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708A -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 Google Patents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708A
KR20180111708A KR1020180038501A KR20180038501A KR20180111708A KR 20180111708 A KR20180111708 A KR 20180111708A KR 1020180038501 A KR1020180038501 A KR 1020180038501A KR 20180038501 A KR20180038501 A KR 20180038501A KR 20180111708 A KR20180111708 A KR 2018011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floor
pillar
unit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876B1 (ko
Inventor
박대융
박지용
Original Assignee
박대융
박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융, 박지용 filed Critical 박대융
Priority to KR102018003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87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876B1/ko
Priority to JP2020550682A priority patent/JP6969015B2/ja
Priority to PCT/KR2019/003867 priority patent/WO2019194532A1/ko
Priority to RU2020133042A priority patent/RU2747411C1/ru
Priority to US17/040,797 priority patent/US11142922B2/en
Priority to CN201980020864.0A priority patent/CN111902592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23Separate connecting devices for prefabricated floor-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단위세대가 수직ㆍ수평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각 단위세대는 상부층에 거실이 배치되고, 하부층에는 다수 개의 침실이 배치되며, 인접한 단위세대의 측면 경계에는 서로 이격된 이중기둥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이중기둥은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기둥과 세대 외부에 위치되어 인접한 단위세대의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기둥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기둥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1보부재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기둥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2보부재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하부층 슬래브 측면으로 상기 제1기둥과 제2기둥을 연결시키는 이중기둥연결보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The design structure of duplex apartment house that reduces noise between floors and facilitates sustainable renovation}
본 발명은 단위세대가 복층형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중기둥 및 이중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세대간 측면 경계의 단부에 서로 이격된 이중기둥이 설치되고 이러한 이중기둥에 서로 분리된 이중보가 각각 연결됨으로써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이중기둥 사이에 덕트공간이 마련되고 이러한 덕트공간이 외부에 시공된 경량벽체를 통해 용이하게 개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들의 생활이 점차 윤택해짐에 따라 주택은 단순히 주거용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더욱 쾌적한 주거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날로 증가하는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등의 공동주택 거주자들은 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소음은 물론, 나 자신이 자유로이 소리를 내고 싶은 욕구를 해소할 길 없어 층간 발생되는 소음방지가 쾌적한 주거환경의 첫째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시공업체 또한 실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층간 소음방지재 개발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의 구조는 시공이 빠르고 편리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벽식구조가 이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모든 구조가 일체화된 벽식구조에서는 바닥과 벽을 통해 세대 간의 소음진동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슬래브 바닥층에 흡음재를 두껍게 깔아 주기만 하면 층간소음이 차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슬래브 바닥층의 흡음재를 두껍게 시공한다 하더라도 위층에서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소음은 아래층에 벽을 통하여 그대로 전달되었다. 통상 흡음층 상에 배관 시설을 한 다음 마감콘크리트로서 마무리를 하게 되는데,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이러한 현상은 슬래브의 고정 및 활하중을 받아주는 보가 있으면 그 하중은 슬래브에서 보를 통하여 기둥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철근 콘크리트 벽식구조는 바닥층에 흡읍재를 아무리 두껍게 시공하더라도 슬래브의 고정 및 활하중이 슬래브 구조체를 통하여 직접 하부 벽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위층의 사람이 뛰거나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음이 고스란히 슬래브 및 이와 연결된 하부벽체를 통하여 아랫세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위층에서의 진동 및 충격은 바닥 마감 및 흡음재를 두껍게 설치하더라도 주요 소음 전달 매개체인 일체화된 슬래브와 하부 벽체로 인해 상당부분이 그대로 하부세대로 전달되어 아래층에 살고 있는 집안의 공간으로 확산되기에 공동주택 거주민들이 불쾌한 소음에 시달리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679672호("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를 개발했었다.
