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240A - 캠핑카용 창문 - Google Patents

캠핑카용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240A
KR20180134240A KR1020170071866A KR20170071866A KR20180134240A KR 20180134240 A KR20180134240 A KR 20180134240A KR 1020170071866 A KR1020170071866 A KR 1020170071866A KR 20170071866 A KR20170071866 A KR 20170071866A KR 20180134240 A KR20180134240 A KR 20180134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opening
air circulation
window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섭
Original Assignee
에스유티캠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유티캠퍼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유티캠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240A/ko
Publication of KR2018013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ecreationa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with different fram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 내부공간에서 외부로의 시인성 확보 및 환기를 위하여 캠핑카에 구비되는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창을 구비하고 캠핑카에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에 여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창틀에 열차단필름이 구비되어 창 또는 창틀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고, 창틀에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구가 형성된 공기순화부재가 구비되어 창 또는 창틀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캠핑카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은 창문 프레임에 여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된 창틀에 열차단필름 및 공기순환부재가 구비되어 캠핑카의 내부공간의 열과 외부의 열을 차단하여 캠핑카 내부공간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창, 창틀 및 창문 프레임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캠핑카용 창문{WINDOW FOR CAMPING CAR}
본 발명은 캠핑카 내부공간에서 외부로의 시인성 확보 및 환기를 위하여 캠핑카에 구비되는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창을 구비하고 캠핑카에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에 여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창틀에 열차단필름이 구비되어 창 또는 창틀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고, 창틀에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구가 형성된 공기순화부재가 구비되어 창 또는 창틀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캠핑카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는 장기간의 드라이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자동차를 말하는 것으로, 육로를 통하여 여행하는 여행자들에게는 장거리 여행에 있어서 필수 아이템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캠핑카는 생활설비를 모두 갖춘 상태에서 운행되는바, 침실과, 화장실, 주방 등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의 생활공간에서 따뜻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시설되어 있다.
특히, 장거리 여행시 발생하는 기후조건은 덥기도 하고 춥기도 하며, 그 기온차가 환경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게 되어 난방시설이 특히 중요하게 생각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난방시설로 인하여 외부 온도와의 차이가 발생하여 결로가 생겼고, 기후 조건 즉,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창문을 통해 물이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캠핑카의 창문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였고, 빗물 등의 유입을 막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방지를 위하여 실리콘 접착체를 사용하여 도포하는 등의 어려운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캠핑카의 특성상 창틀의 변경이 제한적이었고, 공차관리를 엄격하게 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은 캠핑카용 창문에 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110호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에어홈이 구비된 캠핑카용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개구부 후부에 가로 받침부 및 세로 받침부가 형성되는 창문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의 가로 받침부 및 세로 받침부의 내측면에 밀봉 부착되고 외부로부터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순환을 보조하도록 내측 기밀방지 에어홈 및 외측 기밀방지 에어홈이 구비되는 사각 액자형태로 이루어지는 에어홈 프로파일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의 전부에 설치되어 경첩에 의해 회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이루어지는 창틀 프레임 및 창으로 이루어지는 창틀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홈 프로파일 프레임과 상기 창틀을 서로 연결 설치하여 상기 창틀이 서서히 완충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창과 연결 고정되는 창틀 브라켓과, 상기 에어홈 프로파일 프레임과 연결 고정되는 프로파일 브라켓을 구비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에어홈을 통해 공기순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실내의 보온 난방효율이 향상되고, 외부로부터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캠핑카 내부공간과 외부와의 직접적인 공기순환을 통하여 결로방지를 확실히 실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110호(2015.10.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495호(2010.07.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883호(2011.02.10.)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05-078890호(1993.10.26.)
