resins. The thicknes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urthermore, they may have the sam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or different retardation characteristics.

상술된 것과 같이, 보호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그 외면(편광자와는 반대쪽의 면)에 하드코트층, 방현층, 광확산층, 위상차층(1/4 파장의 위상차치를 갖는 위상차층 등), 반사방지층, 저굴절율층, 대전방지층, 방오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protective films has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 light diffusing layer, a retardation layer (a retardation layer having a retardation value of 1/4 wavelength, etc.) on its outer surfac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er) (Coating layer) such as an antireflection layer,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 antistatic layer, and an antifouling layer may be provided.

표면 보호 필름과 편광판의 사이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편광판(1)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필름(2) 측의 표면(표면 보호 필름(2)이 접합 되는 표면)은, JIS B 0601:2013에 준거한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면의 Ra는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이하이다. 상기 표면의 Ra는 통상 0.001 ㎛ 이상, 예컨대 0.005 ㎛ 이상이다.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 on the side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the surface to which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is bonded))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IS B It is preferable that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based on 0601: 2013 is small. Specifically, the Ra of the surface is preferably 0.3 m or less, more preferably 0.2 m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0.15 m or less. Ra of the surface is usually 0.001 m or more, for example, 0.005 m or more.

보호 필름은 예컨대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자에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The protective film can be bonded to the polarizer through,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As 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an aqueous adhesive,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or a thermosetting adhesive can be used, and preferably an aqueous adhesive and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수계 접착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수계 이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수계 접착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 호모폴리머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산기를 부분적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는, 알데히드 화합물(글리옥살 등),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민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an adhesive composed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n aqueous two-component emulsion type urethane emulsion adhesive, and the like. Among them, an aqueous adhesive composed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is suitably used. 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lcohol-based copolymers obtained by saponify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as well as a vinyl alcohol homopolymer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Or a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obtained by partially modifying the hydroxyl group thereof,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water-based adhesive may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aldehyde compound (glyoxal, etc.), an epoxy compound, a melamine compound, a methylol compound, an isocyanate compound, an amine compound or a polyvalent metal salt.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수계 접착제 중에 포함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 후, 예컨대 20∼45℃의 온도에서 양생하는 양생 공정을 두어도 좋다. When an aqueous adhesive is use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 drying step for removing water contained in the aqueous adhesive after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After the drying step, a curing step may be performed for curing at a temperature of 20 to 45 占 폚, for example.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제이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is an adhesive containing a curable compound which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electron beams and X rays, and is preferably an ultraviolet ray curable adhesive.

상기 경화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세탄환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그 밖의 비닐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통상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시작하게 하기 위한 양이온 중합개시제 및/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The curable compound may be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or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Examples of the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epoxy-based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oxetane-based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oxetane rings in the molecule), or combinations thereof . Examples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nclude (meth) acrylic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meth) 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other vinyl compounds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double bond, . &Lt; / RTI &gt;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nd a radical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usually further comprises a cation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 or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the curing reaction of the curable compound.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합함에 있어서는,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표면 활성화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방전 처리(글로우 방전 처리 등), 화염 처리, 오존 처리, UV 오존 처리, 전리활성선 처리(자외선 처리, 전자선 처리 등)와 같은 건식 처리; 물이나 아세톤 등의 용매를 이용한 초음파 처리, 비누화 처리, 앵커 코트 처리와 같은 습식 처리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활성화 처리는 단독으로 행하여도 좋고, 2개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In joining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at least one of the bonding surfaces may be subjected to a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Examples of th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include dry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discharge treatment (glow discharge treatment and the like), flame treatment, ozone treatment, UV ozone treatment, ionization active ray treatment (ultraviolet radiation treatment, electron beam treatment and the like); Wet treatment such as ultrasonic treatment using a solvent such as water or acetone, saponification treatment, and anchor coat treatment. Thes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s may be performed singly or two or more may be combined.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 보호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는, 동종의 접착제라도 좋고, 이종의 접착제라도 좋다. In the case where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the adhesive for bonding these protective films may be a homogeneous adhesive or a different kind of adhesive.

(3) 다른 광학 필름(3) Other optical films

편광판(1)은, 편광자 및 보호 필름 이외의 다른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표예는 휘도 향상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이다. 편광판(1)이 다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표면 보호 필름(2)은 이 광학 필름의 표면 또는 이 광학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수지층의 표면에 적층되어도 좋다. The polarizing plate 1 may include an optical film other than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and typical examples thereof include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nd a retardation film. In the case where the polarizing plate 1 includes another optical film,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may b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or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optical film.

