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433A -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433A
KR20180092433A KR1020170018099A KR20170018099A KR20180092433A KR 20180092433 A KR20180092433 A KR 20180092433A KR 1020170018099 A KR1020170018099 A KR 1020170018099A KR 20170018099 A KR20170018099 A KR 20170018099A KR 20180092433 A KR20180092433 A KR 2018009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load value
value
rotating memb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995B1 (ko
Inventor
김봉윤
Original Assignee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브리봇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995B1/ko
Priority to CN201810132324.9A priority patent/CN108402986B/zh
Publication of KR2018009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1Pressure, vacuum level or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로봇 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로봇 청소기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회전 부재, 로봇 청소기의 주행에 따라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부 및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장치가 자동화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하거나, 피 청소면의 이물질을 닦아냄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전기 등과 같은 동력원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고착된 이물질이나 찌든때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로봇 청소기에 걸레가 부착되어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가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습식 청소 방식은 기존의 진공 청소용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걸레 등을 부착하는 단순한 방식에 불과하여 이물질 제거 효과가 낮고, 효율적인 습식 청소가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의 습식 청소 방식의 경우 기존의 흡입식 진공 청소기용 이동 방식과 장애물에 대한 회피 방식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주행하므로 피청소면에 산재된 먼지 등은 제거하더라도 피청소면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의 걸레 부착 구조의 경우, 걸레면에 의해 지면과의 마찰력이 높아진 상태가 되어 바퀴가 이동하기 위한 별도의 추진력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회전 부재의 회전력를 로봇 청소기의 이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주행함과 동시에 회전 부재에 부착된 클리너를 이용하여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 청소기의 주행에 따라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고, 감지된 부하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를 주행시키는 단계, 상기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하값은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의 부하 전류값이고, 상기 제2 부하값은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의 부하 전류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복수의 청소 모드 중 직진 청소 모드에서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기 이전에 획득된 부하값을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직진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균 부하값과 상기 제2 평균 부하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 부하값의 편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균 부하값과 상기 제2 평균 부하값 중 값이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실시간 획득된 제1 부하값과 실시간 획득된 제2 부하값 중 값이 큰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평균 부하값과 결정된 부하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 장애물 회피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물 회피 모드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후진 주행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가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작은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가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큰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시점의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 중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직전 시점의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 중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점의 값이 큰 평균 부하값과 직전 시점의 값이 큰 평균 부하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청소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제1 설정값 보다 크고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를 이물질 집중 청소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를 이물질 회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회전 부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하 감지부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하값은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의 부하 전류값이고, 상기 제2 부하값은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의 부하 전류값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는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제1 클리너 및 제2 클리너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을 통해 피청소면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는 다양한 패턴을 그리며 청소 주행할 수 있고, 지형 지물에 적합한 청소 패턴을 선택하여 효율적인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는 주행시 장애물 감지를 위한 센서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 맞닥뜨릴 수 있는 피청소면의 찌든 때, 물 등과 같이 회전 부재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위치한 영역을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해당 장애물을 회피하며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직진 청소 모드의 로봇 청소기가 정확하게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정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직진 주행을 구현하기 위한 회전 부재의 회전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직진 주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은 직진 청소 모드에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13은 로봇 청소기가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린 경우,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4는 도 12 내지 13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회전 부재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피청소면의 이물질 위를 주행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정면도 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정면도에 대응되는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100)는 구조적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본체(10)를 보호하는 범퍼(20), 범퍼(2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외부 충격 