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715A - 솥, 솥 어셈블리 및 주방 기구 - Google Patents

솥, 솥 어셈블리 및 주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715A
KR20180124715A KR1020180038711A KR20180038711A KR20180124715A KR 20180124715 A KR20180124715 A KR 20180124715A KR 1020180038711 A KR1020180038711 A KR 1020180038711A KR 20180038711 A KR20180038711 A KR 20180038711A KR 20180124715 A KR20180124715 A KR 2018012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ge
change cavity
heating source
wall surfac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502B1 (ko
Inventor
다화 차오
위화 황
캉 리
싱항 리
링 양
훙웨이 리
쉐핑 취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335411.X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85193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543617.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428925U/zh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솥, 솥 어셈블리와 주방 기구를 공개하고, 상기 솥은 이너 하우징, 아우터 하우징, 및 가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상기 이너 하우징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 사이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변화 캐비티가 한정되고,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 및/또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 및/또는 상기 상변화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교번 자장과 배합하여 자체가 발열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원은 퀴리 온도 특성을 가진 가열원이고, 상기 가열원의 퀴리 온도는 120℃~26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솥은 온도가 가열원의 퀴리 온도를 초과한 후 가열을 자동 정지하여, 음식물을 태우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솥, 솥 어셈블리 및 주방 기구{COOKER, COOKER ASSEMBLY AND KITCHEN UTENSIL}
본 발명은 가전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솥, 솥 어셈블리와 주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의 솥의 상이한 부분의 온도 차이는 비교적 크며, 음식물이 과도하게 열을 받아 솥을 태우(
Figure pat00001
)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경감하기 위하여, 솥의 내벽에 논 스틱 코팅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런 논 스틱 코팅의 결합력이 나쁘고, 스크래치 성능이 나쁘며, 사용 수명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코팅이 떨어지고 효력을 상실하기 쉬우며, 동시에 흔히 긁혀 상한다.
논 스틱 코팅을 잃어버린 솥은 솥을 태우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동시에 논 스틱 코팅이 음식물에 쉽게 혼입되어 인체에 섭취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신체 건강에 대해 안전 방면의 잠복해 있는 위험을 초래한다.
발명자가 알고 있는 평균 온도 솥 기술에서는, 솥의 이너 하우징/아우터 하우징을 이용하여 캐비티를 형성하며, 캐비티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채워 넣어 평균 온도 목적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평균 온도 솥 기술은 이너 하우징의 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지만, 액상가 기체 상태에 변할 경우, 솥의 압력이 커지며, 특히 솥 온도 제어 시스템이 효력을 잃을 경우, 말라서 타버리는 상황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솥은 고온하에서 지속적으로 가열되어, 캐비티의 압력이 점점 커지는 것을 초래함으로써, 솥이 파열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솥을 제공하며, 당해 솥은 온도가 가열원의 퀴리 온도를 초과한 후 가열을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음식물을 태우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솥을 구비한 솥 어셈블리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솥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방 기구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솥은 이너 하우징, 아우터 하우징 및 가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상기 이너 하우징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 사이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변화 캐비티가 한정되고,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 및/또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 및/또는 상기 상변화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교번 자장과 배합하여 자체가 발열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원은 퀴리 온도 특성을 가진 가열원이고, 상기 가열원의 퀴리 온도는 120℃~26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솥은, 열원이 퀴리 온도 특성의 가열원이고, 가열원의 온도가 퀴리 온도를 초과한 후 열원은 가열을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솥의 온도가 열원의 퀴리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음식물을 태우는(
Figure pat00002
) 위험을 감소하고 에너지를 절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의 퀴리 온도는 140℃~16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4J-78철-니켈 합금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의 퀴리 온도는 190℃~24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4J-38철-니켈 합금 부재, 4J-32철-니켈 합금 부재 또는 4J-43철-니켈 합금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이너 하우징 외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비금속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제1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외주면에 설치한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의 외주면에 설치한 제4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4 부분과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4 부분은 고리형이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의 두께는 0.1mm~3.0m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가열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층의 두께는 0.4mm~3.0m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층의 두께는 0.4mm~2.0m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에 일체로 통합되어 상기 가열원이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비금속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일체로 통합되어, 상기 가열원이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이너 하우징 내벽면은 상기 상변화 캐비티와 위치가 대응되는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의 적어도 일부분 구역은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가열원과 마주하는데 적합한 열원 대면 구역 및 열원 비 대면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상기 열원 비 대면 구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열원 대면 구역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은 상기 열원 대면 구역을 구성하고,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은 상기 열원 비 대면 구역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제1 온도 구역과 제2 온도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 구역의 온도는 상기 솥이 가열될 경우 상기 제2 온도 구역의 온도보다 크며,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상기 제2 온도 구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온도 