휘도 향상 필름은, 반사형 편광 필름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광원(백라이트)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투과 편광과 반사 편광 또는 산란 편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편광 변환 소자가 이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자 상에 배치함으로써, 반사 편광 또는 산란 편광인 재귀광을 이용하여, 편광자로부터 출사되는 직선 편광의 출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자 상에 적층할 수 있다. 편광자와 휘도 향상 필름의 사이에 보호 필름과 같은 다른 필름이 개재하고 있어도 좋다.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lso called a reflection type polarizing film, is a polarization conversion element having a function of separating outgo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backlight) into transmission polarized light and reflected polarized light or scattered polarized light. By arranging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on the polariz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mission efficiency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polarizer by using the recursive light that is the reflected polarized light or the scattered polarized light.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can be laminated on the polarizer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other film such as a protective film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휘도 향상 필름은 예컨대 이방성 반사 편광자일 수 있다. 이방성 반사 편광자의 일례는, 한쪽의 진동 방향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다른 쪽의 진동 방향의 직선 편광을 반사하는 이방성 다중 박막이며, 그 구체예는 3M사 제조의 「DBEF」이다(일본 특허공개 평4-268505호 공보 등 참조). 이방성 반사 편광자의 다른 일례는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λ/4판과의 복합체이며, 그 구체예는 닛토덴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PCF」이다(일본 특허공개 평11-231130호 공보 등 참조). 이방성 반사 편광자의 또 다른 일례는 반사 그리드 편광자이며, 그 구체예는 금속에 미세 가공을 실시하여 가시광 영역에서도 반사 편광을 출사하는 금속 격자 반사 편광자(미국 특허 제6288840호 명세서 등 참조), 금속 미립자를 고분자 매트릭스 중에 첨가하여 연신한 필름(일본 특허공개 평8-184701호 공보 등 참조)이다.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may be, for example, an anisotropic reflective polarizer. An example of the anisotropic reflective polarizer is an anisotropic multilayer film that transmits linearly polarized light in one vibration direction and reflects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e other vibration direction, and a specific example thereof is &quot; DBEF &quot; 4-268505, etc.). Another example of the anisotropic reflective polarizer is a complex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layer and a? / 4 plate, and a specific example thereof is "PCF" manufactured by Nitto Denko Kogyo Co., Ltd.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31130 ). Another example of the anisotropic reflective polarizer is a reflective grid polarizer.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 metal lattice reflective polarizer (see, for example, U.S. Patent No. 6288840) that microfabricates a metal to emit a reflected polarized light even in a visible light region, (Se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Hei 8-184701, and the like) in a polymer matrix.

상술한 것과 같이, 휘도 향상 필름의 외면에, 하드코트층, 방현층, 광확산층, 위상차층(1/4 파장의 위상차치를 갖는 위상차층 등), 반사방지층, 저굴절율층, 대전방지층, 방오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두어도 좋다. 이러한 층의 형성에 의해, 백라이트 테이프와의 밀착성이나 표시 화상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50)의 두께는 통상 10∼100 ㎛이지만, 편광판(1)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이다. As described above,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 light diffusion layer, a retardation layer (retardation layer having a retardation value of 1/4 wavelength, etc.), an antireflection layer,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Coating layer) may be provided. By forming such a layer, the adhesion to the backlight tape and the uniformity of the display image can be improved. The thickness of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50 is usually 10 to 100 占 퐉, but is preferably 10 to 5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30 占 퐉,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1.

(4) 점착제층(4)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편광판(1)은 그 가장 표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제층은 편광판(1)을 표시 소자(예컨대 액정 셀)나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점착제층 상에 박리 필름(3)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이나 휘도 향상 필름을 적층시키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 경화형이라도 좋다. The polarizing plate 1 preferably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its outermost surface.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used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1 to a display element (e.g., a liquid crystal cell) or another optical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film 3 is laminat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also be used to laminate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or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s a main component a resin such as (meth) acrylic, rubber, urethane, ester, silicone or polyvinyl ether. Among the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meth) acrylic resin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as a base polymer is suitab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n active energy radiation curable type or a thermosetting type.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resin (base polymer)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meth) acrylic acid 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A polymer or a copolymer containing one or more of esters as a monomer is suitably used. The base polymer is preferably copolymerized with a polar monomer. Examples of polar monomers include (meth) 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hydr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N, N-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and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 amide group,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and the like.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only the base polymer, but usually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a metal ion having a valence of 2 or more and forming a carboxylic acid metal salt with a carboxyl group; A polyamine compound, which forms an amide bond with a carboxyl group; A polyepoxy compound or a polyol, which forms an ester bond with a carboxyl group; Is a polyisocyanate compound, and forms an amide bond with a carboxyl group. Among them, a polyisocyanate compound is preferable.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지고서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여 밀착력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s a property of curing upon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rays and has adhesion even before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adherend such as a film.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adhesive forc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an ultraviolet curable typ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n active energy ray-polymerizable compound in addition to the base polymer and the crosslinking agent. If necessary,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sensitizer or the like may be contained.

점착제 조성물은,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드(수지 비드, 글래스 비드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대전방지제, 점착성부여제, 충전제(금속 가루나 그 밖의 무기 분말 등),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방지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fine particles for imparting light scattering properties, resins other than beads (resin beads, glass beads, etc.), glass fibers, base polymers, antistatic agents, tackifiers, fillers (metal powders and other inorganic powders)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dye, a pigment, a colorant, a defoaming agent, a corrosion inhibito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like.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 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는 편광자, 보호 필름,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다른 광학 필름, 박리 필름(예컨대 박리 필름(3)) 등일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원하는 경화도를 갖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n organic solvent diluted solu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to a substrate and drying it. The base material may be a polarizer, a protective film, another optical film such as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 release film (e.g., release film 3), or the like. Whe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used, a cured product having a desired degree of curing can be obtained by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40 ㎛이지만, 광학 시트의 박막화의 관점 및 양호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편광판(1)의 치수 변화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3∼25 ㎛(예컨대 3∼20 ㎛, 나아가서는 3∼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usually 1 to 40 占 퐉.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optical sheet and suppressing dimensional change of the polarizing plate 1 while maintaining good processability, 3 to 15 mu m).

