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69A -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69A
KR20180066569A KR1020160167564A KR20160167564A KR20180066569A KR 20180066569 A KR20180066569 A KR 20180066569A KR 1020160167564 A KR1020160167564 A KR 1020160167564A KR 20160167564 A KR20160167564 A KR 20160167564A KR 20180066569 A KR20180066569 A KR 2018006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unit
emergency
transportation means
passenger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750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노스
Priority to KR102016016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15Arrangements for entertainment or communications, e.g. radio, televi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로서, 상기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상태정보 수집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승객 운송수단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상상황에 대응하여 승객의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대피 유도 정보가 상기 화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운송수단에 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승객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비상상황과 승객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외부로 전파함으로써 외부의 관련 기관 등이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EMERGENCY REACTION APPARATUS OF PASSENGER TRANSPORTING MEANS}
본 발명은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승객 운송수단에 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승객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 열차뿐만 아니라, 여객기를 포함하는 승객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사고 발생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승객 운송수단에는 상당히 많은 수의 승객들이 탑승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상황에서, 승객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지만, 효율적인 대피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사고가 야간에 발생하거나, 연기 등으로 승객들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승객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없기 때문에, 승객 운송수단에 발생한 사고는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험이 상존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건물, 시설 등과 같은 구조물에서의 대피 수단은 제공하고 있으나, 동적으로 운행되는 승객 운송수단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처하여 승객들의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승객들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3865호(공개일자: 2013년 08월 23일, 명칭: 비상구 유도등)
본 발명은 승객 운송수단에 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승객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 운송수단에 발생한 비상상황과 승객 운송수단에 탑승한 승객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외부로 전파함으로써 외부의 관련 기관 등이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로서, 상기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상태정보 수집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승객 운송수단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상상황에 대응하여 승객의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대피 유도 정보가 상기 화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피 유도 정보는, 상기 승객을 탈출구 또는 비상 망치로 유도하기 위한 방향성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에 인접한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는, 상기 승객에게 상기 탈출구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탈출구 형상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비상 망치에 인접한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는, 상기 승객에게 상기 비상 망치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비상 망치 형상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부의 휘도(brightness)를 최대치로 자동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장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 상기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연기 농도가 연기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는, 승객의 착석 유무를 감지하는 착석 감지부 및 상기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착석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승객 착석 정보와 매핑(mapping)된 좌석 정보가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승객 착석 정보와 매핑된 좌석 정보를 카운트하여 승객수를 계산하고, 상기 승객수를 포함하는 비상상황정보를 외부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배터리 전원 또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발전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면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정상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전원부 및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배터리 전원 또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발전 전원에 의해 상시 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에 의해 상기 비상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어부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운송수단에 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승객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응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객 운송수단에 발생한 비상상황과 승객 운송수단에 탑승한 승객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외부로 전파함으로써 외부의 관련 기관 등이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는 화면부들의 배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는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이루어진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 및 무선 단말(3)을 포함한다. 무선 단말(3)은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고, 외부 서버(5)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한다.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구성하는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 이후, 상황 외부 전파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3)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는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설치된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승객 운송수단은 버스, 열차, 여객기 등과 같은 대중 운송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승객들을 운송하는 임의의 교통수단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객 운송수단이 버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운송수단이 버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승객 운송수단의 모든 좌석마다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는 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의 고장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승객 운송수단에 화재 발생 등을 포함하는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일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이에 따라, 승객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부(10), 상태정보 수집부(20), 제어부(30), 전원부(40), 착석 감지부(50) 및 무선 통신모듈(60)을 포함한다.
화면부(10)에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대피 유도 정보가 표시된다. 이외에도, 화면부(10)는, 승객 운송수단이 정상적인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과 관련한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모니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는 화면부들의 배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 3 내지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승객들에게 제공되는 대피 유도 정보의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출입문이 운전석 옆에 존재하고, 21개의 좌석들마다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3개의 비상 망치가 설치된 버스가 예시되어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화면부들(10-1, 10-2, ..., 10-21)을 평면 형상으로 표현한 상태에서, 이 화면부들(10-1, 10-2, ..., 10-21)을 통해 제공되는 대피 유도 정보들을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화면부(10)에 표시되는 대피 유도 정보는, 승객을 탈출구 또는 비상 망치로 유도하기 위한 방향성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탈출구에 인접한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의 화면부(10)에는, 승객들에게 탈출구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탈출구 형상 정보가 표시되고, 비상 망치에 인접한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의 화면부(10)에는, 승객들에게 비상 망치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비상 망치 형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개시된 예에서는, 1번 좌석의 1번 화면부(10-1), 2번 좌석의 2번 화면부(10-2), 3번 좌석의 3번 화면부(10-3)에 승객들에게 탈출구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탈출구 형상 정보가 표시되고, 6번 좌석의 6번 화면부(10-6), 8번 좌석의 8번 화면부(10-8), 12번 좌석의 12번 화면부(10-12)에 승객들에게 비상 망치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비상 망치 형상 정보가 표시된다. 물론, 대피 유도 정보의 형상은 도 3에 개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객들을 대피시키기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는 28개의 좌석들마다 들이 구비된 예가 개시되어 있고, 도 5에는 45개의 좌석들마다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구비된 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에 개시된 예와 비교하여, 도 4와 도 5에 개시된 예는, 좌석의 수와 배열 및 좌석에 대응하는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의 수와 배열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라는 점에서, 도 3에 개시된 예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상태정보 수집부(20)는, 승객 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 수집부(20)는,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22),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상태정보 수집부(20)로부터 전달받은 상태정보에 따라 승객 운송수단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비상상황에 대응하여 승객의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대피 유도 정보가 화면부(1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연기 센서(22)에 의해 감지된 연기 농도가 저장 수단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기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온도 센서(24)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저장 수단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30)는, 연기 센서(22)에 의해 감지된 연기 농도가 연기 임계치를 초과하고, 온도 센서(24)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면부(10)의 휘도(brightness)를 최대치로 자동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승객 운송수단의 내부에 화재 등으로 인해 연기가 차거나, 야간에 발생한 사고로 승객 운송수단의 내부 조명이 동작하지 않아, 승객들의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승객들은 비상 조명의 기능을 하는 화면부(10)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면부(10)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내부 연기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도, 화면부(10)가 승객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전원부(40)는, 화면부(10), 상태정보 수집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40)는, 정상 전원부(42) 및 비상 전원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전원부(42)는, 승객 운송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배터리 전원 또는 승객 운송수단의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발전 전원을 변환하여 화면부(10), 상태정보 수집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에 정상 전원을 공급한다.
