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567A -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 Google Patents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567A
KR20190006567A KR1020187037391A KR20187037391A KR20190006567A KR 20190006567 A KR20190006567 A KR 20190006567A KR 1020187037391 A KR1020187037391 A KR 1020187037391A KR 20187037391 A KR20187037391 A KR 20187037391A KR 20190006567 A KR20190006567 A KR 20190006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alkyl
methylcarbamoyl
compound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존 앳킨슨
엠마누엘 휴베르트 데몬트
리 앤드류 해리슨
에티엔 레버니어
알렉산더 지 프레스톤
조나단 토마스 실
이안 데이비드 월
로버트 제이 왓슨
제임스 마이클 울벤
Original Assignee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넘버 2)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1609096.1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60909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703274.9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703274D0/en
Application filed by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넘버 2)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넘버 2)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44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or by two such atoms singly-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 C07D213/53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그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및 치료에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인 피리딜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및 다양한 질병 또는 질환, 예를 들어,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및 암의 치료에서의 이러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진핵생물 유기체의 유전체는 세포의 핵 내에서 고도로 유기체화되어 있다. 듀플렉스 DNA의 긴 가닥은 히스톤 단백질(가장 일반적으로 히스톤 H2A, H2B, H3 및 H4의 두 개의 복사체 포함)의 십량체(octomer)에 둘러싸여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이후, 뉴클레오솜의 응집 및 폴딩에 의해 이러한 기본 단위가 추가로 압박되어 고도로 축합된 염색질 구조가 형성된다. 다수의 상이한 축합 상태가 가능하며, 이러한 구조의 견고함은 세포 주기 동안 변화되고, 세포 분열 과정 동안 가장 조밀하다. 염색질 구조는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고도로 축합된 염색질로부터 효율적으로 발생할 수 없다. 염색질 구조는 히스톤 단백질, 그 중에서도 특히 히스톤 H3 및 H4에 대한 일련의 번역후 변형에 의해, 그리고 가장 일반적으로 코어 뉴클레오솜 구조를 넘어 연장되는 히스톤 테일 내에서 조절된다. 이러한 변형은 아세틸화, 메틸화, 포스포릴화, 유비퀴티닐화 및 SUMO일화를 포함한다. 이러한 후성적 표시는 특수한 효소에 의해 쓰여지고 지워지는데, 이러한 효소는 히스톤 테일 내 특정 잔기 상에 태그를 배치함으로써 후성적 코드를 형성한 후, 염색질 구조의 유전자 특이적 조절 및 이에 의한 전사를 허용하도록 세포에 의해 해석된다.
히스톤 아세틸화는 유전자 전사의 활성화와 가장 일반적으로 관련되는데 그 이유는 변형이 정전학을 변화시킴으로써 DNA와 히스톤 십량체의 상호작용을 느슨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물리적 변화 외에, 특정 단백질은 히스톤 내에서 아세틸화된 리신 잔기를 인지하고 이에 결합하여 후성적 코드를 판독한다. 브로모도메인은 보통 아세틸화된 리신 잔기에 결합하나 히스톤과 관련해서 배타적이지 않은 단백질내 별개의 소형(약 110개 아미노산) 도메인이다. 브로모도메인을 함유하는 것으로 공지된 약 50개 단백질의 패밀리가 존재하고, 이들은 세포 내에서 다수의 기능을 지닌다.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의 BET 패밀리는 아주 근접한 두 개의 아세틸화된 리신 잔기에 결합할 수 있는 탠덤(tandem) 브로모도메인을 함유하여 상호작용의 특이성을 증가시키는 4개의 단백질(BRD2, BRD3, BRD4 및 BRDT)을 포함한다. 각 BET 단백질의 N-말단 단부로부터의 넘버링(numbering)으로, 탠덤 브로모도메인은 전형적으로 결합 도메인 1(BD1) 및 결합 도메인 2(BD2)(Chung et al, J Med. Chem,. 2011, 54, 3827-3838)로 라벨링된다.
Chan 등은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가 인간 단핵구에서 유전자-특이적 방식으로 신호전달하는 사이토카인-Jak-STAT에 대한 전사 반응을 억제하고, 이는 BET 억제가 사이토카인 활성 억제를 통해 부분적으로 염증을 감소시킴을 암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Chan et al., Eur. J. Immunol., 2015, 45: 287-297).
Klein 등은 브로모도메인 단백질 억제제 I-BET151가 류마티스 관절염 활액 섬유아세포에서 염증 유전자 및 기질 분해 효소의 발현을 억제하는데, 이는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후성적 리더 단백질(reader protein)의 표적화에 치료적 잠재력을 제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Klein et al., Ann. Rheum. Dis., 2014, 0:1-8).
Park-Min 등은 아세틸화된 히스톤에 결합함으로써 염색질 상태를 '판독하는'브로모 및 엑스트라-말단(BET) 단백질을 표적화하는 I-BET151가 파골세포형성(osteoclastogenesis)을 강력하게 억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Park-Min et al. Nature Communications, 2014, 5, 5418).
PCT 특허 출원 PCT/EP2016/070519호, PCT/EP2016/072216호 및 PCT/EP2016/073532호는 각각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일련의 피리돈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1-3알킬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는 -C0-3알킬-C3-7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C3-7사이클로알킬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5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3는 -H, -C1-4알킬, 사이클로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CH2F, -C0-3알킬OR10 또는 C0-3알킬CN이고;
R4는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6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5는 플루오로, -C1-6알킬-R13, -OCH3, -O-C2-6알킬-R13, -CN, -OH, -SO2C1-3알킬 및 -NR14R1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6는 옥소, 할로, -OCF3, -OCHF2, -C1-4알킬, -C0-3알킬-OR8, -C0-3알킬-NR14R15, -C0-3알킬-CONR11R12, -C0-3알킬-헤테로사이클릴, -C0-3알킬-O-C1-2알킬-헤테로사이클릴, -CN 및 -SO2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은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7은 -C1-3알킬 또는 -NR11R12이고;
R8은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C2-3알킬-OH 또는 -C2-3알킬-O-C1-3알킬이고;
R9은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또는 -C2-3알킬-OH이고;
R10은 -H 또는 -C1-3알킬이고;
각각의 R11 및 각각의 R12는 -H 및 -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고;
R13은 -H, -OR9, -NR14R15 또는 -CN이고;
각각의 R14 및 각각의 R15는 -H, -C(O)OC(CH3)3, -C(O)C1-3알킬, -C1-6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2-3알킬-OH 및 -C2-3알킬-O-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C1-6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은 1, 2 또는 3개의 플루오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거나; R14 및 R1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특히 BD2 선택적인 억제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질병 또는 질환, 예를 들어,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브로모도메인과 관련된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로서 지칭된다.
"BD2"는 단백질 BRD2, BRD3, BRD4 또는 BRDT의 BET 패밀리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도메인 2를 나타낸다.
"알킬"은 특정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된 탄화수소 사슬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1-6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용어 "C0-3알킬"은 0(즉, 결합)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분지형 알킬 기는 1개, 2개, 또는 3개의 분지를 갖는다. 알킬 기는 사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C0-4알킬-헤테로사이클릴은 헤테로사이클릴에 결합된 0(즉, 결합)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사슬을 나타낸다.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및 헥실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클로알킬"은 고리에 특정 수의 구성원 원자를 갖는 포화된 탄화수소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고리 또는 포화된 스피로-결합된 바이사이클릭 탄화수소 고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3-7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7개의 구성원 원자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기를 나타낸다. C3-7사이클로알킬 기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및 스피로[3.3]헵틸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3-7사이클로알킬 기의 추가 특정 예는 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이다.
"거울상이성질체 과량"(ee)은 다른 표현된 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초과분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라세미 변형에서, 둘 모두의 거울상이성질체는 동일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거울상이성질체 과량은 제로(0% ee)이다. 그러나,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가 풍부하여 생성물의 95%를 차지할 경우라면, 거울상이성질체 과량은 90% ee(풍부한 거울상이성질체의 양인 95%에서 다른 거울상이성질체의 양인 5%를 공제한 양)일 것이다.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풍부한"은 거울상이성질체 과량(ee)이 제로보다 큰 생성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풍부한"은 거울상이성질체 과량이 50% 초과의 ee, 75% 초과의 ee, 및 90% 초과의 ee인 생성물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은 거울상이성질체 과량이 99% 또는 그 초과인 생성물을 나타낸다.
"반감기"(또는 "반감기들")는 물질의 양의 절반이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또 다른 화학적으로 구분되는 종으로 변환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할로"는 할로겐 라디칼, 예를 들어,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아이오도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은 질소, 황 및 산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여, 5, 6, 8, 9, 10 또는 11개의 구성원 원자를 갖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기를 나타내고, 기의 적어도 한 부분은 방향족이다. 분자의 나머지에 대한 부착 지점은 어떠한 적합한 탄소 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서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 기의 예는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지닐, 벤조푸라닐, 이소벤조푸릴, 2,3-디하이드로벤조푸릴, 1,3-벤조디옥솔릴, 디하이드로벤조디옥시닐, 벤조티에닐, 벤즈아제피닐, 2,3,4,5-테트라하이드로-1H-벤조[d]아제피닐, 인돌리지닐, 인돌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릴, 디하이드로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디하이드로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디하이드로벤즈옥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조이소티아졸릴, 디하이드로벤조이소티아졸릴, 인다졸릴, 이미다조피리디닐, 피라졸로피리디닐, 피롤로피리디닐, 벤조트리아졸릴, 트리아졸로피리디닐, 퓨리닐, 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퀴녹살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1,5-나프티리디닐, 1,6-나프티리디닐, 1,7-나프티리디닐, 1,8-나프티리디닐, 및 프테리디닐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원자"는 질소, 황,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릴"은 한 헤테로원자 및 임의로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여, 4, 5, 6, 7, 8, 9 또는 10개의 고리 구성원 원자를 함유하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고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릴" 기의 예는 아제티디닐, 옥세타닐, 티에타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옥사졸리닐, 티아졸리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디하이드로푸라닐, 1,3-디옥솔라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호모피페라지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1,3-디옥사닐, 1,4-디옥사닐, 1,3-옥사티올라닐, 1,3-옥사티아닐, 1,3-디티아닐, 1,4-옥사티올라닐, 1,4-옥사티아닐, 1,4-디티아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헥사하이드로-1H-1,4-디아제피닐, 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틸, 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닐, 아자바이사이클로[4.3.0]노닐, 옥사바이사이클로[2.2.1]헵틸, 1,1-디옥시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라닐, 1,5,9-트리아자사이클로도데실, 3-옥사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 및 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은 한 헤테로원자 및 임의로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여, 4, 5, 6 또는 7개의 고리 구성원 원자를 함유하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고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구성원 원자"는 사슬 또는 고리를 형성하는 원자 또는 원자들을 나타낸다. 하나 초과의 구성원 원자가 사슬에, 그리고 고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구성원 원자는 사슬 또는 고리 내 인접하는 구성원 원자에 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사슬 또는 고리에 부착된 치환기 그룹을 구성하는 원자는 사슬 또는 고리 내의 구성원 원자가 아니다.
기와 관련하여 "치환된"은 기 내 구성원 원자에 부착된 수소 원자가 대체되는 것을 나타낸다. 용어 "치환된"은 그러한 치환이 치환된 원자 및 치환기의 허용된 원자가에 따르고, 치환이 안정한 화합물(즉, 자발적으로 변형, 예컨대, 재배치, 고리화 또는 제거를 거치지 않는 화합물)을 형성한다는 암묵적인 조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단일 원자는 그러한 치환이 허용된 원자가에 따르는 한, 하나 초과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치환기는 치환되거나 임의로 치환되는 기 각각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합당한 유익성/위험성 비에 상응하는, 과도한 독성, 자극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사람 및 동물의 조직과의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그러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 투여 형태를 나타낸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약제 조성물에 형태 또는 컨시스턴시(consistency)를 부여하는 것과 관련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을 나타낸다. 각각의 부형제는 환자에게 투여될 때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상호작용이 회피되도록 혼합될 때 약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이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부형제는 물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예를 들어, 충분히 높은 순도여야 한다.
"rac"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rac-(2S,3R,4R)"은 (2S,3R,4R) 거울상이성질체와 (2R,3S,4S)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고체 상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형태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결정질 형태로 존재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우, 당업자는 용매 분자가 결정화 동안 결정질 격자내로 혼입되는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용매화물은 비수성 용매,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N,N-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트산, 에탄올아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결정질 격자에 혼입되는 용매로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이 결정질 격자에 혼입되는 용매인 용매화물은 전형적으로 "수화물"로서 언급된다. 수화물은 화학량론적 수화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양의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모든 그러한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결정질 형태로 존재하는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다형성(즉, 상이한 결정질 구조로 발생하는 능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인지될 것이다. 이들 상이한 결정질 형태는 전형적으로 "다형체(polymorph)"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다형체를 포함한다. 다형체는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갖지만, 패킹, 기하학적 배열 및 결정질 고체 상태의 그 밖의 기술적 성질(descriptive property)이 다르다. 그러므로, 다형체는 상이한 물리적 성질, 예컨대, 형상, 밀도, 경도, 변형성, 안정성 및 용해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다형체는 전형적으로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융점, IR 스펙트럼, 및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상이한 다형체는, 예를 들어,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반응 조건 또는 시약을 변경하거나 조절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온도, 압력 또는 용매의 변경이 다형체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다형체는 특정 조건 하에서 다른 다형체로 자발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다형체 형태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 적외선(IR) 스펙트럼, Raman 스펙트럼,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 열중량 분석(TGA) 및 고체상 핵자기 공명(SSNMR)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다수의 통상적인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특징화되고 차별화될 수 있다.
화학식(I)에 따른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키랄 중심으로서 또한 언급됨)을 함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별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다른 입체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키랄 중심, 예컨대, 키랄 탄소 원자는 또한 알킬 기와 같은 치환기에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I)에 또는 본원에서 예시되는 어떠한 화학 구조에 존재하는 키랄 중심의 입체화학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구조는 어떠한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하는 화학식(I)에 따른 화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풍부한 혼합물,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순수한 개별 입체이성질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다른 이성질체가 없는 것과 같이 분리된 개별 이성질체(즉, 순수)이든, 또는 혼합물(즉, 라세미 혼합물)이든 간에 화학식(I)의 화합물의 모든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다른 이성질체가 없는 것과 같이 분리된 개별 이성질체(즉, 순수)는 다른 이성질체가 10% 미만, 특히 약 1% 미만, 예를 들어, 약 0.1% 미만으로 존재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단일 입체중심을 지닌 라세미 화합물은 입체화학(단일 결합)이 없거나 부호(+/-) 또는 rac를 갖는 것으로 표시된다. 상대 입체화학이 알려져 있는 둘 이상의 입체중심을 갖는 라세미 화합물은 구조에 묘사되는 바와 같이 시스 또는 트랜스로 표시된다. 절대 입체화학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상대 입체화학은 알려져 있는 분해된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는 적합한 상대 입체화학이 묘사되는 (R* 또는 S*)로 언급된다.
부분입체이성질체가 표현되고, 상대 입체화학만 언급되는 경우, 진한(bold) 또는 해시드 솔리드(hashed solid) 결합 부호(
Figure pct00002
)가 사용된다. 절대 입체화학이 알려져 있고, 화합물이 단일 거울상이성질체인 경우, 진한 또는 해시드 ?지 부호(
Figure pct00003
)가 경우에 따라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함유하는 화학식(I)에 따른 화합물의 개별 입체이성질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분해는 (1) 부분입체이성질체 염, 착물 또는 그 밖의 유도체의 형성에 의해; (2) 입체이성질체-특이적 시약과의 선택적 반응에 의해, 예를 들어, 효소적 산화 또는 환원에 의해; 또는 (3) 키랄 환경에서, 예를 들어, 결합된 키랄 리간드를 갖는 실리카와 같은 키랄 지지체 상에서 또는 키랄 용매의 존재 하에서 가스-액체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요망되는 입체이성질체가 상기 기술된 분리 절차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또 다른 화학적 실체로 변환되는 경우, 요망되는 형태를 유리시키기 위해 추가 단계가 요구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특정 입체이성질체는 광학 활성 시약, 기질, 촉매 또는 용매를 사용하는 비대칭 합성에 의해, 또는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를 비대칭 변형에 의해 다른 것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경우, 호변이성질체(tautomer)가 관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호변이성질체의 생물학적 활성과 관련된 어떠한 언급은 호변이성질체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에 대한 언급은 화학식(I)의 화합물을 유리 염기로서, 또는 이의 염으로서, 예를 들어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유리 염기로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염은 약제에서의 이들의 잠재적인 용도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된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대한 검토를 위해, 문헌[Berge et al., J. Pharm. Sci., 66:1-19, (1977)]을 참조한다. 전형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적합한 경우 요망되는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생성된 염은 용액으로부터 침전될 수 있고 여과에 의해 수집되거나 용매의 증발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화학식(I)의 화합물을 임의로 유기 용매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적합한 무기산 또는 유기산(예컨대, 브롬화수소산, 염산, 황산, 질산, 인산, 석신산, 말레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벤조산, 살리실산, 아스파르트산, p-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예컨대, 2-나프탈렌설폰산, 또는 헥산산)과 반응시켜 대개, 예를 들어, 결정화 및 여과에 의해, 또는 증발에 이어 분쇄에 의해 분리되는 염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예를 들어,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석시네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푸마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벤조에이트, 살리실레이트, 글루타메이트, 아스파르테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예컨대,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또는 헥사노에이트 염일 수 있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I)의 화합물의 분리를 위해 그 밖의 비-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를 들어, 포르메이트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그 범위 내에 화학식(I)의 화합물의 염의 모든 가능한 화학량론적 및 비-화학량론적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로부터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의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다형체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진술
제1 양태에서,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1-3알킬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는 -C0-3알킬-C3-7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C3-7사이클로알킬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5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3는 -H, -C1-4알킬, 사이클로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CH2F, -C0-3알킬OR10 또는 C0-3알킬CN이고;
R4는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6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5는 플루오로, -C1-6알킬-R13, -OCH3, -O-C2-6알킬-R13, -CN, -OH, -SO2C1-3알킬 및 -NR14R1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6는 옥소, 할로, -OCF3, -OCHF2, -C1-4알킬, -C0-3알킬-OR8, -C0-3알킬-NR14R15, -C0-3알킬-CONR11R12, -C0-3알킬-헤테로사이클릴, -C0-3알킬-O-C1-2알킬-헤테로사이클릴, -CN 및 -SO2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은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7은 -C1-3알킬 또는 -NR11R12이고;
R8은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C2-3알킬-OH 또는 -C2-3알킬-O-C1-3알킬이고;
R9은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또는 -C2-3알킬-OH이고;
R10은 -H 또는 -C1-3알킬이고;
각각의 R11 및 각각의 R12는 -H 및 -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고;
R13은 -H, -OR9, -NR14R15 또는 -CN이고;
각각의 R14 및 각각의 R15는 -H, -C(O)OC(CH3)3, -C(O)C1-3알킬, -C1-6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2-3알킬-OH 및 -C2-3알킬-O-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C1-6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은 1, 2 또는 3개의 플루오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거나; R14 및 R1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R1이 -C1-3알킬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가 -C0-3알킬-C3-7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C3-7사이클로알킬 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5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R3가 -H, -C1-4알킬, 플루오로 또는 -C0-3알킬OR10이고;
R4가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각각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6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각각의 R5가 플루오로, -C1-6알킬-R13, -OCH3, -O-C2-6알킬-R13, -CN, -OH, -SO2C1-3알킬 및 -NR14R1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6가 옥소, 할로, -OCF3, -OCHF2, -C1-4알킬, -C0-3알킬-OR8, -C0-3알킬-NR14R15, -C0-3알킬-CONR11R12, -C0-3알킬-헤테로사이클릴, -C0-3알킬-O-C1-2알킬-헤테로사이클릴, -CN 및 -SO2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이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R7이 -C1-3알킬 또는 -NR11R12이고;
R8이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C2-3알킬-OH 또는 -C2-3알킬-O-C1-3알킬이고;
R9이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또는 -C2-3알킬-OH이고;
R10이 -H 또는 -C1-3알킬이고;
각각의 R11 및 각각의 R12가 -H 및 -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11 및 R12가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으며;
R13이 -H, -OR9, -NR14R15 또는 -CN이고;
각각의 R14 및 각각의 R15이 -H, -C(O)OC(CH3)3, -C(O)C1-3알킬, -C1-6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2-3알킬-OH 및 -C2-3알킬-O-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C1-6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이 1, 2 또는 3개의 플루오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거나; R14 및 R15이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학식(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R1은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1은 -C1-3알킬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R1은 메틸이다.
한 구체예에서, R2는 하나의 R5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C3-7사이클로알킬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비치환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하나의 R5 기에 의해 치환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메틸인 하나의 R5 기에 의해 치환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비치환된 사이클로프로필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하나의 R5 기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프로필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R2는 메틸인 하나의 R5 기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프로필이다.
한 구체예에서, R2는 1 또는 2개의 R5 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 기인 C3-7사이클로알킬이다. 한 구체예에서, R2는 2개의 플루오로 기로 치환된 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 기인 C3-7사이클로알킬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하나의 -OH로 치환된 바이사이클로[3.1.0]헥사닐 기인 C3-7사이클로알킬이다.
한 구체예에서, R3는 -H, -C1-4알킬, 사이클로프로필, 플루오로 또는 -C0-3알킬OR10이다. 한 구체예에서, R3는 -H, 메틸, 에틸, 플루오로, -OCH3, -OH, -CH2F, -CH2OH, -CH(OH)CH3, -CH2OMe 또는 -CH2CN이다. 한 구체예에서, R3는 -H, 메틸, 플루오로, -OCH3 또는 -OH이다. 한 구체예에서, R3는 -H, 메틸 또는 -OH이다.
한 구체예에서, R4는 하나의 R6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비치환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하나의 R6 기에 의해 치환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비치환된 페닐.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하나의 R6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리딜, 피롤로피리디닐, 인돌릴, 인돌리닐, 인다졸릴 및 벤즈이미다졸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아릴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비치환된 피리딜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비치환된 피롤로피리디닐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비치환된 인돌리닐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옥소, 플루오로, -OCH2CH2OH, -OCH2CH(CH3)OH, 메틸, -OCH3, -OH 및 -OCH2CH2-3-(4,4-디플루오로피페리디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R6 기에 의해 치환된다.
한 구체예에서, 각각의 R5는 -C1-6알킬-R13, -OH 및 -SO2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각각의 R5는 메틸, -OH, -CH2OH 및 -SO2CH3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각각의 R5는 메틸이다.
한 구체예에서, 각각의 R6은 옥소, 할로, -C1-4알킬, -C0-3알킬-OR8 및 -C0-3알킬-O-C1-2알킬-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각각의 R6은 옥소, 플루오로, -OCH2CH2OH, -OCH2CH(CH3)OH, 메틸, -OCH3, -OH 및 -OCH2CH2-3-(4,4-디플루오로피페리디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각각의 R6은 옥소, 플루오로, -메틸, -OCH3 또는 -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치환기 그룹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실시예 1 내지 124의 화합물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실시예 1 내지 116의 화합물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실시예 1 내지 55의 화합물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6-((S)-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6-((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6-((S*)-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및
(R*)-N4-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6-((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6-(인돌린-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및
6-((R*)-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6-벤질-N4-((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6-벤질-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N4-((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R*)-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S*)-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N4-((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R*)-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및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S*)-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05
또는 이의 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06
의 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07
이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08
또는 이의 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09
의 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0
이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1
또는 이의 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2
의 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3
이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4
또는 이의 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5
의 염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6
이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7
또는 이의 염이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8
또는 이의 염이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Figure pct00019
또는 이의 염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치료, 특히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용도의 진술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이고, 이에 따라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잠재적 유용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전신 또는 조직 염증, 감염 또는 저산소증에 대한 염증 반응, 세포 활성화 및 증식, 지질 대사, 섬유증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 및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급성 통풍, 건선, 전신홍반루푸스, 다발성경화증, 염증성 창자병(크론병 및 궤양 대장염), 천식, 만성 폐쇄 기도병, 폐렴, 심근염, 심장막염, 근육염, 습진, 피부염(아토피성 피부염 포함), 탈모증, 백반증, 수포성 피부 질환, 신장염, 맥관염, 고콜레스테롤혈증, 죽상동맥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쇼그렌 증후군, 타액선염, 중심성 망막정맥폐쇄, 분지 망막정맥폐쇄, 어바인-가스 증후군(백내장후 및 수술후), 망막색소변성증, 평면부염, 산탁맥락망막병증, 망막앞막, 낭포황반부종, 중심와부근 모세혈관확장증, 견인성 황반변증, 유리체 황반견인 증후군, 망막박리, 시신경망막염, 특발성 황반부종, 망막염, 안구 건조(건성 각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아토피성 각결막염, 포도막염(예컨대, 앞포도막염, 전체포도막염, 후포도막염, 포도막염 관련 황반부종), 공막염,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황반 부종, 나이 관련 황반 이영양증, 간염, 췌장염, 원발쓸개관간경화증, 경화쓸개관염, 애디슨병, 뇌하수체염, 갑상샘염, 타입 I 당뇨병, 타입 II 당뇨병, 거세포 동맥염, 루푸스 신장염을 포함하는 신장염, 사구체신염과 같은 기관 관련 맥관염, 거세포 동맥염을 포함하는 맥관염, 베게너 육아종, 결절다발동맥염, 베체트병, 가와사키병, 타카야수 동맥염, 괴저성 농피증, 기관 침범을 동반한 혈관염, 이식 기관의 급성 거부반응 및 전신 경화증과 같은 광범위한 범위의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죽상동맥경화증 또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APO-A1의 조절을 통해 매개되는 지질 대사의 장애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은 호흡기 장애, 예컨대, 천식 또는 만성 폐쇄 기도병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급성 통풍, 건선, 전신홍반루푸스, 다발성경화증, 또는 염증성 창자병(크론병 또는 궤양대장염)과 같은 전신 염증 질병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은 다발성 경화증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은 타입 I 당뇨병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우울증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또는 이들의 독소로의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수반하는 질병 또는 질환, 예컨대, 패혈증, 급성 패혈증, 패혈증 증후군, 패혈성 쇼크, 내독소혈증,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다발성 장기 기능이상 증후군, 독소충격증후군, 급성 폐 손상, ARDS(성인 호흡곤란증후군), 급성 신부전, 전격간염, 화상, 급성 췌장염, 수술후 증후군, 사르코이드증, 헤르크스하이머 반응, 뇌염, 척수염, 수막염, 말라리아, 및 인플루엔자, 대상포진, 단순 포진 및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SIRS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또는 이들의 독소로의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수반하는 질병 또는 질환은 급성 패혈증이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심근경색증, 뇌혈관 허혈(뇌졸중), 급성 관동맥 증후군, 신장 재관류 손상, 기관 이식, 관상동맥 우회술, 심폐우회술, 폐, 신장, 간, 위창자 또는 말초 사지 색전증과 같은 허혈-재관류 손상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심혈관 질환, 예컨대, 관상 동맥 질환(예를 들어,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 폐 동맥 고혈압, 뇌혈관 허혈(뇌졸중), 고혈압성 심장병,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 심근병증, 심방세동, 선천성 심장 질환, 심내막염, 대동맥 동맥류 또는 말초 동맥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특발폐섬유증, 폐섬유증, 낭성섬유증, 진행성 광범위 섬유증, 신장 섬유증, 간 섬유증, 간 경변증,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AFLD), 외상후 협착, 켈로이드 흉터 형성, 공피증(국소피부경화증(morphea) 및 전신 경화증 포함), 심장 섬유증, 심방 섬유증, 심내막심근 섬유증, 진구성 심근경색증, 관절섬유화, 뒤퓌트랑 구축, 종격, 골수섬유증, 페이로니병, 신성 전신 섬유증, 후복막 섬유증 및 유착관절낭염과 같은 섬유증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단순 포진 감염 및 재활성화, 입술 발진, 대상 포진 감염 및 재활성화, 수두, 띠헤르페스, 인간 파필로마 바이러스(HPV),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자궁 신생물, 급성 호흡기병을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우두 또는 천연두와 같은 폭스바이러스 감염, 또는 아프리카 돼지열 바이러스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피부 또는 자궁 상피의 HPV 감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잠재적 HIV 감염이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매우 다양한 골 질환, 예컨대, 골다공증, 골감소증, 골관절염 및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혈액 암(예컨대, 백혈병, 림프종 및 다발성 골수종), 상피 암(폐, 유방 또는 결장 암종을 포함), 정중선 암종, 또는 중간엽, 간, 신장 또는 신경학적 종양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뇌종양(신경 교종), 아교모세포종, 바나얀-조나나(Bannayan-Zonana) 증후군, 코웬(Cowden)병, 레미트-두크로스(Lhermitte-Duclos)병, 유방암, 염증성 유방암, 결장직장암, 윌름(Wilm) 종양, 유잉(Ewing) 육종, 횡문근 육종, 상의세포종, 수모세포종, 결장암, 두경부암, 신장암, 폐암, 간암, 흑색종, 편평 세포 암종,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육종암, 골육종, 뼈의 거대 세포 종양, 갑상선암, 림프아구성 T-세포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털세포 백혈병,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호중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아구성 T-세포 백혈병, 형질 세포종, 면역아세포 대세포 백혈병, 맨틀 세포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거대아구성(megakaryoblastic) 백혈병, 급성 거핵 세포성 백혈병, 전골수구성 백혈병, 혼합 계통 백혈병, 적백혈병, 악성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림프아구성 T-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난포 림프종, 신경 모세포종, 방광암, 요로상피세포암, 외음부암, 자궁 경부암, 자궁 내막암, 신장암, 중피종, 식도암, 타액선암, 간세포암, 위암, 비인두암, 구강암, 입암(cancer of the mouth), GIST(위장관 기질 종양), NUT-중심선 암종 및 고환암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암은 백혈병, 예를 들어, 급성 단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혼합 계통 백혈병(MLL)으로부터 선택된 백혈병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NUT-중심선 암종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다발성 골수종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폐암, 예컨대, 소세포 폐암(SCLC)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신경모세포종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버킷 림프종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자궁 경부암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식도암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난소암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유방암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결장직장암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전립선암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난치성 전립선암이다.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관련된 질병, 예컨대, 패혈증, 화상, 췌장염, 주요 외상, 출혈 및 허혈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급성 폐 손상, ARDS, 급성 신장, 간, 심장이나 위장 손상 및 사망의 발생을 포함하는 SIRS, 쇼크 발생, 다발성 장기 기능이상 증후군의 발병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단 시점에서 투여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패혈증, 출혈, 광범위한 조직 손상, SIRS 또는 MODS(다발성 장기 기능이상 증후군)의 고 위험과 관련된 외과적 또는 그 밖의 처치 전에 투여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은 패혈증, 패혈증 증후군, 패혈성 쇼크 및 내독소혈증(endotoxaemia)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의 치료를 위해 처방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브로모도메인은 화상의 치료를 위해 처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또는 이들의 독소로의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포함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허혈-재관류 손상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심혈관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섬유증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뼈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또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또는 이들의 독소로의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포함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허혈-재관류 손상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섬유증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암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한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또는 이들의 독소로의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포함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허혈-재관류 손상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섬유증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적합하게는,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이다.
본 발명은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을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대한 언급은 그러한 질병 또는 질환의 방지 또는 예방을 포함한다.
약제 조성물/투여 경로/투여량
조성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화학식(I)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미가공 화학물질로서 투여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활성 성분을 약제 조성물로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비필수적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기 전에 약제 조성물로 제형화될 것이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다. 부형제(들)은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이고, 이의 수혜자에 대해 유해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허용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또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주위 온도 및 대기압에서 혼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제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질환 중 어느 하나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약제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들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예를 들어, 85% 이상의 순도, 특히 98% 이상의 순도(중량 기준의 경우 중량 %)로 제공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약제 조성물은 단위 용량(unit dose) 당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위 용량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1일 용량 또는 서브 용량(sub-dose), 또는 이의 적절한 분획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따라서, 그러한 단위 용량은 1일 1회 초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조성물은 본원에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활성 성분의 1일 용량 또는 서브 용량(1일 1회 초과의 투여를 위해), 또는 이의 적절한 분획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약제 조성물은 어떠한 적절한 경로, 예를 들어, 경구(구강 또는 설하 포함), 직장, 흡입, 비강내, 국소(구강, 설하 또는 경피 포함), 안구(국소, 안구내, 결막하, 공막상, 또는 테논하(sub-Tenon) 포함), 질 또는 비경구(피하,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내 포함) 경로에 의한 투여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약학 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담체(들) 또는 부형제(들)와 회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양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추출될 수 있고, 이후 환자에게, 예컨대, 분말 또는 시럽으로 제공될 수 있는 벌크 형태로 제조되고 포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각각의 물리적으로 이산된 단위가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 형태로 제조되고 포장될 수 있다. 단위 투여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0.25 mg 내지 1 g, 또는 0.5 mg 내지 500 mg, 또는 1 mg 내지 100 mg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부형제들은 전형적으로 요망되는 투여 경로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것이다. 예를 들어, 투여 형태는 (1) 정제, 캡슐, 당의정, 환제, 트로키제, 분말, 시럽, 엘릭시르제, 현탁액, 용액, 에멀젼, 사세 및 카세트와 같은 경구 투여; (2) 멸균 용액, 현탁액 및 재구성용 분말과 같은 비경구 투여; (3) 경피 패치와 같은 경피 투여; (4) 좌약과 같은 직장 투여; (5) 에어로졸, 용액 및 건조 분말과 같은 흡입; 및 (6) 크림, 연고, 로션, 용액, 페이스트, 스프레이, 포움 및 겔과 같은 국소 투여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선택된 특정 투여 형태에 의거하여 다를 것이다. 또한,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조성물에 제공될 수 있는 특정 기능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균일한 투여 형태의 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능력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안정한 투여 형태의 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능력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대상체에 투여되면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한 기관, 또는 몸의 일부로부터 또 다른 기관 또는 몸의 일부로 운반 또는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능력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대상체 순응성을 증진시키는 능력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하기 유형의 부형제를 포함한다: 담체, 희석제,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활택제, 과립화제, 코팅제, 습윤제, 용매, 조용매, 현탁제, 에멀젼화제, 감미제, 향료, 향미 차단제, 착색제, 고결 방지제, 습윤제, 킬레이트제, 가소제, 점도 증가제, 항산화제, 방부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및 완충제. 당업자는 특정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하나 초과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부형제가 제형 내에 얼마나 많이 존재하고, 어떠한 다른 부형제가 제형에 존재하는 지에 따라 대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숙련된 기술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으로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당업계의 지식 및 기술을 보유한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기술하고 있고,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선택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숙련된 기술자가 이용할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있다. 예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The Handbook of Pharmaceutical Additives (Gower Publishing Limited), 및 The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t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the Pharmaceutical Pres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 및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부 방법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에 기술되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약제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 특히 정맥내 투여를 위해 구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약제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해 구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약제 조성물은 국소 투여를 위해 구성된다.
