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588A -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588A
KR20180059588A KR1020160157868A KR20160157868A KR20180059588A KR 20180059588 A KR20180059588 A KR 20180059588A KR 1020160157868 A KR1020160157868 A KR 1020160157868A KR 20160157868 A KR20160157868 A KR 20160157868A KR 20180059588 A KR20180059588 A KR 2018005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hangov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325B1 (ko
Inventor
한완택
한선정
Original Assignee
뉴트라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트라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트라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3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원료로 하여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섭취 시 간의 알코올 분해효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의 증가, 카탈라아제 활성의 증가, 그리고 혈중 GOP 및 GPT 농도의 감소로 인하여 숙취해소 뿐만 아니라 음주로 인한 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간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추출물들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보다 우수한 간 기능 개선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comprising pine tree bark extract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relieving hangover}
본 발명은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음식물, 피부, 폐 등을 통하여 인체에 들어온 여러 가지 물질들을 분해, 합성, 저장, 순환 등을 수행하는 일종의 화학공장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질들 중에서도 알코올은 분해과정에서 생기는 아세트 알데하이드와 프리라디칼과 같은 독성물질로 변환되는데, 알데하이드는 사이토카인과 같은 강력한 면역물질을 만들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들이 많으면 염증과 조직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알코올의 분해물인 알데하이드와 프리라디칼 등이 간이 손상되는 과정에서 주요한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고, 이중 아세트 알데하이드에 대한 연구가 특히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아세트 알데하이드가 간에서 간세포의 손상 등 간경변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독성물질에 의하여 손상된 간은 지방을 형성하는 화합물인 지방산을 분해할 수 없게 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초기에는 지방간으로 진행되어 간이 커지게 되나, 결국에는 섬유화로 인한 결절생성으로 인해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과도한 음주 습관은 간의 손상을 가져오고 반복적인 음주로 인하여 손상된 간은 다음과 같이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알코올성 간경변으로 점진적으로 악화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세포에 많은 양의 지방성분이 축적된 상태이며 증상은 거의 없으나 간혹 간이 비대해지면서 상복부가 불편하고, 피로감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금주를 하게 되면 보통 수주에서 수개월 내에 정상으로 회복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 증세가 악화되면 알코올성 간염으로 진행된다. 유해물질들에 의해 간세포가 더욱 손상되고 이에 따라 심각한 염증반응이 동반된 상태이다. 이 단계에서도 습관적인 과음을 계속할 경우 간염이 악화되어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알코올성 간 질환의 가장 심한 형태로 정상 간 조직이 지속적인 염증의 결과로 딱딱하게 변형이 된 상태를 말한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에 손상을 주는 다양한 질환으로부터 발생하여 회복이 어려운 비가역적인 상태에 이르게 된다. 결국, 손상이 광범위하여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왜곡되고 간의 기능도 손상되어 심각한 섬유화가 진행되고 정상적인 구조들이 비정상적인 결절로 전환됨에 따라 간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고 간의 기능이 심각하게 악화된 단계이다.
이러한 알코올성 간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거나 간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603호에 겨우살이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및 가시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0998호에 체적평균 입자경이 6μm 이하인 난각막함유미분말 및/또는 체적최대 입자경이 20μm 이하인 난각막함유미분말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4055호에 더덕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들의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식품으로 허용된 식물만을 추출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음주 후 숙취해소에도 효과적인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의 결과,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을 함께 이용할 경우, 이들 추출물들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매우 우수한 간 기능 개선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6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09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4055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식물을 원료로 하여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간 기능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음주 후 숙취해소에도 효과적인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은 물, 에탄올, 이들의 혼합액 또는 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0.1 ~ 10.0중량부,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2 ~ 25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0.2 ~ 20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0.2 ~ 20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0.2 ~ 2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1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5 ~ 6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1 ~ 4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6 ~ 9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3 ~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1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4 ~ 6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2 ~ 4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6 ~ 8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3 ~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원료로 하여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섭취 시 간의 알코올 분해효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의 증가, 카탈라아제 활성의 증가, 그리고 혈중 GOP 및 GPT 농도의 감소로 인하여 숙취해소 뿐만 아니라 음주로 인한 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간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추출물들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보다 우수한 간 기능 개선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동물실험에서 