그러나 단위주거가 2층으로 구성될 경우 상하세대로 전달되는 충격음은 저감되지만 세대사이의 수평거리가 짧아져서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음은 변함이 없게 된다. 이렇게 단위주거가 2층으로 구성될 때 생기는 수평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세대 슬래브를 이웃세대와 공유되는 측벽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충격음이 수평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측벽에서 슬래브를 분리시키는 구조는 중ㆍ저층의 구조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고층구조에서는 구조적 강성과 내진 등의 문제로 구조적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벽식구조 공동주택의 경우 향후 개보수 등에 있어서 공간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덕트 스페이스의 파이프 등을 개보수하는 것 또한 어렵다. 이와 같이 개보수가 어려운 이유는 공동주택은 집합주거로서 다수의 세대들이 공동으로 거주하여서 전세대가 통합적으로 함께 개보수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공용으로 사용하는 수직주관, 수직덕트 등의 설비가 공용공간에서 개보수가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대부분 공동주택의 수명은 구조체 수명보다 짧은 설비수명에 더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세대별 복층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에서 상부층에는 거실이 배치되고 하부층에는 침실이 배치됨으로써 기본적으로 위ㆍ아래 세대 간의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단위세대가 좌우로 인접한 경계에는 이중보와 이중기둥이 이격된 채 설치됨으로써 상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구조체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이 저감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이중기둥은 단위세대가 상하로 인접하는 하부층 골조마다 연결보로 연결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이중보 중 한 쪽에만 지지되는 켄틸레버 형태의 슬래브로 구조가 이루어짐으로써 상부층에서의 충격음이 인접한 좌우 단위세대로 전달되지 않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이중기둥사이에 설비시설 등을 위한 덕트공간이 마련되고 그 외측으로 건식벽체가 형성됨으로써 개보수가 용이한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단위세대가 수직ㆍ수평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각 단위세대는 상부층에 거실이 배치되고, 하부층에는 다수 개의 침실이 배치되며, 인접한 단위세대의 측면 경계에는 서로 이격된 이중기둥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이중기둥은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기둥과 세대 외부에 위치되어 인접한 단위세대의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기둥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기둥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1보부재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기둥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2보부재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하부층 슬래브 측면으로 상기 제1기둥과 제2기둥을 연결시키는 이중기둥연결보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단위세대가 상부층에 거실이 배치되고 하부층에 침실이 배치됨으로써 중량충격음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거실의 소음이 하부세대로 직접 전달되지 않아 층간소음으로 인한 상하세대 간 갈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단위세대 좌우의 경계에 이중기둥이 이격된 채 설치되고 이중기둥에 각각 연결되는 이중보도 이격된 채 설치됨으로써 상부층의 충격음이 좌우세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중기둥 중 단위세대가 상하로 인접되는 하부층 골조(슬래브부분)에는 이격된 이중기둥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보가 추가로 설치되어 거실이 배치되는 상부층의 충격음이 좌우세대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도 만족시킨다.
셋째, 이중기둥에 각각 연결되는 이중보 중 한 측에만 켄틸레버 형태의 슬래브가 이격된 채 형성됨으로써 좌우의 단위세대간 거실슬래브로부터 발생되는 소음도 차단할 수 있다.
넷째, 이중기둥 사이에 기계설비를 위한 덕트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쉽게 보수할 수 있는 구조의 경량벽체로 구성됨으로써 프라이버시 침해 없이도 개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부분단면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부분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부분단면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에서 부분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각 단위세대(A)가 복층형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중기둥(10) 및 이중보가 이용되어 상하 또는 좌우세대 간에 발생되는 층간소음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구조적 성능 및 내진성능이 향상되고 이중기둥(10) 사이에 덕트공간(40)이 위치됨으로써 개보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층(UF)과 하부층(LF)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단위세대(A)가 수직ㆍ수평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각 단위세대(A)는 상부층(UF)에 거실(LR)이 배치되고, 하부층(LF)에는 다수 개의 침실(BR)이 배치되며, 인접한 단위세대(A)의 측면 경계에는 서로 이격된 이중기둥(10)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이중기둥(10)은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기둥(10a)과 세대 외부에 위치되어 인접한 단위세대(A)의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기둥(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기둥(10a)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1보부재(20a)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기둥(10b)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2보부재(20b)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하부층(LF) 슬래브 측면으로 상기 제1기둥(10a)과 제2기둥(10b)을 연결시키는 이중기둥연결보(22)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의 단위세대(A)들이 상부층(UF)과 하부층(LF)으로 구성되는 복층형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적용된다.
이는 종래의 복층형 구조와 달리 상부층(UF)에 거실(LR)이 배치되고 하부층(LF)에 침실(BR)공간이 형성된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하부세대에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중량충격음은 아이들이 주로 뛰거나 세대원들이 모여서 활동하는 거실(LR)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거실(LR)은 공동주택의 주요 소음원인이 되는데, 단위세대(A)를 복층형으로 구성하고 상부층(UF)을 거실(LR)로 배치함으로써 하부세대에 중량충격음 등의 소음진동을 직접적으로 전달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부층(LF)의 침실(BR)공간이 상부층(UF)의 거실(LR)에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완충시키는 공간으로 활용됨으로써 하부세대에 직접적으로 소음진동이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야간의 취침 시에는 상부층(UF)의 거실(LR)이 상부세대의 소음진동에 대한 완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단위세대(A)의 상부층(UF) 위에는 상부세대의 하부층(LF)에 배치된 침실(BR)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침실(BR)공간은 상대적으로 거실(LR)보다는 작은 소음이 발생되며, 가령 취침 중에 상부세대의 침실(BR)에서 소음이 발생되더라도 해당하는 단위세대(A)의 상부층(UF)의 거실(LR)이 완충공간으로 역할을 하여 하부층(LF)의 침실(BR)에서는 소음을 거의 느낄 수 없게 된다.
