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714A -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714A
KR20180116714A KR1020170049402A KR20170049402A KR20180116714A KR 20180116714 A KR20180116714 A KR 20180116714A KR 1020170049402 A KR1020170049402 A KR 1020170049402A KR 20170049402 A KR20170049402 A KR 20170049402A KR 20180116714 A KR20180116714 A KR 20180116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ard
thin
file
management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도
송효인
조동혁
Original Assignee
자이로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로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이로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714A/ko
Publication of KR2018011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6~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스마트폰과는 근거리무선통신망(NFC)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며,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와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에는 음원 데이터는 물론 음원에 적합한 이미지가 미디어카드 전·후면에 인쇄되어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받는 효과가 있다. NFC 태그를 이용한 다른 방식은 음원이 없이 인증코드를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서버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스마트폰과 같이 근거리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물론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에 접촉하여 유선형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어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A thin media card configured to transmit data in a storage memory to a device in contact or non-contact method, and a device}
레코드, 카세트테이프, CD 및 DVD 라는 매체를 통해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던 시대는, 해당 매체를 통해 ‘소장가치’와 ‘감상’이라는 두 가지 주요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왔다. 하지만, 이후 IT 기술의 발달을 통해 디지털 음원을 이용하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감상’이라는 가치를 전달하는 것에 더해 ‘편의성’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추가하는 것에는 성공을 했지만, 정작 음악 컨텐츠 이용의 핵심 가치라 할 수 있는 ‘소장가치’를 잃어버렸다. 그 결과, 음악 자체의 가치가 현저히 소실되었고 이에 따라 음악 산업 전반에 걸쳐 온라인 음원 서비스 제공자가 이익을 주도하는 불합리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미래에는 새로운 음악 매체를 통하여 ‘소장가치’와 ‘감상’ 그리고 ‘편의성’과 ‘커뮤너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MP3를 거쳐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함께 대부분의 디바이스(컴퓨터, CD 플레이어)에서, 특히 자동차 카 오디오에서도 CD 및 DVD 플레이어 기능이 삭제되기 시작했다. 이로인해 오프라인 시장에서 전통적인 매체였던 CD와 DVD가 사라지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통한 온라인 음악의 보편화와 함께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들이 소개되면서, CD와 DVD와 같은 기존의 미디어 시장을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일례로, 특허등록 10 ­ 1683551호로 등록된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NFC 태그를 스마트폰 하단의 NFC 리더기에 대면, 지정된 음원 관리 서버에 자동 연결하여, 지정된 음악을 다운로드하도록 구성하였다. NFC 태그 전면에는 구입한 음원에 대한 이미지를 인쇄하여 소장감도 느끼도록 구성하여 ‘키노앨범 및 카드’로 발매되기 시작하였다. 즉,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받을 수 있도록 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흐름에 부응하면서, ‘소장가치‘에 보다 중점을 두고, 스마트폰은 물론 다양한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사라져 가는 CD와 DVD를 대체하는 새로운 미디어를 만들어내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성기를 구가하던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2000년대 들어 MP3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과 함께 등장한 온라인 음원 시장에 의해 크게 잠식되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음반을 파일로 소장하는 방식의 MP3 플레이어 등에 적응하지 못한 세대(특히 노년층)들은 음반 시장을 이탈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전체 음악 시장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MP3 파일의 불법 복제, 불법 전송 등으로 인해 온라인 음원 시장 또한 그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고, 음원 공급 업체들은 MP3 파일에 대한 대안으로 불법 복제 및 불법 전송이 근본적으로 어려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통신 환경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실행할 때마다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MP3 파일 등에서와 같은 다운로드 방식의 음원 시장이 스트리밍 서비스 중심의 음원 시장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또한 많은 음원 소비자들의 시장 이탈이 있었다.