구역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은 상기 제1 온도 구역을 구성하고,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은 상기 제2 온도 구역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온도 구역과 상기 제2 온도 구역의 온도 차이는 0℃~15℃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온도 구역과 상기 제2 온도 구역의 온도 차이는 0℃~8℃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과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은 모두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너 하우징 내벽면의 전체는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너 하우징은 외측으로 볼록한 둥근 가마솥 모양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에 대응하는 이너 하우징의 일부분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체는 알루미늄 부속품 또는 철 부속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방면의 실시예에 따른 솥 어셈블리는 솥,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과 가열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솥은 상술한 솥이고, 상기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상기 상변화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 코일은 상기 가열원과 배합하는 교번 자장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물, 암모니아 또는 노멀 헥산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방면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 기구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솥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방 기구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인덕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한 방면과 장점은 아래의 기술에서 부분을 제시하고, 부분은 아래의 기술으로부터 뚜렷해지며, 또는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하여 이해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된 방면과 장점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결합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뚜렷해지고 이해하기 용이해진다. 그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솥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솥의 A-A 방향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솥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솥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솥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솥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솥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솥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솥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 "중심", "세로방향", "가로방향", "길이”, "너비”, "두께”, "위", "아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상부", "하부",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 "축 방향” , "반경 방향” , "원주 방향” 등이 지칭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칭되는 장치 또는 부품이 특정 방위를 가져야 하거나 또는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작동되는 것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외에,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하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내포하여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로부터, "제1", "제2"의 구성이 한정되어 있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당해 구성을 명시 또는 내포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다른 명확한 한정이 없으면 "여러 개"의 함의는 적어도 2개, 예를 들면 2개, 3개 등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되고 한정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등 용어는 넓은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명확한 한정이 없으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 또는 서로 통신 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으며, 두 부품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 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아래에 도 1 내지 도 9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은 이너 하우징(10), 아우터 하우징(20) 및 상변화 캐비티(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우터 하우징(20)은 이너 하우징(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은 서로 연결되고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변화 캐비티(30)가 한정된다.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상변화 캐비티(30)에서 형태의 전변을 완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액상과 기체 상태사이의 전환을 완성함으로써 열량의 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은, 이중 구조를 이용한 물리적 논 스틱 솥이며, 솥의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진공의 상변화 캐비티(30)를 형성하고, 상변화 캐비티(30)내의 밑부분에 접근한 위치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예를 들면 물, 암모니아 또는 노멀 헥산등)이 주입되어 있다. 이렇게 되어서 솥 밑부분에 대해 가열하여, 솥 밑부분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까지 증가된 후(예를 들면 온도>100℃), 상변화 캐비티(30)내의 밑부분 위치에 접근한 액상 작동 매체는 기화되고 휘발되어 기체로 되고, 상변화 캐비티(30)내의 상부에 접근한 응축단에 전하며, 이와 동시에 열량의 효과적인 전도에 따라, 솥의 개구단에 접근한 위치가 가열되어, 랭각된 후의 상변화 작동 매체는 응축이 발생하여 또 다시 액체로 전변되며, 상변화 캐비티(30)의 밑부분에 흐르고, 그 다음 다시 열을 받은 후에 재증발된다. 당해 가열 응축 과정은 부단히 반복적으로 순환함으로써, 전체 솥의 각 부위가 몇분 동안 가열한 후의 온도 필드가 기본적으로 일치를 유지하도록 확보하며(예를 들면 온도 차이는 ±4℃로 제어할 수 있음), 즉 전체 솥의 각 부위 온도가 고루 분포한 상태를 갖추는 것을 보장하여, 당해 솥의 표면이 밥을 할 때 좋은 물리적인 논 스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최종적으로 구현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원(70)은 이너 하우징(10) 및/또는 아우터 하우징(20) 및/또는 상변화 캐비티(30) 내에 설치되며, 가열원(70)은 교번 자장과 배합하여 자체가 발열하도록 하며, 가열원(70)은 퀴리 온도 특성을 가진 가열원(70)이고, 가열원(70)의 퀴리 온도는 120℃~260℃이다.
다시 말하자면, 가열원(70)을 동시에 이너 하우징(10), 아우터 하우징(20)과 상변화 캐비티(30)네에 설치할 수 있으며, 당연히 가열원(70)을 다만 이너 하우징(10), 아우터 하우징(20)과 가열원(70) 중의 하나 또는 두 개에 설치할 수도 있다.
가열원(70)이 퀴리 온도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가열원(70)은 강(屆)자성체의 자석 특성을 가지며, 교번 자장의 작용하에 열량이 생성할 수 있어 , 솥 중의 음식물을 조리하며, 가열원(70)의 온도가 퀴리 온도에 도달할 경우, 가열원(70)은 상자성체 특성을 가지며, 가열원(70)은 교번 자장의 작용하에 열량이 생성할 수 없으며, 가열원(70)은 가열을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가열원(70)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음식물이 과도하게 열을 받는 것을 초래하여 솥을 태우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동시에 솥의 온도가 열원의 퀴리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음식물을 태우는 위험을 감소하고 에너지를 절약한다.
가열원(70)의 퀴리 온도를 140℃~160℃로 설치할 수 있으며, 당해 가열원(70)은 온도 요구에 높지 않은 음식물에 대해 조리할 수 있다.
당연히, 이해 할수 있다 싶이, 가열원(70)의 퀴리 온도를 190℃~240℃로 설치할 수 도 있다. 당해 가열원(70)은 온도 요구가 비교적 높은 음식물에 대해 조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음식물의 조리 속도를 높인다.
