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849A -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 Google Patents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849A
KR20180102849A KR1020170029512A KR20170029512A KR20180102849A KR 20180102849 A KR20180102849 A KR 20180102849A KR 1020170029512 A KR1020170029512 A KR 1020170029512A KR 20170029512 A KR20170029512 A KR 20170029512A KR 20180102849 A KR20180102849 A KR 20180102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ront member
fragrance
grip portion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휴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휴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휴먼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849A/ko
Publication of KR2018010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1Semi-perm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에 따르면, 고정공이 형성된 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의 하단이 연장되고 상기 전면부재의 후측면으로 접혀져 포개지며, 상기 고정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공이 형성된 후면부재; 상기 후면부재가 접혀져 상기 전면부재와 포개질 때,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를 접착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향을 배출시키는 방향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방향부재를 구비하고, 걸이부나 부착부를 통해 봉이 벽에 걸거나 부착할 수 있고, 제1절곡와 제2절곡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위치에 변경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air freshener}
본 발명은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내측으로 방향성분을 수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재질로 이루어진 수납용기와 수납용기의 기밀유지 및 포장을 위해 방향제용 포장필름을 용기에 실링하고 있다.
그리고, 포장필름을 박리시키면, 수납용기에 수납된 방향성분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방향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방향제는, 거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케이스를 이용하였고, 방향제를 교환하여 케이스의 교체없이 여러번 사용할 수 있었다.
이때, 케이스의 내부에 방향제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뚜껑을 열고, 포장필름을 박리한 방향제를 넣은 다음, 케이스의 뚜껑을 닫아야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향제를 수납하는 케이스는 별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방향제를 교환할 때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케이스는 금형을 통해서 생산되기 때문에 매우 한정적인 디자인을 하고 있어, 선택의 폭이 적었으며, 케이스를 거치하는 장소도 매우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에 따른 실증이 발생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656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21521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방향부재를 구비하고, 걸이부나 부착부를 통해 봉이 벽에 걸거나 부착할 수 있고, 제1절곡와 제2절곡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위치에 변경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접착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파지부를 꺾어 전면부재의 측면으로 돌출시키면 사용자가 파지부의 끝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제3필름과 제4필름의 박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방향부재를 교환하더라도 방향부재를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에 고정시킨 후, 파지부를 잡아당겨 제3필름과 제4필름을 박리하여 방향부재의 교환에 따른 사용이 매우 편리한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에 따르면, 고정공이 형성된 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의 하단이 연장되고 상기 전면부재의 후측면으로 접혀져 포개지며, 상기 고정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공이 형성된 후면부재; 상기 후면부재가 접혀져 상기 전면부재와 포개질 때,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를 접착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향을 배출시키는 방향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재 또는 후면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봉이나 돌기에 걸릴 수 있는 걸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면부재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벽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중간부에는, 상기 후면부재가 접혀지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전면부재의 하측과 후면부재의 상측에 각각 절곡가능한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중간부는, 상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절곡됨에 따라, 지면에 지지되어 거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부재는, 보관홈과 상기 보관홈의 상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되 상기 접착부가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보관홈 내측면과 접착부의 상측면에 접착되어 적층된 제1필름과, 상기 몸체의 접착부에 적층된 상기 제1필름과 열압착되며, 상기 제1필름이 적층된 보관홈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발산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용물의 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필름과, 상기 제2필름의 상측면에 적층된 제3필름과, 상기 제2필름과 제3필름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제3필름을 제2필름의 상측면에 인위적인 박리가 가능하게 접착시켜 적층시키는 이형제와, 상기 제3필름의 상측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으로 적층되고, 고온에 의한 상기 제2필름 및 제3필름의 변형을 방지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제4필름 및 상기 몸체의 접착부 외측으로 길게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접혀져 상기 전면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3필름과 제4필름이 박리되어, 상기 제2필름을 통해 발산되는 내용물의 향이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필름, 제3필름 및 제4필름은, 상기 파지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상측에 적층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측면 중 중심부에는,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와 파지부 사이에는, 하측면에 칼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필름은, 상기 칼선에 의해 절단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칼선에 의해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접혀져 끝단부가 상기 전면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상기 제2필름이 끊겨지면서 상기 제3필름과 제4필름을 박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방향부재를 구비하고, 걸이부나 부착부를 통해 봉이 벽에 걸거나 부착할 수 있고, 제1절곡와 제2절곡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위치에 변경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몸체의 접착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파지부를 꺾어 전면부재의 측면으로 돌출시키면 사용자가 파지부의 끝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제3필름과 제4필름의 박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방향부재를 교환하더라도 방향부재를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에 고정시킨 후, 파지부를 잡아당겨 제3필름과 제4필름을 박리하여 방향부재의 교환에 따른 사용이 매우 편리한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걸이부를 통해 걸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부착부를 통해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절곡부를 통해 지면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몸체 및 파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파지부를 꺾어 박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걸이부를 통해 걸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부착부를 통해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절곡부를 통해 지면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는, 전면부재(1), 후면부재(2), 고정부(5) 및 방향부재(6)를 포함한다.