본 발명은 캠핑카용 창문의 종래기술에 따른 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캠핑카는 일반적인 건축물과 비교하여 내부공간이 더 좁은 반면에 다수의 인원이 밀집된 상태에서 취사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 캠핑카의 창문에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창호와 비교하여 결로가 더욱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창문 프레임과; 상기 창문 프레임에 일측이 여단힘 또는 미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창을 구비하는 창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에는 열차단필름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캠핑카용 창문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은 창문 프레임에 여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된 창틀에 열차단필름이 구비되어 캠핑카의 내부공간의 열과 외부의 열을 차단하여 캠핑카 내부공간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창, 창틀 및 창문 프레임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창틀에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구가 형성된 공기순환부재가 구비되어, 창이 구비된 창틀을 닫더라도 공기순환구를 통하여 일시적 또는 연속적으로 캠핑카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와 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창이 구비된 창틀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창틀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창틀에 복수 개의 공기순환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창틀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에 보조방충망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공기순환부재에 경사턱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공기순환부재에 유동물 차단판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에 다단 개폐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a, 13b, 13c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다간개폐부재의 개폐도어 및 보조방충망 하우징의 여닫힘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a, 14b, 14c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의 다단계폐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캠핑카 내부공간에서 외부로의 시인성 확보 및 환기를 위하여 캠핑카에 구비되는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11)가 형성된 창문 프레임(10)과; 상기 창문 프레임(10)에 일측이 여단힘 또는 미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창(21)을 구비하는 창틀(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20)에는 열차단필름(24)이 구비되는 캠핑카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은 레저용 또는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캠핑카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캠핑카 내부공간의 공기와 외부 공기를 통기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캠핑카용 창문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과 같이 거시적으로 창문 프레임(10) 및 창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창문 프레임(10)은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1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창문을 캠핑카에 장착시키는 지지체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창문 프레임(10)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이 사각형의 수직단면을 하는 형태의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구성의 창문 프레임(10)은 캠핑카 벽체의 두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고, 창문 프레임(10)의 외주는 캠핑카에 형성된 창문 프레임홀(미도시)에 끼워져 체결되고 기밀처리된다.
아울러 상기 창문 프레임(1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을 가지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상호 체결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합성수지를 용융 사출하여 단일의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창문 프레임(10)의 중앙부분에는 하기의 창틀(20)이 체결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의 내주는 창틀(20)의 외주와 최대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개구부(11)를 창틀(20)로서 완전히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창틀(20)은 상기 창문 프레임(10)에 일측이 여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창(21)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를 여닫아 캠핑카용 창문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창틀(20)의 외주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10) 개구부(11)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창틀(20)의 내측에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창(21)이 구비되어 캠핑카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를 관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21)의 크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창틀(20)에는 창(21)을 구비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창틀(20)은 창문 프레임(10)의 일측(캠핑카의 내부공간 쪽) 또는 타측(캠핑카의 외부 쪽) 중 어느 한쪽 이상에 체결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창문 프레임(10)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단일 개로 구성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창틀(20)은 창문 프레임(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를 여닫을 수 있으면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상부는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의 상부와 힌지 체결되어 회동가능하고, 하부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개구부(11)의 하부로부터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열차단필름(24)은 캠핑카 내부공간과 외부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창틀(20)을 열전도 매체로 하여 캠핑카의 내부공간에서 외부 쪽으로 또는 캠핑카의 외부에서 내부공간 쪽으로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열차단필름(24)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창틀(20)에 구비되어 열교환을 차단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틀(20)은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에 위치되는 내부창틀(22) 및; 상기 내부창틀(22)에 체결되되, 캠핑카의 외부 쪽에 위치되는 외부창틀(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차단필름(24)은 