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915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915A
KR20180078915A KR1020160184186A KR20160184186A KR20180078915A KR 20180078915 A KR20180078915 A KR 20180078915A KR 1020160184186 A KR1020160184186 A KR 1020160184186A KR 20160184186 A KR20160184186 A KR 20160184186A KR 20180078915 A KR20180078915 A KR 2018007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ontroller
portable terminal
baby carriag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술
박봉균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915A/ko
Publication of KR2018007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6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05Safety means for traffic, e.g. lights, reflectors, mirrors e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탑승한 아기의 상태를 분석하여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상황을 알리고, 필요한 경우 보호자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유모차에 관련된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전륜 및 후륜이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시트안착판, 상기 시트안착판 위에 안착되고, 아기가 수용되는 시트, 상기 후륜 중 좌측 후륜을 회전시키는 좌측 인휠 모터, 상기 후륜 중 우측 후륜을 회전시키는 우측 인휠 모터,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센서, 기 설정된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음향 센서를 통하여 상기 시트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모차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좌측 인휠 모터 및 상기 우측 인휠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의 상태에 따라 자동 주행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아기를 태우고 다니는 이동수단으로서, 아기가 수용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와, 상기 시트의 후방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모차는 아기의 안전성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하며, 보호자에게는 편리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기는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동안 잠을 자게 되고, 잠에서 깬 아기는 울음을 터트리게 되어, 보호자는 아기가 다시 잠들 때까지 보듬어서 조심히 흔들어 재우게 된다.
하지만, 보호자가 요리 중에 있거나, 상기 유모차를 끌고 외출하였을 때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잠에서 깬 아기를 보듬어서 조심히 흔들어 재우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상기 유모차는 아기가 잠에서 깨어 울음을 터트렸을 때 아기가 수용된 시트를 스윙하여 상기 아기를 다시 재울 수 있으면, 상기 보호자의 노고를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호자가 원하는 위치로 유모차가 이동될 수 있다면, 보호자가 아기에게 찾아갈 필요가 없게 되므로, 상기 보호자의 노고를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모차에 탑승한 아기가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상황에서 보호자가 유모차와 떨어져 있는 경우, 보호자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리고, 필요하다면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 연구 중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아기의 상태를 분석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아기의 상태에 따라 유모차로부터 떨어져 있는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접근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유모차가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보호자의 접근을 유도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보호자가 유모차에 접근한 경우, 불필요한 알림을 중단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아기의 울음소리나 체온을 감지하여, 감지된 울음 소리나 체온을 기반으로 아기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보호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의 상태를 분석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아기가 울거나,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하여 보호자의 휴대단말기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된 위치로 유모차가 이동하도록, 유모차에 구비된 인휠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가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서 유모차가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카메라 및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유모차와 주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와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유모차가 보호자에게 이동하는 것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모차가 이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가 이동할 수 없는 경우 보호자의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유모차의 그립부의 그립 센서를 통하여 보호자가 그립부를 잡는 것이 감지되면, 유모차의 위치 정보 및 시트 내부의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가 유모차에 완전히 접근한 경우 불필요한 알림을 중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아기의 상태 분석 결과를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아기의 상태에 대응하는 돌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아기가 돌봄이 필요한 상태인 경우 유모차가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접근하여, 보호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유모차가 이동할 수 없는 경우 보호자가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불필요한 알람을 중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알람을 제공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핸들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시트안착판에 설치된 스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시트안착판에 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수동주행모드일 때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어시스트주행모드일 때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시트를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시스템도,
도 11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스윙모션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에어케어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지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핸들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100)는, 전륜(1) 및 후륜(2,3)이 장착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시트안착판(20)과, 시트안착판(20) 위에 안착되는 시트(30)와, 바디(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핸들(40)을 포함한다. 시트(30) 및 시트안착판(20) 사이에는 공조판(5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공조판(50)에는 필터(51) 및 팬유닛(52)이 설치되어, 팬유닛(52)의 작동에 의해 시트(30) 내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전륜(1)은 하나로 구비되고, 후륜(2,3)은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후륜(2) 및 우측 후륜(3)을 포함한다.
바디(10)는 센터부(11)와, 전륜지지부(12)와, 좌측 후륜지지부(13)와, 우측 후륜지지부(14)를 포함한다. 센터부(11)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된다. 전륜지지부(12)는 센터부(11)의 전방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륜(1)이 장착된다. 좌측 후륜지지부(13)는 센터부(11)의 좌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좌측 후륜(2)이 장착된다. 우측 후륜지지부(14)는 센터부(11)의 우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우측 후륜(3)이 장착된다.