감지부(130), 본체(10)에 설치되어 로봇 청소기(100)를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50), 상기 구동부(150)에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110), 제2 회전 부재(120)와, 본체(10)의 내부 설치된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100)는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210,220)를 이용하여 습식 청소를 수행하며 주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습식 청소는 클리너(210,220)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을 닦는 청소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른 걸레 등을 이용한 청소, 액체에 젖은 걸레 등을 이용한 청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 부재(110)와 결합하는 제1 구동부(151),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회전 부재(120)와 결합하는 제2 구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0)는 모터, 기어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10)는 제1 구동부(151)에 결합되어 제1 구동부(151)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에 의한 제1 회전 축(31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전달 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청소를 위한 제1 클리너(210)가 고정 가능한 제1 고정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 부재(120)는 제2 구동부(152)에 결합되어 제2 구동부(152)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에 의한 제2 회전 축(32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전달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청소를 위한 제2 클리너(220)가 고정 가능한 제2 고정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달 부재(111) 및 제2 전달 부재(112)의 하단 영역은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피청소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달 부재(111) 및 제2 전달 부재(112)는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피청소면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112) 및 제2 고정 부재(122)는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피청소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예를 들어,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습식 청소를 위한 제1 클리너(210) 및 제2 클리너(2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리너(210) 및 제2 클리너(220)는 회전 운동을 통해 바닥면의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극세사 천, 걸레, 부직포, 브러시 등과 같이, 다양한 피청소면을 닦을 수 있는 천과 같은 섬유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클리너(210) 및 제2 클리너(220)의 형태는 도 1과 같이 원형일 수 있으나, 형태에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클리너(210) 및 제2 클리너(220)의 고정은 제1 고정 부재(112) 및 제2 고정 부재(122)에 덮어씌우는 방법이나, 별도의 부착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리너(210) 및 제2 클리너(220)는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제1 고정 부재(112) 및 제2 고정 부재(122)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 클리너(210)와 제2 클리너(220)가 회전함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마찰을 통해 바닥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210,220)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생성되면 그 마찰력은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가 회전함에 따라 클리너(210,220)와 피청소면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그 합력이 작용하는 크기 및 방향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속도 및 주행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특히, 도면 3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구동부(151,152)의 동력에 의한 제1, 제2 회전 부재(110,120) 각각의 제1 회전축(310), 제2 회전축(320)은 로봇 청소기(100)의 수직 방향 축에 대응되는 중심축(3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회전 부재(110,12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제2 회전 부재(110,120)의 영역 중 중심축(300)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영역은 중심축(300)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영역 보다 피청소면에 강하게 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300)은 로봇 청소기(100)의 피청소면에 대한 수직 방향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00)가 청소 작업 중에 X, Y 축에 의하여 형성되는 X-Y 평면을 주행하여 청소한다고 가정할 때, 중심축(300)은 로봇 청소기(100)의 피청소면에 대한 수직 방향 축인 Z축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정 각도는, 중심축(300)에 대하여 제1 회전축(310)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제1 각도(a 도) 및 상기 중심축(300)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축(320)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제2 각도(b 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각도 및 제2 각도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1도 이상 3도 이하의 각도 범위 내의 각도일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도 범위는, 하기의 표 1로 알 수 있듯이, 로봇 청소기(100)의 습식 청소 능력, 주행 속도, 주행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다.
기울어진 각도 청소 능력(3점 기준) 주행 속도(3점 기준)
1도 미만 클리너와 마찰하는 청소면 모두 청소 가능(3) 매우 느림(0)
1도 클리너와 마찰하는 청소면 모두 청소 가능(3) 느림(1)
1.85도 클리너와 마찰하는 청소면 중 중심축 부근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청소 가능(2) 보통(2)
3도 클리너와 마찰하는 청소면 중 중심축 부근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청소 가능(1) 빠름(3)
3도 초과 클리너와 마찰하는 청소면 중 중심축 부근 대다수 영역을 제외하고 청소 가능(0) 빠름(3)
즉, 상술한 표 1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의 한 쌍의 회전축(310,320)이 중심축(3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 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속도 및 청소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정 각도를,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로 유지하여, 로봇 청소기의 습식 청소 능력 및 주행 속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술한 각도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소정 각도에 따라 한 쌍의 회전 부재(110, 120)가 회전하는 경우, 피청소면과 클리너(210,2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대 마찰력은 본체(10) 중심보다 외곽에서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 부재(110, 120)의 회전을 각각 제어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대 마찰력에 의해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속도 및 주행 방향의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속도 및 주행 방향의 제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동작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은 문턱, 카페트 등과 같은 낮은 장애물, 소파나 침대 등과 같이 일정 높이 위에 떠있는 장애물, 벽 등과 같이 높은 장애물, 낙하 지점 등과 같은 장애물 등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주행을 방해하는 다양한 장애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 