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904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904A
KR20180073904A KR1020160177430A KR20160177430A KR20180073904A KR 20180073904 A KR20180073904 A KR 20180073904A KR 1020160177430 A KR1020160177430 A KR 1020160177430A KR 20160177430 A KR20160177430 A KR 20160177430A KR 20180073904 A KR20180073904 A KR 20180073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refractive index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3904A/ko
Priority to US15/498,926 priority patent/US10823939B2/en
Priority to CN201720804307.6U priority patent/CN207424364U/zh
Priority to CN201710541729.3A priority patent/CN108241201B/zh
Priority to CN202011428679.6A priority patent/CN112526713B/zh
Publication of KR2018007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04A/ko
Priority to US16/527,361 priority patent/US10976525B2/en
Priority to US17/190,752 priority patent/US11899177B2/en
Priority to US18/396,891 priority patent/US202401341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5렌즈 중 하나 이상은 유리 재질이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5매 렌즈로 구성되는 망원용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원거리 촬영이 가능한 망원용 광학계는 상당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망원용 광학계는 광학계 전체 길이(TL)에 대한 전체 초점거리(f)의 비(TL/f)가 1 이상이다. 때문에, 망원용 광학계는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는 탑재하기 어렵다.
KR 2016-0016931 A JP 2009-294527 A US 2012-0087019 A1
본 발명은 원거리 촬영이 가능하면서도 소형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5렌즈 중 하나 이상은 유리 재질이다.
본 발명은 원거리 촬영이 가능하면서도 소형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횡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횡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의 배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렌즈는 상면(또는 이미지 센서)과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L, IMG HT(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L은 렌즈의 광축에서의 거리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를 포함한다.
촬상 광학계는 유리 재질의 렌즈를 포함한다. 그러나 촬상 광학계의 모든 렌즈들이 유리 재질로 제작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의 일부 렌즈는 유리 재질이고, 나머지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1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1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굴절률은 1.52 미만이고 1.0 이상일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2.5 ~ 3.0 ㎜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2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렌즈는 제1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2.0 미만일 수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12.0 ~ -8.0 ㎜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3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렌즈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렌즈는 제2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2.2 미만일 수 있다.
제3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6.0 ~ -3.0 ㎜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4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4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렌즈는 제3렌즈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이고 1.0 이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변곡점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상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4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6.0 ~ -3.0 ㎜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5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5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5렌즈는 제4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이고 1.7 미만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30 ~ 60 ㎜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렌즈 외 구성을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의 표면은 상면(imaging plane)을 형성한다. 상면은 대체로 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상면의 형태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도 있다. 이미지 센서는 고해상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필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적외선 차단 필름이 형성된 투명한 유리일 수 있다. 필터의 굴절률은 대체로 1.5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터는 제5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는 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리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에서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들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7 < TL/f < 1.0
[조건식 2] Nd1 < 1.52
[조건식 3] 1.7 < Nd2
[조건식 4] 1.8 < Nd3
[조건식 5] Nd2 < Nd3, Nd4 < Nd3
[조건식 6] FOV/2 < 20
[조건식 7] Nd1 < Nd2 < Nd3
상기 조건식에서 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Nd1은 제1렌즈의 굴절률이고, Nd2는 제2렌즈의 굴절률이고, Nd3은 제3렌즈의 굴절률이고, Nd4는 제4렌즈의 굴절률이고, FOV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화각이고, FOV/2는 촬상 광학계의 반화각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휴대용 단말기, 소형 카메라, 차량의 전후방 감시 카메라, CCTV 등에 탑재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한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1렌즈(110)는 대체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110)의 굴절률은 1.52 이하일 수 있다. 제2렌즈(120) 및 제3렌즈(130)는 대체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제3렌즈(130)의 굴절률은 1.8 이상일 수 있다.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는 제3렌즈(13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의 굴절률은 1.6 이하이고, 제5렌즈(150)의 굴절률은 1.7 이하일 수 있다.