상기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의 사이에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창틀(22)은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에 위치되어 외부와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온도의 열을 전달받고, 상기 외부창틀(23)은 캠핑카의 외부 쪽에 위치되어 내부공간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의 열을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열차단필름(24)은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 상호 간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은 각각이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과 외부 쪽에 위치되고,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에 의하여 형성된 외주가 상기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에 내주와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 사이에는 창(21)이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은 상호 결합되어 단일의 창틀(20)을 형성할 수 있고, 상호 간의 사이에 열차단필름(24)을 구비시킬 수 있으며, 창(21)이 끼워질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외부창틀(23)의 일측(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의 테두리에는 "ㄱ" 형태의 절곡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3-1)에는 차이 끼워지며, 상기 절곡부(23-1)의 일측 상부면에는 열차단필름(24)이 안착되며, 상기 열차단필름(24)의 일측 상부면에는 외부창틀(23)과 동일한 외주 형태를 가지는 내부창틀(22)이 안착되어 외부창틀(23)과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과 같은 금속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금속재보다 열전도성이 더 낮은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창틀(22) 또는 외부창틀(23) 중 어느 하나의 것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재보다 열전도성이 더 낮은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금속재로 구성된 내부창틀(22) 또는 외부창틀(23)은 창틀(20)의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하고,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외부창틀(23) 또는 내부창틀(22)은 열차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절곡부(23-1)는 외부창틀(23)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외부창틀(23)의 수직 단면이 도 2와 같이 일정의 각을 이루는 다각형(일실시예로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 변과 인접된 다른 한 변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부에는 절곡구(23-1)가 형성되지 않고,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탄성체(25)가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25)는 절곡부(23-1)의 두께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외부창틀(23)와 내부창틀(22)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탄성체(25)는 외부창틀(23)과 내부창틀(22)에 의하여 형성된 창틀(20)이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에 닫힐 때, 외부창틀(23)과 내부창틀(22) 사이에 탄성을 형성시켜, 외부창틀(23)과 내부창틀(22) 간의 충격을 최소화시키고, 창틀(20)이 창문 프레임(10)에 보다 부드럽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창틀(20)의 하부에는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창문 프레임(10)에 대한 창틀(20)의 여닫힘 단속을 실현할 수 있고, 도 4, 5와 같이 창틀(20)에는 걸쇠(미도시)가 구비되는 손잡이(50)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걸쇠는 손잡이(50)의 회동에 의하여 회동되어 창문 프레임(10)에 구비된 걸쇠 대응구(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창틀(20)과 창문 프레임(10)에는 도 4와 같이, 완충부재(60)가 구비되어 창문 프레임(10)에 대하여 창틀(20)이 여닫힐 때 완충력 및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재(60)는 실린더(61)와 상기 실린더(61)에 일측이 내입되는 실린더 로드(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61)의 일측은 창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실린더 로드(62)의 타측은 창문 프레임(10) 측벽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완충부재(60)는 창문 프레임(10)에 대하여 창틀(20)이 열릴 때에는 승강력을 제공하여 창틀(20)의 상부를 중심으로 창틀(20)의 하부가 용이하게 회동하며 열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반대로 창문 프레임(10)에 대하여 창틀(20)이 닫힐 때에는 완충력을 제공하여 창틀(20)의 하부가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 하부에 부드럽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 타측의 내주에는, 상기 구성의 창틀(20)이 창문 프레임(10)에 닫힌 상태를 가질 때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기밀부재(70)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70)는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 타측의 내주를 아우르며 창문 프레임(10)에 체결되고, 창틀(20)이 창문 프레임(10)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창틀(20)의 타측 외주면과 일측면이 압착되어 창문 프레임(10)과 창틀(20)을 기밀시킨다.
더불어 상기 기밀부재(70)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튜브와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브러쉬가 구비된 띠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창문 프레임(10)에는 상기 구성의 창틀(20)뿐만 아니라, 방충방이 포함된 방충망부재(80)가 더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가 방충망부재(80)는 외부에서 캠핑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곤충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곤충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다공이 형성된 방충망(82)과 상기 방충망(82)을 창문 프레임(10)에 체결시키기 위한 방충망 프레임(81)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충망부재(80)는 상기 창틀(20)보다 캠핑카 내부공간의 쪽에 해당하는 창문 프레임(10)의 타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충망 프레임(81)은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 타측 또는 창문 프레임(10)의 타측 말단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81)은 창문 프레임(10)의 개구부(11) 전체를 아울러 개구부(11)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충망 프레임(81)에 구비되는 방충망(82)은 상기 방충망 프레임(81)에 여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충망(82)은 방충망 프레임(81)에 대하여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도 6과 같이 한 쌍의 방충망(82)이 방충망 프레임(81) 중앙을 중심으로 양분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여닫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겠다.