알코올의 투여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실험동물을 1주간 적응(acclimatization)기간을 갖도록 하고 3개월(12주)간 에탄올(EtOH)을 5%, 10%, 15%, 20%(v/v) 수준으로 서서히 높여 공급한 다음 3개월 후 12시간 단식시키고 희생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 및 임상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동물 및 사람에서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쥐를 동물모델로 하고 알코올을 투여하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께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간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 및 카탈라아제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효소는 간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데 관여하거나 알코올의 분해로 생성되는 독성 물질을 분해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이므로,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숙취해소를 돕고 간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동물모델의 혈액에서 혈액생화학적 지표인 GOT 및 GPT 활성을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GOT 및 GPT 수치가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GOT 및 GPT는 간염 등과 같이 간세포가 손상되는 경우 혈중으로 방출되어 혈중 수치가 증가하므로,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코올 등으로 인한 간세포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물 실험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임상 실험을 통해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할 경우 실제로 음주 이후 숙취해소에 큰 효과가 있으며, 간 기능이 저하된 사람을 정상인과 같을 정도로 회복시켜 실제로 인체에서도 우수한 간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5가지 추출물이 조합됨으로 인해 개별 추출물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및 나머지 4가지 추출물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조합이 상기와 같은 동물 실험 및 임상 실험에서 거의 대부분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바탕으로 이러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추출물은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또한 용매를 사용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식물추출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용매로는 식물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물, 탄소수 1 ~ 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산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이들의 혼합액 또는 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용매의 양은 각 추출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3 ~ 30배의 중량비(w/w)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 ~ 12배의 중량비(w/w)로 하는 것이 좋다. 추출온도는 0 ~ 120℃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 100℃로 하는 것이 좋고, 추출시간은 1시간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 10시간이 좋다. 추출이 완료된 후 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적합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소나무껍질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소나무껍질은 우리나라 소나무인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껍질인 적송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나무껍질은 속껍질과 겉껍질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두 부분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겉껍질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다.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각의 헛개나무열매, 엉겅퀴, 도라지 및 칡뿌리는 국산 또는 외국산 재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엉겅퀴의 경우 전초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잎이나 열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물의 재료들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된 것, 건조하지 않은 것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0.1 ~ 10.0중량부,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2 ~ 25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0.2 ~ 20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0.2 ~ 20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0.2 ~ 2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우수한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나무껍질 추출물 1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5 ~ 6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1 ~ 4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6 ~ 9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3 ~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나무껍질 추출물 1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4 ~ 6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2 ~ 4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6 ~ 8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3 ~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을 합한 중량이 1.0 내지 100중량% 일 수 있으나, 조성물의 충분한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 그리고 풍미를 위해 10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5가지 추출물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의 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추출물 제조 및 조성물 제조
소나무껍질 추출물의 제조
소나무껍질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소나무껍질은 우리나라 소나무인 적송의 껍질인 적송피를 사용하였다. 적송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류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소나무로 학명은 Pinus densiflora Sieb & Zucc.이다. 적송피의 속껍질과 겉껍질 중 본 실시예에서는 겉껍질을 사용하였다.
소나무껍질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분쇄물에 12배 중량비(w/w)의 에탄올 함량 30%(v/v) 주정용액을 첨가하여 90℃에서 6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고 농축추출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한 후 추출액을 분무건조하여 최종 분말형태의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헛개나무열매를 분쇄기로 분쇄하고 분쇄물에 10배 중량비(w/w)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80℃에서 10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고 농축추출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한 후 추출액을 분무건조하여 최종 분말형태의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엉겅퀴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엉겅퀴의 잎과 줄기 부분을 사용하였다.