제1렌즈(110)는 촬상 광학계(100)에서 가장 높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110)의 아베수는 65 이상일 수 있다. 제2렌즈(120) 및 제3렌즈(130)는 대체로 낮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의 아베수 및 제3렌즈(130)의 아베수는 30 이하일 수 있다. 제4렌즈(140)는 대체로 높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의 아베수는 50 이상일 수 있다. 제5렌즈(150)는 촬상 광학계에서 가장 낮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150)의 아베수는 25 이하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에서 각각의 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110)의 초점거리는 2.705 ㎜이고, 제2렌즈(120)의 초점거리는 -10.13 ㎜이고, 제3렌(130)의 초점거리는 -4.349 ㎜이고, 제4렌즈(140)의 초점거리는 -4.337 ㎜이고, 제5렌(150)의 초점거리는 37.285 ㎜이다.
촬상 광학계(100)는 서로 다른 재질의 렌즈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110) 내지 제3렌즈(130)는 유리 재질이고, 제4렌즈(140) 및 제5렌즈(15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필터(160), 이미지 센서(17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160)는 제5렌즈(150)와 이미지 센서(17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3렌즈(130)와 제4렌즈(140) 사이에 배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표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내고, 표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 제5렌즈(250)를 포함한다.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한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1렌즈(210)는 대체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210)의 굴절률은 1.52 이하일 수 있다. 제2렌즈(220) 및 제3렌즈(230)는 대체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220)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제3렌즈(230)의 굴절률은 1.8 이상일 수 있다. 제4렌즈(240) 및 제5렌즈(250)는 제3렌즈(23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240)의 굴절률은 1.6 이하이고, 제5렌즈(250)의 굴절률은 1.7 이하일 수 있다.
제1렌즈(210)는 촬상 광학계(200)에서 가장 높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210)의 아베수는 65 이상일 수 있다. 제2렌즈(220) 및 제3렌즈(230)는 대체로 낮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220)의 아베수 및 제3렌즈(230)의 아베수는 30 이하일 수 있다. 제4렌즈(240)는 대체로 높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240)의 아베수는 50 이상일 수 있다. 제5렌즈(250)는 촬상 광학계에서 가장 낮은 아베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250)의 아베수는 25 이하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에서 각각의 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210)의 초점거리는 2.675 ㎜이고, 제2렌즈(220)의 초점거리는 -10.53 ㎜이고, 제3렌(230)의 초점거리는 -4.382 ㎜이고, 제4렌즈(240)의 초점거리는 -4.287 ㎜이고, 제5렌(250)의 초점거리는 51.752 ㎜이다.
촬상 광학계(200)는 서로 다른 재질의 렌즈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210) 내지 제3렌즈(230)는 유리 재질이고, 제4렌즈(240) 및 제5렌즈(25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필터(260), 이미지 센서(27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260)는 제5렌즈(250)와 이미지 센서(27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3렌즈(230)와 제4렌즈(240) 사이에 배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표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의 렌즈 특성을 나타내고, 표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다음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 30)을 포함한다. 제1카메라 모듈(20)은 근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제1촬상 광학계(101)를 포함하고, 제2카메라 모듈(30)은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제2촬상 광학계(100, 200)를 포함한다.
제1촬상 광학계(101)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촬상 광학계(101)는 4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촬상 광학계(101)는 근거리에 위치한 물체들을 일체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촬상 광학계(101)는 50도 이상의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으며, TL/f 비가 1.0 이상일 수 있다.
제2촬상 광학계(100, 200)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촬상 광학계(100, 200)는 5매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촬상 광학계(100, 200)는 전술된 제1실시 예 내지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촬상 광학계(100, 200)는 원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촬상 광학계(100, 200)는 40도 이하의 화각을 가질 수 있으며, TL/f 비가 1.0 미만일 수 있다.
