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060A -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060A
KR20180057060A KR1020160155204A KR20160155204A KR20180057060A KR 20180057060 A KR20180057060 A KR 20180057060A KR 1020160155204 A KR1020160155204 A KR 1020160155204A KR 20160155204 A KR20160155204 A KR 20160155204A KR 20180057060 A KR20180057060 A KR 20180057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display
unit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802B1 (ko
Inventor
장성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802B1/ko
Priority to US16/462,736 priority patent/US11082614B2/en
Priority to PCT/KR2017/012988 priority patent/WO2018093160A2/ko
Publication of KR2018005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15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7Retouching; Inpainting; Scratch remo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12Image segmentation details
    • G06T2207/20132Image cr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21CRT, LCD or plasm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수신하면 제1이미지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제2이미지로부터 해당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며, 추출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의 배경에 조화시켜서 사용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가 있고,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가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며, 컨텐츠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부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타 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해당 장치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를 가진 영상처리장치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다.
TV와 같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화면의 크기가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유효 화면의 크기의 증대에 따라서, 스탠드 형태보다는 벽에 거치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은 흑색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벽 한가운데를 점유하고 있는 큰 면적의 흑색 영역은, 사용자에 따라서는 불안함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벽지의 패턴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으로 인해 단절되게 나타나므로, 인테리어 측면에서 이질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이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스탠드 형태가 대부분이던 과거에는 상기한 문제가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벽에 대한 거치 형태가 많은 현재에는 상기한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사용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 또는 방법의 적용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제2이미지로부터 상기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큰 흑색 영역으로 나타나는 대신에, 설치공간의 모습과 조화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인테리어적 측면에서 향상된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2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이미지에서 단색이 기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연속되는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1이미지 내에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표시 스케일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에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공간의 에지와 정합을 이루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하는 이미지의 윤곽이 설치공간의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설치공간이 연속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감지부에 감지되는 광 특성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영상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하는 이미지의 영상 특성이 설치공간의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설치공간이 연속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밝기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컬러 레벨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컬러 레벨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주위 환경의 컬러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없는 동안에 불필요하게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표시하게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미지로부터 상기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2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에서 단색이 기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연속되는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표시 스케일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에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공간의 에지와 정합을 이루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되는 광 특성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영상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단계는, 조도센서에 의해 상기 주위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밝기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단계는, 컬러 레벨 센서에 의해 상기 주위 환경의 컬러 레벨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컬러 레벨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컬러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표시하게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외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장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가 촬상되면, 상기 제1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제2이미지로부터 상기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되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상기 설치공간의 모습을 상기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거리가 기 설정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된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공간 상에 거치해 놓은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설치공간을 캡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설치공간을 캡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3이미지에 트림 컨트롤을 반영하지 않고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보정된 제3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3이미지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가 카메라에 의한 캡쳐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가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한 상태에서 제2이미지를 캡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의해 캡쳐된 제2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3이미지 상에 별도의 UI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공간 상에 거치해 놓은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소정의 설치공간(10)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일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종류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종류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와 같이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 형태는 여러 가지가 가능한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의 하부를 스탠드에 의해 지지하는 형태가 가능하고,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설치공간(10) 상에 거치시켜 지지되게 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한 두 가지 형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유효 표시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의 4방향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베젤(12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설치공간(10) 상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정면으로 볼 때, 디스플레이부(110) 주위를 베젤(120)이 둘러싸고, 다시 베젤(120) 주위에 설치공간(10)이 보이게 된다.
