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41U - 승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41U
KR20190003041U KR2020190002154U KR20190002154U KR20190003041U KR 20190003041 U KR20190003041 U KR 20190003041U KR 2020190002154 U KR2020190002154 U KR 2020190002154U KR 20190002154 U KR20190002154 U KR 20190002154U KR 20190003041 U KR20190003041 U KR 201900030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atch
angle
passenger conveyo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3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4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for balustrades 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 컨베이어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스커트 가드(44)에 마련됨과 함께, 승강판(34)의 선단의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70)을 갖고, 돌출편(70)은, 스커트 가드(44)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기부(72)와, 기부(72)의 일단에 씌워진 캡(74)과, 기부(72)로부터 디딤판(30)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76)를 갖고, 캡(74)의 평면 형상은, 그 선단으로부터 가이드부(76)를 향하여 각도 θ1°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가이드부(76)의 평면 형상은, 캡(74)과의 경계의 위치에 있어서 각도 θ1°로부터 연속하여 각도 θ2°로 넓어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그 후에 일정한 넓이가 되고, 0°<θ1°≤ θ2°<60°, θ2°-θ1°<30°의 관계를 갖는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PASSENGER CONVEYER}
[우선권 기초 출원 등 관련 출원의 인용]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03304호(출원일 : 2018년 5월 30일)를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 모두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 등의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승객의 옷, 특히 롱 스커트의 밑단이 디딤판과 스커트 가드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커트 가드 리플렉터, 또는 스커트 가드 브러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커트 가드 리플렉터, 또는 스커트 가드 브러시를 설치하면 승객의 발이나 의류가 이들 부재의 단부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롱 스커트의 밑단이 디딤판과 스커트 가드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에 승객의 의복, 밑단, 짐이 걸리지 않는 구조를 가진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트러스와, 상기 트러스의 상부에 마련되며, 한쪽 승강구로부터 다른 쪽 승강구까지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와,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로부터 각각 세워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난간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커트 가드의 사이를, 한쪽 상기 승강구로부터 다른 쪽 상기 승강구까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주행하는 디딤판과, 한쪽 상기 승강구와 다른 쪽 상기 승강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디딤판이 진출, 또는, 진입하는 승강판과, 상기 스커트 가드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승강판의 선단의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을 갖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스커트 가드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기부와, 상기 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승강구측의 일단에 씌워진 캡과,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디딤판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캡의 평면 형상은,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각도 θ1°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평면 형상은, 상기 캡의 경계와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θ1°로부터 연속하여 각도 θ2°로 넓어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그 후에 일정한 넓이가 되고, 0°<θ1°≤ θ2°<60°, θ2°-θ1°<30°의 관계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가이드부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스커트 가드로부터 상기 디딤판의 클리트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마련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돌출편은, 한쪽 상기 승강구로부터 다른 쪽 상기 승강구까지의 스커트 가드에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4 실시 형태는, 상기 돌출편은, 한쪽 상기 승강구와 다른 쪽 상기 승강구에 각각 독립하여 마련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5 실시 형태는, 상기 캡의 평면 형상은,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각도 θ1로 직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평면 형상은, 상기 캡의 기부로부터 각도 θ2로 직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6 실시 형태는, 상기 캡의 평면 형상은,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각도 θ1로 볼록 곡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평면 형상은, 상기 캡이 씌워진 부분으로부터 각도 θ2로 볼록 곡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7 실시 형태는, 상기 캡은,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인,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8 실시 형태는, 상기 가이드부는, 합성 수지제의 판, 또는 브러시모인,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9 실시 형태는, 상기 기부는,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인,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제10 실시 형태는,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인,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이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이면,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롱 스커트의 밑단이 디딤판과 스커트 가드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에 승객의 의복, 밑단, 짐이 걸리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형태 1의 에스컬레이터의 측면 설명도.
도 2는 하층의 승강구에 있어서의 측면 설명도.
도 3은 하층의 승강판 부근의 종단면도.
도 4는 하층의 콤에 있어서의 평면도.
도 5는 기부와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2의 에스컬레이터의 돌출편의 평면도.
도 7은 실시 형태 3의 에스컬레이터의 돌출편의 평면도.
도 8은 실시 형태 4의 에스컬레이터의 돌출편의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의 승객 컨베이어에 대하여 에스컬레이터(1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의 에스컬레이터(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에스컬레이터(10)
에스컬레이터(10)의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10)를 측면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다.