<표면 보호 필름> <Surface Protective Film>

표면 보호 필름(2)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2)은, 편광판(1)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이며, 통상 예컨대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 부재에 광학 시트가 접합된 후에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마다 박리 제거된다.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may be one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thereo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is a film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 and is usually peeled off after the optical sheet is bonded to a display element or another optical member.

기재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단층 구조라도 좋고, 다층 구조라도 좋다. The base film is preferably a thermoplastic resin film.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nstitut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nclude a polyolefin-based resin such as a polyethylene-based resin and a polypropylene-based resin;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resin; (Meth) acrylic resins, and the like. The base film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기재 필름의 두께는 20∼150 ㎛(예컨대 30∼80 ㎛, 바람직하게는 30∼60 ㎛)일 수 있고, 표면 보호 필름(2)의 두께는 40∼200 ㎛(예컨대 50∼160 ㎛)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편광판이 갖는 점착제층에 관한 기술이 기본적으로 인용된다.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may be 20 to 150 占 퐉 (e.g., 30 to 80 占 퐉, preferably 30 to 60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may be 40 to 200 占 퐉 (e.g., 50 to 160 占 퐉) have. Regarding the constitu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description abou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above-mentioned polarizing plate is cited basically.

특히 점착제층은, 그 저장 탄성율이 80℃에 있어서 0.15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4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 MPa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점착제층의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율은 0.01 MPa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율은, 시판되는 점탄성 측정 장치, 예컨대 REOMETRIC사 제조의 점탄성 측정 장치 「DYNAMIC ANALYZER AII」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ferably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80 DEG C of 0.15 MPa or less, more preferably 0.14 MPa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0.10 MPa or less. Usually, the storage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80 캜 is 0.01 MPa or m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measu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viscoelasticity measuring apparatus, for example, a viscoelasticity measuring apparatus "DYNAMIC ANALYZER AII" manufactured by REOMETRIC.

표면 보호 필름(2)에 있어서의 편광판(1)과는 반대쪽의 표면은, 표면 저항율이 1×107∼1×1012 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저항율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은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저항율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은, 대전하기 어렵고, 동마찰 계수가 0.40 이하로 제어되기 쉽다. 표면 저항율이 1×1012 Ω/□를 넘으면, 표면 보호 필름이 대전하기 쉽게 된다. 표면 저항율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 preferably has a surface resistivity of 1 × 10 7 to 1 × 10 12 Ω / □. It can be said that the surface protective film having such a surface resistivity has an antistatic functio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having such a surface resistivity is difficult to charge and easily controlled to have a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of 0.40 or less. When the surface resistivity exceeds 1 x 10 &lt; 12 &gt; OMEGA / &amp; squ &amp;,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easily charged. The surface resistivity i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표면 보호 필름(2)은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예컨대 점착제층에 함유시킬 수 있다. 점착제층에 대전방지제를 함유시키는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기재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이 적층되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대전방지층을 마련하여도 좋다.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may contain an antistatic agent. The antistatic agent can be contained, for exampl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containing the antistatic agent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antistatic layer containing an antistatic agent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in the base film.

대전방지제로서는 이온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은 무기 양이온 또는 유기 양이온과, 무기 음이온 또는 유기 음이온을 갖는 화합물이다. As the antistatic agent, an ionic compound may be mentioned. The ionic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n inorganic or organic cation and an inorganic or organic anion.

2종 이상의 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Two or more kinds of ionic compounds may be used.

<박리 필름> <Peeling film>

박리 필름(3)은, 점착제층을 표시 소자(예컨대 액정 셀)나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할 때까지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임시 부착되는 필름이다. 박리 필름(3)은 통상 한쪽 면에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이형제 등에 의한 이형 처리가 실시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고, 그 이형 처리면이 점착제층에 접합된다. 박리 필름(3)에 있어서의 편광판(1)과는 반대쪽의 표면에는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lease film 3 is a film temporarily adhered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until it is bonded to a display element (e.g., a liquid crystal cell) or another optical member. The release film 3 is usually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film on one side of which a releasing treatment such as a silicone type or a fluorine type releasing agent is applied, and the releasably treated side is bonded to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an antistatic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eeling film 3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

롤투롤로 제조한 광학 시트를 재단하여 광학 시트(10)를 얻는 경우, 장척형의 광학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박리 필름은 장척형의 박리 필름을 휘감은 권취체로서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박리 필름의 권취체는,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면(이형 처리면)과 광학 시트(10)의 가장 표면으로 되는 면이 접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형 처리면의 성분이 광학 시트(10)의 가장 표면이 되는 면에 전사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전사를 이용함으로써 다중 취출이 방지되기 쉽게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박리 필름(3)의 표면은 점착제층 등의 돌출 등을 없애기 위해서 미장(美裝)된다. 미장에 의해서 표면이 세정되기 때문에, 전사된 규소 원자가 제거되어,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은 낮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적절한 미장을 실시하는 것이 다중 취출의 방지에는 유효하다. In the case of producing an optical sheet 10 by cutting an optical sheet made of roll-to-roll, in the production of a long optical sheet, the release film may be provided as a roll wound around a long release film. Since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to be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lease-treated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ptical sheet 10 which is the frontmost surface, the components of the release-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surface to be a surfac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by the present inventors, it has been found that the use of transfer makes it easy to prevent multiple ejection.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3 is decorated to eliminate protru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ike. Since the surface is cleaned by plastering, the transferred silicon atoms are removed, and the abundance ratio of silicon atoms is often low.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multiple take-out from being performed properly.