또한 상기 방충망 프레임(81)의 양쪽 측부 각각에는 한 쌍의 방충망(82) 각각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롤(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롤은 방충망(82)의 측부와 체결되어 방충망(82)이 열릴 때에는 방충망(82)을 감고, 방충망(82)이 닫힐 때에는 방충망(82)을 풀어 방충망(82)이 열릴 때 방충망(82)의 부피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창틀(20)에는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통기 여부를 조절하는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부재(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순환부재(30)는 상기 창틀(20)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통기 여부를 조절하는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 간의 온도 차이가 지나치게 심하거나 캠핑카 내부공간에 습도가 높을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캠핑카 내부공간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캠핑카 창문에 발생하는 결로는 캠핑카 내부공간과 외부의 온도차이 또는 습도차이에 의하여 발생하고, 캠핑카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결로 발생의 방지를 위하여 일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창(21)이 구비된 창틀(20)을 여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특히 밤에는 캠핑카 내부공간의 온도차이가 더욱 심해지고, 취침 중인 사람의 호흡시에 발생하는 수분에 의하여 창문의 결로는 더욱 심해지나, 사용자는 취침 중이기 때문에 창(21)이 구비된 창틀(20)의 여닫음이 불가능하여, 아침에는 창문에 더욱 심한 결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상기 공기순환부재(30)는 창틀(2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캠핑카 내부공간의 공기와 외부 공기를 소량(창틀(20)이 열려 있는 상태의 공기 순환양보다 적은 양을 의미함.)씩 순환시켜, 창문을 기준하여 캠핑카 내부공간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 차이를 줄여 결로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부재(30)의 공기순환구(31)는 캠핑카의 내부공간(창문 프레임(10)의 개부에 의하여 형성된 부분)과 외부를 상호 통기시키고 창(21)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창틀(20)에 구비되기 때문에, 소량의 공기만이 통기 가능하여 캠핑카 내부공간의 급속한 온도변화를 방지하면서 창문에 발생하는 결로는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공기순환부재(30)는 캠핑카의 크기, 창(21)의 크기 및 창틀(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창틀(20)에 구비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서 도 5와 같이 창틀(20)의 하부, 측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순환부재(30)는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공기를 통기성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되고, 창틀(20)에 형성되어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체결공에 체결되는 바디(32) 및; 상기 공기순환구(31)에 구비되는 보조방충망(33);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32)는 창틀(20)에 대하여 공기순환구(31)를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도 7, 8과 같이, 내측에는 일측과 타측이 통기되는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되고, 외측은 창틀(20)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바디(32)의 두께(또는 폭)는 창틀(20)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공기순환구(31)가 창틀(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하고, 길이와 높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창틀(20)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공은 바디(32)의 외주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바디(32)와 체결공이 기밀되며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시에는 접착제와 같은 기밀수단이 바디(32)와 체결공 사이에 처리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바디(32)에 형성된 공기순환구(31)에 구비되는 보조 방충망(82)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충망부재(80)의 방충망(82)과 더불어 외부의 곤충이 캠핑카의 내부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린 상태의 공기순환구(31)를 통하여 창틀(20)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곤충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보조 방충망(82)은 상기 방충망(82)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곤충의 차단뿐만 아니라, 미약적으로 남아 빗물 또는 눈과 같은 유동물이 공기순환구(31)를 통하여 창틀(20)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보조방충망(33)은 공기순환구(31)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바디(32)에 체결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32)에는 캠핑카의 외부 쪽 또는 내부공간 쪽에 상기 공기순환구(31)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보조방충망 삽입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방충망 삽입공(32a)에는 공기순환구(31)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보조방충망(33)이 삽입된 후, 고정구(32b)에 의하여 보조방충망(33)이 보조방충망 삽입공(32a)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32b)는 중앙에 상기 공기순환구(31)의 내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중공이 형성된 링 또는 관 형태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32b)의 외경은 상기 보조방충망 삽입공(32a)의 내경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보조방충망 삽입공(32a)에 견고히 끼워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순환부재(30)가 바디(32) 및 