관련 기술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상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시스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대기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유효 표시화면이 균일한 검은색을 나타낸다. 그런데, 근래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대형화되는 경향에 있으므로, 설치공간(10) 상에 검은색의 큰 화면이 자리잡는 것은 심미적 측면 및 인테리어적 측면에서의 위화감과 이질감, 검은 화면에 대해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설치공간(10)은 반복되는 소정의 이미지 패턴을 가지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이미지를 가진다. 설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 동안에 검은 화면을 나타내는 것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영상은 여전히 소정의 이미지를 가진 설치공간(10)에 대비하여 이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장치(100) 주위의 설치공간(10)의 이미지와 이질감을 줄일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바, 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소정의 설치공간에 지지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210)와, 디스플레이장치(210)와 통신하는 외부장치(2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외부장치(22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선 방식인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외부장치(220) 사이에 다이렉트로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방식인 경우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규격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외부장치(220)가 다이렉트로 통신하거나, 또는 와이파이 등의 규격에 따라서 별도의 허브 또는 AP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장치(210) 및 외부장치(220)가 통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10)는 예를 들면 TV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10)의 설치 환경은 앞선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외부장치(220)는 카메라(221)를 구비하고, 카메라(221)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220)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221)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21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210)는 외부장치(220)를 비롯한 다양한 기기 또는 컨텐츠소스와 통신하는 통신부(211)와, 통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12)와, 신호처리부(212)에 의해 처리되는 컨텐츠신호의 영상데이터에 따라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3)와, 신호처리부(212)에 의해 처리되는 컨텐츠신호의 오디오데이터에 따라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214)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215)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216)와,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하는 감지부(217)와, 신호처리부(212)의 처리를 위한 연산 및 디스플레이장치(210)의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18)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통신부(21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각기 대응하는 통신모듈 또는 포트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통신 칩셋 또는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통신부(211)는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신호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방향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211)는 예를 들면 RF 방송신호를 지정된 주파수로 튜닝하게 마련된 튜닝 칩(tuning chip), 인터넷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이더넷(Ethernet) 모듈, 패킷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는 접속포트 등의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신호처리부(212)는 통신부(211)에 수신되는 컨텐츠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신호처리부(212)는 컨텐츠영상이 디스플레이부(213)에 표시되고 컨텐츠오디오가 스피커(214)로부터 출력되게 처리한다. 신호처리부(212)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212)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13)는 유효 표시화면 상에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바,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의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3)는 표시패널 이외에도, 표시패널의 종류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방식의 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을 포함한다.
스피커(214)는 오디오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스피커(214)는 어느 한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대응하게 마련된 단위 스피커를 포함하며, 복수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각기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15)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218)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215)는 정보의 입력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215)는 디스플레이장치(210) 외측에 설치된 키, 디스플레이부(213)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는 마이크로폰, 사용자의 제스쳐 등을 촬영 또는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러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의 한 가지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리모트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장치(210)의 본체와 분리된 구성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210) 본체에 마련된 별도의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저장부(216)는 제어부(218)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216)는 제어부(218)에 의해 억세스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이 수행된다. 저장부(216)는 디스플레이장치(210)의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신호처리부(212) 또는 제어부(218)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감지부(217)는 디스플레이장치(210)의 주위 환경, 즉 사용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한다.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의 예시로는 주위 환경의 밝기나, 주위 환경의 광 컬러 레벨이 있다. 감지부(217)는 이를 위하여, 조도센서 또는 RGB 컬러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부(218)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됨으로써, 신호처리부(212)를 비롯한 디스플레이장치(21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처리부(212)의 처리를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제어부(218)는 신호처리부(212)와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신호처리부(212)가 SOC로 구현되는 경우에 제어부(218)는 SOC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하, 외부장치(22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외부장치(220)는 주위 환경의 모습을 캡쳐함으로써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221)와, 디스플레이장치(210)와 통신하는 외부장치 통신부(222)와, 카메라(221)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외부장치 처리부(223)와, 영상을 표시하는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224)와, 외부장치(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장치 제어부(225)를 포함한다.
외부장치(220)는 카메라(221)에 의해 하나 이상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그대로 외부장치 통신부(222)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전송하거나, 또는 캡쳐 이미지를 외부장치 처리부(223)에 의해 처리한 이후에 외부장치 통신부(222)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210) 주위의 설치공간의 이미지와 이질감을 줄일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동작 과정은 외부장치(301)에 의한 동작과 디스플레이장치(302)에 의한 동작으로 구분된다. 프로세스의 내용상, 대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2)의 동작은 외부장치(301)의 동작 이후에 수행된다. 이하 설명하는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외부장치(301) 및 디스플레이장치(302)는 각각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해당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302)가 적어도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상태, 즉 대기모드 또는 정상모드일 경우에 수행된다.
310 단계에서 외부장치(301)는 카메라에 의해 제1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이미지는 디스플레이장치(302)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설치공간의 모습을 캡쳐한 것이다. 사용자는 외부장치(301)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제1이미지가 차후 설치될 디스플레이장치(302)의 전체 모습이 점유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치공간의 모습을 캡쳐한다.
