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362A -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362A
KR20180124362A KR1020170058725A KR20170058725A KR20180124362A KR 20180124362 A KR20180124362 A KR 20180124362A KR 1020170058725 A KR1020170058725 A KR 1020170058725A KR 20170058725 A KR20170058725 A KR 20170058725A KR 20180124362 A KR20180124362 A KR 2018012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cking
wire
headrest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411B1 (ko
Inventor
허선호
강석주
이상동
윤성민
박기훈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시 간편하게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방향으로 폴딩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Folding apparatus for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시 간편하게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방향으로 폴딩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승객의 착좌 시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쿠션과,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 및 승객의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시트는 착석한 승객에 따라 맞추어 적절한 안락감을 주기 위해서 시트백의 각도조절 기능(리클라이너), 시트 쿠션의 높이조절 기능, 시트의 전후 위치조절기능(슬라이드장치)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아울러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의 경우에는 전술한 시트의 기본적인 기능들 외, 승객의 편의를 위해서 또는 화물 적재 공간 확보 등의 이유로 시트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부가 기능들을 더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능들 중 하나로서, 팁 업(tip up) 기능이 있다. 팁 업이 가능한 시트는, 예컨대 미사용 중인 차량 시트에 대해 시트백과 시트 쿠션을 세워진 상태로 절첩시키고 이를 위해서 헤트 레스트를 폴딩시킴으로써, 차량 내 후열 시트로 출입하는 승객의 공간 활용을 높이거나 혹은 화물 적재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헤드 레스트의 폴딩 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40447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캠과 회전캠이 서로 맞물린 록킹 상태에서 와이어로 회전캠을 회전시키면 록킹이 해제되면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이 폴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헤드 레스트를 폴딩하기 위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에 조립되는 와이어는 공장 제조시 그 길이가 일정하지 못하여 조립 후 너무 느슨해져서 잡아 당겨도 폴딩 작동을 하지 못하거나 또는 조립 후 너무 팽팽해져서 작은 충격에도 저절로 폴딩 작동되는 등 폴딩 작동의 제어가 원활하지 못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와이어의 장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와이어를 보호하는 와이어 보호 튜브를 헤드 레스트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에 다단 원주홈부를 형성하고, 작업자들이 조립 작업시 와이어의 길이나 장력에 따라 여러 개의 원주홈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립하게 하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들의 선택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한 오류가 여전히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후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및 와이어 튜브의 변형이나 마찰이나 길이 변화 등에 의해서 장력이 변하는 경우, 다시 폴딩 조작이 너무 둔감하거나 민감해지는 경향이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특성상, 조작하지 않더라도 와이어에는 많은 외력이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가혹한 환경에서 예기치 않게 헤드 레스트가 폴딩되어 안전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시(unfolding)시 탄성 스프링의 하중이나 인체의 하중이 고정캠, 즉 록킹 부재에 집중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하중이 고정 프레임 및 헤드 레스트 프레임의 정중앙으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쳐지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치우쳐진 쪽으로의 변형을 유발시켜서 오동작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 차량 시험이나 인증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여 폴딩(folding) 과정에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이 정해진 정회전 각도에서 스톱되지 못하고 그 이상의 각도로 오버 폴딩(over folding)되거나 또는 언폴딩(unfolding) 과정에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이 정해진 역회전 각도에서 스톱되지 못하고 그 이상의 각도로 오버 언폴딩(over unfolding)되는 등 이 역시도 차량 시험이나 인증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에 적당한 유격을 형성할 수 있어서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결부에 단일 원주홈부를 이용하여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중이 집중되는 록킹 부재를 고정 프레임 및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고, 부품들을 좌우 균등하게 배치하여 제품의 강성과 내구성 및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버 폴딩이나 오버 언폴딩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인증이나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래칫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핀; 및 상기 래칫 부재에 형성된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돌출핀이 헐겁게 결합되도록 여유홈부가 형성되는 요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요크 부재의 상기 여유홈부는 정회전시 내측 일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상부와 접촉되고, 역회전시 여유 각도만큼 역회전되다가 내측 타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하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폐쇄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요크 부재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1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 부재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부재의 하부에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중심 위치 유지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래칫 부재를 상기 록킹 부재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3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힘의 균형과 공간 활용을 위해서 상기 록킹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가 위치되고, 그 반대편에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3 탄성 스프링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까지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핀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후방부 접촉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되고,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부재와 접촉되는 제 3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전방부와 접촉되는 제 4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튜브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와이어 튜브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단일 원주홈부가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중이 집중되는 록킹 부재를 고정 프레임 및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위치되고, 부품들을 좌우 균등하게 배치하여 제품의 강성과 내구성 및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버 폴딩이나 오버 언폴딩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인증이나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는, 크게 고정 프레임(10)과, 회전 프레임(20)과, 록킹 부재(30)와, 래칫 부재(40) 및 유격 형성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시트백의 상단에 삽입되어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시트백측 즉,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시트백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시트백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세로 프레임(11)(11) 및 상기 세로 프레임(11)(11)들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 프레임(12)은 스스로 회전되지 않지만, 후술될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형성된 힌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폴딩 및 언폴딩시 회전축, 즉 회전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원형의 파이프나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상기 회전 프레임(20)과,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와, 상기 와이어(50)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를 고정 지지하거나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각종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의 모든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기 가로 프레임(12)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인 것으로서, 상판(21), 좌측판(22), 우측판(23) 및 하판(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것은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록킹 부재(30)나 상기 래칫 부재(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은 물론이고, 제품 제조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고장시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의해서 상기 시트백을 방향으로 상기 헤드 레스트가 폴딩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부재(3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에 걸림홈부(F)가 형성되는 일종의 고정체일 수 있다.