한편, 하부층(LF)의 침실(BR) 소음에 대하여 하부의 단위세대(A)로부터 주의를 받을 경우에는 소음원을 상부층(UF)의 거실(LR)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부세대의 침실(BR)로부터 소음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러한 소음을 피해 하부층(LF)의 침실(BR)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갈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세대(A)간 측면 경계의 단부에 이중기둥(10)이 서로 이격된 채 각각 설치된다.
이중기둥(10)은 축공간을 형성하는 기본 뼈대 중의 하나로서 지붕·바닥·보 등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수직재이다. 이중기둥(10)은 복층형으로 이루어진 각 단위세대(A)의 모서리 단부에 설치되는데, 서로 이격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이중기둥(10)은 단위세대(A) 중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제1기둥(10a)과 세대 간 경계에 위치되는 제2기둥(10b)으로 구성된다.
제1기둥(10a)은 평면과 단면상 세대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부재로, 인접한 단위세대(A)의 경계면보다 일측 세대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기둥(10a)에는 단위세대(A)의 좌우경계 위 마주보이는 위치에 설치된 다른 제1기둥(10a) 사이를 연결하는 제1보부재(20a)가 각 층마다 설치된다.
제2기둥(10b)은 평면과 단면상 세대 간 경계에 설치되는 수직부재로, 제1기둥(10a)과 계획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계획된 거리는 기능적, 구조적, 미관적 요소 등을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제2기둥(10b)에는 단위세대(A)의 좌우경계 위 마주보이는 위치에 설치된 다른 제2기둥(10b) 사이를 연결하는 제2보부재(20b)가 각 층마다 설치된다.
위와 같이 단위세대(A)가 좌우로 경계의 끝에 이중기둥(10)이 각각 설치되고, 이중기둥(10)을 서로 연결하는 제1보부재(20a)와 제2보부재(20b)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하중을 전달시키는 동시에 진동에 의한 소음도 전달시키는 기둥과 보를 단위세대(A) 간 구조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층마다 이중기둥(20)의 제1기둥(10a)과 제2기둥(10b)을 연결해주는 이중기둥연결보(22)가 구성된다.
이중기둥연결보(22)는 단위세대(A)가 상하로 인접하는 단위세대(A)의 하부층(LF) 슬래브 부분에 설치되는 보이다.
본 발명은 도 1a와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부재(20a)와 제2보부재(20b) 사이에는 제1보부재(20a)에만 연결지지되고 제2보부재(20b)와는 이격된 켄틸레버슬래브(30)가 설치될 수 있다.
켄틸레버슬래브(30)는 세대 내부에 설치되는 제1기둥(10a)과 연결되는 제1보부재(20a)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는 단위세대(A) 간 발생되는 충격소음이 슬래브를 통해 측면의 단위세대(A)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가령 어느 한 세대의 거실슬래브(LS)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측면에 인접한 단위세대(A)의 침실(BR)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2a와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기둥(10) 사이에 기계 및 설비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덕트공간(40)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건식벽체(50)가 이중기둥(10) 사이에 설치되어 외면이 마감될 수 있다. 가령 이중기둥(10) 사이에 duct space가 설치되고, duct space 외부방향으로 이중기둥(10) 사이에 비내력 경량벽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건물 개보수시 단위세대(A) 내부의 침범 없이 건물의 기계ㆍ설비를 건물 외측면에서 통합적으로 개보수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기둥(10a)과 덕트공간(40)이 단위세대(A) 내부와 면하는 부분은 단열흡음판(60)으로 막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열흡음판(60)은 인접한 단위세대(A)에서 이중기둥(10)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덕트공간(40) 내부의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켜준다. 즉 상부층(UF)의 충격음이 기둥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단열흡음판(60)이 흡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보부재(20b) 하부로 비내력세대경계벽(70)이 설치되고, 단위세대(A)가 외부와 복도에 면하는 벽은 전단벽(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내력세대경계벽(70)은 이중보 중 세대간 경계에 설치되는 제2기둥(10b)에 연결되는 제2보부재(20b) 하부에 형성된다. 즉 비내력세대경계벽(70)은 이중보 중 제2보부재(20b)의 하부재에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벽식구조에서 벽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음이 벽을 통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구조적 만족을 위해 제1보부재(20a)와 제2보부재(20b)로 구성되는 이중보를 보춤이 크게 계획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이중보에 비하여 세대 중앙에 설치되는 보 또는 슬래브의 춤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단위세대(A) 내부에 천장공간을 여유있게 확보하여 층고를 높이지 않고서도 설비 등의 시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전단벽(80)은 단위세대(A)의 거실(LR)과 복도의 경계와 거실(LR)과 외부의 경계에 설치되는데,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내진성능을 향상시켜준다. 