에스컬레이터(10)의 프레임워크인 트러스(12)가 건물(1)의 상층과 하층에 걸쳐 지지 앵글(2, 3)을 사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트러스(12)의 상단부에 있는 상층측의 기계실(14) 내부에는, 디딤판(30)을 주행시키는 구동 장치(18),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24, 24), 좌우 한 쌍의 벨트 스프로킷(27, 27)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18)는, 유도 전동기(인덕션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20)와, 감속기와, 이 감속기의 출력축에 설치된 출력 스프로킷과, 이 출력 스프로킷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체인(22)과, 모터(2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갖고 있다. 이 구동 체인(22)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24)이 회전한다.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24, 24)과 좌우 한 쌍의 벨트 스프로킷(27, 27)은, 도시하지 않은 연결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한, 상층측의 기계실(14) 내부에는, 모터(20)나 디스크 브레이크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마련되어 있다.
트러스(12)의 하단부에 있는 하층측의 기계실(16) 내부에는, 종동 스프로킷(26)이 마련되어 있다. 상층측의 구동 스프로킷(24)과 하층측의 종동 스프로킷(26)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무단의 디딤판 체인(28, 28)이 걸쳐져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디딤판 체인(28, 28)에는, 복수의 디딤판(30)의 전륜(301)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디딤판(30)의 전륜(301)은 트러스(12)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전방 안내 레일을 따라서 주행함과 함께, 구동 스프로킷(24)의 외주부에 있는 오목부와 종동 스프로킷(26)의 외주부에 있는 오목부에 걸림 결합하여, 디딤판(30)이 상하로 반전된다. 또한, 후륜(302)은 트러스(12)에 고정된 후방 안내 레일(25)을 주행한다.
트러스(12)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44, 44)와 좌우 한 쌍의 난간(36, 36)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난간(36)의 상부에 핸드 레일(39)이 마련되고, 이 핸드 레일(39)을 따라서 핸드 레일 벨트(38)가 이동한다. 난간(36)의 상층측의 정면 하부에는 상층측의 정면 스커트 가드(40)가 마련되고, 하층측의 정면 하부에는 하층측의 정면 스커트 가드(42)가 마련되고, 정면 스커트 가드(40, 42)로부터 핸드 레일 벨트(38)의 출입구인 인렛부(46, 48)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스커트 가드(44)는, 난간(36)의 측면 하부에 마련되며,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44, 44) 사이를 디딤판(30)이 주행한다.
핸드 레일 벨트(38)는 상층측의 인렛부(46)로부터 정면 스커트 가드(40) 내로 진입하고, 안내 롤러군(64)을 통해 벨트 스프로킷(27)에 걸쳐지고, 그 후, 안내 롤러군(66)을 통해 스커트 가드(44) 내를 이동하여, 하층측의 인렛부(48)로부터 정면 스커트 가드(42) 외부로 나온다. 그리고, 핸드 레일 벨트(38)는, 벨트 스프로킷(27)이 구동 스프로킷(24)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디딤판(30)과 동기하여 이동한다. 또한, 회전하는 벨트 스프로킷(27)에, 주행하는 핸드 레일 벨트(38)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68)를 갖는다.
상층측의 기계실(14)의 천장면에 있는 승강구에는, 상층측의 승강판(32)이 수평으로 마련되고, 하층측의 기계실(16)의 천장면에 있는 승강구에는, 하층측의 승강판(34)이 수평으로 마련되어 있다. 승강판(32)의 선단에는 복수의 빗살(61)이 등간격으로 돌출된 빗살형 콤(60)이 마련되고, 이 콤(60)으로부터 디딤판(30)이 진출, 또는, 진입한다. 또한, 승강판(34)에도 복수의 빗살(61)이 등간격으로 돌출된 빗살형 콤(62)이 마련되어 있다(빗살(61)은 도 2 참조). 콤(60, 62)은, 합성 수지제이다.
(2) 디딤판(30)
다음에, 디딤판(3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판(30)은, 삼각 형상의 좌우 한 쌍의 디딤판 프레임(303, 303)과, 이 디딤판 프레임(303)의 상면에 형성된 클리트면(304)과, 디딤판 프레임(303)의 후방면에 형성된 라이저면(305)을 포함하고, 디딤판 프레임(303)과 클리트면(304)과 라이저면(305)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리트면(304)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산부(306), 골부(307)가 마련되고, 디딤판(30)이 승강판(34)에 진입할 때, 빗살형 콤(62)의 빗살(61)이 골부(307)에 진입하여, 클리트면(304)에 실린 이물을 배출한다.