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은 음악에 대한 소비 욕구는 여전히 가지고 있으나, 현재의 음원 시장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은 아직도 음반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입해야 한다는 감성을 가지고 있거나, 한번 구매한 음원은 영원히 소장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을 현재의 음원 시장으로 재유입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의 국민은행에서는 2008년에 신용카드에 고용량 메모리를 탑재한 ‘&d 카드’를 보급하여, 박형 신용카드에 음원을 저장하고 제공되는 ‘&d 플레이어’로 음악을 감상하도록 하였다. ‘&d 카드’는 CD와 DVD 보다는 ‘편의성’을 제공하였지만, 신용카드 형태의 보편화된 이미지만 전달하면서, ‘소장가치’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새로운 메모리카드로 인식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국민은행에서는 이를 발전시켜 특허등록 10 ­ 0939789호에 의해 신용카드, 표준규격 사이즈의 플라스틱 기재 상에 적어도 2 이상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반도체 칩 중 하나는 MP3 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 파일 형태의 각종 음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MP3 또는 기타 압축된 음원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MP3 또는 기타 압축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복호화하고 재생하는 디코더와, 상기 복호화 및 재생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으로 전환하는 D/A 컨버터와, 상기 메모리, 디코더, 및 D/A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메모리에는 외부단말기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포맷정보를 저장하는 포맷저장부와, 상기 제 1 칩(금융IC)에 의해서 카드 매입 승인 거래시 가치가 충전되는 가치충전부와, 가치충전부로부터 MP3 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 파일 등의 데이터 이용료가 삭제되는 조건으로 MP3 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되는 음악저장부를 포함하는 음악재생 칩을 발표하였다.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편화와 함께 2000년대 초반부터 인기를 누리던 MP3 플레이어와 PMP도 경쟁력을 상실하여 사라지는 단계로 변화하고 있다. 언제나 가까이 있는 스마트폰에서 음악의 ‘소장가치’를 제공하려는 시도로 2015년 NFC 매체, NFC 매체를 이용한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기반으로 2015년부터 한국 기업(주식회사 키노)에서 특허를 등록하고 ‘키노앨범’을 출시하였다. ‘키노앨범’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서, (a) 관리 서버가,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NFC 매체가 제공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파일 전송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및 활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최근 CD와 DVD를 대체하는 오프라인 신매체로는 ‘키노앨범 및 키노카드’가 알려져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NFC 매체를 사용하는 ‘키노앨범’의 ‘키노카드’는 음원이 저장되어있지 않은NFC 태그로,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주로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로 태그 정보를 읽어 스마트폰의 무선 (WiFi)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 다운로드 서버와 연결 하여 승인된 음원을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다. ‘키노카드’의 전 후면에는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음원을 상징하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부분적으로 소장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NFC 태그 형태의 ‘키노카드’에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소장가치’가 반감되는 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NFC 리더기와 함께, 음원 다운로드 서버와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개인 단말기로는 현재 스마트폰이 유력 및 유일하다. 아이폰 7 모델부터 NFC 리더기를 장착하였지만, 애플사의 폐쇄적 정책에 의하여 ‘애플페이’ 외에는 NFC 리더기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현재 ‘키노카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용 스마트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과거의 MP3 및 PMP를 대체하고 있는 만큼, 스마트폰을 통하여 음악을 감상하도록 함은 새로운 매체에 있어서는 필요하다. 그러나 음원을 이동통신망으로 다운로드받는 데이터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망이 없는 MP3 플레이어, 블루투쓰 스피커, 도킹 스피커, 카 오디오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주변 장치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CD와 DVD가 음악 시장에서 사라져가는 현 단계에서 새로운 매체는 대용량의 USB/SD/MMC 메모리카드와는 달리,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을 기본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대용량의 USB/SD/MMC 메모리카드는 컴퓨터로 메모리 정보를 읽어야 저장된 음원을 알 수 있다는 문제점을 음반 시장에서는 해결할 필요가 있다.
