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915A -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915A
KR20180123915A KR1020170058293A KR20170058293A KR20180123915A KR 20180123915 A KR20180123915 A KR 20180123915A KR 1020170058293 A KR1020170058293 A KR 1020170058293A KR 20170058293 A KR20170058293 A KR 20170058293A KR 20180123915 A KR20180123915 A KR 2018012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electrode
metal layer
oxide layer
layer
upp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근
이병룡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3915A/ko
Priority to PCT/KR2017/008409 priority patent/WO2018207972A1/ko
Publication of KR2018012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01L45/1253
    • H01L45/145
    • H01L45/166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MO 구조의 투명 전극이 적용된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확보하면서 유연하고 투명한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Transparent and flexible resistive switching memo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OMO 구조의 투명 전극이 적용된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silicon) 기반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는 금속-산화물-반도체(metal-oxide-semiconductor) 구조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effect-transistor)로 구성되어 있는데, 메모리 소자의 미세화(scaling) 한계가 예상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차세대 메모리로 유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소자는, 강유전체 메모리(ferroelectric random-access memory, FeRAM), 자기 저항 메모리(magnetic random-access memory, MRAM), 상변화 메모리(phase-change randomaccess memory, PCRAM) 및 저항 변화 메모리(resistive switching memory, ReRAM)가 있다.
특히, 전술한 저항 변화 메모리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고, 비휘발성이며, 스위칭이 빠르고, 수명(endurance) 및 메모리 리텐션(retention)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차세대 메모리 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다.
한편, 미래의 전자 시스템에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고자, 차세대 메모리인 저항 변화 메모리에 투명 전극인 ITO, IZO 및 GZO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투명 전극인 ITO, IZO 및 GZO가 휨에 의해 쉽게 깨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의 개발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투명 전극인 ITO, IZO 및 GZO의 전기전도도가 낮다는 점도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의 개발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빛에 대한 투과도가 높고 전도성이 우수하면서 유연한 특성을 갖는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및 금속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은,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저항 변화층 내부에 전도성 필라멘트가 생성되거나 소실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과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cross bar array) 구조를 이루며,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열로 패터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산화물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산화물층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기판 상부에 하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2) 상기 패터닝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3)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다시 패터닝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하부 전극의 위에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5) 상기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6)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다시 패터닝하여 상기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의 산화물층은 저항변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기판 상부에 하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2) 상기 패터닝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하부 전극의 위에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4) 상기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5)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의 산화물층은 저항변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기판 상부에 하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2) 상기 패터닝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3)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하부 전극의 위에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5)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의 산화물층은 저항변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은,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저항 변화층 내부에 전도성 필라멘트가 생성되거나 소실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과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cross bar array) 구조를 이루며,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열로 패터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산화물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산화물층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확보하면서 유연하고 투명한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항 변화층을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MO 구조를 갖는 다양한 투명 전극을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어 기술의 구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서 생성된 전도성 필라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서 생성된 전도성 필라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서 생성된 전도성 필라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서 생성된 전도성 필라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는, 기판(10) 상부에 적층되고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어 형성된 하부 전극(110) 및 그 하부 전극(110)의 상부에 적층되고 하부 전극(110)과 교차하는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상부 전극(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는,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cross