320 단계에서 외부장치(301)는 카메라에 의해 제2이미지를 생성한다. 제2이미지는 디스플레이장치(302)가 설치된 상태의 설치공간의 모습을 캡쳐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310 단계 이후에 설치공간에 디스플레이장치(302)를 설치하고, 320 단계가 수행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외부장치(301)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2) 전체 모습이 포함하는 영역이 캡쳐되도록 한다.
330 단계에서 외부장치(301)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장치(302)에 전송한다.
이상으로 외부장치(301)의 동작은 완료되며, 이후 디스플레이장치(302)의 동작이 이어진다.
3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2)는 외부장치(301)로부터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수신한다. 본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2)는 디스플레이장치(302)가 포함되지 않은 제1이미지 및 디스플레이장치(302)가 포함된 제2이미지를 각기 식별한다.
3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2)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2)의 화면에 대응하는 제3이미지를 도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302)는 제2이미지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제1이미지로부터 상기한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한다. 디스플레이장치(302)가 제2이미지에서 화면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제2이미지에서 흑색과 같은 기 설정된 단색이 기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연속되는 영역을 화면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3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2)는 제3이미지에 대한 트림 컨트롤(trim control)을 수행한다. 트림 컨트롤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3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2)는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한다.
3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2)는 감지된 광 특성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의 영상 특성을 조정한다. 주위 환경의 광 특성 및 이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제3이미지의 영상 특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39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2)는 제3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2)는 설치공간과 조화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인테리어 측면 또는 심미적 측면에서 향상된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각 단계들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설치공간을 캡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410)는 카메라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설치공간(420)의 일 영역을 캡쳐한다. 여기서,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는 설치공간(420)의 영역은, 차후 설치공간(420)에 설치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모습을 적어도 커버하는 면적을 가진다. 즉, 사용자가 외부장치(410)를 사용하여 설치공간(420)의 해당 영역을 캡쳐할 때, 사용자는 캡쳐된 제1이미지(430)가 차후 설치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모습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치공간(420) 및 외부장치(410)의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두고 외부장치(410)를 조작한다.
외부장치(410)는 자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411) 상에, 현재 카메라에 의해 캡쳐될 수 있는 설치공간(420)의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11)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설치공간(420)의 모습이 캡쳐되도록 한다. 외부장치(410)는 카메라에 의한 캡쳐에 따라서 제1이미지(430)를 생성한다. 이하 언급되는 제1이미지,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외부장치(410)에 의해 캡쳐된 제1이미지가 생성된 이후, 사용자는 설치공간(420)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설치공간을 캡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510)는 설치공간(520) 상에 디스플레이장치(5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공간(520) 및 디스플레이장치(530)의 모습을 캡쳐한다. 외부장치(510)는 설치공간(520) 및 디스플레이장치(530)의 모습을 캡쳐하여 제2이미지(540)를 생성함에 있어서, 제2이미지(540) 내에 디스플레이장치(530)의 전체 모습이 포함되도록 한다. 외부장치(510)에 의한 제2이미지(540)의 캡쳐 및 생성은, 제1이미지의 캡쳐 및 생성과, 설치공간(520)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530)의 설치 이후에 수행된다.
또한, 제2이미지(540)의 캡쳐 시의 외부장치(510) 및 설치공간(520) 사이의 거리는, 제1이미지의 캡쳐 시의 외부장치 및 설치공간 사이의 거리와 가능한 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후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540)의 비교에 의해 제3이미지를 도출함에 있어서,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540)의 정합성을 높임으로써 제3이미지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물론,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540)가 완전히 동일한 거리에서 캡쳐된 것이 아니더라도, 제1이미지의 설치공간의 모습 및 제2이미지(540)의 설치공간의 모습이 상호 정합되도록 기 설정된 보정 프로세스가 반영될 수도 있다.