비경구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 조성물은 조성물이 의도된 수혜자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항산화제, 완충제, 세균발육저지제(bacteriostat) 및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 용액; 및 현탁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택액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단위 용량 또는 다회 용량 용기,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알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입을 위한 물의 첨가만이 요구되는 냉동-건조(동결건조)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 조성물은 개별 단위, 예컨대, 캡슐 또는 정제; 분말 또는 과립;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 식용 포움(foam) 또는 휘프(whip); 또는 수중유형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형 액체 에멀젼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의 경구 투여의 경우, 활성 약물 성분은 경구용 비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롤 및 물 등과 조합될 수 있다. 정제 또는 캡슐 내에 혼입시키기에 적합한 분말은 화합물을 적합한 미세 크기로 감소시키고(예를 들어, 마이크론화(micronisation)에 의해), 유사하게 제조된 약제학적 담체, 예컨대, 식용 탄수화물, 예를 들어, 전분 또는 만니톨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풍미제, 보존제, 분산제 및 착색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캡슐은 상기 기재된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고, 형성된 젤라틴 시스(sheath)를 충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활택제(glidant) 및 윤활제, 예컨대, 콜로이드 실리카,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고형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충전 작업 전에 분말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붕해제 또는 가용화제, 예컨대, 아가-아가, 칼슘 카르보네이트 또는 소듐 카르보네이트가 또한 캡슐이 섭취될 때 약제의 이용율(availability)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더구나, 요망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활택제, 윤활제, 감미제, 풍미제, 붕해제(붕괴제) 및 착색제가 또한 혼합물 내에 혼입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전분, 젤라틴, 천연 당, 예컨대,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스, 옥수수 감미료, 천연 및 합성 검, 예컨대, 아카시아, 트래거캔스 또는 소듐 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왁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투여 형태에 사용된 윤활제는 소듐 올레에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및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나이트 및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정제는, 예를 들어,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고, 과립화시키거나 슬러깅(slugging)시키고, 윤활제 및 붕해제를 첨가하고, 정제로 압착(pressing)시킴으로써 제형화된다. 분말 혼합물은 적합하게 빻아진(comminuted) 화합물을 상기 기재된 희석제 또는 염기와, 임의로, 결합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용해 지연제(retardant), 예컨대, 파라핀, 재흡수 촉진제(resorption accelerator), 예컨대, 4차 염 및/또는 흡수제, 예컨대, 벤토나이트, 카올린 또는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분말 혼합물은 결합제, 예컨대, 시럽, 전분 페이스트, 아카디아 점액질(acadia mucilage) 또는 셀룰로스 또는 폴리머 물질의 용액으로 습윤시키고, 스크린(screen)에 통과시킴으로써 과립화될 수 있다. 과립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분말 혼합물이 타정기를 통해 진행될 수 있고, 결과물은 과립으로 파쇄된 불완전하게 형성된 슬러그이다. 과립은 스테아르산, 스테아레이트 염, 탈크 또는 광유의 첨가에 의해 윤활되어 정제 형성 다이(die)에 고착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후, 윤활된 혼합물은 정제로 압착된다.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자유 유동 불활성 담체와 함께 조합되고, 과립화 또는 슬러깅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정제로 압착될 수 있다. 쉘락(shellac)의 실링 코팅제(sealing coat), 당 또는 폴리머 물질의 코팅 및 왁스의 폴리쉬 코팅(polish coating)으로 구성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보호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염료는 상이한 단위 투여량을 구별하기 위해 이러한 코팅에 첨가될 수 있다.
경구용 유체, 예컨대, 용액, 시럽 및 엘릭시르제(elixir)는 제시되는 양이 소정량의 화합물을 함유하도록 하는 투여 단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시럽은 적합하게 풍미가 가해진 수용액 중에 화합물을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지만, 엘릭시르제는 비독성 알콜 비히클의 사용을 통해 제조된다. 현택액은 비독성 비히클 중에 화합물을 분산시킴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가용화제 및 에멀젼화제, 예컨대,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및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보존제, 풍미 첨가제, 예컨대, 페퍼민트 오일 또는 천연 감미료 또는 사카린 또는 그 밖의 인공 감미료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치료 활성제의 방출을 지연하거나 달리 제어하기 위해 변형된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투여 단위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마이크로캡슐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어, 폴리머, 또는 왁스 등으로 미립 물질을 코팅 또는 임베딩시킴으로써 방출을 연장 또는 지속시키도록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하고/거나 경구 투여를 위해 구성되는 조성물의 경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마이크론화(micronisation)에 의해 얻어진 입도 감소된 형태일 수 있다. 입도 감소된(예를 들어, 마이크론화된) 화합물 또는 염의 바람직한 입도는 약 0.5 내지 약 10 마이크론의 D50 값(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경우)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리포솜 전달 시스템, 예컨대, 소형 단일박막 소포체(unilamellar vesicle), 대형 단일박막 소포체 및 다중박막 소포체(multilamellar vesicle)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리포솜은 다양한 인지질, 예컨대, 콜레스테롤, 스테아릴아민 또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국소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 조성물은 연고, 크림, 현탁액, 에멀젼, 로션, 분말, 용액, 페이스트, 겔, 포움, 스프레이, 에어로졸(aerosol) 또는 오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약제 조성물은 보존제, 약물 침투를 보조하기 위한 용매, 조용매, 연화제, 분사제, 점도 조절제(겔화제), 계면활성제 및 담체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또는 0.01 내지 1 중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눈 또는 그 밖의 외부 조직, 예를 들어, 입 및 피부의 치료를 위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국소용 연고, 크림, 겔, 스프레이 또는 포움으로서 적용된다. 연고로 제형화될 경우, 활성 성분은 파라핀 또는 수혼화성 연고 기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활성 성분은 수중유형 크림 기재 또는 유중수형 기재의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눈에 대한 국소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적합한 담체, 특히 수성 용매에 용해되어 있거나 현탁되어 있는 점안액을 포함한다. 눈에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은 안과적으로 상용가능한 pH 및 삼투질 농도(osmolality)를 가질 것이다. 산, 예컨대, 아세트산, 붕산, 시트르산, 락트산, 인산 및 염산; 염기, 예컨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소듐 포스페이트, 소듐 보레이트, 소듐 시트레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및 소듐 락테이트; 및 완충제, 예컨대, 시트레이트/덱스트로스,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과적으로 허용되는 pH 조절제 및/또는 완충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산, 염기, 및 완충제는 안과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pH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과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조성물의 삼투질 농도가 안과적으로 허용되는 범위가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염은 소듐, 포타슘 또는 암모늄 양이온 및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보레이트, 포스페이트, 바이카르보네이트, 설페이트, 티오설페이트 또는 바이설파이트 음이온을 지닌 것들을 포함한다.
안구 전달 장치는 다수의 규정된 방출 속도 및 지속된 투여 동력학 및 침투성을 지닌 하나 이상의 치료제의 제어 방출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제어 방출은 약물 확산, 침식, 용해 및 삼투를 증진시킬 폴리머 분자량, 폴리머 결정화도, 코폴리머 비, 가공 조건, 표면 피니쉬, 기하형태, 부형제 첨가 및 폴리머 코팅의, 생분해성/생부식성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퍼가수분해된(superhydrolyzed) PVA),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스(HPC), 메틸셀룰로스(MC),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HPMC), 폴리카프롤락톤,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다가무수물의 상이한 선택 및 특성을 포함하는 폴리머 매트릭스의 설계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안구 전달을 위한 약제 조성물은 동일계(in situ) 겔화가능한 수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눈 또는 눈물과의 접촉시 겔화를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농도로 겔화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겔화제는 열경화성 폴리머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동일계 겔화가능한"은 눈 또는 눈물과의 접촉시 겔을 형성하는 저 점도의 액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눈으로의 투여시 실질적으로 증가된 점도 또는 겔 강성을 나타내는 세미-유체(semi-fluid) 및 틱소트로프 겔(thixotropic gel)과 같은 보다 점성의 액체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구 약물 전달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머의 예에 대한 교시를 위해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Ludwig (2005) Adv. Drug Deliv. Rev. 3;57: 1595-639)을 참조한다.
코 또는 흡입 투여용 투여 형태는 에어로졸, 용액, 현탁액, 겔 또는 건조 분말로 편리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흡입 투여용으로 적합하고/거나 흡입 투여용으로 구성된 조성물의 경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마이크론화에 의해 얻어진 입도가 감소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도가 감소된(예를 들어, 마이크론화) 화합물 또는 염의 바람직한 입도는 약 0.5 내지 약 10 마이크론(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된 바와 같은)의 D50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흡입 투여용의 에어로졸 제형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수성 또는 비수성 용매 중의 활성 물질의 용액 또는 미세 현탁액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형은 밀봉된 용기에 무균 형태로 1회 또는 다회 투여량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것은 분무 장치(atomising device) 또는 흡입기(inhaler)로의 사용을 위해 카트리지(catridge) 또는 리필(refill)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밀봉된 용기는 용기의 내용물이 소진되면 폐기의 목적으로 계량 밸브(metering valve)(계량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가 장착된 1회 용량 코용 흡입기 또는 에어로졸 디스펜서와 같은 일원화 분배 장치(unitary dispensing device)일 수 있다.
투여 형태가 에어로졸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가압 하에 있는 적합한 분사제(propellant), 예컨대, 압축 공기, 이산화탄소 또는 유기 분사제, 예컨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을 함유한다. 적합한 HFC 분사제는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투여 형태는 또한 펌프-분무기(pump-atomiser)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은 활성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함유할 수 있다. 이것은 현탁 제형의 분산 특징 및 균질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추가 부형제, 예를 들어, 조용매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혼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용액 제형은 또한 에탄올과 같은 조용매의 첨가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흡입 투여용으로 적합하고/거나 흡입 투여용으로 구성된 약제 조성물의 경우, 약제 조성물은 건조 분말 흡입가능한 조성물일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분말 기재, 예컨대, 락토스, 글루코스, 트레할로스, 만니톨 또는 전분,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바람직하게는, 입도가 감소된 형태, 예를 들어, 마이크론화 형태), 및 임의로 성능 개질제, 예컨대, L-류신 또는 또 다른 아미노산 및/또는 스테아르산의 금속 염, 예컨대,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분말 흡입가능한 조성물은 락토스, 예를 들어, 락토스 모노하이드레이트와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건조 분말 블렌드(blend)를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GB 2242134 A호에 기재된 GlaxoSmithKline에 의해 판매되는 DISKUS® 장치와 같은 적합한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유체 디스펜서, 예를 들어, 유체 디스펜서의 펌프 메커니즘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의 적용시 유체 제형의 계량된 용량이 분배되는 디스펜싱 노즐 또는 디스펜싱 오리피스(orifice)를 갖는 유체 디스펜서로부터의 전달을 위해 유체 제형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유체 디스펜서에는 일반적으로 다회 계량된 용량의 유체 제형의 저장소가 제공되고, 용량은 순차적인 펌프 작동시 분배가능하다. 디스펜싱 노즐 또는 오리피스는 비강으로 유체 제형의 스프레이 분배를 위해 사용자의 콧구멍 내로의 삽입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유형의 유체 디스펜서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2005/044354 A1호에 기재되고 예시된다.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환자의 나이 및 체중, 치료를 요하는 정확한 질환 및 이의 중증도, 제형의 성질, 및 투여 경로를 포함하는 다수 인자에 좌우될 것이고, 최종적으로 주치의 또는 수의사의 재량에 좌우될 것이다. 약제 조성물에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각각의 투여 단위는 유리 염기로서 계산하여 0.01 mg 내지 3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g 내지 1000 mg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한 각각의 투여 단위는 유리 염기로서 계산하여, 0.001 mg 내지 5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mg 내지 5 mg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유리 염기로서 계산하여,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예를 들어, 일당 0.01 mg 내지 3000 mg, 일당 0.5 mg 내지 1000 mg 또는 일당 100 mg 내지 2500mg의 경구 또는 비경구 용량, 또는 일당 0.001 mg 내지 50 mg 또는 일당 0.01 내지 5 mg의 비강 또는 흡입 용량의 일일 용량(성인 환자에 대해)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양은 일당 단일 용량으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전체 일일 용량이 동일하도록 일당 소정 회수(예컨대, 2, 3, 4, 5 또는 6회)의 서브-용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의 염의 효과적인 양은 화학식(I)의 화합물 자체의 효과적인 양의 소정 비율로서 결정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병용 요법(combination therapy)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투여,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치료학적 활성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화학식(I)의 화합물(들)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다른 치료학적 활성제(들)는 단일 약제 조성물에 함께 또는 따로 투여될 수 있고, 따로 투여될 경우, 이것은 동시에 또는 어떠한 순서로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들)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다른 치료학적 활성제(들)의 양 및 상대적인 투여 타이밍은 요망되는 조합된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것이다. 따라서, 추가의 양태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학적 활성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합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그 밖의 치료제, 예를 들어,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무스카린성 길항제, 베타-2 효능제, 및 비타민 D3 유사체로부터 선택된 치료제를 포함하거나 그러한 치료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암 치료에 적합한 추가의 치료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추가의 치료제의 예는 문헌(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by V.T. Devita 및 S. Hellman (editors), 6th edition (2001),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ublishers)에 기술되어 있다. 당업자는 제제의 조합물이 약물의 특정 특징 및 관련된 암을 기반으로 하여 유용할 것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추가의 치료제는 미세소관 저해제(anti-microtubule agent)(예컨대, 디테르페노이드(diterpenoid) 및 빈카 알카로이드(vinca alkaloid)); 백금 배위 착물; 알킬화제(예컨대, 질소 머스타드, 옥사자포스포린, 알킬설포네이트, 니트로소우레아, 및 트리아젠); 항생제(예컨대, 안트라사이클린(anthracyclin), 악티노마이신(actinomycin) 및 블레오마이신(bleomycins)); 토포아이소머라제 II 억제제(예컨대, 에피포도필로톡신(epipodophyllotoxin)); 항대사물질(예컨대, 푸린 및 피리미딘 유사체 및 항-폴레이트 화합물); 토포아이소머라제 I 억제제(예컨대, 캄프토테신(camptothecin); 호르몬 및 호르몬 유사체); 신호 전달 경로 억제제(예컨대, 티로신 수용체 억제제);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혈관신생 억제제; 면역치료제(예를 들어, 니볼루맙(nivolumab) 및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을 포함하는 PD-1 억제제, 및 이필리무맙(ipilimumab)을 포함하는 CTLA-4 억제제); 프로아폽토틱제(proapoptotic agent); 후성적 또는 전사 조절제(예컨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 및 세포주기 신호전달 억제제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일반적으로 흡입, 정맥내, 경구 또는 비내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될 때, 형성되는 약제 조성물은 동일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르게는, 조성물의 개별 성분은 상이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치료 제제의 활성 및/또는 안정성 및/또는 물리적 특성, 예컨대, 용해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다른 치료 제제(들)는 경우에 따라 염의 형태,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또는 아민 염 또는 산 부가염, 또는 전구약물로서, 또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저급 알킬 에스테르로서, 또는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치료 제제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조합물은 약제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상기 명시된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가 양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합성 경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전에 정의된 어떠한 변수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이전에 정의된 의미를 가질 것이다. 예시적인 일반적 합성 방법은 하기 반응식에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실시예 부분에서 제조된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중 어느 하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20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고, Hal은 염소 또는 브롬이고, X는 H 또는 함께 결합하여 사이클릭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예를 들어, -C(Me)2C(Me)2-를 형성한다. R1이 메틸인 출발 피리딘 화합물(II)은,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된다.
상기 반응식 1에서 보여진 단계와 관련하여, 하기 반응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 Negishi 교차 커플링이고,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PdCl2(PPh3)2의 존재 하에, 임의로 대안적인 포스핀 리간드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TH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70℃에서 화학식 R4CH(R3)ZnHal의 벤질아연 할라이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 산-매개 에스테르 절단이고, 임의로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TFA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산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 아미드 커플링 반응이고, 적합한 3차 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DIPEA의 존재 하에, 적합한 아미드 커플링 반응물, 예를 들어, HATU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 또는 DM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아민 시약인 R2-NH2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 보호기, 예를 들어, BOC를 제거하기 위한 임의의 탈보호 단계이고,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 또는 1,4-디옥산의 존재 하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TFA 또는 HCl와 같은 산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5: 적합한 키랄 HPLC 컬럼 및 적합한 용매 시스템을 사용한 임의의 키랄 분리이다.
단계 6: 카르보닐화 반응이고, 3차 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바이나프틸]팔라듐(II) 클로라이드의 존재 하에, 임의로 대안적인 포스핀 리간드의 존재 하에, 일산화탄소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70℃에서 EtOH와 같은 알콜 시약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7: 환원이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예를 들어, 에탄올 및 2-MeTH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및 칼슘 클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 또는 시약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8: 염소화 반응이고,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의 존재 하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 시약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9: 교차-커플링 반응, 예를 들어, Suzuki 커플링이고, 적합한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PdCl2(PPh3)2의 존재 하에, 임의로 대안적인 포스핀 리간드의 존재 하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예를 들어, 1,4-디옥산 및 물의 존재 하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120℃에서 아릴보론산 또는 아릴보로네이트 에스테르, R4-B(OX)2와 같은 아릴금속 종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0: 산화이고,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Dess-Martin 퍼아이오디난과 같은 적합한 산화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1: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TH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0℃에서 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와 같은 적합한 Grignard 시약을 사용한 알데하이드에 Grignard 첨가이다.
반응식 2:
Figure pct00021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고, Hal은 염소 또는 브롬이고, X는 H 또는 함께 결합하여 사이클릭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예를 들어, -C(Me)2C(Me)2-를 형성한다. R1이 메틸이고 Hal이 염소인 출발 피리딘 화합물(II)은,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된다.
상기 반응식 2에서 보여진 단계와 관련하여, 하기 반응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 산-매개 에스테르 절단이고, 임의로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TFA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산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 아미드 커플링 반응이고, 적합한 3차 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DIPEA의 존재 하에, 적합한 아미드 커플링 반응물, 예를 들어, HATU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 또는 DM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아민 시약인 R2-NH2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 카르보닐화 반응이고, 임의로 친핵성 촉매, 예를 들어, DMAP의 존재 하에,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팔라듐 아세테이트의 존재 하에, 임의로 포스핀 리간드, 예를 들어, CataCXium A의 존재 하에, 카르보닐화 시약, 예를 들어,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임의로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80℃에서 아민 시약인 R1-NH2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 Negishi 교차 커플링이고,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PdCl2(PPh3)2의 존재 하에, 임의로 대안적인 포스핀 리간드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TH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70℃에서 화학식 R4CH(R3)ZnHal의 벤질아연 할라이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5: 보호기, 예를 들어, BOC를 제거하기 위한 임의의 탈보호 단계이고,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 또는 1,4-디옥산의 존재 하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TFA 또는 HCl와 같은 산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6: 적합한 키랄 HPLC 컬럼 및 적합한 용매 시스템을 사용한 임의의 키랄 분리이다.
단계 7: 카르보닐화 반응이고, 3차 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팔라듐(II) 아세테이트의 존재 하에, 임의로 포스핀 리간드, 예를 들어,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의 존재 하에, 일산화탄소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임의로 마이크로파 조사 하에, 90℃에서 EtOH와 같은 알콜 시약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8: 환원이고,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예를 들어, 에탄올 및 THF에서,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및 칼슘 클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 또는 시약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9: 염소화 반응이고,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CM의 존재 하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실온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 시약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0: 교차-커플링 반응, 예를 들어, Suzuki 커플링이고, 적합한 팔라듐 촉매, 예를 들어, PdCl2(PPh3)2의 존재 하에, 임의로 대안적인 포스핀 리간드의 존재 하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예를 들어, 1,4-디옥산 및 물의 존재 하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120℃에서 아릴보론산 또는 아릴보로네이트 에스테르, R4-B(OX)2와 같은 아릴금속 종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경로 중 어느 하나에서, 여러 기 및 모이어티가 분자에 도입되는 합성 단계의 정확한 순서는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공정의 한 단계에 도입된 기 또는 모이어티가 후속하는 변형 및 반응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하고, 이에 따라 합성 단계의 순서를 선택하는 것은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된 특정 중간체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방법
일반적인 실험 세부사항
표시되는 모든 온도는 ℃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이들 공정, 반응식 및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호 및 관례는 현대 과학 문헌(예를 들어,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일치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출발 물질은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입수되었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특히, 하기 약어는 실시예에서, 그리고 명세서 전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약어
ACD Advanced Chemistry Development, Inc.
AMU 원자 질량 단위
BOC/Boc 터트-부틸옥시카르보닐
cart 카트리지
cat 촉매
CataCXium A 디(1-아다만틸)-n-부틸포스핀
CSH Water's Charged Surface Hybrid Technology
Cobalt carbonyl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CV 컬럼 부피
DCM 디클로로메탄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d6 중수소화 디메틸설폭사이드
dppf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dppp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h 시간(들)
HA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IPA 이소프로필 알콜
Isolera Biotage® 플래쉬 정제 시스템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
LiHMDS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지드
M 몰(농도)
MDAP 질량 유도 자동분취용 크로마토그래피
MeI 아이오도메탄
2-MeTHF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min 분(들)
MS 질량 분석기
Ms 메실레이트 기 또는 메탄설포닐 기
Ms-Cl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MTBE 메틸 터트-부틸 에테르
N 노말(농도)
NBS N-브로모석신이미드
NMR 핵 자기 공명
NUT 고환의 핵 단백질
obs 모호함
Pd/C 탄소상 팔라듐
RBF 둥근 바닥 플라스크
Rt 체류 시간
rt 실온
sat 포화된
SCX Isolute 강력 양이온 교환 흡수성 SPE
sec 초
SiO2 실리콘 디옥사이드
SNAP Biotage®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카트리지
SP4 Biotage® 플래쉬 정제 시스템
SPE 고체상 추출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MSCl/TMS-Cl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s 토실
T3P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UPLC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UV 자외선
wt 중량
하기 화합물의 명칭은 화합물 명명 프로그램 "ACD Name Pro 6.02"을 사용하거나 ChemDraw Ultra 12.0의 명명 기능을 사용하여 얻어졌다.
LCMS 방법
포름산(Formic) 방법
LC 조건
UPLC 분석을 40℃에서 Acquity UPLC CSH C18 컬럼(50 mm x 2.1 mm, i.d. 1.7 ㎛ 패킹 직경)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다음과 같았다:
A = 물 중 0.1% v/v 포름산 용액
B = 아세토니트릴 중 0.1% v/v 포름산 용액
사용된 구배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pct00022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 합산된 신호였다.
MS 조건
MS: Waters ZQ
이온화 모드 : 대체-스캔 양성 및 음성 전기분무
스캔 범위: 100 내지 1000 AMU
스캔 시간: 0.27초
스캔 간 지연: 0.10초
높은 pH 방법
LC 조건
UPLC 분석을 40℃에서 Acquity UPLC CSH C18 컬럼(50 mm x 2.1 mm, i.d. 1.7 ㎛ 패킹 직경)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다음과 같았다:
A = 암모니아 용액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된 물 중 10 mM 암모늄 하이드로겐 카르보네이트
B = 아세토니트릴
사용된 구배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pct00023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 합산된 신호였다.
MS 조건
MS: Waters ZQ
이온화 모드: 대체-스캔 양성 및 음성 전기분무
스캔 범위: 100 내지 1000 AMU
스캔 시간: 0.27초
스캔 간 지연: 0.10초
TFA 방법
LC 조건
UPLC 분석을 40℃에서 Acquity UPLC CSH C18 컬럼(50 mm x 2.1 mm, i.d. 1.7 ㎛ 패킹 직경)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다음과 같았다:
A = 물 중 0.1% 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
B = 아세토니트릴 중 0.1% 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
사용된 구배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pct00024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 합산된 신호였다.
MS 조건
MS: Waters ZQ
이온화 모드: 대체-스캔 양성 및 음성 전기분무
스캔 범위: 100 내지 1000 AMU
스캔 시간: 0.27초
스캔 간 지연: 0.10초
일반적인 MDAP 정제 방법
하기에 열거된 것은 화합물 정제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될 수 있는 질량 유도 자동분취용 크로마토그래피(MDAP) 방법의 예이다.
MDAP(높은 pH). 15분 또는 25분에 걸쳐 0 내지 100% 용매 B의 용리 구배를 사용하여, 암모니아 용액에 의해 pH 10으로 조정된 물 중 10 mM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용매 A) 및 아세토니트릴(용매 B)로 용리되는, Xselect CSH C18 컬럼(150 mm x 30 mm i.d. 5 ㎛ 패킹 직경) 상에서 HPLC 분석을 주위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의 평균 신호였다. 질량 스펙트럼은 대체-스캔 양성 및 음성 전기분무를 사용하여 Waters ZQ 질량 분광계로 기록하였다. 이온화 데이터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였다.
MDAP(포름산). 15분 또는 25분에 걸쳐 0 내지 100% 용매 B의 용리 구배를 사용하여, 물 중 0.1% 포름산(용매 A) 및 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용매 B)으로 용리되는, Xselect CSH C18 컬럼(150 mm x 30 mm i.d. 5 ㎛ 패킹 직경) 상에서 HPLC 분석을 주위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의 평균 신호였다. 질량 스펙트럼은 대체-스캔 양성 및 음성 전기분무를 사용하여 Waters ZQ 질량 분광계로 기록하였다. 이온화 데이터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였다.
MDAP(TFA). 15분 또는 25분에 걸쳐 0 내지 100% 용매 B의 용리 구배를 사용하여, 물 중 0.1% 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용매 A) 및 아세토니트릴 중 0.1% 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용매 B)으로 용리되는, Xselect CSH C18 컬럼(150 mm x 30 mm i.d. 5 ㎛ 패킹 직경) 상에서 HPLC 분석을 주위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의 평균 신호였다. 질량 스펙트럼은 대체-스캔 양성 및 음성 전기분무를 사용하여 Waters ZQ 질량 분광계로 기록하였다. 이온화 데이터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302 K에서 400 MHz 또는 600 MHz NMR 기계에서 실행되었다.
중간체:
중간체 1: 터트-부틸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25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200 mg, 1.998 mmol, 예를 들어, Enamine으로부터 시판됨) 및 트리에틸아민(0.9 mL, 6.46 mmol)을 터트-부탄올(4 mL)에 용해시켰다. 디페닐 포스포릴아지드(0.47 mL, 2.181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90℃에서 가열시켰다. 반응 뒤에 TLC가 따라왔다(5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켜, 닌하이드린으로 가시화). 2시간 후, TLC는 잔류 SM 뿐만 아니라 덜 극성인 생성물의 형성을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EtOAc(10 mL)와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1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고,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1.08 g의 황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Biotage® SNAP 25 g 카트리지,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223 mg, 1.172 mmol, 58.7% 수율)를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2.05 - 2.14 (m, 1 H) 1.43 (br. s., 9 H) 1.04 (d, J=5.9 Hz, 3 H) 0.78 (m, J=8.9, 6.0, 6.0, 3.1 Hz, 1 H) 0.59 (dt, J=8.9, 4.3 Hz, 1 H) 0.39 (q, J=6.0 Hz, 1 H).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2: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26
터트-부틸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215 mg, 1.256 mmol)를 디옥산 중 4 M HCl(16 mL, 64.0 mmol)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뒤에 TLC가 따라왔다(50:50 EtOAc:사이클로헥산, 닌하이드린으로 가시화). 30분 후, 용액을 농축시켜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1 mg, 1.123 mmol, 89%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8.27 (br. s., 3 H) 2.25 (br. s., 1 H) 1.06 - 1.18 (m, 1 H) 0.99 (d, J=6.1 Hz, 3 H) 0.85 (ddd, J=9.4, 5.6, 3.8 Hz, 1 H) 0.48 (dt, J=7.5, 5.9 Hz, 1 H).
중간체 3: (±)-터트-부틸 3,3-디플루오로-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7
THF(50 mL) 중 (±)-2-(1-(터트-부톡시카르보닐)-3,3-디플루오로피페리딘-4-일)아세트산(1.99 g, 7.13 mmol, 예를 들어, Activate Scientific으로부터 시판됨)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5 mL 분취량) BH3·THF(THF 중 1.0 M, 29.0 mL, 29.0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N2 하에 15.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MeOH(50 m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추가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50 mL)와 물(5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포화된 염수 수용액(10 mL)을 첨가하여 상 분리를 돕고, 상들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추가 EtOAc(3 x 40 mL)로 추출하고, 합친 유기 추출물을 소수성 프릿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통해 통과시킴에 의해 건조시키고, 용매를 N2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담황색 점성 오일을 제공하였다; (±)-터트-부틸 3,3-디플루오로-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942 g, 7.32 mmol, 103% 수율).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4.50 (t, J=5.5Hz, 1 H) 4.06 (br s, 1H) 3.89 (br d, 1 H) 3.38 - 3.54 (m, 2 H) 3.18 (br s, 1 H) 2.87 (br s, 1 H) 2.02 - 2.19 (m, 1 H) 1.79 - 1.87 (m, 2 H) 1.40 (s, 9 H) 1.19 - 1.34 (m, 2 H).
중간체 4: (±)-터트-부틸 3,3-디플루오로-4-(2-((메틸설포닐)옥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8
(±)-터트-부틸 3,3-디플루오로-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884 g, 7.10 mmol)를 DCM(60 mL)에 용해시키고, Et3N(1.48 mL, 10.62 mmol) 및 Ms-Cl(0.719 mL, 9.23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75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물(100 mL)로 세척하고, 수성상을 DCM(2 x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통해 통과시킴에 의해 이들을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투명한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를 결정화시켜 백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터트-부틸 3,3-디플루오로-4-(2-((메틸설포닐)옥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2.467 g, 7.18 mmol, 101% 수율).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4.23 - 4.33 (m, 2 H) 4.09 (br s, 1 H) 3.91 (br d, 1 H) 3.21 (br s, 1 H) 3.19 (s, 3 H) 2.89 (br s, 1 H) 2.02 - 2.23 (m, 2 H) 1.85 (br dt, 1 H) 1.56 - 1.66 (m, 1 H) 1.40 (s, 9 H) 1.24 - 1.38 (m, 1 H).
중간체 5: (±)-터트-부틸 4-(2-아지도에틸)-3,3-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9
(±)-터트-부틸 3,3-디플루오로-4-(2-((메틸설포닐)옥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332 g, 3.88 mmol)를 DMF(10 mL)에 용해시키고, 소듐 아지드(301.5 mg, 4.6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 하에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 혼합물을 1M Na2CO3 수용액(50 mL)으로 희석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였다[분리에서 3개의 상이 관찰되었고, EtOAc 추출물의 밀도가 가장 낮았으며; 이차 및 삼차 추출에서 고체 밖으로 약간의 염분생성이 하부 상에서 발생하였고 이를 돕기 위해 물(약 10 mL)이 첨가되었음을 주목한다]. 합친 유기물을 물(2 x 40 mL)로 세척한 다음[이차 물 세척으로 층의 에멀젼화가 일어났고, 상 분리를 돕기 위해 포화된 염수 용액(약 10 mL)이 첨가되었음을 주목한다],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약 0.33 당량의 DMF를 함유하는 (±)-터트-부틸 4-(2-아지도에틸)-3,3-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23 g, 4.24 mmol, 109% 수율).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4.08 (br s, 1 H) 3.89 (br d, 1 H) 3.36 - 3.53 (m, 2 H) 3.19 (br s, 1 H) 2.88 (br s, 1 H) 2.01 - 2.17 (m, 1 H) 1.79 - 1.94 (m, 2 H) 1.42 - 1.51 (m, 1 H) 1.40 (s, 9 H) 1.22 - 1.33 (m, 1 H).