이와 대응되는, 상기 래칫 부재(4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F)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T)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T)가 상기 걸림홈부(F)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와이어(5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칫 부재(40)는 언폴딩 상태인 경우, 상기 록킹 부재(30)의 상기 걸림홈부(F)에 상기 걸림돌기부(T)가 삽입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폴딩 상태인 경우, 상기 와이어(50)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걸림홈부(F)로부터 상기 걸림돌기부(T)가 이탈되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는 상기 와이어(50)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50)와 상기 래칫 부재(40) 사이에 설치되는 일종의 완충 유격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는, 상기 래칫 부재(40)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핀(61) 및 상기 래칫 부재(40)에 형성된 제 2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50)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63)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돌출핀(61)이 헐겁게 결합되도록 여유홈부(64)가 형성되는 요크(yoke)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 부재(62)의 상기 여유홈부(64)는 상기 요크 부재(62)의 정회전시(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시) 내측 일부분이 상기 돌출핀(61)의 하부와 접촉되고, 상기 요크 부재(62)의 역회전시(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회전시) 여유 각도(K)만큼 역회전되다가 내측 타부분이 상기 돌출핀(61)의 상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폐쇄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는, 상기 요크 부재(62)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1 탄성 스프링(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어(50)는 여러 가닥의 단위 와이어들이 서로 꼬여져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와이어(50)는 케이블 경로의 마찰 손실이나 제품 산포(공차)에 의해 길이가 짧아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와이어(50)의 길이 변형으로 인하여 상기 래칫 부재(40)가 상기 록킹 부재(30)에 불안정한 상태로 일부분만 걸려서 록킹이 유지되고 있는 현상, 즉 부분 록킹 상태가 발생될 수 있지만, 이러한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가 이러한 부분 록킹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초기 작동 스트로크의 일부분을 상술된 여유 각도(K)로 완충시켜서 조립자가 후술될 단일 원주홈부(51a)에만 조립하더라도 정상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서 조립자들이 여러 개의 원주홈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1개의 원주홈부에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록킹 부재(30)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12)의 중심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좌측판(22)과 상기 우측판(23)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30)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부재(30)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부재(30)의 하부에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에 형성된 가이드홀(G)을 관통하는 중심 위치 유지 돌기부(S)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2 탄성 스프링(70) 및 상기 래칫 부재(40)를 상기 록킹 부재(30)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3 탄성 스프링(80)을 더 포함하고, 힘의 균형과 공간 활용을 위해서 상기 록킹 부재(30)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 상기 와이어(50)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60)가 위치되고, 그 반대편에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70) 및 상기 제 3 탄성 스프링(80)이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중이 집중되는 상기 록킹 부재(30)를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기 가로 프레임(12)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부품들을 좌우 균등하게 배치하여 제품의 강성과 내구성 및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좌측판(22)에서 상기 우측판(23)까지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핀(P)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30)는,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핀(P)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면(F1)과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후방부 접촉되는 제 2 접촉면(F2)이 형성되고,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부재(40)와 접촉되는 제 3 접촉면(F3)과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전방부와 접촉되는 제 4 접촉면(F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리한 힘이나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오버 폴딩이나 오버 언폴딩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충돌이나, 전복이나 긴급 사태를 예상하는 차량의 인증이나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0)는 와이어 튜브(WT)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와이어 튜브(WT)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형성된 오목홈부(20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단일 원주홈부(51a)가 형성된 체결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51)에 상기 단일 원주홈부(51a)를 이용하면 어떠한 경우라도 작업자가 1개의 원주홈부에만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대기 상태(언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언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0)에 아무런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즉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부재(30)의 상기 걸림홈부(F)에 상기 걸림돌기부(T)가 삽입되어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의 걸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상기 요크 부재(62)는 상기 여유 각도(K) 내에서는 회전된다 하더라도 상기 와이어(50)의 장력이 그대로 상기 래칫 부재(40)에 전달되지 않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품 제조시의 오차나 조립시의 오차나 사용시의 변형 오차나 주행 중 외력/충격/진동 오차 등을 모두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안전도와 신뢰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 부재(62)는 상기 여유 각도(K) 이상 회전되면 상기 와이어(50)의 장력이 상기 래칫 부재(40)로 전달되어 상기 래칫 부재(40)가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폴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이 A 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을 완료하면 상기 록킹 부재(30)는 상기 제 3 접촉면(F3)이 상기 래칫 부재(40)와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제 4 접촉면(F4)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전방부와 접촉되어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제로 상기 회전 프레임(20)을 B 방향으로 언폴딩시키거나 또는 전동으로 언폴딩시키면, 다시 상기 록킹 부재(30)의 상기 걸림홈부(F)에 상기 걸림돌기부(T)가 삽입되어 상기 록킹 부재(30)와 상기 래칫 부재(40)의 걸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록킹 부재(30)는 상기 제 1 접촉면(F1)이 상기 스토퍼 핀(P)과 접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접촉면(F2)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상기 하판(24)의 후방부 접촉되어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고정 프레임