외부장치(510)는 이와 같이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가 생성되면,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제1이미지(610) 및 제2이미지(620)를 수신하면, 제1이미지(610) 및 제2이미지(620)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621)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3이미지(630)를 도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이미지(620) 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621)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한 화면(6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610)의 영역(611)을 판별한다. 제1이미지(610)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설치공간의 모습만을 포함하며, 제2이미지(620)는 설치공간 상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이미지(610) 및 제2이미지(620)를 겹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621)에 해당하는 제1이미지(610)의 영역(611)을 판별하고, 판별된 영역(611)을 잘라낸다. 이와 같이 제1이미지(610)에서 잘라낸 영역(611)은 제2이미지(620)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621)으로 인해 나타나지 않는 이미지이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영역(611)의 이미지를 제3이미지(630)로서 도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3이미지에 트림 컨트롤을 반영하지 않고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710)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서 도출된 제3이미지(730)를 그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710)가 만일 어떠한 보정 없이 제3이미지(730)를 그대로 표시한다면, 표시된 제3이미지(730)는 두 가지 측면에서 설치공간(720)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
한 가지 측면으로는, 제3이미지(730)와 설치공간(720)의 이미지 사이의 부정합이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이미지(730)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설치공간을 캡쳐한 제1이미지와,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설치공간을 캡쳐한 제2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의 영역을 잘라내어 도출됨으로써 생성된다. 그런데, 외부장치가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각각 캡쳐함에 있어서, 설치공간(720)에 대한 외부장치의 거리에 다소나마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미지의 크기 및 제2이미지의 크기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제1이미지로부터 잘라낸 제3이미지(730)가 결과적으로 설치공간(720)과 에지가 맞지 않고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측면으로는, 제3이미지(730)의 영상 특성이 설치공간(720)의 이미지와 맞지 않을 수 있다. 제3이미지(730)의 여러 영상 특성 중에 고려해야 할 것은 휘도와 컬러 레벨인데, 제3이미지(730)의 휘도 및 컬러 레벨이 디스플레이장치(710)에 따르는 것에 비해 설치공간(720)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장치(710) 주위 환경의 광 특성에 따른다. 예를 들어, 설치공간(720)의 백색을 사용자가 인지함에 있어서, 주위 환경의 광이 백색인 경우와 주광색인 경우는 동일한 백색이라도 다른 컬러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설사 제3이미지(730)가 설치공간(720)과 정합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제3이미지(730)가 설치공간(720)에 비해 휘도가 상이하거나 컬러 레벨이 상이하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제3이미지(730)가 설치공간(720)과 부조화를 이룬다고 인지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710)는 제3이미지(730)가 도출되면, 제3이미지(730) 및 설치공간(720) 사이의 윤곽을 정합시키도록 제3이미지(730)를 보정하는 트림 컨트롤 동작과, 제3이미지(730)의 영상 특성을 설치공간(720)에 대응하게 맞추는 영상 특성 조정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제3이미지(730)를 표시한다. 트림 컨트롤 동작 및 영상 특성 조정 동작은 둘 다 함께 수행될 수 있고, 제3이미지(730)에 반영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보정된 제3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810)는 트림 컨트롤 보정 및 영상 특성의 보정이 반영된 제3이미지(820)를 표시한다. 표시된 제3이미지(820)는 디스플레이장치(810) 주위의 설치공간(830)의 이미지에 대해 대체적으로 정합이 맞고, 휘도 및 컬러 레벨이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기에 설치공간(830)이 연속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810)는 인테리어적 측면에서 향상된 사용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이미지(820)는 정지 영상이므로 통상적인 동영상에 비해 적은 소비전력으로 표시가 가능한 바, 디스플레이장치(810)가 대기모드에 있는 동안에도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장시간 제3이미지(820)가 디스플레이장치(810)에 표시되는 경우에 우려되는 번인(burn-in)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810)는 제3이미지(820)를 표시하는 동안에 기 설정된 주기마다 픽셀 시프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3이미지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9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이미지의 에지를 검출한다. 에지의 검출은 마스크를 사용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이미지에서 설치공간의 영역의 에지를 검출한다.
9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이미지를 제2이미지에 적용하고 양자간의 에지의 정합을 비교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이미지를 제2이미지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하고, 제2이미지의 에지와 제3이미지의 에지가 정합되는지를 판단한다.
9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에지들 사이의 부정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부정합은 두 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한 가지는 제2이미지의 에지의 스케일이 제3이미지의 에지의 스케일과 상이한 경우이며, 다른 한 가지는 제2이미지의 에지의 스케일은 제3이미지의 에지의 스케일과 동일하지만 양자간의 에지가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이다.
부정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9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트림 컨트롤을 수행함으로써 부정합을 교정한다. 트림 컨트롤에는 줌(zoom) 조정과 패닝(panning)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스케일이 맞지 않다면 제3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아웃시켜 스케일을 맞추고, 에지가 어긋나 있다면 제2이미지에 대한 제3이미지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도록 패닝시킴으로써 에지를 맞춘다.