본체(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범퍼(20)는 장애물과의 충돌에 따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본체(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외부 충격 감지부(130)는 범퍼(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범퍼(20)는 본체(10)의 제1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범퍼(21) 및 제1 범퍼(21)와 별도로 본체(10)의 제2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2 범퍼(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범퍼(20)는 로봇 청소기(10)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F)을 기준으로 본체(10)의 각각 좌측 및 우측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범퍼(21)는 로봇 청소기(10)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F)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좌측 둘레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범퍼(22)는 정면이 향하는 방향(F)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우측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범퍼(21)와 제2 범퍼(22)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서로 다른 범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범퍼들은 서로 별개로 작동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 제1 범퍼(21)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제1 범퍼(21)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흡수된 외부 충격을 제1 범퍼(21)에 대응 설치된 제1 외부 충격 감지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제2 범퍼(22)는 제1 범퍼(21)와 물리적으로 별개의 범퍼로 구현되는 바, 상기 충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2 범퍼(22)에 대응 설치된 제2 외부 충격 감지부는 외부 충격을 전달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범퍼(20)의 상부 끝단 및 하부 끝단의 높이는 소정 조건에 부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00)는 주행 중 맞닥뜨리게 되는 다양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범퍼(21) 및 제2 범퍼(22)의 하부 끝단은 피청소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범퍼(21) 및 제2 범퍼(22)의 하부 끝단과 피청소면과의 거리는 클리너(210,2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리너(210,2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범퍼(21) 및 제2 범퍼(22)는 얕은 문턱, 카페트 등과 같이 낮은 장애물에도 충돌하게 되어, 로봇 청소기(100)는 낮은 장애물을 감지 및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범퍼(21) 및 제2 범퍼(22)의 상부 끝단은 장애물이 범퍼(21,22)에는 충돌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0)에만 걸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범퍼(21) 및 제2 범퍼(22)의 상부 끝단의 높이는 본체(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본체(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범퍼(21) 및 제2 범퍼(22)는 소파나 침대 등과 같이 일정 높이 위에 떠 있는 장애물에도 충돌하게 되어, 범퍼(21,22)에는 충돌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0)에만 걸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100)는 클리너(210,220)가 최적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123)를 구비할 수 있다.
만약, 클리너(210,220)가 최적의 위치에 고정되지 않으면, 제1 회전 부재(112), 제2 회전 부재(122)의 회전에 따라 클리너(210,220)와 피청소면이 닿는 부분이 달라지게 되고, 이는 한쌍의 클리너(210,220)에 대하여 불균형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원하는 주행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진 청소 모드의 로봇 청소기(100)는 직진 주행을 수행하지 못하고, 곡선으로 휘어져서 주행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회전 부재(112), 제2 회전 부재(122) 각각에서 클리너(210,220)가 고정되는 하부면은, 하부면의 테두리를 따라 피청소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클리너(210,220)가 최적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1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의 사용자는 클리너(210,220)를 최적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외부 충격 감지부(130)는 범퍼(2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충격 감지부(130)는 복수의 범퍼 각각에 대응대는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외부 충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두 개의 범퍼(21,22)로 구현되는 경우, 외부 충격 감지부(130)는 제1 범퍼(21)에 대응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외부 충격 감지부 및 제2 범퍼(22)에 대응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외부 충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접촉 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충격 감지부(130)는 감지 결과를 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외부 충격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범퍼(20) 영역 중 장애물과 충돌이 발생한 충돌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제1 구동부(151), 제2 구동부(15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외부 충격 감지부(130), 부하 감지부(135), 통신부(140),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입력부(180),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충격 감지부(130)는 범퍼(2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송하는 외부 충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충격 감지부는 접촉 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외부 충격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범퍼(20) 영역 중 장애물과 충돌이 발생한 충돌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제1 구동부(151), 제2 구동부(15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부하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에 따라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 로봇 청소기(100)의 제1 클리너(210)가 피청소면에 위치한 찌든 때, 물 등의 이물질에 접촉하는 경우, 제1 클리너(210)가 부착된 제1 회전 부재(110)에는 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 로봇 청소기(100)의 제2 클리너(220)가 피청소면에 위치한 찌든 때, 물 등의 이물질에 접촉하는 경우, 제2 클리너(220)가 부착된 제2 회전 부재(120)에는 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00)의 습식 청소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청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부하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에 따라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부하 감지부(135)는 제1 회전 부재(110)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을 획득하는 제1 부하 감지부와 제2 회전 부재(120)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하는 제2 부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하값은 제1 회전 부재(110)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의 부하 전류값이고, 제2 부하값은 제2 회전 부재(1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의 부하 전류값일 수 있다. 