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193A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193A
KR20180115193A KR1020170047608A KR20170047608A KR20180115193A KR 20180115193 A KR20180115193 A KR 20180115193A KR 1020170047608 A KR1020170047608 A KR 1020170047608A KR 20170047608 A KR20170047608 A KR 20170047608A KR 20180115193 A KR20180115193 A KR 20180115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dth direction
outer member
pi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330B1 (ko
Inventor
박준언
안상일
Original Assignee
(주)케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미텍 filed Critical (주)케미텍
Priority to KR102017004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330B1/ko
Priority to PCT/KR2018/004243 priority patent/WO2018190633A1/ko
Priority to US16/604,572 priority patent/US11112448B2/en
Priority to CN201880028418.XA priority patent/CN110573888B/zh
Publication of KR2018011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193A/ko
Priority to US17/351,184 priority patent/US115258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조립이 용이하여 접촉불량이 되는 것이 방지되고 커넥터 간의 견고하게 조립되어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며, 커넥터의 조립과 제작이 용이한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A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간의 조립이 용이하며 커넥터가 견고하게 제작되어 조립이 용이한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는 접속 부품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컨택트핀과 접속 부품에 구비되는 전기적 단자가 가압될 필요가 있다. 가압하는 힘이 강하면 전기적인 접촉성은 높아지지만 마찰력도 커지므로 커넥터에 접속 부품을 삽입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커넥터에 다수의 핀이 설치된 경우나 다수의 커넥터에 대하여 접속 부품을 동시에 삽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접속 부품을 삽입하기 위하여 큰 힘을 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속 부품을 삽입할 때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접속 부품을 삽입한 후에 컨택트핀을 접속 부품에 가압하는 이른바 제로 인서션 포스(Zero Insertion Force) 커넥터(ZIF)가 제안되어 있다.
미소한 반도체를 시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시험 장치에서는 작동 상 높은 신뢰성이 필요하게 된다. 반도체를 고속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시험하기 위해서는 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커넥터가 접속 부품에 확실하게 접촉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5-5선에 따른 제1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1의 15-15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9는 도 11의 15-15선에 따른 완전 감합 상태의 도 8와 동일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1 커넥터(1)는 요부(凹,4)를 갖는 직방체의 하우징(2)과, 요부(4) 내에 배치되는 콘택트 조립체(6)와, 상기 콘택트 조립체(6)를 구동하는 구동축(8) 및 상기 구동축(8)에 연결된 레버(10)와, 이들을 요부(4) 내에 보호 유지하는 커버 부재(12)를 갖는다. 하우징(2)의 저벽(14, 도 5)에는 하우징(2)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뻗는 2개의 사각형 개구(16)가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16)의 내측 가장자리는 대향하여 내측에 돌출한 플런지(40:도 5, 도6)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6)의 양단부에는 하우징(2) 높이의 약 1/2 높이를 갖는 지지벽(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지지벽(17)을 연결하는 분리벽(18)이 개구(16, 16) 사이의 저벽(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조립체(6)는 형상이 다른 2종류의 콘택트(28, 30)가 각각 수지로 형성된 절연성 베이스 부재(26)에, 인서트 몰드에 의해 보호 유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콘택트(28, 30)는 각각의 본체(34)와 본체(34)에서 하방으로 뻗어 기판(미도시)에 취부되는 다인(dyne)(32)을 갖는다. 본체(34)는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26)는 하우징(2)의 개구(16)에 압입에 의하여 취부되어진다.
콘택트 조립체(6)의 각 콘택트(28, 30)의 만곡한 본체(34)의 선단 부분은 내측으로 수납 결속하고, 나아가 직선으로 뻗는 접촉부(36)를 갖는다. 이 접촉부(36)의 선단은 더욱 내측으로 절곡된 계지 단부(38)를 갖는다. 콘택트 조립체(6)는 베이스 부재(26)를 개구(16)에 배치함으로써, 하우징(2)에 취부된다.
구동축(8)은 스텐레스강 등의 금속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두 쌍의 콘택트 열에 대응하여 2개가 있으며, 콘택트(28,30)의 열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 구동축(8) 상에 인서트 성형하여 형성된 본체(7)는 단면 형상이 원추형 캠으로 이루어져 있다.
