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570A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570A
KR20180107570A KR1020170036041A KR20170036041A KR20180107570A KR 20180107570 A KR20180107570 A KR 20180107570A KR 1020170036041 A KR1020170036041 A KR 1020170036041A KR 20170036041 A KR20170036041 A KR 20170036041A KR 20180107570 A KR20180107570 A KR 20180107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hole
rear en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
Original Assignee
(주)마이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미코리아 filed Critical (주)마이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3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570A/ko
Publication of KR2018010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박차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킥보드는 발판(10)과, 발판의 전.후방에 장착된 바퀴(20)와, 앞바퀴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발판의 전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조작핸들(30)과, 상기 발판의 후단 양쪽에 각각 구비된 무화수 발생부(100)와,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화수 발생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킥보드{Kick board}
본 발명은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박차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박차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어린이 유희구로서 킥보드가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킥보드는 발판(10)과, 발판(10)의 전.후방에 장착된 바퀴(20)와, 앞바퀴(20)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발판(10)의 전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조작핸들(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킥보드는 단순히 주행기능만 있는 경우 어린이가 쉽게 흥미를 잃기 쉽기 때문에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발판(10)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로 패달을 밟으면 구동수단이 구동되어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된 자전거 방식의 킥보드가 제안된 바 있으며, 전기로 충전되는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스스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된 스쿠터 방식의 킥보드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최근의 킥보드들은 안전성이나 흥미성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도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인정됨에도 불구하고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킥보드는 클락숀과 같이 음향효과를 낼 수 있는 음향장치를 부착하거나 전조등을 설치하는 등의 단편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어린이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한다.
KR10-2016-0046315A KR20-0458713Y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비를 크게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어린이에게 지속적으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킥보드는 발판과, 발판의 전.후방에 장착된 바퀴와, 앞바퀴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발판의 전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조작핸들과, 상기 발판의 후단 양쪽에 각각 구비된 무화수(霧化水) 발생부와,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화수 발생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화수 발생부는 발판에 부착되며 후단이 개방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의 일측에 형성된 급수구와, 상기 급수통의 후단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급수통에 담겨진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화유닛은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초음파 발생 회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통의 후단은 개방형성되고, 상기 급수통의 후단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밀폐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제1관통공에 초음파 진동자가 위치되고, 상기 밀폐마개의 후방에는 제1관통공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밀착판이 초음파 진동자의 가장자리를 밀폐마개에 긴밀히 밀착시키면서 결합되며, 상기 밀착판의 후방에는 제2관통공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 회로부가 장착된 마감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후단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용 LED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구는 급수통의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과, 상기 급수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을 가로지르는 지지부와, 상기 급수공 내부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상태로 급수공의 입구에 위치되는 급수버튼과, 상기 급수버튼과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급수버튼이 급수공 내부로 이동할 때 압축되면서 급수버튼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급수버튼의 단부에 설치되어 급수버튼이 복귀할 경우에 상기 걸림턱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급수통 내부의 물이 급수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급수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실링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발판의 후단 양쪽에 무화수 발생부가 구비되어 주행시 어린이에게 마치 제트추진장치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연상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비를 크게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어린이에게 지속적으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개방된 후단으로 조명용 LED가 설치된 경우에, 야간에도 무화수의 식별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다양한 컬러로 무화수를 조명할 수 있게 되므로 제트추진 연출 효과를 극대화시켜 어린이에게 보다 높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킥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무화수 발생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무화수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무화수 발생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킥보드는 발판(10)과, 발판(10)의 전.후방에 장착된 바퀴(20)와, 앞바퀴(20)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발판(10)의 전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조작핸들(30)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발판(10)과 바퀴(20)와 조작핸들(30)은 종래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판(10)의 후단 양쪽에 각각 무화수(霧化水) 발생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무화수 발생부(100)는 후단이 개방 형성된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금수통(120)이 고정되며, 상기 금수통(120)의 일측에는 금수통(120) 내부로 물을 투입할 수 있는 급수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30)는 급수의 편의성을 위하여 금수통(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급수구(130)에 대응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금수통(120)의 후단에는 금수통(120)에 담겨진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유닛(140)이 설치된다. 상기 무화유닛(140)은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화수를 금수통(120)의 후방으로 배출한다.