전면부재(1)는, 고정공(3)이 형성되며, 후술할 몸체(10)의 일부가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고정공(3)은 몸체(1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부재(1)는, 사용자로부터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정면에 광고를 위한 문구가 인쇄될 수 있다.
후면부재(2)는, 전면부재(1)의 하단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후면부재(2)는, 전면부재(1)의 후측면으로 접혀져 포개지며, 고정공(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공(4)이 형성된다.
배출공(4)으로는, 후술할 제2필름(40)을 통해 발산되는 내용물(30)의 향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배출공(4)은, 후면부재(2)가 벽면에 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벽면과 접촉방지를 위하여 다수개로 촘촘히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는, 후면부재(2)가 접혀져 전면부재(1)와 포개질 때,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를 접착하도록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부(5)는, 본드나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후술할 방향부재(6)의 교환을 위하여 착탈가능하게 벨크로테이프, 똑딱단추 등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부재(6)는, 후술할 몸체(10)가 고정공(3)으로 돌출되되, 몸체(10)의 고정부(5)가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 사이에 구비되어,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 사이에 고정된다.
그리고, 방향부재(6)는, 배출공(4)을 통해 향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방향부재(6)에 대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몸체 및 파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파지부를 꺾어 박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부재(6)는, 몸체(10), 제1필름(20), 제2필름(40), 제3필름(50), 이형제(60) 및 제4필름(70)을 포함한다.
먼저, 몸체(10)는, 보관홈(11)과 보관홈(11)의 상단에 접착부(12)가 형성된다.
보관홈(11)은, 후술할 내용물(30)이 보관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내입형성되며, 고정공(3)으로 돌출된다.
또한, 보관홈(11)은, 원형,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비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12)는, 보관홈(11)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접착부(12)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측면에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13)가 형성되며, 이 돌기(13)는 접착을 위해 압착하는 금형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12)는 전면부재(1)와, 전면부재(1)로 접혀진 후면부재(2)의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보관홈(11)이 고정공(3)으로 돌출되며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 사이에 몸체(1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후술할 내용물(30)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며, 내용물(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30)의 향이 발산되지 않도록 PET필름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몸체(10)는, 투명하게 제조됨에 따라, 내용물(30)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필름(20)은, 보관홈(11) 내측면과 접착부(12)의 상측면에 접착되어 적층된다.
이때, 제1필름(20)은, 몸체(10)로부터 박지되지 않도록 접착되되, 접착부(12)에 형성된 돌기(13)에 의해 접촉면적 확대로 인하여 접착부(12)에 보다 더 강력하게 접착된다.
내용물(30)은, 제1필름(20)이 적층된 보관홈(11)에 충진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내용물(30)은, 향을 발산하는 방향물질로 이루어진다.
제2필름(40)은, 몸체(10)의 접착부(12)에 적층된 제1필름(20)과 열압착되어 제1필름(20)의 상측에 적층된다.
이때, 제2필름(40)은, 보관홈(11)에 보관된 내용물(30)의 발산량을 조절하여 내용물(30)의 향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필름(40)은, 내용물(30)의 향이 투과되는 투과성필름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필름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2필름(4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필름(20)은, 제2필름(40)과 동일한 PE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제1필름(20)이 제2필름(4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은, 제2필름(40)이 열압착될 때, 제1필름(20)과 함께 서로 융해되도록 하여, 제1필름(20)에 부착시키기 위함이다.