제1촬상 광학계(101) 및 제2촬상 광학계(100, 200)는 대체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촬상 광학계(101)의 전체 길이(L1)는 제2촬상 광학계(100, 200)의 전체 길이(L2)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1촬상 광학계(101)의 전체 길이(L1)에 대한 제2촬상 광학계(100, 200)의 전체 길이(L2)의 비(L1/L2)는 0.8 ~ 1.0 일 수 있다. 또는, 제2촬상 광학계(100, 200)의 전체 길이(L2)에 대한 휴대 단말기(10)의 두께(h)의 비(L2/h)는 0.8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촬상 광학계
110, 210 제1렌즈
120, 220 제2렌즈
130, 230 제3렌즈
140, 240 제4렌즈
150, 250 제5렌즈
160, 260 (적외선 차단) 필터
170, 270 이미지 센서 또는 상면

Claims (16)

  1.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5렌즈 중 하나 이상은 유리 재질인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굴절률은 1.52 이하인 촬상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굴절률은 1.7 이상인 촬상 광학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의 굴절률은 1.8 이상인 촬상 광학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제4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3렌즈의 굴절률보다 작은 촬상 광학계.
  11.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5렌즈 중 하나 이상은 유리 재질의 렌즈인 촬상 광학계.
  12. 제1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0.7 < TL/f < 1.0
    (상기 조건식에서 TL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13. 제11항에 있어서,
    반화각이 20도 이하인 촬상 광학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3렌즈는 유리 재질인 촬상 광학계.
  15. 제1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Nd1 < Nd2 < Nd3
    (상기 조건식에서 Nd1은 상기 제1렌즈의 굴절률이고, Nd2는 상기 제2렌즈의 굴절률이고, Nd3은 상기 제3렌즈의 굴절률이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3렌즈의 굴절률은 1.7 이상인 촬상 광학계.
KR1020160177430A 2016-12-23 2016-12-23 촬상 광학계 KR20180073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30A KR20180073904A (ko) 2016-12-23 2016-12-23 촬상 광학계
US15/498,926 US10823939B2 (en) 2016-12-23 2017-04-27 Optical imaging system
CN201720804307.6U CN207424364U (zh) 2016-12-23 2017-07-05 光学成像***
CN201710541729.3A CN108241201B (zh) 2016-12-23 2017-07-05 光学成像***
CN202011428679.6A CN112526713B (zh) 2016-12-23 2017-07-05 光学成像***
US16/527,361 US10976525B2 (en) 2016-12-23 2019-07-31 Optical imaging system
US17/190,752 US11899177B2 (en) 2016-12-23 2021-03-03 Optical imaging system
US18/396,891 US20240134158A1 (en) 2016-12-23 2023-12-27 Optical ima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30A KR20180073904A (ko) 2016-12-23 2016-12-23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74A Division KR102176286B1 (ko) 2019-07-05 2019-07-05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04A true KR20180073904A (ko) 2018-07-03

Family

ID=6239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30A KR20180073904A (ko) 2016-12-23 2016-12-23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823939B2 (ko)
KR (1) KR20180073904A (ko)
CN (3) CN1082412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44A (ko) * 2018-11-14 2020-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741013B (zh) * 2021-09-17 2022-07-05 青岛理工大学 一种可见光成像光谱仪望远镜头
CN117693700A (zh) * 2021-09-26 2024-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成像镜头组件、相机模块和成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8512A (ja) 1984-03-21 1985-10-08 Minolta Camera Co Ltd クセノタ−ル型写真レンズ
JPS61210313A (ja) 1985-03-15 1986-09-18 Ricoh Co Ltd 全長の短い広角レンズ
US5805348A (en) 1996-08-12 1998-09-08 Eastman Kodak Company Lens system with reduced sensitiviti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CN2414813Y (zh) 2000-01-04 2001-01-17 广东粤能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红外线遥控电动玩具