보조방충망(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구(31)의 내주면 하부는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인 일측이 캠핑카의 외부 쪽인 타측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는 경사턱(34)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턱(34)은 외부에서 빗물, 눈 또는 오염물질 등과 같은 유동물이 공기순환구(31)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유동물이 공기순환구(31)의 타측을 통하여 일측으로 유동되어 창틀(20)의 안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유동물이 경사턱(34)의 경사에 의하여 공기순환구(31)의 일측으로 흘러내려 공기순환구(3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경사턱(34)은 도 11a와 같이, 공기순환구(31)의 내주면 하부에 형성되되, 캠핑카 내부공간 쪽에 해당하는 공기순환구(31)의 일측이 외부 쪽에 해당하는 공기순환구(31)의 타측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창틀(20) 내부 방향으로의 유동물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경사턱(34)은 공기순환구(31) 내주면 하부 자체가 일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돌출형성될 수도 있고, 공기순환구(31) 내주면 하부는 평평한 상태를 가지고 별도의 경사턱(34) 형성구가 상기 평평한 상태의 공기순환구(31) 내주면 하부에 체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경사턱(34)의 경사각은 창틀(20) 안쪽으로의 유동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면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공기순환구(31)의 폭(또는 깊이) 또는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기순환구(31)에는 경사턱(34)의 타측 전방에 유동물 차단판(36)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물 차단판(36)은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인 일측에서 외부 쪽인 타측 방향으로 하향하는 복수의 슬릿(36a)이 상호 이격되며 적층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물 차단판(36)은 외부의 유동물이 경사턱(34)에 도달하기 이전에 미리 유동물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외부 쪽에 위치되는 경사턱(34)의 타측 전방에 해당하는 공기순환구(31)의 입구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동물 차단판(36)은 유동물이 공기순환구(31)에 인입되기 이전에 유동물을 1차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경사턱(34)에 도달할 수 있는 유동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경사턱(34)의 경사각이 더 작아질 수 있도록 하여 경사턱(34)으로 인한 공기순환구(31)의 내경의 좁아짐을 방지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물 차단판(36)은 공기순환구(31)의 통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기순환구(31) 내부로의 유동물 인입을 차단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11b와 같이,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인 일측에서 외부 쪽인 타측 방향으로 하향하는 복수의 슬릿(36a)이 상호 이격되며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유동물 차단판(36)의 슬릿(36a)은 경사턱(34)의 타측 전방에 해당하는 부분의 공기순환구(31)의 양쪽 내주면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슬릿(36a)과 다른 하나의 슬릿(36a) 사이에 형성된 통기공(36b)을 통하여 일정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어느 하나의 슬릿(36a)(상부슬릿)의 일측은 인접된 다른 어느 하나의 슬릿(36a)(하부슬릿)의 타측보다 더 낮은 수평 위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슬릿(36a) 일측으로 인입되거나 흘러내린 유동물이 다른 어느 하나의 슬릿(36a)의 타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순환부재(30)가 바디(32) 및 보조방충망(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32) 또는 창틀(20)에는 상기 공기순환구(31)의 통기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도어(35)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35)는 바디(32) 또는 창틀(20)의 일정부분에 여닫힘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일측(캠핑카의 내부공간 쪽) 또는 타측(캠핑카의 외부 쪽)을 개폐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2a, 12b와 같이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에 해당하는 창틀(20)에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가이드레일(37)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7)에 형성된 레일홈(38)에 개폐도어(35)가 가이드레일(3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어 공기순환구(31)의 일측을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개폐도어(35)는 공기순환구(31)를 폐쇄시킬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개폐판(35a)과 상기 개폐판(35a)의 상단(또는 하단, 측단)에서 일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파지부(3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개폐도어(35)가 이동 가능한 가이드레일(37)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개폐도어(35)의 길이방향 양쪽 측부를 각각의 레일홈(38)에 내입시키고, 개폐도어(35)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레일(37)의 레일홈(38)은 상기 개폐판(35a)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공기순환부재(30)가 바디(32) 및 보조방충망(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32)의 일측에는 다단 개폐부재(4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단 개폐부재(40)는 상기 보조방충망(33)이 중앙의 통공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 위치되는 보조방충망 하우징(41); 상기 보조방충망(33)의 일측에 상접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간섭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방충망(33)의 