9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주위 환경의 광 특성 정보를 취득한다. 이러한 광 특성 정보는, 조도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밝기 레벨이거나, RGB 컬러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RGB 컬러 레벨일 수 있다.
9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이미지의 영상 특성이 주위 환경의 광 특성에 대응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3이미지의 영상 특성이 주위 환경의 광 특성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9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주위 환경의 광 특성에 대응하도록 제3이미지의 영상 특성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주위 환경의 밝기에 대응하도록 제3이미지의 휘도를 조정하거나, 주위 환경의 컬러 레벨에 대응하도록 제3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값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주위 환경의 광이 적색 광원에 의한 것이면, 사용자에게는 백색이 적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이미지의 RGB 레벨 중에서 GB 레벨을 낮춤으로써 상대적으로 R 레벨을 올림으로써, 백색이 적색으로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99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조정된 제3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이미지를 설치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외부장치가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3이미지의 생성은 디스플레이장치 뿐만 아니라 외부장치가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 바, 이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0 단계에서 외부장치(1001)는 카메라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2)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설치공간의 모습을 캡쳐한 제1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이미지,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의 의미는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1020 단계에서 외부장치(1001)는 카메라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2)가 설치된 상태의 설치공간의 모습을 캡쳐한 제2이미지를 생성한다.
10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2)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2)의 화면에 대응하는 제3이미지를 도출한다. 제3이미지의 도출 방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이다.
1040 단계에서 외부장치(1001)는 도출된 제3이미지를 디스플레이장치(1002)에 전송한다.
이상으로 외부장치(1001)의 동작은 완료되며,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2)의 동작이 이어진다.
10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2)는 외부장치(1001)로부터 제3이미지를 수신한다.
10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2)는 제3이미지에 대한 트림 컨트롤을 수행한다.
10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2)는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한다.
10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2)는 감지된 광 특성에 기초하여 제3이미지의 영상 특성을 조정한다.
109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2)는 제3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장치(1001)가 제3이미지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2)에 전달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2)는 제3이미지에 대한 보정만을 수행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3이미지의 도출은 설계 방식에 따라서 외부장치(1001)가 수행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장치(1002)가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외부장치를 사용하여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캡쳐함에 있어서, 제1이미지를 캡쳐할 때의 외부장치 및 설치공간 사이의 거리와 제2이미지를 캡쳐할 때의 외부장치 및 설치공간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실제로 사용자가 이 거리를 맞춰서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캡쳐하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외부장치는 이 거리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가 카메라에 의한 캡쳐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1100)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는 설치공간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캡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캡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외부장치(1100)는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한편 디스플레이부(1110) 상에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이미지(1120)를 표시한다.
가이드 이미지(1120)는 설치공간 상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될 가상의 위치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가이드 이미지(1120)는 사용자가 설치공간을 캡쳐하도록 외부장치(1100)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장치(1100) 및 설치공간 사이의 기 설정된 적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안내한다. 적정 거리는 사전에 설정되는 값이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1100)는 사용자가 적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는 가이드 이미지(1120)를 표시하고 있지 않다가, 사용자가 적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감지되면 가이드 이미지(1120)를 표시한다. 또는, 외부장치(1100)는 사용자가 적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는 가이드 이미지(1120)를 흐릿하거나 또는 반투명하게 표시하고 있가, 사용자가 적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감지되면 가이드 이미지(1120)를 선명하거나 불투명하게 표시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외부장치(1100) 및 설치공간 사이의 거리가 적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1100)는 외부장치(1100) 및 설치공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1100)는 가이드 이미지(1120)가 표시된 상태에서 설치공간을 캡쳐하여 제1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가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한 상태에서 제2이미지를 캡쳐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외부장치(12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을 캡쳐한다. 이 때, 외부장치(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에 가이드 이미지(122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가이드 이미지(1220) 내에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1230)이 위치하도록 외부장치(1200) 및 설치공간 사이의 거리를 맞추고, 그 상태에서 설치공간을 캡쳐함으로써 제2이미지가 생성되게 한다.