CD와 DVD를 대체하는 새로운 매체로 ‘키노카드’가 등장하였지만, NFC 태그 형태의 ‘키노카드’는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키노카드’를 대면 인증절차를 거쳐 해당 음원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① 스마트폰만을 통한 음악 감상, ② 다운로드시 이동통신망 비용 발생, ③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NFC 태크로 소장가치 저하, ④ 다양한 스피커 장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가장 진보된 차세대 매체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일례로 신용카드, 크기 85 x 54 x 0.8mm 이하)에 외부 입출력을 위한 6~10핀 내외의 박형 패드(일례로 신용카드 금융IC 패드와 유사)와 메모리 수단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유선(접촉식) 미디어카드를 제안할 수 있다. 메모리 방식으로는 전원이 없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NAND 및 OTP, EEPROM이 적합하며, 6~10핀으로도 전원공급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SPI(Serial programming Interface) 통신방식이 적합하다. 상기 유선 미디어카드는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에 접촉시켜, 유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에 메모리를 외부 입출력을 위해 안테나와 RF칩과 연결하여 근거리통신수단(NFC 및 BT)을 구성하는 무선(비접촉식) 미디어카드를 제안할 수 있다. NFC 리더기(무선충전방식 포함)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전자기 유도)받고, 근거리통신수단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일례로 근거리무선통신(NFC 및 BT)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유도받아 작동시키므로 매체에는 배터리를 내장할 필요가 없다. 상기 무선 미디어카드는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와는 연결할 수 없다.
삼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에 메모리를 외부 입출력을 위해 6~10핀 내외의 박형 패드와 함께, 메모리를 안테나 및 RF칩과 연결하여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을 함께 구성하는 유·무선형 미디어카드를 제안할 수 있다. NFC 리더기(무선충전방식)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받아,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근거리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유·무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NFC 리더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받아 작동시키므로 매체에는 배터리를 내장할 필요가 없다. 무선 미디어카드와는 달리 상기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와 접촉하여, 유·무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6~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진을 저장하는 현재 고용량 메모리카드는 컴퓨터로 메모리 정보를 읽어야 저장된 사진을 알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새로운 매체는 사용자가 사진을 선택하여 저장해두고, 플라스틱 전·후면에 적합한 사진 이미지를 카드 프린터기로 인쇄하여 제공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6~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스마트폰과는 근거리무선통신망(NFC)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며,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와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에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음원에 적합한 이미지가 미디어카드 전·후면에 인쇄되어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받는 효과가 있다. 온라인에서 사용하던 음원 데이터는 재판매할 수 없지만, 실물로 소유하는 미디어카드는 과거에 레코드와 카세트테이프처럼 사용한 후에 재판매할 수 있다.
둘째, NFC 태그를 이용한 방식은 NFC 태그에 음원 데이터가 없으므로 인증코드를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소장가치가 높으며 통신비용이 발생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셋째, 본 발명의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근거리무선통신믈 지원하는 단말기는 물론,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와 스피커에 접촉하여 유·무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어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용 및 결제, 회원 가입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사용자 단말기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접촉시키는 직관적인 방법을 통해 손쉽게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반 시장 등 미디어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선택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내용으로 음원을 출력하고, 자신만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 도는 신용카드에 금융 IC와 RF 칩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IC카드, 비접촉식 RF 메모리카드, 콤비카드, 하이브리드 카드로 구분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2 도는 국민은행에서 2008년에 출시한 신용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고용량 메모리를 설치한 ‘&d카드’와 ‘&d카드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제 3 도는 ‘키노카드’와 같이 NFC태그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에서 NFC태그의 인증코드로 음원 서버와 연결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6~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달받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한 미디어카드의 각각의 구성도이다.
제 5 도는 NFC태그 방식의 ‘키노카드’와 본 발명의 무선 미디어카드의 음원 데이터의 흐름 비교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유선 미디어카드와 유·무선 미디어카드의 내부 구조도이다.
제 7 도는 외부 스피커의 도킹부에 스마트폰 단자를 끼우는 방식과 본 발명의 유선 미디어카드 및 무선 미디어카드를 외부 스피커에서 사용하는 방식의 비교도이다.