건조된 엉겅퀴 잎과 줄기를 분쇄기로 분쇄하고 분쇄물에 15배 중량비(w/w)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90℃에서 5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고 농축추출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한 후 추출액을 분무건조하여 최종 분말형태의 엉겅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도라지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도라지를 분쇄기로 분쇄하고 분쇄물에 12배 중량비(w/w)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70℃에서 6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고 농축추출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한 후 추출액을 분무건조하여 최종 분말형태의 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칡뿌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칡뿌리를 분쇄기로 분쇄하고 분쇄물에 10배 중량비(w/w)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80℃에서 5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고 농축추출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한 후 추출액을 분무건조하여 최종 분말형태의 칡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제조
상기 준비된 각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 표 1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추출물 사용량 (g) 비교 원료(g) 합계
소나무껍질 헛개나무열매 엉겅퀴 도라지 칡뿌리 덱스트린
비교예 1 0 0 0 0 0 200 200
비교예 2 20 0 0 0 0 180 200
비교예 3 0 5 5 5 5 180 200
실시예 1 10 2.5 2.5 2.5 2.5 180 200
실시예 2 10 10 10 10 10 150 200
실시예 3 10 50 30 70 40 0 200
실시예 4 6 60 40 6 88 0 200
실시예 5 3 40 20 70 67 0 200
실시예 6 1 30 50 50 69 0 200
실시예 7 10 10 20 80 80 0 200
실시예 8 6 5 3 80 106 0 200
실시예 9 3 20 10 50 117 0 200
실험예 1. 알코올 분해효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 측정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조성물의 숙취해소와 간 기능개선 관련 동물시험을 위하여 6주령의 Spargue-Dawley 종의 수컷 흰쥐를 1주간 적응시킨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대조군, 알코올투여 대조군, 알코올과 조성물(비교예 및 실시예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총 14군으로 나누었다. 각 대조군과 실험군에 사용한 동물의 수는 군당 12마리였다. 알코올은 음수에 첨가한 형태로 공급하였으며, 2주 동안 알코올의 첨가량을 5%, 10%, 15%, 20%(v/v) 수준으로 서서히 높였으며, 조성물은 각 실험군에 따라 음수에 1%로 용해하여 공급하였다. 최종 20%(v/v) 알코올을 10주간 공급하여 총 실험기간은 12주로 하였다(도 1 참조). 실험기간동안 식이는 AIN-93G를 공급하였고 물과 식이는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환경은 항온 항습 및 12시간 명암주기를 유지하였다.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 동물의 혈액을 채취한 후 즉시 해부하여 간을 적출하고 혈액과 간조직을 -70℃에 냉동 보관하면서 분석에 이용하였다.
간조직 1g을 취한 다음 0.25M sucrose, 0.5mM EDTA가 함유된 차가운 5mM Tris buffer(pH 7.2) 4㎖를 넣고 균질화한 후 4℃에서 7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이를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 분석을 위하여 상기 시료의 단백질함량을 측정한 후에 2.5mM beta-NAD를 함유하는 glycine buffer(0.1M glycine, pH 9.6)로 최종 부피를 3㎖로 조정하였다. 37℃에서 5분간 안정시킨 후, 알코올을 최종 25mM이 되도록 첨가한 후 340nm에서 5분 동안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량으로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 분석을 위하여 상기 시료를 1mM beta-NAD, 0.1mM pyrazole를 함유하는 60mM sodium pyrophosphate buffer(pH 8.8)로 최종 부피를 3㎖로 조정하였다. 25℃에서 3분간 안정시킨 후,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10mM이 되도록 첨가한 다음 340nm에서 3분 동안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변화량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대조군 및 실험군의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알코올분해효소(ADH)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
효소활성(mmole/min/mg protein) 증가율(%) 효소활성(mmole/min/mg protein) 증가율(%)
정상 대조군 43.0 - 19.5 -
알코올투여 대조군 51.0 0 24.0 0
비교예 1 50.7 -0.6 24.3 1.3
비교예 2 57.8 13.3 26.5 10.4
비교예 3 52.0 2.0 24.9 3.7
실시예 1 61.3 20.2 25.9 14.2
실시예 2 62.6 22.7 28.4 18.3
실시예 3 68.2 33.7 29.9 24.6
실시예 4 59.3 16.3 26.9 12.1
실시예 5 53.5 4.9 24.7 2.9
실시예 6 53.9 5.7 24.9 3.7
실시예 7 67.3 32.0 28.5 18.8
실시예 8 56.7 11.2 26.0 8.3
실시예 9 54.1 6.1 25.4 5.8
상기 표 2와 같이, 소나무껍질 추출물이 많이 함유된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비교예 2) 또는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엉겅퀴, 헛개나무열매, 도라지, 칡뿌리 추출물 만으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3)보다 5가지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경우(실시예 1, 2, 3, 7)에 두 가지 효소의 활성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예 2. 간 기능 개선 활성 측정을 위한 동물실험
상기 실험예 1의 대조군 및 실험군 동물의 혈액을 채취한 후 즉시 해부하여 간을 적출하고 혈액과 간조직을 -70℃에 냉동 보관하면서 분석에 이용하였다.
간조직 1g을 취한 다음 0.25M sucrose, 0.5mM EDTA가 함유된 차가운 5mM Tris buffer(pH 7.2) 4㎖를 넣고 균질화한 후 4℃에서 7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이를 카탈라아제(catalase) 활성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카탈라아제 활성은 Johansson과 Hakan 법을 이용하였다(Johansson and Hakan, 1988). 250mM KH2PO4-NaOH(pH 7.0) 300㎕, 100% methanol 300㎕, 0.27% H2O2 60㎕를 polystylene tube에 넣고 여기에 각 시료 600㎕를 가하여 20℃에서 10분간 진탕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65.2mM potassium periodate 300㎕를 가하여 발색시킨 후, spectrophotometer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ormaldehyde를 표준용액으로 하여 얻은 표준곡선으로부터 활성을 산출하였다.