즉, 부하 감지부(135)는 모터의 부하 전류값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부하 감지부(135)는 모터에 인가되는 부하 전류값이 아닌 다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부하 감지부(135)는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를 따라 요청된 회전 부재(110,120)의 회전 속도와 실제 출력된 회전 부재(110,120)의 회전 속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술한 부하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부하 감지부(13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부하 감지부(135)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에 수집된 30 ~ 50 개의 부하 전류값을 기초로 평균 부하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의 복수의 청소 모드 중 직진 청소 모드에서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상술한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가 직진 주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획득된 부하값(예를 들어, S자 패턴 등과 같은 패턴 주행하며 획득된 부하값)은 주행 패턴 특성으로 인하여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의 직진 주행 중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부하 감지부(135)는 장애물이 감지되기 이전에 획득된 부하값을 리셋하고, 새롭게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는 주행 중에 문턱, 카페트 등과 같은 낮은 장애물, 소파나 침대 등과 같이 일정 높이 위에 떠있는 장애물, 벽 등과 같이 높은 장애물, 낙하 지점 등과 같은 장애물 등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주행을 방해하는 다양한 장애물을 만날 수 있다. 만약, 장애물이 감지된 상태에서 획득된 부하값은 장애물의 간섭에 의하여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부하 감지부(135)는 장애물이 감지되기 이전에 획득된 부하값을 리셋하고, 새롭게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부하 감지부(135)에서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1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통신부(140)는 로봇 청소기(100)와 다른 무선 단말 사이 또는 로봇 청소기(100)와 다른 무선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의 무선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이와 같은 통신부(140)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 상태 또는 동작 방식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하는 단말로는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00)와 통신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리모컨(원격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를 회전 운동시키기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0)는 제1 구동부(151) 및 제2 구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 및/또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로봇 청소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80)는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 모드는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공간을 집중적으로 청소하는 집중 청소 모드, 벽면을 따라 주행하며 청소하는 벽타기 청소 모드,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값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수동 청소 모드, S자 패턴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S자 청소 모드, Y자 패턴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Y자 청소 모드, 직진 주행하며 청소하는 직진 청소 모드, 복수의 청소 모드 중 로봇 청소기의 주행 상황에 적절한 청소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청소하는 자동 청소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리모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85)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및 알람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로봇 청소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가 청소 중인 경우 청소 모드와 관련된 청소 시간, 청소 방법, 청소 영역 등을 표시하는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로봇 청소기(100)의 구성하는 각 기능부들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9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특정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면, 로봇 청소기(1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가 회전하는 속도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0)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상대적으로 반대편에 위치한 일단 및 타단이,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된다. 즉, 제1 회전 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제1 회전 부재(110) 반대편에 위치한 일단이 이동하는 방향과,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제2 회전 부재(120)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이 이동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되게 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00)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합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면서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회전력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와 제2 회전 부재(120)가 서로 상이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몸체(10)를 기준으로 제1 회전 부재(110)의 마찰력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일단이 이동하는 방향은 제2 회전 부재(110)의 마찰력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타단이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직진 주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직진 주행을 구현하기 위한 회전 부재의 회전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표이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회전 제어 테이블 값에 기반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함으로써, 각 회전 부재(110, 120)의 회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회전 제어 테이블은 청소 모드 별로 각 회전 부재(110, 120)에 할당되는 방향값, 속도값 및 시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부재(110)의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 회전 부재(110, 120)의 회전 속도 및 시간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및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은 로봇 청소기(100)를 상단에서 내려본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로봇 청소기(100)를 진행 방향(300)을 12시로 하여 상단에서 내려본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진행 방향(300)을 12시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은 로봇 청소기(100)의 정면(Front)이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회전 부재(110,120)을 도 6에 도시된 제어 테이블을 기초로 회전시킨다면, 로봇 청소기(100)는 도 7과 같이 직진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 회전 부재(120)을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찰력에 따른 상대적인 이동력을 발생시키고, 주행 방향으로의 직진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1 내지 7에서 회전축(310,320)의 기울어진 방향은 일 예시 일 뿐, 구현 예에 따라서는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2 회전 부재(110,120) 각각의 제1 회전축(310), 제2 회전축(320)은 로봇 청소기(100)의 수직 방향 축에 대응되는 중심축(300)에 대하여 도 3 내지 4의 경우와 