제 8 도는 자동차 카오디오 및 가정용 블루투쓰 스피커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리모콘 및 데크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개념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미디어 카드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카드 데크 및 체인저의 개념도 및 블록도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과거의 전용 단말기로 인기를 누리던 MP3 플레이어, PMP, 네비게이션 심지어는 디지털 카메라까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프로세서 성능과 노트북 컴퓨터에 근접하고 있어, 장래에 사무 자동화 부문까지 통합할 전망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미디어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직관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드는 것이 유력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NFC태그를 이용한 새로운 음악 카드가 2015년도에 탄생하게 되었다. 스마트폰과 새로운 미디어 카드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방식으로는 NFC 통신과 블루투쓰(BT)가 검토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10cm 내외의 짧은 통신거리 내에서 실시한다.(타입4 최대 전송속도 424kbps)한다. NFC 통신은 동작 방식에 따라 자체 전원 공급하는 능동통식모드와 자체 전원공급(배터리) 미지원하는 수동통신모드로 구분한다. NFC 동작모드로는 카드/태그 비접촉시 에뮬레이션 모드, 수동 NFC 태그의 리더로 동작하는 RW모드, 장치간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는 P2P 모드가 있다. 스마트폰 무선충전장치처럼 NFC 태그에는 배터리 없이 NFC 리더기의 RF 필드로부터 전력을 전자기 유도하여 사용한다. 가장 보편적인 근거리무선통신수단으로 사용되는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에서 최대 전송속도 24Mbps로, 10m 전송 가능하며, 소비전력도 1mW로 NFC의 15mA에 비해 작다. 가정에서 음악을 듣기위해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결하는 스피커가 많이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6~10핀 내외의 단자,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칩과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과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을 기본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스마트폰과는 근거리무선통신망(NFC)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무선(NFC 혹은 BT)으로 전송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며, 유선 미디어카드 기능은 6~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에 접촉하여 유선형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 도는 신용카드에 금융IC와 RF 칩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IC카드, 비접촉식 RF 메모리카드, 콤비카드, 하이브리드 카드로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신용카드는 크기 85 x 54mm로 두께 0.8mm로 내부에 금융IC 및 교통카드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NFC 태그 (RFID)가 탑재되어 있어 금융 IC와는 ISO7616 프로토콜로 통신한다. 제 2 도는 국민은행에서 2008년에 출시한 신용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고용량 메모리를 설치한 ‘&d카드’와 ‘&d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신용카드에 최초로 고용량 메모리를 탑재하여 음원을 저장하도록 하였지만, 음원 특유의 소장가치를 느끼도록 신용카드 인쇄 이미지를 개인화하지 못하여 미디어 카드로 사용되지 못했다. 제 3 도는 NFC태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NFC 태그의 인증코드로 음원 서버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흐름(flow)를 나타낸다. 최초로 NFC 태그를 본격적으로 음악 앨범으로 사용하는 시도로 높이 평가받고 있지만, NFC 태그 자체에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인증코드만 제공하는 한계로 소장가치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접촉시켜 이동통신망으로 음원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야 되는 점과,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음악을 감상하는 등 용도가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6~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칩과 안테나 등을 포함한 구성도이다.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 방식과 구성 방식에 따라 ① 유선 미디어카드, ② 무선 미디어카드, ③ 유·무선 미디어카드, ④ 오디오 미디어카드로 구성된다. 제 5 도는 NFC 태그 형태인 ‘키노카드’와 본 발명의 무선 미디어 카드의 음원 데이터의 흐름 비교도이다. NFC 태그 형태인 ‘키노카드’는 자체에 음원이 없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음원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파일을 내려받아야 한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는 자체에 음원데이터(필요시 DRM 복제방지 탑재)가 있기 때문에 외부 디바이스(스마트폰 포함)에 접촉(유선) 및 비접촉식(무선)으로 음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유선 미디어카드와 유·무선 미디어카드의 구조도이다.