다중 취출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박리 필름(3)에 있어서의 편광판(1)과는 반대쪽의 표면은,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이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이상이라도 좋다. 한편, 적절히 미장을 행할 필요도 있기 때문에,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은 통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은 X선 광전자 분광법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며,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따른다.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3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 preferably has a silicon atom content of 2% or more, more preferably 4% or more, or more preferably 6% or more,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f silicon atoms is usually not more than 10%, preferably not more than 8%, because it is also necessary to appropriately perform the finish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ratio of silicon atoms is a value determin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details ar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Examples described later.

물론 박리 필름(3)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을 조정하여도 좋다. Of course, silicon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3 to adjust the presence ratio of silicon atoms.

또한, 박리 필름(3)의 한쪽의 표면과 또 한쪽의 표면에서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The presence ratio of the silicon atoms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release film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박리 필름(3)에 있어서의 편광판(1)과는 반대쪽의 표면은 표면 저항율이 1×107∼1×1012 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저항율을 갖는 박리 필름은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저항율을 갖는 박리 필름은 대전하기 어렵고, 동마찰 계수가 0.40 이하로 제어되기 쉽다. 표면 저항율이 1×1012 Ω/□를 넘으면, 박리 필름이 대전하기 쉽게 된다. 표면 저항율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3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 has a surface resistivity of 1 x 10 7 to 1 x 10 12 ? / ?. It can be said that the release film having such a surface resistivity has an antistatic function. The peelable film having such a surface resistivity is difficult to charge, and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is easily controlled to 0.40 or less. When the surface resistivity exceeds 1 x 10 &lt; 12 &gt; OMEGA / &amp; squ &amp;, the peeling film is easily charged. The surface resistivity i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박리 필름의 표면 저항율은 박리 필름의 표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대전방지층은, 예컨대 박리 필름에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를 도포하거나,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키거나 함으로써 형성된다. 정전기 제거 스프레이로서는 쇼와가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정전기 제거 리퀴드 「SB-8」을 예로 들 수 있다. 대전방지제로서는 상기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peelable film can be controlled by forming an antistatic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eelable film. The antistatic layer is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n antistatic spray to a release film or by applying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static agent and curing it. An example of the static electricity removing spray is an electrostatic removing liquid "SB-8" manufactured by Showa Kagaku Co., Ltd. As the antistatic agent, those exemplified above can be used.

박리 필름(3)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일 수 있다. 박리 필름(3)의 두께는 예컨대 10∼50 ㎛이다. The thermoplastic resin constituting the release film 3 may be, for example, a polyethylene-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based resin such as polypropylene, or a polyester-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ethylene naphthalate.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3 is, for example, 10 to 50 占 퐉.

<마킹> <Marking>

광학 시트(10)는, 표면 보호 필름(2) 및 박리 필름(3)의 적어도 한쪽에 마킹(4)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박리 필름이 마킹(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2) 또는 박리 필름(3)은 편광판(1)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마킹(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투롤로 제조한 광학 시트를 재단하여 광학 시트(10)를 얻는 경우, 장척형의 광학 시트를 재단하기 전에 마킹을 하여도 좋고, 재단한 후에 마킹을 하여도 좋다. The optical sheet 10 may have a marking 4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and the release film 3 and the release film preferably has the marking 4.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or the release film 3 preferably has a marking 4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1. In the case of obtaining the optical sheet 10 by cutting the optical sheet made of roll roll, the long optical sheet may be marked before cutting, or may be marked after cutting.

마킹을 함으로써, 예컨대 편광판(1)의 흡수축 방향 또는 투과축 방향이 판별하기 쉽게 되어, 예컨대 액정 셀에 편광판을 접합할 때에 얼라인먼트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광학 시트가 마킹을 가짐으로써, 다중 취출이 발생하기 쉽게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이유는, 마킹을 함으로써 광학 시트(10) 표면에 있어서 도포막의 고조가 일어나, 동마찰 계수가 상승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By marking, for example,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r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 is easily distinguished, and alignment is facilitated, for example, when a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a liquid crystal cell.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foun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optical sheet has a marking, whereby multiple take-out is likely to occu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 is that the marking increases the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sheet 10, and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rises.

다중 취출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박리 필름의 면적에 대한 마킹 면적의 비율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marking area to the area of the release film is preferably 10% or less, more preferably 5%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 or less.

같은 관점에서, 마킹(도포막)의 필름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는 0.1∼0.2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5 ㎛라도 좋다. From the same viewpoint, the height of the marking (coating film) from the film surface is preferably 0.1 to 0.2 mu m, and may be 0.3 to 0.5 mu m.

마킹(4)은, 유성 잉크나 수성 잉크를 사용한 잉크젯 분사식이나 접촉식의 펜으로 행할 수 있으며, 마킹은 이들의 도포막일 수 있다. 마킹의 색은 적, 황, 녹, 시안, 청, 마젠타, 백, 흑 및 이들을 혼합한 색일 수 있고, 하나의 색으로 마킹하여도 좋고, 여러 색으로 마킹하여도 좋다. The marking 4 can be carried out using an ink jet spraying type using oil-based ink or water-based ink, or a contact type pen, and the marking can be a coating film of these. The color of the marking may be red, sulfur, rust, cyan, blue, magenta, white, black, or a mixture of these colors, and may be marked with one color or multiple colors.