중간체 6: (±)-터트-부틸 4-(2-아미노에틸)-3,3-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0
EtOAc(50 mL) 중 (±)-터트-부틸 4-(2-아지도에틸)-3,3-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1.22 g, 4.20 mmol)의 용액을 10% Pd/C 촉매 카트리지 상에서 Thales 'H-Cube' 흐름 장치를 사용하여 완전 수소 모드로 20℃에서 수소화시켰다. 용매를 수집된 용액으로부터 진공에서 증발시켜 무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은 NMR 분석에 의해 출발 아지드 대 생성물 아민의 6:5 혼합물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잔류물을 EtOH(50 mL)에 재용해시키고, 10% Pd/C 촉매 카트리지 상에서 Thales 'H-Cube' 흐름 장치를 사용하여 완전 수소 모드로 다시 수소화시켰고, 단, 이번에는 40℃였다. 용매를 수집된 용액으로부터 진공에서 증발시켜 무색 오일(982.1 mg)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4.06 (br s, 1 H) 3.88 (br d, 1 H) 3.16 (br s, 1 H) 2.86 (br s, 1 H) 2.50 - 2.68 (m, 2 H) 2.00 - 2.14 (m, 1 H) 1.66 - 1.82 (m, 2 H) 1.40 (s, 9 H) 1.17 - 1.29 (m, 2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7: 2-((1S,2S)-2-(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
Figure pct00031
(+/-)-((트랜스)-2-아미노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10 g, 115 mmol, 예를 들어, Enamine으로부터 시판됨)을 톨루엔(156 mL)에 용해시키고, 프탈산 무수물(22 g, 149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10℃에서 N2 하에 가열시켰다. 반응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용액을 EtOAc(50 mL)와 물(5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염수(60 mL)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4.0 g의 검정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750 g, 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26 g의 무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750 g, 10-60% DCM/디에틸 에테르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19.5 g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디에틸 에테르(600 mL)에 현탁시키고, 진공 하에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2-((트랜스)-2-(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16.4 g, 48.5 mmol, 42.3%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4 min, [MH]+에 대해 m/z = 218.2
(+/-)-2-((트랜스)-2-(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16.4 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100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2.5 mL의 용액을 컬럼(50% EtOH/헵탄,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AD-H(5 μm))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40회. 12-14.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9.5-26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최종 화합물을 DCM 및 헵탄으로부터 회수하여 고체를 얻었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2-((1S,2S)-2-(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 중간체 7(5.74 g)을 수득하였다.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거울상이성질체 생성물(7.24 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8: ((1S,2S)-2-아미노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32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0.466 mL, 9.65 mmol, 65중량%)를 에탄올(46 mL) 중 2-((1S,2S)-2-(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2000 mg, 9.21 mmol)의 현탁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로 N2 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진공 하에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HCl(디옥산 중 4M, 57.5 mL, 230 mmol)로 산성화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순차적인 용매: 메탄올에 이어 2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설폰산(SCX) 20 g 상에서 SPE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HCl(디옥산 중 4M, 6 mL, 24.00 mmol)로 산성화시킨 후, 진공에서 증발시켜 백색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염 형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않았다는 우려에 대해, 잔류물을 에탄올(30 mL)에 취하고, 수성 2M HCl(10 mL)로 처리하고, 진공에서 한번 더 증발시켜 백색 슬러리(1540 mg)를 수득하였다.
샘플을 진공에서 3일 동안 건조시켜 백색 페이스트 ((1S,2S)-2-아미노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35 mg, 6.70 mmol, 72.8% 수율)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8.40 (br. s., 3 H) 4.07 - 6.59 (obs., 1 H) 3.36 (dd, J=11.2, 5.9 Hz, 1 H) 3.27 (dd, J=10.8, 5.9 Hz, 1 H) 2.37 (dsxt, J=7.9, 4.2, 4.2, 4.2, 4.2, 4.2 Hz, 1 H) 1.34 - 1.46 (m, 1 H) 0.88 (ddd, J=9.7, 5.6, 4.0 Hz, 1 H) 0.65 (dt, J=7.6, 6.0 Hz, 1 H)
중간체 9: 벤질 4-브로모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3
DCM(10 mL) 중 4-브로모인돌린(300 mg, 1.515 mmol, 예를 들어, Fluorochem으로부터 시판됨)의 용액에 피리딘(0.245 mL, 3.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벤질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0.281 mL, 1.96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벤질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0.281 mL, 1.969 mmol) 및 피리딘(0.245 mL, 3.03 mmol)을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M HCl을 용액에 첨가한 다음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SiO2(Biotage® SNAP 10 g, 0-3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벤질 4-브로모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456 mg, 1.235 mmol, 82% 수율)를 백색/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45 min, [MH]+ 332.1.
중간체 10: 벤질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4
디옥산 중 벤질 4-브로모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442 mg, 1.331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405 mg, 1.597 mmol) 및 포타슘 아세테이트(392 mg, 3.9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PdCl2(dppf)-CH2Cl2부가물(109 mg, 0.13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로 퍼징시키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수득된 잔류물을 10 mL의 EtOAc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한 다음, 10 mL의 물을 액체에 첨가하고, 유기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35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건조시킨 다음 농축시켜 벤질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592.7 mg, 1.250 mmol, 94% 수율, 약 80% 순도)를 검정색 고체로서 제공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56 min, [MH]+ 380.3.
중간체 11: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2-온
Figure pct00035
디옥산 중 4-브로모인돌린-2-온(100 mg, 0.472 mmol, 예를 들어, Fluorochem으로부터 시판됨),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144 mg, 0.566 mmol) 및 포타슘 아세테이트(139 mg, 1.41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PdCl2(dppf)-CH2Cl2부가물(38.5 mg, 0.04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로 퍼징시키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35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2-온(554 mg, 0.428 mmol, 91% 수율, 약 23% 순도)을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다음 반응에 미정제 상태로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2분, [MH]+ 260.2.
중간체 12: 2,6-디브로모-N-사이클로부틸이소니코틴아미드
Figure pct00036
HATU(3.25 g, 8.54 mmol), 사이클로부탄아민(0.506 g, 7.12 mmol) 및 Et3N(1.191 mL, 8.54 mmol)을 DCM(20 mL) 중 2,6-디브로모이소니코틴산(2 g, 7.12 mmol, 예를 들어, Fluorochem으로부터 시판됨)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물(2 x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DCM(10 mL)에 용해시키고, 50 g 실리카 컬럼 위에 로딩시킨 다음,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2,6-디브로모-N-사이클로부틸이소니코틴아미드(2.10 g, 6.29 mmol, 88% 수율)를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10 min, [MH]+ = 335.1.
중간체 13: 6-브로모-N 4 -사이클로부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037
2,6-디브로모-N-사이클로부틸이소니코틴아미드(0.11 g, 0.329 mmol), 코발트 카르보닐(0.028 g, 0.082 mmol), 메탄아민(THF 중 2M, 0.329 ml, 0.659 mmol), DMAP(0.080 g, 0.659 mmol), 팔라듐 아세테이트(3.70 mg, 0.016 mmol) 및 CataCXium A(5.90 mg, 0.016 mmol)를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치고, 이것을 밀봉하고, 질소로 퍼징시킨 다음, 1,4-디옥산(3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추가 3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CM(3 mL)에 용해시키고, 25 g 실리카 컬럼 위에 로딩시킨 다음, 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6-브로모-N4-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38 mg, 0.442 mmol, 36.0% 수율)를 담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7 min, [MH]+ = 312.1, 314.2.
중간체 14: 터트-부틸 2-브로모-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38
6-브로모-4-(터트-부톡시카르보닐)피콜린산(2.03 g, 5.71 mmol,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됨)을 DCM(18 mL)에 현탁시키고, 옥살릴 클로라이드(1 mL, 11.42 mmol)에 이어 DMF(0.03 mL, 0.38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적색/갈색 오일을 제공하고, 이것을 THF(18 mL)에 현탁시키고, 메틸아민(THF 중 2M, 4.28 mL, 8.57 mmol)을 적가하였다. 2시간 후, 메틸아민(THF 중 2M, 5.7 mL, 11.40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제공하고, 이것을 EtOAc(30 mL)와 물(3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고, 염수(20 mL)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2.1 g의 짙은 오렌지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0 g, 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브로모-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25 g, 2.97 mmol, 52.1% 수율)를 오렌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15 min, [MH]+ = 315.1, 317.0.
중간체 15: 2-브로모-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39
터트-부틸 2-브로모-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667 mg, 2.116 mmol)를 DCM(12 mL)에 용해시키고, TFA(3 mL, 38.9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켜 2-브로모-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648 mg, 2.126 mmol, 100% 수율, 약 80% 순도)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합성에 미정제 상태로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5 min, [MH]+ = 259.3, 261.3.
중간체 16: 6-브로모-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040
2-브로모-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648 mg, 2.501 mmol), HATU(1422 mg, 3.74 mmol), DIPEA(1.311 mL, 7.50 mmol),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183 mg, 2.57 mmol) 및 DMF(10 mL)를 실온에서 N2 하에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EtOAc(20 mL)와 포화된 LiCl 수용액(2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고, 염수(2 x 20 mL)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2.08 g의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0 g, 1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6-브로모-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64 mg, 1.338 mmol, 53.5% 수율)를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3 min, [MH]+ = 312.3, 314.3.
중간체 17: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41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피난 2,4,6-트리옥사이드(40.7 g, 64.0 mmol)를 DCM(100 mL) 중 4-(터트-부톡시카르보닐)-6-클로로피콜린산(15 g, 58.2 mmol,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됨) 및 Et3N(16.23 mL, 116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메탄아민(THF 중 2M, 38.8 mL, 78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물(100 mL) 및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CM에 용해시키고, 340 g의 실리카 컬럼 위에 로딩시킨 다음, 0-4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6.9 g, 25.5 mmol, 43.8% 수율)를 담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은 정치시 결정화되었다.
LCMS (2분 고 pH): Rt = 1.16 min, [MH]+ = 271.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5 (d, J=1.2 Hz, 1 H) 7.95 (d, J=1.2 Hz, 1 H) 7.79 (br. s, 1 H) 3.05 (d, J=4.9 Hz, 3 H) 1.61 (s, 9 H)
중간체 18: 4-터트-부틸 2-에틸 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4-디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2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2 g, 15.51 mmol)를 DMF(50 mL) 및 에탄올(50 mL)의 혼합물에 용해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4.71 g, 46.5 mmol) 및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바이나프틸]팔라듐(II) 클로라이드(0.621 g, 0.77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일산화탄소로 퍼징시킨 다음, 밀봉하고, 일산화탄소가 가득 찬 풍선을 장착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주말 동안 가열시킨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100 mL)과 EtOAc(10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물(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짙은 갈색 잔류물을 100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4-터트-부틸 2-에틸 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4-디카르복실레이트(4.2 g, 13.62 mmol, 88% 수율)를 담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11 min, [MH]+ = 309.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80 (d, J=1.5 Hz, 1 H) 8.67 (d, J=1.7 Hz, 1 H) 8.08 (br. d, J=3.4 Hz, 1 H) 4.50 (q, J=7.1 Hz, 2 H) 3.08 (d, J=5.1 Hz, 3 H) 1.63 (s, 9 H) 1.46 (t, J=7.1 Hz, 3 H)
중간체 19: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43
칼슘 클로라이드(4.54 g, 40.9 mmol)를 에탄올(50 mL) 및 2-MeTHF(50.0 mL)의 혼합물 중 4-터트-부틸 2-에틸 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4-디카르복실레이트(4.2 g, 13.62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한 다음, 소듐 테트라하이드로보레이트(0.773 g, 20.43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적색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밤새 정치시킨 다음, 얼음 조에서 냉각하고,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100 mL)을 20분 동안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2 x 150 mL)로 추출한 다음, 유기물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2 g, 8.26 mmol, 60.6% 수율)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4 min, [MH]+ = 267.3.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9 - 8.58 (m, 1 H) 7.90 - 8.02 (m, 2 H) 4.87 (s, 2 H) 3.05 (d, J=5.1 Hz, 3 H) 1.61 (s, 9 H). 하나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20: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44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5 g, 5.63 mmol)를 DCM(5 mL)에 용해시키고, 아황산 디클로라이드(1.257 mL, 16.9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혼합물을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의 첨가에 의해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35 g, 4.74 mmol, 84% 수율)를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13 min, [MH]+ = 285.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9 (d, J=1.2 Hz, 1 H) 8.11 (d, J=1.2 Hz, 1 H) 7.95 (br. s., 1 H) 4.72 (s, 2 H) 3.07 (d, J=5.1 Hz, 3 H) 1.62 (s, 9 H)
중간체 21: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45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43mg, 2.039 mmol)를 DCM(5 mL)에 용해시켰다. Dess-Martin 퍼아이오디난(1009 mg, 2.38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티오설페이트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NaHCO3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상을 DCM으로 3회 추출하고, 합친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SiO2(Biotage® SNAP 10 g, 0-5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01 mg, 1.706 mmol, 84%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7 min, [MH]+ = 265.3.
1H NMR (400 MHz, CDCl3) δ ppm 10.14 (s, 1 H) 8.88 (d, J=1.5 Hz, 1 H) 8.55 (d, J=1.5 Hz, 1 H) 8.00 (br. s., 1 H) 3.12 (d, J=4.9 Hz, 3 H) 1.62 - 1.66 (m, 9 H)
중간체 22: 6-브로모-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046
2-브로모-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00 mg, 1.544 mmol), HATU(880 mg, 2.314 mmol), DIPEA(0.81 mL, 4.64 mmol), 사이클로프로판아민(0.21 mL, 3.03 mmol) 및 DMF(5 mL)를 실온에서 N2 하에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EtOAc(20 mL)와 포화된 LiCl 수용액(2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고, 염수(2 x 20 mL)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1.04 g의 오렌지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0 g, 1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6-브로모-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20 mg, 0.966 mmol, 62.6% 수율)를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2분, [MH]+ = 298.0, 300.0.
중간체 23: 에틸 4-(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6-(메틸카르바모일)피콜리네이트
Figure pct00047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DMF(7.25 mL) 중 6-브로모-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16 mg, 0.725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4 mL, 2.87 mmol), 팔라듐(II) 아세테이트(28 mg, 0.125 mmol), dppp(47 mg, 0.114 mmol) 및 에탄올(0.72 mL, 12.3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CO로 퍼징시키고, 90℃에서 마이크로파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마이크로파 바이알을 CO로 퍼징시키고, 90℃에서 마이크로파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바이알을 1.5시간 동안 90℃에서 가열하였다.
별도로, DMF(0.56 mL) 중 6-브로모-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0 mg, 0.168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1 mL, 0.717 mmol), 팔라듐(II) 아세테이트(7 mg, 0.031 mmol), dppp(12 mg, 0.029 mmol) 및 에탄올(0.17 mL, 2.9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CO로 퍼징시키고, CO의 풍선이 있는 격막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70℃에서 2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 트리에틸아민(0.094 mL, 0.671 mmol), 팔라듐(II) 아세테이트(7.53 mg, 0.034 mmol), 에탄올(0.166 mL, 2.85 mmol), dppp(11.76 mg, 0.029 mmol) 및 DMF(0.560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CO로 퍼징하고, CO의 풍선을 장착하고, 반응물을 7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별도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DMF(2 mL) 중 6-브로모-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0 mg, 0.168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1 mL, 0.717 mmol), 팔라듐(II) 아세테이트(8 mg, 0.036 mmol), dppp(14 mg, 0.034 mmol) 및 에탄올(0.17 mL, 2.9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CO로 퍼징시키고, 100℃에서 마이크로파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바이알을 CO로 다시 퍼징시키고, 9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3개의 반응에 대한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합치고, EtOAc(10 mL)와 포화된 LiCl 수용액(1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고, 염수(2 x 20 mL)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470 mg의 오렌지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50 g, 0-100% (에틸 아세테이트 중 25% 에탄올)/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에틸 4-(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6-(메틸카르바모일)피콜리네이트(158 mg, 0.461 mmol)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0 min, [MH]+ = 292.4.
중간체 24: N 4 -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048
에틸 4-(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6-(메틸카르바모일)피콜리네이트(80 mg, 0.275 mmol)를 에탄올(3 mL) 및 THF(1.5 mL)에 용해시켰다. 칼슘 클로라이드(67 mg, 0.60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얼음 조에서 0℃로 냉각하고,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10.39 mg, 0.275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포화된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2 M HCl 용액에 의해 pH 2로 산성화시켰다. 이것을 추가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78 mg, 0.266 mmol, 9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48 min, [MH]+ = 250.5.
중간체 25: 6-(클로로메틸)-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049
N4-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78 mg, 0.313 mmol)를 DCM(2 mL)에 용해시키고, 티오닐 클로라이드(0.07 mL, 0.959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티오닐 클로라이드(0.05 mL, 0.685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켜 6-(클로로메틸)-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6 mg, 0.222 mmol, 70.9% 수율)를 크림색 고체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0 min, [MH]+ = 268.4.
중간체 26: 터트-부틸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50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 g, 18.47 mmol,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됨) 및 PdCl2(PPh3)2(1.296 g, 1.847 mmol)를 THF(50 mL)에 용해시키고, 벤질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M, 55.4 mL, 27.7 mmol)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터트-부틸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7 g, 17.46 mmol, 95% 수율)를 짙은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30 min, [MH]+ = 327.3.
중간체 27: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51
터트-부틸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5 g, 7.66 mmol)를 DCM(30 mL)에 용해시킨 다음, TFA(10 mL, 13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검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DCM(100 mL)에 용해시키고, 물(100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0 g, 7.40 mmol, 97%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63 min, [MH]+ = 271.3.
중간체 28: 터트-부틸 2-(2-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52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 mg, 0.369 mmol), (2-플루오로벤질)아연(II) 클로라이드(THF 중 0.5M, 1.25 mL, 0.625 mmol), PdCl2(PPh3)2(39 mg, 0.056 mmol) 및 THF(0.5 mL)를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농축시켜 453 mg의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2-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86.5 mg, 0.226 mmol, 61.2%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9 min, [MH]+ = 345.1.
중간체 29: 2-(2-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53
DCM(1 mL) 중 터트-부틸 2-(2-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86.5 mg, 0.251 mmol)의 용액에 TFA(0.68 mL, 8.8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2-(2-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90.5 mg, 0.251 mmol, 100% 수율, 약 80% 순도)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은 후속 화학에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5 min, [MH]+ = 289.0.
중간체 30: 터트-부틸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54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5 g, 5.54 mmol)를 THF(20 mL)에 용해시키고,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비스트리페닐포스핀(0.389 g, 0.55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에 5분 동안 질소를 살포한 다음, (3-메톡시벤질)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M, 20 mL, 10.0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EtOAc(100 mL)로 희석하고, 물(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50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65 g, 4.63 mmol, 84% 수율)를 짙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29 min, [MH]+ = 357.3.
중간체 31: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55
터트-부틸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5 g, 7.01 mmol)를 DCM(30 mL)에 용해시킨 다음, TFA(10 mL, 13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CM(50 mL)에 용해시키고, 물(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8 g, 5.99 mmol, 85%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64 min, [MH]+ = 301.2.
중간체 32: 2-(3-하이드록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56
DCM(3 mL) 중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00 mg, 0.333 mmol)의 현탁액을 0℃로 N2 하에 냉각시키고, BBr3(DCM 중 1M, 1.665 mL, 1.665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물(1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 추출물을 포화된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09 mg)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6 min, [MH]+ = 287.1.
중간체 33: (S)-2-하이드록시프로필 2-(3-((S)-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57
2-(3-하이드록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4 mg, 0.189 mmol), (S)-2-메틸옥시란(0.066 mL, 0.943 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184 mg, 0.566 mmol)의 혼합물을 DMF(2 mL)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150℃에서 30분 동안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가열하였다. (S)-2-(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을 함유하는 미정제 용액을 100% 수율로 가정하여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DMF(2 mL) 중 (S)-2-(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65 mg, 0.189 mmol)에 HATU(108 mg, 0.283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52 mL, 0.753 mmol) 및 DIPEA(0.132 ml, 0.75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공기 중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13%의 출발 카르복실산 및 11%의 표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잡한 화합물을 보여주며, 이는 요망되는 아미드 커플링보다는 산 개방 잔류 (S)-2-메틸옥시란과 일치한다. 반응 혼합물을 o/n 교반되게 두었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약 pH 3으로 산성화하고,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농축시켜 불순한 (S)-2-하이드록시프로필 2-(3-((S)-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26 mg)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후속 에스테르 가수분해 단계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2분, [MH]+ = 403.2.
중간체 34: (S)-2-(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58
(S)-2-하이드록시프로필 2-(3-((S)-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76 mg, 0.189 mmol)(이전 단계로부터 100% 수율로 가정됨)를 1,4-디옥산(2 mL)에 용해시켰다. 물(2 mL)에 이어 LiOH(15 mg, 0.62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옥산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아세트산(0.038 mL, 0.66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4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농축시켜 (S)-2-(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90 mg, 0.196 mmol, 104% 수율)을 약 75% 순도의 담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화학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2분, [MH]+ = 345.1.
중간체 35: 터트-부틸 2-(4-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59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 mg, 0.369 mmol), (4-메톡시벤질)아연(II) 클로라이드(THF 중 0.5M, 1.25 mL, 0.625 mmol), PdCl2(PPh3)2(38.9 mg, 0.055 mmol) 및 THF(0.5 mL)를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한 다음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87 mg의 미정제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4-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34.6 mg, 0.340 mmol, 92%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6 min, [MH]+ = 357.2.
중간체 36: 2-(4-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60
DCM(5 mL) 중 터트-부틸 2-(4-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34.6 mg, 0.378 mmol)의 용액에 TFA(0.873 mL, 11.3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그리고 이어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2-(4-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23.3 mg, 0.322 mmol, 85% 수율, 약 78.5% 순도)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2분, [MH]+ = 301.1.
중간체 37: 터트-부틸 2-(2-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61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3 mg, 0.159 mmol), (2-메틸벤질)아연(II) 클로라이드(THF 중 0.5M, 0.538 mL, 0.269 mmol), PdCl2(PPh3)2(16.72 mg, 0.024 mmol) 및 THF(1 mL)를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농축시켜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0 mg)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2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2-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7.2 mg, 0.051 mmol, 31.8%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34 min, [MH]+ = 341.1.
중간체 38: 2-(2-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62
DCM(1 mL) 중 터트-부틸 2-(2-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7.2 mg, 0.051 mmol)의 용액에 TFA(0.13 mL, 1.68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그리고 이어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TFA(0.13 mL, 1.68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그리고 이어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2-(2-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3.8 mg, 0.043 mmol, 85% 수율, 약 89% 순도)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0 min, [MH]+ = 285.1.
중간체 39: 터트-부틸 2-(3-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63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 mg, 0.369 mmol), (3-플루오로벤질)아연(II) 클로라이드(THF 중 0.5M, 1.25 mL, 0.625 mmol), PdCl2(PPh3)2(39 mg, 0.056 mmol) 및 THF(0.5 mL)를 12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482 mg의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25%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3-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2.2 mg, 0.136 mmol, 36.9%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8 min, [MH]+ = 345.2.
중간체 40: 2-(3-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64
DCM(2 mL) 중 터트-부틸 2-(3-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2.2 mg, 0.152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700 mL, 9.0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2-(3-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3 mg, 0.147 mmol, 97% 수율, 약 80% 순도)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후속 화학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5 min, [MH]+ = 289.1.
중간체 41: 터트-부틸 2-(3-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65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 mg, 0.369 mmol), (3-메틸벤질)아연(II) 클로라이드(THF 중 0.5M, 1.25 mL, 0.625 mmol), PdCl2(PPh3)2(38.9 mg, 0.055 mmol) 및 THF(0.5 mL)를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농축시켜 393.9 mg의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3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3-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2.2 mg, 0.123 mmol, 33.2%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35 min, [MH]+ 341.2.
중간체 42: 2-(3-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66
DCM(2 mL) 중 터트-부틸 2-(3-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2.2 mg, 0.153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700 mL, 9.0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2-(3-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02 mg, 0.144 mmol, 94% 수율, 약 40% 순도)의 오렌지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후속 반응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1 min, [MH]+ 285.1.
중간체 43: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2-옥소인돌린-4-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67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80 mg, 0.281 mmol)를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2-온(479 mg, 0.425 mmol, 23중량%), 포타슘 카르보네이트(129.9 mg, 0.940 mmol) 및 PdCl2(dppf)(41.1 mg, 0.056 mmol)와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2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농축시켜 198 mg의 검정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10-5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2-옥소인돌린-4-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39.7 mg, 0.094 mmol, 33.3%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0 min, [MH]+ 382.3.
중간체 44: 2-(메틸카르바모일)-6-((2-옥소인돌린-4-일)메틸)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68
DCM(2 mL) 중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2-옥소인돌린-4-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39.7 mg, 0.104 mmol, 78중량%)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4 mL, 5.1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3 mL, 3.89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2-(메틸카르바모일)-6-((2-옥소인돌린-4-일)메틸)이소니코틴산(55.7 mg, 0.080 mmol, 99% 수율, 약 47% 순도)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후속 화학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0 min, [MH]+ 326.1.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33 (d, J=1.5 Hz, 1 H) 7.55 - 7.77 (m, 2 H) 7.25 - 7.45 (m, 5 H) 7.11 (t, J=7.2 Hz, 1 H) 6.84 (d, J=7.6 Hz, 1 H) 5.21 (br. s., 2 H) 4.18 (s, 2 H) 3.97 (t, J=8.7 Hz, 2 H) 2.92 - 3.05 (m, 5 H) 1.56 (s, 9 H).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45: 벤질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9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10 mg, 0.386 mmol)를 벤질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285.5 mg, 0.602 mmol), 포타슘 카르보네이트(183 mg, 1.321 mmol) 및 PdCl2(dppf)(56.5 mg, 0.077 mmol)와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2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용액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키고, 건조시킨 다음 농축시켰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3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벤질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138.7 mg, 0.249 mmol, 64.4%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44 min, [MH]+ 502.2.
중간체 46: 2-((1-((벤질옥시)카르보닐)인돌린-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70
DCM(4 mL) 중 벤질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138.7 mg, 0.221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7 mL, 9.0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 12.98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EtOAc(10 mL)를 갈색 고체에 첨가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 5회 염기 세척한 다음, 수성상을 2M HCl(10 mL)의 용액으로 중화시킨 다음, 이것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용액이 여과됨에 따라 고체가 나타났다) 진공에서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 2-((1-((벤질옥시)카르보닐)인돌린-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09 mg, 0.196 mmol, 88% 수율).
LCMS (2분 포름산): Rt = 1.18 min, [MH]+ 446.2.
중간체 47: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71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0.5 g, 1.847 mmol)를 THF(20 mL)에 용해시키고,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비스 트리페닐포스핀(0.130 g, 0.18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에 5분 동안 질소를 살포한 다음, (1-페닐에틸)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M, 7.39 mL, 3.69 mmol, 예를 들어, Sigma Aldrich로부터 시판됨)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EtOAc(100 mL)로 희석시키고, 물(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5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0.41 g, 1.204 mmol, 65.2% 수율)를 짙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37 min, [MH]+ = 341.3.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5 (d, J=1.5 Hz, 1 H) 8.02 (br. s., 1 H) 7.81 (d, J=1.2 Hz, 1 H) 7.18 - 7.36 (obs. m, 5 H) 4.38 (q, J=7.3 Hz, 1 H) 3.07 (d, J=5.1 Hz, 3 H) 1.74 (d, J=7.3 Hz, 3 H) 1.59 (s, 9 H)
중간체 48: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72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0.41 g, 1.204 mmol)를 TFA(6 mL)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20 mL)과 DCM(2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305 mg, 1.073 mmol, 89% 수율)을 회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69 min, [MH]+ = 285.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3.74 (br. s., 1 H) 8.75 (m, J=4.9 Hz, 1 H) 8.21 (d, J=1.5 Hz, 1 H) 7.82 (d, J=1.5 Hz, 1 H) 7.42 (br. d, J=7.1 Hz, 2 H) 7.30 (t, J=7.5 Hz, 2 H) 7.16 - 7.23 (m, 1 H) 4.47 (q, J=7.1 Hz, 1 H) 2.89 (d, J=4.9 Hz, 3 H) 1.72 (d, J=7.3 Hz, 3 H)
중간체 49: (R *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
중간체 50: (S *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73
중간체 47(7.777 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150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1 mL의 용액을 분취용 오토샘플러를 통해 컬럼(20% EtOH/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42.5 mL/분, 검출 파장 = 280 nm, 대역 폭 140 nm, 기준 400 nm 대역폭 100 nm, 컬럼 30 mm x 25 cm Chiralcel OJ-H. 총 주입 수 = 1회)에 주입하였다. 11.2-13.7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5.7-19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중간체 49(2.84 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35 min, [MH]+ = 341.3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중간체 50(2.80 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35 min, [MH]+ = 341.3
중간체 51: (S *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74
DCM(15 mL) 중 (S*)-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2.1878 g, 6.43 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0 mL, 130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물질을 진공에서 혼합물로부터 증발시키고, 유성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약 10 mL)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오렌지색 유성 잔류물은 첨가된 에테르(약 10 mL) 및 침전된 백색 고체를 가졌다. 고체를 여과하고, 에테르(2 x 5 mL)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S*)-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1.1768 g, 4.14 mmol, 64.4% 수율).
두 번째 에테르 세척의 모액으로부터의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제2 배치의 요망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S*)-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95.6 mg, 0.336 mmol, 5.23% 수율).
초기 분쇄 및 첫 번째 에테르 세척을 합친 모액으로부터의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생성된 오렌지색 점성 오일을 에테르(5 mL)로 분쇄하였다. 모액을 따라내고, 고체를 추가 에테르(3 x 5 mL)로 세척하면서, 매번 모액을 따라내었다. 고체를 진공에서 건조시켜 제3 배치의 요망되는 생성물을 크림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산출; (S*)-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310.8 mg, 1.093 mmol, 17.01% 수율).
상기 배치의 분리로부터 합친 모액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생성된 오렌지색 반-결정질 고체를 에테르(3 mL)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따라내고, 고체를 추가 에테르(3 x 3 mL)로 분쇄하면서, 매번 모액을 따라내었다. 고체를 진공에서 건조시켜 제4 배치의 요망되는 생성물을 크림색 고체(100.4 mg)로서 제공하였다.
4개의 배치를 통해 합산된 분리된 총 생성물 = 1.6836 g, 92.2%.
LCMS (2분 포름산): Rt = 1.00 min, [MH]+ = 285.3
중간체 52: 터트-부틸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75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 mg, 0.351 mmol)를 (1H-인돌-4-일)보론산(113 mg, 0.702 mmol), 포타슘 카르보네이트(291 mg, 2.107 mmol) 및 PdCl2(dppf)(51.4 mg, 0.070 mmol)와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2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Celite®를 통해 EtOAc(10 mL)로 용리시키며 여과시킨 다음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SiO2(Biotage® SNAP 10 g, 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75.4 mg, 0.165 mmol, 47.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0 min, [MH]+ = 366.2.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30 (d, J=1.2 Hz, 1 H) 7.76 (d, J=1.2 Hz, 1 H) 7.31 (d, J=8.3 Hz, 1 H) 7.21 (d, J=3.2 Hz, 1 H) 7.03 - 7.11 (m, 1 H) 6.91 (br. d, J=7.1 Hz, 1 H) 6.47 (dd, J=3.2, 0.7 Hz, 1 H) 4.52 (s, 2 H) 2.99 (s, 3 H) 1.54 (s, 9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53: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76
DCM(3 mL) 중 터트-부틸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75.4 mg, 0.165 mmol)의 용액에 TFA(0.60 mL, 7.7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TFA(0.3 mL, 0.165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84 mg, 0.149 mmol, 90% 수율, 약 25% 순도)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8 min, [MH]+ = 310.1.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59 - 12.89 (m, 1 H) 11.11 (br. s., 1 H) 8.76 (d, J=4.9 Hz, 1 H) 8.19 (d, J=1.2 Hz, 1 H) 7.71 (d, J=1.5 Hz, 1 H) 7.21 - 7.39 (m, 2 H) 7.05 (t, J=7.6 Hz, 1 H) 6.95 (d, J=6.8 Hz, 1 H) 6.46 - 6.56 (m, 1 H) 4.48 (s, 2 H) 2.88 (d, J=4.9 Hz, 3 H).
중간체 54: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77
THF(1.5 mL) 중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18 mg, 0.447 mmol)의 용액에 0℃에서 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THF 중 1M, 2 mL, 2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에 붓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SiO2(Biotage® SNAP 10 g, 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3 mg, 0.107 mmol, 23.91%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9 min, [MH]+ = 343.3.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38 (d, J=1.2 Hz, 1 H) 8.05 (d, J=1.2 Hz, 1 H) 7.42 - 7.47 (m, 2 H) 7.22 - 7.36 (m, 3 H) 5.95 (s, 1 H) 2.99 (s, 3 H) 1.60 (s, 9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55: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78
DCM(0.5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3 mg, 0.126 mmol)의 용액에 TFA(0.4 mL, 5.1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그리고 이어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TFA(0.4 mL, 0.12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제거시켜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7.9 mg, 0.117 mmol, 93% 수율, 70% 순도)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4 min, [MH]+ = 287.1.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45 (d, J=1.2 Hz, 1 H) 8.10 (d, J=1.5 Hz, 1 H) 7.41 - 7.48 (m, 2 H) 7.21 - 7.38 (m, 3 H) 5.97 (s, 1 H) 2.99 (s, 3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56: (+/-)-터트-부틸 2-(클로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79
DCM(4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6 mg, 0.134 mmol)의 용액에 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30 μL, 0.411 mmol)를 적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티오닐 클로라이드(50 μL, 0.685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클로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4 mg)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반응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33 min, [MH]+ = 361.1
중간체 57: (+/-)-터트-부틸 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80
메탄올(5 mL) 중 터트-부틸 2-(클로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4 mg, 0.150 mmol)의 용액을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초기에 1시간 동안, 이어서 4시간 및 마지막으로 밤새 가열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SNAP 10 g 카트리지, 용리액: 0-5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3 mg, 0.083 mmol, 55.7%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6 min, [MH]+ = 357.2.