커버 부재(12)는 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콘택트(28, 30)의 열에 대응하여 커버 부재(12)의 긴 쪽 방향으로 뻗는 2열의 유지부(60, 60)를 주면(62) 상에 갖는다. 각 유지부(60)는 주면(62)에서 돌출하여 커버 부재(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양측에는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듯이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상하 방향으로 뻗는 슬롯(64)이 유지부(60)의 긴 쪽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들 슬롯(64)에는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가 면하여, 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부(60)의 내측에는 격리벽(66)에 의해 중앙이 분할된 공간(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68)의 상부, 즉 유지부(60)의 평탄면(61) 근방에 계지 요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60)의 양 단부에는 커버 부재(12)의 폭 중앙에 구멍(72)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구멍(72)에 인접하여 커버부재(12)의 폭 방향 양측에는 가늘고 긴 사각형의 개구(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74)에는 전술한 캠(44)이 배치된다. 또한 개구(74) 외측의 커버 부재(12)의 양단 근방에는 커버 부재(12)의 폭 방향에 걸친 개구(80)가 형성되고, 이 개구(80)에 열쇠형 부재(48)가 배치된다. 커버 부재(12)의 양단은 연결부(82)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의 연결부(82)의 단벽(84)에는 레버(10)에 연결되는 구동축(8)의 단부를 수용하는 만곡 요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2)를 하우징(2)에 취부하기 위해서는 하우징(2)의 요부(4)에 커버 부재(12)를 배치하며, 볼트(13)를 구멍(72)에 삽통하고, 나아가 하우징(2)의 너트(23)에 나사 결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구동축(8)이 하우징 내에서 회동 가능토록 지지된다. 또한 레버(10)는 하우징(2)의 절결부(5)에서 외측에 돌출하고, 하우징(2)의 외부에서 레버(1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2 커넥터(100)는 가늘고 긴 사각형의 하우징(102)과 콘택트(104)를 갖는다. 제1 커넥터(1)과 조합하는 감합부(106)의 양 단부에는 전술한 연결부(82)와 상호 보완적인 형상의 단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부(108)의 외향 단면(110)에는 하우징(102)의 긴 쪽 방향으로 뻗는 돌기(112)가 전술한 2개의 구동축(8)에 대응하여 천설 되어 있다. 제2 커넥터(100)의 후부, 콘택트(104)의 다인(114)이 돌출되어 있다. 감합부(106)에는 유지부(60)를 수용하는 감합 요부(116)가 유지부(60)에 대응하여 2줄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100)와 제1 커넥터(1)의 완전 감합 직전의 상태에서 콘택트(28,30)는 본체(7)의 장경(長徑)이 종방향에 있기 때문에 가장 내측으로 변위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도 슬롯(64)의 외측에 부세되지 않고 슬롯(64)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한편, 삽입되는 커넥터(100) 단자의 선단 접촉부(126)는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와 근소하게 접촉하여 접압이 낮은 상태에 있다. 베이스 부재(27)는 베이스 부재(27)의 양측 하단에 베이스 부재(27)의 긴 쪽 방향으로 뻗는 리브(27a)를 갖고, 상기 리브(27a)가 하우징(2)의 개구(19) 단부(19a)에 하방으로부터 당접하여 취부되어 있다.
레버(10)를 약 90°회동시키면 구동축(8)과 연동하여 캠(44)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커넥터(100)의 감합면(122)과 당접하고 있던 캠(44)의 정지부(44a)가 감합면(122)으로부터 떨어져, 후미 홈(20) 내에서 횡방향으로 된다. 즉 제2 커넥터(100)는 완전 감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동축(8)의 본체(7)가 약 90°회동하면 본체(7)의 장경이 횡방향이 되고, 콘택트(28, 30)의 본체(34)를 외측으로 압압한다. 이에 따라 콘택트(28, 30)의 접촉부(36)도 외측으로 변위하고, 커넥터(100)의 단자(104) 방향으로 부세되어 단자(104)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단자(104)와 콘택트(28, 30)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 간의 조립상태는 접촉하는 커넥터끼리의 마찰 계합력에 의존하여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가 받는 외부 힘에 따라서는 콘택트가 접촉불량이 되거나, 혹은 커넥터 간의 조립 상태가 분리되는 염려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콘택트가 많아 질수록 커넥터 조립에 필요한 삽입력이 커지고 조립하는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제10-2002-0042494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커넥터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접촉불량이 되는 것이 방지되고 커넥터 간의 견고하게 조립되어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며, 커넥터의 조립과 제작이 용이한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커넥터에는 제2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에 제2 커넥터의 커넥터삽입부가 삽입되도록 단면이 직사각형인 오목한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커넥터체결공이 형성되어 제1커넥터체결공에 삽입된 설치볼트에 의하여 테스트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부에는 제2 커넥터를 향하여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핀모듈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핀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핀을 폭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삽입홈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핀모듈을 이루는 핀은 돌출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노출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커넥터에는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커넥터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삽입부에는 제1 커넥터를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커넥터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오목부의 폭 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핀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삽입부가 삽입홈부에 삽입되면서 돌출부가 커넥터오목부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커넥터의 핀과 제2 커넥터의 핀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삽입홈부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본체내면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측부내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내면 사이의 폭 방향 거리와 측부내면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는 삽입홈부의 개구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삽입부를 이루는 폭 방향을 향하는 외면인 삽입제1면과 길이 방향을 향하는 외면인 삽입제2면은 커넥터 삽입부의 단부로 갈수록 삽입제1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삽입제2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커넥터체결공에 설치볼트가 삽입되고 설치볼트가 테스트헤드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어 제1 커넥터가 테스트헤드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볼트는 설치볼트머리부와, 상기 설치볼트머리부로부터 턱면을 형성하며 연장된 볼트안내부와, 상기 볼트안내부로부터 볼트턱부를 하면서 연장되어 테스트헤드의 체결부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볼트의 볼트체결부가 테스트헤드에 나사 체결되면 볼트턱부가 테스트헤드를 가압하고, 제1 커넥터는 설치볼트머리부와 테스트헤드 사이에서 측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볼트안내부가 제1커넥터체결공에 위치하며, 볼트안내부와 제1커넥터체결공 사이에는 측방으로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커넥터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2개의 외측부재와, 폭 방향으로 상기 외측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폭 방향 양측으로 중간부재와 외측부재 사이에서 각각 2개씩 구비되는 4개의 핀모듈과,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외측부재에 