bar array)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하부 전극(110)은 기판(10) 위에 산화물층(111), 금속층(112) 및 산화물층(11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OMO(oxide-metal-oxid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110)의 금속층(112)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금속 물질로서 나노미터 단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전극(110)의 산화물층(111, 113)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120)은 하부 전극(110)의 상부에 산화물층(121), 금속층(122) 및 산화물층(1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OMO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 전극(120)의 금속층(122)은 전술한 전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전극(120)에 형성되는 산화물층(121, 123)의 경우에도 전술한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 간의 교차점(130)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120) 최하단의 산화물층(121)과 하부 전극(110) 최상단의 산화물층(113)은 서로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접촉하는 산화물층(113, 121)은 동일한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 간의 교차점(130)은, 하부 전극(110)의 금속층(112), 하부 전극(110)의 산화물층(113)과 상부 전극(120)의 산화물층(121), 그리고, 상부 전극(120)의 금속층(12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전극(110)의 금속층(112)과 상부 전극(120)의 금속층(122) 사이에 위치하고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산화물층(113, 121)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여, 상부 전극(120)과 하부 전극(110)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국소적인 전도성 경로인 전도성 필라멘트(F)가 생성되어 그 저항 상태가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에서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변화하는 SET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산화물층(113, 121)에 리셋 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고저항 상태로 다시 돌아가게 되는데, 이는, 전술한 전도성 필라멘트(F)가 소실됨을 뜻한다. 즉,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산화물층(113, 121)의 저항 상태에 따라‘1’과 ‘0’에 해당하는 1비트(bi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는 서로 직교하는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의 사이에 저항 변화층을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하부 전극(110)의 일부와 이에 접촉하는 상부 전극(120)의 일부가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고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는 OMO 구조의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이 적용됨으로써, 기존의 투명 전극인 ITO, IZO 및 GZO에 비해 전기전도도를 확보하기 용이하고 투명하면서 유연한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소정의 열처리를 통해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의 투과도를 향상시키거나,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에 각각 형성되는 산화물층(111, 113, 121, 123)과 금속층(112, 122)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투과도를 더 개선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에 형성되는 각각의 산화물층(111, 113, 121, 123)은, 하나의 층으로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두 개의 층으로 적층된 멀티 레이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서 생성된 전도성 필라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는, 기판(10) 상부에 적층되고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어 형성된 하부 전극(210) 및 그 하부 전극(210)의 상부에 적층되고 하부 전극(210)과 교차하는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상부 전극(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경우에도,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 구조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와 유사한 점이 있으나, 하부 전극(210)에 1개의 산화물층(211)이 형성되고 상부 전극(220)에는 2개의 산화물층(221, 223)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부 전극(210)은 기판(10) 위에 산화물층(211) 및 금속층(21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전극(210)의 금속층(212)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금속 물질로서 나노미터 단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전극(210)의 산화물층(211)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220)은 하부 전극(210)의 상부에 산화물층(221), 금속층(222) 및 산화물층(2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OMO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 전극(220)의 금속층(222)은 전술한 전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전극(220)의 산화물층(221, 223)의 경우에도 전술한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 간의 교차점(230)은, 하부 전극(210)의 금속층(212), 상부 전극(220)의 산화물층(221) 및 상부 전극(220)의 금속층(22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전극(210)의 금속층(212)과 상부 전극(220)의 금속층(222) 사이에 위치하고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산화물층(221)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여, 상부 전극(220)과 하부 전극(210)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국소적인 전도성 경로인 전도성 필라멘트(F)가 생성되어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변화하는 SET 과정이 이루어지거나, 리셋 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그 저항 상태가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로 돌아가면서 전도성 필라멘트(F)가 소실되는 리셋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산화물층(221)의 저항 상태에 따라‘1’과 ‘0’에 해당하는 1비트(bi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경우에도 별도의 저항 변화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투명 전극인 ITO, IZO 및 GZO에 비해 전기전도도를 확보하기 용이하고 투명하면서 유연한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면서,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에서 생성된 전도성 필라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는, 기판(10) 상부에 적층되고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어 형성된 하부 전극(310) 및 그 하부 전극(310)의 상부에 적층되고 하부 전극(310)과 교차하는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상부 전극(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경우에도, 하부 전극(310)과 상부 전극(320)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는, 하부 전극(310)에서 2개의 산화물층(311, 313)이 형성되고, 상부 전극(320)에는 1개의 산화물층(322)이 형성되게 된다.