구성 방식에 따라 ① 유선 미디어카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1)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1)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3)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3)에 지정된 음원이 포함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메모리 수단(3)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2)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메모리 수단을 6~10핀 단자로 제어하는 박형 유선 미디어 카드가 제공된다. 이 경우, 메모리 수단(3)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6~10핀 박형 패드(2)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혹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할 때, 메모리 수단(3)의 특정 영역에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유선 미디어카드를 디바이스에서 탈착 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방식에 따라 ② 오디오 미디어카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13)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13)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16)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6)에 지정된 음원이 포함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메모리 수단(16)의 미디어 파일을 읽어 들여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일례로, MP3)하는 음원칩 수단(15) 및 전원 공급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음원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 신호입출력용 6~10핀 박형 패드(14); 전원 및 스피커와 조작키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14)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 및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6~10핀 단자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제어하는 박형 오디오 미디어 카드가 제공된다. 이 경우, 메모리 수단(16)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6~10핀 박형 패드(14)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로 구성한다. 혹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14)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메모리 수단(16)의 미디어 파일을 음원칩 수단(15)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할 때, 메모리 수단(16)의 특정 영역에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유선 오디오 미디어카드를 디바이스에서 탈착 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6~10핀 박형 패드(14)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오디오 레프트(left), 오디오 라이트(right), 제어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성 방식에 따라 ③ 무선 미디어카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4)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4)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6)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6)에 지정된 음원의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근거리무선통신(일례로 NFC)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 및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5)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RF 칩(7)을 포함하는 수단; 외부 단말장치의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NFC)로 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받는 수단; RF 칩(7)의 제어 하에 메모리 수단(6)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관리 테이블과 미디어 파일을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NFC 혹은 BT)가 설치된 외부 단말장치에 무선으로 전송도록 구성한다. 즉, NFC 리더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지만,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전력소모 및 통신속도와 통신거리에서 유리한 블루투쓰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박형 무선 미디어카드가 제공된다. 이 경우, 메모리 수단(3)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메모리 수단(6)의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RF 칩(7)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메모리 수단(6)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관리 테이블과 미디어 파일을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가 설치된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음원을 재생할 때, 메모리 수단(6)의 특정 영역에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무선 미디어카드를 외부 디바이스에서 탈착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 단말장치와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으로 데이터 통신은 NFC 방식에 비해 통신 속도가 빠르고 전력소비도 적은 블루투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구성 방식에 따라 ④ 유·무선 미디어카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8)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8)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11)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1)에 지정된 음원의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12)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근거리무선통신(일례로 NFC)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 및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RF 칩(10)를 포함하는 수단; 외부 단말장치의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로 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받는 수단; RF 칩(10)의 제어 하에 메모리 수단(11)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관리 테이블과 미디어 파일을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가 설치된 외부 단말장치에 무선으로 전송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접촉 및 비접촉 방식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박형 유·무선 미디어카드가 제공된다. 이 경우,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6~10핀 박형 패드(12)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로 구성한다. 