선택 가능하게, 퀴리 온도가 190℃~240℃인 가열원(70)은 4J-38철-니켈 합금 부재, 4J-32철-니켈 합금 부재 또는 4J-43철-니켈 합금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원(70)의 구체적인 재질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설계 인원은 선택한 가열원(70)이 수요를 만족하기만 하면, 다른 퀴리 온도를 가진 재질을 스스로 선택하여 가열원(70)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원(70)은 이너 하우징(10)의 이너 하우징 외벽면에 설치되며, 아우터 하우징(20)은 비금속 부재이다. 예를 들면, 아우터 하우징(20)은 세라믹 부재일 수 있다. 이로 부터, 비금속 재료 부재의 아우터 하우징(20)은 교번 자장을 차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너 하우징(10)의 이너 하우징(10) 외벽면에 설치한 가열원(70)은 언제나 교번 자장에 처할 수 있으며, 자체의 온도에 따라 열량을 생성하거나 또는 열량을 생성하는 것을 정지한다.
더 나아가서, 가열원(70)은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제1 부분(71)을 포함한다.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은 열을 받은 구역이며, 솥의 열량은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가열원(70)에서 오고, 이런 설치 방식도 가장 합리적이다. 솥 중의 음식물이 대다수 솥의 밑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가열원(70)을 솥의 밑부분에 설치되면 음식물의 조리 속도를 제고할 수 있고, 동시에 가열원(70)을 솥의 밑부분에 설치되여 솥의 내부에 대류가 더 쉽게 생긴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원(70)은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외주면(104)에 설치한 제2 부분(72)을 더 포함하며, 제1 부분(71)은 제2 부분(72)과 서로 연결된다. 제2 부분(72)은 주요하게 이너 하우징의 밑부분의 둥근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며, 이로하여, 가열원(70)의 가열 범위는 더 크고, 솥의 밑부분에 대해 가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솥의 측면에 대해 가열할 수도 있으며, 가열의 효율을 제고하고, 음식물의 조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원(70)은 아우터 하우징(20)의 아우터 하우징(20) 외벽면에 설치한다. 이로하여, 전통적인 외부 열원과 비슷하다. 가열원(70)이 아우터 하우징(20)의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에 설치되였기 때문에, 금속 부재의 차폐를 받지 않는다. 동시에, 이너 하우징(10)의 재질은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
더 나아가서, 가열원(70)은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제3 부분(73)을 포함한다. 이런 설치은 전통적인 가열원(70)의 설치과 비슷하며,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은 열을 받은 구역이고, 솥의 열량은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가열원(70)에서 오고, 이런 설치 방식도 가장 합리적이다. 솥 중의 음식물이 대다수 솥의 밑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가열원(70)을 솥의 밑부분에 설치되면 음식물의 조리 속도를 제고할 수 있고, 동시에 가열원(70)을 솥의 밑부분에 설치되여 솥의 내부에 대류가 더 쉽게 생긴다.
더 나아가서, 가열원(70)은 아우터 하우징(20) 외벽면의 외주면에 설치한 제4 부분(74)을 더 포함하며, 제3 부분(73)은 제4 부분(74)과 서로 연결된다. 가열원(70)의 가열 범위는 더 크고, 솥의 밑부분에 대해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솥의 측면에 대해 가열할 수도 있으며, 가열의 효율을 제고하고, 음식물의 조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제4 부분(74)은 고리형이고 아우터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로하여, 솥의 밑부분에 대해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가열원(70)을 솥의 밑부분과 외주에 설치되여 가열 효율을 제고하고, 음식물을 더 쉽게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변화 캐비티(30)의 두께는 0.1mm ~3.0mm이다. 발명자가 여러차례 실험을 거친 후에 발견한 것은, 상변화 캐비티(30)의 두께가 너무 작을 경우, 액상의 상변화 작동 매체의 표면의 장력이 너무 크고,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이 상변화 캐비티(30)의 위쪽에 쉽게 축적되어, 순조롭게 아래로 유동할 수 없고, 상변화 캐비티(30)의 두께가 너무 클 경우, 상변화 캐비티(30)에 매우 많은 상변화 작동 매체를 채워 넣을 필요가 있으나, 비교적 많은 작동 매체는 열량의 전도에 불리할 뿐만 아니라, 솥의 원가의 증가를 초래한다.
