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401A -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401A
KR20180074401A KR1020160178441A KR20160178441A KR20180074401A KR 20180074401 A KR20180074401 A KR 20180074401A KR 1020160178441 A KR1020160178441 A KR 1020160178441A KR 20160178441 A KR20160178441 A KR 20160178441A KR 20180074401 A KR20180074401 A KR 2018007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
cloud platform
enhancing
wearable devi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778B1 (ko
Inventor
이종수
김동균
임호섭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78B1/ko
Priority to PCT/KR2017/013395 priority patent/WO2018117443A1/ko
Publication of KR2018007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Cloud Interlocking Visual Enhancement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시기능 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기능은 눈과 뇌사이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비전(vision) 기능이라고도 하며, 이는 촉각, 후각, 청각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와 함께 우리의 눈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신속하게 뇌에 전달하여 뇌에서 통합하여 흡수된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시기능에 의해 거리감, 입체감 및 스피드감 등등 사회생활이나 스포츠 등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시기능은 시력의 좋고 나쁨과는 무관하게 발생되며,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활동이 곤란하고, 독서를 하기가 힘들며, 주의집중력이 저하되고, 쓰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독서장애, 난독증, 주의력결핍장애, 학습장애, 쓰기장애, 사회생활장애 등이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청소년의 경우 안구 발육의 시기이나, 과도한 숙제, 독서,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등으로 인하여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안과 방문만을 통한 안질환 치료, 시력 교정을 통한 대응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과 각종 유해환경 속에서 개인의 건강한 삶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시기능 저하 및 각종 안질환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등, 의료 보조기구 사용 인구의 비율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근시나 약시와 같은 안질환은 시기능 훈련을 통해 시기능을 일부 회복하거나 시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시기능 훈련을 돕는 다양한 보조 의료기기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으나 기존 의료기기의 경우, 의료기기 자체의 단순함에 의해 훈련 치료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치료 효과 분석 부재, 전문의 진단과의 통합 부재, 오프라인 병원 방문을 통한 일시적 훈련/치료로 인하여 환자 개인의 상황에 따른 효율적인 훈련 및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텔레비전 시청 등으로 인해 시기능 저하자의 지속적인 증가가 있으나, 사용자 맞춤형 치료 기기 및 솔루션 부재, 사후 대처 중심의 안질환 치료, 사전 진단 부재 및 단편적이며 기간 제한적 시력/안질환 관리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급증하는 안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인별 맞춤형 안질환 예방과 진단,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의료기기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067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945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안질환 대응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시력 진단/훈련 기반의 시기능 강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과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렌즈 조절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렌즈 조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원근감 조절 렌즈, 디옵터 조절 렌즈, 가림막 렌즈를 갖는 시기능 강화를 위한 렌즈 조합 모듈의 렌즈들을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와,상기 렌즈 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렌즈들의 조절을 위한 구동을 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가상 현실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처리부와,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를 지원하는 HMD 처리부와,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마트 안경을 구성하는 스마트 안경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효율적인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셋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다.
넷째,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 및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시력 진단/훈련 기반의 시기능 강화 서비스가 가능하여 효과적인 안질환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과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가상 현실 기반 또는 렌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20)로 제공하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등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검안영상 분석장치(20)와, 시기능 강화용 전문가 진단 서비스 및 사용자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를 하는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 시스템(40)과, 사용자 서비스를 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시기능 강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내부에서 좌안/우안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고, 서클링 확대 및 축소, 조명 Hz 변화를 수행하고, 사위,융합력, 단안 최대 조절력,조절 용이성,상대 조절력,조절 래그 측정을 수행하는 양안 촬영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검안영상 분석장치(20)는 단안 각 홍채 외곽선 추출을 하고, 홍채 전경과 외부 영역의 분리를 하고, 홍채 내부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과, 홍채 기준선 기반 드워핑 처리를 하고, 내부와 외부 영역 질환 집중 영역 특징을 추출하는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검안영상 분석장치(20)는 시근력 강화운동 집중도 분석,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조절력, 반응 특징 추출을 하고, 패턴 흐름과 서클링 변화에 따른 동공 반사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예방, 센싱/진단, 훈련/치료, 효과분석, 개선방향 제시, 관리 등의 안질환에 대한 치료 전주기에 대한 치료/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통하여 다양한 안과질환에 대한 치료 및 훈련이 가능하며, 치료 및 훈련 효과 분석, 전문가 진단, 치료 개선 방향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11)와,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20)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12)와,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12)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 또는 렌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을 렌즈 조절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렌즈 조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a)와, 원근감 조절 렌즈, 디옵터 조절 렌즈, 가림막 렌즈를 갖는 시기능 강화를 위한 렌즈 조합 모듈의 렌즈들을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13b)와, 렌즈 조절부(13b)의 제어에 의해 렌즈들의 조절을 위한 구동을 하는 모터 구동부(13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가상 현실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a)와, 디스플레이부(14a)를 통하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처리부(14b)와,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를 지원하는 HMD 처리부(14c)와,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마트 안경을 구성하는 스마트 안경 구성부(14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렌즈 조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와,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원근감을 조절하는 원근감 조절 렌즈(42), 디옵터를 조절하는 디옵터 조절 렌즈(43), CCTV를 통하여 제공되는 영상의 표시 영역을 제어하는 가림막 렌즈(44)들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양안의 렌즈들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구동 모터(45)들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양안의 렌즈들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6)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47) 및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을 위한 통신부(4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착용한 구성은 도 5에서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구성도이다.
사용자는 도 5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검안영상 분석장치
30.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 40. 시기능 관리 시스템
50. 사용자 단말