혹은,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메모리 수단(11)의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RF 칩(10)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메모리 수단(6)의 특정 영역에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유·무선 미디어카드를 외부 디바이스에서 탈착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무선 미디어카드와 같이, NFC 리더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지만,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전력소모 및 통신속도와 통신거리에서 유리한 블루투쓰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 7 도는 외부 스피커에 스마트폰의 단자를 끼우는 방식과 본 발명의 유선미디어카드 및 무선미디어카드를 외부 스피커에 사용하는 방식의 비교도이다. 스마트폰을 외부 스피커 단자에 끼워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음악 감상을 위해서는 유선 미디어카드(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를 데크에 끼우거나, 무선 미디어카드를(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 리더기 근처에 놓는 것으로 원하는 음악을 감성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6~10핀 커넥터(26)가 설치된 데크(25), 플레이어에서 유선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6~10핀 커넥터(26)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여, 스피커(27)로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는(25), 6~10핀 커넥터(26)를 복수 개 설치하여, 미디어카드를 복수 개 끼워두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미디어카드가 데크에 복수 개 끼워져 있을 경우, 감상을 원하는 미디어카드를 누르면 홀드되어(Push & Hold) 해당 미디어파일을 읽어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다른 방법으로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무선 미디어카드(28)를 읽어들이는 무선리더기(29), 무선리더기(29)에 무선 미디어카드(28)를 올려놓으면, 플레이어에서 무선리더기(29)를 통해 무선 미디어카드(28)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여, 스피커(30)로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8 도는 자동차 카오디오와 가정용 블루투스(BT) 스피커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리모콘 및 데크 형태로 사용하는 개념도이다. 자동차에서는 오디오 단자 혹은 USB 단자, 혹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USB 메모리에 있는 MP3(대표적인 음원 인코딩 형식, MP2, OGG, WMA, WAV 등) 파일을 감상하도록 되어 있다. 미디어카드 플레이어를 유선 혹은 블루투스로 카오디오와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무선 연결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또한, 미디어카드를 끼워 사용하는 미디어카드 데크 혹은 리모컨으로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미디어 카드를 끼워 사용하는 미디어카드 데크 및 체인저의 개념 및 블록도이다. 복수 개의 미디어카드를 사용하는 디자인은 명함 보관함, 명함 스탠드, 명함 홀더, 액자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돌 수 있다. 일례로 액자 형태의 플레이어에는 수십 개의 미디어카드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해당 미디어카드를 눌러 선택하면 재생장치와 (특정 아이돌 미디어카드 수집 액자형 플레이어)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는, 6~10핀 커넥터(100 ~ 130)를 복수 개 설치하는 수단; 제어수단(150)은 읽는 커넥터 선택 수단(140)을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미디어 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선택한 6~10핀 커넥터를 통해 읽어들이는 미디어 파일을 음원 디코딩(170)을 통해 스피커 및 이어폰(200)으로 출력하는 수단; 선택적으로, 음원을 선택하거나 재생 상태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180), 선택한 미디어카드를 표시하는 선택카드 표시수단, 미디어파일을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블루투스(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박형 미디어카드용 다단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미디어 매체를 보편적으로 빨리 확산시키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다수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목에 걸어 사용하는 투명 창(윈도우)을 갖는 신분증 케이스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즉, 케이스 상단에 목에 거는 줄을 연결하는 수단; 목에 거는 줄을 따라 이어폰을 설치하여 케이스 내부의 이어폰 잭과 연결하는 수단; 전면에는 신분증(사원증 혹은 학생증 포함)을 끼우면,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투명 창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미디어카드를 끼우면,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투명 창이 설치되는 수단; 후면 바닥 면에,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6~10핀 커넥터를 설치하는 수단; 유선 미디어카드(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6~10핀 커넥터로 접촉시켜, 유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들여 음원 디코딩 칩으로 재생하는 수단; 신분증 케이스의 목에 거는 줄을 따라 설치된 이어폰으로 감상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신분증이 필요할 때는 신분증이 보이도록 하고, 음악 감상을 할 때는 미디어카드가 보이도록 방향을 바꿔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사진을 보관하는 메모리카드로 발전시킬 수 있다. 즉, 박형 케이스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사진 파일 포함)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을 설치하고,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2)를 메모리 수단과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에 선택한 사진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하는 수단; 저장된 사진들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 전면 혹은 후면에 카드프린터로 인쇄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사진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모리 수단을 6~10핀 단자로 제어하는 박형 사진 저장용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한 사진 저장용 카드로 확장시키면, 스마트폰 NFC 리더기에 사진 저장용 카드를 접촉하면 사진 이미지를 화면으로 바로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디어카드 전·후면에 개인화된 이미지를, 혹은 선택한 음원들만 기록하여 소장할 필요가 있다. 즉, 박형 케이스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을 설치하고,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를 메모리 수단과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에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하는 수단; 저장된 음원들을 상징하는 이미지, 혹은 개인화한 이미지(사진, 사인), 혹은 저장된 음원을 상징화한 이미지와 개인화 이미지를 합성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 전면 혹은 후면에 카드프린터로 상기 이미지를 인쇄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한다.