상변화 캐비티(30)의 두께가 0.1mm~3mm의 구간일 경우, 상변화 캐비티(30)가 응축된 후의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이 매우 쉽게 아래로 유동하여 상변화 캐비티(30)의 아래쪽에 유동하고, 상변화 캐비티(30)중의 상변화 작동 매체의 용량이 너무 많지도 않고, 상변화 캐비티(30)중의 열량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열원(70)은 가열층으로 구성된다. 가열층은 열량 전달이 더욱 균일하고, 솥이 직접 열을 받은 면적이 더 크며, 솥을 태우는 현상이 쉽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열층의 두께는 0.4mm~3.0mm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가열층의 두께는 0.4mm~2.0mm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열원(70)은 이너 하우징(10)에 일체로 통합되어, 가열원(70)이 이너 하우징(10)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하고, 아우터 하우징(20)은 비금속 부재이다. 다시 말하자면, 가열원(70)은 용접 또는 접착의 방식을 통해 이너 하우징(10)에 고정되지 않고, 이너 하우징(10)의 일부분에 속한다. 예를 들면, 이너 하우징(10)은 전부가 가열원(70)이 이용한 재질일 수 있음며, 전체 이너 하우징(10)은 모두 교번 자장의 작용하에 열량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열원(70)은 아우터 하우징(20)에서 일체로 통합되어, 가열원(70)이 아우터 하우징(20)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가열원(70)은 용접 또는 접착의 방식을 통해 아우터 하우징(20)에 고정되지 않고, 아우터 하우징(20)의 일부분에 속한다. 예를 들면, 아우터 하우징(20)은 전부가 가열원(70)이 이용한 재질일 수 있으며, 전체 아우터 하우징(20)은 모두 교번 자장의 작용하에 열량이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라 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은 이너 하우징(10), 및 이너 하우징(10)과 서로 연결한 아우터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변화 캐비티(30)가 한정되여 있다.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상변화 캐비티(30)에서 형태의 전변을 완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액상와 기체 상태 사이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으며 열량의 전달을 구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10)은 이너 하우징 내벽면(103)을 구비하며, 이너 하우징 내벽면(103)은 조리 캐비티와 접촉하는 벽면이고, 이너 하우징(10)의 이너 하우징 내벽면(103)은 상변화 캐비티(30)와 위치가 대응되는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을 포함하며, 여기서의 위치 대응은 이너 하우징(10)의 두께 방향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할수 있으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의 적어도 일부분 구역은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자면,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의 전부가 상변화 캐비티(30)일 경우, 이너 하우징(10)의 이너 하우징 내벽면(103)은 전부 상변화 캐비티(30)와 마주하고, 이너 하우징(10)의 이너 하우징 내벽면(103)은 전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이다.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일부분만 상변화 캐비티(30)일 경우, 이너 하우징(10)의 이너 하우징 내벽면(103)은 두개 부분을 포함하며, 일부분은 상변화 캐비티(30)와 대응하는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이고, 다른 부분은 상변화 캐비티(30)와 대응하지 않는 보통 벽면이다.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의 적어도 일부분는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일부분만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할 수 있으며, 다른 일부분은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지 않는다. 또는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전부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하여, 솥의 가공 공예와 가공 난이도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솥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논 스틱 레이어의 사용을 감소하였기 때문에, 가공 원가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 외에, 논 스틱 레이어의 설치를 감소하는 것은 논 스틱 레이어가 떨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으며, 논 스틱 레이어가 음식물에 들어가서 인체에 섭취되는 양을 줄이며, 소비자에 대해 초래한 안전 방면의 잠복해 있는 위험을 줄인다.
설명해야 하는 바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는 솥의 내부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외”는 솥의 내부 중심을 멀리하는 방향을 가리키며, 솥의 중심은 솥 내에 음식물을 담고 있는 조리 캐비티의 중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은, 이중 구조를 이용한 물리적 논 스틱 솥이며, 솥의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진공의 상변화 캐비티(30)를 형성하고,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밑부분에 접근한 위치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예를 들면 물, 암모니아 또는 노멀 헥산등)이 주입되어 있고, 이렇게 되어서 솥 밑부분에 대해 가열하여, 솥 밑부분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까지 증가된 후(예를 들면 온도>100℃),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밑부분 위치에 접근한 액상 작동 매체는 기화되고 휘발되어 기체로 되고,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상부에 접근한 응축단에 전하며, 이와 동시에 열량의 효과적인 전도에 따라, 솥의 개구단에 접근한 위치가 가열되어, 냉각된 후의 상변화 작동 매체는 응축이 발생하여 또 다시 액체로 전변되며, 상변화 캐비티(30)의 밑부분에 흐르고, 그 다음 다시 열을 받은 후에 재증발된다. 당해 가열 응축 과정은 부단히 반복적으로 순환함으로써, 전체 솥의 각 부위가 몇분 동안 가열한 후의 온도 필드가 기본적으로 일치를 유지하도록 확보하며(예를 들면 온도 차이를 ±4℃로 제어할 수 있음), 즉 전체 솥의 각 부위 온도가 고루 분포한 상태를 갖추는 것을 보장하여, 당해 솥의 표면이 밥을 할 때 좋은 물리적인 논 스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최종적으로 구현한다.
또한 상술한 솥은, 상변화 캐비티(30)의 존재로 인하여, 상변화 캐비티(30)에 상대한 이너 하우징 내벽면(103)에서의 온도가 균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 실시예의 이너 하우징(10)의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의 적어도 일부분 구역은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논 스틱 코팅의 내마모 성능이 비교적 나쁘고, 결합력이 이상적이지 않으며, 수명이 비교적 짧고, 쉽게 떨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솥이 밥을 지을 때의 논 스틱 효과 및 사용 수명에 영향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논 스틱 도료가 인체에 흡수된 후, 사용자의 신체 건강에 대해 안전 방면의 잠복해 있는 위험을 초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 외에, 논 스틱 코팅의 사용을 감소하였기 때문에, 솥의 제조 원가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솥의 가공 난이도를 줄일 수 있고, 가공 공예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솥의 생산 효율을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가열원과 마주하는 열원 대면 구역(102a) 및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을 포함하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을 포함한다.
