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586B1 - 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586B1
KR102005586B1 KR1020130044888A KR20130044888A KR102005586B1 KR 102005586 B1 KR102005586 B1 KR 102005586B1 KR 1020130044888 A KR1020130044888 A KR 1020130044888A KR 20130044888 A KR20130044888 A KR 20130044888A KR 102005586 B1 KR102005586 B1 KR 102005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positioning member
coupled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431A (ko
Inventor
조병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9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모듈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이 제공된다. 커넥터 모듈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누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부재의 축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와이어를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모듈은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거나 받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커넥터 모듈은 전원 혹은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전선 또는 전기장치를 연결하거나,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등으로 구성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한다. 커넥터 모듈에는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커넥터 모듈에는 다음과 같음 문제점이 있다. 커넥터 모듈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리셉터클 단자가 다수 개 구비되는데,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고 그 내부에서 와이어를 연결하고, PCB에 연결하기 위해서 커넥터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어렵다. 또한,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와이어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와이어와 리셉터클 단자 및 PCB 간의 오결합 또는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모듈에서 리셉터클 단자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리셉터클 단자의 결합 및 고정 구조를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모듈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누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부재의 축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고 중심을 이루는 축부, 상기 축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누름부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의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며, 2열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2열의 리셉터클 단자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의 상면보다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팔보 형상을 갖는 랜서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가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포스트가 삽입 결합되는 포스트 수용부,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수용부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저면에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는 다수의 포스트가 상기 소켓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소켓부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포스트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를 고정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2열로 배열되며,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2열로 배치된 리셉터클 단자부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는 축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의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모듈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커넥터 모듈 외측으로 리셉터클 단자부 및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커넥터 모듈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와이어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소켓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부에서 리셉터클 단자 1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와 리셉터클 단자부 및 포스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 모듈에서 위치확인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모듈(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모듈(10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1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소켓부(1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120)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부(130)에서 리셉터클 단자 1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14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와 리셉터클 단자부 및 포스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 모듈에서 위치확인부재(24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모듈(100)은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 리셉터클 단자부(130) 및 위치확인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켓부(Socket 또는 헤더 어셈블리(Header Assembly))(110)는 인쇄회로기판(10)에 부착되어 포스트(115)를 지지하고, 플러그 하우징(120)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켓부(110)는, 플러그 하우징(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 예를 들어,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소켓 프레임(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모듈(100)은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 및 위치확인부재(14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하우징(120)과 위치확인부재(140)가 각각 결합 및 고정되어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20)을 소켓부(110)에 결합하여 최종 커넥터 모듈(100)이 형성된다. 소켓부(110)의 측면에는 플러그 하우징(120)이 결합 및 고정되는 플러그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120)에는 플러그 결합부(11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은 돌기와 상기 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과 같은 걸림 수단 형태로 형성되어서, 돌기가 걸림 수단에 삽입됨에 따라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결합부(112)가 돌기 형상을 가지고, 소켓 결합부(122)는 걸림턱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러그 결합부(112)와 소켓 결합부(122)는,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을 기계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소켓부(110) 바닥면에는 포스트(115)가 삽입 지지되는 포스트 지지부(116)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 지지부(116)는 소켓부(110) 저면이 포스트(115)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홀 주변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켓부(110)의 저면(도 5에서 도시한 면으로, 인쇄회로기판(10)에 결합되는 면을 '저면'이라 함)에는 소켓부(110)를 인쇄회로기판(10)에 결합 시 납땜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17)은, 포스트(115)가 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되는 부분과 외부를 연결시키는 유로를 형성하여서 기체를 외부로 유동시키도록 형성된다.