그리고 전단벽(8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단위세대(A)의 상부층(UF)과 하부층(LF)의 개구부 위치를 동일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중기둥(10) 내측으로 거실슬래브(LS)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복도슬래브(CS)가 형성되며, 복도슬래브(CS)는 이중기둥(10) 외측 하부로 연결되는 켄틸레버보(32)에 지지되어 그 위로 형성되되, 거실슬래브(LS)와 이격된 채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부측의 일측면 이중기둥(10)에서 안쪽으로는 거실(LR)이 형성되고 바깥쪽으로는 복도가 형성되는데, 복도슬래브(CS)는 이중기둥(10)에서 연장설치된 켄틸레버보(32) 위에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도슬래브(CS)와 거실슬래브(LS)가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써 복도와 접한 벽을 통해 단위세대(A) 내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UF: 상부층 LF: 하부층
A: 단위세대 LR: 거실
LS: 거실슬래브 BR: 침실
CS: 복도슬래브
10: 이중기둥 10a: 제1기둥
10b: 제2기둥 20a: 제1보부재
20b: 제2보부재 22: 이중기둥연결보
30: 켄틸레버슬래브 32: 켄틸레버보
40: 덕트공간 50: 건식벽체
60: 단열흡음판 70: 비내력세대경계벽
80: 전단벽

Claims (6)

  1. 상부층(UF)과 하부층(LF)으로 이루어진 2개 층이 하나로 통합되어 복층형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단위세대(A)가 수직ㆍ수평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에서,
    각 단위세대(A)는 상부층(UF)에 거실(LR)이 배치되고, 하부층(LF)에는 다수 개의 침실(BR)이 배치되며,
    인접한 단위세대(A)의 측면 경계에는 서로 이격된 이중기둥(10)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이중기둥(10)은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기둥(10a)과 세대 외부에 위치되어 인접한 단위세대(A)의 세대 내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기둥(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기둥(10a)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1보부재(20a)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기둥(10b)에는 하중을 전달시키는 구조체로 역할을 수행하는 제2보부재(20b)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하부층(LF) 슬래브 측면으로 상기 제1기둥(10a)과 제2기둥(10b)을 연결시키는 이중기둥연결보(22)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제1보부재(20a)와 제2보부재(20b) 사이에는 상기 제1보부재(20a)에만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보부재(20b)와는 이격된 켄틸레버슬래브(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이중기둥(10) 사이에는 기계 및 설비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덕트공간(40)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건식벽체(50)가 상기 이중기둥(10) 사이에 설치되어 외면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제1기둥(10a)과 덕트공간(40)이 단위세대(A) 내부와 면하는 부분은 단열흡음판(60)으로 막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5. 제4항에서,
    상기 제2보부재(20b) 하부로 비내력세대경계벽(70)이 설치되고, 상기 단위세대(A)가 외부와 복도에 면하는 벽은 전단벽(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6. 제4항에서,
    상기 이중기둥(10) 내측으로 거실슬래브(LS)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복도슬래브(CS)가 형성되며,
    상기 복도슬래브(CS)는 상기 이중기둥(10) 외측 하부로 연결되는 켄틸레버보(32)에 지지되어 그 위로 형성되되, 상기 거실슬래브(LS)와 이격된 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KR1020180038501A 2018-04-03 2018-04-03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KR101958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01A KR101958876B1 (ko) 2018-04-03 2018-04-03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JP2020550682A JP6969015B2 (ja) 2018-04-03 2019-04-02 層間騒音を低減し改修及び補修が容易な複層型共同住宅の設計構造
PCT/KR2019/003867 WO2019194532A1 (ko) 2018-04-03 2019-04-02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RU2020133042A RU2747411C1 (ru) 2018-04-03 2019-04-02 Проек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квартирного дома мезонетного типа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шума между этажами и допущения легк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US17/040,797 US11142922B2 (en) 2018-04-03 2019-04-02 Maisonette type apartment house desig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allowing easy remodeling
CN201980020864.0A CN111902592A (zh) 2018-04-03 2019-04-02 降低层间噪音且易于维修的复式公寓设计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01A KR101958876B1 (ko) 2018-04-03 2018-04-03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708A true KR20180111708A (ko) 2018-10-11