전륜(1), 좌측 후륜(2) 및 우측 후륜(3)은 각각 타이어와 휠로 구성된다. 각각의 타이어는 각각의 휠의 외둘레에 장착되고, 각각의 휠은 각각의 타이어를 지지한다.
좌측 후륜(2)의 휠에는 좌측 후륜(2)의 휠을 회전시키는 좌측 인휠 모터(60)가 장착되고, 우측 후륜(3)의 휠에는 우측 후륜(3)의 휠을 회전시키는 우측 인휠 모터(70)가 장착된다. 좌측 인휠 모터(60)가 구동되면 좌측 후륜(2)의 휠이 회전됨으로써 좌측 후륜(2)은 회전되고, 우측 인휠 모터(70)가 구동되면 우측 후륜(3)의 휠이 회전됨으로써 우측 후륜(3)은 회전된다.
전륜지지부(12)의 하측에는 배터리(4)가 장착된다. 배터리(4)의 전류는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의 구동원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스윙모듈(80) 및 팬모터(93)의 구동원으로도 사용된다.
센터부(11)의 후방측에는 핸들(40)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100)를, 실내에서 사용시 핸들(40)은 센터부(11)에서 탈거될 수 있고, 실외에서 사용시 핸들(40)은 센터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핸들(40)은 센터부(11)의 후방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장착부(41)와, 장착부(41)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잡는 그립부(42)를 포함한다. 바디(10)의 센터부(11) 후방에는 장착부(41)의 일단이 끼움되어 결합되는 장착홀(11A)이 형성된다.
장착부(41)는 센터부(11)의 후방측에 장착된 상태일 때,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립부(42)에는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를 제어하는 버튼들과, 스윙모듈(80)을 제어하는 버튼들과, 팬모터(93)를 제어하는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센터부(11)의 빈 내부에는 시트안착판(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5)가 설치된다. 액츄에이터(15)는 상단이 시트안착판(20)의 하측에 연결되어, 센터부(11)의 빈 내부에서 인출되면서 시트안착판(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센터부(11)의 빈 내부로 삽입되면서 시트안착판(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액츄에이터(15)를 작동시켜 시트안착판(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시트(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5)는 시트(30)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센터부(11)에는 카메라(5)가 설치된다. 카메라(5)는 좌측 후륜지지부(13) 및 우측 후륜지지부(15) 사이에 해당하는 센터부(11)의 후방에 설치된다. 카메라(5)는 주변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후술하는 컨트롤러(8)에 입력하고,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영상에서 장애물을 검출한다.
시트안착판(20)은 상측이 오목하고 하측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시트안착판(20)의 후방에는 거리센서(7)가 설치된다. 거리센서(7)는 카메라(5)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거리센서(7)는 카메라(5)가 촬영한 영상에서 검출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거리를 후술하는 컨트롤러(8)에 입력하고, 컨트롤러(8)는 거리센서(7)가 감지한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킨다.
카메라(5) 및 거리센서(7)는 유모차(100)를 실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핸들(40)이 센터부(11)에서 탈거되었을 경우에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안착판(20)의 상측면에는 시트(30)를 스윙하는 스윙모듈(80)이 설치된다. 스윙모듈(80)은 시트(30)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에 따라 시트(30)를 다양한 스윙모션으로 스윙할 수 있다.
시트(30)는 내부에 아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시트(30)의 상측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개구되어, 보호자가 핸들(40)의 그립부(42)을 잡고 주행시 보호자는 시트(30)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시트(30)에 수용된 아기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시트(30)의 내부에는 수용된 아기를 구속하는 안전벨트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시트안착판에 설치된 스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윙모듈(80)은 시트(30) 및 시트안착판(20) 사이에 배치되어 시트(30)를 스윙할 수 있다. 스윙모듈(80)은 2개의 캠축(81A,82A)으로 시트(30)를 전후좌우상하로 스윙할 수 있다. 스윙모듈(80)은 시트(30)를 스윙하는 스윙부(83)와, 스윙부(83)의 일단을 스윙하는 제1 캠축(81A)을 가지는 제1 구동부(81)와, 스윙부(83)의 타단을 스윙하는 제2 캠축(82A)을 가지는 제2 구동부(82)를 포함한다. 스윙부(83)는 공조판(50)을 지지하여 제1 구동부(81) 및 제2 구동부(8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스윙되는 경우 시트(30)를 스윙할 수 있다. 제1 캠축(81A) 및 제2 캠축(82A)은 서로 상이한 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시트안착판에 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트(30)에는 좌측에 좌측개구홀(30A)이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개구홀(30B)이 형성된다. 좌측개구홀(30A) 및 우측개구홀(30B)을 통해, 시트(30) 내에 수용된 아기를 관찰할 수 있고, 시트(30) 내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시트(30)의 외부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시트(30)는 상기 아기가 수용되는 쿠션부(31)와, 쿠션부(31)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32)를 포함한다. 쿠션부(31)는 쿠션력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쿠션력을 통해 아기에게 안락감을 제공한다. 커버부(32)는 쿠션부(31)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31)를 보호하고, 시트(30)의 외관을 형성한다.