즉, 제1필름(20)과 제2필름(40)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져, 열압착될 때 서로 융해됨에 따라 일체화됨에 따라, 제2필름(40)이 제1필름(20)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제2필름(40)은, 제1필름(20)이 접착부(12)에 형성된 돌기(13)에 의해 접촉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강력하게 접착되어 적층된다.
제3필름(50)은, 제2필름(40)의 상측면에 적층된다.
이때, 제3필름(5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필름 또는 PET필름으로 이루어져, 제2필름(40)으로부터는 박리되고, 후술할 제4필름(70)과는 접착되어 박리되지 않는다.
즉, 제3필름(50)은, 제2필름(40)과는 박리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4필름(70)이 접착되어 제2필름(40)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형제(60)는, 제2필름(40)과 제3필름(50) 사이에 도포되어, 제3필름(50)을 제2필름(40)의 상측면에 인위적인 박리가 가능하게 접착시켜 적층시킨다.
여기서, 이형제(60)는, 아세트산비닐수지(Polyvinyl Acetate, PVA)로 이루어져, 제2필름(40)을 통해 향이 발산되는 내용물(30)의 증발을 방지한다. 또한, 이형제(60)는, 제2필름(40)이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내용물(30)의 변질을 방지한다.
또한, 아세트산비닐수진의 이형제(60)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이 가해져야만 박리가 가능하여, 장시간 제3필름(50)을 제2필름(40)에 접착시킬 수 있으며, 유통 및 외부 충격에 제3필름(50)이 박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품성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형제(60)는, 제2필름(40)의 상측면 전체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으며, 접착부(12)와 대응되는 상측면에만 도포될 수 있다.
더불어, 이형제(60)는, 제3필름(50)이 제2필름(40)으로부터 박리될 때, 제3필름(50)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함께 박리될 수 있다.
제4필름(70)은, 제3필름(50)의 상측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적층되고, 고온에 의한 제2필름(40) 및 제3필름(50)의 변형을 방지하여 형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제4필름(70)은, 고온인 220℃에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포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4필름(70)은, 포일의 형태이기 때문에, 상술한 제3필름(50)에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제3필름(50)은, 알루미늄 포일인 제4필름(7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며, PET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향부재(6)는, 파지부(80)를 더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파지부(80)는, 몸체(10)의 접착부(12)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파지부(80)는, 몸체(10)의 재질인 PET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지부(80)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제3필름(50)과 제4필름(70)을 제2필름(40)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2필름(40), 제3필름(50) 및 제4필름(70)은, 파지부(8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파지부(80)의 상측에 적층된다.
이때, 제2필름(40), 제3필름(50) 및 제4필름(70)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유통이나 보관상에서 구겨져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필름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PET필름으로 이루어진 파지부(80)가 몸체(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파지부(80)의 상측면에는, 다수의 돌기(13)가 형성되되, 중심부(84)를 중심으로 외부 상측면에 형성되어 제1필름(20)과 제2필름(40)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돌기(13)가 형성되지 않은 파지부(80)의 상측면 중 중심부(84)에는, 제1필름(20)과 제2필름(40) 사이에 공기층(8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층(81)은, 파지부(8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공기층(81)에 의해 파지부(80)의 중심부분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제1필름(20)과 제2필름(40)은, 열압착에 의해 서로 융해되어 접착되되, 공기층(81) 및 내용물(30)의 향이 발산되도록 돌기(13)가 형성된 부분만 열압착되어 접착된다.
또한, 접착부(12)와 파지부(80) 사이에는, 하측면에 칼선(82)이 형성되고, 상측면에 돌기(13)가 형성된다.
이때, 제1필름(20)은 칼선(82)에 의해 절단된다.
이는, 사용자가 파지부(80)를 꺾었을 때, 칼선(82)에 의해 용이하게 꺾을 수 있는 동시에, 제2필름(40)도 함께 꺾이게 된다. 즉, 제2필름(40)이 제1필름(20)에 압착되어 적층되어 있으며, 칼선(82)에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파지부(80)를 꺾더라도 제2필름(40)이 끊어지지 않는 이상 제3필름(50)과 제4필름(70)은 박리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파지부(80)를 잡아 당기게 되면, 제2필름(40)은 당아당겨지는 인위적인 외력에 의해 제1필름(20)과 접착된 부분이 끊어지게 되는 동시에 제1필름(20)에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필름(40)의 상부에 적층된 제3필름(50)과 제4필름(70)만 박리되는 것이다.