Claims (5)

  1.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렌즈 조절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렌즈 조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원근감 조절 렌즈, 디옵터 조절 렌즈, 가림막 렌즈를 갖는 시기능 강화를 위한 렌즈 조합 모듈의 렌즈들을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와,
    상기 렌즈 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렌즈들의 조절을 위한 구동을 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가상 현실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처리부와,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를 지원하는 HMD 처리부와,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마트 안경을 구성하는 스마트 안경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60178441A 2016-12-23 2016-12-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94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41A KR101948778B1 (ko) 2016-12-23 2016-12-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PCT/KR2017/013395 WO2018117443A1 (ko) 2016-12-23 2017-11-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41A KR101948778B1 (ko) 2016-12-23 2016-12-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401A true KR20180074401A (ko) 2018-07-03
KR101948778B1 KR101948778B1 (ko) 2019-02-15

Family

ID=6262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441A KR101948778B1 (ko) 2016-12-23 2016-12-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8778B1 (ko)
WO (1) WO20181174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669A1 (ko) * 2018-12-04 2020-06-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0135A (zh) * 2018-10-18 2019-04-1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视力监控及眼镜订购***
CN110123594A (zh) * 2019-05-04 2019-08-16 吴登智 一种用于弱视训练的vr与智能终端同步显示***
CN110600103B (zh) * 2019-09-25 2021-10-08 李牧什 一种提升视力的可穿戴智能服务***
CN114028181A (zh) * 2021-12-07 2022-02-11 天津医科大学眼科医院 一种调节训练和辐辏训练相结合的视觉训练方法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03583A1 (en) * 2005-03-30 2006-10-05 Novavision, Inc.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visual stimuli with head mounted display during vision training
KR20150110254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1362B1 (ko) * 2014-07-29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37314B1 (ko) * 2015-02-16 2016-07-11 양석우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60125543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669A1 (ko) * 2018-12-04 2020-06-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20200067398A (ko) * 2018-12-04 2020-06-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78B1 (ko) 2019-02-15
WO2018117443A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795B2 (en)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48778B1 (ko)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231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or a synthetic 3-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ocular performance
US11733542B2 (en) Light field processor system
US9788714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for the measurement and/or improvement of human vestibulo-ocular performance
US93703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vestibulo-ocular reflex to improve human performance in an occupational environment
US20170296421A1 (en) Head-moun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enhancement of visual function
CN108542726B (zh) 一种视觉训练器及配备该视觉训练器的穿戴装置
WO2016054860A1 (zh) 针对视觉障碍患者的头戴式视觉辅助***
JP2020509790A5 (ko)
AU20102151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defined condition,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systems
US11612316B2 (en) Medical system and method operable to control sensor-based wearable devices for examining eyes
CN109219386A (zh) 显示***和方法
KR101924125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장치
US2023021044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measure ocular parameters and determine neurologic health status
CN112505930A (zh) 一种光学矫正装置及穿戴装置
KR101850043B1 (ko)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Lodato et al. A novel vision-enhancing technology for low-vision impairments
US20230089522A1 (en) Intelligent extended reality eyewear
US12016629B2 (en)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Lorenzini et al.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in the Context of Low-Vision Rehabilitation
JP2009089901A (ja) 老眼・近視・遠視を改善するための訓練器具及び脇を見る視力を改善するための訓練器具。
Gupta Head Mounted Eye Tracking Aid for Central Visual Field Loss
Holly Stants et al. Current Trends in Brain Injury and Low Vision Rehabilitation
Ciner et al. ManagementChildren With of Vision Special Problems Needs 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