커버부(32)에는 외측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림부(33)가 형성된다. 커버부(32)는 림부(33)에 의해 하측이 개구되고, 이 개구된 커버부(32)의 하측은 공조판(50)에 의해 차폐된다.
공조판(50)은 시트안착판(20) 및 시트(30) 사이에 배치되어 시트안착판(20)에 안착된다. 공조판(50)은 스윙모듈(80)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림부(33)를 지지한다. 공조판(50)은 스윙모듈(80)에 의해 스윙되어 시트(30)가 스윙될 수 있도록 한다.
공조판(50)이 림부(33)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공조판(50)은 커버부(32)의 하측면과의 사이에 공기유로(55)를 형성한다.
시트(30)에는 공기유로(55)와 연통하여 상기 아기가 수용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34)가 형성된다. 쿠션부(31)의 내측면에는 공기토출구(34)를 가리는 토출그릴(35)이 설치된다. 공기토출구(34)는 시트(3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토출그릴(35)은 쿠션부(31) 내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공기토출구(34)를 가린다.
공조판(50)에는 공기유로(55)와 연통하여 공기유로(55)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구(51)가 형성된다. 공조판(50)의 하측면에는 설치부(52)가 돌출 형성되고, 설치부(52)의 내부에는 필터(91)와 팬유닛(94)이 설치된다. 팬유닛(94)은 송풍구(51)의 하측에 배치되고, 필터(91)는 팬유닛(94)의 하측에 배치된다. 팬유닛(94)은 송풍팬(92)과, 송풍팬(92)을 구동시키는 팬모터(93)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트안착판(20)에는 팬모터(93)의 구동시 외부의 공기를 송풍구(51)로 안내하는 공기흡입구(25)가 형성된다. 공기흡입구(25)는 길이를 따라 만곡된 슬릿홀로 형성된다. 팬모터(93)가 구동되는 경우 송풍팬(92)이 회전되어 흡입력이 발생되고, 송풍팬(92)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흡입구(25)를 통해 설치부(52)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설치부(5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91)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송풍팬(92)을 통과하여 송풍구(51)를 통해 공기유로(55)로 이동되며, 공기유로(55)로 이동된 공기는 공기토출구(34) 및 토출그릴(35)을 통해 시트(30)의 내부로 토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수동주행모드일 때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어시스트주행모드일 때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그립부(42)는 장착부(41)의 상단에 90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4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는 정지되어, 사용자는 수동으로 유모차(100)를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립부(4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사용자는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의 구동력의 지원을 받으며 유모차(100)를 주행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시트를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트(30)는 유모차(100)에서 탈거된 후 자동차의 시트(S)에 설치될 수 있다. 시트(30)를 자동차의 시트(S)에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100)는 카 시트 안착판(57)과, 카 시트 안착판(57)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 서포터(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 시트 안착판(57)은 자동차의 시트(S) 위에 놓여지고, 높낮이 조절 서포터(58)는 상단이 카 시트 안착판(57)에 결합되고 하단은 차실 내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서포터(58)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카 시트 안착판(57)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카 시트 안착판(57)이 자동차의 시트(S) 위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카 시트 안착판(57)이 자동차의 시트(S) 위에 설치된 후, 시트(30)는 카 시트 안착판(57)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100)는, 카메라(5), 음향센서(6), 온도센서(6B), 거리센서(7), 그립부(42), 컨트롤러(8), 및 통신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각종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는 제어부(8B) 및 각종 모듈을 제어하고 유모차의 각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8A)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음향 센서(6)를 통하여 시트(6)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음향 센서(6)는, 컨트롤러(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되는 음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8)에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음향 신호가 제공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시트(6)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를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통신부(9)를 통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9)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9)는, 컨트롤러(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정보나 신호를 컨트롤러(8)에 제공하거나, 컨트롤러(8)가 제공하는 정보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휴대단말기(200), 서버(300), 및 기타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9)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9)는, 근거리 통신 장치(미도시), 위치 정보 통신 장치(미도시), 광통신 통신 장치(미도시), 및 방송 통신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장치(미도시)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 장치(미도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장치(미도시)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통신 장치(미도시)는,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통신 