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301A - 치약 용기 - Google Patents

치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301A
KR20180054301A KR1020160152096A KR20160152096A KR20180054301A KR 20180054301 A KR20180054301 A KR 20180054301A KR 1020160152096 A KR1020160152096 A KR 1020160152096A KR 20160152096 A KR20160152096 A KR 20160152096A KR 20180054301 A KR20180054301 A KR 20180054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ontainer
container body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교태
이지혜
유아람
하원호
황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5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301A/ko
Priority to CN201720627803.9U priority patent/CN207292867U/zh
Publication of KR2018005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7Dispensing from the bottom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는, 치약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단부에 공기 유입구를 이루는 진공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약 용기{Toothpaste container}
본 발명은 치약 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치약 용기가 벽면 또는 거울에 설치되는 치약 용기로부터 치약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치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후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여야 청결하고 튼튼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항상 입안을 청결히 하여 개운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하여 칫솔과 치약을 이용하여 수시로 양치질을 한다.
여기서, 칫솔은 핸들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헤드부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가 심어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에 치약을 공급한 뒤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등에 문질러서 치아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는 치아의 표면에 마찰하면서 치아를 세정하고, 치간에 침투하여 치간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치아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자신의 치아에 적합한 치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칫솔모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칫솔 대신 전동칫솔을 사용하곤 한다.
아울러, 치약은 튜브형 치약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튜브형 치약 용기를 직접 가압해 내부의 치약을 외부로 밀어내어 사용하며, 이와 달리, 사용자가 펌프를 이용하여 치약을 칫솔에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가 구비되는 통 형태의 용기본체에 치약을 수용시키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 작용으로 토출되는 치약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치약이 하부로 용이하게 모여 사용이 편리한 치약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는, 치약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단부에 공기 유입구를 이루는 진공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내주면에 발수코팅(hydrophobic coating)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하측에서 상측까지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일정 지점까지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일정 지점에서 상측까지 단면적이 일정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치약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면 공기를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를 개폐하는 밸브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향해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향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서 중심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공기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직경이,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어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관에 형성되는 배출로의 직경보다 2배 내지 1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부로 전체길이 중 1/5 내지 1/20 영역을 이루는 제1 구역과,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부까지 이루는 제2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구역과 단면적의 감소비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역은, 단면적의 감소비가 0으로 이루어져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상기 제2 구역보다 단면적의 감소비가 크게 이루어져 급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용기는, 적어도 용기본체 하부의 형상이 배출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치약이 하부로 용이하게 모일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에 대하여 동일한 양의 치약이 위치되는 수선면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치약이 퍼지지 않고 배출부로 집중되어 모일 수 있으므로 치약의 잔량이 줄 수 있으며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방지부가 마련되어 용기본체에 진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약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치약의 점도에 관계없이 치약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치약의 물성 등에 대한 제한이 완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공기가 압축되어 용기본체로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의 일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의 일부가 더욱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의 일부가 다시 폐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가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공기가 압축되어 용기본체로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에서 배출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진공방지부(120), 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튜브형의 용기에 수용되는 치약과 유사하게 고점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고점도의 치약에 대비하여 치약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치약이 저점도로 이루어져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약의 