통공을 여닫는 개폐도어(42) 및; 타측은 창틀(20)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 및 개폐도어(42)의 양단 각각을 내입시키는 레일홈(4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에 대한 개폐도어(42)의 이동에 의하여 공기순환구(31)를 가리거나 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단 개폐부재(40)는 보조방충망(33)과 개폐도어(42)를 일체화시키는 구성으로서, 창틀(20)의 일측에 해당하는 창틀(20) 안쪽에 보조방충망(33)과 개폐도어(42)를 모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공기순환구(31)를 보조방충망(33) 또는(및) 개폐도어(42)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은 상기 보조방충망(33)이 중앙의 통공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도 13a와 같이 공기순환구(31)의 일측 외부(창틀(20)의 일측면)에 보조방충망(33)을 긴밀하게 위치시키며 보조방충망(33)이 공기순환구(31)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은 공기순환구(31)의 일측 면적과 동일하거나 큰 면적을 가지되 중앙에 보조방충망(33)이 체결된 상태에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공에는 보조방충망(33)이 체결되어 공기순환구(31)를 통하여 캠핑카 내부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는 곤충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보조방충망(33)은 다공이 형성되어 공기순환구(31)와 캠핑카 내부공간에 대한 통기성은 항상 확보할 수 있으나, 다공 이외의 부분에 의하여 일부의 공기는 가로막히기 때문에, 보조방충망(33)이 공기순환구(31)를 닫고 있는 상태보다는 열고 있는 상태에서 통기성이 더욱 증가된다. 즉, 사용자는 공기순환구(31)을 통한 캠핑카 내부공간과 외부의 통기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방충망(33)을 공기순환구(31)에서 열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도어(42)는 상기 보조방충망(33)의 일측에 상접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간섭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방충망(33)의 통공을 여닫는 구성으로서, 공기순환구(31)와 캠핑카 내부공간 간의 통기 여부와 통기량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42)는 상기에서 설명한 개폐도어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개폐도어(42)의 이동(이하,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해서는 개폐도어(4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에 의하여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이 필요에 따라 연동되어 보조방충망(33)이 공기순환구(31)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도어(42)는 도 13a와 같이 타측이 상기 보조방충망(33)의 일측과 상접되어 보조방충망(33)을 통한 통기성은 개폐도어(42)의 외주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개폐도어(42)의 타측은 보조방충망(33)의 일측과 상접되면서 부분적으로는 상호 간섭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ⅰ)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 보조방충망(33)과 개폐도어(42)가 모두 위치되어 공기순환구(31)를 닫을 수 있고(도 13a), ⅱ)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서 개폐도어(42)는 상부로 이동되어 열리고, 보조방충망(33)만이 위치되어 공기순환구(31)를 닫으며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도 13b), ⅲ)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서 보조방충망(33)과 개폐도어(42) 모두가 상부로 이동되어 열려, 공기순환구(31)의 통기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과 개폐도어(42) 간의 상호 상접과 부분적인 간섭은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으나,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4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도어(42)의 타측에는 상기 돌출턱(41a)이 내입되고,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파여진 돌출턱 이동로(42b)가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실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방충망(33)에 형성되는 돌출턱(41a)은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일측에 위치한 개폐도어(42)에 대한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간섭을 실현하여, 사용자에 의한 개폐도어(42)의 이동(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이동(상승 또는 하강)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42)의 타측에 파인형태로 형성되는 돌출턱 이동로(42b)는 상기 돌출턱(41a)이 내입되되, 돌출턱 이동로(42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돌출턱(41a)이 간섭될 때에만 개폐도어(42)의 이동시에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돌출턱 이동로(42b)는 공기순환구(31)의 직경(수직 직경)과 동일한 길이(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ⅰ) 도 13a와 같이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보조방충망(33)과 개폐도어(42) 모두가 공기순환구(31)의 일측을 가로막고 있는 상태에서 도 13b와 같이 개폐도어(42)가 사용자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된 경우, 돌출턱 이동로(42b)에 내입된 돌출턱(41a)은 돌출턱 이동로(42b)와 간섭이 형성되지 않아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은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보조방충망 하우징(41)에 구비된 보조방충망(33)은 공기순환구(31)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ⅱ) 도 13b와 같이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보조방충망(33)만이 공기순환구(31)의 일측을 가로막고 있는 상태에서 도 13c와 같이 개폐도어(42)가 사용자에 의하여 더 상부로 이동된 경우, 돌출턱 이동로(42b)에 내입된 돌출턱(41a)은 돌출턱 이동로(42b)의 하부와 간섭되어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이 개폐도어(42)와 연동되어 상부로 이동되어, 보조방충망(33)도 공기순환구(31)를 열게 된다.