반대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회전 부재(110,120)는 중심축(30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제2 회전 부재(110,120)의 영역 중 중심축(300)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영역은 중심축(300)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영역 보다 피청소면에 강하게 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회전 부재(110, 120)가 회전하는 경우 피청소면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대 마찰력은 외곽보다 본체(10) 중심에서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7의 경우와는 반대로 한 쌍의 회전 부재(110, 120)의 회전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속도 및 방향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 회전 부재(120)을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찰력에 따른 상대적인 이동력을 발생시키고, 진행 방향으로의 직진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복수의 청소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 모드는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공간을 집중적으로 청소하는 집중 청소 모드, 벽면을 따라 주행하며 청소하는 벽타기 청소 모드,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값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수동 청소 모드, S자 패턴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S자 청소 모드, Y자 패턴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Y자 청소 모드, 직진 주행하며 청소하는 직진 청소 모드, 복수의 청소 모드 중 로봇 청소기의 현재 상황에 적절한 청소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청소하는 자동 청소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로봇 청소기(100)의 복수의 청소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청소 모드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모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부(180)를 통하여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청소 모드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청소 모드를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청소 주행 중인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에 장애물의 위치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되면 로봇 청소기(100)의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의 청소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축(310), 제2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110),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특정 방향으로 청소 주행할 수 있다(S101).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는 주행 방향에 장애물의 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의 감지부(130)는 복수의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장애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주행 방향에 장애물 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 감지 센서는 외부로 적외선 또는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장애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애물 검출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로봇 청소기(100)가 기 설정된 거리 또는 시간 동안 직진 주행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로봇 청소기(100)가 직진 주행하는 동안 감지부(130)에서 외부 충격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범퍼(20)와 장애물이 충돌하지 않아 감지부(130)에서 외부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주행시 장애물 감지를 위한 센서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만약, 장애물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S102:N), 로봇 청소기(100)는 로봇 청소기(100)의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의 청소 모드를 결정하고(S103), 결정된 청소 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S104).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결정된 청소 모드로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장애물이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S102:Y), 로봇 청소기(100)는 장애물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S105), 전환된 방향으로 주행하며 장애물 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을 회피하고, 주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가 장애물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회전 제어는 몇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제어하여 장애물이 검출된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제자리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장애물이 검출된 방향의 특정 회전 부재, 예를 들어 제1 회전부재(110)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우, 제2 회전부재(110)의 회전은 중단한 상태에서 제1 회전부재(110)의 회전 방향을 현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시간동안 회전하여 장애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장애물이 제1 회전부재(110) 및 제2 회전부재(120) 전방에서 모두 검출되는 경우에는, 제1 회전부재(110) 및 제2 회전부재(120)의 회전 방향을 모두 현재와 상이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진행 방향을 반대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장애물이 검출된 방향을 제외한 특정 방향을 선택하여 주행 방향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방향은 상기 방향 전환 결과에 따라, 상기 장애물이 검출된 방향을 제외한 무작위 방향이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이동 경로에 따라 결정된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부하 감지부(135)에서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1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17에서 회색 음영이 표시된 회전 부재는 제1 회전 부재(110)일 수 있고, 회색 음영이 표시되지 않은 회전 부재는 제2 회전 부재(120)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로봇 청소기(100)를 특정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S201). 일 예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제1 회전 부재(110) 하나만 회전시키는 경우, 제1 회전 부재(110)가 설치된 로봇 청소기(100)의 영역은 이동하고, 제2 회전 부재(120)가 설치된 로봇 청소기(100)의 영역은 이동하며,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특정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회전 부재(110)는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 회전 부재(120)는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특정 방향으로 전진 주행할 수 있다.
한편, 부하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에 따라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S202). 보다 구체적으로, 부하 감지부(135)는 제1 회전 부재(110)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제2 회전 부재(120)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하값과 제2 부하값은 20ms 단위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하값은 제1 회전 부재(110)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의 부하 전류값이고, 제2 부하값은 제2 회전 부재(1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의 부하 전류값일 수 있다.