중간체 58: (+/-)-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81
DCM(1 mL) 중 터트-부틸 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3 mg, 0.093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 6.4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이것을 물로 세척하고, DCM으로 3회 추출한 다음,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4.9 mg, 0.090 mmol, 97% 수율, 약 60% 순도)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1 min, [MH]+ = 301.1
중간체 59: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82
리튬 클로라이드(140 mg, 3.29 mmol)를 함유하는 건조되고 N2 하에 있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2-브로모피리딘(0.400 mL, 4.11 mmol) 및 THF(4 m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THF 중 2M, 2.057 mL, 4.11 mmol)를 첨가하고(첨가 후 용액은 황색/갈색이 되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켜 피리딘-2-일마그네슘 클로라이드(100% 수율로 가정됨: THF 4 mL 중 1.029M 현탁액)의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피리딘-2-일마그네슘 브로마이드(THF 중 1.029M, 4 mL, 2.93 mmol)의 이 현탁액에 0℃에서 질소 하에, THF(3 mL) 중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44 mg, 1.171 mmol, 90중량%)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3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용리액 0-50% (에틸아세테이트 중 25% EtOH)/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32 mg, 0.527 mmol, 45.0% 수율, 약 78% 순도)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6 min, [MH]+ = 344.3.
중간체 60: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83
DCM(0.5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32 mg, 0.676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5 mL, 19.4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89 mg, 0.604 mmol, 89% 수율, 약 60% 순도)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반응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40 min, [MH]+ = 288.1.
중간체 61: 터트-부틸 2-((1H-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84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84 mg, 0.295 mmol)를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다졸(216 mg, 0.885 mmol, 예를 들어, Sigma-Aldrich로부터 시판됨), 포타슘 카르보네이트(279 mg, 2.018 mmol) 및 PdCl2(dppf)(43.2 mg, 0.059 mmol)와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2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Celite®, 용리액 EtOAc(10 mL)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EtOAc(3회)로 추출하였다. 이후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0-4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1H-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3.8 mg, 0.068 mmol, 23.10% 수율, 약 57% 순도)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7 min, [MH]+ = 367.3.
중간체 62: 2-((1H-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85
DCM(0.5 mL) 중 터트-부틸 2-((1H-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3.8 mg, 0.068 mmol, 57중량%)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4 mL, 5.1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1H-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3.5 mg, 0.054 mmol, 79% 수율, 약 50% 순도)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5 min, [MH]+ = 311.2.
중간체 63: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2-메틸-1H-벤조[d]이미다졸-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86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 mg, 0.351 mmol)를 (1-(터트-부톡시카르보닐)-2-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보론산(150 mg, 0.272 mmol, 예를 들어, Sigma-Aldrich로부터 시판됨), 포타슘 카르보네이트(332 mg, 2.402 mmol) 및 PdCl2(dppf)(51.4 mg, 0.070 mmol)과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20℃에서 40분 동안 가열시켰다. 용액을 Celite®, 용리액 EtOAc(10 mL)을 통해 여과시킨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EtOAc(3회)로 추출하였다. 이후 합친 유기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SiO2(Biotage® SNAP 10 g, 50-7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2-메틸-1H-벤조[d]이미다졸-1-카르복실레이트(24 mg, 0.047 mmol, 17.47%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41 min, [MH]+ = 481.3.
중간체 64: 2-((2-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87
DCM(0.5 mL) 중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2-메틸-1H-벤조[d]이미다졸-1-카르복실레이트(24 mg, 0.050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1 mL, 1.29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1 mL, 1.298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2 mL, 0.050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2-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2.5 mg, 0.045 mmol, 90% 수율, 약 45% 순도)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45 min, [MH]+ = 325.2.
중간체 65: 터트-부틸 2-((1H-인돌-3-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88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40 mg, 0.492 mmol)를 (1-(터트-부톡시카르보닐)-1H-인돌-3-일)보론산(250 mg, 0.958 mmol, 예를 들어, Fluorochem으로부터 시판됨), 포타슘 카르보네이트(408 mg, 2.95 mmol) 및 PdCl2(dppf)(72.0 mg, 0.098 mmol)과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1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Celite®, 용리액: EtOAc(10 mL)을 통해 여과한 다음 물(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이후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25 g 카트리지, 사이클로헥산 중 0-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3-((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인돌-1-카르복실레이트(100 mg, 0.095 mmol, 19.22%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후 동일한 컬럼을 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고,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1H-인돌-3-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 mg, 0.022 mmol, 4.45%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53 min, [MH]+ = 466.4.
중간체 66: 2-((1H-인돌-3-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89
DCM(1 mL) 중 터트-부틸 3-((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인돌-1-카르복실레이트(100 mg, 0.215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 6.4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1H-인돌-3-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00 mg, 0.129 mmol, 60.2% 수율, 약 20% 순도)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반응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8 min, [MH]+ = 310.2.
중간체 67: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90
건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건조 THF(0.5 mL) 중 마그네슘 조각(24 mg, 0.987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질소 하에 2-브로모-6-메틸피리딘(0.124 mL, 1.09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57 mg, 0.475 mmol)를 건조 THF(0.8 mL) 중에서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3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시킨 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용리액: 사이클로헥산 중 0-100% 에틸 아세테이트)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8 mg, 0.071 mmol, 14.84%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0 min, [MH]+ = 358.3.
중간체 68: (+/-)-2-(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91
DCM(0.5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8 mg, 0.078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 6.4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8 mg, 0.074 mmol, 95% 수율, 약 80% 순도)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반응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39 min, [MH]+ = 302.2.
중간체 69: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92
리튬 클로라이드(11.32 mg, 0.267 mmol)를 지닌 건조되고 N2 하에 있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브로모-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90 mg, 0.267 mmol) 및 THF(0.5 m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THF 중 2M, 0.14 mL, 0.280 mmol)를 0℃에서 첨가하고(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의 첨가 후, 용액은 황색/갈색이 되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시켜 (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마그네슘 브로마이드(100% 수율로 가정됨: THF 중 0.417M, 0.64 mL, 0.266 mmol)를 제공하였다. (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마그네슘 브로마이드(THF 중 0.417 M 용액, 0.64 mL, 0.266 mmol)의 용액에 0℃에서 질소 하에 THF(0.5 mL) 중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60 mg, 0.182 mmol, 80중량%)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그리고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NH4Cl(2 mL)의 포화된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EtOAc(2회)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0-50%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클로헥산에 이어 100%(에틸 아세테이트 중 25% EtOH)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0 mg, 0.029 mmol, 15.80% 수율, 약 50% 순도)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7 min, [MH]+ = 523.3.
중간체 70: (+/-)-2-(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93
DCM(0.5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0 mg, 0.029 mmol, 50중량%)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2 mL, 2.6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이것을 물로 세척하고, DCM으로 5회 추출하였다. 이후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7 mg, 0.021 mmol, 72.6% 수율, 약 36% 순도)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후속 반응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6 min, [MH]+ = 467.3.
중간체 71: 터트-부틸 2-((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094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0 mg, 0.105 mmol)를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롤로[2,3-c]피리딘(50 mg, 0.205 mmol, 예를 들어, Fluorochem으로부터 시판됨), 포타슘 카르보네이트(50 mg, 0.362 mmol) 및 PdCl2(dppf)(15.42 mg, 0.021 mmol)와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10℃에서 40분 동안 가열시켰다. 용액을 Celite®, 용리액: EtOAc(10 mL)을 통해 여과시킨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이후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사이클로헥산 중 0-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30 내지 100%(에틸 아세테이트 중 25% EtOH)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0 mg, 0.098 mmol, 93%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3 min, [MH]+ = 367.3.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62 (s, 1 H) 8.32 (d, J=1.2 Hz, 1 H) 8.04 (s, 1 H) 7.81 (d, J=1.5 Hz, 1 H) 7.53 (d, J=3.2 Hz, 1 H) 6.58 (dd, J=2.9, 0.7 Hz, 1 H) 4.54 (s, 2 H) 2.99 (s, 3 H) 1.54 (s, 9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72: 2-((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95
DCM(0.5 mL) 중 터트-부틸 2-((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2.2 mg, 0.088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3 mL, 3.8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2-((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4 mg, 0.087 mmol, 99% 수율, 약 50% 순도)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반응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41 min, [MH]+ = 311.2.
중간체 73: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96
DCM(2 mL) 중 터트-부틸 2-((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17 mg, 0.319 mmol)의 용액에 디-터트-부틸 디카르보네이트(77 mg, 0.351 mmol) 및 피리딘(0.03 mL, 0.37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HCl(2 mL, 2M aq.)을 첨가하였다. 이후 물(5 mL) 및 DCM(5 mL)을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수성상을 DCM(2 x 10 mL)으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40 mg, 0.285 mmol, 89%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5 min, [MH]+ = 467.4.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43 (s, 1 H) 8.48 - 8.54 (m, 2 H) 8.18 (d, J=3.4 Hz, 1 H) 7.89 (d, J=1.2 Hz, 1 H) 7.72 (br. d, J=3.9 Hz, 1 H) 6.87 (d, J=3.7 Hz, 1 H) 4.58 (s, 2 H) 3.03 (d, J=4.9 Hz, 3 H) 1.71 (s, 9 H) 1.59 (s, 9 H)
중간체 74: (+/-)-터트-부틸 4-(1-(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에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97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38 mg, 0.281 mmol)를 THF(1 mL)에 용해시키고, -78℃로 N2 하에 냉각시켰다. LiHMDS(THF 중 1M, 1.3 mL, 1.30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MeI(0.050 mL, 0.800 mmol)를 첨가하고(색이 진한 녹색에서 황색 용액으로 바뀐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0.5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온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해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NAP 실리카 10 g 컬럼, 용리액: 0 내지 60% (EtOAc 중 25% EtOH)/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4-(1-(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에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26 mg, 0.236 mmol, 84% 수율)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9 min, [MH]+ = 481.4.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9.22 (s, 1 H) 8.37 (s, 1 H) 8.33 (d, J=1.2 Hz, 1 H) 7.83 (d, J=1.5 Hz, 1 H) 7.79 (d, J=3.7 Hz, 1 H) 6.73 (d, J=3.7 Hz, 1 H) 4.85 (q, J=7.3 Hz, 1 H) 3.01 (s, 3 H) 1.90 (d, J=7.3 Hz, 3 H) 1.66 (s, 9 H) 1.54 (s, 9 H).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75: (+/-)-2-(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098
DCM(1 mL) 중 터트-부틸 4-(1-(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에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26 mg, 0.262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 12.9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표제 화합물(110.7 mg, 약 75% 순도)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반응에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46 min, [MH]+ = 325.2.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96 (s, 1 H) 8.43 (d, J=1.2 Hz, 1 H) 8.36 (s, 1 H) 8.11 (d, J=2.9 Hz, 1 H) 8.03 (d, J=1.2 Hz, 1 H) 6.97 (d, J=2.9 Hz, 1 H) 5.06 (q, J=7.3 Hz, 1 H) 2.99 (s, 3 H) 1.96 (d, J=7.1 Hz, 3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76: 6-(3-하이드록시벤질)-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099
트리브로모보란(0.553 mL, 5.83 mmol)을 DCM(4 mL) 중 6-(3-메톡시벤질)-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06 mg, 0.583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또 다른 당량의 트리브로모보란(0.553 mL, 5.8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되게 둔 다음 추가 트리브로모보란(0.553 mL, 5.83 mmol)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세척하고(1x 물, 2x 포화된 수성 NaHCO3), 소수성 프릿을 통해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갈색 오일로 증발시켰다. 이후 샘플을 DCM(3 mL)에 용해시키고, 20-8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25 g Biotage® SNAP 컬럼 위에 로딩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이후 샘플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40℃로 1시간 동안 두어 요망되는 생성물(34 mg)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5 min, [MH]+ = 340.4.
중간체 77: 벤질 4-((4-(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00
DMF(0.8 mL) 중 2-((1-((벤질옥시)카르보닐)인돌린-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4.5 mg, 0.098 mmol)의 용액에 HATU(55.8 mg, 0.147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14 mL, 0.196 mmol) 및 DIPEA(0.068 mL, 0.39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시킨 다음 포화된 LiCl 용액에 이어 2M HCl로 세척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256 mg의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5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벤질 4-((4-(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31.8 mg, 0.066 mmol, 67.1%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17 min, [MH]+ 485.2.
중간체 78: 6-(클로로(피리딘-2-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101
DCM(1 mL) 중 6-(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9 mg, 0.056 mmol)의 용액에 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0.033 mL, 0.447 mmol)를 적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6-(클로로(피리딘-2-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0 mg, 0.033 mmol, 59.9% 수율, 약 60% 순도)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후속 반응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6 min, [MH]+ = 359.2.
중간체 79: 터트-부틸 4,4-디플루오로-3-(2-(3-((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페녹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102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2-(트리부틸포스포라닐리덴)아세토니트릴(0.222 mL, 0.848 mmol)을 톨루엔(4 mL) 중 6-(3-하이드록시벤질)-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4.0 mg, 0.188 mmol) 및 (+/-)-터트-부틸 4,4-디플루오로-3-(2-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50 mg, 0.188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5시간 동안 110℃로 조사하였다(irradiated). 이후 반응물에 또 다른 당량의 2-(트리부틸포스포라닐리덴)아세토니트릴(0.222 mL, 0.848 mmol)을 첨가하여 추가 1시간 동안 120℃로 조사하였다. 또 다른 당량의 2-(트리부틸포스포라닐리덴)아세토니트릴(0.222 mL, 0.84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120℃로 조사하였다. 추가 당량의 2-(트리부틸포스포라닐리덴)아세토니트릴(0.222 mL, 0.848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130℃로 조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세척하고(1x 물, 2x 포화된 수성 NaHCO3), 소수성 프릿을 통해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갈색 오일로 증발시켰다. 샘플을 10 g Biotage® SNAP 컬럼을 사용하여 30-80% EtOAc/사이클로헥산의 구배를 이용하여 정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갈색 오일로 제거시켰다. 이후 샘플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40℃로 추가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53.9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33 min, [MH]+ = 587.2.
중간체 80: 6-(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103
DMF(0.8 mL) 중 2-(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7 mg, 0.021 mmol, 36중량%)의 용액에 DIPEA(0.01 mL, 0.057 mmol)에 이어 HATU(11.88 mg, 0.031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36 mg, 0.03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 mg, 0.139 mmol), HATU(35 mg, 0.092 mmol)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0.04 mL, 0.021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 mg, 9.82 μmol, 47.1% 수율, 약 85% 순도)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8 min, [MH]+ = 520.3.
중간체 81: 2-(트랜스-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
Figure pct00104
톨루엔(35 mL) 중 트랜스-3-아미노사이클로부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428 g, 8.44 mmol)(Activate Scientific으로부터 시판됨) 및 프탈산 무수물(1.2565 g, 8.48 mmol)의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2.50 mL, 17.9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120℃에서 1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휘발성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백색 고체를 제공하였고,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50 mL) 및 포화된 수성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50 mL)를 첨가하고, 상을 분리시켰다. 유기상을 추가의 포화된 수성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2 x 50 mL)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2-(트랜스-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1.4520 g, 6.68 mmol, 7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6 DMSO) δ ppm 7.83 (s, 4 H) 5.12 (d, 1 H, J = 5.5 Hz) 4.86 (m, 1 H) 4.49 (m, 1 H) 2.87 (m, 2 H) 2.21 (m, 2 H).
중간체 82: 2-((1r,3r)-3-(2-하이드록시에톡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
Figure pct00105
DMF(12 mL) 중 2-((1r,3r)-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299.8 mg, 1.380 mmol) 및 1,3-디옥솔란-2-온(380.4 mg, 4.32 mmol)을 교반시킨 용액에 실온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광유 중 60%, 106.7 mg, 2.67 mmol)를 부분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로 가열시키고, 20.75시간 동안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추가 소듐 하이드라이드(광유 중 60%, 56.7 mg, 1.418 mmol)를 19.5시간 후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물(5 mL) 및 포화된 수성 NH4Cl(5 m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20 mL)를 첨가하고, 상을 분리시켰다. 수성상을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치고, 소수성 프릿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갈색 오일(449.8 mg)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CM(약 2 mL)에 재현탁시키고, 50 g SNAP 카트리지의 상부에 직접 적용하고, SP4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컬럼을 사이클로헥산 중 0%-5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점성 무색 오일(97.1 mg)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MSO(1 mL)에 재용해시키고, MDAP(1 mL 주입, 포름산)에 의해 추가로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점성 무색 오일(54.9 mg, 0.210 mmol, 15%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79 min, 정확한 m/z에서 이온화되지 않음
중간체 83: 2-(트랜스-3-메톡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에나민
Figure pct00106
테트라하이드로푸란(4.5 mL) 중 2-(트랜스-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196.3 mg, 0.904 mmol) 및 메틸 아이오다이드(0.085 mL, 1.35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약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에 소듐 하이드라이드(광유 중 60% 분산액)(42.8 mg, 1.070 mmol)를 부분씩 첨가하고, 생성된 탁한 백색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60℃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 소듐 하이드라이드(광유 중 60% 분산액)(18.2 mg, 0.45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60℃로 추가로 총 90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 메틸 아이오다이드(0.040 mL, 0.6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60℃로 추가 30분 동안 그리고 이어서 70℃로 추가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2 mL) 및 포화된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2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4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치고, 소수성 프릿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황색 고체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약 3 mL)에 재용해시키고, 10 g SNAP 실리카 카트리지의 상부에 직접 적용하고, SP4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컬럼을 사이클로헥산 중 0-5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2-(트랜스-3-메톡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82.8 mg, 0.358 mmol, 39.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5 (m, 2 H) 7.73 (m, 2 H) 5.02 (m, 1 H) 4.31 (m, 1 H) 3.31 (s, 3 H) 2.99 (m, 2 H) 2.45 (m, 2 H).
중간체 84: 2-((1r,3r)-3-아미노사이클로부톡시)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107
에탄올(2 mL) 중 2-((1r,3r)-3-(2-하이드록시에톡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54.9 mg, 0.21 mmol)의 용액에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물 중 약 80%, 0.013 mL, 0.26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49.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물 중 약 80%, 0.015 mL, 0.245 mmol)를 43시간 후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카트리지를 에탄올(약 10 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백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메탄올(약 2 mL) 및 에탄올(약 2 mL)에 재용해시키고, 2 g Isolute SCX-2 이온 교환 컬럼의 상부에 직접 적용하였다. 컬럼을 에탄올에 이어 2M 수성 HCl로 용리시켰다. 산성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점착성 황색 고체(32.8 mg, 0.196 mmol, 93%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8.17 - 8.48 (m, 3 H) 4.18 - 4.31 (m, 1 H) 3.61 - 3.77 (m, 1 H) 3.48 (t, J=5.3 Hz, 2 H) 3.28 - 3.34 (m, 2 H) 2.18 - 2.38 (m, 4 H).
중간체 85: 터트-부틸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08
DPPA(1.462 mL, 6.78 mmol)를 톨루엔(20 mL) 중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카르복실산(1 g, 6.17 mmol, 예를 들어, Astatech로부터 시판됨) 및 Et3N(1.289 mL, 9.2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터트-부탄올(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50 mL)로 희석시키고, 물(50 mL) 및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생성된 갈색 고무질 고체를 실리카 컬럼(25 g) 상에서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0.92 g, 3.94 mmol, 64% 수율)을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64 (br. s., 1 H) 2.19 - 2.49 (m, 6 H) 1.46 (s, 9 H).
중간체 86: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
Figure pct00109
HCl(5 mL, 20.00 mmol, 1,4-디옥산 중 4M)을 DCM(10 mL) 중 터트-부틸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카르바메이트(0.92 g, 3.94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용액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620 mg, 3.66 mmol, 93%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8.45 (br. s., 3 H) 2.40 - 2.58 (obs. m, 2 H) 2.30 (d, J=2.4 Hz, 1 H) 2.16 (ddd, J=18.7, 15.3, 3.2 Hz, 2 H) 1.84 (br. s., 2 H)
중간체 87: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10
(1-페닐비닐)보론산(2.62 g, 17.73 mmol, 예를 들어, Sigma-Aldrich로부터 시판됨),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 g, 14.78 mmol,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됨),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9.41 g, 44.3 mmol) 및 PEPPSI iPr(1.004 g, 1.478 mmol)을 1,4-디옥산(24 mL) 및 물(12 mL)에 실온에서 용해시키고, 질소 하에 탈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DCM(3 x 25 mL)으로 추출하면서 물(20 mL)로 희석시켰다. 합친 유기물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황색 포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0 g 카트리지, 0-6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4.06 g, 11.40 mmol, 77% 수율, 95% 순도)를 담황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35 min, [MH]+ = 339.2.
중간체 88: 터트-부틸 2-(2-하이드록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11
(2,3-디메틸부탄-2-일)보란(THF 중 0.66 M, 30.0 mL, 19.80 mmol, 이의 제조는 문헌: 예를 들어, [H. C. Brown and E. Negishi, J. Am. Chem. Soc., 94, 3567 (1972)]에 기재되어 있다)을 질소 하에 0℃에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3.94 g, 9.90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물(30 mL)에 이어 과산화수소(물 중 35% w/w, 24.26 mL, 277 mmol)를 첨가하고, 소듐 하이드록사이드(2M, 24.74 mL, 49.5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5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가온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시트르산(10%, 30 mL) 및 EtOAc(3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3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50g, 용리액 0 내지 100% EtOAc/사이클로헥산)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1.15 g, 3.07 mmol, 31% 수율, 95% 순도)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8 min, [MH]+ = 357.3.
중간체 89: (+/-)-터트-부틸 2-(2-((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12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DCM(10 mL)에 용해된 터트-부틸 2-(2-하이드록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994 mg, 2.79 mmol) 및 DIPEA(0.98 mL, 5.61 mmol)를 첨가하였다. 이후, 터트-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670 mg, 4.45 mmol)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DCM(10 mL)으로 희석하고, 물(30 mL)로 세척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DCM(2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로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사이클로헥산 중 0-8% EtOAc 및 이어서 사이클로헥산 중 7-40% EtOAc의 두 연속적인 구배를 사용하여 용리되는 SNAP(50 g) 실리카 컬럼 위에 로딩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2-((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29 g, 2.60 mmol, 93%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65 min, [MH]+ = 471.5.
중간체 90: (+/-)-2-(2-하이드록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13
DCM(1 mL) 중 터트-부틸 2-(2-((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29 g, 2.60 mmol)의 용액에 TFA(3 mL, 38.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DCM(5 mL)을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에테르(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x4) 부산물로서 TFA 부가물도 함유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백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THF(5 mL) 및 LiOH(1M, 5 m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2-(2-하이드록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981 mg, 2.287 mmol, 88% 수율, 70% 순도)을 백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5 min, [MH]+ = 301.2.
중간체 91: 터트-부틸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14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5 g, 5.54 mmol)를 THF(20 mL)에 용해시키고,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비스트리페닐포스핀 (0.389 g, 0.55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에 5분 동안 질소를 살포한 다음, (3-메톡시벤질)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M, 20 mL, 10.0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EtOAc(100 mL)로 희석하고, 물(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50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65 g, 4.63 mmol, 84% 수율)를 짙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29 min, [MH]+ = 357.3.
중간체 92: 터트-부틸 2-(1-(3-메톡시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15
터트-부틸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10 mg, 0.31 mmol) 및 팔라듐(II) 아세테이트(62.4 mg, 0.28 mmol)를 THF(1 mL)에 용해시키고,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조에서 N2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LiHMDS(THF 중 1M, 0.95 mL, 0.95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MeI(0.03 mL, 0.48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MeI(0.01 mL, 0.16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MeI(0.02 mL, 0.320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용액을 가온시키고, 물(2 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의 제1 배치를 제공하였다.
별도의 플라스크에서, 터트-부틸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9 mg, 0.11 mmol)를 THF(0.35 mL)에 용해시키고,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조에서 N2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LiHMDS(THF 중 1M, 0.33 mL, 0.33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색 변화: 무색에서 황색에서 진한 녹색). MeI(0.06 mL, 0.320 mmol, 0.06 mL THF 중 0.03 mL MeI의 원액으로부터)를 첨가하고(색 변화: 진한 녹색에서 황색 용액),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시켜 반응 혼합물의 제2 배치를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합치고, 물(10 mL) 및 EtOAc(3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필터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SiO2(Biotage SNAP 컬럼(10 g), 용리액 0 내지 4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1-(3-메톡시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7.3 mg, 0.15 mmol, 32% 수율)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31 min, [MH]+ = 371.3.
중간체 93: (+/-)-2-(1-(3-하이드록시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16
터트-부틸 2-(1-(3-메톡시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950 mg, 1.923 mmol, 75중량%)를 DMF(10 mL)에 용해시키고, 아이오도사이클로헥산(6.3 mL, 48.7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40℃로 6시간 동안 가열시킨 다음 중단하였다. 이후 140℃에서 1시간 동안 다시 가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게 둔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4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물(40 mL) 중 5% 아세트산으로 세척하였다(x3). 유기층을 분리시킨 다음, 수성층을 세 번 더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적색 오일, 2-(1-(3-하이드록시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37 mg, 1.162 mmol, 60% 수율, 65% 순도)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1 min, [MH]+ = 301.2.
중간체 94: 6-(1-(3-하이드록시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pct00117
DMF(0.7 mL) 중 2-(1-(3-하이드록시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37 mg, 1.162 mmol, 65중량%)의 용액에 DIPEA(0.61 mL, 3.49 mmol)에 이어 HATU(663 mg, 1.743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8 mg, 1.74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LiCl(10 mL)와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로 추출하였다. 물(10 mL)을 합친 유기층에 첨가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 플래쉬 컬럼(10 g)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4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1-(3-하이드록시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25 mg, 0.842 mmol, 72% 수율, 70% 순도)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1 min, [MH]+ = 354.3.
중간체 95: 터트-부틸 2-(1H-인돌-4-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18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 g, 3.69 mmol,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됨), 세슘 카르보네이트(2.407 g, 7.39 mmol), 팔라듐(II) 아세테이트(0.050 g, 0.222 mmol) 및 1,3-디메시틸-1H-이미다졸-3-윰 클로라이드(0.151 g, 0.443 mmol)를 강철 Parr 용기에 첨가하고, 이를 질소로 퍼징시킨 다음, 1,4-디옥산(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 bar의 질소 압력 하에 80℃로 가열시켰다. 용기를 20℃로 냉각시키고 통기시킨 다음, 상부를 제거하고 (1H-인돌-4-일)보론산(0.714 g, 4.43 mmol)을 첨가하고, 용기를 밀봉시키고 일산화탄소로 4 bar까지 충전시키고, 120℃에서 밤새 가열시켰다. 용기를 통기시키고, 질소로 3회 퍼징한 다음,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20 mL)과 EtOAc(2 x 2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합친 유기물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 g SNAP 울트라 컬럼 상에서 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1H-인돌-4-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5 mg, 0.119 mmol, 3%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15 min, [MH]+ = 380.4
터트-부틸 2-(1H-인돌-4-일)-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65 mg, 0.470 mmol, 13% 수율)도 황색 유리로서 분리되었다.
중간체 96: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19
터트-부틸 2-(1H-인돌-4-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0 mg, 0.105 mmol)를 에탄올(1 mL)에 취하고, 반응물을 질소로 30분 동안 퍼징시켰다. 에탄올(1 mL) 중 NaBH4(4.39 mg, 0.116 mmol)를 반응물에 0℃에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실온으로 가온시키며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포화된 Rochelle 염 용액(10 mL)으로 켄칭시키고, 추가 10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DCM(3 x 15 mL)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0 mg, 0.105 mmol,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02분, [MH]+ = 382.4
중간체 97: (+/-)-2-(하이드록시(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20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0 mg, 0.105 mmol)를 메탄올(1 mL) 및 THF(1 mL)에 취하였다. NaOH(0.524 mL, 1.049 mmol, 2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5 mL)에 취하고, 2M HCl을 사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유지시켰다. 수성 여과액을 조사하였고, 요망되는 생성물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합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에 취하고, 물(1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2-(하이드록시(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5 mg, 0.046 mmol, 44%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47 min, [MH]+ = 326.2
중간체 98: N 4 -사이클로프로필-6-(3-하이드록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21
N4-사이클로프로필-6-(3-메톡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00 mg, 0.295 mmol, 실시예 12)를 DCM(2 mL)에 취하였다. 반응물을 0℃로 냉각시킨 후 BBr3(0.295 mL, 0.295 mmol, DCM 중 1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추가 BBr3(3 eq.)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15분 동안 교반되게 둔 후, DCM(10 mL)에 취한 다음 물(3 x 1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3-하이드록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0 mg, 0.123 mmol, 42% 수율)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6 min, [MH]+ = 326.3
중간체 99: (1-(터트-부톡시카르보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보론산
Figure pct00122
1,4-디옥산(2.5 mL) 중 터트-부틸 4-브로모-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340 mg, 0.973 mmol, 85중량%), 포타슘 아세테이트(432 mg, 4.40 mmol) 및 PdCl2(dppf)(215 mg, 0.29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745 mg, 2.9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로 퍼징하고,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15 mL)와 물(15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15 x 2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시켜 (1-(터트-부톡시카르보닐)-1H-피롤로[2,3-b]피리딘-4-일)보론산(204 mg, 0.195 mmol, 20.01% 수율, 약 25% 순도)을 검정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7 min, [MH]+ = 263.3.
중간체 100: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23
포타슘 카르보네이트(65.5 mg, 0.474 mmol)를 터트-부틸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204 mg, 0.148 mmol, 25중량%), PdCl2(dppf)(23.13 mg, 0.032 mmol) 및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0 mg, 0.158 mmol, 90중량%)와 1,4-디옥산(1 mL) 및 물(0.5 mL) 중에서 합쳤다. 이것을 10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가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과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5 mg, 0.024 mmol, 15.26% 수율, 약 75% 순도)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8 min, [MH]+ = 467.4.
중간체 101: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토실-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24
포타슘 카르보네이트(1182.9 mg, 8.56 mmol),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824.7 mg, 2.90 mmol) 및 PdCl2(dppf)-CH2Cl2부가물 (239 mg, 0.293 mmol)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토실-1H-피롤로[2,3-b]피리딘(1239.3 mg, 3.11 mmol, 예를 들어, Peakdale로부터 시판됨)의 혼합물에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1,4-디옥산(6 mL)을 첨가하였다. 물(3 m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로 탈기시키고, 재밀봉하고, 혼합물을 9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가열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로 희석시키고, 2.5 g Celite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시켰다. 카트리지를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2 x 20 mL)로 세척하고, 합친 유기물을 물(6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추가 물(60 mL) 및 포화된 염수(20mL)로 세척하고, 상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켰다. 용매를 유기상으로부터 진공에서 증발시켜 금빛 갈색 크런키 포움을 제공하였고, 이를 디클로로메탄(약 6 mL)에 재용해시키고, SP4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0 g 실리카 카트리지)에 의해 사이클로헥산 중 10-6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타르를 칠한(tarred) 바이알로 옮긴 다음 질소의 스트림 하에 건조시킨 후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크런키 황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토실-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1.055 g, 2.027 mmol, 70% 수율).
LCMS (2분 포름산): Rt = 1.31 min, [MH]+ = 521.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8.68 (q, J=4.2 Hz, 1 H) 8.29 (d, J=4.9 Hz, 1 H) 8.17 (d, J=1.5 Hz, 1 H) 7.99 (d, J=8.3 Hz, 2 H) 7.85 - 7.92 (m, 2 H) 7.40 (d, J=8.1 Hz, 2 H) 7.27 (d, J=4.9 Hz, 1 H) 7.09 (d, J=4.2 Hz, 1 H) 4.52 (s, 2 H) 2.85 (d, J=4.9 Hz, 3 H) 2.33 (s, 3 H) 1.53 (s, 9 H)
중간체 102: (+/-)-터트-부틸 2-(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25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10 mg, 0.189 mmol, 80중량%)를 THF(1 mL)에 용해시키고,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조에서 N2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LiHMDS(0.75 mL, 0.750 mmol, THF 중 1M)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MeI(0.02 mL, 0.32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1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과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SNAP 실리카 컬럼(10 g) 상에서 0-70% EtOAc/사이클로헥산에 이어 0 내지 50% (EtOAc 중 25%EtOH)/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0 mg, 0.021 mmol, 11% 수율, 40중량%)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0 min, [MH]+ = 381.4
중간체 103: (+/-)-2-(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26
DCM(1 mL) 중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20 mg, 0.021 mmol, 40%wt)의 용액에 TFA(0.5 mL, 6.4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CM(5 mL)을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에테르(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x4) 2-(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4 mg, 0.015 mmol, 72% 수율, 35% 순도)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6 min, [MH]+ = 325.2
중간체 104: 터트-부틸 2-(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27
터트-부틸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75 mg, 1.149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 mL)에 용해시키고,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조에서 N2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LiHMDS(THF 중 1 M, 4.60 mL, 4.6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아세트알데하이드(0.2 mL, 3.54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가온시키고, 반응 혼합물이 실온이 되었을 때 반응 혼합물을 물(1 mL)로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수성층을 세 번 더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소수성 프릿), 농축시켜 오렌지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NAP 컬럼 10g, 용리액 0-40% EtOAc/사이클로헥산 상에서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93 mg, 0.554 mmol, 48.2% 수율, 약 70% 순도)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10 min, [MH]+ = 371.3.