즉, 하부 전극(310)은 기판(10) 위에 산화물층(311), 금속층(312) 및 산화물층(31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OMO 구조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부 전극(320)은 하부 전극(310)의 상부에 금속층(321) 및 산화물층(32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하부 전극(310)과 상부 전극(320)의 금속층(312, 321)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금속 물질로서 나노미터 단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전극(310)과 상부 전극(320)의 산화물층(311, 313, 322)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경우에도, 하부 전극(310)과 상부 전극(320) 간의 교차점(330)에서 하부 전극(310)의 금속층(312), 하부 전극(310)의 산화물층(313) 및 상부 전극(320)의 금속층(32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전극(310)의 금속층(312)과 상부 전극(320)의 금속층(321) 사이에 위치하고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산화물층(313)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면서, 상부 전극(320)과 하부 전극(310)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도성 필라멘트(F)가 생성되어 그 저항 상태가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에서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변화하는 SET 과정과, 리셋 펄스 전압에 의해 그 저항 상태가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로 돌아가면서 전도성 필라멘트(F)가 소실되는 리셋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산화물층(313)의 저항 상태에 따라‘1’과 ‘0’에 해당하는 1비트(bit)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경우에도, 기존의 투명 전극인 ITO, IZO 및 GZO에 비해 전기전도도를 확보하기 용이하고 투명하면서 유연한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는 동시에, 별도의 저항 변화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저항 변화 메모리를 형성할 기판(10)을 준비한다(도 13의 (a)).
다음으로, 그 기판(10) 상부에 복수 개의 열이 평행하게 배열된 소정의 패턴으로 산화물층(111)을 패터닝하고 그 위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112)을 패터닝한 후 다시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113)을 패터닝하여 하부 전극(110)을 형성하게 된다(도 13의 (b)).
그 다음에는, 하부 전극(110)의 상부에 그 하부 전극(110)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열이 평행하게 배열된 패턴으로 산화물층(121)을 패터닝하고 그 위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122)을 패터닝한 후 다시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123)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120)을 형성하게 된다(도 13의 (c)).
이때,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의 금속층(112, 122)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의 산화물층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cross bar array) 구조를 이루며,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 간의 교차점에는 하부 전극(110)의 금속층(112), 하부 전극(110)의 산화물층(113)과 상부 전극(120)의 산화물층(121), 그리고, 상부 전극(120)의 금속층(12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 간의 교차점에서, 하부 전극(110)의 금속층(112)과 상부 전극(120)의 금속층(122)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113, 121)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여, 상부 전극(120)과 하부 전극(110)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도성 필라멘트가 생성되어 그 저항 상태가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에서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변화하는 SET 과정과, 리셋 펄스 전압에 의해 그 저항 상태가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로 돌아가면서 전도성 필라멘트(F)가 소실되는 리셋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부 전극(110)과 상부 전극(120) 간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산화물층(113, 121)의 저항 상태에 따라‘1’과 ‘0’에 해당하는 1비트(bi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저항 변화 메모리를 형성할 기판(10)을 준비한다(도 14의 (a)).
다음으로, 그 기판(10) 상부에 복수 개의 열이 평행하게 배열된 소정의 패턴으로 산화물층(211)을 패터닝하고 그 위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212)을 패터닝하여 하부 전극(110)을 형성한다(도 14의 (b)).
그 다음에는, 하부 전극(210)의 상부에 그 하부 전극(210)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열이 평행하게 배열된 패턴으로 산화물층(221)을 패터닝하고 그 위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222)을 패터닝한 후 다시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223)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220)을 형성할 수 있다(도 14의 (c)).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의 경우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에서와 동일한 전도성 금속 물질로 하부 전극(210)의 금속층(212)과 상부 전극(220)의 금속층(222)을 형성할 수 있고, 전술한 저항변화 물질로 하부 전극(210)의 산화물층(211)과 상부 전극의 산화물층(221, 223)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의 경우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에서와 동일하게,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 간의 교차점에서 하부 전극(210)의 금속층(212)과 상부 전극(220)의 금속층(222)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221)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여, 상부 전극(220)과 하부 전극(210)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도성 필라멘트가 생성되어 그 저항 상태가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에서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변화하는 SET 과정과, 리셋 펄스 전압에 의해 그 저항 상태가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로 돌아가면서 전도성 필라멘트(F)가 소실되는 리셋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 간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산화물층(221)의 저항 상태에 따라‘1’과 ‘0’에 해당하는 1비트(bi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항 변화 메모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저항 변화 메모리를 형성할 기판(10)을 준비한다(도 15의 (a)).