도 3은 박리 필름(3) 상에 마킹(4)을 갖는 경우의 일례이며, 직선형의 마킹(4)이 광학 시트(10)의 대향하는 2 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마킹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a)∼도 4(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직선, 점선, 파선, 곡선 및 이들의 조합이라도 좋고, 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 등의 도형이라도 좋고, 문자나 숫자라도 좋다. 3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marking 4 is provided on the peeling film 3, and a linear marking 4 is formed between two opposing sides of the optical sheet 10. The shape of the marking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straight line, a dotted line, a dashed line, a curved line, or a combination thereof as shown in Figs. 4 (a) to 4 (d) It may be a graphic or a letter or a number.

<광학 시트의 적층체> <Laminated body of optical sheet>

복수의 광학 시트를 겹침으로써 광학 시트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을 광학 시트의 공급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학 시트의 적층체(100)는, 어떤 광학 시트(10)의 박리 필름(3)과 다른 광학 시트(10)의 표면 보호 필름(2)이 접하도록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 laminate of optical sheets can be obtain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and this can be provided to a feeding device of the optical sheet. As shown in Fig. 2, the laminated body 100 of the optical sheet is such that the peeling film 3 of an optical sheet 10 overlaps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of the other optical sheet 10 desirable.

광학 시트의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광학 시트(10)는 전부 동일한 광학 시트라도 좋고, 일부가 다른 광학 시트라도 좋다. 광학 시트의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광학 시트의 매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00∼500장으로 할 수 있다. The optical sheets 10 constituting the laminated body 100 of the optical sheet may be all the same optical sheet or a part of different optical sheets. The number of optical sheets constituting the laminated body 100 of the optical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0 to 500 sheets.

광학 시트의 적층체(100)로부터 취출된 광학 시트(10)는, 박리 필름(3)을 박리하여, 표시 소자(예컨대 액정 셀)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2)을 박리하여, 표시 장치(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에 셋팅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10)는, 시인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고, 백라이트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고, 시인 측 및 백라이트 측 양쪽의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다. The optical sheet 10 taken out from the laminated body 100 of the optical sheet can be peeled off the release film 3 and bonded to a display element (e.g., a liquid crystal cell). Further, the surface protective film 2 can be peeled off and set on a display device (e.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constructing the display device, the optical she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viewer side, for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backlight side, and for polarizing plates on both the viewer side and the backlight side .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1) 동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 (1) Method of measuring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신토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의 표면성 측정기 TYPE: 14FW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과 박리 필름 사이의 동마찰 계수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광학 시트를 11 cm×6.3 cm의 크기로 재단한 것을 준비하여, 측정기의 가동 스테이지 및 로드셀에 접속된 고정 조정 기구에 각각 부착했다. 박리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이 서로 마주 향하도록 2장의 광학 시트를 배치했다. 이어서, 중첩되는 필름의 위쪽에서 500 g의 하중을 인가하고, 15.0 mm의 이동 거리를 5000 mm/min의 속도로 100회 왕복시켜, 그 때의 로드셀이 검출한 힘의 크기로부터 동마찰 계수의 평균을 산출했다. 또한, 실시예에서 형성한 마킹의 방향과 가동 스테이지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동마찰 계수에 변화는 없었지만, 이방성이 있는 경우는, 동마찰 계수가 최대가 되는 방향의 동마찰 계수를 채용한다.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betwee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release film was measured using a surface tester, TYPE: 14FW, manufactured by Shinto Kagaku Co., Ltd. Specifically, the optical sheet was first cut to a size of 11 cm x 6.3 cm, and attached to the movable stage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fixed adjust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load cell, respectively. Two optical sheets were arranged so that the release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aced each other. Subsequently, a load of 500 g wa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verlapped film, and the moving distance of 15.0 mm was reciprocated 100 times at a speed of 5000 mm / min. From the magnitude of the force detected by the load cell at that time, Respectively. 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no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marking formed in the embodiment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vable stage, when there is anisotropy,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ynamic coefficient of friction is maximized is employed.

(2)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의 측정 방법(2) Method of measuring the presence ratio of silicon atoms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은, 서모피셔사이엔티픽가부시키가이샤의 K-Alpha를 사용하여, X선 광전자 분광법(XPS)에 의해 측정했다. The presence ratio of silicon atoms on the surface of the film was measur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using K-Alpha as a thermophilic cyanide.

측정면은 박리 필름 배면(점착제층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이다. 광전자 취출 각도를 90°로 하여, 탄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를 측정한 후, 규소 원자의 검출량을 산출했다. The measurement surface is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e fil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hotoelectron extraction angle was set to 90 °, and carbon atoms, oxygen atoms, and silicon atoms were measured, and the detected amount of silicon atoms was calculated.

(3) 필름 두께의 측정 방법(3) Method of measuring film thickness

가부시키가이샤니콘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MH-15M」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micrometer &quot; MH-15M &quot;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4) 다중 취출의 평가 방법(4) Evaluation method of multiple extraction

광학 시트 2장을 표면 보호 필름면과 박리 필름면이 겹치도록 배치하여, 손으로 꽉 누르면서 10회 서로 문질렀다. 그 후, 겹친 필름을 1 cm 위치를 틀어, 한쪽의 시트만을 잡고서 들어 올렸다. 2개의 시트가 접착되어 있었던 경우는, 세 번 흔들어 한쪽의 시트가 탈락하는지 확인했다. 이 조작 후에도 한쪽의 시트가 탈락하지 않은 경우는 다중 취출 발생으로 했다. Two optical sheets were placed so that the surface protective film surface and the release film surface were overlapped and rubbed each other ten times while being pressed by hand. Thereafter, the overlapped film was placed at a position of 1 cm, and only one of the sheets was held and lifted. When two sheets were adhered, it was shaken three times to check whether one sheet fell off. In the case where one sheet did not fall off even after this operation, multi-take-out occurred.