장치(미도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반송파 보정 위성항법시스템(Carrier phase Differental GPS, CDGPS)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통신 장치(미도시)는, GPS 모듈을 통하여,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통신 장치(미도시)는, 획득된 GPS 정보를 컨트롤러(8)로 전달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통신 장치(미도시)가 획득한 GPS 정보는, 유모차(100)의 이동 제어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는, GPS 정보, 및 서버(300)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유모차(100)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음향 센서(6)를 통하여 시트(30)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통신부(9)를 통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00)는, 수용된 아기가 울고 보호자가 유모차(100)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 기 설정된 보호자의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를 보호자의 위치로 보고, 보호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거리센서(7)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가 이동 중 외부 오브젝트로부터 설정 안전 거리 이내에 진입하지 않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설정 안전 거리는, 유모차(100)와 외부 오브젝트가 충돌하지 않기 위하여 요구되는 거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00)는,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 중, 외부 오브젝트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어, 유모차(100)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거리센서(7)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유모차(100)가 이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 및 유모차의 위치(100)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거리센서(7)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 오브젝트와 충돌하거나, 외부 오브젝트로부터 설정 안전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통신부(9)를 통하여 수신되는 유모차(100)의 GPS 정보, 및 카메라(5)가 촬영한 외부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판단된 유모차(100)의 위치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가 이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문자, 이미지, 및 음성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200)를 사용하는 보호자는, 유모차(100)가 보호자가 있는 위치로 올 수 없음을 인지할 수 있고, 유모차(1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보호자가 유아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유모차(100)와 외부 오브젝트의 충돌 가능성을 산출하고, 충돌 가능성 및 기 저장된 공간 안전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 주변의 안전도 분포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거리센서(7)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외부 오브젝트의 예상 이동 경로, 속도, 이동 방향, 위치, 및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외부 오브젝트의 예상 이동 경로, 속도, 이동 방향, 위치, 및 크기와 유모차(100)의 예상 이동 경로, 속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와 외부 오브젝트의 충돌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의 이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유모차(100)와 외부 오브젝트의 충돌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충돌 가능성 및 기 저장된 공간 안전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 주변의 안전도 분포를 판단할 수 있다.
기 저장된 공간 안전성 데이터는,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공간에 대하여 미리 설정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외부 오브젝트에 수가 적은 공간, 평지인 공간, 외부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가 적은 공간 등이 공간 안전성이 높은 공간으로 설정된 곳일 수 있다. 공간 안전성 데이터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공간 안전성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공간 안전성 데이터는, 서버(300)가 제공하는 업데이트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충돌 가능성 및 기 저장된 공간 안전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 주변 공간의 안전도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유모차(100) 주변 공간의 안전도 분포는, 유모차(100)가 주변 공간의 각각의 위치에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외부 오브젝트와의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유모차(100) 주변 공간의 안전도 분포는, 유모차(100)가 주변의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충돌 가능성도 고려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가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나 특정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의 충돌 가능성을 고려하여, 충돌 가능성이 낮을수록 안전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판단된 유모차(100) 주변의 안전도 분포에 기초하여, 안전도가 설정 안전도 이상인 공간 중 가장 가까운 위치로 유모차(100)가 이동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안전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의 위치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안전도가 설정 안전도 이상인 것은, 유모차(100)와 외부 오브젝트의 충돌 가능성이 일정 값 이하라는 의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00)는, 오브젝트와의 충돌 가능성이 설정 값 이하인 위치에서 보호자를 기다릴 수 있다.