그 다음, 그 기판(10) 상부에 복수 개의 열이 평행하게 배열된 소정의 패턴으로 산화물층(311)을 패터닝하고 그 위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312)을 패터닝한 후 다시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313)을 패터닝하여 하부 전극(310)을 형성하게 된다(도 15의 (b)).
다음에는, 하부 전극(310)의 상부에 그 하부 전극(310)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열이 평행하게 배열된 패턴으로 금속층(321)을 패터닝한 후, 그 위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322)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320)을 형성하게 된다(도 15의 (c)).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은, 하부 전극(310)의 형성 시 산화물층(311, 313)을 패너닝하는 공정이 2회 수행되고, 상부 전극(320)의 형성 시 산화물층(322)을 패터닝하는 공정이 1회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의 경우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전도성 금속 물질로 하부 전극(310)의 금속층(312)과 상부 전극(320)의 금속층(321)을 형성할 수 있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저항변화 물질로 하부 전극(310)의 산화물층(311, 313)과 상부 전극의 산화물층(32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저항 변화 메모리는, 하부 전극(310)과 상부 전극(320) 간의 교차점에서 하부 전극(310)의 금속층(312)과 상부 전극(320)의 금속층(321)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313)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여, 상부 전극(320)과 하부 전극(310)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도성 필라멘트가 생성되어 그 저항 상태가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에서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변화하는 SET 과정과, 리셋 펄스 전압에 의해 그 저항 상태가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로 돌아가면서 전도성 필라멘트(F)가 소실되는 리셋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산화물층(313)의 저항 상태에 따라‘1’과 ‘0’에 해당하는 1비트(bi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210, 310 : 하부 전극
120, 220, 320 : 상부 전극
111, 113, 121, 123, 211, 221, 223, 311, 313, 322 : 산화물층
112, 122, 212, 222, 312, 321 : 금속층

Claims (15)

  1.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2.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및 금속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3. 기판 상부에 적층되고, 산화물층,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적층되고, 금속층 및 산화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은,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저항 변화층 내부에 전도성 필라멘트가 생성되거나 소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과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cross bar array) 구조를 이루며,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산화물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산화물층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8. (1) 기판 상부에 하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2) 상기 패터닝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3)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다시 패터닝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하부 전극의 위에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5) 상기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6)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다시 패터닝하여 상기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의 산화물층은 저항변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9. (1) 기판 상부에 하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2) 상기 패터닝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하부 전극의 위에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4) 상기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5)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의 산화물층은 저항변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10. (1) 기판 상부에 하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산화물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2) 상기 패터닝된 산화물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3)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하부 전극의 위에 상부 전극의 형성을 위한 금속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5) 상기 패터닝된 금속층의 상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단계의 산화물층은 저항변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위치한 산화물층이 저항 변화층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은,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저항 변화층 내부에 전도성 필라멘트가 생성되거나 소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전극과 직교하는 형태의 크로스바 어레이(cross bar array) 구조를 이루며,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열로 패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금속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금속층은,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산화물층과 상기 상부 전극의 산화물층은,
    산화아연(ZnO), 산화타이타늄(TiO2), 삼산화텅스텐(WO3),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몰리브덴(MoO3), 산화니켈(NiO), Mn-doped tin oxide(MTO), Zn doped tin oxide(ZTO), Ga doped ZnO(GZO), SnxOy, ZrxOy, CoxOy, CrxOy, VxOy, NbxOy ZnMgBeO, MgxOy, MgxNy, TixNy, InxNy, GaxNy, GaxOy, boron nitride(BN), NixNy, SixNy, Al doped ZnO(AZO), MgxZnyOx 및 Cux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의 제조방법.