열원 대면 구역(102a)은 열원과 마주하며, 접수하는 열량이 크고, 음식물이 열원 대면 구역(102a)에서 과도하게 가열하는 것이 쉽게 나타나서 솥을 태우는 현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열원 대면 구역(102a)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여, 솥을 태우는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은 열원과 직접 마주하지 않기 때문에, 접수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열원 대면 구역(102a)에 비해 비교적 작고,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은 솥을 태우는 확률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지 않고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솥을 태우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솥의 원가를 줄이고, 솥의 가공 제조 절차를 줄이고 솥의 가공 난이도를 감소하며,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논 스틱 도료가 음식물에 들어가는 확률을 줄이며, 사용자의 신체 안전에 대해 초래하는 잠복해 있는 위험을 감소한다.
당연히 이해 할수 있다 싶이, 열원 대면 구역(102a)과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에 모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즉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열원 대면 구역(102a)과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을 포함하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은 열원 대면 구역(102a)을 구성하고,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은 열원 비 대면 구역(102b)을 구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솥의 열원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과 마주하며, 솥의 열원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과 마주하지 않고,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은 가장 먼저 열을 받은 구역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을 포함하며, 제1 온도 구역(102c)의 온도는 솥이 가열될 경우 제2 온도 구역(102d)의 온도보다 크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제2 온도 구역(102d)을 포함한다.
제1 온도 구역(102c)의 온도는 높고, 접수한 열량이 제일 크며, 음식물이 제1 온도 구역(102c)에서 과도하게 가열하는 것이 쉽게 나타나서 솥을 태우는 현상의 발생을 초래 하기 때문에, 제1 온도 구역(102c)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여, 솥을 태우는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제2 온도 구역(102d)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으며, 접수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제1 온도 구역(102c)에 비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제2 온도 구역(102d)에서 솥을 태우는 확률이 비교적 낮아서, 제2 온도 구역(102d)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지 않아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솥을 태우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솥의 원가를 줄이고, 솥의 가공 제조 절차 줄이고 솥의 가공 난이도를 감소하며,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논 스틱 도료가 음식물에 들어가는 확률을 줄이며, 사용자의 신체 안전에 대해 초래하는 잠복해 있는 위험을 감소한다.
당연히, 이해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에 모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즉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c)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d)을 포함하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c)은 제1 온도 구역(102c)을 구성하고,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d)은 제2 온도 구역(102d)을 구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c)의 온도는 비교적 높고,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d)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다. 예를 들면, 제1 온도 구역(102c)은 열원과 마주할 수 있고, 제2 온도 구역(102d)은 열원과 마주하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의 온도 차이가 0℃~15℃이다.
더 나아가서,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의 온도 차이가 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이다.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 사이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제1 온도 구역(102c)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는 것이 더 필요하며,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 사이의 온도 차이가 매우 작거나 심지어 온도 차이가 없을 경우, 제1 온도 구역(102c)과 제2 온도 구역(102d)은 논 스틱 레이어를 모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 102d)을 포함하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 102d)을 포함한다.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다만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 102d)일 수 있고, 당연히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동시에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 102d)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에 논 스틱 레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이 열원과 마주하여 있기 때문에,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의 온도는 비교적 높고,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과 직접 접촉한 음식물은 쉽게 과도하게 열을 받아서 탄화가 발생하고, 솥을 태우는 현상이 생긴다.
이로 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솥은 다만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에 논 스틱 레이어가 설치되어, 효과적으로 솥을 태우는 것을 줄이는 동시에, 솥의 원가를 줄이고, 솥의 가공 제조 절차를 줄이고 솥의 가공 난이도를 감소하며,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논 스틱 도료가 음식물에 들어가는 확률을 줄이며, 사용자의 신체 안전에 대해 초래하는 잠복해 있는 위험을 감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 102d)을 포함하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102a, 102c)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102b, 102d)은 모두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이다.
이로하여, 본 발명의 솥의 논 스틱 성능은 이중 구조 및 이중 구조중의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로 구현하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균일하다.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은 모두 논 스틱 코팅이 없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논 스틱 코팅과 솥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제지하고, 논 스틱 코팅이 음식물에 들어가 소비자에 흡수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안전 방면의 잠복해 있는 위험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본 발명의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은 모두 논 스틱 코팅이 없으며, 솥의 생산 난이도를 줄이고, 솥의 생산 제조 절차를 간소화하여, 더 나아가 솥의 생산 효율을 제고하고, 솥의 제조 원가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너 하우징(10)은 외측으로 볼록한 둥근 가마솥 모양이다. 이로하여, 이너 하우징(10)의 내부는 강한 열대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큰 비등 환류가 생기며, 각 쌀알마다 모두 물을 충분히 흡수하여, 쌀알의 체적이 더욱 포만감이 있게 된다. 동시에, 이너 하우징(10)은 외측으로 볼록한 둥근 가마솥 모양의 설계에 솥의 이중 구조를 결함하여, 솥이 열을 더욱 균일하게 받게되고, 진일보로 솥을 태우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며, 동시에 둥근 가마솥 모양의 이너 하우징(10)은 쌀알 사이의 중력 중첩 효과를 분산하며, 솥을 태우는 현상을 최적화할 수 도 있다.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102)의 적어도 일부분은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이기 때문에, 솥을 태우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솥의 제작 원가와 제작 공예를 줄이며, 솥의 생산 효율을 효과적으로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에 대응하는 이너 하우징(10)의 일부분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이로 하여 솥의 성형 효과를 보장할뿐만 아니라, 솥의 열전도 성능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너 하우징(10)의 전체는 알루미늄 부속품 또는 철 부속품이다. 이로 하여 솥의 성형 효과를 보장할뿐만 아니라, 솥의 열전도 성능도 보장하며, 동시에 이너 하우징(10)의 가공이 더욱 쉽고, 강도가 더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10)의 솥입구에는 밖으로 구부러진 제1 고리형 플랜지(101)를 설치되고, 아우터 하우징(20)의 솥입구에는 밖으로 구부러진 제2 고리형 플랜지(201)를 설치되며, 제1 고리형 플랜지(101)와 제2 고리형 플랜지(201)는 밀폐 연결되어,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밀폐한 상변화 캐비티(30)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1 고리형 플랜지(101)와 제2 고리형 플랜지(201)는 용접하여 일체로 된다.