카메라(5)는, 내부를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음향센서(6)를 통하여 시트(30)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내부 카메라가 촬영하는 시트(30)의 내부 영상을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200)를 사용하는 보호자는, 전송되는 영상으로 아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울음소리와, 저장된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아기가 우는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를 휴대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는, 메모리(8A)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는, 울음소리의 주파수, 소리 간격, 패턴 등에 대응하는 아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는, 서버(300)가 제공하는 업데이트를 통하여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음향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울음소리의 주파수, 패턴, 소리 간격 등을 판단하고,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에 대응되는 분석결과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8)는, 아기가 우는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200)를 사용하는 보호자는, 분석 결과를 통하여, 아기가 배가 고픈 상태인지, 배변을 한 상태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온도센서(6B)는 아기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6B)는, 온도를 특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6B)는, 시트에 복수 개가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6B)는, 시트 내부의 열분포를 측정하는 열 감지 카메라일 수 있다. 온도센서(6B)는, 아기의 체온 분포도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온도센서(6B)가 제공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에(30) 수용된 아기의 체온 분포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온도센서(6B)를 통하여 측정되는 아기의 체온 및 발열 부위에 기초하여, 아기가 기 설정된 보호 필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보호 필요 상태는, 아기의 체온 및 발열 부위에 대응하여 아기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보호 필요 상태는, 아기의 특정 부분의 체온이 설정 값 이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아기가 기 설정된 보호 필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보호 필요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아기의 체온을 확인할 수 있고, 체온이 비정상적인 경우를 판단하여, 아기가 아픈 경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아기의 체온 및 발열 부위에 기초하여, 아기가 우는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메모리(8A)에 저장된 분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아기의 체온 및 발열 부위에 대응하는 아기의 우는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보호자는, 아기의 체온에 기초한 분석 결과를 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음향센서(6)를 통하여 시트(30)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통신부(9)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치 정보, 및 카메라(5)가 촬영한 외부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의 위치를 판단하고, 유모차(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9)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치 정보는, GPS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아기가 우는 경우, 유모차(100)의 위치로 이동하여, 아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립부(42)는, 사용자의 그립을 감지하는 그립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부(42)를 잡으면, 그립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에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그립 센서가 전송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그립부(42)를 잡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그립부(42)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그립부(42)의 여러 부분에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그립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는 경우, 시트(30)의 내부 영상 또는 유모차(100)의 위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립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유모차(100)에 도착한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시트(30) 내부의 영상이나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를 더 이상 알릴 필요가 없으므로, 컨트롤러(8)는, 이러한 정보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정보의 전송을 중단하여, 정보 알림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8)는, 휴대단말기에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이상이 경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서버나 단말기로, 유모차(100)의 위치, 시트(30) 내부 영상, 유모차(100) 외부 영상, 및 울음소리에 기초한 아기 상태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서버나 단말기는, 미아방지센터 또는 경찰서의 서버나 단말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가 우는데 설정 시간이상 보호자가 도착하지 않는 경우, 경찰서나 미아방지센터의 서버로 현재 상황에 관련된 정보들이 전송될 수 있다.
음향센서(6)는 시트(30) 내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를 감지하고, 컨트롤러(8)는 음향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를 패턴에 따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패턴별로 제1 구동부(81) 및 제2 구동부(82)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켜 시트(30)의 스윙모션을 제어한다.