승객의 옷, 롱 스커트의 밑단이 디딤판(30)과 스커트 가드(44)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편(70)이,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44)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편(70)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3) 돌출편(70)
돌출편(7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돌출편(7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44)에 있어서 하층의 승강구로부터 상층의 승강구까지이며, 디딤판(30)의 클리트면(304)의 상방에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돌출편(70)은, 기부(72)와, 기부(72)의 양단부에 설치된 캡(74)과, 기부(72)를 따라서 마련된 가이드부(76)를 포함한다.
기부(72)는, 긴 변 방향으로 긴 금속제의 직육면체이며,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 가드(44)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또한, 디딤판(30)의 클리트면(304)보다도 약간 상방에 하층의 승강구로부터 상층의 승강구까지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기부(72)의 하층의 단부의 위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의 승강판(34)의 선단에 마련된 콤(62)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층도 마찬가지로 상층의 승강판(32)의 콤(6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72)의 디딤판(30)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78)이 마련되어 있다.
캡(74)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72)의 하층의 단부와 상층의 단부에 각각 씌워져 있다. 이 캡(74)은 하층에 있어서는, 승강구측일수록 가늘어지고, 기부(72)쪽으로 갈수록 직선형으로 넓어진 삼각뿔형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에 있어서 그 각도는 θ1°이다.
판형 가이드부(76)는 합성 수지제이며, 기부(72)의 홈(78)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 판형 가이드부(76)는, 기부(72)로부터 디딤판(30)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72)의 위치로부터 디딤판(30)의 클리트면(304)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74)과의 경계의 위치(기부(72)의 하층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각도 θ2°로 연속하여 직선형으로 점차 상층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그 후에 일정한 넓이가 된다. 이 넓어지는 삼각형의 각도 θ1°과 각도 θ2°는,
0°<θ1°≤ θ2°<60°, θ2°-θ1°<30°
의 관계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돌출편(70)은, 캡(74)의 선단으로부터 기부(72)를 향하여 직선형으로 넓어지고, 또한 가이드부(76)의 위치에 있어서 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4) 효과
롱 스커트를 입은 승객이, 하층의 승강구로부터 에스컬레이터(10)에 올라타려고 할 때, 롱 스커트의 밑단은, 디딤판(30)과 스커트 가드(44) 사이에 끼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편(70)이 콤(62)과 디딤판(30)의 클리트면(304)의 단부를 덮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 가드(44)와 디딤판(30) 사이에 끼는 일이 없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의 의복이나 짐이, 디딤판(30)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라도, 캡(74)의 선단에 닿고, 이 캡(74)의 선단이 점차 넓어지고, 또한 연속하여 가이드부(76)를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돌출편(70)의 하층의 단부에 걸리거나 하는 일이 없다. 특히, 캡(74)의 각도가 θ1°이며, 가이드부(76)의 각도가 그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넓은 θ2°이기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승객의 의복, 밑단이나 짐이 안내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실시 형태 2의 에스컬레이터(10)의 돌출편(7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가이드부(76)는 합성 수지제의 판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 대신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모를 포함하는 브러시모로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캡(74)의 각도 θ1°을 따라서 이동해 온 승객의 의복, 롱 스커트의 밑단이나 짐은, 각도 θ2°의 브러시모를 포함하는 가이드부(76)를 따라서 이동하여, 의복, 밑단, 짐이 걸리거나 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실시 형태 3의 에스컬레이터(10)의 돌출편(70)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캡(74)의 디딤판(30)측의 형상은 직선형이며, 합성 수지제의 판을 포함하는 가이드부(76)의 넓어지는 부분의 형상은 직선형이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 대신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판(30)측으로 약간 돌출된 곡선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캡(74)에도 홈(78)이 형성되고, 합성 수지제의 판을 포함하는 가이드부(76)의 선단은, 캡(74)의 홈(78)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승객의 의복, 밑단, 짐이 걸리거나 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실시 형태 4의 에스컬레이터(10)의 돌출편(70)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캡(74)의 디딤판(30)측의 형상은 직선형이며, 브러시모를 포함하는 가이드부(76)의 넓어지는 부분의 형상은 직선형이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 대신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판(30)측으로 약간 돌출된 곡선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캡(74)에도 홈(78)이 형성되고, 브러시모를 포함하는 가이드부(76)의 선단은, 캡(74)의 홈(78)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승객의 의복, 밑단, 짐이 걸리거나 하지 않는다.