중간체 105: 2-(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28
디클로로메탄(2 mL) 중 터트-부틸 2-(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293 mg, 0.554 mmol, 70중량%)의 용액에 TFA(0.8 mL, 10.3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에테르(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4회) 2-(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18 mg, 0.405 mmol, 73.1% 수율, 약 40% 순도)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6 min, [MH]+ = 315.2.
중간체 106: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29
밀봉된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에탄올(5.0 mL) 및 톨루엔(5.0 mL) 중 터트-부틸 2-클로로-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0.8010 g, 2.96 mmol, 예를 들어, Anichem으로부터 시판됨), 2,4,6-트리비닐사이클로트리보록산 피리딘 복합체(1.0627 g, 4.42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1040 g, 0.142 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1.2526 g, 9.06 mmol)의 현탁액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2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바이알을 재밀봉하고,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추가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g Celite®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하고, 카트리지를 에틸 아세테이트(약 30 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점성의 짙은 적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약 3 mL)에 재용해시키고, 50 g SNAP 카트리지의 상부에 직접 적용하고,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0-4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점성의 짙은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약 3 mL)에 재용해시키고, 50 g SNAP 카트리지의 상부에 직접 적용하고,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15-4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추가로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738.1 mg, 2.81 mmol, 95% 수율)를 점성의 연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14 min, [MH]+ = 263.3.
중간체 107: 터트-부틸 2-(1-브로모비닐)-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30
브로민(0.11 mL, 2.147 mmol)을 디클로로메탄(3 mL) 중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400 mg, 1.525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50℃의 EtOH(4 mL) 및 KOH(171 mg, 3.0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 염수(2 mL) 및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1-브로모비닐)-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600 mg, 1.495 mmol, 98% 수율, 약 85% 순도)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7 min, [MH]+ = 341.1, 343.0.
중간체 108: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31
o-톨릴마그네슘 브로마이드(에테르 중 2M, 4.73 mL, 9.46 mmol)를 THF 중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0 mg, 3.78 mmol)의 용액에 -78℃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78℃에서 교반시킨 다음,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5 mL)을 적가한 다음,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하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50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80 wt% 순도, 0.74 g, 1.66 mmol, 44% 수율)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14. min, [MH]+ = 357.3.
중간체 109: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32
NaOH(2M, 2.491 mL, 4.98 mmol)를 메탄올(10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80 wt%, 0.74 g, 1.66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20 mL)과 에테르(2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2M HCl에 의해 pH 4로 산성화시킨 다음,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혼합물은 계면에 고체를 포함하였고, 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OAc로 세척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20 mg, 0.73 mmol, 44% 수율)을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54 min, [MH]+ = 301.2.
중간체 110: 4-브로모-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
Figure pct00133
THF(10 mL) 중 4-브로모-1H-피롤로[2,3-c]피리딘(310 mg, 1.573 mmol, 예를 들어, Aldrich로부터 시판됨)의 현탁액에 0℃에서 질소 하에 소듐 하이드라이드(94 mg, 2.3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 다음, 0℃로 냉각하고,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0.27 mL, 1.573 mmo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2 mL)을 첨가하고, 이것을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이것을 건조시킨 다음(마그네슘 설페이트) 진공에서 농축시켜 4-브로모-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600 mg, 1.548 mmol, 98% 수율, 약 87% 순도)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15 min, [MH]+ = 337.0, 339.0.
중간체 111: (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보론산
Figure pct00134
디옥산 중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2.4 g, 9.45 mmol), 포타슘 아세테이트(2.140 g, 21.81 mmol) 및 PdCl2(dppf)(1.064 g, 1.45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4-브로모-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2.58 g, 7.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로 퍼징하고,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EtOAc(10 mL)와 물(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EtOAc(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시켜 (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보론산(4.58 g, 6.06 mmol, 83% 수율, 약 40% 순도)을 검정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3 min, [MH]+ = 303.0.
중간체 112: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35
물(4 mL) 및 1,4-디옥산(8 mL) 중 터트-부틸 2-(1-브로모비닐)-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600 mg, 1.495 mmol, 85중량%), (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보론산(2258 mg, 2.99 mmol, 40중량%), 클로로(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바이페닐)[2-(2'-아미노-1,1'-바이페닐)]팔라듐(II)(51.7 mg, 0.066 mmol) 및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952 mg, 4.48 mmol)의 혼합물을 5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켰다. 물(10 mL)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25g 카트리지, 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340 mg, 0.459 mmol, 30.7% 수율, 약 70% 순도)를 녹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11 min, [MH]+ = 519.3.
중간체 113: 2-(메틸카르바모일)-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이소니코틴산
디클로로메탄(1 mL) 중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340 mg, 0.459 mmol, 70중량%)의 용액에 TFA(1 mL, 12.9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DCM(5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에테르(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4회 농축시켜 2-(메틸카르바모일)-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이소니코틴산(496 mg, 0.429 mmol, 93% 수율, 약 40% 순도)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8 min, [MH]+ = 463.2.
중간체 114: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37
N,N-디메틸포름아미드(0.7 mL) 중 2-(메틸카르바모일)-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이소니코틴산(496 mg, 0.429 mmol, 40중량%)의 용액에 DIPEA(0.17 mL, 0.973 mmol)에 이어 HATU(245 mg, 0.643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69.2 mg, 0.64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LiCl(10 mL)와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로 추출하였다. 물(10 mL)을 합친 유기층에 첨가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실리카겔 컬럼 25g, 용리액 40-100% EtOAc/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20 mg, 0.375 mmol, 88% 수율, 약 88% 순도)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8 min, [MH]+ = 516.3.
중간체 115: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138
수소화 플라스크에 에탄올(10 mL) 중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0 mg, 0.097 mmol) 및 탄소상 팔라듐(20.64 mg, 9.70 μmol)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질소로 재충전한 다음(3회), 비우고, 수소로 재충전하였다(3회). 혼합물을 수소 대기 하에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액체를 진공에서 농축시켜 약 8:2 비의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및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적인 에탄올(20 mL) 중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비닐)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70 mg, 0.330 mmol) 및 탄소상 팔라듐(91 mg, 0.043 mmol)과 합쳤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질소로 재충전한 다음(3회), 비우고, 수소로 재충전하였다(3회). 혼합물을 수소 대기 하에 교반하고,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용리액 EtOAc)를 통해 여과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이것을 SNAP 컬럼 10g, 용리액 0-50% EtOAc 중 25% 에탄올/사이클로헥산 상에서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1-(페닐설포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40 mg, 0.243 mmol, 57.0% 수율, 약 90% 순도)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9 min, [MH]+ = 518.3.
중간체 116: 터트-부틸 4-브로모-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39
디클로로메탄(3 mL) 중 피리딘(0.1 mL, 1.236 mmol)의 용액에 질소 하에 4-브로모-1H-피롤로[2,3-b]피리딘(220 mg, 1.117 mmol, 예를 들어, Aldrich로부터 시판됨) 및 디-터트-부틸 디카르보네이트(268 mg, 1.22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피리딘(0.1 mL, 1.236 mmol) 및 디-터트-부틸 디카르보네이트(268 mg, 1.22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시트르산(1M, 5 mL)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DCM(2 x 5mL)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4-브로모-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340 mg, 0.973 mmol, 87% 수율, 약 85% 순도)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5 min, [MH]+ = 297.1, 299.1.
중간체 117: 2-((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40
디클로로메탄(1 mL) 중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b]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15 mg, 0.024 mmol)의 용액에 TFA(0.2 mL, 2.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DCM(5 mL)을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에테르(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4회) 2-((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3 mg, 0.021 mmol, 87% 수율, 약 50% 순도)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0 min, [MH]+ = 311.2.
대안적인 절차:
메탄올(5 mL) 및 THF(5 mL) 중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토실-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1.044 g, 2.006 mmol) 및 소듐 하이드록사이드(0.6779 g, 16.95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70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녹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물(20 mL)에 재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2M 수성 HCl(약 15 mL)에 의해 pH 2로 산성화시켜 연황색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고체를 2M 수성 HCl(약 20 mL) 및 디에틸 에테르(약 3x 20 mL)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복숭아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0.564 g, 1.817 mmol, 91% 수율).
LCMS (2분 포름산): Rt = 0.50 min, [MH]+ = 311.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2.47 (br. s., 1 H) 8.73 (q, J=4.5 Hz, 1 H) 8.32 (d, J=5.6 Hz, 1 H) 8.25 (d, J=1.2 Hz, 1 H) 7.99 (d, J=1.5 Hz, 1 H) 7.60 - 7.66 (m, 1 H) 7.38 (d, J=5.4 Hz, 1 H) 6.91 (d, J=2.0 Hz, 1 H) 4.69 (s, 2 H) 2.87 (d, J=4.6 Hz, 3 H). 하나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118: 2-((1-((벤질옥시)카르보닐)인돌린-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41
DCM(4 mL) 중 벤질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138.7 mg, 0.221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7 mL, 9.0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 12.98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EtOAc(10 mL)를 갈색 고체에 첨가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 5회 염기 세척한 다음, 수성상을 2M HCl(10 mL)의 용액으로 중화시킨 다음, 이것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용액이 여과됨에 따라 고체가 나타났다) 진공에서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 2-((1-((벤질옥시)카르보닐)인돌린-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09 mg, 0.196 mmol, 88% 수율).
LCMS (2분 포름산): Rt = 1.18 min, [MH]+ 446.2.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40 (d, J=1.0 Hz, 1 H) 7.78 (d, J=1.2 Hz, 1 H) 7.68 (br. s., 1 H) 7.25 - 7.44 (m, 5 H) 7.12 (br. t, J=7.0, 7.0 Hz, 1 H) 6.86 (d, J=7.8 Hz, 1 H) 5.22 (br. s., 2 H) 4.20 (s, 2 H) 3.99 (t, J=8.7 Hz, 2 H) 2.93 - 3.06 (m, 5 H),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119: 벤질 4-((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42
2-((1-((벤질옥시)카르보닐)인돌린-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55.7 mg, 0.350 mmol),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57.4 mg, 0.534 mmol) 및 HATU(199.6 mg, 0.525 mmol)의 혼합물에 DIPEA(0.214 mL, 1.223 m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키고, 부피를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최대 3 mL로 만든 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약 4 mL)에 재용해시킨 후 합치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겼다.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벤질 4-((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152.4 mg, 0.306 mmol, 87% 수율)를 백색 분말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23 min, [MH]+ = 499.4.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14 (br. s, 1 H) 7.91 - 8.01 (m, 1 H) 7.83 (br. s., 1 H) 7.74 (br. s, 1 H) 7.32 - 7.48 (m, 5 H) 7.08 - 7.23 (m, 1 H) 6.83 (br. d, J=7.1 Hz, 1 H) 6.50 (br. s., 1 H) 5.29 (br. s., 2 H) 4.15 (s, 2 H) 4.06 (t, J=8.6 Hz, 2 H) 2.96 - 3.09 (m, 5 H) 2.55 - 2.64 (m, 1 H) 1.16 (d, J=5.9 Hz, 3 H) 0.93 - 1.07 (m, 1 H) 0.75 - 0.84 (m, 1 H) 0.62 - 0.71 (m, 1 H)
중간체 120: 2-(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2-페닐에틸 메탄설포네이트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143
디클로로메탄(1 mL) 중 6-(2-하이드록시-1-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9 mg, 0.110 mmol)의 용액에 질소 하에 메실-Cl(0.02 mL, 0.257 mmol) 및 Et3N(0.05 mL, 0.35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5 mL) 및 DCM(5 mL)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DCM(2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2-(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2-페닐에틸 메탄설포네이트(58 mg, 0.108 mmol, 97% 수율, 약 80% 순도)를 백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6 min, [MH]+ = 432.4.
중간체 121: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44
THF 중 피리딘-2-일마그네슘 브로마이드(1100 mg, 6.03 mmol)(Matrix Scientific으로부터 시판됨)의 용액에 0℃에서 질소 하에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650mg, 2.091 mmol) 4mL의 THF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mL의 포화된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에 이어 10mL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5mL의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에틸 아세테이트(3 x 2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SNAP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5g 컬럼, 40 내지 80% EtOAc/사이클로헥산에 이어 100%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32 mg, 1.006 mmol, 48.1% 수율)를 약 80% 순도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75분, [MH]+에 대해 m/z = 344
중간체 122: (±)-터트-부틸 2-(클로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45
디클로로메탄(1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32mg, 1.258 mmol)의 용액에 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0.73 mL, 10.00 mmol)를 적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터트-부틸 2-(클로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98 mg, 0.909 mmol, 72.3%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1.13분, [MH]+에 대해 m/z = 362
중간체 123: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피리딘-2-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46
아세트산(5 mL) 중 미정제 (±)-터트-부틸 2-(클로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598mg, 0.909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아연 분말(178 mg, 2.73 mmol)을 부분씩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의 아연 분말(60 mg, 0.92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7mL의 2M NaOH 용액 및 10mL의 물을 혼합물에 첨가한 후 10mL의 DCM을 첨가하였다. 수성 및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DCM으로 두 번 더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NAP 25g, 4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피리딘-2-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175 mg, 0.481 mmol, 52.9%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72분, [MH]+에 대해 m/z = 328
중간체 124: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피리딘-2-일)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47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피리딘-2-일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175 mg, 0.481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 mL)에 용해시키고, CO2/아세톤 조에서 질소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THF 중 1M)(1.4 mL, 1.40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메틸 아이오다이드(0.050 mL, 0.80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1mL의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온시켰다. 물 10mL를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필터를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피리딘-2-일)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190 mg, 0.473 mmol, 98% 수율)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1분, [MH]+에 대해 m/z = 342
중간체 125: (±)-2-(메틸카르바모일)-6-(1-(피리딘-2-일)에틸)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48
디클로로메탄(1 mL) 중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피리딘-2-일)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190mg, 0.473 mmol)의 용액에 TFA(1mL, 12.9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5mL의 DCM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5mL의 에테르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절차는 4회 반복되었다) (±)-2-(메틸카르바모일)-6-(1-(피리딘-2-일)에틸)이소니코틴산(330 mg, 0.463 mmol, 98%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약 40% 순도(불순물은 용매와 관련이 있다)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44분, [MH]+에 대해 m/z = 286
중간체 126: 2-((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49
(3-플루오로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10.41 mL, 10.41 mmol, THF 중 1M)를 THF 중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1 g, 4.16 mmol)의 용액에 -78℃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20℃로 가온시키고, 이어서 혼합물을 포화된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10 mL)으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오렌지색 검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실리카 컬럼(50 g) 상에서 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 2-((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25 g, 3.47 mmol, 83% 수율)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NaOH(6 mL, 12.00 mmol, 2M aq.)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주말 동안 실온에서 정치시켰다. 용매를 그 원래 부피의 반으로 증발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2M HCl에 의해 pH 3으로 산성화시킨 다음, 2시간 동안 정치시켜 고밀도 침전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고체를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2-((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0.71 g, 2.33 mmol, 56% 수율)을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52분, [MH]+ = 305.4.
중간체 127: (±)-터트-부틸 2-((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50
THF 중 (2-플루오로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184 mg, 0.923 mmol)(제조를 위해 WO 2012/138734호 참조)의 용액에 0℃에서 질소 하에 0.5ml의 THF 중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10 mg, 0.375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1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물(10mL)과 에틸 아세테이트(10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Biotage SNAP 10g 카트리지, 0-8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터트-부틸 2-((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99 mg, 0.192 mmol, 51.3%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1.10분, [MH]+에 대해 m/z = 361
중간체 128: (±)-2-((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51
(±)-터트-부틸 2-((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44 mg, 0.400 mmol)를 메탄올 (1.00 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1mL)에 취하였다. 2M 소듐 하이드록사이드(1.998 mL, 4.0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물(5ml)에 취하고, pH 2로 산성화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미정제 (±)-2-((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68 mg, 0.223 mmol, 55.9% 수율)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0.52분, [MH]+에 대해 m/z = 305
중간체 129: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2-온
Figure pct00152
1,4-디옥산(30 mL) 중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1.9025 g, 7.49 mmol), 4-브로모인돌린-2-온(1.0383 g, 4.90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0.6005 g, 0.734 mmol)과의 복합체 및 포타슘 아세테이트(1.4802 g, 15.08 m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10g 셀라이트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시켰다. 카트리지를 에틸 아세테이트(3 x 30 mL)를 통해 세척하고, 합친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갈색 액체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약 10 mL)에 재용해시키고, 100g SNAP 실리카 카트리지 위에 로딩하고, Biotage SP4 반자동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사이클로헥산 중 2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결정화 직전이었음)을 디클로로메탄(약 10 mL)에 재용해시키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켰다. 매번 모액을 따라내면서 잔류물을 에테르(5 x 5 mL)로 분쇄하고, 잔류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크림색 고체(941.8 mg, 3.63 mmol, 74.2%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3 min, [MH]+ = 260
중간체 130: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2-옥소인돌린-4-일)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53
1,4-디옥산(4.0 mL) 및 물(2.0 mL) 중 터트-부틸 2-(1-브로모비닐)-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380 mg, 0.724 mmol),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2-온(250.3 mg, 0.966 mmol), [1,3-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이미다졸-2-일리덴](3-클로로피리딜)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51.9 mg, 0.076 mmol) 및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492.6 mg, 2.321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암실에서 2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15 mL), 물(10 mL) 및 염수(5 mL)를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2 x 15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치고, 소수성 프릿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점착성 연갈색 고체(415.0 mg)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DMSO(4 mL) 및 메탄올(2 mL)에 재용해시키고, (MDAP)(2 x 3 mL 주입, 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황색 고체(103.2 mg, 0.262 mmol, 36.2%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05 min, [MH]+ = 394
중간체 131: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2-옥소인돌린-4-일)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54
에틸 아세테이트(20 mL) 및 에탄올(20 mL) 중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2-옥소인돌린-4-일)비닐)이소니코티네이트(260 mg, 0.661 mmol)의 용액을 10% 탄소상 팔라듐 촉매 카트리지 상에서 Thales H-Cube 장치를 사용하여 완전 H2 모드로 20℃에서 수소화시켰다.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황색 검(257.1 mg, 0.650 mmol, 98% 수율)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1.05분, [MH]+에 대해 m/z = 396
중간체 132: 2-(메틸카르바모일)-6-(1-(2-옥소인돌린-4-일)에틸)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55
DCM(8.0 mL) 중 (±)-터트-부틸 2-(메틸카르바모일)-6-(1-(2-옥소인돌린-4-일)에틸)이소니코티네이트(257 mg, 0.650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 mL, 12.98 mmol)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오렌지색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총 2일 동안 교반하였고, 그 동안 추가 DCM(4.0 mL, 7.5시간 후)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 6.49 mmol, 23.75시간 후)을 첨가하였다. 휘발성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짙은 적색 검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아세토니트릴(3 x 5 mL)과 공비혼합시키고, 휘발성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점착성 분홍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여기에 물(5 mL) 및 디클로로메탄(5 mL)을 첨가하고, 소수성 프릿이 장착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추가의 디클로로메탄(2 x 5 mL)으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갈색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디에틸 에테르(5 mL)와 공비혼합시키고, 휘발성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갈색 고체(158.9 mg, 0.398 mmol, 61.2%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0.54분, [MH]+에 대해 m/z = 340
중간체 133: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2-옥소인돌린-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56
(±)-2-(메틸카르바모일)-6-(1-(2-옥소인돌린-4-일)에틸)이소니코틴산(74 mg, 0.218 mmol)을 DMF(0.8 mL)에 용해시켰다. DIPEA(0.190 mL, 1.090 mmol)에 이어 HATU(120 mg, 0.316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7 mg, 0.43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16.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 방법)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NaHCO3 수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추출하고(2 x 20 mL), 건조시키고(Na2SO4), 진공에서 농축시켜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2-옥소인돌린-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9 mg, 0.089 mmol, 41.0%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5분, [MH]+에 대해 m/z = 393
중간체 134: 터트-부틸 2-(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57
5-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500 mg, 2.54 mmol)(Fluorochem으로부터 시판됨) 및 트리이소프로필 보레이트(0.589 mL, 2.54 mmol)를 톨루엔(6 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 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78℃로 냉각시키고, n-부틸 리튬(헥산 중 1.6M)(1.586 mL, 2.54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천천히 가온시키고, 이소프로판올(1 mL)로 켄칭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아세톤(20 mL)에 재현탁시켰다. 생성된 크림색 현탁액을 여과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리튬 이미다조[1,2-a]피리딘-5-일트리이소프로폭시보레이트(371mg)를 약 50% 순도로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1,4-디옥산(2 mL) 및 물(0.500 mL) 중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00 mg, 0.351 mmol), 상기 기재된 대로 제조된 미정제 트리이소프로필 이미다조[1,2-a]피리딘-5-일보레이트, 리튬 염(200 mg, 약 0.320 mmol), 클로로(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바이페닐)[2-(2'-아미노-1,1'-바이페닐)]팔라듐(II) 리간드(41 mg, 0.052 mmol)(Aldrich로부터 시판됨) 및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149 mg, 0.702 mmol)의 혼합물을 5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70℃에서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 동안 가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이전 반응 혼합물 배치(이 배치의 약 50%의 규모)와 합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켜 미정제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실리카(Biotage SNAP 25g 카트리지, 330ml 이상의 10-80%의 MeOH 중 20% 2M NH3/DCM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터트-부틸 2-(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41 mg, 0.308 mmol, 88% 수율)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80% 순도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61분, [MH]+에 대해 m/z = 367
중간체 135: 2-(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58
1,4-디옥산(2 mL) 및 물(2 mL) 중 터트-부틸 2-(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40 mg, 0.382 mmol)의 용액에 리튬 하이드록사이드(23 mg, 0.9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Cl(2M 수용액)(0.480 mL, 0.95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담황색 고체로서 미정제 2-(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60 mg, 0.293 mmol, 77% 수율)을 리튬 클로라이드와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0.48분, [MH]+에 대해 m/z = 311
중간체 136: 터트-부틸 4-브로모-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59
디클로로메탄(5mL) 중 피리딘(1.210 mL, 14.96 mmol)의 용액에 질소 하에 4-브로모-1H-피롤로[2,3-c]피리딘(2.68 g, 13.60 mmol)(Aldrich로부터 시판됨) 및 디-터트-부틸 디카르보네이트(3.27 g, 14.9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mL의 2M HCl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DCM(2 x 5mL)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4-브로모-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4.19 g, 12.69 mmol, 93%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1.15분, [MH]+에 대해 m/z = 297, 299
중간체 137: (1-(터트-부톡시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보론산
Figure pct00160
1,4-디옥산(10mL) 중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3.22 g, 12.68 mmol), 포타슘 아세테이트(1.899 g, 19.35 mmol) 및 터트-부틸 4-브로모-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2.13 g, 6.4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944 g, 1.29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퍼징시키고, 80℃에서 18시간 동안, 이어서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30mL) 염수(10mL) 및 에틸 아세테이트(30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20mL의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1-(터트-부톡시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보론산(4.49 g, 6.00 mmol, 93% 수율)을 약 60% 순도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51분, [MH]+에 대해 m/z = 263
중간체 138: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61
포타슘 카르보네이트(568 mg, 4.11 mmol)를 불순한 (1-(터트-부톡시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4-일)보론산(4g, 5.34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785 g, 1.073 mmol) 및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698g, 5.37 mmol)와 1,4-디옥산(20 mL) 및 물(10mL) 중에서 합쳤다.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시킨 후 물(30mL) 염수(10mL) 및 에틸 아세테이트(30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에틸 아세테이트(3 x 3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Biotage SNAP 100g 컬럼, 사이클로헥산 중 0 내지 6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60 내지 100%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760 mg, 1.548 mmol, 28.8%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5분, [MH]+에 대해 m/z = 467
중간체 139: (±)-터트-부틸 4-(1-(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62
터트-부틸 4-((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370 mg, 0.753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2.5mL)에 용해시키고, CO2/아세톤 조에서 질소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THF 중 1M)(3.0 mL, 3.0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아이오도에탄(0.13 mL, 1.617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1mL의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10mL)과 에틸 아세테이트(10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Snap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g 컬럼에 의해, 0-8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터트-부틸 4-(1-(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222 mg, 0.404 mmol, 53.6% 수율)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92분, [MH]+에 대해 m/z = 495
중간체 140: (±)-2-(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63
디클로로메탄(1 mL) 중 (±)-터트-부틸 4-(1-(4-(터트-부톡시카르보닐)-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1-카르복실레이트(222 mg, 0.404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0 mL, 12.9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5mL의 에테르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절차는 x 4 반복됨) (±)-2-(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24 mg, 0.331 mmol, 82%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49분, [MH]+에 대해 m/z = 339
중간체 141: 4-브로모-7-메틸-1-토실-1H-피롤로[2,3-c]피리딘
4-브로모-7-메틸-1H-피롤로[2,3-c]피리딘(예를 들어, Pharmablocks로부터 시판됨, 500 mg, 2.369 mmol)을 질소 하에 DMF(5 mL)에 취하고, 얼음-조에서 냉각시켰다. NaH(광유 중 60% 현탁액, 114 mg, 2.8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토실 클로라이드(542 mg, 2.8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실온으로 가온되게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물(20mL)로 희석하고, EtOAc(2 x 25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25g 실리카 카트리지에 최소 DCM으로 적용하고, 2CV에 대해 사이클로헥산 중 0% 에틸 아세테이트, 이후 10CV 이상에서 0-25% 에틸 아세테이트, 이후 5CV에 대해 %로 유지하며 용리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447 mg, 1.163 mmol, 49.1% 수율)을 크림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49분, [MH]+에 대해 m/z = 339
중간체 142: 7-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토실-1H-피롤로[2,3-c]피리딘
Figure pct00165
4-브로모-7-메틸-1-토실-1H-피롤로[2,3-c]피리딘(440mg, 1.205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459 mg, 1.807 mmol) 및 포타슘 아세테이트(355 mg, 3.61 mmol)를 1,4-디옥산(10 mL)에서 합치고, 혼합물을 통해 10분 동안 질소를 취입시켰다. PdCl2(dppf)(176 mg, 0.241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 주말 동안 50℃로 가열시켰다. 추가 부분의 PdCl2(dppf)(176 mg, 0.241 mmol)를 첨가하고, 가열을 밤새 65℃로 증가시켰다. 반응물을 냉각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케익을 EtOAc(20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물(25mL)로 세척한 다음 Na2SO4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미정제 생성물(1.0688g, 0.259 mmol, 21.52% 수율)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1.30분, [MH]+에 대해 m/z = 413.6
중간체 143: 터트-부틸 2-((7-메틸-1-토실-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66
7-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토실-1H-피롤로[2,3-c]피리딘(1.0688 g, 0.259 mmol)을 1,4-디옥산(3 mL) 및 물(1.5 mL)에 취하였다. 터트-부틸 2-(클로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0.066 g, 0.233 mmol) 및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0.165 g, 0.778 mmol)를 첨가하고, 용액을 통해 10분 동안 질소 버블링하였다. [1,3-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이미다졸-2-일리덴](3-클로로피리딜)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0.018 g, 0.02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5시간 동안 80℃로 가열시킨 다음, 반응물을 냉각되게 두고 주말 동안 정치시켰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 및 물(각 25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EtOAc(25mL)로 재추출하였다. 합친 유기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DAP(고 pH 방법)에 의해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44.2 mg, 0.079 mmol, 30.3% 수율)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1.29분, [MH]+에 대해 m/z = 533.5
중간체 144: 2-((7-메틸-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67
터트-부틸 2-((7-메틸-1-토실-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44.2 mg, 0.083 mmol)를 메탄올(2 mL) 및 THF(2.0 mL)에 취하였다. 1M LiOH(0.413 mL, 0.413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60℃로 가열시켰다. 반응물을 냉각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0.51분, [MH]+에 대해 m/z = 325.4
중간체 145: 1-(터트-부틸디메틸실릴)-4-아이오도-1H-피롤로[2,3-b]피리딘
Figure pct00168
0℃로 냉각된 THF(16 mL) 중 4-아이오도-1H-피롤로[2,3-b]피리딘(1 g, 4.10 mmol)의 용액에 NaHMDS(THF 중 1M, 4.51 mL, 4.51 mmol)를 적가하였다. 15분 후, TBDMS-Cl(0.803 g, 5.3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 동안 0℃에서 그리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75 mL) 및 DCM(75 mL)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소량의 MeOH을 분리를 돕기 위해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DCM(2 x 50 mL)으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물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미정제 생성물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것을 사이클로헥산에 취하고, 플래쉬 SP4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50 g SNAP 실리카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100% 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하고, 톨루엔에 재용해시키고, 다시 농축시켜 임의의 잔여 물을 제거함으로써, 요망되는 생성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 1-(터트-부틸디메틸실릴)-4-아이오도-1H-피롤로[2,3-b]피리딘(1.41 g, 3.94 mmol, 96% 수율)
LCMS (2분 고 pH): Rt = 1.71 min, [MH]+ = 359.1.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7.91 (d, J=5.0 Hz, 1 H) 7.56 (d, J=3.5 Hz, 1 H) 7.53 (d, J=5.0 Hz, 1 H) 6.42 (d, J=3.5 Hz, 1 H) 0.87 (s, 9 H) 0.62 (s, 6 H)
중간체 146: (+/-)-터트-부틸 2-((1-(터트-부틸디메틸실릴)-1H-피롤로[2,3-b]피리딘-4-일)(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69
0℃로 냉각된 THF(4 mL) 중 1-(터트-부틸디메틸실릴)-4-아이오도-1H-피롤로[2,3-b]피리딘(305 mg, 0.851 mmol)의 용액에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THF 중 1.89M, 0.480 mL, 0.908 mmol)를 적가하고, 반응물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터트-부틸 2-포르밀-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50 mg, 0.568 mmol)를 THF(4 mL) 중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추가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포화된 NH4Cl 수용액(20 mL)으로 켄칭시킨 다음 EtOAc(20 mL)를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2 x 20 mL)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물을 건조시키고(Na2SO4), 진공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사이클로헥산(몇 방울의 DCM과 함께)에 취하고, SNAP 실리카 25 g 카트리지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플래쉬 SP4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6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 터트-부틸 2-((1-(터트-부틸디메틸실릴)-1H-피롤로[2,3-b]피리딘-4-일)(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60 mg, 0.322 mmol, 57% 수율)
LCMS (2분 고 pH): Rt = 1.49 min, [MH]+ = 497.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8.94 (q, J=4.5 Hz, 1 H) 8.22 (d, J=4.8 Hz, 1 H) 8.20 (d, J=1.5 Hz, 1 H) 8.04 (d, J=1.5 Hz, 1 H) 7.43 (d, J=3.5 Hz, 1 H) 7.25 (d, J=5.3 Hz, 1 H) 6.87 (d, J=3.5 Hz, 1 H) 6.54 (d, J=5.0 Hz, 1 H) 6.24 (d, J=4.8 Hz, 1 H) 2.88 (d, J=4.8 Hz, 3 H) 1.54 (s, 9 H) 0.87 (s, 9 H) 0.59 (d, J=4.0 Hz, 6 H)
중간체 147: (+/-)-터트-부틸 2-((1-(터트-부틸디메틸실릴)-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톡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
Figure pct00170
트리메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43 mg, 0.966 mmol)를 DCM(1 mL) 중 터트-부틸 2-((1-(터트-부틸디메틸실릴)-1H-피롤로[2,3-b]피리딘-4-일)(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160 mg, 0.322 mmol) 및 N1,N1,N8,N8-테트라메틸나프탈렌-1,8-디아민(221 mg, 1.031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양성자 스폰지(74 mg) 및 트리메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48 mg)를 차례로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EtOAc(20 mL)로 희석하고,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20 mL)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2 x 20 mL)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물을 NH4Cl(2 x 10 mL)로 세척한 다음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사이클로헥산에 취하고, SNAP 10 g 실리카 카트리지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플래쉬 SP4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6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TLC는 이 생성물이 잔여 양성자 스폰지를 여전히 함유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미정제 생성물을 사이클로헥산에 취하고, SNAP 10 g 실리카 카트리지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플래쉬 SP4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4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재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TLC는 이 생성물이 잔여 양성자 스폰지를 여전히 함유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미정제 생성물을 사이클로헥산에 취하고, SNAP 25 g 실리카 카트리지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플래쉬 SP4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5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재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순수한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 터트-부틸 2-((1-(터트-부틸디메틸실릴)-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톡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99 mg, 0.194 mmol, 60% 수율).