(5) 표면 저항율의 측정 방법(5) Method of measuring surface resistivity

박리 필름 표면(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 및 표면 보호 필름 표면(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의 표면 저항율(Ω/□)을 가부시키가이샤미쓰비시카가쿠아나리테크 제조 MCP-HT45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표에서 「over」는 표면 저항율이 1×1012 Ω/□를 넘음을 의미한다. The surface resistivity (? /?) Of the release film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in the peeling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Was measured using MCP-HT450 manufactured by Naritec. In the table, "over" means that the surface resistivity exceeds 1 × 10 12 Ω / □.

<광학 시트 1의 제작> &Lt; Fabrication of optical sheet 1 >

하기 층 구성의 편광판을 준비했다. A polarizing plate having the following layer configuration was prepared.

보호 필름 1/편광자/보호 필름 2Protective Film 1 / Polarizer / Protective Film 2

보호 필름 1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이고, 두께는 23 ㎛였다. The protective film 1 was a cycloolefin resin film and had a thickness of 23 탆.

보호 필름 2는 표면에 하드코트층을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이고, 두께는 30 ㎛였다. The protective film 2 was a cyclic olefin based resin film having a hard coat layer on its surface and had a thickness of 30 탆.

편광자는 PVA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필름이고, 두께는 8 ㎛였다. The polarizer was a film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VA resin film and had a thickness of 8 탆.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 1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갖춘 박리 필름을 적층하고, 편광판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 2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광학 시트 1을 제작했다. A release film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1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 surface protective film wa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2 in the polarizing plate to prepare an optical sheet 1. [

표면 보호 필름에는 두께 20 ㎛의 점착제층을 갖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는 38 ㎛)을 사용했다.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58 ㎛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는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 보호 필름 표면의 표면 저항율은 1×109 Ω/□였다. 박리 필름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했다. 박리 필름의 두께는 38 ㎛였다. 박리 필름 상에 두께 20 ㎛의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이 박리 필름 상의 점착제층은 최종적으로 편광판이 구비하는 부재이다. 그 후, 광학 시트 1을 긴 변 110 mm, 짧은 변 63 mm의 직사각형상으로 재단했다.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ickness: 38 mu m)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was used for the surface protective film.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was 58 탆. An antistatic layer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surface was 1 x 10 &lt; 9 &gt;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used as the peel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was 38 탆.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was formed on the release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release film is a member finally provided by the polarizing plate. Thereafter, the optical sheet 1 wa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long side of 110 mm and a short side of 63 mm.

<광학 시트 2> <Optical Sheet 2>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광학 시트의 제작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광학 시트 2를 제작했다. 광학 시트 2를 긴 변 110 mm, 짧은 변 63 mm의 직사각형상으로 재단했다. An optical sheet 2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1 of the optical sheet except that the surface protective film on which no antistatic layer was formed was used. The optical sheet 2 was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with a long side 110 mm and a short side 63 mm.

<실시예 1> &Lt; Example 1 >

얻어진 광학 시트 1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 표면(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은 7%였다. 박리 필름의 표면에 마킹은 실시하지 않았다. Silicone was applied to the release film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in the release film) in the obtained optical sheet 1 to prepare an optical sheet for evaluation. The presence ratio of silicon atoms was 7%. No marking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실시예 2> &Lt; Example 2 >

테라니시카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드라이세이브 1(청색, 유성 잉크)을 사용하여, 광학 시트의 대향하는 2 변 사이에 흡수축 방향을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직선형의 선을 1 라인 그어 마킹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Using a dry save 1 (blue, oily ink) manufactured by Teranis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3 along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was defined between two opposing sides of the optical sheet as 1 An optical sheet for evalu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ne marking was formed.

박리 필름 면적에 대한 마킹 면적의 비율은 1%였다. 마킹 높이는 박리 필름 표면에서부터 0.3 ㎛였다. The ratio of the marking area to the peel film area was 1%. The marking height was 0.3 mu m from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실시예 3> &Lt; Example 3 >

선을 3 라인 그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The optical sheet for evalu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line was changed to three lines.

박리 필름의 면적에 대한 마킹 면적의 비율은 3%였다. The ratio of the marking area to the area of the release film was 3%.

<실시예 4∼6> &Lt; Examples 4 to 6 &

실리콘의 도포량을 조정하고,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을 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각각 제작했다. Optical sheets for evaluation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3 except that the amount of silicon to be coated was adjusted and the proportion of silicon atoms was 3%.

<실시예 7∼9> &Lt; Examples 7 to 9 &

얻어진 광학 시트 1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 표면(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실리콘 도포를 하는 대신에, 쇼와가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정전기 제거 리퀴드 「SB-8」을 도포하고, 표면 저항율을 1×109 Ω/□로 했다. 그 밖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각각 제작했다. SB-8 &quot; manufactured by Showa Kagaku Co., Ltd. was used instead of silicone on the release film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in the release film) in the obtained optical sheet 1 And the surface resistivity was set to 1 10 9 ? / ?. In addition, the optical sheets for evaluation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3, respectively.