점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편의상 제1 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로 구분하였으나, 용기본체(110)의 형상 및/또는 진공방지부(120)의 형태 등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지며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조합에 따라 실시예는 증가할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용기본체(110)는 치약을 수용하며, 튜브 형의 용기에 대비하여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세면대 주변에 마련되는 거울 또는 벽면과 같은 고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약 용기(10)는 빨판 등과 같은 고정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거치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면에 설치됨으로써, 화장실의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 및 거치대는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용기본체(110)의 내벽에 치약이 점착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110)의 내주면에는 발수코팅(hydrophobic coating)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빈도에 따라 점차 치약의 용량이 감소 되더라도, 줄어든 치약의 용량에 대응하여 용기본체(110)의 내벽을 따라 치약이 하부로 용이하게 흘러 내려갈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즉, 동일한 높이에 대하여 단면적이 감소되면, 동일한 양의 치약은 단면적이 좁을수록 부피가 감소하여 수선면이 상승되므로, 바닥면에 치약이 퍼지지 않고 배출부(130)로 집중되어 모일 수 있으므로 치약의 잔량이 줄 수 있다. 아울러, 배출부(130)가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 치약의 잔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A)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일정 지점(예를 들어 용기본체 전체 길이중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1/3 내지 1/2 지점)까지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일정 지점에서 상측까지 단면적이 일정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B)는, 전체 형상이 테이퍼질 수 있어, 하측에서 상측까지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질 수 있으며, 이는 원뿔을 뒤집어 놓은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게다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는 배출부(130)로부터 상부로 전체길이 중 1/5 내지 1/20 영역을 이루는 제1 구역(111)과, 제1 구역(111)으로부터 상부까지 이루는 제2 구역(11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역(111)은 제2 구역(112)과 단면적의 감소비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역(111)의 단면적 감소비가 제2 구역(112)의 단면적의 감소비보다 크게 이루어져 급경사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용기본체(110)는 치약의 용량이 감소된 후 내벽에 잔여할 수 있는 잔량의 치약이 서로 뭉쳐진 후 낙하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110)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돌기(113)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돌기(113)는 제2 구역(112)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구역(111)에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역(111)은 단면적의 감소비가 0으로 이루어져 일자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역(111)이 일자형태를 이루는 경우, 제2 구역(112)의 상부 단면적에 대비하여 제1 구역(111)의 단면적이 협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구역(111)의 단면적은 용기본체(110)의 최대단면적 대비 0.1 내지 0.5배일 수 있으며, 및/또는 토출관(135B)에 형성되는 배출로의 단면적 대비 2배 내지 10배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용기본체(110)는 치약의 토출 이후, 진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개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본체(110)의 상단부에 진공방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진공방지부(120)는 공기 유입구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진공방지부(120)는 용기본체(110) 내부의 치약이 배출부(130)를 통해 배출되면 공기를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방지부(120)는 용기본체(110)에서 편심되게 마련되어, 용기본체(110)의 내주면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치약을 향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진공방지부(120)는 작은 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도 2에서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의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 즉, 용기본체(110)를 향해 점차 단면적이 감소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방지부(120)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경우, 진공방지부(120)를 통해 공기가 압축되어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약 배출 시 용기본체(110)의 내압이 변동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음압이 걸림으로써, 용기본체(110)로 공기가 빨려 들어갈 수 있고, 빨려들어간 공기가 진공방지부(120)의 유로를 따라 유입되는 과정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된 공기가 치약을 누르게 되므로, 치약의 흐름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 등의 구조물이 없거나, 치약이 고점도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펑핑되는 힘이 치약을 밀어내기 위한 힘보다 작아도, 내부 압력에 의해 치약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게다가, 진공방지부(120)가 용기본체(110)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게 마련되는 경우, 진공방지부(120)는 용기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회전되어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10)는 상단판(도시하지 않음)과 둘레부(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단판은 용기본체(110)의 상단을 이루며 진공방지부(120)가 설치되고, 둘레부는 용기본체(110)의 측면을 이루고 상부가 개구되되 상단판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상단판은 둘레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단판의 회전에 따라 진공방지부(120)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방지부(120)는 위치의 변동에 따라, 다지점에서 용기본체(110)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둘레부와 상단판이 고정되고 상단판 상에서 진공방지부(120)가 회전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방지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상단부에서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진공방지부(120)는 