포스트(Posts)(115)는 인쇄회로기판(10)에 연결되어 외부와 전기 신호(전원)를 통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포스트(115)는 소켓부(110)를 관통하여 리셉터클 단자부(130)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10)과 리셉터클 단자부(130) 및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130)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포스트(115)는 리셉터클 단자부(13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길이 및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 모듈(100)의 크기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시키고 소켓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에는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며, 위치확인부재(140) 역시 플러그 하우징(12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 및 결합된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소켓부(110) 내부에 삽입되며, 플러그 하우징(120)의 하면에는 소켓부(1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플러그 프레임(121)의 일측에는 소켓부(110)에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12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소켓 결합부(122)는 소켓부(110)에 걸림 결합 형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소켓 결합부(122)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소켓부(110)에 결합되면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와 포스트(115)를 결합시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123)가 형성되고,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123)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랜서(133)가 결합되는 랜서 결합부(120a)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에 포스트(1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스트(115)가 수용되는 포스트 수용부(125)가 형성된다. 포스트 수용부(125)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 수용부(125) 부분이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h) 돌출되어 주변의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으로부터 결합되고, 포스트(115)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하면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들이 2열로 배열된다. 여기서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20)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123)의 일측에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랜서(133)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랜서 결합부(120a)가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20) 상면에는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가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 중앙을 가로질러서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도록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14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되었을 때, 플러그 하우징(12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는 소정 깊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는,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결합된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위치확인부재(Double Lock Plate)(140)는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정위치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플러그 하우징(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위치확인부재(140)는, 축을 형성하는 축부(141)와, 상기 축부(14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열된 누름부(143)와, 플러그 하우징(120) 및 소켓부(110)에 결합되는 걸림부(1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축부(141)는 소정 폭을 가지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러그 하우징(120)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길이가 긴 쪽을 따라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확인부재(140)의 길이 및 형상과 배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축부(141)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일정 폭(w)을 가지도록 하여, 그 폭(w)이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축부(141)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누름부(143) 배열을 갖는 위치확인부재(140)가 잘 휘어지지 않으면서, 더불어 축부(141)의 길이 방향에 대한 휘어짐 힘에 대해 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140)는 누름부(141)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보다 확실하게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위치확인부재(14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에 삽입되어서 위치확인부재(140)의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20)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120)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완전히 결합되면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단면과 플러그 하우징()의 상단면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차(g)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조 공정 상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단면은 도 2에 표시한 높이차(g)에 해당하는 컷오프 디멘젼(cut off dimension) 만큼의 공차 내에서 부품마다 더 높거나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높이차는 커넥터 모듈(100)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설계 조건의 하나이다.
누름부(143)는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상부에서 누르기 위한 것으로, 축부(141)에서 양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누를 수 있도록 하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누름부(143)의 수와 간격 등의 배치는,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수와 간격 등의 배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치확인부재(140)는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면을 누르도록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하우징(120)에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확인부재(140)를 결합시키면, 누름부(143)가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부로 삽입되면서, 누름부(143)의 단부가 리셉터클 단자부(130) 상면에 가압 접촉된다. 그리고 위치확인부재(140)가 플러그 하우징(120)의 양측면에 걸림부(142)를 통해서 결합되므로, 위치확인부재(140) 및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부(142)는 축부(141)에서 양단부에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 및 고정되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126)가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20)과 위치확인부재(140)는 서로 걸림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치확인부재(140)의 양측 단부에는 걸림턱 형상의 걸림부(142)가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120)에는 걸림부(142)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기 형상을 갖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확인부재 결합부(126)와 걸림부(142)는, 플러그 하우징(120)과 위치확인부재(140)를 기계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 부호 114는 걸림부(142)가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된 후 걸림부(142)의 단부가 소켓부(110)에 결합되도록 수용하는 걸림부 수용부(114)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 수용부(114)는 생략될 수 있다.
누름부(143)와 걸림부(142)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누름부(143)와 걸림부(142)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위치확인부재(14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확인부재(14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므로 와이어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위치확인부재(140)는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에 결합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부재(140)의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부재(240)는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되었을 때, 그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부재(240)는 상부로 소정 높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위치확인부재(240)는 상술한 위치확인부재(140)와 축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42는 걸림부이고, 243은 누름부이다.