1 : 케이스 2 : 박형 패드
3 : 메모리 수단 4 : 케이스
5 : 안테나 6 : 메모리 수단
7 : 무선(RF) 칩 8 : 케이스
9 : 안테나 10 : 무선(RF) 칩
11 : 메모리 수단 12 : 박형 패드
13 : 케이스 14 : 박형 패드
15 : 음원 칩 16 : 메모리 수단
17 : 미디어카드 케이스 18 : 박형 패드
19 : 메모리 수단 20 : 이미지 인쇄면
21 : 박형 패드 22 : 메모리 및 RF 칩
23 : 미디어카드 케이스 24 : 무선 안테나
25 : 미디어카드 데크 26 : 6 ~ 10핀 커넥터
27 : 스피커 28 : 무선 미디어카드
29 : 무선 리더기 30 : 스피커
100 : 커넥터 #1 110 : 커넥터 #2
120 : 커넥터 #3 130 : 커넥터 #N
140 : 읽는 커넥터 선택수단 150 : 제어수단
160 : 블루투쓰 170 : 음원 디코딩
180 : 조작 스위치 190 : 선택카드 표시수단
200 : 스피커 및 이어폰 210 : 전력공급수단

Claims (23)

  1.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1)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1)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3)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3)에 지정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메모리 수단(3)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2)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수단을 6~10핀 단자로 제어하는 박형 유선 미디어 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3)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6~10핀 박형 패드(2)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수단을 6~10핀 단자로 제어하는 박형 유선 미디어 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할 때,
    메모리 수단(3)의 특정 영역에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유선 미디어카드를 디바이스에서 탈착 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수단을 6~10핀 단자로 제어하는 박형 유선 미디어 카드
  4.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13)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13)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16)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6)에 지정된 음원의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메모리 수단(16)의 미디어 파일을 읽어 들여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일례로 MP3 형식)하는 음원칩 수단(15) 및
    전원 공급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음원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 신호입출력용 6~10핀 박형 패드(14);
    전원 및 스피커와 조작키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14)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 및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6~10핀 단자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제어하는 박형 오디오 미디어 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6)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6~10핀 박형 패드(14)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6~10핀 단자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제어하는 박형 오디오 미디어 카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14)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메모리 수단(16)의 미디어 파일을 음원칩(15)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할 때,
    메모리 수단(16)의 특정 영역에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유선 오디오 미디어카드를 디바이스에서 탈착 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6~10핀 단자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제어하는 박형 오디오 미디어 카드
  7. 제 4 항에 있어서
    6~10핀 박형 패드(14)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오디오 레프트(left), 오디오 라이트(right), 제어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6~10핀 단자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제어하는 박형 오디오 미디어 카드
  8.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4)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4)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6)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6)에 지정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근거리무선통신(일례로 NFC)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 및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5)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RF 칩(7)를 포함하는 수단;
    외부 단말장치의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로 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받는 수단;
    RF 칩(7)의 제어 하에 메모리 수단(6)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관리 테이블과 미디어 파일을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가 설치된 외부 단말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무선 미디어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3)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메모리 수단(6)의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RF 칩(7)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무선 미디어카드
  10. 제 8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6)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관리 테이블과 미디어 파일을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가 설치된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음원을 재생할 때,
    메모리 수단(6)의 특정 영역에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무선 미디어카드를 외부 디바이스에서 탈착 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 하는 박형 무선 미디어카드
  11. 제 8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장치와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으로
    데이터 통신은 블루투스 방식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무선 미디어카드
  12. 사용자가 음원을 물리적으로 소장할 수 있도록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8)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8)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11)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1)에 지정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12)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근거리무선통신(일례로 NFC)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 및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RF 칩(10)를 포함하는 수단;
    외부 단말장치의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로 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받는 수단;
    RF 칩(10)의 제어 하에 메모리 수단(11)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관리 테이블과 미디어 파일을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가 설치된 외부 단말장치에 무선으로 전송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무선 미디어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6~10핀 박형 패드(12)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무선 미디어카드
  14. 제 12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낸드(NAND) 메모리를 적용하여 메모리 수단(11)의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RF 칩(10)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무선 미디어카드