금수통(120) 후방으로 배출되는 무화수는 마치 제트추진장치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와 같은 형태로 케이스(110)의 개방된 후단으로 배출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이와 같은 제트추진 연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제트기의 분사구 형상과 유사한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화유닛(140)은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초음파 진동자(141)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초음파 발생 회로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141)는 초음파 발생회로부(142)에 의해 미세 진동하면서 금수통(120)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키게 되며, 무화된 물은 초음파 진동자(141)의 미세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금수통(120)과 무화유닛(140)은 제작 및 정비의 편리성을 위하여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금수통(120)의 후단은 개방형성되고, 상기 금수통(120)의 후단에는 제1관통공(151)이 형성된 밀폐마개(150)가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111)에 초음파 진동자(141)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마개(150)의 후방에 제1관통공(15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2관통공(161)이 형성된 밀착판(160)이 초음파 진동자(141)의 가장자리를 밀폐마개(150)에 긴밀히 밀착시키면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밀착판(160)의 후방에는 마감부재(170)를 결합시킨다. 상기 마감부재(170)에는 초음파 발생 회로부(142)가 장착되며 제2관통공(16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3관통공(171)이 형성된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자(141)는 제1관통공(151)을 통해 금수통(120)에 저장된 물과의 접촉되며, 초음파 진동자(141)를 통해 발생된 무화수는 제2관통공(161)과 제3관통공(171)을 차례로 경유하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밀착판(160)에 의하여 제1관통공(151)과 초음파 진동자(141)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금수통(120)에 저장된 물이 초음파 발생회로부(142)로 유입되어 쇼트를 일으키거나 케이스(110)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염려가 없다.
또한, 제1관통공(151)과 초음파 진동자(141) 사이를 보다 긴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초음파 진동자(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 타입의 실링부재(141a)가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초음파 진동자(141)로부터 발생되는 무화수는 야간에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개방된 후단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명용 LED(1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명용 LED(180)는 초음파 발생 회로부(142)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도록 초음파 발생 회로부(142)에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부재(170)에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후단으로 배출되는 무화수를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용 LED(180)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공(172)들이 형성된다. 상기 조명용 LED(180)가 컬러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무화수의 인식률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트추진 연출 효과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구(130)는 금수통(120)의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131)과, 상기 급수공(1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132)과, 상기 걸림턱(132)을 가로지르는 지지부(133)와, 상기 급수공(131) 내부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33)를 관통한 상태로 급수공(131)의 입구에 위치되는 급수버튼(134)과, 상기 급수버튼(134)과 지지부(133) 사이에 위치되어 급수버튼(134)이 급수공(131) 내부로 이동할 때 압축되면서 급수버튼(134)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5)와, 상기 지지부(133)를 관통한 급수버튼(134)의 단부에 설치되어 급수버튼(134)이 복귀할 경우에 상기 걸림턱(132)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금수통(120) 내부의 물이 급수공(13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급수버튼(134)의 이동을 제한하는 실링패드(136)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상기 급수버튼(134)은 탄성부재(135)에 의하여 급수공(131)의 입구에 위치되고, 실링패드(136)는 탄성부재(135)에 의하여 걸림턱(132)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지지부(133)에 걸려 급수공(131)의 입구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급수를 위해 급수버튼(134)을 누르면, 급수버튼(134)이 탄성부재(135)를 압축시키면서 금수통(120)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실링패드(136)도 급수버튼(134)을 따라 금수통(120) 내부로 이동하면서 걸림턱(132)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그 결과 급수구(130)는 개방되며 사용자는 개방된 급수구(130)를 통해 금수통(120)에 물을 공급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급수버튼(134)에서 손을 떼게 되면, 탄성부재(135)가 복원되면서 급수버튼(134)이 자동으로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실링패드(136)가 걸림턱(132)에 다시 긴밀히 밀착되면서 급수공(131) 내부는 밀폐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금수통(120)에 저장된 물은 급수공(13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무화수 발생부(100)는 발판(10)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공급부(200)를 통해 동작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발판(10) 내부에 설치된 충전식 배터리(210)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21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210)와 연결된 전원입력단자부(220)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원스위치(230)를 구비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은 제트추진 