삽입되어 중간부재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로 중간부재와 외측부재 사이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으로 단부가 돌출된 2개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돌출된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외측부재본체부와, 상기 외측부재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측부와, 상기 외측부재측부의 상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돌기부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외측부재는 외측부재돌기부의 단부가 서로 접하여 결합되며, 상기 본체내면은 외측부재본체부의 상단부에 경사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부내면은 외측부재돌기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내면의 하부로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삽입홈의 하부로 이격되어 핀모듈이 삽입되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부재핀부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측부에는 폭 방향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돌기가 구비되며, 외측부재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하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외측부재결합공이 형성되며, 외측부재결합공은 외측부재돌기부와 외측부재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외측부재돌기부와 외측부재돌기 사이의 외측부재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부재축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측부에는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며 외측부재본체부보다 하향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이 형성된 외측부재하부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중간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중간부재본체부와, 상기 중간부재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부재측부는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돌기가 구비되고, 상단은 중간부재본체부의 상단보다 상향 돌출되며, 상기 중간부재본체부 폭 방향 양측에 상부로부터 하향할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부재제1면과, 상기 중간부재제1면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부재핀부삽입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간부재핀부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재측부는 길이 방향 내측에 두께 감소하여 길이 방향으로 내향하는 턱면과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는 PCB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PCB안착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재측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며 외측부재축홈과 마주하는 중간부재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재축홈은 중간부재측부돌기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어 중간부재측부돌기까지 연장되며, 상기 중간부재측부의 폭방향 양측면에는 외측부재돌기가 삽입되는 외측부재돌기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돌기홈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외측부재측부에 형성된 외측부재결합공이 형성된 위치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중간부재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체결공은 중간부재측부돌기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외측부재측부에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며 외측부재핀부삽입홈과 단부가 연결된 측부오목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중간부재측부에는 중간부재핀부삽입홈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오목하게 형성되며 중간부재핀부삽입홈과 단부가 연결된 중간부재오목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부재는 하부에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오목부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형성된 상부부재본체와, 상기 상부부재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부재본체의 폭방향 양측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부재삽입홈에 삽입되는 상부부재본체돌기 가 구비되며, 상부부재오목부로부터 상부부재돌출부까지 연장되며 상부부재돌출부의 폭방향으로 노출되는 상부부재핀홀이 형성되며, 상부부재핀홀은 4열을 이루어 형성되어 각 상부부재오목부와 상부부재돌출부에 2열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핀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의 핀모듈본체와, 상기 핀모듈본체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핀모듈지지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하 방향으로 핀모듈본체와 핀모듈지지부를 관통하여 상단이 핀모듈지지부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단이 핀모듈본체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모듈본체의 폭 방향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핀모듈결합홈과 핀모듈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핀모듈의 핀모듈본체에 구비되는 핀모듈결합홈과 핀모듈결합돌기에 각각 삽입 결합되며, 상기 핀모듈본체의 폭 방향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오목한 핀모듈본체홈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핀부삽입홈에는 폭 방향 내향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핀부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부재핀부삽입홈에는 폭 방향으로 외측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중간부재핀부돌기부가 구비되어, 핀모듈이 외측부재에 결합될 때 핀모듈본체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에 삽입되고 핀부삽입돌기는 핀모듈본체홈에 삽입되며, 핀모듈이 중간부재에 결합될 때 핀모듈본체는 중간부재핀부삽입홈에 삽입되고 중간부재핀부돌기부는 핀모듈본체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커넥터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접촉불량이 되는 것이 방지되고 커넥터 간의 견고하게 조립되어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며, 커넥터의 조립과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5-5선에 따른 제1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1의 15-15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1의 15-15선에 따른 완전 감합 상태의 도 8와 동일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중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핀모률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상부부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상부부재, 구동축 및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에 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 중간부재 및 상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좌측 단부 일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가로 방향 단면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26은 제1 커넥터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중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핀모률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상부부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상부부재, 구동축 및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에 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 중간부재 및 상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좌측 단부 일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가로 방향 단면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26은 제1 커넥터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을 상부로, 제1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을 하부로 하여 기재한다. 