  15. 제 12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6)의 특정 영역에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유·무선 미디어카드를 외부 디바이스에서 탈착 후, 다시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 하는 박형 유·무선 미디어카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장치와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으로
    데이터 통신은 블루투스 방식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무선 미디어카드
  17.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6~10핀 커넥터(26)가 설치된 데크(25)
    플레이어에서 유선 미디어카드(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6~10핀 커넥터(26)로 접촉시켜, 유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여,
    스피커(27)로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선 미디어 카드용 플레이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유선 미디어카드(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를 끼우는 데크에는(25)
    6~10핀 커넥터(26)를 복수 개 설치하여
    유선 미디어카드를 복수 개 끼워 사용자가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선 미디어 카드용 플레이어 장치
  19.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무선 미디어카드(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를 읽어들이는 무선리더기(29)
    무선리더기(29)에 무선 미디어카드(28)를 올려 놓으면
    플레이어에서 무선리더기(29)를 통해 무선 미디어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여,
    스피커(30)로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무선 미디어 카드용 플레이어 장치
  20.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선 미디어카드(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를 끼우는 데크에는
    6~10핀 커넥터(100 ~ 130)를 복수 개 설치하는 수단;
    제어수단(150)은 읽는 커넥터 선택 수단(140)을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유선 미디어 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선택한 6~10핀 커넥터를 통해 읽어들이는 미디어 파일을 음원 디코딩(170)을 통해 스피커 및 이어폰(200)으로 출력하는 수단;
    선택적으로, 음원 재생 상태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180), 선택한 미디어카드를 표시하는 선택카드 표시수단, 미디어파일을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블루투쓰(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미디어카드용 다단 플레이어 장치
  21. 목에 걸어 사용하는 신분증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상단에 목에 거는 줄을 연결하는 수단;
    목에 거는 줄을 따라 이어폰을 설치하여 케이스 내부의 이어폰 잭과 연결하는 수단;
    전면에는 신분증(사원증 혹은 학생증 포함)을 끼우면,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투명 창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미디어카드를 끼우면,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투명 창이 설치되는 수단;
    후면 바닥 면에,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6~10핀 커넥터를 설치하는 수단;
    유선 미디어카드(유·무선 미디어카드 포함)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6~10핀 커넥터로 접촉시켜, 유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들여 음원 디코딩 칩으로 재생하는 수단;
    신분증 케이스의 목에 거는 줄을 따라 설치된 이어폰으로 감상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케이스 겸용 박형 유선 미디어 카드용 플레이어 장치
  22. 사진을 보관하는 메모리카드에 있어서,
    박형 케이스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을 설치하고,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를 메모리 수단과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에 선택한 사진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하는 수단;
    저장된 사진들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 전면 혹은 후면에 카드프린터로 인쇄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사진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수단을 6~10핀 단자로 제어하는 박형 사진 저장용 카드
  23. 사용자가 음원을 개인화하여 소장할 수 있도록
    박형 케이스에 파일 관리 테이블(FAT)과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메모리 수단을 설치하고,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를 메모리 수단과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에 선택한 음원 파일과 파일 관리 테이블을 기록하는 수단;
    저장된 음원들을 상징하는 이미지, 혹은 개인화한 이미지(사진, 사인), 혹은 저장된 음원을 상징화한 이미지와 개인화 이미지를 합성하는 수단;
    박형 케이스 전면 혹은 후면에 카드프린터로 상기 이미지를 인쇄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6~10핀 박형 패드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수단;
    외부 디바이스에서 박형 패드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수단을 6~10핀 단자로 제어하는 박형 미디어 카드
KR1020170049402A 2017-04-17 2017-04-17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KR20180116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402A KR20180116714A (ko) 2017-04-17 2017-04-17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402A KR20180116714A (ko) 2017-04-17 2017-04-17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14A true KR20180116714A (ko) 2018-10-25

Family

ID=6413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402A KR20180116714A (ko) 2017-04-17 2017-04-17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7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6135B (zh) 具有增强的交互的媒体传送***
EP2022178B1 (en) Data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320161B1 (ko) 전자출판물 시스템에 적합한 휴대용단말기
JP2000076399A (ja) 非接触icメディア及びそれを応用したシステム
KR20190008502A (ko)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US11625458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original music from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use
CN204425615U (zh) 一种网络音箱
JP7167234B2 (ja) 音源再生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音源再生方法
KR20220086455A (ko) 콘텐츠 재생 방법
KR20180116714A (ko)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KR102264309B1 (ko)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시스템
JP2001014433A (ja) 非接触icメディア及びそれを応用したシステム
CN201956070U (zh) 一种带有非接触ic读卡器的mp3播放器
KR20190112374A (ko)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JP4944043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データおよび/または再生データと関連するデータを遠隔装置に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3091701A (ja) 非接触リーダライタおよび非接触icメディア
CN2563647Y (zh) 带微型光盘驱动器的电子图书阅读机
KR100939789B1 (ko) 음악재생 칩 카드
KR200374102Y1 (ko)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형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CN201234352Y (zh) 一种提供个性化服务的接口设备
KR200369642Y1 (ko) 데이터 저장 카드,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데이터저장/재생 시스템
US20060002245A1 (en) Content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ent storage system
KR200363484Y1 (ko) 디지털 콘텐츠 자판기
JP3084583U (ja) 保存メディアマルチ伝送交換装置
KR20050088501A (ko) 뮤직박스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