상기 패턴은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의 높낮이 및 길이일 수 있다. 컨트롤러(8)에는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를 높낮이 및 길이에 따라 구분하여 설정값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상기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8A)와, 음향센서(6)로부터 입력된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와 메모리(8A)에 저장된 상기 설정값을 비교하여 시트(30)의 스윙모션을 제어하는 제어부(8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값이 3개의 패턴으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즉, 컨트롤러(8)는, 음향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가 설정된 제1 패턴에 해당하면, 제1 구동부(81)를 작동시켜 스윙모듈(80)을 제1 스윙모션으로 작동시키고, 음향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가 설정된 제2 패턴에 해당하면, 제2 구동부(82)를 작동시켜 스윙모듈(80)을 제2 스윙모션으로 작동시키며, 음향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가 설정된 제3 패턴에 해당하면, 제1 구동부(81) 및 제2 구동부(82)를 작동시켜 스윙모듈(80)을 제3 스윙모션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영상에서 장애물을 검출하고, 거리센서(7)가 감지한 상기 검출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설정된 거리와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설정된 거리로 유지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서 유모차(100)를 주행시킨다.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영상에서 특징분포들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특징분포들별로 위치를 메모리(8A)에 저장하고, 카메라(5)가 촬영한 현재 영상에서 검출되는 특징분포들을 메모리(8A)에 저장된 특징분포들과 비교하여 현재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는 핸들(40)의 그립부(42)의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를 정지시키거나,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킨다. 즉, 컨트롤러(8)는 핸들(40)의 장착부(41)가 바디(10)의 센터부(11)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그립부(42)가 도 6과 같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를 정지시키고, 그립부(42)가 도 6과 같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90도로 회전되어 도 7과 같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시스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100)는 통신부(9)를 더 포함하는데, 통신부(9)는 보호자가 소지하는 휴대단말기(200)와 통신하거나, 휴대단말기(200)의 통신사의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9)는 휴대단말기(200)에 내장된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으며, 서버(300)와 원거리 통신하여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서버(300)로 제공된 신호를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부(9)는 휴대단말기(200) 또는 서버(300)와 통신하고, 컨트롤러(8)는 통신부(9)가 휴대단말기(200)에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으면, 제1 구동부(81) 및 제2 구동부(82)를 제어하여 시트(30)의 스윙모션을 제어하거나,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를 제어하여 유모차(100)를 보호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거나, 팬모터(93)를 제어하여 시트(30) 내에 수용된 아기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스윙모션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200)에는 유모차(1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레케이션이 설치된다.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스윙모션 입력부(211,212,213)를 가진다. 서버(300)는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스윙모션 입력부(211,212,213)의 신호를 제공받는다. 통신부(9)는 휴대단말기(200)와 통신하거나 서버(300)와 통신하여, 스윙모션 입력부(211,212,213)의 신호를 수신받는다.
컨트롤러(8)는 통신부(9)가 스윙모션 입력부(211,212,213)의 신호를 수신받으면, 제1 구동부(81) 및 제2 구동부(82)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켜 시트(30)의 스윙모션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윙모션 입력부(211,212,213)는 제1 입력부(211), 제2 입력부(212) 및 제3 입력부(214)를 포함한다. 보호자는 휴대단말기(200)에서 제1 입력부(211), 제2 입력부(212) 및 제3 입력부(213) 중 하나를 터치하여 시트(30)의 스윙모션을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통신부(9)가 제1 입력부(211)의 신호를 수신받으면, 제1 구동부(81)를 작동시켜 스윙모듈(80)을 제1 스윙모션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컨트롤러(8)는 통신부(9)가 제2 입력부(212)의 신호를 수신받으면, 제2 구동부(82)를 작동시켜 스윙모듈(80)을 제2 스윙모션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컨트롤러(80)는 통신부(9)가 제3 입력부(213)의 신호를 수신받으면, 제1 구동부(81) 및 제2 구동부(82)를 작동시켜 스윙모듈(80)을 제3 스윙모션으로 작동시킨다.
도 12는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에어케어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에어케어 입력부(220)를 가진다. 서버(300)는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에어케어 입력부(220)의 신호를 제공받는다. 통신부(9)는 휴대단말기(200)와 통신하거나 서버(300)와 통신하여, 스윙모션 입력부(220)의 신호를 수신받는다.
컨트롤러(8)는 통신부(9)가 에어케어 입력부(220)의 신호를 수신받으면, 팬모터(93)를 온/오프시킨다. 예를들어, 휴대단말기(200)는 서버(300)로부터 대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고, 보호자는 표시된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휴대단말기(200)에서 에어케어 입력부(220)를 한번 터치하여 팬모터(93)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휴대단말기(200)에서 에어케어 입력부(220)를 다시 한번 터치하여 팬모터(93)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3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지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목적지 입력부(230)를 가진다. 서버(300)는 휴대단말기(200)로부터 목적지 입력부(230)의 신호를 제공받는다. 통신부(9)는 휴대단말기(200)와 통신하거나 서버(300)와 통신하여, 목적지 입력부(230)의 신호를 수신받는다.
한편,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실내구조도를 휴대단말기(200)에 표시하고, 컨트롤러(8)는 통신부(9)를 통해 휴대단말기(200) 또는 서버(300)로 상기 현재위치를 송신하고, 이 송신된 상기 현재위치는 상기 실내구조도 내에 표시된다. 상기 실내구조도 내는 목적지 입력부(230)가 되고, 보호자는 상기 실내구조도 내에서 원하는 위치를 터치하여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통신부(9)가 목적지 입력부(230)의 신호를 수신받으면, 목적지 입력부(230)에서 입력된 목적지의 위치를 상기 특징분포들별로 저장된 위치에서 선택하여, 상기 현재위치에서 상기 선택된 목적지의 위치까지 주행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서 유모차(100)가 상기 목적지의 위치로 오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100)는, 카메라(5)가 촬영한 영상에서 장애물을 검출하고, 거리센서(7)가 감지한 상기 검출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로 유지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위험요소를 구별하여 주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하여 유모차(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40)의 그립부(42)를 수평하게 배치시키면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가 정지되어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수동주행시킬 수 있고, 핸들(40)의 그립부(42)를 수직하게 배치시키면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기 때문에 보호자는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의 도움을 받으며 유모차(100)를 적은 힘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컨트롤러(8)는, 음향센서(6)를 통하여, 시트(30)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S110).