도 11에서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외측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내향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로 이루어진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100)는 2개의 외측부재(110)와, 중간부재(120), 상부부재(130)와, 4개의 핀모듈(140)과, PCB(150)와, 구동축(160)과, 핸들(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상부에 삽입홈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부(101)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부(101)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본체내면(111a)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측부내면(115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내면(11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와 측부내면(115a)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는 삽입홈부(101)의 개구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부(101)에는 상향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110)는 상기 제1 커넥터(100)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외측부재본체부(111)와,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측부(113)와,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의 상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돌기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의 마주하는 면에는 상단부에서 경사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내면(111a)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의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본체내면(111a)의 하부로 폭방향 내향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삽입홈(111b)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의 마주하는 면에는상기 상부부재삽입홈(111b)의 하부로 이격되어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삽입홈(111b)에 폭 방향 내향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상부부재삽입돌기부(111d)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에 폭 방향 내향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상기 핀부삽입돌기(111e)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외측부재측부돌기(113c)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폭 방향 내향 오목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부재축홈(113a)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축홈(113a)은 외측부재측부돌기(113c)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어 외측부재측부돌기(113c)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외측부재측부돌기(113c)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며 폭 방향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돌기(113e)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상기 외측부재돌기(113e)를 사이에 두고 상하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외측부재결합공(115b)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결합공(115b)은 외측부재돌기부(115)와 외측부재측부(113)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며 외측부재본체부(111)보다 하향 연장된 외측부재하부돌기(113b)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하부돌기(113b)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113f)이 형성된다. 상기 PCB체결공(113f)은 상하로 하나 이상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오목하게 측부오목지지면(113g)이 형성된다. 상기 측부오목지지면(113g)은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과 단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120)는 폭 방향으로 외측부재(1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중간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중간부재본체부(121)와, 상기 중간부재본체부(1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부재본체부(121)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부로부터 하향할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부재제1면(121c)과, 상기 중간부재제1면(121c)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을 가진다. 상기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에는 폭 방향으로 외측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중간재핀부돌기부(121b)가 구비된다.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의 상단은 중간부재본체부(121)의 상단보다 상향 돌출된다.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에는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돌기(123h)가 구비된다.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의 폭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며 외측부재축홈(113a)과 마주하는 중간부재축홈(123a)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축홈(123a)은 중간부재측부돌기(123h)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어 중간부재측부돌기(123h)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측부돌기(123h)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기 제1커넥터체결공(123g)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의 폭방향 양측면에는 외측부재돌기(113e)가 삽입되는 외측부재돌기홈(123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부재돌기홈(123b)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외측부재측부(113)에 형성된 외측부재결합공(115b)이 형성된 위치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중간부재결합공(123c)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에는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오목하게 형성되며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과 단부가 연결된 중간부재오목지지면(123d)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측부(123)는 길이 방향 내측에 두께 감소하여 길이 방향으로 내향하는 턱면과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는 PCB안착부(123e)를 가진다. 상기 PCB안착부(123e)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123f)이 형성된다. 상기 PCB체결공(123f)은 상기 외측부재(110)의 PCB체결공(113f)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모듈(140)은 상기 중간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서 각각 2개씩 구비된다.
상기 핀모듈(1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의 핀모듈본체(141)와, 상기 핀모듈본체(141)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핀모듈지지부(143)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하 방향으로 핀모듈본체(144)와 핀모듈지지부(143) 관통하여 상단이 핀모듈지지부(143)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단이 핀모듈본체(141)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핀(142)으로 이루어진다.