KR101958876B1 KR101958876B1 (ko) 2019-03-15

Family

ID=6386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501A KR101958876B1 (ko) 2018-04-03 2018-04-03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2922B2 (ko)
JP (1) JP6969015B2 (ko)
KR (1) KR101958876B1 (ko)
CN (1) CN111902592A (ko)
RU (1) RU2747411C1 (ko)
WO (1) WO2019194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785A (ko) 2021-11-15 2023-05-23 (주)포스코이앤씨 공동주택의 소음방지용 다목적룸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347A (ja) * 2003-01-22 2004-08-12 Shimizu Corp 構造物の制震構造
KR20170012700A (ko) * 2015-07-22 2017-02-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복층형 공동주택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748A (en) * 1882-12-05 Barrel-storing warehouse
GB570635A (en) * 1943-10-21 1945-07-16 Thomas Spenc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3503170A (en) * 1968-08-14 1970-03-31 Shelley W Shelley Modular post-tensioned overlapped staggered building construction
JPS506093B1 (ko) * 1970-10-09 1975-03-11
US3750366A (en) * 1971-07-16 1973-08-07 Rich F Housing Corp Building
DE2908995A1 (de) * 1979-03-08 1980-09-11 Cichos Geb Schloesser Baerbel Bauwerk mit plattenbalken
JP3244572B2 (ja) * 1993-09-10 2002-01-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耐火構造
JP3260266B2 (ja) * 1995-02-10 2002-02-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JP4700178B2 (ja) * 2000-09-11 2011-06-1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ユニット式建物
IT1319592B1 (it) * 2000-12-20 2003-10-20 Dlc Srl Sistema di prefabbricazione integrale con struttura a telaio acomponenti finiti ed alleggeriti
US8011147B2 (en) * 2006-09-11 2011-09-06 Hanlon John W Building system using modular precast concrete components
KR101204767B1 (ko) * 2010-03-26 2012-11-27 이창남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MX2013003931A (es) * 2010-10-06 2014-10-17 Qube Buildings Systems Inc Sistema de construccion modular.
KR101387602B1 (ko) * 2011-08-04 2014-05-22 정인철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US9574344B2 (en) * 2013-04-30 2017-02-21 Alan Case Building structural connector
KR101679672B1 (ko) * 2014-08-20 2016-11-25 박대융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CN206110319U (zh) * 2016-09-16 2017-04-19 天津大学 一种模块化钢结构建筑结构体系的模块单元
CN106677353B (zh) * 2017-01-17 2018-11-02 北京工业大学 一种装配式钢结构的双柱双梁连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347A (ja) * 2003-01-22 2004-08-12 Shimizu Corp 構造物の制震構造
KR20170012700A (ko) * 2015-07-22 2017-02-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복층형 공동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42922B2 (en) 2021-10-12
RU2747411C1 (ru) 2021-05-04
US20210010285A1 (en) 2021-01-14
KR101958876B1 (ko) 2019-03-15
CN111902592A (zh) 2020-11-06
JP6969015B2 (ja) 2021-11-24
JP2021517938A (ja) 2021-07-29
WO2019194532A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589B2 (ja) 集合住宅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1958876B1 (ko)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JP4185105B2 (ja) 集合住宅
JP6473382B2 (ja) 集合住宅
JP5325570B2 (ja) 集合住宅
JP5378783B2 (ja) 壁式ラーメン構造建物
JP7097227B2 (ja) 高層建物
JP3066744B2 (ja) 集合住宅
KR101858591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내진성능이 향상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JP3584979B2 (ja) 集合住宅
JP6491551B2 (ja) 建物の吸音構造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2004211495A (ja) 集合住宅建物
KR102117565B1 (ko)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JP7011360B1 (ja) 複数階建て木造住宅
JP7194568B2 (ja) 集合住宅建築物
JP6730102B2 (ja) 建物
JP2006037714A (ja) 建物
JP2006002567A (ja) 建物
Marriage Residential
JP2020139307A (ja) 建物
JP6400306B2 (ja) 両方向ブレース構造の鉄骨造居住用途建物
JP2023160625A (ja) 住宅
JPH11336341A (ja) 混構造の戸建コンクリー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