비상 전원부(44)는, 승객 운송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배터리 전원 또는 승객 운송수단의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발전 전원에 의해 상시 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비상상황 감지부에 의해 비상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화면부(10), 상태정보 수집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에 비상 전원을 공급한다.
착석 감지부(50)는, 승객의 착석 유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착석 감지부(50)는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에 구비되거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와는 별개로 좌석에 구비될 수 있다. 착석 감지부(50)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에 구비되는 경우, 참석 감지부는 광학 센서, 광학 카메라 등으로 좌석에 착석한 승객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착석 감지부(50)가 좌석에 구비되는 경우, 착석 감지부(50)는, 승객의 착석으로 인해 좌석에 가해지는 하중을 인식하거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인식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60)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와는 별개로 승객 운송수단에 설치된 무선 단말(3)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상에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는,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구성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 이외에, 무선 단말(3)을 포함한다.
무선 단말(3)은,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와 무선 통신하며,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30)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착석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승객 착석 정보와 매핑(mapping)된 좌석 정보가 무선 단말(3)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무선 단말(3)은, 승객 착석 정보와 매핑된 좌석 정보를 카운트하여 승객수를 계산하고, 승객수를 포함하는 비상상황정보를 외부 서버(5)로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5)는, 재난 관련 기관, 승객 운송수단을 운용하는 회사 등이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부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승객 운송수단에 탑승한 승객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기관 등이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객 운송용 차량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A)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상황 대응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는, 제어부(30)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승객 운송수단에 구비된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정상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0에서는, 연기 센서(22)가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단계 S30에서는, 제어부(30)가 연기 센서(22)로부터 전달받은 연기 농도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농도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0에서의 비교 결과, 연기 센서(22)로부터 전달받은 연기 농도가 농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단계 S60으로 전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20으로 전환된다.
단계 S40에서는, 온도 센서(24)가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단계 S50에서는, 제어부(30)가 온도 센서(24)로부터 전달받은 온도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온도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50에서의 비교 결과, 온도 센서(24)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단계 S60으로 전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40으로 전환된다.
단계 S60에서는, 제어부(30)가, 승객 운송수단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70에서는, 제어부(30)가, 비상 전원부(44)에 상시 충전되어 있는 비상전원이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80에서는, 제어부(30)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화면부(10)의 휘도를 최대치로 자동 조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90에서는, 제어부(30)가, 비상상황에 대응하여 승객의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대피 유도 정보가 화면부(1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비상상황과 관련하여 승객 운송수단 내부에서 진행되는 승객 대피 유도 절차와 별개로,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을 통해, 비상상황정보를 외부 서버(5)로 전파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즉, 단계 S100에서는, 제어부(30)가, 착석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승객 착석 정보와 좌석 정보를 매핑(mapping)하여 매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10에서는, 제어부(30)가, 매핑 정보를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와 별개로 승객 운송수단에 구비된 무선 단말(3)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20에서는, 무선 단말(3)이,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1)로부터 전송받은 매핑 정보 즉, 승객 착석 정보와 매핑된 좌석 정보를 카운트하여 승객수를 계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30에서는, 무선 단말(3)이, 계산된 승객수를 포함하는 비상상황정보를 외부 서버(5)로 전송함으로써, 승객 운송수단에 발생한 비상상황을 외부로 전파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운송수단에 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승객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응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객 운송수단에 발생한 비상상황과 승객 운송수단에 탑승한 승객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외부로 전파함으로써 외부의 관련 기관 등이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
3: 무선 단말
5: 외부 서버
10: 화면부
20: 상태정보 수집부
22: 연기 센서
24: 온도 센서
30: 제어부
40: 전원부
42: 정상 전원부
44: 비상 전원부
50: 착석 감지부
60: 무선 통신모듈

Claims (10)

  1. 승객 운송수단의 좌석들에 구비된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대응장치로서,
    상기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상태정보 수집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승객 운송수단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상상황에 대응하여 승객의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대피 유도 정보가 상기 화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유도 정보는,