이웃하는 핀모듈(140)과 접하는 핀모듈본체(141)의 폭 방향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핀모듈결합홈(147)과 핀모듈결합돌기(145)가 구비된다. 상기 핀모듈결합홈(147)과 핀모듈결합돌기(145)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핀모듈결합홈(147)에 이웃하는 핀모듈(140)의 핀모듈결합돌기(145)가 삽입되고, 상기 핀모듈결합돌기(145)에 이웃하는 핀모듈(140)의 핀모듈결합돌기(145)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핀모듈본체(141)의 상기 핀모듈결합홈(147)과 핀모듈결합돌기(145)가 형성된 폭 방향 반대쪽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오목한 핀모듈본체홈(141a)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핀모듈본체(141)의 하부에는 제1커낵터핀(142)를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하향 돌출된 핀모듈돌기부(149)가 구비된다. 상기 핀모듈돌기부(149)의 하단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130)는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외측부재(110)에 삽입되어 중간부재(120)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부재(1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의 상부부재본체(131)와, 상기 상부부재본체(131)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돌출부(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부재본체(131)에는 하부에 하향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오목부(131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오목부(131a)는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오목부(131a)의 폭 방향 양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폭 방향 양측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오목부(131a)로부터 상부부재돌출부(133)까지 연장되며 상부부재돌출부(133)의 폭방향으로 노출되는 상부부재핀홀(135)이 형성된다. 상부부재핀홀(135)은 4열을 이루어 형성되어 각 상부부재오목부(131a)와 상부부재돌출부(133)에 2열씩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본체(131)의 폭방향 양측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부재삽입홈(111b)에 삽입되는 상부부재본체돌기(131b)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부재본체돌기(131b)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오목한 상부부재돌기홈(131c)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60)은 상기 상부부재(130)의 하부로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으로 단부가 돌출된 2개로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160)의 단면은 타원이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핸들(170)은 상기 구동축(160)의 돌출된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핸들(170)은 구동축(16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핸들과 상기 제1핸들에서 상기 구동축(160)과 제1핸들이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구동축(16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핸들로 이루어진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0)를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먼저 상기 핀모듈(140)이 외측부재(110)에 결합된다. 상기 핀모듈(140)은 상기 핀모듈본체(141)가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에 삽입되며 상기 핀부삽입돌기(111e)는 핀모듈본체홈(141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핀부삽입돌기(111e) 및 핀모듈본체홈(141a)으로 인하여 핀모듈(140)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핀부삽입돌기(111e)는 폭 방향 내향할수록 길이 방향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핀모듈본체홈(141a)의 폭 방향 측면에 핀모듈지지부(143)이 멀어질수록 폭 방향 측면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부재(110)에 핀모듈(140)이 용이하게 조립된다.
상기 외측부재(110)에 결합된 핀모듈(140)에 하나의 핀모듈(140)이 결합된다. 상기 핀모듈(140)의 핀모듈결합홈(147)에 이웃하는 핀모듈(140)의 핀모듈결합돌기(145)가 삽입되고, 상기 핀모듈결합돌기(145)에 이웃하는 핀모듈(140)의 핀모듈결합돌기(145)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60)은 상기 외측부재(110)의 축홈(113a)에 삽입되며, 상기 핀모듈(14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160)은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핀(142) 사이에 회전하여 핀(142)을 폭 방향 외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구동축(160)의 상기 외측부재(1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핸들(170)이 구비된다.
상기 핀모듈(140)이 결합된 외측부재(110)와 중간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핀모듈(140)은 핀모듈본체(141)가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에 삽입되며 상기 중간부재핀부돌기부(121b)는 핀모듈본체홈(141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중간부재핀부돌기부(121b) 및 핀모듈본체홈(141a)로 인하여 핀모듈(140)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핀부돌기부(121b)는 폭 방향으로 외측부재(110)를 할수록 길이 방향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핀모듈본체홈(141a)의 폭 방향 측면에 핀모듈지지부(143)이 멀어질수록 폭 방향 측면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부재(110)에 핀모듈(140)이 용이하게 조립된다.
상기 외측부재(110)와 중간부재(120) 사이에 PCB(15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PCB(150)은 전기적 단자가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자기판이다. 상기 PCB(150)에 형성된 PCB공과, 외측부재(110)의 PCB체결공(113f)과, 중간부재(120)의 PCB체결공(133f)에 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외측부재(110)의 외측부재측부(113)와 중간부재(120)의 중간부재측부(123)가 접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재축홈(113a)의 단부와 중간부재축홈(123a)가 접하여 하나의 축공이 형성되며 그 축공에 상기 구동축(160)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130)는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외측부재(110)에 삽입되어 중간부재(120)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부재(130)는 상부부재본체돌기(131b)가 상기 외측부재(100)의 상부부재삽입홈(111b)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부재삽입돌기부(111d)는 상부부재돌기홈(131c)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부재삽입돌기부(111d) 및 상부부재돌기홈(131c)으로 인하여 상부부재(13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부부재(130)의 상부부재오목부(131a)에 2개의 핀모듈(140)이 각각 위치되어 상기 상부부재핀홀(135)에 제1커넥터핀(142)이 삽입된다. 상기 제1커넥터핀(142)은 상부부재돌기(133)의 폭방향 측면에 노출되며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열된다.