[변경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캡(74)은 합성 수지제였지만, 이것 대신에 금속제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72)는 금속제였지만, 이것 대신에 합성 수지제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편(70)은, 하층으로부터 상층까지 연속하여 마련하였지만, 이것 대신에 하층의 돌출편(70)과 상층의 돌출편(70)에 독립하여 마련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스컬레이터(10)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 대신에 무빙워크에 적용해도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고안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고안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고안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트러스와,
    상기 트러스의 상부에 마련되며, 한쪽 승강구로부터 다른 쪽 승강구까지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와,
    좌우 한 쌍의 스커트 가드로부터 각각 세워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난간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커트 가드의 사이를, 한쪽 상기 승강구로부터 다른 쪽 상기 승강구까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주행하는 디딤판과,
    한쪽 상기 승강구와 다른 쪽 상기 승강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디딤판이 진출, 또는, 진입하는 승강판과,
    상기 스커트 가드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승강판의 선단의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
    을 갖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스커트 가드의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기부와,
    상기 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승강구측의 일단에 씌워진 캡과,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디딤판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캡의 평면 형상은,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각도 θ1°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평면 형상은, 상기 캡과의 경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θ1°로부터 연속하여 각도 θ2°로 넓어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그 후에 일정한 넓이가 되고,
    0°<θ1°≤ θ2°<60°, θ2°-θ1°<30°의 관계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스커트 가드로부터 상기 디딤판의 클리트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마련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한쪽 상기 승강구로부터 다른 쪽 상기 승강구까지의 스커트 가드에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한쪽 상기 승강구와 다른 쪽 상기 승강구에 각각 독립하여 마련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평면 형상은,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각도 θ1로 직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평면 형상은, 상기 캡의 기부로부터 각도 θ2로 직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평면 형상은,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각도 θ1로 볼록 곡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평면 형상은, 상기 캡이 씌워진 부분으로부터 각도 θ2로 볼록 곡선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인 승객 컨베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합성 수지제의 판, 또는 브러시모인 승객 컨베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인 승객 컨베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인 승객 컨베이어.
KR2020190002154U 2018-05-30 2019-05-27 승객 컨베이어 KR2019000304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3304 2018-05-30
JP2018103304A JP6651571B2 (ja) 2018-05-30 2018-05-30 乗客コンベア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41U true KR20190003041U (ko) 2019-12-10

Family

ID=6876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154U KR20190003041U (ko) 2018-05-30 2019-05-27 승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51571B2 (ko)
KR (1) KR20190003041U (ko)
CN (1) CN21026081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1053B2 (ja) * 2020-01-27 2022-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用スカートモール先端キャップ
JP7167260B1 (ja) * 2021-06-30 2022-11-0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安全装置、乗客コンベアおよび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579A (ja) * 1974-07-30 1976-02-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Esukareeta
JPS5213279A (en) * 1975-07-21 1977-02-01 Hitachi Ltd Safety device for man conveyor
JPH08301565A (ja) * 1995-05-09 1996-11-1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内デッキ配設構造
JP2011131966A (ja) * 2009-12-22 2011-07-07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5923804B1 (ja) * 2015-02-16 2016-05-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260811U (zh) 2020-04-07
JP6651571B2 (ja) 2020-02-19
JP2019206425A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27070B8 (en) Escalator with step flange
KR20190003041U (ko) 승객 컨베이어
JP5923804B1 (ja) 乗客コンベア
US20140251753A1 (en)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JP6325066B1 (ja) 乗客コンベア
JP5836443B1 (ja) 乗客コンベア
JP6270974B1 (ja) 乗客コンベア
JP5695587B2 (ja) 乗客コンベア
JP6617898B1 (ja) 踏段とそ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
JP6781240B2 (ja) 手摺り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
JP7187627B1 (ja) 乗客コンベア及び安全装置
JP2017001795A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ベルト及び乗客コンベア
JP7315906B1 (ja) 乗客コンベア
JP4848327B2 (ja) 乗客コンベア
JP6363269B1 (ja) 乗客コンベア
US20080011580A1 (en) Travelator, moving ramp or escalator
JP5676707B1 (ja) 乗客コンベアの油飛散抑制機構
JP5937239B1 (ja) 乗客コンベア
JP4321249B2 (ja) 踏板、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5886453B1 (ja) 乗客コンベア
JP6947693B2 (ja) 乗客コンベアー
JP6462779B2 (ja) 乗客コンベアとその製造方法
JP6373948B2 (ja) 乗客コンベア
JP6235074B1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り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
JP6271688B1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23 Withdrawal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requested before decision to reg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