LCMS (2분 고 pH): Rt = 1.63 min, [MH]+ = 511.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8.70 (q, J=4.9 Hz, 1 H) 8.24 (d, J=4.8 Hz, 1 H) 8.22 (d, J=1.5 Hz, 1 H) 8.06 (d, J=1.5 Hz, 1 H) 7.46 (d, J=3.5 Hz, 1 H) 7.26 (d, J=5.0 Hz, 1 H) 6.87 (d, J=3.5 Hz, 1 H) 5.89 (s, 1 H) 3.44 (s, 3 H) 2.87 (d, J=4.8 Hz, 3 H) 1.55 (s, 9 H) 0.86 (s, 9 H) 0.59 (s, 6 H)
중간체 148: (+/-)-2-(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Figure pct00171
메탄올(1.2 mL) 중 터트-부틸 2-((1-(터트-부틸디메틸실릴)-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톡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99 mg, 0.194 mmol)를 함유하는 플라스크에 소듐 하이드록사이드(H2O 중 2M, 500 μL, 1.0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Cl(H2O 중 2M, 500 μL, 1.00 mmol)을 첨가하고(pH 약 4)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크림색 고체로서 수득하였고 - 2-(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28 mg, 0.188 mmol, 97% 수율, 약 50% 순도), 이것을 다음 반응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8 min, [MH]+ = 341.1.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66 (br. s., 1 H) 8.61 (q, J=4.5 Hz, 1 H) 8.24 (d, J=1.3 Hz, 1 H) 8.21 (d, J=4.8 Hz, 1 H) 8.01 (d, J=1.5 Hz, 1 H) 7.40 - 7.44 (m, 1 H) 7.24 (d, J=5.0 Hz, 1 H) 6.65 (dd, J=3.4, 1.9 Hz, 1 H) 5.82 (s, 1 H) 3.41 (s, 3 H) 2.87 (d, J=4.8 Hz, 3 H). 하나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체 149: 6-(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pct00172
DMF(0.9 mL) 중 2-(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0중량%, 128 mg, 0.188 mmol)의 용액에 차례로 HATU(107 mg, 0.282 mmol) 및 DIPEA(0.099 mL, 0.56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분 동안 교반한 다음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3 mg, 0.28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 용액을 2개의 MDAP 바이알에 직접 첨가하고, MeOH/DMSO에 의해 (2 x 0.9 mL)로 희석시켰다. 이들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생성물을 회백색 고체(43 mg, 0.109 mmol, 58%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1 min, [MH]+ = 394.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67 (br. s., 1 H) 8.94 (d, J=4.3 Hz, 1 H) 8.62 - 8.69 (m, 1 H) 8.29 (d, J=1.0 Hz, 1 H) 8.22 (d, J=5.0 Hz, 1 H) 8.07 (d, J=1.5 Hz, 1 H) 7.44 (dd, J=3.1, 1.9 Hz, 1 H) 7.25 (d, J=4.8 Hz, 1 H) 6.69 (br. d, J=2.8 Hz, 1 H) 5.85 (s, 1 H) 3.42 (s, 3 H) 2.87 (d, J=4.8 Hz, 3 H) 2.56 (dq, J=7.4, 3.8 Hz, 1 H) 1.03 - 1.08 (m, 3 H) 0.92 - 1.02 (m, 1 H) 0.74 - 0.82 (m, 1 H)
중간체 150: 터트-부틸(사이클로펜트-3-엔-1-일옥시)디메틸실란
Figure pct00173
사이클로펜트-3-엔-1-올(5 g, 59.4 mmol, 예를 들어, Astatech로부터 시판됨)을 DCM(100 mL)에 용해시키고, TBDMS-Cl(8.96 g, 59.4 mmol) 및 이미다졸(4.86 g, 71.3 mmol)을 첨가한 다음,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2 x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터트-부틸(사이클로펜트-3-엔-1-일옥시)디메틸실란(12.05g, 60.7 mmol, 102% 수율)을 담황색 액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5.68 (s, 2 H) 4.50 - 4.62 (m, 1 H) 2.59 (dd, J=14.9, 6.8 Hz, 2 H) 2.23 - 2.37 (m, 2 H) 0.91 (s, 9 H) 0.09 (s, 6 H).
중간체 151: (1R,5S,6r)-에틸 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74
에틸 디아조아세테이트(6.90 mL, 66.5 mmol, 예를 들어, Sigma Aldrich로부터 시판됨)를 DCM(150 mL)에 용해시키고, 약 5시간 동안 DCM(150 mL) 중 로듐(II) 아세테이트 이합체(1 g, 2.263 mmol, 예를 들어, Sigma Aldrich로부터 시판됨) 및 터트-부틸(사이클로펜트-3-엔-1-일옥시)디메틸실란(12g, 60.5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생성된 녹색 용액을 밤새 교반시킨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녹색 액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340g 실리카 컬럼 위에 로딩시키고, 0-4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에틸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카르복실레이트(5.5g, 19.33 mmol, 32.0% 수율)를 무색 액체로서 제공하였다 - NMR은 약 3:1 비의 실릴 에테르 위치에서의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요망되는 생성물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것은 미정제인 채로 다음 단계로 운반되었다.
LCMS (2분 고 pH): Rt = 0.96 min, [MH]+ = 존재하지 않음.
중간체 152: 벤질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75
단계 1: 소듐 하이드록사이드(20 mL, 40.0 mmol)를 에탄올(50 mL) 중 에틸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카르복실레이트(5.0g, 17.58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모든 출발 물질이 소비되었음을 나타내었고, 혼합물을 진공에서 약 30 mL 부피로 증발시킨 다음, 물(30 mL)로 희석하고, 에테르(50 mL)로 세척하였다. 작업으로부터의 에테르 세척물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회수된 출발 물질 (3.85 g)인 에틸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카르복실레이트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에탄올(30 mL)에 용해시키고, 2M NaOH 수용액(20 m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시킨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50mL)에 용해시키고, 에테르(50mL)로 세척한 다음, 수성층을 2M HCl(20mL)로 산성화하고, EtOAc(2 x 5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물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카르복실산(1.9g, 7.41 mmol, 42.2%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운반하였다.
단계 2: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카르복실산(1.8 g, 7.02 mmol)을 톨루엔(20 mL) 및 Et3N(1.957 mL, 14.04 mmol)의 혼합물에 용해시킨 다음, DPPA(1.815 mL, 8.4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벤질 알콜(1.095 mL, 10.5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시킨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를 첨가하고, 용액을 물(2 x 100mL)로 세척한 다음,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CM(10 mL)에 용해시키고, 50g 실리카 컬럼 위에 로딩시킨 다음, 0-3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과망간산염 침지에 의해 검출됨)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벤질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카르바메이트(1.90g, 5.26 mmol, 74.9% 수율)를 담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NMR은 약 2:1 비의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요망되는 화합물과 일치한다.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옮겼다.
LCMS (2분 포름산): Rt = 1.56 min, [MH]+ = 362.6.
중간체 153: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
Figure pct00176
벤질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카르바메이트(1.9g, 5.26 mmol)를 에탄올(100 mL)에 용해시키고, H-Cube에서 대기압 및 1 mL/분 유량으로 수소화시켰다. 용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1.12g, 4.92 mmol, 84% 수율)을 담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NMR은 실릴 에테르 위치에서의 이성질체의 대략 동등한 혼합물로서 요망되는 생성물과 일치한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ppm 4.23 (t, J=1.0 Hz, 1 H) 3.81 (q, J=1.0 Hz, 1 H) 3.48 (s, 2 H) 2.49 (s, 1 H) 1.93 - 2.08 (m, 5 H) 1.63 (d, J=13.0 Hz, 3 H) 1.25 - 1.33 (m, 1 H) 1.13 - 1.25 (m, 3 H) 0.80 - 0.92 (m, 18 H) -0.04 - 0.06 (m, 12 H).
중간체 154: N 4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6-((S)-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77
(S)-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100 mg, 0.352 mmol), HATU(160 mg, 0.422 mmol), DMF(2 mL) 및 DIPEA(0.184 mL, 1.055 mmol)를 플라스크로 혼합시키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96 mg, 0.42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고, 합친 유기물을 10% LiCl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을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황색 오일로 농축시켰다. 이후 이것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사이클로헥산 중 0 내지 32%의 (AcOEt 중 25% Et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156.7 mg, 0.279 mmol, 82% 수율)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53 min, [MH]+ = 494.4
중간체 155: 6-벤질-N 4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78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5 mg, 0.129 mmol), HATU(59.1 mg, 0.155 mmol), DMF(1.2 mL) 및 DIPEA(0.068 mL, 0.388 mmol)를 플라스크로 혼합시키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35.3 mg, 0.155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하고, EtOAc(3 x 30mL)로 추출하고, 합친 유기물을 10% LiCl 수용액(20 mL)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을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황색 오일로 농축시켰다. 이후 이것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사이클로헥산(10CV) 중 0 내지 40%의 (EtOAc 중 25% Et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113.5 mg, 0.208 mmol, 59.3% 수율)을 오렌지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49 min, [MH]+ = 480.4
중간체 156: N 4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79
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85 mg, 0.578 mmol), HATU(264 mg, 0.693 mmol), DMF(4 mL) 및 DIPEA(0.303 mL, 1.733 mmol)를 플라스크로 혼합시키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158 mg, 0.693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DIPEA(0.303 mL, 1.73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HATU(264 mg, 0.693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4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EtOAc(3x40 mL)로 추출하고, 합친 유기물을 10% LiCl 수용액(20 mL), 포화된 NaHCO3 용액(20 mL)으로 세척하고, 소수성 프릿을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오렌지색 오일로 농축시켰다. 이것을 먼저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사이클로헥산(10CV) 중 0 내지 32%의 (AcOEt 중 25% Et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킨 다음, 두 번째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사이클로헥산(10CV) 중 20 내지 80%의 AcOEt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168.3 mg, 0.147 mmol, 44.7% 수율)을 오렌지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52분, [MH]+ = 510.4
실시예
실시예 1: (+/-)-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6-(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0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100 mg, 0.352 mmol), HATU(204 mg, 0.537 mmol), DIPEA(0.19 mL, 1.088 mmol),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5 mL, 0.722 mmol) 및 DMF(3 mL)를 실온에서 N2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켜 750 mg의 오렌지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25 g 카트리지, 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켜 83 mg의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샘플을 1:1 MeOH: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6-(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8 mg, 0.161 mmol, 45.9%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8 min, [MH]+ = 324.0.
실시예 2: 6-벤질-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1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30 mg, 0.481 mmol), HATU(267 mg, 0.702 mmol), DIPEA(0.25 mL, 1.431 mmol),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7 mL, 1.010 mmol) 및 DMF(3 mL)를 실온에서 N2 하에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켜 60 mg의 오렌지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25 g 카트리지, 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켜 139 mg의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25 g 카트리지, 5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켜 83 mg의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MF(1 mL)에 취하고, MDAP(포름산)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농축시켜 6-벤질-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6 mg, 0.192 mmol, 39.9%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1 min, [MH]+ = 310.0.
실시예 3: 6-벤질-N 4 -사이클로부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2
6-브로모-N4-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6 mg, 0.147 mmol), 벤질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M, 0.5 mL, 0.250 mmol), PdCl2(PPh3)2(12 mg, 0.017 mmol) 및 THF(1.5 mL)를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검정색 용액을 Celite® 상에서 여과하고,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고,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70 mg의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샘플을 1:1 MeOH: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액을 농축시켜 6-벤질-N4-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3 mg, 0.064 mmol, 43.4%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2분, [MH]+ = 324.0.
실시예 4: (+/-)-N 4 -사이클로부틸-N 2 -메틸-6-(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3
6-브로모-N4-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6 mg, 0.147 mmol), (1-페닐에틸)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M, 0.147 mL, 0.074 mmol), PdCl2(PPh3)2(16 mg, 0.023 mmol) 및 THF(1 mL)를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110℃에서 추가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1-페닐에틸)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M, 0.3 mL, 0.150 mmol), PdCl2(PPh3)2(11 mg, 0.016 mmol) 및 THF(0.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수성층을 EtOAc(3 x 30 mL)로 추가로 추출하고, 합친 유기물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120 mg의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31 mg의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샘플을 1:1 MeOH: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액을 농축시켜 N4-사이클로부틸-N2-메틸-6-(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1 mg, 0.056 mmol, 38.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8 min, [MH]+ = 338.0.
실시예 5: (S * )-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6-(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6: (R * )-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6-(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4
실시예 1(53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라세미체를 EtOH(1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0.5 mL의 용액을 컬럼(2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IC)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2회. 21-23.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25-28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5(26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8 min, [MH]+ = 324.2.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6(20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8 min, [MH]+ = 324.1.
실시예 7: 6-벤질-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5
6-브로모-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80 mg, 0.256 mmol), 벤질아연(II) 브로마이드(THF 중 0.5 M, 0.871 mL, 0.436 mmol), PdCl2(PPh3)2(27 mg, 0.038 mmol) 및 THF(1.5 mL)를 11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가열하였다. 검정색 용액을 Celite® 상에서 여과하고,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고,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약 149 mg의 미정제 생성물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카트리지, 10-7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86 mg의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1:1 DMSO:MeOH(1 mL)에 취하고, MDAP(포름산)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NaHCO3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추출하고(2 x 50 mL), 건조시키고(Na2SO4), 진공에서 농축시켜 6-벤질-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8 mg, 0.161 mmol, 63.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0 min, [MH]+ = 324.4.
실시예 8: 6-((1H-인다졸-7-일)메틸)-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6
6-(클로로메틸)-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6 mg, 0.247 mmol)를 7-(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인다졸(68 mg, 0.279 mmol), 포타슘 카르보네이트(104 mg, 0.753 mmol) 및 PdCl2(dppf)(34 mg, 0.046 mmol)와 1,4-디옥산(2 mL) 및 물(1 mL) 중에서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합쳤다. 이것을 12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EtOAc(10 mL)와 물(10 mL) 사이에서 분배시키고, 추가 EtOAc(2 x 10 mL)로 추출하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240 mg의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25 g, 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6-((1H-인다졸-7-일)메틸)-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3 mg, 0.111 mmol, 44.9% 수율)를 연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0 min, [MH]+ = 350.5.
실시예 9: 6-(3-(2-하이드록시에톡시)벤질)-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7
1,3-디옥솔란-2-온(11.47 mg, 0.130 mmol)을 DMF(4 mL) 중 6-(3-하이드록시벤질)-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4 mg, 0.100 mmol) 및 K2CO3(27.7 mg, 0.20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가 당량의 1,3-디옥솔란-2-온(11.47 mg, 0.13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추가 2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고, 추가 당량의 1,3-디옥솔란-2-온(11.47 mg, 0.130 mmol)을 다시 한 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가 1,3-디옥솔란-2-온(11.47 mg, 0.130 mmol)을 첨가하였다. 최종 당량의 1,3-디옥솔란-2-온(11.47 mg, 0.13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세척하고(1x 물, 2x 포화된 수성 NaHCO3), 소수성 프릿을 통해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무색 오일로 증발시켰다. 이후 샘플을 10 g Biotage® SNAP 컬럼을 사용하여 30-100% EtOAc/사이클로헥산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투명한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후 샘플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40℃의 진공 오븐에 1시간 동안 두었다. 샘플을 MDAP(포름산)를 통해 추가로 정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백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후 샘플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16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40℃에서 1시간 동안 진공에 두어 요망되는 생성물(12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4 min, [MH]+ = 384.4.
실시예 10: N 4 -사이클로프로필-6-(2-플루오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8
DMF(0.8 mL) 중 2-(2-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5.2 mg, 0.125 mmol, 80중량%)의 용액에 HATU(64.2 mg, 0.169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2 mL, 0.289 mmol) 및 DIPEA(0.1 mL, 0.57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추출한 다음(2 x 20 mL),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2-플루오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3.4 mg, 0.068 mmol, 60.3%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4 min, [MH]+ = 328.2.
실시예 11: N 4 -((1S,2S)-2-(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6-(3-메톡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9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0 mg, 0.100 mmol)을 DCM(10 mL)에 현탁시키고, Et3N(0.028 mL, 0.200 mmol) 및 HATU(49.4 mg, 0.130 mmol)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S,2S)-2-아미노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52 mg, 0.150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황색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물(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켜 N4-((1S,2S)-2-(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6-(3-메톡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5 mg, 0.068 mmol, 67.7% 수율)를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5 min, [MH]+ = 370.3.
실시예 12: N 4 -사이클로프로필-6-(3-메톡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90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0 mg, 0.133 mmol)을 DCM(10 mL)에 현탁시키고, Et3N(0.037 mL, 0.266 mmol) 및 HATU(65.8 mg, 0.173 mmol)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사이클로프로필아민(0.028 mL, 0.40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황색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물(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3-메톡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5 mg, 55.3% 수율)를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5 min, [MH]+ = 340.2.
실시예 13: 6-(3-메톡시벤질)-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91
HATU(425 mg, 1.119 mmol)를 DMF(4 mL) 중 2-(3-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10 mg, 0.699 mmol),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90 mg, 0.839 mmol) 및 DIPEA(0.366 mL, 2.09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세척하고(1x 물, 2x 포화된 수성 NaHCO3), 소수성 프릿을 통해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갈색 오일로 증발시켰다. 이후 샘플을 10 g Biotage® SNAP 컬럼을 사용하여, 0-8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이후 샘플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40℃에서 1시간 동안 진공에 두어 요망되는 생성물(206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1 min, [MH]+ = 354.3.
실시예 14: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단량체의 아미드 어레이
Figure pct00192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62 mg) + HATU(228 mg)로 제조된 원액을 DMF(3 mL)에 함께 용해시켰다. DIPEA(330 μL)를 첨가하고, 바이알을 캡핑하고, 용해를 돕기 위해 진탕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의 분취량(0.5 mL, 0.1 mmol)을 상기 도시된 구조를 갖는 미리 칭량된 아민(0.120 mmol)에 매트릭스 바이알(1.2 mL)에서 첨가하였다. 이것을 캡핑하고, 진탕시켜 내용물을 분산시킨 다음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이후 반응 혼합물에 T3P(EtOAc 중 50%, 120 μL) + DIPEA(55 μL)를 첨가하고, 추가로 출발 아민(+/-)-(트랜스)-2-아미노사이클로부탄올(20 mg)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진탕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정치되게 두었다. 샘플을 그대로 주입하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후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건조시켜 하기 표에 열거된 요구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Figure pct00193
* 모든 LCMS는 2분 고 pH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실시예 15: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단량체의 아미드 어레이
Figure pct00194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을 HATU(0.038 g, 0.100 mmol) 및 DIPEA(0.052 mL, 0.300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DMF(0.5 mL)에 용해시키고, 5분 동안 정치시켰다. 이 용액을 아민(0.100 mmol)에 분산시키고, 반응물을 24시간 동안 22℃에서 정치시켰다. 이후 T3P(0.2 mmol)를 반응물에 첨가하고, 진행을 L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후 DMF 중 샘플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건조시켜 하기 표에 열거된 요구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Figure pct00195
* 모든 LCMS는 2분 고 pH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실시예 16: (S)-N 4 -사이클로프로필-6-(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96
DMF(2 mL) 중 (S)-2-(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82 mg, 0.238 mmol)의 용액에 HATU(136 mg, 0.357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35 mL, 0.505 mmol) 및 DIPEA(0.166 ml, 0.95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공기 중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HATU(136 mg, 0.357 mmol) 및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35 mL, 0.50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NaHCO3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진공에서 농축시켜 (S)-N4-사이클로프로필-6-(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7 mg, 0.040 mmol, 16.76%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3 min, [MH]+ = 384.2.
실시예 17: N 4 -사이클로프로필-6-(3-(2-하이드록시에톡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97
DMF(1 mL) 중 2-(3-(2-하이드록시에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98 mg, 0.297 mmol)의 용액에 HATU(169 mg, 0.445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33.9 mg, 0.593 mmol) 및 DIPEA(0.207 ml, 1.187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황색 용액은 아민의 첨가 후에 갈색이 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NaHCO3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3-(2-하이드록시에톡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7.6 mg, 0.048 mmol, 16.06%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7 min, [MH]+ = 370.2.
실시예 18: 6-((1H-인돌-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98
DMF(0.8 mL) 중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7 mg, 0.052 mmol, 59중량%)의 용액에 HATU(49.8 mg, 0.131 mmol)에 이어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78 mg, 0.175 mmol) 및 DIPEA(0.076 mL, 0.43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황색 용액은 아민의 첨가 후에 갈색이 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NaHCO3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추출한 다음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6-((1H-인돌-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2.4 mg, 0.031 mmol, 59.8%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6 min, [MH]+ = 363.2.
실시예 19: N 4 -사이클로프로필-6-(4-메톡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99
DMF(0.7 mL) 중 2-(4-메톡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62 mg, 0.162 mmol, 78.5중량%)의 용액에 HATU(118 mg, 0.310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29 mL, 0.419 mmol) 및 DIPEA(0.180 mL, 1.03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황색 용액은 아민의 첨가 후에 갈색이 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NaHCO3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추출한 다음(2 x 20 mL),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4-메톡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8 mg, 0.106 mmol, 65.6%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2분, [MH]+ = 340.1.
실시예 20: 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6-(2-메틸벤질)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0
DMF(0.9 mL) 중 2-(2-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3.8 mg, 0.043 mmol, 89중량%)의 용액에 HATU(27.7 mg, 0.073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1 mL, 0.144 mmol) 및 DIPEA(0.040 mL, 0.22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황색 용액은 아민의 첨가 후에 갈색이 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NaHCO3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이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6-(2-메틸벤질)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2 mg, 0.012 mmol, 27.1%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9 min, [MH]+ = 324.3.
실시예 21: 6-((1H-인돌-4-일)메틸)-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1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00 mg, 0.647 mmol)을 DMF(5 mL)에 취하였다. DIPEA(0.339 mL, 1.940 mmol) 및 HATU(369 mg, 0.97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90 mL, 1.293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취하고,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10 mL)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10 mL)로 세척한 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샘플을 1:1 MeCN: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구되는 생성물(23 mg)을 크림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9 min, [MH]+ = 349.3.
실시예 22: N 4 -사이클로프로필-6-(3-플루오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2
DMF(0.8 mL) 중 2-(3-플루오로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3 mg, 0.147 mmol, 80중량%)의 용액에 HATU(105 mg, 0.276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3 mL, 0.433 mmol) 및 DIPEA(0.161 mL, 0.92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이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3-플루오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6.6 mg, 0.081 mmol, 55.2%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5 min, [MH]+ = 328.2.
실시예 23: 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6-(3-메틸벤질)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3
DMF(0.8 mL) 중 2-(3-메틸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02 mg, 0.359 mmol)의 용액에 HATU(205 mg, 0.538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0.070 mL, 1.010 mmol) 및 DIPEA(0.2 mL, 1.14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이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6-(3-메틸벤질)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5.1 mg, 0.078 mmol, 21.63%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0 min, [MH]+ = 324.2.
실시예 24: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2-옥소인돌린-4-일)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4
DMF(0.8 mL) 중 2-(메틸카르바모일)-6-((2-옥소인돌린-4-일)메틸)이소니코틴산(55.7 mg, 0.080 mmol, 47중량%)의 용액에 HATU(78 mg, 0.205 mmol)에 이어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 mg, 0.186 mmol) 및 DIPEA(0.120 mL, 0.68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이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2-옥소인돌린-4-일)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2 mg, 0.052 mmol, 65.0%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9 min, [MH]+ 379.3.
실시예 25: N 4 -사이클로프로필-6-(인돌린-4-일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5
벤질 4-((4-(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6-(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31.8 mg, 0.066 mmol)를 메탄올(10 mL)에 용해시키고, H-Cube에서 Pd/C 촉매 카트리지 상에서 완전 H2 모드로 1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용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인돌린-4-일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3 mg, 6.24 μmol, 9.50%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48 min, [MH]+ 351.2.
실시예 26: N 4 -사이클로프로필-6-(3-하이드록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6
DCM(3 mL) 중 N4-사이클로프로필-6-(3-메톡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20 mg, 0.354 mmol)의 현탁액을 N2 하에 0℃로 냉각시키고, BBr3(DCM 중 1M, 1.76 mL, 1.760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물(1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이후 유기 추출물을 포화된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농축시켜 황색 오일 - N4-사이클로프로필-6-(3-하이드록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17.3 mg, 0.288 mmol, 82% 수율, 약 80% 순도)를 제공하였다. 12 mg의 이 샘플을 MDAP(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이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3-하이드록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3 mg, 9.13 μmol, 2.58%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7 min, [MH]+ 326.2.
실시예 27: (R)-N 4 -사이클로프로필-6-(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7
N4-사이클로프로필-6-(3-하이드록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3 mg, 0.163 mmol), (R)-2-메틸옥시란(0.06 mL, 0.856 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159 mg, 0.489 mmol)의 혼합물을 DMF(1.5 mL)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150℃에서 30분 동안 2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세척하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한 다음, 포화된 LiCl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00 mg의 오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SiO2(Biotage® SNAP 10 g, 60-10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됨)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고, 이것은 여전히 불순하였다. 이것을 MDAP(포름산)에 의해 추가로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포화된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과 DCM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이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R)-N4-사이클로프로필-6-(3-(2-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9.9 mg, 0.049 mmol, 30.3%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3 min, [MH]+ 384.2.
실시예 28: 6-(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08
DMF(3 mL) 중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00 mg, 1.747 mmol)의 용액에 DIPEA(0.915 mL, 5.24 mmol)에 이어 HATU(996 mg, 2.62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82 mg, 2.6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LiCl(10 mL)의 포화된 용액과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킨 다음 수성상을 EtOAc로 두 번 더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물(20 mL)로 세척하고, 수성상을 EtOAc로 두 번 더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건조시켰다. 이것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SNAP 실리카 10 g 카트리지, 용리액 40 내지 100% EtOAc/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29 mg, 0.607 mmol, 34.8%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5 min, [MH]+ 340.2.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27 (d, J=1.5 Hz, 1 H) 7.95 (d, J=1.5 Hz, 1 H) 7.44 (br. d, J=7.3 Hz, 2 H) 7.29 (br. t, J=7.5, 7.5 Hz, 2 H) 7.18 - 7.24 (m, 1 H) 5.92 (s, 1 H) 2.96 (s, 3 H) 2.54 (dt, J=7.3, 3.7 Hz, 1 H) 1.10 (d, J=6.1 Hz, 3 H) 0.95 - 1.05 (m, 1 H) 0.81 (ddd, J=9.2, 5.1, 4.0 Hz, 1 H) 0.56 (dt, J=7.3, 5.7 Hz, 1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9: 6-((R)-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30: 6-((S)-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09
실시예 28(210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EtOH(3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5 mL의 용액을 컬럼(2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AD-H(5 μm))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2회. 10-12.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5-20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30(73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4 min, [MH]+ = 340.3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26 (d, J=1.7 Hz, 1 H) 7.95 (d, J=1.2 Hz, 1 H) 7.46 (br. d, J=7.3 Hz, 2 H) 7.33 (br. t, J=7.5, 7.5 Hz, 2 H) 7.22 - 7.28 (m, 1 H) 5.94 (s, 1 H) 2.98 (s, 3 H) 2.54 (dt, J=7.3, 3.6 Hz, 1 H) 1.13 (d, J=5.9 Hz, 3 H) 0.96 - 1.06 (m, 1 H) 0.82 (ddd, J=9.2, 5.3, 4.0 Hz, 1 H) 0.59 (dt, J=7.5, 5.7 Hz, 1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29(92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4 min, [MH]+ = 340.2
실시예 31: 6-(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10
DMF(0.7 mL) 중 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4.9 mg, 0.090 mmol, 60중량%)의 용액에 HATU(85 mg, 0.224 mmol)에 이어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13 mg, 0.224 mmol) 및 DIPEA(0.1 mL, 0.57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오렌지색 용액은 아민의 첨가 후에 황색이 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4 mg, 0.061 mmol, 68.1%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0 min, [MH]+ = 354.2
실시예 32: 6-(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11
DMF(1 mL) 중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89 mg, 0.604 mmol, 60중량%)의 용액에 HATU(612 mg, 1.610 mmol)에 이어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3 mg, 1.608 mmol)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0.615 mL, 3.52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2 mg, 0.164 mmol, 27.2%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5 min, [MH]+ = 341.2.
실시예 33: 6-((1H-인다졸-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12
DMF(0.7 mL) 중 2-((1H-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3.5 mg, 0.054 mmol, 50중량%)의 용액에 HATU(65.7 mg, 0.173 mmol)에 이어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58 mg, 0.173 mmol)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0.07 mL, 0.40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12.6 mg의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사이클로헥산 중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100%(EtOAc 중 25% EtOH)에 의해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1H-인다졸-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 mg, 8.26 μmol, 15.29%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3 min, [MH]+ = 364.3.
실시예 34: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피리딘-2-일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13
아세트산(1 mL) 중 6-(클로로(피리딘-2-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0 mg, 0.033 mmol, 60중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아연 분말(6.56 mg, 0.100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NaOH(5M, 3 mL) 및 DCM(5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 및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DCM(2회)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1:1 MeOH:DMSO(0.9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피리딘-2-일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2 mg, 0.015 mmol, 45.5%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1 min, [MH]+ = 325.3.
실시예 35: 6-((S)-플루오로(페닐)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14
6-((R)-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 mg, 0.018 mmol)를 DCM(1 mL)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에서 질소 하에 냉각시킨 다음, 데옥소플루오르(0.04 mL, 0.108 mmol)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소듐 카르보네이트 용액(1 mL) 및 DCM(5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 및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DCM(2회)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1:1 MeOH:DMSO(0.9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하였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S)-플루오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 mg, 5.57 μmol, 31.5%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2분, [MH]+ = 342.2.
실시예 36: N 2 -메틸-6-((2-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15
DMF(0.8 mL) 중 2-((2-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2.5 mg, 0.045 mmol, 45중량%)의 용액에 HATU(61 mg, 0.160 mmol)에 이어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25 mg, 0.160 mmol)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0.07 mL, 0.40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6 mg)을 제공하였고, 이것은 추정상 Me 에스테르에 상응하는 불순물이다. THF(2 mL) 및 물(2 mL)을 첨가한 다음, 리튬 하이드록사이드(1.62 mg, 0.06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DMF(0.8 mL)에 이어 HATU(75 mg, 0.197 mmol), DIPEA(0.07 mL, 0.401 mmol),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 mg, 0.121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6 mg)을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3 min, [MH]+ = 378.2.
실시예 37: 6-(3-(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3-일)에톡시)벤질)-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16
TFA(0.5 mL, 6.49 mmol)를 DCM(4 mL) 중 터트-부틸 4,4-디플루오로-3-(2-(3-((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페녹시)에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51 mg, 0.08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갈색 오일로 농축시킨 다음 10 g Biotage® SNAP 컬럼 상에서 DCM:메탄올성 암모니아(0-50%)의 구배를 사용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위해 준비하였다. 그러나, 명백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고, 이는 생성물의 분리를 제안하였다. 컬럼을 EtOAc:에탄올(0-40%)의 구배를 사용하여 추가로 진행시켰고, 다시 생성물을 함유한 명백한 분획은 없었다. 따라서, 모든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후 샘플을 MDAP(고 pH)를 사용한 정제를 위해 준비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이후 샘플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1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1시간 동안 진공에 두었다. 이후 샘플을 10 g Biotage® SNAP 컬럼을 사용하여 DCM:메탄올성 암모니아(0-16%)의 구배를 사용하여 추가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이후 샘플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건조시키고, 16시간 동안 40℃의 진공 오븐에 두었다. 이후 샘플을 MDAP(고 pH)를 위해 준비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백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후 백색 고체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40℃로 1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1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05 min, [MH]+ = 487.2.
실시예 38: 6-벤질-N 4 -((1r,3r)-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17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98.4 mg, 0.364 mmol) 및 HATU(194.7 mg, 0.512 mmol)의 혼합물에 DMF(1.8 mL) 중 트랜스-3-아미노사이클로부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64.6 mg, 0.523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DIPEA(0.191 mL, 1.09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키고,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총 부피 2 mL로 희석시키고, MDAP(2 x 1 mL 주입; 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고,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및 메탄올(1:1)에 현탁시키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벤질-N4-(트랜스-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11.0 mg, 0.327 mmol, 90% 수율).
LCMS (2분 포름산): Rt = 0.80 min, [MH]+ = 340.3.
실시예 39: 6-((1H-인돌-3-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18
DMF(0.8 mL) 중 2-((1H-인돌-3-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00 mg, 0.129 mmol, 20중량%)의 용액에 DIPEA(0.15 mL, 0.859 mmol)에 이어 HATU(148 mg, 0.389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7 mg, 0.38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1H-인돌-3-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 mg, 0.013 mmol, 10.13%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8 min, [MH]+ = 363.4.
실시예 40: 6-(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19
DMF(0.8 mL) 중 2-(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8 mg, 0.074 mmol, 80중량%)의 용액에 DIPEA(0.05 mL, 0.286 mmol)에 이어 HATU(53.0 mg, 0.139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 mg, 0.13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고, 이것은 여전히 불순하였다. 잔류물을 1:1 MeOH: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TFA)에 의해 정제시켰다.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5 mL)을 요망되는 분획에 첨가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필터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6-(하이드록시(6-메틸피리딘-2-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 mg, 5.36 μmol, 7.21%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2분, [MH]+ = 355.3.
실시예 41: 6-벤질-N 2 -메틸-N 4 -((1r,3r)-3-(메틸설포닐)사이클로부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0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65.0 mg, 0.240 mmol) 및 HATU(128.6 mg, 0.338 mmol)의 혼합물에 DMF(1.8 mL) 중 트랜스-3-(메틸설포닐)사이클로부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8.0 mg, 0.259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DIPEA(0.126 mL, 0.72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키고,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총 부피 2 mL로 희석시키고, MDAP(2 x 1 mL 주입; 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고,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및 메탄올(1:1, 약 10 mL)에 현탁하고, 합치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벤질-N2-메틸-N4-(트랜스-(메틸설포닐)사이클로부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89.7 mg, 0.223 mmol, 93% 수율).
LCMS (2분 포름산): Rt = 0.84 min, [MH]+ = 402.4.
실시예 42: 6-벤질-N 4 -사이클로펜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1
DMF(1 mL) 중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8.3 mg, 0.179 mmol) 및 HATU(86.9 mg, 0.229 mmol)의 용액에 사이클로펜탄아민(0.021 mL, 0.214 mmol) 및 DIPEA(0.094 mL, 0.53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휘발성물질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점착성 짙은 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DMSO(2 mL)에 재용해시키고, MDAP(2 x 1 mL 주입, 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메탄올(각각 약 2 mL)에 재용해시키고, 합쳤다. 이 용액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벤질-N4-사이클로펜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0.6 mg, 0.150 mmol, 84% 수율).
LCMS (2분 고 pH): Rt = 1.09 min, [MH]+ = 338.3.