가이드 이미지(1220)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외부장치(1200)를 이동시켜 가이드 이미지(1220)의 프레임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베젤에 맞춘 상태에서 캡쳐되도록 한다. 이로써, 외부장치(1200) 및 설치공간 사이의 거리에 있어서, 제1이미지 캡쳐 시의 거리 및 제2이미지 캡쳐 시의 거리를 오차허용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122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므로, 외부장치(120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델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는 다양한 크기의 가이드 이미지(122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델명이나 화면 크기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1200)에 입력하면, 외부장치(120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가이드 이미지(1220)를 기 저장된 DB 또는 외부장치(1200)가 억세스 가능한 서버의 DB를 검색 및 취득하여 표시한다. 또는, 외부장치(1200)는 사용자가 임의로 가이드 이미지(1220)를 줌인 또는 줌아웃시켜 가이드 이미지(1220)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써, 외부장치(1200)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설치공간을 캡쳐한 제1이미지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을 캡쳐한 제2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대응하는 제3이미지를 도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런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이미지 없이 제2이미지만 있을 경우에 제3이미지를 도출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의해 캡쳐된 제2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을 캡쳐한 제2이미지(130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설치공간을 캡쳐한 제1이미지 없이, 제2이미지(1300)만을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이미지(13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대응하는 제1영역(1310)에 해당하는 제3이미지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이미지(13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아닌 설치공간에 대응하는 제2영역(1320)을 판별한다. 제2이미지(1300) 내에서 해당 제2영역(1320)의 위치 또는 면적은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2영역(1320)이 제2이미지(1300)에서 제1영역(1310) 하측의 일부 영역인 것으로 표현하지만, 이는 한정사항이 아니며, 제2이미지(1300)에서 제1영역(13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제2영역(132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판별된 제2영역(1320)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2이미지(1300)의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에 대응하는 제1영역(1310)의 이미지를 예측한다. 예측 방식은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만일 설치공간이 반복되는 특정 단위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벽지에 덮인 상태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설치공간의 단위 이미지 패턴을 제2영역(1320)으로부터 도출하고, 도출된 단위 이미지 패턴을 제1영역(1310)에 채워넣음으로써 제3이미지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역(1320)에서 에지와, 각 픽셀 별 휘도 및 컬러 레벨을 판단함으로써, 단위 이미지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설치공간의 다양한 단위 이미지 패턴이 등록된 DB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영역(1320)에서 설치공간의 단위 이미지 패턴 전체를 도출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역(1320)에 표시된 단위 이미지 패턴의 일부를 도출하고, 도출된 패턴의 일부에 대응하는 단위 이미지 패턴을 DB에서 검색함으로써, 단위 이미지 패턴의 전체를 취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와 같이 취득한 단위 이미지 패턴을 제1영역(1310)에 적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3이미지를 도출한다.
단위 이미지 패턴의 분석 및 DB 검색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외부장치가 할 수도 있지만, 시스템의 부하가 문제가 된다면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외부장치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해당 동작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외부장치는 서버에 제2이미지(1300)를 전송하고, 서버는 제2이미지(1300)의 분석을 통해 제3이미지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3이미지 상에 별도의 UI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설치공간(1440)과 조화를 이루는 제3이미지(14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이미지(1420)를 표시하는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제3이미지(1420)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추가적으로 별도의 UI(1430)를 제3이미지(1420)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UI(1430)는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시계이거나, 액자 형태의 이미지 등이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UI(1430)를 PIP 형식 또는 팝업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일반적인 가정의 벽에 시계가 걸려 있는 듯한 분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제3이미지(1420)는 사용자의 심미적인 관점을 고려하여 표시되는 것이므로, 만일 사용자가 없다면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굳이 제3이미지(1420)를 표시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제3이미지(1420) 또는 UI(1430)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유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모션감지센서, 초음파센서, 포토센서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감지부에 의해, 주위 환경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제3이미지(1420)가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없다고 감지되면 UI(1430)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있다고 감지되면 UI(1430)를 표시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사용자가 없다고 감지되면 제3이미지(1420) 및 UI(1430)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있다고 감지되면 제3이미지(1420) 및 UI(1430)를 표시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사용자가 없다고 감지되면 제3이미지(1420)를 표시하지 않고 화면이 통상적인 검은색을 나타내도록 하고, 사용자가 있다고 감지되면 제3이미지(142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4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3이미지(1420) 및 UI(1430)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 디스플레이장치
211 : 통신부
213 : 디스플레이부
217 : 감지부
220 : 외부장치
221 : 카메라
224 :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제2이미지로부터 상기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2이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이미지에서 단색이 기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연속되는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표시 스케일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에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공간의 에지와 정합을 이루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감지부에 감지되는 광 특성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영상 특성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밝기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휘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컬러 레벨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컬러 레벨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주위 환경의 컬러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 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표시하게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미지로부터 상기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설치공간을 촬상한 상기 제2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에서 단색이 기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연속되는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표시 스케일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에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공간의 에지와 정합을 이루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위 환경의 광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되는 광 특성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영상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조도센서에 의해 상기 주위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밝기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컬러 레벨 센서에 의해 상기 주위 환경의 컬러 레벨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컬러 레벨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컬러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표시하게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9.