또한, 파지부(80)는, 돌출길이가 몸체(10)의 접착부(12) 최 외측 직경보다 더 길게 돌출형성되되 꺾인 상태에서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80)를 칼선(82)을 중심으로 제4필름(70)이 서로 마주하도록 꺾어 몸체(10)가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의 사이에 구비되면, 사용자가 꺾여진 파지부(80)의 끝단부를 잡고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제2필름(40)도 함께 잡아당겨 지지만, 제1필름(20)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필름(40)이 끊어지면서 제3필름(50)을 박리시킬 수 있다.
즉, 방향부재(6)는, 파지부(80)가가 칼선(82)을 중심으로 꺾여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의 사이에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시 파지부(80)의 끝단부를 잡고, 파지부(80)가 꺾여 돌출된 방향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용이하게 제3필름(50)을 박리시킬 수 있어, 고정부(5)로 고정된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를 벌리는 등의 동작이 필요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파지부(80)를 잡아 당겨 제3필름(50)과 제4필름(70)을 벗기고,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 된다. 종래와 같이, 박리필름을 벗기기 위하여 케이스를 열고, 필름을 벗긴 케이스에 넣은 후, 케이스를 다시 닫아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동작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케이스 제작비용보다 저렴하게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가 제작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파지부(80)가 보다 용이하게 꺾을 수 있고, 파지부(80)를 잡아당길 때 제2필름(40)의 끊어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접착부(12)와 파지부(80)사이에는, 파지부(80)의 폭보다 작도록 내입된 내입홈(8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입홈에 칼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는, 걸이부(7)를 더 포함한다.
걸이부(7)는, 전면부재(1) 또는 후면부재(2)의 끝단에 형성되어, 봉이나 돌기(13)에 걸릴 수 있다.
이때, 걸이부(7)는, 옷걸이 형태로 굴곡진 형태나,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7)는, 자동차의 룸미러에 걸어둘 수 있도록 끈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이부(7)를 통해, 자동차의 송풍구에 걸어 고정시켜 놓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는, 부착부(8)를 더 포함한다.
부착부(8)는, 후면부재(2)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벽이나, 자동차의 실내 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부착부(8)는 양면테이프나 벨크로테이프 또는 이를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의 거치를 위하여,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의 중간부에는, 후면부재(2)가 접혀지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전면부재(1)의 하측과 후면부재(2)의 상측에 각각 절곡가능한 제1절곡부(9a)와 제2절곡부(9b)가 형성된다.
즉, 제1절곡부(9a)와 제2절곡부(9b)가 절곡되어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가 부착되면,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의 중간부는, 지면에 지지되어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2)의 중간부에 부착부(8)가 구비되어, 지면이나 차량의 내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는, 걸이부(7), 부착부(8)를 이용하여 실내나 차량의 내부에 걸어놓거나 부착을 통해 다양하게 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내용물(30)의 모두 발향되면, 또 다른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를 곧바로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방향부제는, 부직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부직포는, 제2필름(40)과 제3필름(50) 사이에 구비되되, 제3필름(50)이 박리될 때 제2필름(40)에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2필름(40)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제2필름(40)은, 제3필름(50)이 박리된 후에, 외부로부터의 날카로운 물질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부직포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즉, 제2필름(40)이 찌져지지 않아, 몸체(10)의 보관홈(11)에 저장된 내용물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제2필름(40) 파손에 의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전면부재 2 : 후면부재
3 : 고정공 4 : 배출공
5 : 고정부 6 : 방향부재
7 : 걸이부 8 : 부착부
9a : 제1절곡부 9b : 제2절곡부
10 : 몸체 11 : 보관홈
12 : 접착부 13 : 돌기
20 : 제1필름 30 : 내용물
40 : 제2필름 50 : 제3필름
60 : 이형제 70 : 제4필름
80 : 파지부 81 : 공기층
82 : 칼선 83 : 내입홈
84 : 중심부

Claims (8)

  1. 고정공이 형성된 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의 하단이 연장되고 상기 전면부재의 후측면으로 접혀져 포개지며, 상기 고정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공이 형성된 후면부재;
    상기 후면부재가 접혀져 상기 전면부재와 포개질 때,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를 접착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향을 배출시키는 방향부재;를 포함하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 또는 후면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봉이나 돌기에 걸릴 수 있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재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벽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중간부에는, 상기 후면부재가 접혀지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전면부재의 하측과 후면부재의 상측에 각각 절곡가능한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중간부는, 상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절곡됨에 따라, 지면에 지지되어 거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재는,