컨트롤러(8)는, 음향센서(6)를 통하여, 시트(30)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울음소리와 메모리(8A)에 저장된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아기가 우는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120).
컨트롤러(8)는, 온도센서(6B)를 통하여 감지된 아기의 체온 및 발열 부위에 기초하여, 아기가 우는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S120).
컨트롤러(8)는, 그립 센서를 통하여, 보호자가 그립부(42)을 잡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0).
컨트롤러(8)는,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고, 보호자가 그립부를 잡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9)를 통하여,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 및 내부 카메라가 촬영하는 시트(30) 내부의 영상을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컨트롤러(8)는,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고, 보호자가 그립부를 잡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9)를 통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S140).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의 이동 중 또는 이동하기 전에, 카메라(5)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거리센서(7)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컨트롤러(8)는, 카메라(5)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거리센서(7)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가 외부 오브젝트와 충돌할 가능성이 설정 기준 가능성 값보다 큰 경우,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가 안전하게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가 휴대단말기(2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모차(100)가 이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160). 이에 따라, 보호자는, 유모차(100)가 올 수 없는 상황임을 인지하고 유모차(1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와 외부 오브젝트의 충돌 가능성을 산출하고, 충돌 가능성 및 기 저장된 공간 안전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모차(100) 주변의 안전도 분포를 판단하고, 안전도 분포에 기초하여, 안전도가 설정 안전도 이상인 공간 중 가장 가까운 위치로 유모차(100)가 이동되도록, 좌측 인휠 모터(60) 및 우측 인휠 모터(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160).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가 이동하는 위치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160).
컨트롤러(8)는, 그립센서를 통하여 보호자의 그립이 감지되는 판단할 수 있다(S170).
컨트롤러(8)는, 보호자의 그립이 감지되는 경우,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 송신 및 시트(30) 내부의 영상을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S180).
컨트롤러(8)는, 보호자의 그립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90).
컨트롤러(8)는,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를 휴대단말기(200)에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서버 또는 단말기로 유모차(100)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서버 또는 단말기는, 미아 방지 센터 또는 경찰서의 서버 또는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모차(100)와 관련된 정보는, 메모리(8A)에 저장된 유모차(100)에 수용된 아기의 개인 정보 및 보호자의 개인 정보, 유모차(100)의 위치 정보, 시트(30)의 내부 영상, 및 울음소리 또는 체온에 의하여 분석된 아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전륜 2 : 좌측 후륜
3 : 우측 후륜 4 : 배터리
5 : 카메라 6 : 음향센서
7 : 거리센서 8 : 컨트롤러
9 : 통신부 10 : 바디
11 : 센터부 12 : 전륜지지부
13 : 좌측 후륜지지부 14 : 우측 후륜지지부
15 : 액츄에이터 20 : 시트안착판
25 : 공기흡입구 30 : 시트
31 : 쿠션부 32 : 커버부
33 : 림부 34 : 공기토출구
40 : 핸들 41 : 장착부
42 : 그립부 50 : 공조판
51 : 송풍구 55 : 공기유로
60 : 좌측 인휠 모터 70 : 우측 인휠 모터
80 : 스윙모듈 81 : 제1 구동부
81A : 제1 캠축 82 : 제2 구동부
82A : 제2 캠축 91 : 필터
92 : 송풍팬 93 : 팬모터
94 : 팬유닛 100 : 유모차
200 : 휴대단말기 211,212,213 : 스윙모션 입력부
220 : 에어케어 입력부 230 : 목적지 입력부
300 : 서버

Claims (10)

  1. 유모차에 있어서,
    전륜 및 후륜이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시트안착판;
    상기 시트안착판 위에 안착되고, 아기가 수용되는 시트;
    상기 후륜 중 좌측 후륜을 회전시키는 좌측 인휠 모터;
    상기 후륜 중 우측 후륜을 회전시키는 우측 인휠 모터;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센서;
    기 설정된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음향 센서를 통하여 상기 시트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모차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좌측 인휠 모터 및 상기 우측 인휠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유모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바디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거리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상기 거리센서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유모차가 이동 중 외부 오브젝트로부터 설정 안전 거리 이내에 진입하지 않도록, 상기 좌측 인휠 모터 및 상기 우측 인휠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유모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내부도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향센서를 통하여 상기 시트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내부 카메라가 촬영하는 상기 시트의 내부 영상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유모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울음소리와, 저장된 울음소리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아기가 우는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모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기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아기의 체온 및 발열 부위에 기초하여, 상기 아기가 기 설정된 보호 필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유모차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좌측 인휠 모터 및 상기 우측 인휠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보호 필요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모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아기의 체온 및 발열 부위에 기초하여, 상기 아기가 우는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모차.