상기 중간부재(120)의 반대쪽 측면에도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위 내용과 동일하게 2개의 핀모듈(140)과, 핀모듈(140)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축(160)과, 구동축(160)에 구비되는 핸들(170)과 외측부재(110)가 결합된다. 상기 중간부재(120)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외측부재(110)는 외측부재돌기부(115)의 단부가 서로 접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상부에 삽입홈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부(101)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외측부재본체부(111)의 본체내면(111a)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외측부재돌기부(115)의 측부내면(115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부(101)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내면(11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와 측부내면(115a)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는 삽입홈부(101)의 개구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00)는 커넥터본체(210)와, 복수의 핀(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본체부(210)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커넥터본체부와, 상기 커넥터본체부의 하부로부터 하향하는 커넥터턱면(213)을 형성하여 하향 연장된 커넥터삽입부(2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본체(210)에는 하부에 하향 개구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커넥터오목부(210a)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는 폭방향을 이격되어 2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삽입부(211)를 이루는 폭 방향을 향하는 외면인 삽입제1면(211a)과 길이 방향을 향하는 외면인 삽입제2면(211b)은 커넥터 삽입부(211)의 단부로 갈수록 삽입제1면(211a)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삽입제2면(211b)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삽입부(211)의 단부에 둘레를 따라 하향 경사진 삽입경사면(211c)이 형성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본체(210)에는 하부가 커넥터오목부(210a)에 연통되고 상향 연장되어 상부로 개구된 커넥터본체핀홀(217)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본체핀홀(217)은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 양측면에 위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본체핀홀(217)은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본체핀홀(217)의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확장된 핀홀확장부(219)를 가진다. 상기 핀홀확장부(219)는 커넥터오목부(210a)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 양측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핀(220)은 커넥터본체핀홀(217)에 삽입되어 하부가 커넥터본체핀홀(217)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핀(220)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핀(220)은 상하로 연장된 막대형상의 제1핀부(221)와, 상기 제1핀부(221)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단부가 핀홀확장부(219)의 확장된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제2핀부(223)와, 상기 제2핀부(223)의 단부으로부터 절곡되어 단부가 제2핀부(223)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제3핀부(225)와, 상기 제3핀부(225)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단부가 커넥터본체부(210)를 향하도록 경사진 상기 제4핀부(227)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220)에서 절곡된 부분은 만곡지게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본체핀홀(217)에서 상기 제1핀부(221)는 커넥터오목부(210a)에 위치하여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핀부(223)와 제3핀부(225) 사이의 절곡된 부분은 핀홀확장부(219)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제3핀부(225)와 제4핀부(227) 사이의 절곡된 부분 및 제4핀부(227)는 상기 커넥터본체부(210)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3핀부(225)와 제4핀부(227) 사이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제2핀부(223)와 제3핀부(225) 사이의 절곡된 부분보다 상기 커넥터본체부(210)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커넥터(200)의 상기 커넥터삽입부(211)가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삽입홈부(10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상부부재돌출부(133)는 커넥터오목부(210a)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삽입부(211)의 단부는 외측부재(110)와 상부부재(130) 사이에 위치되어 조립된다.
상기 커넥터삽입부(211)가 삽입홈부(101)에 삽입될 때 커넥터삽입부(211)의 경사진 삽입제1면(211a)과 삽입제2면(211b)으로 인하여 제2 커넥터(100)가 제1 커넥터(100)에 용이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삽입부(211)의 삽입경사면(211c)와, 삽입홈부(101)의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면 조립되는 위치가 용이하게 조정된다.
상기 제1 커넥터(100)의 핀(142)과 제2 커넥터(200)의 핀(220)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100)에 설치볼트(B)에 의하여 테스트헤드(A)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제1커넥터체결공(123g)에 설치볼트(B)가 삽입되고 설치볼트(B)가 테스트헤드(A)에 형성된 체결부(A1)에 체결된다.
상기 설치볼트(B)는 설치볼트머리부(B1)와, 상기 설치볼트머리부(B1)로부터 턱면을 형성하며 연장된 볼트안내부(B2)와, 상기 볼트안내부(B2)로부터 볼트턱부(B4)를 하면서 연장되어 테스트헤드(A)의 체결부(A1)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체결부(B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볼트(B)의 볼트체결부(B3)가 테스트헤드(A)에 나사 체결되면 볼트턱부(B4)가 테스트헤드(A)를 가압하여 설치볼트머리부(B1)와 테스트헤드(A)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커넥터(100)는 테스트헤드(A)에 조립된다.