아울러 공기순환구(31)에 대한 보조방충망 하우징(41)과 개폐도어(42)의 닫는 과정은 상기와 반대로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른 돌출턱(41a)과 돌출턱 이동로(42b) 간의 간섭 역시 상기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은 각각의 타측이 창틀(20)의 일측에 체결되고, 길이방향(수직 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가이드 레일(43)에 형성된 레일홈(44)은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 및 개폐도어(42)의 양단 각각을 내입시켜 보조방충망 하우징(41)과 개폐도어(42)가 일정의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43)은 개폐도어(42)와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이동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가이드 레일(43) 상에서 이동되는 개폐도어(42)와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이 레일홈(4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홈(44)의 폭은 개폐도어(42)의 두께(일부분의 두께 또는 전체 두께)와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두께(단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긴 넓도록 구성되어, 레일홈(44)에 개폐도어(42)와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양단 각각이 각각의 레일홈(44)에 모두 내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레일(43)은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 및 개폐도어(42)의 이동방향인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직경,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높이 및 개폐도어(42)의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가이드 레일(43)의 길이가 공기순환구(31)의 직경(수직 직경),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높이 및 개폐도어(42)의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개폐도어(42)만을 가이드 레일(43) 상에서 이동(수직 이동)시킴으로써, 공기순환구(31)를 개폐도어(42)와 보조방충망(33) 각각 또는 전체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용 창문에 구비된 공기순환부재(30)를 이용하여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우선, 창틀(20)의 안쪽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된 바디(32)는 도 14a와 같이, 창틀(20)의 하부에 복수 개 구비된 상태이고,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에 위치한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는 보조방충망 하우징(41)과 개폐도어(42)가 타측방향으로 순차적 적층되며,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과 개폐도어(42)의 양단은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 해당하는 창틀(20)의 일측면에 체결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의 레일홈(44)에 각각 내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사용자가 공기순환부재(30)의 공기순환구(31)를 열기 위하여 도 14b와 같이 개폐도어(42)를 개폐도어(42)의 높이만큼만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개폐도어(42)의 일측에 상접되며 위치된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돌출턱(41a)은 개폐도어(42)의 돌출턱 이동로(42b) 의 상부에서 하부로 위치이동되나, 돌출턱(41a)과 돌출턱 이동로(42b) 하부 간의 간섭은 형성되지 않아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은 공기순환구(31)에서 열리지 않는다.
이때,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에 구비된 보조방충망(33)은 공기순환구(31)를 닫은 상태로 유지시키고, 캠핑카 내부공간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는 보조방충망(33)의 다공을 통해서 상호 순환되며 통기된다. 또한 캠핑카 외부의 곤충은 상기 보조방충망(33)에 의하여 가로막혀 캠핑카의 내부공간으로는 들어오지 못한다.