    상기 승객을 탈출구 또는 비상 망치로 유도하기 위한 방향성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에 인접한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는, 상기 승객에게 상기 탈출구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탈출구 형상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비상 망치에 인접한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는, 상기 승객에게 상기 비상 망치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한 비상 망치 형상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부의 휘도(brightness)를 최대치로 자동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장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 상기 승객 운송수단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연기 농도가 연기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승객의 착석 유무를 감지하는 착석 감지부; 및
    상기 좌석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착석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승객 착석 정보와 매핑(mapping)된 좌석 정보가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승객 착석 정보와 매핑된 좌석 정보를 카운트하여 승객수를 계산하고, 상기 승객수를 포함하는 비상상황정보를 외부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배터리 전원 또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발전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면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정상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 전원부; 및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배터리 전원 또는 상기 승객 운송수단의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승객 운송수단 발전 전원에 의해 상시 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에 의해 상기 비상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어부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KR1020160167564A 2016-12-09 2016-12-09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KR10186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64A KR101863750B1 (ko) 2016-12-09 2016-12-09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64A KR101863750B1 (ko) 2016-12-09 2016-12-09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69A true KR20180066569A (ko) 2018-06-19
KR101863750B1 KR101863750B1 (ko) 2018-07-23

Family

ID=6279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64A KR101863750B1 (ko) 2016-12-09 2016-12-09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75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2728A1 (en) * 2004-06-30 2008-01-17 Detlef Heym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Aircraft
KR101016187B1 (ko) * 2009-11-04 2011-02-24 정상구 전동차의 엘이디 광고장치를 이용한 비상상황시 출입문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3865A (ko) 2012-02-15 2013-08-23 (주)에드모텍 비상구 유도등
KR20140059678A (ko) * 2012-11-08 2014-05-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압전소자 기반 승객 편의형 스마트 좌석 시스템
KR20140069924A (ko) * 2012-11-30 2014-06-10 한국과학기술원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KR101468792B1 (ko) * 2013-01-02 2014-12-09 전용균 비상구 유도 시스템
KR101535204B1 (ko) * 2013-03-26 2015-07-10 주식회사 크리소스 열차 내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60064663A (ko) * 2014-11-28 2016-06-08 엠에스 주식회사 열차 화재 대피유도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대피유도장치
KR101666754B1 (ko) * 2015-06-22 2016-10-14 정길선 비상사태 발생시 탈출 유도 및 방송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2728A1 (en) * 2004-06-30 2008-01-17 Detlef Heym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Aircraft
KR101016187B1 (ko) * 2009-11-04 2011-02-24 정상구 전동차의 엘이디 광고장치를 이용한 비상상황시 출입문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3865A (ko) 2012-02-15 2013-08-23 (주)에드모텍 비상구 유도등
KR20140059678A (ko) * 2012-11-08 2014-05-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압전소자 기반 승객 편의형 스마트 좌석 시스템
KR20140069924A (ko) * 2012-11-30 2014-06-10 한국과학기술원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KR101468792B1 (ko) * 2013-01-02 2014-12-09 전용균 비상구 유도 시스템
KR101535204B1 (ko) * 2013-03-26 2015-07-10 주식회사 크리소스 열차 내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60064663A (ko) * 2014-11-28 2016-06-08 엠에스 주식회사 열차 화재 대피유도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대피유도장치
KR101666754B1 (ko) * 2015-06-22 2016-10-14 정길선 비상사태 발생시 탈출 유도 및 방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750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16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operation of a vehicle
JP2022526932A (ja) 車両ユーザの安全性
ES2609401T3 (es) Sistema de control para operar unidades funcionales en un vehículo ferroviario
JP4683240B2 (ja) 自動車用情報提供システム
WO2016067593A1 (ja) 車両制御装置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US20180074510A1 (en) Automatic traveling control apparatus and automatic traveling control system
KR101906785B1 (ko) 통학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확인 방법
KR20140055817A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US9582979B2 (en) Improving safety on sites with movable objects
JP6376381B2 (ja) 車両事故通報システム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KR20080104206A (ko) 차량 단말기에서의 차량 사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63282Y1 (ko) 재난 경보 기능을 갖는 광고장치
KR101863750B1 (ko)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180061910A (ko) 주정차 무인 관제 시스템
KR101869512B1 (ko)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운행 중 차량사고 알림 기능을 구비한 서비스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200107022A (ko)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03488B1 (ko) 차량 위치식별용 고속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위치확인 시스템
KR20140029881A (ko) 이동 수단에서의 승객의 하차 정보 관리 장치
KR20180088962A (ko) 열차의 탑승 안내 시스템
JP2012014351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20160100504A (ko) 차량 사고 감지 및 사고 처리 시스템
KR102599311B1 (ko) 차량 탑승자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