제1 고리형 플랜지(101)와 제2 고리형 플랜지(201)의 밀봉 연결을 통해, 예를 들어 용접 공예를 이용하여 이너 하우징(10)의 제1 고리형 플랜지(101)와 아우터 하우징(20)의 제2 고리형 플랜지(201)를 용접하여 밀봉하며, 용접한 흔적 사이가 완전히 밀봉되어 틈이 없는 것을 확보한다. 바람직하게, 용접한 후에 용접한 흔적의 표면에 대해 캐스팅 연마하여,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밀폐한 상변화 캐비티(30)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20)의 외벽면의 상부 위치에 연결구를 개설하며, 연결구에 상변화 캐비티(30)와 밀폐 연통된 금속관(60)을 설치되고, 금속관(60)은 상변화 캐비티(30)의 밑부분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며,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이 상변화 캐비티(30)의 밑부분에 침적하도록 하고, 상변화 캐비티(30)내의 공기가 금속관(6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아우터 하우징(20)의 상부에 접근한 위치에 연결구(예를 들어 직경이 3mm 좌우인 작은 구멍)를 개설하며, 그 다음에 직경이 같은 금속관(60)(예를 들어 금속 공심 동관)을 삽입하고, 다시 금속관(60)을 솥벽의 접촉 위치와 용접하여 밀봉하여, 금속관(60)은 상변화 캐비티(30)와 밀폐 연통을 구현하며, 당해 금속관(60)을 통해 상변화 캐비티(30)의 밑부분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주입하고,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공기를 제거하여, 상변화 캐비티(30) 내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변화 캐비티(30)내의 진공도는 10-3Pa~10-1Pa이다. 당연히, 상변화 캐비티의 진공도는 상술한 10-2Pa~102Pa일 수 도 있다.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진공도를 10-3Pa~10-1Pa로 제어하여,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의 상변화 온도를 줄이며,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의 순환 기화와 응축에 편리함으로써, 진일보로 솥의 밑부분과 상부의 온도 균일성을 보장함으로써, 전체 솥의 각 부위의 온도 균일성을 보장한다. 당연히,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진공도는 상술한 구체적인 수치 범위에 한정하지 않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은 모두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하며,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두께 범위는 0.6mm~2.5mm이다.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을 이용하여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을 프레스 성형하고, 솥의 성형 효과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솥의 열전도 성능도 보장한다. 두께 범위가 0.6mm~2.5mm인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을 이용하여, 솥의 강도를 보장할뿐만 아니라, 솥의 열전도 성능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 캐비티(30)의 너비 범위는 1.5mm~4mm이다. 상변화 캐비티(30)의 너비는 이너 하우징(10)의 외벽면과 아우터 하우징(20)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한 간극 너비이다.
바람직하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10)의 외벽면과 아우터 하우징(20)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 너비는 기본적으로 일치하게 유지된다.
진일보로 바람직하게,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의 두께는 상변화 캐비티(30)의 너비와 서로 알맞으며,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의 평균 구멍 직경은0.2mm~0.4mm이고, 공극율은 70%~90%이다.