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외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장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가 촬상되면, 상기 제1이미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제2이미지로부터 상기 판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되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설치공간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상기 설치공간의 모습을 상기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거리가 기 설정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된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외부장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60155204A 2016-11-21 2016-11-21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58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04A KR102581802B1 (ko) 2016-11-21 2016-11-21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US16/462,736 US11082614B2 (en) 2016-11-21 2017-11-16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harmoniz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and an associate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PCT/KR2017/012988 WO2018093160A2 (ko) 2016-11-21 2017-11-16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04A KR102581802B1 (ko) 2016-11-21 2016-11-21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60A true KR20180057060A (ko) 2018-05-30
KR102581802B1 KR102581802B1 (ko) 2023-09-25

Family

ID=6214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204A KR102581802B1 (ko) 2016-11-21 2016-11-21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2614B2 (ko)
KR (1) KR102581802B1 (ko)
WO (1) WO20180931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638B1 (ko) * 2018-07-27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번인 방지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2860091A (zh) * 2019-11-26 2021-05-28 英属维尔京群岛商天材创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CN116134808A (zh) * 2020-08-13 2023-05-16 华为技术有限公司 白平衡处理的方法与装置
EP4113492A1 (en) * 2021-06-28 2023-01-04 B/E Aerospace, Inc. Adjustable display
CN115953422B (zh) * 2022-12-27 2023-12-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边缘检测方法、装置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708A (ja) * 2005-01-07 2006-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US20120013646A1 (en) * 2008-08-26 2012-01-1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driv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2174B2 (en) * 2003-04-16 2014-12-16 Myla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rhinosinusitis
KR101087853B1 (ko) 2004-10-05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A2592485A1 (en) 2007-06-15 2008-12-15 Denis Richard O'brien Faux-transparency method and device
KR20090075234A (ko)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는 텔레비전
KR101639244B1 (ko) 2009-11-19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광을 이용한 렌더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29324B1 (ko) 2010-11-11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와 복수 개의 이종 이미지 센서 그리고 그 제어방법
US9036069B2 (en) 2012-02-06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nattended image capture
EP2916535B1 (en) * 2012-11-02 2017-09-27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203027366U (zh) 2012-12-17 2013-06-26 广东长虹电子有限公司 一种电视机
KR20150133898A (ko) * 2014-05-20 2015-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창문 겸용 표시장치
KR102006314B1 (ko) 2014-05-30 2019-08-02 주식회사 만도 시선 유도체 인식을 통한 차로 이탈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7384A (ko) 2014-08-29 2016-03-10 전자부품연구원 투명-디스플레이와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장치
KR20160073787A (ko) * 2014-12-17 201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639748B (zh) 2015-01-30 2017-10-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基于无边框手机的桌面背景显示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708A (ja) * 2005-01-07 2006-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US20120013646A1 (en) * 2008-08-26 2012-01-1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driv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8122A1 (en) 2020-02-27
WO2018093160A2 (ko) 2018-05-24
KR102581802B1 (ko) 2023-09-25
WO2018093160A3 (ko) 2018-07-12
US11082614B2 (en)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758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6353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57060A (ko)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100090467A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70067674A (ko) 액정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03454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280936B2 (en) Image display unit, mobile phone and method with image adjustment according to detected ambient light
US2012030103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7919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calibration
US1136319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thereof
CN111656767B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CN11097183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221078A1 (en) Calibration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3908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67785B2 (en) Effect control device and effect control method
JP2013114192A (ja) 画像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11819618B (zh) 像素对比度控制***和方法
KR102566738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16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2010212917A (ja) プロジェクタ装置、プロジェクタ装置の投影方法、プロジェクタ装置の投影プログラム、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US20230409159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761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1247983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9188871A (ja) 画像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