상기 제1 커넥터(100)는 설치볼트머리부(B1)와 테스트헤드(A) 사이에서 측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볼트안내부(B2)와 제1커넥터체결공(123g) 사이에는 측방으로 틈새(t)가 형성된다. 틈새(t)로 인하여 제2 커넥터(200)가 제 1 커넥터(100)에 삽입될 때 상기 커넥터삽입부(211)와 삽입홈부(101)의 위치가 어긋나도 제1 커넥터(100)가 이동되면서 자동 정렬되어 용이하게 조립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커넥터 101 : 삽입홈부
110 : 외측부재 120 : 중간부재
130 : 상부부재 140 : 핀모듈
150 : PCB 160 : 구동축
170 : 핸들
200 : 제2커넥터 210 : 커넥터본체
220 : 핀

Claims (9)

  1.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커넥터(100)에는 제2 커넥터(200)를 향하는 방향에 제2 커넥터(200)의 커넥터삽입부(211)가 삽입되도록 단면이 직사각형인 오목한 삽입홈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10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커넥터체결공(123g)이 형성되어 제1커넥터체결공(123g)에 삽입된 설치볼트(B)에 의하여 테스트헤드(A)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부(101)에는 제2 커넥터(200)를 향하여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142)으로 이루어지는 핀모듈(140)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핀(142)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핀(142)을 폭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구동축(16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삽입홈부(10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핀모듈(140)을 이루는 핀(142)은 돌출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노출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커넥터(200)에는 상기 삽입홈부(101)에 삽입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커넥터삽입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삽입부(211)에는 제1 커넥터(100)를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커넥터오목부(210a)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핀(220)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삽입부(211)가 삽입홈부(101)에 삽입되면서 돌출부가 커넥터오목부(210a)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커넥터(100)의 핀(142)과 제2 커넥터(200)의 핀(220)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101)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본체내면(111a)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측부내면(115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내면(111a) 사이의 폭 방향 거리와 측부내면(115a)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는 삽입홈부(101)의 개구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삽입부(211)를 이루는 폭 방향을 향하는 외면인 삽입제1면(211a)과 길이 방향을 향하는 외면인 삽입제2면(211b)은 커넥터 삽입부(211)의 단부로 갈수록 삽입제1면(211a)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삽입제2면(211b)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체결공(123g)에 설치볼트(B)가 삽입되고 설치볼트(B)가 테스트헤드(A)에 형성된 체결부(A1)에 체결되어 제1 커넥터(100)가 테스트헤드(A)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볼트(B)는 설치볼트머리부(B1)와, 상기 설치볼트머리부(B1)로부터 턱면을 형성하며 연장된 볼트안내부(B2)와, 상기 볼트안내부(B2)로부터 볼트턱부(B4)를 하면서 연장되어 테스트헤드(A)의 체결부(A1)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체결부(B3)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볼트(B)의 볼트체결부(B3)가 테스트헤드(A)에 나사 체결되면 볼트턱부(B4)가 테스트헤드(A)를 가압하고, 제1 커넥터(100)는 설치볼트머리부(B1)와 테스트헤드(A) 사이에서 측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볼트안내부(B2)가 제1커넥터체결공(123g)에 위치하며, 볼트안내부(B2)와 제1커넥터체결공(123g) 사이에는 측방으로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00)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2개의 외측부재(110)와, 폭 방향으로 상기 외측부재(11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재(120)와, 상기 중간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 (110)사이에서 각각 2개씩 구비되는 4개의 핀모듈(140)과,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외측부재(110)에 삽입되어 중간부재(12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부재(130)와, 상기 상부부재(130)의 하부로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으로 단부가 돌출된 2개의 구동축(160)과, 상기 구동축(160)의 돌출된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1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부재(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외측부재본체부(111)와,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측부(113)와,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의 상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돌기부(115)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외측부재(110)는 외측부재돌기부(115)의 단부가 서로 접하여 결합되며,
    상기 본체내면(111a)은 외측부재본체부(111)의 상단부에 경사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부내면(115a)은 외측부재돌기부(115)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에는 상기 본체내면(111a)의 하부로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삽입홈(111b)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삽입홈(111b)의 하부로 이격되어 핀모듈(140)이 삽입되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폭 방향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돌기(113e)가 구비되며, 외측부재돌기(113e)를 사이에 두고 상하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외측부재결합공(115b)이 형성되며, 외측부재결합공(115b)은 외측부재돌기부(115)와 외측부재측부(113)에 각각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외측부재돌기부(115)와 외측부재돌기(113e) 사이의 외측부재측부(113)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동축(16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측부재축홈(113a)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며 외측부재본체부(111)보다 하향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113f)이 형성된 외측부재하부돌기(113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중간부재본체부(121)와, 상기 중간부재본체부(1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부재측부(123)는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돌기(123c)가 구비되고, 상단은 중간부재본체부(121)의 상단보다 상향 돌출되며,