위치확인부재(240)가 볼록한 형상의 축부(241)를 가짐으로써, 위치확인부재(240)의 제조 시 부품을 사출하고 난 후 냉각 수축에 의해 양 끝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240)는 축부(241)의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축부(241) 중앙의 중심과 각 누름부(242)에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벤딩 모멘트에 대한 강성이 증가하여, 위치확인부재(24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 삽입될 때 사용자가 볼록한 부분을 누름으로써 더 쉽게 위치확인부재(240)를 삽입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부(Receptacles)(130)는, 소켓부(110)와 포스트(115)에 접촉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131)과, 포스트(115)를 수납하여 접촉하는 부분인 포스트 접촉부(135), 플러그 하우징(120)에 고정되는 외팔보(Cantilever) 형상의 랜서(Lancer)(133) 및 와이어를 고정 연결하는 와이어 고정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갖는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131) 내부에 클립 형상의 포스트 접촉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 접촉부(135)는 소정 크기로 굴곡 및 중첩되어서 그 내측이 와이어 고정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스트 접촉부(135)와 와이어 고정부(136) 및 랜서(1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포스트 접촉부(135)가 굴곡 및 중첩된 형상을 가지고, 그 자체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포스트(115)가 삽입되면 포스트 접촉부(135)와 형성하는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131) 사이에서 포스트(115)가 가압되어 접촉되고, 포스트(115)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플러그 하우징(120) 내부에 2열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랜서(133)가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러그 하우징(120)이 소켓부(110)에 삽입 결합되므로 커넥터 모듈(100)의 최종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부(130) 및 위치확인부재(140)가 플러그 하우징(120)보다 돌출되지 않으므로, 이 역시 커넥터 모듈(100)의 최종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20) 외측으로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와이어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140)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은 물론, 리셉터클 단자부(140)의 상부에서 다시 눌러주는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이중으로 잠금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모듈(100)은 제품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모듈(100)은 GWT 750을 만족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용 커넥터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인쇄회로기판
100: 커넥터 모듈
110: 소켓부
111: 소켓 프레임
112: 플러그 결합부
114: 걸림부 수용부
115: 포스트
116: 포스트 지지부
117: 홈
120: 플러그 하우징
120a: 랜서 결합부
121: 플러그 프레임
122: 소켓 결합부
123: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
124: 위치확인부재 수용부
125: 포스트 수용부
126: 위치확인부재 결합부
130: 리셉터클 단자(리셉터클 단자부)
131: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
133: 랜서(lancer)
135: 포스트 접촉부
136: 와이어 고정부
140: 위치확인부재
141: 축부
142: 걸림부
143: 누름부

Claims (17)

  1.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이탈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누르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의 랜서가 결합되는 랜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부재를 수용하는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축부;
    상기 축부에서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향하도록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각 리셉터클 단자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누름부; 및
    상기 축부의 양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의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2열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2열의 리셉터클 단자 사이에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커넥터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서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상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각 리셉터클 단자의 상기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포스트가 삽입 결합되는 포스트 수용부;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저면에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커넥터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다수의 포스트가 상기 소켓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소켓부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포스트 지지부가 형성된 커넥터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부분의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13.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이탈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누르도록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보다 상부에서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들이 2열로 배치되되, 각 열에 배치된 리셉터클 단자들의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랜서가 결합되는 랜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배열된 2열 사이에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부분의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는 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의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KR1020130044888A 2013-01-11 2013-04-23 커넥터 모듈 KR102005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527 2013-01-11
KR1020130003527 2013-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31A KR20140091431A (ko) 2014-07-21
KR102005586B1 true KR102005586B1 (ko) 2019-07-31

Family

ID=5173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888A KR102005586B1 (ko) 2013-01-11 2013-04-23 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112B1 (ko) * 2018-10-29 202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87036B1 (ko) * 2022-10-04 2023-01-10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563A (ja) * 2003-12-22 2004-03-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138B2 (ja) * 1999-03-01 2001-11-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KR100341514B1 (ko) * 1999-12-08 2002-06-22 홍성용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563A (ja) * 2003-12-22 2004-03-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31A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5876217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JP4955731B2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588443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562262B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it to an electric device
CN111164840A (zh) 连接器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CN108140992B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US20070054553A1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CN111244654A (zh) 连接器
US20150222046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0949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337546B1 (ko) 커넥터 터미널
US7090508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2008021406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JP2006244955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2017004248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8461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means
JP544428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44284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005586B1 (ko) 커넥터 모듈
JP5444283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315018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