채취한 실험동물의 혈액을 4℃,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다음 이 혈청을 혈액생화학적 지표 분석의 시료로 이용하였다. 분리한 각 혈청 시료로부터 aspartate aminotransferase(GOT), alanine aminotransferase(GPT)활성을 분석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대조군 및 실험군의 혈액 및 간조직 시료의 카탈라아제 활성, GOT 및 GPT 지표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Catalase GOT GPT
효소활성
(umole/mg protein)
증가율(%) 농도(U/L) 증가율(%) 농도(U/L) 증가율(%)
정상 대조군 40.3 - 59.5 - 36.2 -
알코올투여 대조군 44.8 0 122.5 0 52.7 0
비교예 1 44.2 -1.3 123.7 1.0 53.8 2.1
비교예 2 45.0 0.4 98.3 -19.8 52.0 -1.3
비교예 3 45.3 1.1 113.2 -7.6 51.3 -2.7
실시예 1 47.3 5.6 95.7 -21.9 48.7 -7.6
실시예 2 48.1 7.4 91.2 -25.6 44.5 -13.7
실시예 3 52.1 16.3 73.4 -40.1 40.3 -23.5
실시예 4 49.9 11.4 80.5 -34.3 43.8 -16.9
실시예 5 49.5 10.5 79.1 -35.4 45.7 -13.3
실시예 6 48.2 7.6 75.8 -38.1 44.8 -15.0
실시예 7 49.9 11.4 78.3 -36.1 41.5 -21.3
실시예 8 48.2 7.6 87.3 -28.7 46.1 -12.5
실시예 9 47.0 4.9 92.2 -24.7 47.9 -0.1
상기 표 3과 같이, 특이한 점은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비교예 2) 또는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엉겅퀴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도라지추출물, 칡뿌리 추출물 만으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3)보다 5가지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9)에 카탈라제의 활성 상승과 GOT 및 GPT 지표의 감소를 동반함에 따라 간 기능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숙취해소 임상 실험
성인 남녀 12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를 조사하였다. 선정된 조사대상자에게 상기 비교예 1, 2, 3 및 실시예 3, 4, 7의 조성물을 각각 2g씩 제공하여 음주 직전에 충분한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고, 1인당 소주(알콜도수 20%, 용량 360ml) 한병 반을 1시간 동안 섭취하게 한 후 8시간 뒤에 숙취해소 효과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효과가 탁월함', '효과가 우수함', '보통임', '변화없음'과 같이 4단계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의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구 분 효과가 탁월함 효과가 우수함 보통임 변화없음
비교예 1 0 1 2 7
비교예 2 4 3 2 1
비교예 3 0 2 3 5
실시예 3 6 3 1 0
실시예 4 3 3 2 2
실시예 7 5 3 2 0
상기 표 4와 같이, 소나무껍질 추출물이 높은 함량으로 함유된 조성물인 실시예 3 및 7이 가장 숙취해소 효과가 높았고, 이어 소나무껍질 추출물이 단독으로 함유된 비교예 2가 숙취해소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나무껍질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숙취해소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간 기능 개선 임상 실험
35 ~ 50세의 남성이며 간 기능 장애가 우려되는 잠재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선정된 조사대상자에게 상기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제공하여 하루에 3g씩 8주간 복용하게 한 후 섭취 전후의 간 기능과 관련된 지표인 AST, ALT, γ-GTP를 측정하였고, 이의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구분 섭취 전 4주일 후 8주일 후
AST(U/L) 117 ± 28 64 ± 18 37 ± 12
ALT(U/L) 92 ± 23 61 ± 12 33 ± 9
γ-GTP(U/L) 97 ± 18 67 ± 15 41 ± 11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건강한 사람의 AST, ALT, γ-GTP 수치는 각각 5 ~ 40, 10 ~ 40, 0 ~ 60 U/L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표 5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로 인해 간 기능이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껍질 추출물,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칡뿌리 추출물은 물, 에탄올, 이들의 혼합액 또는 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0.1 ~ 10.0중량부,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2 ~ 25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0.2 ~ 20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0.2 ~ 20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0.2 ~ 2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1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0.5 ~ 6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1 ~ 4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6 ~ 9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3 ~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나무껍질 추출물 1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4 ~ 6중량부, 엉겅퀴 추출물 2 ~ 4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6 ~ 8중량부, 칡뿌리 추출물 3 ~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20160157868A 2016-11-25 2016-11-25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191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868A KR101919325B1 (ko) 2016-11-25 2016-11-25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868A KR101919325B1 (ko) 2016-11-25 2016-11-25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588A true KR20180059588A (ko) 2018-06-05
KR101919325B1 KR101919325B1 (ko) 2018-11-20

Family