    상기 중간부재본체부(121)는 폭 방향 양측에 상부로부터 하향할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부재제1면(121c)과, 상기 중간부재제1면(121c)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재측부(123)는 길이 방향 내측에 두께 감소하여 길이 방향으로 내향하는 턱면과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는 PCB안착부(123e)를 가지며, 상기 PCB안착부(123e)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123f)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의 폭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며 외측부재축홈(113a)과 마주하는 중간부재축홈(123a)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재축홈(123a)은 중간부재측부돌기(123c)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어 중간부재측부돌기(123c)까지 연장되며,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의 폭방향 양측면에는 외측부재돌기(113e)가 삽입되는 외측부재돌기홈(123b)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돌기홈(123b)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외측부재측부(113)에 형성된 외측부재결합공(115b)이 형성된 위치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중간부재결합공(123c)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체결공(123g)은 중간부재측부돌기(123c)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며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과 단부가 연결된 측부오목지지면(113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에는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오목하게 형성되며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과 단부가 연결된 중간부재오목지지면(123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30)는 하부에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오목부(131a)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형성된 상부부재본체(131)와, 상기 상부부재본체(131)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돌출부(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부재본체(131)의 폭방향 양측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부재삽입홈(111b)에 삽입되는 상부부재본체돌기(131b) 가 구비되며,
    상부부재오목부(131a)로부터 상부부재돌출부(133)까지 연장되며 상부부재돌출부(133)의 폭방향으로 노출되는 상부부재핀홀(135)이 형성되며, 상부부재핀홀(135)은 4열을 이루어 형성되어 각 상부부재오목부(131a)와 상부부재돌출부(133)에 2열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핀모듈(1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의 핀모듈본체(141)와, 상기 핀모듈본체(141)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핀모듈지지부(143)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하 방향으로 핀모듈본체(144)와 핀모듈지지부(143)관통하여 상단이 핀모듈지지부(143)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단이 핀모듈본체(141)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핀(1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모듈본체(141)의 폭 방향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핀모듈결합홈(147)과 핀모듈결합돌기(145)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핀모듈(140)의 핀모듈본체(141)에 구비되는 핀모듈결합홈(147)과 핀모듈결합돌기(145)에 각각 삽입 결합되며,
    상기 핀모듈본체(141)의 폭 방향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오목한 핀모듈본체홈(141a)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에는 폭 방향 내향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핀부삽입돌기(111e)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에는 폭 방향으로 외측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중간부재핀부돌기부(121b)가 구비되어, 핀모듈(140)이 외측부재(110)에 결합될 때 핀모듈본체(141)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에 삽입되고 핀부삽입돌기(111e)는 핀모듈본체홈(141a)에 삽입되며, 핀모듈(140)이 중간부재(120)에 결합될 때 핀모듈본체(141)는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에 삽입되고 중간부재핀부돌기부(121b)는 핀모듈본체홈(141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70047608A 2017-04-12 2017-04-12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6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608A KR102363330B1 (ko) 2017-04-12 2017-04-12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PCT/KR2018/004243 WO2018190633A1 (ko) 2017-04-12 2018-04-11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및 반도체 부품 시험 장치
US16/604,572 US11112448B2 (en) 2017-04-12 2018-04-11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CN201880028418.XA CN110573888B (zh) 2017-04-12 2018-04-11 低***力连接器组件及半导体部件试验装置
US17/351,184 US11525855B2 (en) 2017-04-12 2021-06-17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608A KR102363330B1 (ko) 2017-04-12 2017-04-12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193A true KR20180115193A (ko) 2018-10-22
KR102363330B1 KR102363330B1 (ko) 2022-02-15

Family

ID=6410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608A KR102363330B1 (ko) 2017-04-12 2017-04-12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502A (ko) 2022-09-21 2024-03-28 (주)케미텍 반도체 테스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494A (ko) 2000-11-30 2002-06-05 추후제출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KR20090133102A (ko) * 2009-11-23 2009-12-31 (주)케미텍 반도체 시험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7703B1 (ko) * 2010-04-13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JP2014044800A (ja) * 2012-08-24 2014-03-13 Tyco Electronics Japan Kk 低挿入力型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494A (ko) 2000-11-30 2002-06-05 추후제출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KR20090133102A (ko) * 2009-11-23 2009-12-31 (주)케미텍 반도체 시험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7703B1 (ko) * 2010-04-13 2010-10-13 (주)케미텍 커넥터
JP2014044800A (ja) * 2012-08-24 2014-03-13 Tyco Electronics Japan Kk 低挿入力型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502A (ko) 2022-09-21 2024-03-28 (주)케미텍 반도체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330B1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566B1 (ko)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JP4127612B2 (ja) 端子配置ハウジング組立体
JP4678696B2 (ja) 平坦な整列表面を有する2体の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US6250966B1 (en) Electrical connector
US4075759A (en) Transverse connector assembly method
US8912443B2 (en) Bus bar mounting assembly
US10707498B2 (en) Electric connector for fuel cell stack
US664865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 buses
US11031708B2 (en) Board edge connector
US10680361B2 (en) Card edge connector
US750379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guide spring for precise contact guidance of a PCB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US11525855B2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KR20180115193A (ko)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US834287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member having latch structure thereof
US20220393402A1 (en) First electrical connector, secon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90005520A (ko)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CN111403927B (zh) 连接器组合体
US2004000970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board lock
KR102005586B1 (ko) 커넥터 모듈
JP2010192384A (ja) コネクタ及びスタック状電極への接続構造
US7371077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202032867A (zh) 板緣連接器
KR20040082972A (ko) 전기커넥터
CN108767561B (zh) 一种锁线槽锁线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