한편, 감지하는 단계(S202)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부하 감지부(135)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에 수집된 30 ~ 50 개의 부하 전류값을 기초로 평균 부하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로봇 청소기(100)의 복수의 청소 모드 중 직진 청소 모드에서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장애물이 감지되기 이전에 획득된 부하값을 리셋하는 단계 및 리셋 이후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부하 감지부(135)에서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S203). 일 예로, 제어부(170)는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110,1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 중 맞닥뜨릴 수 있는 피청소면의 찌든 때, 물 등과 같이 회전 부재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위치한 영역을 탈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110,1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00)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해당 장애물을 회피하며 습식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110,1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직진 청소 모드의 로봇 청소기(100)가 정확하게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직진 청소 모드에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로봇 청소기(100)의 직진 주행 중 회전 부재(110,120)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회전 부재(110,120)의 회전을 제어하지 않으면, 로봇 청소기(100)의 회전 부재(110,120)들 사이의 부하 편차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가 직진 주행을 수행하지 못하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져 주행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110,1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면, 직진 청소 모드에서, 제어부(170)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제어하여 로봇 청소기(100)를 직진 주행시킬 수 있다(S301). 일 예로, 도 11의 1101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직진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부하 감지부(135)는 제1 회전 부재(110)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제2 회전 부재(120)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할 수 있다(S302).
그리고, 부하 감지부(13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S303).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의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할 수 있다(S304).
만약,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S304:Y), 도 11의 1102, 1104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회전 부재(110,120)들 사이의 부하 편차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가 직진 주행을 수행하지 못하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져 주행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S304:Y), 평균 부하값의 편차에 따라 제1 회전 부재(110)와 상기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S305). 일 예로, 제1 회전 부재(110)에 대한 평균 부하값이 제2 회전 부재(120)에 대한 평균 부하값 보다 큰 경우, 평균 부하값의 편차를 고려하여 제1 회전 부재(110)의 회전 속도를 키우고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 속도를 종래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회전 부재(110)에 대한 평균 부하값이 제2 회전 부재(120)에 대한 평균 부하값 보다 큰 경우, 평균 부하값의 편차를 고려하여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 속도를 낮추고 제1 회전 부재(110)의 회전 속도는 종래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회전 부재(110)에 대한 평균 부하값이 제2 회전 부재(120)에 대한 평균 부하값 보다 큰 경우, 평균 부하값의 편차를 고려하여 제1 회전 부재(110)의 회전 속도를 높이고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 속도는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의 1103, 1105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정확하게 직진 주행할 수 있다.
다만,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은 경우(S304:N), 부하 감지부(135)는 S30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회전 부재들(110,120) 사이의 부하 편차를 고려하여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직진 청소 모드의 로봇 청소기가 정확하게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3은 로봇 청소기가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린 경우,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4는 도 12 내지 13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 중에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주행 경로에 장애물이 위치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장애물을 미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르면,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해당 장애물을 회피하며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로봇 청소기를 특정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S401). 일 예로, 도 14의 1201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직진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부하 감지부(135)는 제1 회전 부재(110)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제2 회전 부재(120)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할 수 있다(S402). 그리고, 부하 감지부(13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S403).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 중 값이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고(S404), 실시간 획득된 제1 부하값과 실시간 획득된 제2 부하값 중 값이 큰 부하값을 결정할 수 있다(S405).
그리고, 제어부(170)는 S404 단계에서 결정된 평균 부하값과 S405 단계에서 결정된 부하값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S406). 그리고, 제어부(170)는 S406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다(S407).
만약,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S407:Y), 횟수를 카운트 하고, 카운트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S408:Y), 도 14의 1202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로봇 청소기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2000)에 걸려 장애물을 밀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지 못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정상적인 청소 주행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S407:Y), 횟수를 카운트 하고, 카운트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S408:Y), 장애물 회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409). 여기서, 장애물 회피 모드는 장애물을 회피하여 주행하기 위한 모드로, 일 예로, 도 13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애물 회피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70)는 로봇 청소기(100)가 소정 시간 동안(T1) 후진 주행하도록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S410). 일 예로, 장애물 회피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를 기존 회전 방향인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제2 회전 부재(120)를 기존 회전 방향인 제2 방향과 반대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의 1203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장애물을 회피하여 후진 주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T2), 로봇 청소기(100)가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작은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S411). 일 예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큰 제1 회전 부재(110)를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부하값이 작은 제2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의 1204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부하값이 큰 제1 회전 부재(110)가 위치한 영역만이 후진 주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T3), 로봇 청소기(100)가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큰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S412). 일 예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작은 제2 회전 부재(120)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부하값이 큰 제1 회전 부재(110)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의 1205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부하값이 작은 제2 회전 부재(120)가 위치한 영역만이 후진 주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청소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70)는 집중 청소 모드, 자동 청소 모드, S자 청소 모드, 직진 청소 모드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청소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 따르면,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 범퍼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해당 장애물을 회피하며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로봇 청소기의 복수의 회전 부재(110,120) 중 어느 한쪽의 회전 부재만이 문지방 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고착된 경우, 일반적인 후진 주행 만으로는 회전 부재가 고착된 영역을 탈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르면, 장애물 회피 모드에서 로봇 청소기(100)가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작은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회전 부재가 고착된 영역을 쉽게 탈출할 수 있다.