<실시예 10∼12> &Lt; Examples 10 to 12 &

정전기 제거 리퀴드의 도포량을 조정하고, 표면 저항율을 1×1012 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9와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각각 제작했다. The optical sheets for evaluation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7 to 9 except that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electrostatic elimination liquid was adjusted and the surface resistivity was set to 1 x 10 &lt; 12 &gt;

<실시예 13> &Lt; Example 13 >

얻어진 광학 시트 2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 표면(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쇼와가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정전기 제거 리퀴드 「SB-8」을 도포하고, 박리 필름의 표면 저항율을 1×1012 Ω/□로 했다. 표면 보호 필름 표면(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마찬가지로 쇼와가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정전기 제거 리퀴드 「SB-8」을 도포하고, 표면 보호 필름의 표면 저항율을 1×1012 Ω/□로 했다. 이와 같이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The electrostatic removing liquid "SB-8" manufactured by Showa Kagaku Co., Ltd.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in the release film) in the obtained optical sheet 2, And a surface resistivity of 1 x 10 &lt; 12 &gt; SB-8 &quot; manufactured by Showa Kagaku Co., Ltd.) was applied to the surface protective film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was measured 1 × 10 12 Ω / □. Thus, an optical sheet for evaluation was produced.

<실시예 14∼16> &Lt; Examples 14 to 16 &

정전기 제거 리퀴드의 도포량을 조정하고, 박리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표면의 표면 저항율을 표 2에 나타내는 값으로 제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각각 제작했다. An optical sheet for evalu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electrostatic elimination liquid was adjusted and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was controlled to values shown in Table 2. [

<비교예 1∼3> &Lt;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실시예 1∼3에 있어서, 광학 시트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 표면을, IP 솔벤트(쇼와가코가부시키가이샤에서 입수한 에탄올계 용제)를 스며들게 한 천으로 각각 여러 번 닦아낸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각각 제작했다. In Examples 1 to 3, except that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on the optical sheet was wiped with a cloth impregnated with IP solvent (ethanol-based solvent available from Showa Kagaku Co., Ltd.) several times, To prepare optical sheets for evaluation.

<비교예 4> &Lt; Comparative Example 4 &

실시예 1에 있어서, 박리 필름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지 않고, 광학 시트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 표면을, IP 솔벤트(쇼와가코가부시키가이샤에서 입수한 에탄올계 용제)를 스며들게 한 천으로 각각 여러 번 닦아낸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on the optical sheet was impregnated with IP solvent (ethanol-based solvent obtained from Showa Chemical Co., Ltd.) without applying silicone on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An optical sheet for evalu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except that it was wiped several times.

<비교예 5> &Lt; Comparative Example 5 &

정전기 제거 리퀴드의 도포량을 조정하고, 박리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표면의 표면 저항율을 표 2에 나타내는 값으로 제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평가용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한편, 표면 보호 필름에 정전기 제거 리퀴드를 도포하지 않았다. An optical sheet for evaluati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static electricity removing liquid was adjusted and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an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was controlled to values shown in Table 2. [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was not coated with the static elimination liquid.

상기 실시예 1∼16, 비교예 1∼5에서 제작한 평가용 광학 시트에 관해서 다중 취출 평가를 했다.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The evaluation of the optical sheets for evalua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1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as carried out by multiple evalu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시트가 여러 장 겹쳐진 적층체로부터 1장씩 광학 시트를 취출할 때에 다중 취출이 일어나기 어려운 광학 시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cal sheet in which multiple take-out is unlikely to occur when the optical sheets are taken out one by one from the stacked layers of the optical sheets.

1: 편광판, 2: 표면 보호 필름, 3: 박리 필름, 4: 마킹, 10: 광학 시트, 100: 광학 시트의 적층체 1: polarizing plate, 2: surface protective film, 3: peeling film, 4: marking, 10: optical sheet, 100:

Claims (5)

표면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박리 필름을 이 순서로 가지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과 상기 박리 필름 사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광학 시트.
A surface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release film in this order,
Wherein an optical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release film is 0.4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은 규소 원자의 존재 비율이 3% 이상인 광학 시트. The optical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has a silicon atom content of 3%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은 표면 저항율이 1×107∼1×1012 Ω/□인 광학 시트.The optical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has a surface resistivity of 1 × 10 7 to 1 × 10 12 Ω / squar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은 표면 저항율이 1×107∼1×1012 Ω/□인 광학 시트. Any one of claims 1 to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 3, where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surface opposite the surface resistivity is 1 × 10 7 ~1 × 10 12 Ω / □ of an optical sheet according to th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필름은 상기 편광판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마킹을 가지고,
박리 필름의 면적에 대한 이 마킹 면적의 비율이 2% 이하인 광학 시트.
5.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eeling film has a mark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plate,
Wherein the ratio of the marking area to the area of the release film is 2% or less.
KR1020180082197A 2017-07-20 2018-07-16 Optical sheet KR1026426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0641 2017-07-20
JPJP-P-2017-140641 201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46A true KR20190010446A (en) 2019-01-30
KR102642672B1 KR102642672B1 (en) 2024-02-29