11: 세로 프레임
12: 가로 프레임
20: 회전 프레임
21: 상판
22: 좌측판
23: 우측판
24: 하판
30: 록킹 부재
40: 래칫 부재
50: 와이어
51: 체결부
60: 유격 형성 장치
61: 돌출핀
62: 요크 부재
63: 와이어 연결부
64: 여유홈부
65: 제 1 탄성 스프링
70: 제 2 탄성 스프링
80: 제 3 탄성 스프링
100: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Claims (9)

  1. 시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측에 설치될 수 있는 회전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록킹 부재;
    상기 회전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부분에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와이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칫 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유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래칫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격 형성 장치;
    를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래칫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핀; 및
    상기 래칫 부재에 형성된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돌출핀이 헐겁게 결합되도록 여유홈부가 형성되는 요크 부재;
    를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부재의 상기 여유홈부는 정회전시 내측 일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상부와 접촉되고, 역회전시 여유 각도만큼 역회전되다가 내측 타부분이 상기 돌출핀의 하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 또는 폐쇄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형성 장치는,
    상기 요크 부재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1 탄성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상판, 좌측판, 우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 부재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은,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록킹 부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부재의 하부에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중심 위치 유지 돌기부가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래칫 부재를 상기 록킹 부재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제 3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힘의 균형과 공간 활용을 위해서 상기 록킹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유격 형성 장치가 위치되고, 그 반대편에 상기 제 2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 3 탄성 스프링이 위치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까지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언폴딩 모드에서 오버 언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핀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후방부 접촉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되고,
    폴딩 모드에서 오버 폴딩되는 것을 양방향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부재와 접촉되는 제 3 접촉면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전방부와 접촉되는 제 4 접촉면이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튜브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와이어 튜브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단일 원주홈부가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는,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KR1020170058725A 2017-05-11 2017-05-11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KR10193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25A KR101937411B1 (ko) 2017-05-11 2017-05-11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25A KR101937411B1 (ko) 2017-05-11 2017-05-11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62A true KR20180124362A (ko) 2018-11-21
KR101937411B1 KR101937411B1 (ko) 2019-01-11

Family

ID=6460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725A KR101937411B1 (ko) 2017-05-11 2017-05-11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2690A (zh) * 2020-05-14 2020-07-28 舟山市银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头枕的支撑装置
CN113799672A (zh) * 2020-06-16 2021-12-17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被构造为抵抗振动的头枕组件
EP3964389A4 (en) * 2019-04-28 2023-06-14 Yanfeng International Seating Systems Co., Ltd. REVERSIBLE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413B1 (ko) 2003-03-24 2006-05-10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582529B1 (ko) * 2005-04-25 2006-05-22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100982796B1 (ko) 2008-01-30 2010-09-16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684319B1 (ko) *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4389A4 (en) * 2019-04-28 2023-06-14 Yanfeng International Seating Systems Co., Ltd. REVERSIBLE HEADREST
CN111452690A (zh) * 2020-05-14 2020-07-28 舟山市银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头枕的支撑装置
CN111452690B (zh) * 2020-05-14 2023-09-01 舟山市银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头枕的支撑装置
CN113799672A (zh) * 2020-06-16 2021-12-17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被构造为抵抗振动的头枕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411B1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26B2 (en) Seat-back frame and vehicle seat
KR101937411B1 (ko)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US10518672B2 (en) Vehicle seat
US6983993B2 (en) Vehicle seat with fold-flat position
JP2012505786A5 (ko)
US10960789B2 (en) Vehicle seat
JP6750471B2 (ja) 乗物用シート
US9914369B2 (en) Vehicle seat with hook and cam latching mechanism
KR10121931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모듈
US20180141473A1 (en) Vehicle seat
JP5317721B2 (ja) 乗物用シート
US9481267B2 (en) Vehicle seat
US10173569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73682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JP6062347B2 (ja) 乗物用シート
US10843589B2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654374B1 (ko) 광역 시트백 폴딩타입 리클라이너
JP2018083451A (ja) 乗物用シート
JP3977030B2 (ja) 跳ね上げ式格納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ロック構造
JP5446739B2 (ja)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10793042B2 (en) Vehicle seat
JP7056526B2 (ja) ストッパ装置
US20230202356A1 (en) Vehicle seat
JP531772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067485B1 (ko)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