도 15는 회전 부재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피청소면의 이물질 위를 주행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 중에 피청소면의 찌든 때, 물 등과 같이 회전 부재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맞닥뜨리는 경우, 이러한 이물질에 대한 깨끗한 습식 청소와 동시에 이물질이 위치한 영역을 탈출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도 15 내지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로봇 청소기를 특정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S501). 일 예로, 도 16(A)의 1301 또는 도 16(B)의 1401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직진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부하 감지부(135)는 제1 회전 부재(110)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제2 회전 부재(120)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할 수 있다(S502). 그리고, 부하 감지부(13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할 수 있다(S503).
그리고, 제어부(170)는 현재 시점의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 중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고(S504), 직전 시점의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 중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할 수 있다(S505).
그리고, 제어부(170)는 S504 단계에서 결정된 현재 시점의 값이 큰 평균 부하값과 S505 단계에서 결정된 직전 시점의 값이 큰 평균 부하값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S506).
그리고, 제어부(170)는 S506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상황에 적절한 청소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6(A)의 1302와 같이, 피청소면에 찌든 때와 같은 회전 부재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맞닥뜨리는 경우, S506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제1 설정값 보다 크고, 제2 설정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물질에 대한 깨끗한 습식 청소와 동시에 이물질이 위치한 영역을 탈출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S506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제1 설정값 보다 크고,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S506:Y), 제어부(170)는 청소 모드를 집중 청소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508).
여기서 집중 청소 모드는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공간을 집중적으로 청소하는 집중 청소 모드일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70)를 제어하여, 로봇 청소기(10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A)의 1303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찌든 때 위에서 제자리 회전하며 찌든 때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제어하여, 로봇 청소기(100)가 회전 반경을 넓혀가며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찌든 때와 같은 이물질이 위치한 영역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집중 청소 모드 중에 부하 감지부(135)에서 실시간으로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찌든 때와 같은 이물질의 제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찌든 때와 같은 이물질의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청소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70)는 자동 청소 모드, S자 청소 모드, 직진 청소 모드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청소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6(B)의 1402와 같이, 피청소면의 물과 같은 주행을 방해하는 부하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S506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은 제2 설정값 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물질이 위치한 영역을 탈출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S556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제2 설정값 보다 큰 경우(S507:Y), 제어부(170)는 이물질 회피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509).
이물질 회피 모드에서, 제어부(170)는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작은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큰 제2 회전 부재(120)를 기존 회전 방향인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부하값이 작은 제1 회전 부재(110)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B)의 1403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이물질을 회피하며 주행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작은 제1 회전 부재(110)를 기존 회전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부하값이 큰 제2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B)의 1404과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이물질을 회피하며 주행할 수 있다.