KR1020170058293A 2017-05-10 2017-05-10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93A KR20180123915A (ko) 2017-05-10 2017-05-10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08409 WO2018207972A1 (ko) 2017-05-10 2017-08-03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93A KR20180123915A (ko) 2017-05-10 2017-05-10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915A true KR20180123915A (ko) 2018-11-20

Family

ID=6410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293A KR20180123915A (ko) 2017-05-10 2017-05-10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23915A (ko)
WO (1) WO201820797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115B1 (ko) * 2019-09-24 2021-03-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위칭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논리 연산 장치
WO2021054737A1 (ko) * 2019-09-17 2021-03-2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스위칭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210109908A (ko) * 2020-02-28 2021-09-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의 엣지를 이용한 수직구조 저항메모리
KR20210148060A (ko) * 2020-02-28 2021-1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의 엣지를 이용한 저전력 셀렉터
KR102359393B1 (ko) * 2020-08-14 2022-02-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층 산화물에서 누설 전류 특성으로 구현된 저산포 스위칭 전압을 가지는 필라멘트 기반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29228A (ko) * 2021-03-16 2022-09-23 한국과학기술원 연속적으로 정렬된 3차원 이종 소재 계면을 갖는 3차원 멤리스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69B1 (ko) * 2010-02-08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101915686B1 (ko) * 2012-07-23 2018-11-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224945B2 (en) * 2012-08-30 2015-12-29 Micron Technology, Inc. Resistive memory devices
KR102071710B1 (ko) * 2013-03-21 2020-0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스위칭 특성을 갖는 2-단자 스위칭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크로스-포인트 어레이
KR20160066971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737A1 (ko) * 2019-09-17 2021-03-2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스위칭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210032632A (ko) * 2019-09-17 2021-03-2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스위칭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US11871687B2 (en) 2019-09-17 2024-01-09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Resistive switching element and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23115B1 (ko) * 2019-09-24 2021-03-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위칭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논리 연산 장치
KR20210109908A (ko) * 2020-02-28 2021-09-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의 엣지를 이용한 수직구조 저항메모리
KR20210148060A (ko) * 2020-02-28 2021-1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의 엣지를 이용한 저전력 셀렉터
KR102359393B1 (ko) * 2020-08-14 2022-02-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층 산화물에서 누설 전류 특성으로 구현된 저산포 스위칭 전압을 가지는 필라멘트 기반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29228A (ko) * 2021-03-16 2022-09-23 한국과학기술원 연속적으로 정렬된 3차원 이종 소재 계면을 갖는 3차원 멤리스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7972A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915A (ko) 투명하고 유연한 저항 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JP5154138B2 (ja) n+界面層を備えた可変抵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素子
TW589753B (en)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224367B2 (en) Selector device incorporating conductive clusters for memory applications
US8426841B2 (en) Transparent memory for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KR101744758B1 (ko) 비휘발성 메모리요소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US8183554B2 (en) Symmetrical programmable memresistor crossbar structure
JP2013534724A (ja) 破壊層を含む抵抗スイッチング層を備えるメモリセル
KR20130052371A (ko) 비휘발성 메모리요소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KR20120021539A (ko) 비휘발성 메모리요소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KR101317755B1 (ko) 문턱 스위칭 특성을 지니는 저항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메모리 소자,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0696A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0050A (ko) 비휘발성 메모리요소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KR102641744B1 (ko)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KR20080105979A (ko) 저항성 메모리 소자
US20160013406A1 (en) Variable resistive memory device
KR20140069663A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37277A (ko)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
JP2017055082A (ja) 不揮発性記憶装置の製造方法
US8446752B2 (en) Programmable metallization cell switch and memory units containing the same
KR20120139082A (ko) 멀티비트 메모리요소,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999342B1 (ko) 저항 변화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WO2017039611A1 (en) Material stacks for low current unipolar memristors
US10074695B2 (en)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device based on fast diffusive metal atoms
US11538857B2 (en) Bidirectional selector device for memor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9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10

Effective date: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