ID=6263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868A KR101919325B1 (ko) 2016-11-25 2016-11-25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40A1 (ko) * 2018-09-18 2020-03-26 보비씨엔이(주) 체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WO2023085703A1 (ko) * 2021-11-09 2023-05-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 심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781A (ko) * 2004-05-03 2005-11-08 이승도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강보조식품
KR20060024095A (ko) * 2004-09-13 2006-03-16 영농조합법인 금계식품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771524B1 (ko) * 2006-04-10 2007-10-30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20110033644A (ko) * 2009-09-25 2011-03-31 황대규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3603B1 (ko) 2011-08-05 2012-02-13 (주)에쎄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4439B1 (ko) * 2008-11-06 2012-08-23 정윤석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20130060811A (ko) * 2011-11-30 2013-06-10 농업회사법인(주)농가사랑 혈전용해와 면역력 기능을 갖는 소나무 피 추출액을 이용한 음료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4055B1 (ko) 2012-05-31 2013-12-24 주식회사 새롬 더덕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60998B1 (ko) 2013-03-27 2014-11-13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난각막성분을 포함한 간보호제 및 이 간보호제를 이용한 의약조성물, 식품첨가물 및 식품
KR20160059137A (ko) * 2014-11-18 2016-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숙취해소용 혼합음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781A (ko) * 2004-05-03 2005-11-08 이승도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강보조식품
KR20060024095A (ko) * 2004-09-13 2006-03-16 영농조합법인 금계식품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771524B1 (ko) * 2006-04-10 2007-10-30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114439B1 (ko) * 2008-11-06 2012-08-23 정윤석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20110033644A (ko) * 2009-09-25 2011-03-31 황대규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3603B1 (ko) 2011-08-05 2012-02-13 (주)에쎄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60811A (ko) * 2011-11-30 2013-06-10 농업회사법인(주)농가사랑 혈전용해와 면역력 기능을 갖는 소나무 피 추출액을 이용한 음료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4055B1 (ko) 2012-05-31 2013-12-24 주식회사 새롬 더덕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60998B1 (ko) 2013-03-27 2014-11-13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난각막성분을 포함한 간보호제 및 이 간보호제를 이용한 의약조성물, 식품첨가물 및 식품
KR20160059137A (ko) * 2014-11-18 2016-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숙취해소용 혼합음료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40A1 (ko) * 2018-09-18 2020-03-26 보비씨엔이(주) 체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WO2023085703A1 (ko) * 2021-11-09 2023-05-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 심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325B1 (ko)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271B1 (ko) 간의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 방법 및 의학 조성물
KR100988072B1 (ko)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016760B1 (ko) 오리고기 훈제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훈제 오리고기의 제조방법
KR20150111724A (ko) 소취능 및 항산화능을 가지는 반려동물용 음료 조성물
JP2020514285A (ja) 龍眼肉抽出物を含有する二日酔い予防または解消用組成物
KR101919325B1 (ko)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20170099539A (ko) 돌나물을 주원료로 한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 촉진 효능이 있는 조성물 제조방법
KR101598395B1 (ko) 어성초, 삼백초 및 여주가 함유된 산야초 김치의 제조방법
KR101219650B1 (ko) 옻의 무독화 방법 및 무독화 옻피 추출물의 용도
KR101838576B1 (ko) 발효 야관문 추출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음료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61402B1 (ko) 아스파라거스, 울금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19010B1 (ko) 로스팅된 추출물 및 잔토휴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JPWO2019009437A1 (ja) 自然発がん予防剤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173683B1 (ko)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14055B1 (ko) 헛개나무를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1338526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식품의 생체 아민 저감화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2928B1 (ko) 자스몬산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발아 메밀의 재배방법
JP2009024027A (ja) 生理活性組成物
KR20090089487A (ko) 고혈당과 고혈압 예방 및 간기능보호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2614717B1 (ko) 클로로필을 함유하지 않는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20200016610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2344116B1 (ko) 총명탕 및 감초 복합물을 함유한 기억력 증진 기능성 강화 된장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