한편, 부하 감지 결과 이물질을 회피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청소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70)는 집중 청소 모드, 자동 청소 모드, S자 청소 모드, 직진 청소 모드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청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청소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B)의 1405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이물질을 회피하며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 맞닥뜨릴 수 있는 피청소면의 물과 같은 주행을 방해하는 부하 조건울 회피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정면과 배면이 대칭된 구조로, 기준 방향 설정에 따라 전진 주행이 후진 주행이 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후진 주행이 전진 주행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좌측면과 우측면이 대칭된 구조로, 기준 방향 설정에 따라좌회전 주행이 우회전 주행이 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우회전 주행이 좌회전 주행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들에서 방향은 일 예시일 뿐, 구현에 따라서 대칭되는 방향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로봇 청소기 10: 본체
20 : 범퍼 110: 제1 회전 부재
120: 제2 회전 부재 130: 외부 충격 감지부
135 : 부하 감지부 140: 통신부
150: 구동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180: 입력부
185: 출력부 190 : 전원 공급부

Claims (13)

  1. 복수의 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를 주행시키는 단계;
    상기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하값은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의 부하 전류값이고,
    상기 제2 부하값은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의 부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복수의 청소 모드 중 직진 청소 모드에서 획득된 부하값을 기초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기 이전에 획득된 부하값을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직진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균 부하값과 상기 제2 평균 부하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 부하값의 편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균 부하값과 상기 제2 평균 부하값 중 값이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실시간 획득된 제1 부하값과 실시간 획득된 제2 부하값 중 값이 큰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평균 부하값과 결정된 부하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값 보다 큰 경우, 장애물 회피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회피 모드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후진 주행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가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작은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가 복수의 회전 부재 중 부하값이 큰 회전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후진 주행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시점의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 중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직전 시점의 제1 평균 부하값과 제2 평균 부하값 중 큰 평균 부하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점의 값이 큰 평균 부하값과 직전 시점의 값이 큰 평균 부하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값과 기 설정된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청소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제1 설정값 보다 크고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를 이물질 집중 청소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를 이물질 회피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1.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회전 부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부하를 기초로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부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1 부하값과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제2 부하값을 획득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1 부하값을 기초로 제1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된 제2 부하값을 기초로 제2 평균 부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하값은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의 부하 전류값이고,
    상기 제2 부하값은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의 부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170018099A 2017-02-09 2017-02-09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7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99A KR101970995B1 (ko) 2017-02-09 2017-02-09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1810132324.9A CN108402986B (zh) 2017-02-09 2018-02-09 机器人吸尘器及其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99A KR101970995B1 (ko) 2017-02-09 2017-02-09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33A true KR20180092433A (ko) 2018-08-20
KR101970995B1 KR101970995B1 (ko) 2019-04-22

Family

ID=6312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99A KR101970995B1 (ko) 2017-02-09 2017-02-09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0995B1 (ko)
CN (1) CN10840298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284A (ko) * 2018-04-02 2019-10-11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17836A (ko) * 2018-03-26 2019-10-17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32938A1 (ko) * 2019-12-24 2021-07-01 에브리봇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32939A1 (ko) * 2019-12-24 2021-07-01 에브리봇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4746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유진로봇 청소 모듈의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 로봇 동작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851A (ko) * 2019-12-24 2021-07-02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03339A (ko) * 2020-07-01 2022-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044B1 (ko) * 1992-09-08 1995-03-10 주식회사금성사 자동주행 청소기의 충돌 감지방법
JP2005205028A (ja) * 2004-01-23 2005-08-04 Sharp Corp 自走式掃除機
KR20150107693A (ko) * 2015-06-16 2015-09-23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90571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
KR20160107663A (ko) * 2015-03-05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12231B (ko) * 1991-08-01 1993-09-01 Hitachi Seisakusyo Kk
EP1389059B1 (en) * 2001-05-15 2010-01-20 Arçelik A.S. A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US9504367B2 (en) * 2013-11-20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0570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044B1 (ko) * 1992-09-08 1995-03-10 주식회사금성사 자동주행 청소기의 충돌 감지방법
JP2005205028A (ja) * 2004-01-23 2005-08-04 Sharp Corp 自走式掃除機
KR20160090571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
KR20160107663A (ko) * 2015-03-05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EP3076263A2 (en) * 2015-03-05 2016-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07693A (ko) * 2015-06-16 2015-09-23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836A (ko) * 2018-03-26 2019-10-17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15284A (ko) * 2018-04-02 2019-10-11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32938A1 (ko) * 2019-12-24 2021-07-01 에브리봇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32939A1 (ko) * 2019-12-24 2021-07-01 에브리봇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4746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유진로봇 청소 모듈의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 로봇 동작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20074745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유진로봇 바닥 환경 감지 기반의 이동 로봇 동작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02986A (zh) 2018-08-17
KR101970995B1 (ko) 2019-04-22
CN108402986B (zh)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790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70995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624517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9133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624518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8881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07905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주행 제어 방법
KR200481332Y1 (ko) 로봇 청소기
KR101613446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104432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78882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8879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07398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78893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7085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07608A (ko) 로봇 청소기
KR101622737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25392A (ko) 흡입 노즐,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13467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115425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07693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1918592A (zh) 清扫机器人以及其控制方法
US20210186293A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4424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115424A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