    보관홈과 상기 보관홈의 상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으로 돌출되되 상기 접착부가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보관홈 내측면과 접착부의 상측면에 접착되어 적층된 제1필름과,
    상기 몸체의 접착부에 적층된 상기 제1필름과 열압착되며, 상기 제1필름이 적층된 보관홈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발산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용물의 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필름과,
    상기 제2필름의 상측면에 적층된 제3필름과,
    상기 제2필름과 제3필름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제3필름을 제2필름의 상측면에 인위적인 박리가 가능하게 접착시켜 적층시키는 이형제와,
    상기 제3필름의 상측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으로 적층되고, 고온에 의한 상기 제2필름 및 제3필름의 변형을 방지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제4필름 및
    상기 몸체의 접착부 외측으로 길게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접혀져 상기 전면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3필름과 제4필름이 박리되어, 상기 제2필름을 통해 발산되는 내용물의 향이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 제3필름 및 제4필름은, 상기 파지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상측에 적층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측면 중 중심부에는,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와 파지부 사이에는, 하측면에 칼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필름은, 상기 칼선에 의해 절단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칼선에 의해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접혀져 끝단부가 상기 전면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상기 제2필름이 끊겨지면서 상기 제3필름과 제4필름을 박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과 제3필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3필름이 박리될 때 상기 제2필름에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필름에 접착된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인위적으로 박리 가능한 박리필름이 적층된 방향제.
KR1020170029512A 2017-03-08 2017-03-08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KR20180102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12A KR20180102849A (ko) 2017-03-08 2017-03-08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12A KR20180102849A (ko) 2017-03-08 2017-03-08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49A true KR20180102849A (ko) 2018-09-18

Family

ID=6371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512A KR20180102849A (ko) 2017-03-08 2017-03-08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8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9360A1 (en) * 2021-07-09 2023-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ok for a volatile composition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9360A1 (en) * 2021-07-09 2023-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ok for a volatile composition disp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6603T3 (es) Recipiente flexible y elemento de cierre reusable
US7228968B1 (en) Stick-on, flexible, peel and seal package dispenser
EP3388359B1 (en) Refillable container
US20060188178A1 (en) Packaging container consisting of a plastic film
US8006466B2 (en) Disposable tissue package with reflective surface and reflective element for use with tissue packages
US9770307B2 (en) Cover assembly for a stethoscope and a dispenser kit
JP4832983B2 (ja) 容器
JP2005035671A (ja) ディスペンサーパッケージ用ホルダー
JP2010116200A (ja) 開閉自在容器
JPWO2014203404A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WO2012137965A1 (ja) 密閉ラベルおよび包装容器
KR20140079360A (ko) 스틱 도포기
KR20180102849A (ko) 방향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방향제
US20060151346A1 (en) Swab holder
JP2005219777A (ja) 包装体
KR101745299B1 (ko) 인위적으로 박리 가능한 박리필름 및 박리필름이 적층된 방향제
JP2015174670A (ja) 包装袋
JP3115485U (ja) 着脱自在のホルダー付き漏斗
JP5878503B2 (ja) 包装体、および包装体パッケージ
JP2012051649A (ja) 揮発性物質を拡散させるための使い捨て装置
ES2905631T3 (es) Sistema dispensador para toallitas húmedas
CN214525480U (zh) 一种防开启多层手提袋
JP2005112443A (ja) 包装ウエットティッシュ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供給キット
JP2010018284A (ja) ブリスター容器
JP3094108U (ja) 紙付着テープ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