실시예 43: 6-벤질-N 4 -(사이클로프로필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2
DMF(1 mL) 중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9.2 mg, 0.182 mmol) 및 HATU(85.9 mg, 0.226 mmol)의 용액에 사이클로프로필메탄아민(0.019 mL, 0.218 mmol) 및 DIPEA(0.095 mL, 0.546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이것을 DMSO(1 mL)에 희석시키고, MDAP(2 x 1 mL 주입, 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메탄올(각각 약 2 mL) 및 DCM(각각 약 1 mL)에 재용해시키고, 합쳤다. 이 용액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6-벤질-N4-(사이클로프로필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9.9 mg, 0.154 mmol, 85% 수율).
LCMS (2분 고 pH): Rt = 1.02분, [MH]+ = 324.3.
실시예 44: 6-((1H-인돌-4-일)메틸)-N 4 -((1r,3r)-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3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3.3 mg, 0.172 mmol) 및 HATU(105.6 mg, 0.278 mmol)의 혼합물에 DMF(1.5 mL) 중 트랜스-3-아미노사이클로부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40.7 mg, 0.329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DIPEA(0.120 mL, 0.68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8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키고,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총 부피 2 mL로 희석시키고, MDAP(2 x 1 mL 주입; 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하고,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및 메탄올(1:1, 약 6 mL)에 현탁시키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크림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1H-인돌-4-일)메틸)-N4-(트랜스-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6.4 mg, 0.096 mmol, 55.8% 수율).
LCMS (2분 포름산): Rt = 0.75 min, [MH]+ = 379.3.
실시예 45: 6-(하이드록시(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24
메탄올(0.2 mL)을 6-(하이드록시(1-(페닐설포닐)-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 mg, 0.018 mmol, 85중량%)에 첨가하였다. 이후 KOH(1 mg, 0.018 mmol) 및 물(0.0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KOH(0.7 mg, 0.012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5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MeOH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제거한 다음, 물(1 mL) 및 DCM(1 mL)을 첨가하였다. 수성상을 두 번 더 추출한 다음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필터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6-(하이드록시(1H-피롤로[3,2-c]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1 mg, 9.73 μmol, 99%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44 min, [MH]+ = 380.3.
실시예 46: 6-((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5
DMF(0.8 mL) 중 2-((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4 mg, 0.087 mmol, 50중량%)의 용액에 DIPEA(0.05 mL, 0.286 mmol)에 이어 HATU(44 mg, 0.116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45 mg, 0.11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0.2 mg, 0.025 mmol, 29.0%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2분, [MH]+ = 364.3.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62 (s, 1 H) 8.21 (s, 1 H) 8.04 (s, 1 H) 7.72 (s, 1 H) 7.53 (br. d, J=2.9 Hz, 1 H) 6.59 (d, J=2.9 Hz, 1 H) 4.54 (s, 2 H) 2.98 (s, 3 H) 2.49 (dt, J=7.3, 3.7 Hz, 1 H) 1.10 (d, J=5.9 Hz, 3 H) 0.91 - 1.02 (m, 1 H) 0.78 (ddd, J=9.2, 5.3, 4.2 Hz, 1 H) 0.52 - 0.59 (m, 1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7: (+/-)-N 4 -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6
DMF(0.6 mL) 중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05 mg, 0.330 mmol, 약 90중량%)의 용액에 HATU(188 mg, 0.495 mmol)에 이어 DIPEA(0.15 mL, 0.859 mmol) 및 사이클로프로필아민(0.04 mL, 0.577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8 mg, 0.023 mmol, 7.08%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6 min, [MH]+ = 326.2.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9.08 (br. d, J=4.2 Hz, 1 H) 8.27 (d, J=1.5 Hz, 1 H) 7.96 (d, J=1.5 Hz, 1 H) 7.46 (br. d, J=7.1 Hz, 2 H) 7.29 - 7.36 (m, 2 H) 7.22 - 7.28 (m, 1 H) 5.94 (s, 1 H) 2.99 (d, J=4.9 Hz, 3 H) 2.87 (tt, J=7.3, 3.8 Hz, 1 H) 0.78 - 0.84 (m, 2 H) 0.62 - 0.68 (m, 2 H).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8: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27
DMF(0.7 mL) 중 (+/-)-2-(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10.7 mg, 0.256 mmol, 75중량%)의 용액에 DIPEA(0.17 mL, 0.973 mmol)에 이어 HATU(146 mg, 0.384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3 mg, 0.38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된 LiCl 용액(10 mL)으로 세척하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한 다음,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10 g 실리카 카트리지, 용리액: 40-100% (EtOAc 중 25% EtOH)/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시켰다. 생성물을 지닌 모든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수득된 황색 오일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9 mg, 0.073 mmol, 28.5%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7 min, [MH]+ = 378.3.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67 (s, 1 H) 8.23 (d, J=1.2 Hz, 1 H) 8.14 (s, 1 H) 7.76 (d, J=1.5 Hz, 1 H) 7.60 (d, J=3.2 Hz, 1 H) 6.60 (d, J=2.7 Hz, 1 H) 4.82 - 4.90 (obs. m, 1 H) 3.00 (s, 3 H) 2.50 (dt, J=7.3, 3.7 Hz, 1 H) 1.91 (d, J=7.3 Hz, 3 H) 1.10 (d, J=6.1 Hz, 3 H) 0.91 - 1.02 (m, 1 H) 0.78 (ddd, J=9.2, 5.3, 4.0 Hz, 1 H) 0.55 (dt, J=7.3, 5.8 Hz, 1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9: 6-((S * )-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6-((R * )-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8
실시예 48(26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EtOH(1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2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AD-H(5 μm))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1회. 10-12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4-17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49(15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3 min, [MH]+ = 378.4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60 (s, 1 H) 8.22 (d, J=1.5 Hz, 1 H) 8.10 (s, 1 H) 7.74 (d, J=1.5 Hz, 1 H) 7.48 (d, J=3.2 Hz, 1 H) 6.51 (dd, J=3.2, 0.7 Hz, 1 H) 4.82 (q, J=7.3 Hz, 1 H) 3.01 (s, 3 H) 2.49 (dt, J=7.3, 3.7 Hz, 1 H) 1.91 (d, J=7.1 Hz, 3 H) 1.10 (d, J=6.1 Hz, 3 H) 0.92 - 1.02 (m, 1 H) 0.78 (ddd, J=9.2, 5.3, 3.9 Hz, 1 H) 0.55 (dt, J=7.3, 5.7 Hz, 1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50(16 mg)를 수득하였고, 이것은 불순물을 함유하였으므로 MDAP(고 pH)에 의해 추가로 정제되었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실시예 50(8 mg)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3 min, [MH]+ = 378.3
실시예 51: (S * )-N 4 -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2: (R * )-N 4 -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29
실시예 47(13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라세미체를 EtOH(1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15%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30 mm x 25 cm Chiralcel OJ-H (5 μm))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1회. 12.5-14.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6.5-20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51(7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6 min, [MH]+ = 326.2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52(5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5 min, [MH]+ = 326.2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8.27 (d, J=1.7 Hz, 1 H) 7.96 (d, J=1.5 Hz, 1 H) 7.46 (br. d, J=7.1 Hz, 2 H) 7.29 - 7.36 (m, 2 H) 7.22 - 7.28 (m, 1 H) 5.94 (s, 1 H) 2.99 (s, 3 H) 2.87 (tt, J=7.4, 3.9 Hz, 1 H) 0.78 - 0.85 (m, 2 H) 0.62 - 0.68 (m, 2 H). 교환 가능한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53: N 4 -((1r,3S)-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N 2 -메틸-6-((S * )-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30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에틸)이소니코틴산(47.9 mg, 0.168 mmol) 및 HATU(106.1 mg, 0.279 mmol)의 혼합물에 DMF(0.8 mL) 중 트랜스-3-아미노사이클로부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28.1 mg, 0.22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DIPEA(90.0 μL, 0.51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키고,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총 부피 1 mL로 희석시키고, MDAP(1 x 1 mL 주입; 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고,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1 메탄올/DCM(약 8 mL)에 재용해시키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N4-((1r,3r)-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틸)-N2-메틸-6-(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2.8 mg, 0.149 mmol, 89% 수율).
LCMS (2분 고 pH): Rt = 0.89 min, [MH]+ = 354.3
실시예 54-55:
실시예 54-55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Figure pct00231
실시예 56: 6-벤질-N 4 -( 트랜스 -3-메톡시사이클로부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32
에탄올(5 mL) 중 미정제 2-(트랜스-3-메톡시사이클로부틸)이소인돌린-1,3-디온(76.2 mg, 0.330 mmol)의 용액에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0.030 mL, 0.618 mmol)를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94시간 동안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켜 침전된 부산물을 제거하고, 이 침전물을 에탄올(약 10 mL)로 세척하였다. 합친 여과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에탄올(약 5 mL)에 현탁하고, 1 g Isolute SCX-2 이온 교환 컬럼의 상부에 직접 적용하였다. 컬럼을 5 컬럼 부피의 에탄올 및 5 컬럼 부피의 2M 수성 HCl로 용리시켰다. 산성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트랜스-3-메톡시사이클로부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2 mg, 0.176 mmol, 53.4%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후속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DMF(1 mL) 중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0.1 mg, 0.185 mmol), 트랜스-3-메톡시사이클로부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2 mg, 0.141 mmol) 및 2-(3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3-일)-1,1,3,3-테트라메틸이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HATU)(89.0 mg, 0.234 mmol)의 혼합물에 DIPEA(0.100 mL, 0.57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MSO(1 mL)로 희석하고, 질량 유도 자동 분취용 역상 크로마토그래피(MDAP)(2 x 1 mL 주입, 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6-벤질-N4-(트랜스-3-메톡시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1.6 mg, 0.061 mmol, 43.4%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0.95분, [MH]+에 대해 m/z = 354
실시예 57: 6-벤질-N 4 -((1r,3r)-3-(2-하이드록시에톡시)사이클로부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33
DMF(1 mL) 중 2-벤질-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3.5 mg, 0.198 mmol), HATU(92.0 mg, 0.242 mmol) 및 2-((1r,3r)-3-아미노사이클로부톡시)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2 mg, 0.18 mmol)의 혼합물에 DIPEA(0.138 mL, 0.79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짙은 오렌지색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휘발성물질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갈색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MSO(2 mL)에 재용해시키고, MDAP(2 x 1 mL 주입, 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메탄올(각각 약 2 mL)에 재용해시키고, 합쳤다. 이 용액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점착성 백색 고체(44.7 mg)로서 제공하였다. 6-벤질-N4-((1r,3r)-3-(2-하이드록시에톡시)사이클로부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4.7 mg, 0.117 mmol, 59% 수율).
LCMS (2분 고 pH): Rt = 0.84 min, [MH]+ = 384.4.
실시예 58: 6-(2-하이드록시-1-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pct00234
DMF(0.7 mL) 중 2-(2-하이드록시-1-페닐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715 g, 2.284 mmol, 40중량%)의 용액에 DIPEA(3.05 mL, 17.48 mmol)에 이어 HATU(1.329 g, 3.50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81 g, 17.4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HATU(1.2 g)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HATU(600 mg)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HATU(300 mg)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LiCl(10 mL) 및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물(20 mL)을 합친 유기상에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SNAP 실리카 카트리지(25 g)에 첨가하고,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 내지 50% (EtOAc 중 25% EtOH)/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2-하이드록시-1-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54 mg, 1.489 mmol, 65%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4 min, [MH]+ = 354.3.
실시예 59: 6-(클로로(페닐)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알려지지 않은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Figure pct00235
디클로로메탄(1 mL) 중 6-((R)-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4 mg, 0.151 mmol)의 용액에 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0.11 mL, 1.507 mmol)를 적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5 mL) 및 DCM(5 mL)을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DCM(2 x 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NAP 컬럼, 용리액 0-60% EtOAc/사이클로헥산 상에서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클로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3 mg, 0.133 mmol, 88% 수율, 약 90% 순도)를 백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1.07 min, [MH]+ = 358.2.
실시예 60: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피리딘-2-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36
N,N-디메틸포름아미드(6 mL) 중 (±)-2-(메틸카르바모일)-6-(1-페닐비닐)이소니코틴산(330 mg, 0.468 mmol)(약 40% 순도)의 용액에 HATU(356 mg, 0.935 mmol)에 이어 DIPEA(0.24 mL, 1.374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1 mg, 0.93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주말 동안 교반시킨 후 포화된 리튬 클로라이드 용액(10mL) 및 에틸 아세테이트(10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층을 10mL의 물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에틸 아세테이트(2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SNAP 컬럼 크로마토그래피(0 내지 6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되는 10g)에 의해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고, 여기에 10mL의 DCM 및 5mL의 5M NaOH를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추가 부분의 DCM(2 x 10mL)으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피리딘-2-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2mg, 0.112 mmol, 23.89%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57분, [MH]+에 대해 m/z = 339
실시예 61: 6-(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알려지지 않은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Figure pct00237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2-(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약 40% 순도, 318 mg, 0.405 mmol)의 용액에 DIPEA(0.22 mL, 1.260 mmol)에 이어 HATU(169 mg, 0.445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7.9 mg, 0.44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LiCl (10 mL)와 EtOAc(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10g, 용리액 40-100% EtOAc/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10g, 용리액 40-80% EtOAc/사이클로헥산에 의해 정제시켰다. 미량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함유하느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2-하이드록시-1-페닐프로필)-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9.8 mg, 0.025 mmol, 6.26%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2분, [MH]+ = 368.4.
실시예 62: 6-(1-(3-(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pct00238
포타슘 카르보네이트(465 mg, 3.37 mmol, 70중량%)를 DMF(6 mL) 중 6-(1-(3-하이드록시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25 mg, 0.842 mmol) 및 1,3-디옥솔란-2-온(0.23 mL, 3.4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질소 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와 물(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DCM에 용해시키고, Biotage SNAP(10 g) 컬럼 상에서 100% 사이클로헥산에 이어 40 내지 80% 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일부 잔여 DMF를 갖는 요망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포화된 LiCl 용액(10 mL) 및 EtOAc(10 mL)를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6-(1-(3-(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92 mg, 0.435 mmol, 52% 수율, 90% 순도)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0 min, [MH]+ = 398.4.
실시예 63: 6-(2-하이드록시-1-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
실시예 64: 6-(2-하이드록시-1-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
Figure pct00239
실시예 58(220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3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10%EtOH (+0.2%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cel OJ-H (5 μm), lot no. OJH10027-01]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4회. 9 내지 10.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3 내지 16.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10.5 내지 13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혼합 분획으로 표시하였다. 혼합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상기와 같이 재정제시켰다. 각 세트의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용리되는 제2 이성질체를 상기와 같이 재정제시켜 이의 순도를 향상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6-(2-하이드록시-1-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92.2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6분, [MH]+에 대해 m/z = 354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6-(2-하이드록시-1-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79.1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6분, [MH]+에 대해 m/z = 354
실시예 65: (+/-)-N 4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40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0 mg, 0.100 mmol)을 DMF(5 mL)에 취하였다. DIPEA(0.052 mL, 0.300 mmol), HATU(57.0 mg, 0.150 mmol) 및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19.95 mg, 0.150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취하고,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10 mL) 및 염수(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샘플을 1:1 MeCN: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샘플을 1:1 DMSO:MeCN(1 mL)에 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재정제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 N4-((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2 mg, 0.029 mmol, 29%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8 min, [MH]+ = 416.4
실시예 66: 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pct00241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0 mg, 0.100 mmol)을 DMF(5 mL)에 취하였다. DIPEA(0.052 mL, 0.300 mmol), HATU(57.0 mg, 0.150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6.12 mg, 0.15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취하고,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10 mL) 및 염수(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샘플을 1:1 MeCN: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구되는 생성물, 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8 mg, 0.051 mmol, 51%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1 min, [MH]+ = 354.2
실시예 67: 6-((1H-인돌-4-일)메틸)-N 4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42
2-((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0 mg, 0.129 mmol)을 DMF(5 mL)에 취하였다.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25.8 mg, 0.194 mmol), HATU(73.8 mg, 0.194 mmol) 및 DIPEA(0.068 mL, 0.388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취하고,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10 mL) 및 염수(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샘플을 1:1 MeCN: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6-((1H-인돌-4-일)메틸)-N4-((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1 mg, 0.073 mmol, 57%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1.03 min, [MH]+ = 425.4
실시예 68: 6-(하이드록시(1H-인돌-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pct00243
2-(하이드록시(1H-인돌-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5 mg, 0.046 mmol)을 DMF(5 mL)에 취하였다.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7.44 mg, 0.069 mmol), HATU(26.3 mg, 0.069 mmol) 및 DIPEA(0.024 mL, 0.138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샘플을 1:1 MeCN: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2 mg)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샘플을 DMSO(3.5 mL)에 용해시켰다. 3.5 mL를 CSH C18 150 x 30 mm, 5 μm 컬럼에 실온에서 주입하였다. 흐름 및 구배는 2개의 펌프에 의해 제공되며 감소된 흐름이 주입 동안 주입기를 통해 통과한다. 잔류 흐름을 컬럼의 헤드에 도입시켜 전체 흐름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분획화는 다이오드 어레이 & 질량 스펙트럼 신호의 혼합에 의해 결정되었다. 용매 A 및 용매 B의 구배는 하기 정의된 대로 사용되었다:
용매 A: 암모니아 용액에 의해 pH 10으로 조정된 물 중 10 mM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용매 B: 아세토니트릴
Figure pct00244
UV 검출은 210 nm 내지 350 nm의 파장으로부터 합산된 신호였다.
MS 조건
MS: Waters ZQ
이온화 모드: 양성 전기분무
스캔 범위: 300 내지 1200 AMU
스캔 시간: 0.5초
스캔 간 지연: 0.1초
분획을 합치고, 질소 취입의 스트림 하에 40℃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1 min, [MH]+ = 379.4
실시예 69: 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
Figure pct00245
실시예 66(330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3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20%EtOH/헵탄,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cel OD-H (5 μm), lot no. ODH11158-01]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3회. 8 내지 10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3 내지 17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각 세트의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131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0분, [MH]+에 대해 m/z = 354
실시예 70: 6-((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46
2-((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68 mg, 0.223 mmol)을 DMF(5 mL)에 취하였다. DIPEA(0.117 mL, 0.670 mmol), HATU(127 mg, 0.335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6.1 mg, 0.335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ml)에 취하고,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10ml) 및 염수(10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1 MeCN:DMSO(1 mL)에 용해시키고, 질량 유도 AutoPrep on Xselect 컬럼에 의해 아세토니트릴 물과 함께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개질제(고 pH)를 사용하여 정제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6-((2-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5 mg, 0.013 mmol, 5.63%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0.88분, [MH]+에 대해 m/z = 358
실시예 71: 6-((S * )-1-(3-(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72: 6-((R * )-1-(3-(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47
실시예 62(185 mg)를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EtOH(약 15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0.4 mL의 용액을 컬럼에 레오다인 밸브를 통해 주입하였다(30% EtOH/헵탄, 유량 = 20 mL/분, 검출: 280 nm의 UV 다이오드 어레이(대역 폭 140 nm, 기준 400 nm, 대역폭 100 nm, 컬럼 20 mm x 25 cm Regis Whelk-O1 [R,R] (5 μm)). 17.5-20.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21.5-26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EtOH 농축된 채로 진공에서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71(51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0 min, [MH]+ = 398.4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72(57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0 min, [MH]+ = 398.4
실시예 73: (+/-)-N 4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48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2 mg, 0.194 mmol), (+/-)-2-(하이드록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4.2 mg, 0.154 mmol) 및 HATU(86.9 mg, 0.229 mmol)의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08 mL, 0.61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오렌지색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휘발성물질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점착성 짙은 오렌지색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MSO(3 mL)에 재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메탄올(약 2 mL)에서 옮기고, 이 용액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 (+/-)-N4-((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9.9 mg, 0.099 mmol, 64.4%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1 min, [MH]+ = 402.4.
실시예 74: 6-((R * )-1-(3-플루오로-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49
6-((R*)-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실시예 50, 20 mg, 0.050 mmol)를 아세토니트릴(0.5 mL) 중에서 첨가한 다음, 아세트산(0.01 mL, 0.175 mmol) 및 Selectfluor®(26.7 mg, 0.076 mmol)를 0℃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것을 가온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Selectfluor®(20 mg, 0.056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Selectfluor®(20 mg, 0.056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Selectfluor®(20 mg, 0.056 mmol) 및 아세트산(0.01 mL, 0.175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Selectfluor®(20 mg, 0.056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두었다. 추가 Selectfluor®(20 mg, 0.056 mmol) 및 아세트산(0.01 mL, 0.175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두었다. 추가 부분의 Selectfluor®(20 mg, 0.056 mmol) 및 아세트산(0.01 mmol, 0.175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R*)-1-(3-플루오로-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4 mg, 0.012 mmol, 24.42% 수율, 약 90% 순도)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3 min, [MH]+ = 396.4.
실시예 75: N 4 -사이클로프로필-N 2 -메틸-6-(3-((1-메틸-1H-피라졸-3-일)메톡시)벤질)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50
N4-사이클로프로필-6-(3-하이드록시벤질)-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0 mg, 0.123 mmol)를 아세톤(1 mL)에 취하였다. 포타슘 카르보네이트(25.5 mg, 0.184 mmol) 및 3-(클로로메틸)-1-메틸-1H-피라졸(24.08 mg, 0.184 mmol, 예를 들어, Maybridge로부터 시판됨)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50℃로 밤새 가열시켰다. 추가 3-(클로로메틸)-1-메틸-1H-피라졸(24.08 mg, 0.184 mmol)을 다시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1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0% 메탄올/DCM(10 mL)에 취하고, 물(10 mL) 및 염수(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샘플을 1:1 MeCN:DMSO(1 mL)에 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요구되는 생성물, N4-사이클로프로필-N2-메틸-6-(3-((1-메틸-1H-피라졸-3-일)메톡시)벤질)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7 mg, 0.017 mmol, 14% 수율)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1 min, [MH]+ = 420.3
실시예 76: 6-((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51
2-((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380mg, 1.249 mmol)을 DCM(20ml)에 현탁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0.522 ml, 3.75 mmol), HATU(570 mg, 1.499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5 mg, 1.62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ml)로 희석하고, 물(2 x 50ml) 및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검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DCM에 용해시키고, 25g 실리카 컬럼 위에 로딩한 다음, 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6-((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30mg, 0.923 mmol, 73.9% 수율)를 무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9분, [MH]+에 대해 m/z = 358
실시예 77: 6-((S*)-2-시아노-1-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52
아세토니트릴(0.33 mL, 6.35 mmol)을 THF(1 mL)에 용해시키고,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조에서 N2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BuLi(헥산 중 2.5M, 2.61 mL, 6.51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6-(클로로(페닐)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70 mg, 0.931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MeOH(0.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합친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12 mg)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리 피펫 컬럼을 사용하여 3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추가로 정제시켰다.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S*)-2-시아노-1-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3 mg, 8.19 μmol, 1%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5 min, [MH]+ = 363.4
실시예 78: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
실시예 79: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
Figure pct00253
N,N-디메틸포름아미드(0.7 ml) 중 (±)-2-(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24 mg, 0.331 mmol)의 용액에 DIPEA(0.2 mL, 1.145 mmol)에 이어 HATU(189 mg, 0.497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53.4 mg, 0.49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용액 포화된 리튬 클로라이드 용액(10mL)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15mL)로 추출한 후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g 컬럼에 의해, 0 내지 100%의 EtOAc 중 25% EtOH/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은 첨가된 포화된 리튬 클로라이드 용액(10mL)을 가졌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3 x 15mL)로 추출한 후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을 통한 여과에 의해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07 mg, 0.317 mmol, 96%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약 60% 순도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57분, [MH]+에 대해 m/z = 392
제2 수성상(컬럼 후)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0.9mL의 MeOH을 첨가하고, 용해된 물질을 MDAP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 mg, 2.299 μmol, 0.695%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58분, [MH]+에 대해 m/z = 392
이 라세미체를 EtOH(3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5 mL의 용액을 컬럼[2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AD-H(5 μm), lot no. ADH13231]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2회. 7 내지 9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1.5 내지 1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각 세트의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44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55분, [MH]+에 대해 m/z = 392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6-(1-(1H-피롤로[2,3-c]피리딘-4-일)프로필)-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40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55분, [MH]+에 대해 m/z = 392
실시예 80: 6-((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54
2-((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583.2 mg, 1.879 mmol),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2.4 mg, 2.81 mmol) 및 HATU(1055 mg, 2.77 mmol)의 혼합물에 DIPEA(1.149 mL, 6.58 mmol) 및 DMF(1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에 용해시키고, 2M 수성 소듐 카르보네이트(2x 50 mL), 물(1x 50 mL) 및 포화된 염수 용액(1x 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수성 프릿이 장착된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약 15 mL)에 재용해시키고, 용액을 25 g SNAP 실리카 카트리지에 적용하였다. 샘플을 Biotage SP4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중 0-5% 에탄올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약 10 mL)에 재용해시키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긴 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키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갈색 크런키 포움을 제공하였다. 물질을 DMSO(약 5 mL)에 재용해시킨 후 MDAP(6x 1 mL 주입; 포름산)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킨 다음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합쳤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연갈색 유성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약 10 mL)에 용해시키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겼다.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생성물을 연갈색 크런키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이것을 DMSO(3 mL)에 용해시킨 후 MDAP(1x 3 mL 주입; TFA)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구되는 분획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하고, 메탄올(10 mL)에 재용해시키고,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겼다. 용매를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 6-((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03.6 mg, 0.835 mmol, 45%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1 min, [MH]+ = 364.3.
1H NMR (600 MHz, DMSO-d6) δ ppm 11.96 (br s, 1 H) 8.85 (d, J=4.0 Hz, 1 H) 8.73 - 8.67 (m, 1 H) 8.24 (d, J=1.5 Hz, 1 H) 8.23 (d, J=5.0 Hz, 1 H) 7.84 (d, J=1.5 Hz, 1 H) 7.53 - 7.49 (m, 1 H) 7.14 (d, J=5.0 Hz, 1 H) 6.71 (dd, J=3.0, 1.5 Hz, 1 H) 4.55 (s, 2 H) 0.46 - 0.50 (m, 1 H) 0.73 - 0.77 (m, 1 H) 0.90 - 0.97 (m, 1 H) 1.03 (d, J=6.0 Hz, 3 H) 2.51 - 2.55 (m, 1 H) 2.86 (d, J=5.0 Hz, 3 H)
실시예 81: N 2 -메틸-6-((S * )-1-(1-메틸-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55
6-((S*)-1-(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8 mg, 0.138 mmol, 실시예 49, 90중량%)를 THF(1 mL)에 용해시키고,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조에서 N2 하에 -78℃로 냉각시켰다. LiHMDS(THF 중 1M, 0.69 mL, 0.690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메틸 아이오다이드(0.03 mL, 0.240 mmol, THF 중 8M)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MeI(0.01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MeOH(1 mL)을 첨가한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MeOH(0.9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합친 유기상을 소수성 필터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시켜 두 생성물의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SNAP 컬럼(10 g) 상에서 80 내지 100% (EtOAc 중 25% EtOH)/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합친 유기상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N2-메틸-6-((S*)-1-(1-메틸-1H-피롤로[2,3-c]피리딘-4-일)에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1 mg, 4.83 μmol, 3%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51 min, [MH]+ = 392.4
실시예 82: 6-((1-(2-하이드록시에틸)-1H-인돌-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56
DMF(0.9 mL) 중 6-((1H-인돌-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실시예 18, 67 mg, 0.185 mmol)의 용액에 차례로 포타슘 카르보네이트(38.3 mg, 0.277 mmol) 및 1,3-디옥솔란-2-온(65.1 mg, 0.73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90℃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총 약 21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DMF 현탁액을 여과하고, 2개의 MDAP 바이알에 직접 첨가하고, MeOH/DMSO에 의해 (2 x 0.9 mL)로 희석시켰다. 이들을 MDAP(고 pH)에 의해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생성물을 황색 고체, 6-((1-(2-하이드록시에틸)-1H-인돌-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1 mg, 0.052 mmol, 28%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9 min, [MH]+ = 407.4
실시예 83: 6-(인돌린-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57
에탄올(10 mL) 중 벤질 4-((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메틸)인돌린-1-카르복실레이트(149 mg, 0.299 mmol)의 용액을 10% 탄소상 팔라듐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Thales H-Cube 장치 상에서 에탄올을 담체 용매로서 사용하여, 단일 통과를 사용하여 수소화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DCM(약 4 mL) + 한 방울의 메탄올에 재용해시켰다. 용액을 10 g SNAP 실리카 카트리지에 적용시켰다. 샘플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중 0-25% 에탄올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재용해시키고, 용액을 10g SNAP 실리카 카트리지에 적용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컬럼을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샘플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사이클로헥산 중 70-10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적절한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약 10 mL)에 용해시키고,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DMSO(2 mL) 및 MDAP(고 pH)에 용해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합치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약 10 mL)에 재용해시킨 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키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6-(인돌린-4-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7.3 mg, 0.102 mmol, 34.2%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0 min, [MH]+ = 365.6.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15 (d, J=1.5 Hz, 1 H) 7.99 - 8.09 (m, 1 H) 7.76 (d, J=1.7 Hz, 1 H) 6.99 (t, J=7.6 Hz, 1 H) 6.56 (d, J=7.8 Hz, 3 H) 4.14 (s, 2 H) 3.80 (br. s., 1 H) 3.56 (t, J=8.3 Hz, 2 H) 3.06 (d, J=5.1 Hz, 3 H) 2.94 (t, J=8.4 Hz, 2 H) 2.60 (dq, J=7.1, 3.5 Hz, 1 H) 1.16 (d, J=6.1 Hz, 3 H) 1.00 (dquind, J=9.2, 6.1, 6.1, 6.1, 6.1, 3.4 Hz, 1 H) 0.80 (ddd, J=9.2, 5.4, 3.9 Hz, 1 H) 0.63 - 0.71 (m, 1 H)
실시예 84: 6-(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Figure pct00258
DMF(0.7 mL) 중 2-(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4 mg, 0.015 mmol, 35중량%)의 용액에 DIPEA(0.01 mL, 0.057 mmol)에 이어 HATU(11 mg, 0.029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 mg, 0.02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6 mg, 3.82 μmol, 25%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5 min, [MH]+ = 378.4
실시예 85: N 4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
실시예 86: N 4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
Figure pct00259
실시예 73(32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1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10%EtOH (+0.2%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IC (5 μm), lot no. IC10028-01]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1회. 24 내지 29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33 내지 38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각 세트의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N4-((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11.9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1분, [MH]+에 대해 m/z = 402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N4-((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하이드록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11.5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1분, [MH]+에 대해 m/z = 402
실시예 87: 6-(2-시아노-1-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정의되지 않은 입체중심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
Figure pct00260
DMSO(1.5 mL) 중 2-(6-(메틸카르바모일)-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리딘-2-일)-2-페닐에틸 메탄설포네이트(58 mg, 0.108 mmol, 80중량%)의 용액에 NaCN(13 mg, 0.265 mmol) 및 Et3N(0.05 ml, 0.35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160℃에서 30분 동안 가열시켰다. 물(5 mL)을 합친 유기상에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 부분의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상을 건조시킨 다음(소수성 프릿)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것을 SNAP 컬럼 10g 상에서, 0-8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2-시아노-1-페닐에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7.4mg, 0.068 mmol, 63.3% 수율, 약 90% 순도)를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3 min, [MH]+ = 363.4.
실시예 88: 6-((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 4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61
2-((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100 mg, 0.097 mmol, 30중량%), (1R,5S,6r)-3,3-디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59 mg, 0.145 mmol), HATU(55.1 mg, 0.145 mmol) 및 Et3N(0.027 ml, 0.193 mmol)을 RBF에서 합치고, DCM(5 m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DAP(포름산)에 의해 정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9.5 mg, 0.022 mmol, 23% 수율)을 담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8 min, [MH]+ = 426.4
실시예 89: 6-((1H-인돌-4-일)메틸)-N 4 -사이클로프로필-N 2 -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62
DMF(1.0 mL) 중 2-((1H-인돌-4-일)메틸)-6-(에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9.3 mg, 0.152 mmol) 및 HATU(85.0 mg, 0.224 mmol)의 현탁액에 사이클로프로필아민(0.016 mL, 0.229 mmol) 및 DIPEA(0.080 mL, 0.45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오렌지색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휘발성물질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증발시켜 점착성 오렌지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DMSO(2 mL)에 재용해시키고, MDAP(고 pH)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요구되는 분획을 합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6-((1H-인돌-4-일)메틸)-N4-사이클로프로필-N2-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6.1 mg, 0.100 mmol, 65.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94 min, [MH]+ = 363.3.