JP2005174416A (ja) 2003-12-09 2005-06-30 Konica Minolta Opto Inc 回折光学素子、対物光学系、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240653A (ja) 2006-03-06 2007-09-20 Ricoh Co Ltd 結像レンズ、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21565B2 (ja) 2008-06-06 2012-09-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5枚構成の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298682B2 (ja) * 2008-07-24 2013-09-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1053288B1 (ko) 2009-12-22 2011-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TWI435135B (zh) 2010-10-06 2014-04-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透鏡系統
TWI435136B (zh) * 2010-10-15 2014-04-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成像鏡頭組
TWI432774B (zh) * 2011-06-09 2014-04-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光學鏡頭
TWI460463B (zh) * 2012-05-28 2014-11-11 Largan Precision Co Ltd 拾像光學鏡片系統
TWI452332B (zh) * 2012-08-08 2014-09-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攝影鏡片系統
TWI457590B (zh) 2013-04-08 2014-10-2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系統鏡片組
US9857568B2 (en) * 2013-07-04 2018-01-02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CN107748432A (zh) 2013-07-04 2018-03-02 核心光电有限公司 小型长焦透镜套件
JP2015060089A (ja) 2013-09-19 2015-03-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光学系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US9223118B2 (en) 2013-10-31 2015-12-29 Apple Inc. Small form factor telephoto camera
KR101547461B1 (ko) 2013-12-31 2015-08-27 주식회사 코렌 광학 렌즈계
TWI563284B (en) 2015-03-18 2016-12-21 Ability Opto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TWI522646B (zh) * 2015-04-29 2016-02-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片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4849839B (zh) 2015-06-06 2017-04-05 广东弘景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针孔监控光学***及其应用的镜头
JP6573315B2 (ja) 2015-08-31 2019-09-11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CN105259636B (zh) * 2015-10-19 2017-07-07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长焦镜头
TWI604212B (zh) 2016-01-13 2017-11-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用光學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5607232B (zh) 2016-03-22 2018-05-2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远镜头
KR101901698B1 (ko) 2016-05-11 2018-09-27 삼성전기 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26713B (zh) 2022-08-09
US20180180850A1 (en) 2018-06-28
CN108241201A (zh) 2018-07-03
US10823939B2 (en) 2020-11-03
US10976525B2 (en) 2021-04-13
US20210191090A1 (en) 2021-06-24
US20240134158A1 (en) 2024-04-25
CN108241201B (zh) 2020-12-25
CN207424364U (zh) 2018-05-29
US11899177B2 (en) 2024-02-13
US20190353877A1 (en) 2019-11-21
CN112526713A (zh)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280B1 (ko) 촬상 광학계
KR101719880B1 (ko) 렌즈 모듈
KR101762006B1 (ko) 촬상 광학계 및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진 복수의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
KR101946262B1 (ko) 촬상 광학계
KR101956705B1 (ko) 촬상 광학계
KR101740772B1 (ko) 렌즈 모듈
KR20180029938A (ko) 촬상 광학계
KR20180060137A (ko) 촬상 광학계
KR20160069270A (ko) 렌즈 모듈
KR20170127188A (ko) 촬상 광학계
KR20180029815A (ko) 촬상 광학계
KR20180071859A (ko) 촬상 광학계
KR20190096680A (ko) 촬상 광학계
KR20170043279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02188A (ko) 촬상 광학계
KR20180073904A (ko) 촬상 광학계
KR102642916B1 (ko) 촬상 광학계
KR101973455B1 (ko) 촬상 광학계
KR101973436B1 (ko) 촬상 광학계
KR20180071948A (ko) 촬상 광학계
KR102368759B1 (ko) 촬상 광학계
KR102409698B1 (ko) 촬상 광학계
KR102439485B1 (ko) 촬상 광학계
KR102176286B1 (ko) 촬상 광학계
KR102538910B1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