Family

ID=6518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97A KR102642672B1 (en) 2017-07-20 2018-07-16 Optical she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2019020718A (en)
KR (1) KR102642672B1 (en)
CN (2) CN109283608B (en)
TW (1) TWI76507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9004A (en) * 2020-03-19 2021-09-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Optical sheet base mater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636A (en) * 1998-09-28 2000-06-23 Konica Corp Polarizing plate
JP2003029028A (en) * 2001-07-11 2003-01-29 Toray Ind Inc 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with polarizing film
JP2006308912A (en) 2005-04-28 2006-11-09 Takatori Corp Supplying method and apparatus of optical sheet
KR20160078888A (en) * 2014-12-25 2016-07-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4391B (en) * 1963-08-29 1968-08-01 Telefunken Patent Device for holding back double or multiple copies on a separator for flat items
JPS5555862A (en) * 1978-10-18 1980-04-24 Honshu Paper Co Ltd Low temperature heat sealing two axes elongation polypropylene compound film and its preparation
JP2990818B2 (en) * 1991-03-08 1999-12-13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for magnetic tape
JP3206713B2 (en) * 1995-10-27 2001-09-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Anti-glare material and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JPH10221685A (en) * 1997-02-05 1998-08-21 Toshiba Electron Eng Corp Liquid crystal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WI227795B (en) * 1998-07-07 2005-02-11 Konishiroku Photo Ind Polarizing plate unit
JP2000081515A (en) * 1998-07-07 2000-03-21 Konica Corp Polarizing plate
CA2262378C (en) * 1999-01-26 2004-01-20 Cesar Menes Disposable microscope slide dispenser
JP2000321422A (en) * 1999-05-10 2000-11-24 Nitto Denko Corp Optical member
JP4384333B2 (en) * 2000-04-24 2009-12-16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Surface protection film
JP3796198B2 (en) * 2002-06-12 2006-07-12 株式会社クラレ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JP4081389B2 (en) * 2003-02-28 2008-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Sheet lamination method
JP2004315756A (en) * 2003-04-18 2004-11-11 Fuji Photo Film Co Ltd Cellulose acylate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ilver halide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obtained using film
US20050172843A1 (en) * 2004-02-06 2005-08-11 Fuji Photo Film Co., Ltd. Stack of lithographic printing plate precursors
CN100453583C (en) * 2004-06-07 2009-01-21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Cellulose est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102005056634B4 (en) * 2005-11-25 2010-07-22 Bdt Ag Sheet singulation system, method for frictionally separating and conveying sheets
US20100028682A1 (en) * 2006-09-29 2010-02-04 Seiji Shinohara Optical functional film
JP2008197159A (en) * 2007-02-08 2008-08-28 Nitto Denko Corp Optical film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film body
JP4914494B2 (en) * 2007-04-27 2012-04-11 三井化学株式会社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US20090026693A1 (en) * 2007-07-26 2009-01-29 Boo Siong Sean Lim Sheet Separating Mechanism And Sheet Fee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826830B2 (en) * 2007-07-30 2011-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heet conveying apparatus
US7971720B2 (en) * 2009-06-24 2011-07-05 The Clorox Company Vertically stacking litter bag with handle
JP5534728B2 (en) * 2009-07-15 2014-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Transparent film and use thereof
CN102745536A (en) * 2012-06-26 2012-10-2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Flaky dielectric stacking device
KR20140017176A (en) * 2012-07-31 2014-02-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Surface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KR101748065B1 (en) * 2013-07-17 2017-06-27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92109B1 (en) * 2013-07-26 2017-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High brightness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zing the same
CN104339796B (en) * 2013-08-09 2018-03-02 住友化学株式会社 Layered product
JP5963788B2 (en) * 2014-01-10 2016-08-03 藤森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ntistatic surface protective film, and antistatic surface protective film
WO2015156199A1 (en) * 2014-04-09 2015-10-15 東レ株式会社 Polarizer-protecting polyester film, and polarization plate obtained using same
CN104049294A (en) * 2014-06-09 2014-09-17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Polaroid structur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oid
US9817156B2 (en) * 2015-03-30 2017-11-14 Fujifilm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N104765093A (en) * 2015-04-20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oid, polaroi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6725220B2 (en) * 2015-07-31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Surface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6166431B1 (en) * 2016-06-17 2017-07-19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636A (en) * 1998-09-28 2000-06-23 Konica Corp Polarizing plate
JP2003029028A (en) * 2001-07-11 2003-01-29 Toray Ind Inc 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with polarizing film
JP2006308912A (en) 2005-04-28 2006-11-09 Takatori Corp Supplying method and apparatus of optical sheet
KR20160078888A (en) * 2014-12-25 2016-07-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4606B2 (en) 2023-11-07
TW201908825A (en) 2019-03-01
JP2019020718A (en) 2019-02-07
JP2019148813A (en) 2019-09-05
TWI765070B (en) 2022-05-21
CN109283608A (en) 2019-01-29
KR102642672B1 (en) 2024-02-29
JP2023001208A (en) 2023-01-04
CN109283608B (en) 2022-07-05
CN115016055A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175B1 (en) Optical 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949112B1 (en) Polarizing plate
KR20190074227A (en) Laminate
KR102510750B1 (en)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panel
KR20170012322A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TWI791058B (en) Laminate
KR20160076435A (en) Polarizing plat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set,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13813B1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680347B2 (en) Laminate
KR20180094945A (en) Polarizer
JP2020101815A (en) Polarizing plate set
KR20160038742A (en) Polarizing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80111629A (en)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and optical laminate
KR101895172B1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liquid crystal panel
KR20190104913A (en) Laminated film
JP2023001208A (en) optical sheet
JP7226473B2 (en) A set of polarizers and a liquid crystal panel
JP6887222B2 (en) Polarizing plate set
KR20210154986A (e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455545B2 (en) Set of polarizing plates
JP7221429B1 (en) lami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