실시예 90: (±)-N 4 -사이클로프로필-6-((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63
2-((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480mg, 1.578 mmol)을 DCM(10ml)에 현탁시키고, 트리에틸아민(0.440 ml, 3.16 mmol) 및 HATU(660 mg, 1.735 mmol)에 이어 사이클로프로판아민(180 mg, 3.16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0ml) 및 0.5M 수성 HCl(1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5g 실리카 컬럼 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중 0-25% 에탄올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82mg, 0.821 mmol, 52.1% 수율)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0분, [MH]+에 대해 m/z = 344
실시예 91: (+/-)-N 4 -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64
2-(하이드록시(o-톨릴)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30 mg, 0.766 mmol)을 DCM(20 mL)에 현탁시킨 다음, Et3N(0.320 mL, 2.298 mmol), HATU(349 mg, 0.919 mmol) 및 사이클로프로판아민(87 mg, 1.53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30 mL)로 희석하고, 물(2 x 50 mL) 및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담황색 검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컬럼(25 g) 위에 로딩한 다음, 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고,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o-톨릴)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05 mg, 0.309 mmol, 40% 수율)를 무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2분, [MH]+ = 340.2
실시예 92: (S * )-N 4 -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93: (R * )-N 4 -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65
TFA(0.910 mL, 11.81 mmol)를 DCM(5 mL) 중 터트-부틸 2-(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티네이트(0.44 g, 1.181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황색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DCM 및 메탄올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재증발시켜 베이지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미정제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운반하였다. 고체를 DCM(5 mL)에 현탁시키고, Et3N(0.494 mL, 3.54 mmol), HATU(0.539 g, 1.418 mmol) 및 사이클로프로판아민(0.135 g, 2.363 mmo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액을 물(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컬럼(25 g) 상에서 0-100% EtOAc/사이클로헥산으로 용리시키며 정제시켰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N4-사이클로프로필-6-(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05 mg, 0.295 mmol, 25% 수율)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라세미체(100 mg)를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EtOH(1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30% EtOH/헵탄,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cel OD-H, Lot No. ODH1158-01 (5 μm))에 주입하였다. 5.75-7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7.75-10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옮기고, 진공에서 칭량된 플라스크로 농축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92(36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8 min, [MH]+ = 356.2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93(36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78 min, [MH]+ = 356.2
실시예 94: N 4 -사이클로프로필-6-((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거울상이성질체 1
Figure pct00266
실시예 90(282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3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40% EtOH (+0.2%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AD-H(5 μm), lot no. ADH13231]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3회. 5.75 내지 7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8.25 내지 10.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각 세트의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N4-사이클로프로필-6-((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거울상이성질체 1(70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0분, [MH]+에 대해 m/z = 344
실시예 95: 6-((R * )-(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96: 6-((S * )-(3-플루오로페닐)(하이드록시)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67
실시예 76(300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3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2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30mm x 25cm Chiralpak AD-H(5 μm))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3회. 9-11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4.5-18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95(120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9 min, [MH]+ = 358.3.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96(118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9 min, [MH]+ = 358.3.
실시예 97: 6-(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68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미정제 2-(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260 mg, 0.293 mmol)의 용액에 DIPEA(0.256 mL, 1.466 mmol)에 이어 HATU(167 mg, 0.440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64 mg, 0.59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공기에 노출된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HATU(167 mg, 0.440 mmol),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64 mg, 0.595 mmol) 및 DIPEA(0.256 mL, 1.46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HATU(167 mg, 0.440 mmol),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64 mg, 0.595 mmol) 및 DIPEA(0.256 mL, 1.46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MDAP(암모늄 카르보네이트 완충됨, DMF의 2x1mL 주입에서 방법 C)에 의해 정제시켰다. 요망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6-(이미다조[1,2-a]피리딘-5-일메틸)-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42 mg, 0.104 mmol, 35.5% 수율)를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피크 Rt = 0.77분, [MH]+에 대해 m/z = 364
실시예 98: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2-옥소인돌린-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
실시예 99: 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2-옥소인돌린-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
Figure pct00269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2-옥소인돌린-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9 mg)를 키랄 HPLC에 의해 제거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2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2 mL의 용액을 컬럼[2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cel OD-H (5 μm), lot no. ODH11158-01]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1회. 8.5 내지 10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1.5 내지 1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각 세트의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타르를 칠한 바이알로 옮기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2-옥소인돌린-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1(16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5분, [MH]+에 대해 m/z = 393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N2-메틸-N4-((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6-(1-(2-옥소인돌린-4-일)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이성질체 2(17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피크 Rt = 0.85분, [MH]+에 대해 m/z = 393
실시예 100: 6-((S * )-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01: 6-((R * )-1-(1H-피롤로[2,3-b]피리딘-4-일)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0
실시예 84(110 mg)를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3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10%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 이소프로필아민),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30mm x 25cm Chiralcel OJ-H (5 μm), Lot No. OJH10027-01)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4회. 13-15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15-17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믹스로 표시하였다. 17-20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혼합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재처리하였다.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0(33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7 min, [MH]+ = 378.3.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1(35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67 min, [MH]+ = 378.3.
실시예 102: 6-((S * )-2-시아노-1-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03: 6-((R * )-2-시아노-1-페닐에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1
실시예 87(21 mg)을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1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10% EtOH/헵탄, 유량 = 20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2cm x 25cm Chiralpak AD (10 μm), Lot No. AD00CJ-LE004)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3회. 22-26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26-29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믹스로 표시하였다. 29-36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혼합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재처리하였다. 벌크화된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칭량된 플라스크로 옮겼다. 피크 2를 키랄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시켰다. 라세미체를 EtOH에 용해시켰다. 주입: 20 μL의 용액을 컬럼(15% EtOH/헵탄, 유량 = 1 mL/분, 검출 파장 = 215 nm, 컬럼 4.6mm id x 25cm Chiralpak AD-H, Lot No. ADHCE-PC014)에 주입하였다. 총 주입 수 = 15회. 주요 성분에 대한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0(33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4 min, [MH]+ = 363.2.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1(35 mg)을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4 min, [MH]+ = 363.2.
실시예 104: N 2 -메틸-6-((7-메틸-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2
2-((7-메틸-1H-피롤로[2,3-c]피리딘-4-일)메틸)-6-(메틸카르바모일)이소니코틴산, 리튬 염(36.5 mg, 0.083 mmol)을 DMF(2 mL)에 취하였다. DIPEA(0.043 mL, 0.248 mmol)에 이어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5 mg, 0.232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ATU(47.1 mg, 0.12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부분의 HATU(47.1 mg, 0.124 mmol) 및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5 mg, 0.232 mmol)를 첨가하고,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DAP(고 pH 방법)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요망되는 생성물(6 mg, 0.015 mmol, 18.28% 수율)을 크림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79 min, [MH]+ = 378.6.
실시예 105: 6-((S * )-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06: 6-((R * )-메톡시(1H-피롤로[2,3-b]피리딘-4-일)메틸)-N 2 -메틸-N 4 -((1S,2S)-2-메틸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3
라세미체(40 mg)를 키랄 HPLC에 의해 정제시켰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EtOH(1 mL)에 용해시켰다. 주입: 1 mL의 용액을 컬럼(15% EtOH (+0.2% 이소프로필아민)/헵탄, 유량 = 30 mL/분, 검출 파장, 215 nm, 4. Ref. 550, 100, 컬럼 30 mm x 25 cm Chiralpak IA, Lot No. IA11157-01 (5 μm))에 주입하였다. 24-26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1로 표시하였다. 35-44분으로부터의 분획을 벌크화하고, 피크 2로 표시하였다. 벌크화된 분획을 옮기고, 진공에서 칭량된 플라스크로 농축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5(16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1 min, [MH]+ = 394.3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6(15 mg)를 수득하였다.
LCMS (2분 고 pH): Rt = 0.81 min, [MH]+ = 394.3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66 (br. s., 1 H) 8.94 (d, J=4.0 Hz, 1 H) 8.66 (q, J=4.8 Hz, 1 H) 8.29 (d, J=1.5 Hz, 1 H) 8.22 (d, J=5.0 Hz, 1 H) 8.07 (d, J=1.5 Hz, 1 H) 7.40 - 7.47 (m, 1 H) 7.25 (d, J=5.3 Hz, 1 H) 6.69 (dd, J=3.4, 1.9 Hz, 1 H) 5.85 (s, 1 H) 3.42 (s, 3 H) 2.87 (d, J=4.8 Hz, 3 H) 2.56 (dq, J=7.5, 3.8 Hz, 1 H) 1.05 (d, J=6.0 Hz, 3 H) 0.91 - 1.01 (m, 1 H) 0.79 (dt, J=8.6, 4.6 Hz, 1 H) 0.50 (dt, J=7.5, 5.4 Hz, 1 H)
실시예 107: N 4 -((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6-((S)-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08: N 4 -((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6-((S)-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4
N4-((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2-메틸-6-((S)-1-페닐에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56.7 mg, 0.279 mmol)를 DCM(4 mL)에 취하고, 디옥산 중 4M HCl(0.698 mL, 2.7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시키고, AcOEt(3x20 mL)로 추출하고, 합친 유기물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진공에서 황색 검으로 농축시켰다. 이것을 MDAP(고 pH 방법)에 의해 정제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7(49.5 mg, 0.130 mmol, 46.7%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3 min, [MH]+ = 380.3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08(24.6 mg, 0.065 mmol, 23.21%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90 min, [MH]+ = 380.3
실시예 109-116:
실시예 109-116은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Figure pct00275
Figure pct00276
실시예 117: 6-벤질-N 4 -((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18: 6-벤질-N 4 -((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7
6-벤질-N4-((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13.5 mg, 0.208 mmol)를 DCM(3 mL)에 취하고, 디옥산 중 4M HCl(0.260 mL, 1.03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친 유기물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시키고, 진공에서 황색 고체로 농축시켰고, 이를 MDAP(고 pH 방법)에 의해 정제시켰다. 피크 1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17(16.0 mg, 0.044 mmol, 21.0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3 min, [MH]+ = 366.2
피크 2에 상응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실시예 118(30.3 mg, 0.083 mmol, 39.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7 min, [MH]+ = 366.2
실시예 119: N 4 -((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0: N 4 -((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8
N4-((1R,5S,6r)-3-((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68.3 mg, 0.147 mmol)를 DCM(4 mL)에 취하고, 디옥산 중 4M HCl(0.368 mL, 1.47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2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AcOEt로 3회 추출하고, 합친 유기물을 소수성 프릿을 통해 여과시키고, 진공에서 황색 검으로 농축시켰다. 이것을 MDAP(고 pH 방법)에 의해 정제시켜 분리된 요망되는 생성물 N4-((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1.1 mg, 0.079 mmol, 53.4% 수율) 및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8.8 mg, 0.048 mmol, 32.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실시예 119: LCMS (2분 포름산): Rt = 0.86 mins, MH+ = 396.3
실시예 120: LCMS (2분 포름산): Rt = 0.81 mins, MH+ = 396.3
실시예 121: N 4 -((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R * )-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2: N 4- ((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S * )-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79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16 mg, 0.040 mmol)를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다음 조건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샘플을 1ml EtOH에 용해시켰다.
주입; 1ml의 용액을 컬럼에 주입하였다.
사용된 용매: 20%EtOH(+0.2%이소프로필아민)/헵탄(+0.2%이소프로필아민), f=30ml/분, 파장, 215nm,4. Ref 550,100
컬럼 30mm x 25cm Chiralpak AD-H (5μm), Lot No ADH14252-01
처음 용리되는 거울상이성질체에 상응하는 분획을 합치고,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 실시예 121,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R*)-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3 mg, 7.59 μmol, 18.7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1 mins, MH+ = 396.3
두 번째 용리되는 거울상이성질체에 상응하는 분획을 합치고,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 실시예 122, N4-((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S*)-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5 mg, 0.013 mmol, 31.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1 mins, MH+ = 396.3
실시예 123: N 4 -((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R * )-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4: N 4 -((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S * )-메톡시(페닐)메틸)-N 2 -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280
N4-((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29 mg, 0.073 mmol)를 다음 조건을 사용한 키랄 분리에 제공하였다:
샘플을 1.5ml EtOH에 용해시켰다.
주입; 1.5ml의 용액을 컬럼에 주입하였다.
사용된 용매: 20%EtOH(+0.2%이소프로필아민)/헵탄 (+0.2%이소프로필아민), f=30ml/분, 파장, 215nm,4. Ref 550,100
컬럼: 30mm x 25cm Chiralcel OJ-H (5μm), Lot No OJH10027-01
처음 용리되는 거울상이성질체에 상응하는 분획을 합치고,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 실시예 123, N4-((1R,3R,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R*)-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 mg, 0.015 mmol, 20.69%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5 mins, MH+ = 396.3
두 번째 용리되는 거울상이성질체에 상응하는 분획을 합치고,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요망되는 생성물, 실시예 124, N4-((1R,3S,5S,6r)-3-하이드록시바이사이클로[3.1.0]헥산-6-일)-6-((S*)-메톡시(페닐)메틸)-N2-메틸피리딘-2,4-디카르복사미드(6 mg, 0.015 mmol, 20.69%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CMS (2분 포름산): Rt = 0.85 mins, MH+ = 396.3
생물학적 데이터
화학식(I)의 화합물은 하기 검정 중 하나 이상으로 시험될 수 있다:
시간 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Time Resolv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TR-FRET) 검정
브로모도메인 결합을 시간 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time resolved fluorescent resonance energy transfer (TR-FRET)) 경쟁 검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접근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알려져 있는 고친화도의 pan-BET 상호작용 소분자를 원적외선 형광 염료(비교 화합물 X)인 Alexa Fluor® 647로 라벨링하였다. 비교 화합물 X는 브로모도메인 결합의 리포터로서 작용하고, TR-FRET 쌍의 어셉터 형광단 성분이다. 항-6*His 항체에 컨쥬게이션된 유로퓸 킬레이트를 TR-FRET 쌍의 도너 형광단으로서 사용하였다. 항-6*His 항체는 본 연구에 사용된 각각의 BET 탠덤 브로모도메인 단백질 작제물의 아미노-말단에 첨가되는 6개의 히스티딘 정제 에피토프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도너 및 어셉터 형광단이 20-80Å 사이로 아주 근접하게 있을 때, TR-FRET 신호가 생성되며, 이는 비교 화합물 X가 브로모도메인 단백질에 결합함으로써 이 검정에서 가능하게 된다.
비교 화합물 X: 4-((Z)-3-(6-((5-(2-((4S)-6-(4-클로로페닐)-8-메톡시-1-메틸-4H-벤조[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4-일)아세트아미도)펜틸)아미노)-6-옥소헥실)-2-((2E,4E)-5-(3,3-디메틸-5-설포-1-(4-설포부틸)-3H-인돌-1-이움-2-일)펜타-2,4-디엔-1-일리덴)-3-메틸-5-설포인돌린-1-일)부탄-1-설포네이트)
Figure pct00281
DMF(40 μL) 중 N-(5-아미노펜틸)-2-((4S)-6-(4-클로로페닐)-8-메톡시-1-메틸-4H-벤조[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4-일)아세트아미드(제조를 위해, 비교 화합물 J, WO2011/054848A1호 참조, 1.7 mg, 3.53 μmol)의 용액에 또한 DMF(100 μL) 중 AlexaFluor647-ONSu(2.16 mg, 1.966 μ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DIPEA(1 μl, 5.73 μmol)로 염기성화시키고, 볼텍스 믹서(vortex mixer)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 건조시켰다. 고체를 MeCN/물/AcOH(5/4/1, <1 mL)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Phenomenex Jupiter C18 분취용 컬럼에 적용하고, 다음의 구배로 용리시켰다(A = 물 중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0.1% TFA/90% MeCN/10% 물): 유량 = 10 mL/분., AU = 20/10 (214nm):
5-35%, t=0분: B = 5%; t=10분: B = 5%; t=100분: B = 35%; t=115분: B = 100%(분리 구배: 0.33%/분)
주 성분이 26-28%B 범위에 걸쳐 용리되었지만, 두 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분 "둘 모두"를 함유해야 하는 중간 분획(F1.26)을 분석용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Spherisorb ODS2, 60분에 걸쳐 1 내지 35%): 28%B에서 단일 성분 용리.
분획 F1.25/26&27을 합치고, 증발 건조시켰다. DMF와 함께 옮기고, 증발 건조시키고, 건조 에테르로 분쇄하고, 청색 고체를 밤새 <0.2mbar에서 건조시켰다: 1.54 mg.
분석용 HPLC(Sphersisorb ODS2, 60분에 걸쳐 1 내지 35%B): MSM10520-1: [M+H]+ (obs): M-29에 상응하는 661.8/-. 이는 M-29인 1320.984의 계산된 질량에 대한 [(M+2H)/2]+와 동일시된다. 이는 Alexa Fluor 647 염료에 의한 표준 발생률이고, 질량 분석기의 조건 하에서의 두 개의 메틸렌 기의 이론적 손실을 나타낸다.
검정 원리: TR-FRET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도너 형광단을 λ337 nm에서 레이저에 의해 여기시키고, 이어서 λ618 nm에서 방출되게 하였다. 어셉터 형광단이 아주 인접하여 있다면, 에너지 전이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λ665 nm에서 Alexa Fluor® 647의 방출을 유도한다. 경쟁 화합물의 존재 하에, 비교 화합물 X는 브로모도메인에 결합하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다. 변위가 발생하면, 어셉터 형광단은 더 이상 도너 형광단에 근접하지 않는데, 이는 형광 에너지 전이를 막고, 이어서 λ665 nm에서 Alexa Fluor® 647 방출의 손실을 막는다.
BET 패밀리(BRD2, BRD3, BRD4 및 BRDT)와의 결합에 대한 화학식(I)의 화합물과 비교 화합물 X의 경쟁은 브로모도메인 1(BD1) 및 브로모도메인 2(BD2) 둘 모두에 걸친 단백질 트렁케이트(protein truncate)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BD1 또는 BD2에 대한 차등 결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요 티로신에서 알라닌으로의 단일 잔기 돌연변이가 아세틸 리신 결합 포켓(pocket)에서 이루어졌다. 이 접근법을 검증하기 위해, BET 패밀리 구성원 각각에 대해 이중 잔기 돌연변이체 탠덤 도메인 단백질을 생성시켰다. 형광 편광 접근법을 이용하여, 비교 화합물 X에 대한 단일 및 이중 돌연변이체 각각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결정하였다. 비교 화합물 X에 대한 이중 돌연변이체 탠덤 단백질의 친화도는 돌연변이되지 않은 야생형 탠덤 BET 단백질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되었다(Kd에서 > 1000배 감소). 비교 화합물 X에 대한 단일 돌연변이된 브로모도메인 탠덤 단백질의 친화도는 상응하는 돌연변이되지 않은 BET 단백질과 동등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티로신에서 알라닌으로의 단일 돌연변이가 돌연변이된 브로모도메인과 비교 화합물 X 간의 상호작용의 Kd를 > 1000배 만큼 감소시킴을 입증하였다. TR-FRET 경쟁 검정에서, 비교 화합물 X는 돌연변이되지 않은 브로모도메인에 대한 Kd와 동등한 농도로 사용되며, 이는 돌연변이된 브로모도메인에서의 결합이 검출되지 않음을 보장한다.
단백질 생성: 재조합 인간 브로모도메인[(BRD2 (1-473) (Y113A) 및 (Y386A), BRD3 (1-435) (Y73A) 및 (Y348A) BRD4 (1-477) (Y97A) 및 (Y390A) 및 BRDT (1-397) (Y66A) 및 (Y309A)]을 N-말단에 6-His 태그를 지니는 이. 콜라이(E. coli) 세포(BRD2/3/4에 대해 pET15b 벡터에서, 그리고 BRDT에 대해 pET28a 벡터에서)에서 발현시켰다. His-태깅된 브로모도메인 펠릿을 50mM HEPES(pH7.5), 300mM NaCl, 10mM 이미다졸 & 1 μL/mL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cocktail) 중에 재현탁시키고, 초음파처리를 이용하여 이. 콜라이 세포로부터 추출하고, 니켈 세파로스 고성능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단백질을 세척한 후, 20 컬럼 부피 이상의, 완충제 50mM HEPES(pH7.5), 150mM NaCl, 500mM 이미다졸과 함께 0-500mM 이미다졸의 선형 구배로 용리시켰다. 최종 정제를 Superdex 200 분취용 등급 크기 배제 컬럼에 의해 완료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을 -80℃에서 20mM HEPES pH 7.5 및 100mM NaCl 중에 저장하였다. 단백질 실체를 펩티드 질량 지문법(peptide mass fingerprinting)에 의해 확인하고, 예상되는 분자량을 질량 분광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브로모도메인 BRD2, 3, 4 및 T, BD1 + BD2 돌연변이체 TR-FRET 경쟁 검정에 대한 프로토콜: 모든 검정 성분을 50 mM HEPES pH7.4, 50mM NaCl, 5% 글리세롤, 1mM DTT 및 1mM CHAPS로 구성된 검정 완충제에 용해시켰다. 비교 화합물 X를 이 브로모도메인에 대한 2*Kd와 동일한 농도로, 20 nM 단일 돌연변이체, 탠덤 브로모도메인 단백질을 함유하는 검정 완충제로 희석하였다. 브로모도메인 및 비교 화합물 X를 함유하는 용액을 Greiner 384 웰 블랙 저용적 미세역가 플레이트에서 시험 화합물의 용량 반응 희석물 또는 DMSO 비히클(이 검정에서 최대 0.5% DMSO가 사용됨)에 첨가하고, 이어서 30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3nM의 동일 부피의 항-6*His 유로퓸 킬레이트를 모든 웰에 첨가한 후, 실온에서 추가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을 수행하였다. λ337 nm에서 도너 형광단을 여기시키고, 이어서 50 ㎲ec의 지연 후, λ615 nm 및 λ665 nm에서 도너 및 어셉터 형광단의 방출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Perkin Elmer Multimode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TR-FRET를 검출하였다. 이들 검정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 비억제된(DMSO 비히클) 및 억제된(WO 2011/054846A1호의 실시예 11의 10*IC50 농도) TR-FRET 검정의 16개의 복제물을 각 미세역가 플레이트 상에 포함시켰다.
이후, 하기 형태의 cA 4 파라미터 곡선 핏(four parameter curve fit)을 적용시켰다:
y = a + (( b - a)/( 1 + ( 10 ^ ×/10 ^ c ) ^ d )
상기 식에서, 'a'는 최소값이고, 'b'는 힐 슬로프(Hill slope)이고, 'c'는 pIC50이고, 'd'는 최대값이다.
모든 화합물(실시예)을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대로 BRD4 BD1 및 BRD4 BD2 TR-FRET 검정에서 각각 시험하였다. 당업자는 기능 활성에 대한 시험관내 결합 검정 및 세포-기반 검정에 실험적 변동이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하기 제공된 pIC50 값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pIC50 값은 log10 단위로 표시된다.
모든 시험된 화합물은 상기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검정에서 pIC50 ≥ 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4 및 116은 BRD4 BD2 검정에서 pIC50 ≥ 5.0 및 < 6.0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다른 시험된 화합물은 BRD4 BD2 검정에서 pIC50 ≥ 6.0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30은 BRD4 BD2 검정에서 8.0의 pIC50(n = 4)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6은 BRD4 BD2 검정에서 7.1의 pIC50(n = 3)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9는 BRD4 BD2 검정에서 7.9의 pIC50(n = 2)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2는 BRD4 BD2 검정에서 7.7의 pIC50(n = 1)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0은 BRD4 BD2 검정에서 7.4의 pIC50(n = 8)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3은 BRD4 BD2 검정에서 7.5의 pIC50(n = 5)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06은 BRD4 BD2 검정에서 7.6의 pIC50(n = 2)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17은 BRD4 BD2 검정에서 7.3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18은 BRD4 BD2 검정에서 7.3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19는 BRD4 BD2 검정에서 8.2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20은 BRD4 BD2 검정에서 7.8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21은 BRD4 BD2 검정에서 7.2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22는 BRD4 BD2 검정에서 7.4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23은 BRD4 BD2 검정에서 7.8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시예 124는 BRD4 BD2 검정에서 7.3의 pIC5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한 선택성 계산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한 선택성을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선택성 = BRD4 BD2 pIC50 - BRD4 BD1 pIC50
모든 실시예는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 1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 내지 108 및 117 내지 124는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 2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2, 13, 18, 24, 28, 30, 48, 52, 62, 63, 67, 68, 69, 71, 73, 80, 82, 84, 87, 88, 92, 95, 99, 100, 103, 106, 107, 119, 122 및 123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 3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30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3.3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46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8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49는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8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52는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3.2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80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3.0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83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9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06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3.0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17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9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18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9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19는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3.1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20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8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21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7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22는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3.1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23은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3.0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0배 더 선택적이다.
실시예 124는 상기 기술된 TR-FRET 검정 중 적어도 하나에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2.8 log 단위의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RD4 BD1에 비해 BRD4 BD2에 대해 적어도 100배 더 선택적이다.

Claims (28)

  1.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Figure pct00282

    상기 식에서,
    R1은 -C1-3알킬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는 -C0-3알킬-C3-7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C3-7사이클로알킬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5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3는 -H, -C1-4알킬, 사이클로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CH2F, -C0-3알킬OR10 또는 C0-3알킬CN이고;
    R4는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2 또는 3개의 R6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5는 플루오로, -C1-6알킬-R13, -OCH3, -O-C2-6알킬-R13, -CN, -OH, -SO2C1-3알킬 및 -NR14R1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6는 옥소, 할로, -OCF3, -OCHF2, -C1-4알킬, -C0-3알킬-OR8, -C0-3알킬-NR14R15, -C0-3알킬-CONR11R12, -C0-3알킬-헤테로사이클릴, -C0-3알킬-O-C1-2알킬-헤테로사이클릴, -CN 및 -SO2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은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7은 -C1-3알킬 또는 -NR11R12이고;
    R8은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C2-3알킬-OH 또는 -C2-3알킬-O-C1-3알킬이고;
    R9은 -H, -C1-3알킬, -C2-3알킬-NR11R12 또는 -C2-3알킬-OH이고;
    R10은 -H 또는 -C1-3알킬이고;
    각각의 R11 및 각각의 R12는 -H 및 -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고;
    R13은 -H, -OR9, -NR14R15 또는 -CN이고;
    각각의 R14 및 각각의 R15는 -H, -C(O)OC(CH3)3, -C(O)C1-3알킬, -C1-6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2-3알킬-OH 및 -C2-3알킬-O-C1-3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C1-6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은 1, 2 또는 3개의 플루오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거나; R14 및 R15는 이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와 함께 결합하여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C1-3알킬, -OH 및 플루오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메틸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사이클로프로필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
  4. 제3항에 있어서, R2가 비치환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5. 제3항에 있어서, R2가 메틸인 하나의 R5 기에 의해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가 -H, 메틸, 에틸, 플루오로, -OCH3, -OH, -CH2F, -CH2OH, -CH(OH)CH3, -CH2OMe 또는 -CH2CN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비치환된 페닐이거나 R4가 하나의 R6 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비치환된 피롤로피리디닐인 화합물 또는 이의 염.
  9. 제7항에 있어서, R4가 옥소, 플루오로, -OCH2CH2OH, -OCH2CH(CH3)OH, 메틸, -OCH3, -OH 및 -OCH2CH2-3-(4,4-디플루오로피페리디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R6 기에 의해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10. 실시예 1 내지 124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2. 제11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3. 제11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학적 활성제와 함께 포함하는 조합물.
  14.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1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5.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1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6. 제15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인 화합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또는 이들의 독소로의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포함하는 화합물.
  18. 제15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바이러스 감염인 화합물.
  19. 제15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암인 화합물.
  20. 제15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류마티스 관절염인 화합물.
  21.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11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22. 치료적 유효량의 제11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가 처방되는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및/또는 염증 질환인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또는 이들의 독소로의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바이러스 감염인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암인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질환이 류마티스 관절염인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KR1020187037391A 2016-05-24 2017-05-22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KR20190006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609096.1A GB201609096D0 (en) 2016-05-24 2016-05-24 Compounds
GB1609096.1 2016-05-24
GBGB1703274.9A GB201703274D0 (en) 2017-03-01 2017-03-01 Compound
GB1703274.9 2017-03-01
PCT/EP2017/062208 WO2017202742A1 (en) 2016-05-24 2017-05-22 Pyridine dicarboxamide derivatives as bromodomain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567A true KR20190006567A (ko) 2019-01-18

Family

ID=5873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391A KR20190006567A (ko) 2016-05-24 2017-05-22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844015B2 (ko)
EP (1) EP3464242A1 (ko)
JP (1) JP6885968B2 (ko)
KR (1) KR20190006567A (ko)
CN (1) CN109153646B (ko)
AU (1) AU2017269673A1 (ko)
BR (1) BR112018073524A2 (ko)
CA (1) CA3023765A1 (ko)
RU (1) RU2018142988A (ko)
WO (1) WO2017202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96245C (en) 2015-09-02 2023-10-17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Pyridinone dicarboxamide for use as bromodomain inhibitors
RU2018112312A (ru) 2015-09-22 2019-10-23 ГлаксоСмитКлайн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N2) Лимитед Пиридинондикарбоксамиды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бромодомена
JP6832923B2 (ja) 2015-10-05 2021-02-24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ー、(ナンバー2)、リミテッド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ブロモドメイン阻害薬としての2−オキソ−1,2−ジヒドロピリジン−3,5−ジカルボキサミド化合物
CN108884070B (zh) 2016-04-07 2021-07-02 葛兰素史克知识产权第二有限公司 作为溴结构域抑制剂的吡啶基衍生物
KR20190006567A (ko) 2016-05-24 2019-01-18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넘버 2) 리미티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JOP20190192A1 (ar) 2017-03-01 2019-08-08 Glaxosmithkline Ip No 2 Ltd مشتقات بيرازول بوصفها مثبطات برومودومين
GB201703282D0 (en) 2017-03-01 2017-04-12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 2) Ltd Compounds
JP7290627B2 (ja) 2017-08-17 2023-06-13 ボード オブ レジェンツ,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キサス システム Atrキナーゼの複素環式阻害剤
GB201814167D0 (en) 2018-08-31 2018-10-17 Glaxosmithkline Ip No 2 Ltd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4781D0 (en) 1990-03-02 1990-04-25 Glaxo Group Ltd Device
ES2330719T3 (es) 2000-12-28 2009-12-15 SHIONOGI &amp; CO., LTD. Derivados de 2-piridona con afinidad para el receptor cannabinoide de tipo 2.
DOP2002000332A (es) * 2001-02-14 2002-08-30 Warner Lambert Co Inhibidores de piridina de metaloproteinasas de la matriz
DE60329981D1 (de) 2002-02-19 2009-12-24 Shionogi & Co Antipruriginosa
AU2003273675A1 (en) * 2002-10-09 2004-05-04 Wayne R. Danter Protein tyrosine kinase inhibitors
EP1433788A1 (en) 2002-12-23 2004-06-30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Pyrazole-derivatives as factor Xa inhibitors
DK1699512T3 (da) 2003-11-03 2012-09-17 Glaxo Group Ltd Fluiddispenseringsindretning
GB0919423D0 (en) 2009-11-05 2009-12-23 Glaxosmithkline Llc Novel compounds
GB0919434D0 (en) 2009-11-05 2009-12-23 Glaxosmithkline Llc Novel compounds
US9221839B2 (en) 2011-04-07 2015-12-29 Merck Sharp & Dohme Corp. C5-C6 oxacyclic-fused thiadiazine dioxide compounds as BACE inhibitors, compositions, and their use
WO2014074675A1 (en) * 2012-11-08 2014-05-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teroaryl substituted pyridyl compounds useful as kinase modulators
US9271978B2 (en) 2012-12-21 2016-03-01 Zenith Epigenetics Corp. Heterocyclic compounds as bromodomain inhibitors
US9855271B2 (en) 2013-07-31 2018-01-02 Zenith Epigenetics Ltd. Quinazolinones as bromodomain inhibitors
CA2996245C (en) 2015-09-02 2023-10-17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Pyridinone dicarboxamide for use as bromodomain inhibitors
RU2018112312A (ru) 2015-09-22 2019-10-23 ГлаксоСмитКлайн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N2) Лимитед Пиридинондикарбоксамиды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бромодомена
JP6832923B2 (ja) 2015-10-05 2021-02-24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ー、(ナンバー2)、リミテッド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ブロモドメイン阻害薬としての2−オキソ−1,2−ジヒドロピリジン−3,5−ジカルボキサミド化合物
CN108884070B (zh) 2016-04-07 2021-07-02 葛兰素史克知识产权第二有限公司 作为溴结构域抑制剂的吡啶基衍生物
KR20190006567A (ko) 2016-05-24 2019-01-18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넘버 2) 리미티드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GB201703282D0 (en) 2017-03-01 2017-04-12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 2) Ltd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44015B2 (en) 2020-11-24
AU2017269673A1 (en) 2018-11-22
CN109153646B (zh) 2022-08-02
WO2017202742A1 (en) 2017-11-30
RU2018142988A (ru) 2020-06-25
EP3464242A1 (en) 2019-04-10
CA3023765A1 (en) 2017-11-30
JP6885968B2 (ja) 2021-06-16
JP2019516761A (ja) 2019-06-20
BR112018073524A2 (pt) 2019-05-28
US20190202786A1 (en) 2019-07-04
CN109153646A (zh)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6567A (ko)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리딘 디카르복사미드 유도체
CN108137542B (zh) 用作溴结构域抑制剂的吡啶酮二甲酰胺
CN108137541B (zh) 用于用作溴结构域抑制剂的吡啶酮二甲酰胺
JP6832923B2 (ja) ブロモドメイン阻害薬としての2−オキソ−1,2−ジヒドロピリジン−3,5−ジカルボキサミド化合物
CN108884070B (zh) 作为溴结构域抑制剂的吡啶基衍生物
CA2425067A1 (en) Aza-and polyaza-naphthalenyl ketones useful as hiv integrase inhibitors
CN112020500A (zh) 作为磷脂酰肌醇磷酸激酶抑制剂的氨基吡啶衍生物
CN103649053B (zh) 氨基甲基喹诺酮化合物
KR102403176B1 (ko)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EP3589615B1 (en) Pyridyl derivatives as bromodomain inhibitors
EP3843848A1 (en) Furan derivatives as bromodomain inhibitors
CN116981458A (zh) 具有四氢吲哚-1-甲酰胺作为bcl-2抑制剂的化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