이후, 사용자가 통기성을 더욱 확보시키기 위하여 도 14c와 같이 개폐도어(42)를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의 높이만큼 더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개폐도어(42)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턱 이동로(42b)의 하부와 보조방충망 하우징(41)에 형성된 돌출턱(41a)은 상호 간섭되고, 상기 간섭에 의하여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은 공기순환구(31)의 상부로 이동되어 공기순환구(31)가 열리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통기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와 반대로 개폐도어(42)를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과 개폐도어(42)은 공기순환구(31) 쪽으로 하강이동되어, 보조방충망(33)만으로서 또는 보조방충망(33)과 개폐도어(42) 모두로서 공기순환구(31)를 닫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창문 프레임 11 : 개구부
20 : 창틀 21 : 창
22 : 내부창틀 23 : 외부창틀
23-1 : 절곡부 24 : 열차단필름
30 : 공기순환부재 31 : 공기순환구
32 : 바디 32a : 보조방충망 삽입공
32b : 고정구 33 : 보조방충망
34 : 경사턱 35 : 개폐도어
35a : 개폐판 35b : 파지부
36 : 유동물 차단판 36a : 슬릿
36b : 통기공 37 : 가이드레일
38 : 레일홈 40 : 다단 개폐부재
41 : 보조방충망 하우징 41a : 돌출턱
42 : 개폐도어 42b : 돌출턱 이동로
43 : 가이드 레일 44 : 레일홈
50 : 손잡이 60 : 완충부재
61 : 실린더 62 : 실린더 로드
70 : 기밀부재 80 : 방충망부재
81 : 방충망 프레임 82 : 방충망

Claims (9)

  1.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11)가 형성된 창문 프레임(10)과;
    상기 창문 프레임(10)에 일측이 여단힘 또는 미닫힘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창(21)을 구비하는 창틀(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창틀(20)에는 열차단필름(24)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20)은,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에 위치되는 내부창틀(22);
    상기 내부창틀(22)에 체결되되, 캠핑카의 외부 쪽에 위치되는 외부창틀(23) 및;
    상기 내부창틀(22)과 외부창틀(23)의 사이에 끼워지는 열차단필름(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창틀(22) 또는 외부창틀(23) 중 어느 하나의 것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재보다 열전도성이 더 낮은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20)에는,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통기 여부를 조절하는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부재(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재(30)는,
    중앙에 공기순환구(31)가 형성되고, 창틀(20)에 형성되어 캠핑카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체결공에 체결되는 바디(32) 및;
    상기 공기순환구(31)에 구비되는 보조방충망(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구(31)의 내주면 하부는,
    캠핑카의 내부공간 쪽인 일측이 캠핑카의 외부 쪽인 타측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는 경사턱(34)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2) 또는 창틀(20)에는,
    상기 공기순환구(31)의 통기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도어(35)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2)의 일측에는 다단 개폐부재(4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단 개폐부재(40)는,
    상기 보조방충망(33)이 중앙의 통공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일측에 위치되는 보조방충망 하우징(41);
    상기 보조방충망(33)의 일측에 상접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간섭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방충망(33)의 통공을 여닫는 개폐도어(42) 및;
    타측은 창틀(20)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 및 개폐도어(42)의 양단 각각을 내입시키는 레일홈(4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에 대한 개폐도어(42)의 이동에 의하여 공기순환구(31)를 가리거나 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방충망 하우징(41)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4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도어(42)의 타측에는,
    상기 돌출턱(41a)이 내입되고, 상기 공기순환구(31)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파여진 돌출턱 이동로(42b)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창문.
KR1020170071866A 2017-06-08 2017-06-08 캠핑카용 창문 KR20180134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866A KR20180134240A (ko) 2017-06-08 2017-06-08 캠핑카용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866A KR20180134240A (ko) 2017-06-08 2017-06-08 캠핑카용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240A true KR20180134240A (ko) 2018-12-18

Family

ID=6495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866A KR20180134240A (ko) 2017-06-08 2017-06-08 캠핑카용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2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77A (ko) 2020-07-24 2022-02-04 최성식 캠핑카용 환기창
KR102534893B1 (ko) 2022-12-05 2023-05-26 이정수 차량용 환기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77A (ko) 2020-07-24 2022-02-04 최성식 캠핑카용 환기창
KR102534893B1 (ko) 2022-12-05 2023-05-26 이정수 차량용 환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JP4594817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窓部換気構造
KR20120118774A (ko) 자연 순환식 환기창
KR20180134240A (ko) 캠핑카용 창문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JP4694297B2 (ja) 窓部における換気構造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JP4691172B2 (ja) 換気フード
JP4411246B2 (ja)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KR101162922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101829053B1 (ko) 창문 구조물
JP7389707B2 (ja) 建具
JP7377158B2 (ja) 建具
JP2022038813A (ja) 建具
KR101152098B1 (ko) 차단재가 구비된 미닫이용 창틀 구조
JP2022032574A (ja) 建具
KR100602182B1 (ko) 환기구가 형성된 창문 프레임
JP2022032573A (ja) 建具
KR100907365B1 (ko)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JPS6035756Y2 (ja) サツシの吸気装置
JP4891202B2 (ja) 建具
JPH0217116Y2 (ko)
JP2003027856A (ja) 窓の換気構造
JPH0431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