당연히, 상술한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의 평균 구멍 직경과 공극율은 상술한 구체적인 한정치에 한정하지 않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자체적으로 선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는 다공 포말 동 또는 다공 포말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막대기 모양으로 절단하여 만들어진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솥 어셈블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어셈블리는 솥,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과 가열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솥은 상술한 실시예의 솥이고,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상변화 캐비티(30) 내에 설치되며, 가열 코일은 가열원과 배합하여 교번 자장을 생성하기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솥 어셈블리는, 이중 구조를 이용한 코팅이 없는 물리적 논 스틱 솥이며, 솥의 이너 하우징(10)과 아우터 하우징(20) 사이에 진공의 상변화 캐비티(30)를 형성하고,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상부에 접근한 위치에 방사형으로 분포한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를 설치되며, 예를 들어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를 이너 하우징(10)의 외벽면에 접합하고, 상변화 캐비티(30)내의 밑부분에 접근한 위치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예를 들면 물, 암모니아 또는 노멀 헥산등)이 주입되어 있다. 이렇게 되어서 솥 밑부분에 대해 가열하여, 솥 밑부분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까지 증가된 후(예를 들면 온도>100℃), 상변화 캐비티(30)내의 밑부분 위치에 접근한 액상 작동 매체는 기화되고 휘발되어 기체로 되고, 서로 인접한 두개의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 사이의 도류 간극(50)을 따라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상부에 접근한 응축단에 전하며, 이와 동시에 열량의 효과적인 전도에 따라, 솥의 개구단에 접근한 위치가 가열되어, 랭각된 후의 상변화 작동 매체는 응축이 발생하여 또 다시 액체로 전변되며, 액체가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 내의 공극에 흡착되고, 중력의 작용하에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를 따라 상변화 캐비티(30)의 밑부분에 흐르고, 그 다음 다시 열을 받은 후에 재증발된다. 당해 가열 응축 과정은 부단히 반복적으로 순환함으로써, 전체 솥의 각 부위가 몇분 동안 가열한 후의 온도 필드가 기본적으로 일치를 유지하도록 확보하며(예를 들면 온도 차이를 ±4℃로 제어할 수 있음), 즉 전체 솥의 각 부위 온도가 고루 분포한 상태를 갖추는 것을 보장하여, 당해 솥의 표면이 밥을 할 때 좋은 물리적인 논 스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최종적으로 구현한다. 또한 상술한 솥은, 솥 표면의 논 스틱 도료를 감소하고, 심지어 솥의 표면에 불소 수지등 논 스틱 도료를 뿜어 칠할 필요가 없으므로, 논 스틱 코팅의 내마모 성능이 비교적 나쁘고, 결합력이 이상적이지 않으며, 수명이 비교적 짧고, 쉽게 떨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솥이 밥을 지을 때 논 스틱 효과 및 사용 수명에 영향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논 스틱 도료가 인체에 흡수된 후, 사용자의 신체 건강에 대해 안전 방면의 잠복해 있는 위험을 초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 어셈블리는, 상술한 실시예의 솥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솥 어셈블리에 상술한 솥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솥 어셈블리는 열을 균일하게 받게 되고, 솥을 태우는 현상을 확실히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물, 암모니아 또는 노멀 헥산이다. 이렇게 되어서 솥 밑부분에 대해 가열하여, 솥 밑부분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까지 증가된 후(예를 들면 온도>100℃),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밑부분 위치에 접근한 액상 작동 매체는 기화되고 휘발되어 기체로 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 사이의 도류 간극(50)을 따라 상변화 캐비티(30) 내의 상부에 접근한 응축단에 전하며, 이와 동시에 열량의 효과적인 전도에 따라, 솥의 개구단에 접근한 위치가 가열되어, 랭각된 후의 상변화 작동 매체는 응축이 발생하여 또 다시 액체로 전변되며, 액체가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 내의 공극에 흡착되고, 중력의 작용하에 다공 포말 금속 부재(40)를 따라 상변화 캐비티(30)의 밑부분에 흐르고, 그 다음 다시 열을 받은 후에 재증발된다. 당해 가열 응축 과정은 부단히 반복적으로 순환함으로써, 전체 솥의 각 부위가 몇분 동안 가열한 후의 온도 필드가 기본적으로 일치를 유지하도록 확보하며(예를 들면 온도 차이를 ±4℃로 제어할 수 있음), 즉 전체 솥의 각 부위 온도가 고루 분포한 상태를 갖추는 것을 보장하여, 당해 솥의 표면이 밥을 할 때 좋은 물리적인 논 스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최종적으로 구현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방 기구를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 기구은 상술한 실시예의 솥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방 기구에 상술한 솥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주방 기구는 솥을 태우는 현상의 발생을 확실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 기구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과 인덕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용어에 대한 함축적인 표달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대해 반드시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설명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외에, 서로 모순이 없을 경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 또는 실례 및 다른 실시예 또는 실례의 구성을 결합과 조합할 수 있다.
비록 위에서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해 가능할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변화, 수정, 대체와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10: 이너 하우징
101: 제1 고리형 플랜지
102: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
102a: 열원 대면 구역
102b: 열원 비 대면 구역
102c: 제1 온도 구역
102d: 제2 온도 구역
103: 이너 하우징 내벽면
104: 이너 하우징의 외주면
105: 아우터 하우징의 내주면
11: 이너 하우징 볼록점(凸点) 구조
20: 아우터 하우징
201: 제2 고리형 플랜지
21: 아우터 하우징 볼록점 구조
30: 상변화 캐비티
40: 다공 포말 금속 부재
50: 도류 간극
60: 금속관
70: 가열원
71: 제1 부분
72: 제2 부분
73: 제3 부분
74: 제4 부분

Claims (30)

  1. 이너 하우징, 아우터 하우징, 및 가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상기 이너 하우징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 사이에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변화 캐비티가 한정되고,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 및/또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 및/또는 상기 상변화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교번 자장과 배합하여 자체가 발열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원은 퀴리 온도 특성을 가진 가열원이고, 상기 가열원의 퀴리 온도는 120℃~2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의 퀴리 온도는 140℃~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4J-78철-니켈 합금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의 퀴리 온도는 190℃~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4J-38철-니켈 합금 부재, 4J-32철-니켈 합금 부재 또는 4J-43철-니켈 합금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이너 하우징 외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비금속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 외벽면의 외주면에 설치한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의 밑면에 설치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 외벽면의 외주면에 설치한 제4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4 부분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부분은 고리형이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의 두께는 0.1mm~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가열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층의 두께는 0.4mm~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층의 두께는 0.4mm~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이너 하우징에 일체로 통합되어 상기 가열원이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비금속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일체로 통합되어, 상기 가열원이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이너 하우징 내벽면은 상기 상변화 캐비티와 위치가 대응되는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의 적어도 일부분 구역은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가열원과 마주하는 열원 대면 구역 및 열원 비 대면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상기 열원 비 대면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대면 구역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은 상기 열원 대면 구역을 구성하고,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은 상기 열원 비 대면 구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제1 온도 구역과 제2 온도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 구역의 온도는 상기 솥이 가열될 경우 상기 제2 온도 구역의 온도보다 크며,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상기 제2 온도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구역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은 상기 제1 온도 구역을 구성하고,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은 상기 제2 온도 구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구역과 상기 제2 온도 구역의 온도 차이는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은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에 논 스틱 레이어를 설치되고, 또는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벽면은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과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주벽면과 상기 상변화 캐비티 대응 밑벽면은 모두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이고, 또는
    상기 이너 하우징 내벽면 전체는 상기 논 스틱 레이어가 없는 구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은 외측으로 볼록한 둥근 가마솥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29. 솥,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와 가열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솥은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솥이고,
    상기 액상 상변화 작동 매체는 상기 상변화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 코일은 상기 가열원과 배합하는 교번 자장을 생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어셈블리.