연출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도록 무화유닛(140)이 동작될 때 제트기 발진음이나 배기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킥보드는 금수통(120) 내부에 물을 채운 후에 전원스위치(230)를 누르게 되면, 충전식 배터리(210)로부터 무화유닛(140)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무화수가 발생되고, 발생된 무화수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후단으로 배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개방된 후단으로 배출되는 무화수는 마치 제트추진장치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연상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인 어린이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조명용 LED(18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무화수가 조명되면서 야간에도 무화수의 식별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다양한 컬러로 무화수를 조명할 수 있게 되므로 제트추진 연출 효과를 극대화시켜 보다 어린이에게 보다 높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무화수 발생부 110...케이스
111...관통공 120...금수통
130...급수구 131...급수공
132...걸림턱 133...지지부
134...급수버튼 135...탄성부재
136...실링패드 140...무화유닛
141...초음파 진동자 142...초음파 발생 회로부
150...밀폐마개 151...제1관통공
161...제2관통공 160...밀착판
171...제3관통공 170...마감부재
180...조명용 LED 200...전원공급부
230...전원스위치

Claims (6)

  1. 발판;
    발판의 전.후방에 장착된 바퀴;
    앞바퀴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발판의 전방에 수직으로 장착된 조작핸들;
    상기 발판의 후단 양쪽에 각각 구비된 무화수(霧化水) 발생부; 및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화수 발생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수 발생부는
    발판에 부착되며 후단이 개방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금수통;
    상기 금수통의 일측에 형성된 급수구; 및
    상기 금수통의 후단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금수통에 담겨진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유닛은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초음파 발생 회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수통의 후단은 개방형성되고,
    상기 금수통의 후단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밀폐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제1관통공에 초음파 진동자가 위치되고,
    상기 밀폐마개의 후방에는 제1관통공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밀착판이 초음파 진동자의 가장자리를 밀폐마개에 긴밀히 밀착시키면서 결합되며;
    상기 밀착판의 후방에는 제2관통공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 회로부가 장착된 마감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후단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용 LED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금수통의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
    상기 급수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을 가로지르는 지지부;
    상기 급수공의 내부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상태로 급수공의 입구에 위치되는 급수버튼;
    상기 급수버튼과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급수버튼이 급수공의 내부로 이동할 때 압축되면서 급수버튼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급수버튼의 단부에 설치되어 급수버튼이 복귀할 경우에 상기 걸림턱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금수통 내부의 물이 급수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급수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실링패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KR1020170036041A 2017-03-22 2017-03-22 킥보드 KR20180107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41A KR20180107570A (ko) 2017-03-22 2017-03-22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41A KR20180107570A (ko) 2017-03-22 2017-03-22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70A true KR20180107570A (ko) 2018-10-02

Family

ID=6386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41A KR20180107570A (ko) 2017-03-22 2017-03-22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5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0782B2 (en) Bubble making amusement device
US4251033A (en) Mist generating structure and molding apparatus therefor
US4764141A (en) Toy bubble blowing machine
US8272916B2 (en) Bubble generating assembly that produces vertical bubbles
US20120251296A1 (en)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US20090149107A1 (en) Bubble generating assembly
GB2471069A (en) An aromatic atomiser having a light transmissive cover and light display with music
KR102213004B1 (ko) 연기 버블 발생 장치
WO2006070786A1 (ja) 噴霧玩具及び霧発生ユニット
US20060116048A1 (en) Generator for encapsulating a fluid within a bubble
KR20180107570A (ko) 킥보드
JP6192451B2 (ja) 噴霧器
CN107981516B (zh) 一种补水仪及开关装置
AU2002240003B2 (en) Children's ride-on vehicle with audiovisual device
US20070243788A1 (en) Variable vibrating candy holder
KR101531704B1 (ko) 가변형 분수가 토출되는 분수장치
US7448935B2 (en) Liquid activated toys and operating systems for use with same
KR20190142066A (ko) 연기 버블 발생기
JP2017124056A (ja) ペン型玩具
JP2005144096A (ja) 照明付き噴霧器
TWM530186U (zh) 霧化裝置
CN216332496U (zh) 一种可吹泡泡的儿童滑行车
KR101888522B1 (ko) 수증기 분수장치
US1140301A (en) Atomizer or the like.
JP2004358086A (ja) 液体通電作動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