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향센서를 통하여 상기 시트에 수용된 아기의 울음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외부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유모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모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모차.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사용자가 잡는 그립부; 및
    상기 사용자의 그립을 감지하는 그립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그립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시트의 내부 영상 또는 상기 유모차의 위치 전송을 중단하는 유모차.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상기 거리센서가 감지하는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유모차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유모차가 이동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 및 상기 유모차의 위치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모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모차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유모차와 외부 오브젝트의 충돌 가능성을 산출하고,
    상기 충돌 가능성 및 기 저장된 공간 안전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유모차 주변의 안전도 분포를 판단하고,
    상기 안전도 분포에 기초하여, 안전도가 설정 안전도 이상인 공간 중 가장 가까운 위치로 상기 유모차가 이동되도록, 상기 좌측 인휠 모터 및 상기 우측 인휠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유모차의 위치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모차.
KR1020160184186A 2016-12-30 2016-12-30 유모차 KR20180078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86A KR20180078915A (ko) 2016-12-30 2016-12-30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86A KR20180078915A (ko) 2016-12-30 2016-12-30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15A true KR20180078915A (ko) 2018-07-10

Family

ID=6291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86A KR20180078915A (ko) 2016-12-30 2016-12-30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9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70B1 (ko) * 2020-01-31 2021-07-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EP3858706A1 (en) 2020-01-28 2021-08-04 LG Electronics Inc. Stroll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858707A1 (en) 2020-01-28 2021-08-04 LG Electronics Inc. Car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30153574A (ko) 2022-04-29 2023-11-07 류석원 운송수단에 탈착 가능한 동력 제공장치 및 동력 제공장치의 설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8706A1 (en) 2020-01-28 2021-08-04 LG Electronics Inc. Stroll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858707A1 (en) 2020-01-28 2021-08-04 LG Electronics Inc. Car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81570B1 (ko) * 2020-01-31 2021-07-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230153574A (ko) 2022-04-29 2023-11-07 류석원 운송수단에 탈착 가능한 동력 제공장치 및 동력 제공장치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8915A (ko) 유모차
KR101796265B1 (ko) 스마트 유모차
JP5446049B2 (ja) 乳幼児に対する車両用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
KR101851563B1 (ko) 유아의 차내 방치를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카시트 및 경보 시스템, 그리고 그 제어 방법
TW201920884A (zh) 可攜式空氣淨化機
KR102506860B1 (ko) 차량 내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60014336A (ko) 공기 청정 기능 및 송풍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암레스트 장치, 차량용 시트 장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및 차량용 오버 헤드 콘솔 장치
EP33309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WO2018126550A1 (zh) 一种儿童安全座椅的安全监测***及安全监测方法
KR101906775B1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170046937A1 (en) Car occupant temperature alert
JP2002063668A (ja) 車内の人検出通報装置及び危険状態回避装置
KR101792949B1 (ko)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 및 방법
WO2009144687A2 (en) Infant safety alert system and method
US20220144168A1 (en) Notification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notification system
ES2607223B1 (es) Maleta autónoma
KR20180073135A (ko) 유모차
JP2020201108A (ja) 車両用警報装置
WO2018046020A1 (en) Child transportation device temperature sensing
EP3154037A1 (en) Child car seat alarm system
KR102450428B1 (ko) 탈부착형 통풍시트
KR102509927B1 (ko) 차량의 영유아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50139228A (ko) 차량용 암레스트
CN205524106U (zh) 汽车高温生命安全感应器
WO2020011270A1 (zh) 具有散热功能的儿童安全座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