  30. 주방 기구에 있어서,
    제29항에 따른 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구.
KR1020180038711A 2017-05-12 2018-04-03 솥, 솥 어셈블리 및 주방 기구 KR102118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35411.X 2017-05-12
CN201710335411.XA CN108851932B (zh) 2017-05-12 2017-05-12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1720543617.7U CN207428925U (zh) 2017-05-12 2017-05-12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1720543617.7 2017-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715A true KR20180124715A (ko) 2018-11-21
KR102118502B1 KR102118502B1 (ko) 2020-06-03

Family

ID=6456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711A KR102118502B1 (ko) 2017-05-12 2018-04-03 솥, 솥 어셈블리 및 주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6767423B2 (ko)
KR (1) KR102118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2451B (zh) * 2021-09-01 2023-10-03 海信家电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厨师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94U (ja) * 1983-06-27 1985-01-18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装置用の被加熱容器
JP2000173755A (ja) * 1998-12-01 2000-06-23 Imphy Usine Precision 誘導加熱用調理器とこの容器のための合金
JP2008119035A (ja) * 2006-11-08 2008-05-29 Soho Sangyo Kk アルミ製炊飯釜。
JP3208410U (ja) * 2015-08-14 2017-01-12 ティエンユー インポート アンド エクスポート トレーディング リミティッド 自動定温維持鍋および自動定温維持鍋と電磁加熱装置との組合せ構造
WO2017074111A1 (ko) * 2015-10-30 2017-05-04 에너진(주) 인덕션용 균일가열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7538A (ja) * 1974-12-09 1976-06-11 Mitsubishi Electric Corp Judokanetsuyohikanetsutai
JPH0360611A (ja) * 1989-07-27 1991-03-15 Seiki Ri 万能調理鍋
JP2712864B2 (ja) * 1991-04-10 1998-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3208410B2 (ja) * 1997-04-07 2001-09-10 奥野製薬工業株式会社 非導電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への電気めっき方法
CN105795888A (zh) * 2016-05-20 2016-07-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和锅具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94U (ja) * 1983-06-27 1985-01-18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装置用の被加熱容器
JP2000173755A (ja) * 1998-12-01 2000-06-23 Imphy Usine Precision 誘導加熱用調理器とこの容器のための合金
JP2008119035A (ja) * 2006-11-08 2008-05-29 Soho Sangyo Kk アルミ製炊飯釜。
JP3208410U (ja) * 2015-08-14 2017-01-12 ティエンユー インポート アンド エクスポート トレーディング リミティッド 自動定温維持鍋および自動定温維持鍋と電磁加熱装置との組合せ構造
WO2017074111A1 (ko) * 2015-10-30 2017-05-04 에너진(주) 인덕션용 균일가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92241A (ja) 2018-12-06
KR102118502B1 (ko) 2020-06-03
JP6767423B2 (ja) 2020-10-14
JP2020203143A (ja)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551277U (zh) 烹饪器具
CN101795609B (zh) 感应炊具
CN101791190B (zh) 蒸饮压力锅
CN101233996A (zh) 电磁炉伴侣铁锅及其制造方法
CN108618583A (zh) 一种电磁加热专用双层真空保温锅的结构
CN205107386U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
KR20180124715A (ko) 솥, 솥 어셈블리 및 주방 기구
CN205625577U (zh) 一种烹饪器皿及具有其的煎烤机
CN207428925U (zh)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1157269Y (zh) 真空复合内锅
CN207928184U (zh) 锅具和厨房器具
CN207428923U (zh)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4394271U (zh) 内胆及电饭煲
CN108851932B (zh)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7768083U (zh)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101214117A (zh) 真空锅
JP2012130549A (ja) 調理器具
CN204427618U (zh) 锅具及电饭煲
CN201185840Y (zh) 节能煲
CN207768086U (zh)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7428926U (zh)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7768079U (zh)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CN208510781U (zh) 一种养生型电炖锅
CN210112308U (zh) 一种ih陶瓷胆电热炊具
CN217524596U (zh) 一种热量损失低的石墨锅具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