댐퍼(1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용기본체(110)로부터 치약이 배출시 용기본체(110) 내압이 감소하여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음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10) 내부로 공기가 빨아 들어갈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0)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하여, 댐퍼(121)는 하강할 수 있고, 하강된 댐퍼(121)가 공기 유입구를 개방시켜, 용기본체(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10)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과 동일해지면, 댐퍼(121)를 미는 힘이 사라져, 댐퍼(121)는 형상이 복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댐퍼(121)에는 토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torsion spring) 등이 마련되어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입구는 진공방지부(120)를 관통하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공기 유입구의 직경이 배출부(130)의 배출구의 직경보다 2배 내지 15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진공방지부(120)는 복수의 공기 배출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진공방지부(120)가 용기본체(110) 내주면을 향하도록 편심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공기 배출홀(122)을 통해 유입된 치약이 용기본체(110)의 내측 둘레면을 향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중심부를 향하고, 둘레면을 향해 복수의 공기 배출홀(12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진공방지부(120)는 용기본체(110)에 대비하여 소형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진공방지부(120)의 단면적은 용기본체(110)의 단면적에 대비하여 1/10 내지 1/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진공방지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판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상단판은 연성의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단판을 누르면 배출부(130)를 향해 상단판이 내려갈 수 있고, 상단판에 연동하여 진공방지부(120)가 내려가 공기가 배출되는 위치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진공방지부(120)는 선택밸브(123)와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밸브(123)는, 용기본체(110)로부터 빠져나간 치약과 함께 내압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부에 공기가 재유입되도록 하여 진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밸브(123)는 댐퍼(121)를 대체하여 마련되거나, 공기 유입구에서 상하 일렬로 댐퍼(121)와 선택밸브(123)가 일렬로 마련되는 바와 같이, 서로 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방지부(120)에서 하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입구인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필터는 폴리머 멤브레인의 표면에 코팅이 이루어진 에어 멤브레인 필터(air membrane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어,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되 이물질은 차단하여 용기본체(1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공기 유입구 상에서 선택밸브(123)와 상하 일렬로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진공방지부(120)는 공기 압축부(125A), 구획부재(125B), 공기이동로(125C)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압축부(125A)는 용기본체(1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용기본체(110) 측으로 밀어내어 용기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태 병형이 없는 용기본체(110)는 공기의 유출입에 관계없이 일정한 부피를 이룰 수 있는데, 공기 압축부(125A)로부터 공기가 추가로 유입되면 증가된 공기로 인하여 용기본체(110) 내부의 압력은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압축부(125A)는 부피의 감소로 인하여 내부의 공기를 용기본체(110)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압축부(125A)는 고무벌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사용자가 공기 압축부(125A)를 누르면 공기 압축부(125A)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공기 압축부(125A)의 공기가 공기이동로(125C)를 통해 용기본체(110)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기 압축부(125A)는 둘레면에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주름통(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복원부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원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압축부(125A)는 사용자가의 누름 동작 등을 통해, 눌리거나 주름이 접히는 과정을 통해 부피가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가 공기 압축부(125A)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형태가 재질의 특성 또는 복원부재의 복원으로 인하여 공기 압축부(125A)의 외형이 복원될 수 있다.
아울러, 고무벌브 및 주름통은, 용기본체(110)로 빠져나가 양이 감소된 공기가 다시 충전될 수 있도록, 작은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은홀은 공기이동로(125C)에 대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0.1mm 내지 1mm의 직경을 이룸으로써, 공기 압축부(125A)로부터 용기본체(11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복원부재를 통해 형태가 복원될 수 있는 공기 압축부(125A)는, 후술되는 공기이동로(125C)를 통해, 용기본체(110)와의 사이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용기본체(110)로 흐르는 단일 방향성을 이루어 배출되므로, 공기 압축부(125A)의 형태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용기본체(110)로부터 공기 압축부(125A)로 공기가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복원부재를 통해 공기 압축부(125A)의 형태가 급속히 복원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공기 압축부(125A)의 형태가 복원되기 위해 대기할 필요없이 반복적으로 공기 압축부(125A)로부터 용기본체(110)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
구획부재(125B)는 공기 압축부(125A)와 용기본체(110) 사이에 마련되며, 공기 압축부(125A)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공기 압축부(125A) 내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10)로 밀어질 수 있도록, 즉 공기 압축부(125A)의 내부 공기의 흐름이 용기본체(110) 내부 방향으로 일방향 이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125B)는 가스켓 또는 오링(o-ring)으로 이루어져, 공기 압축부(125A)와 용기본체(110) 사이를 구획하면서도, 용기본체(110)로부터 공기 압축부(125A)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공기 압축부(125A)로부터 용기본체(110)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획부재(125B) 상에는 공기이동로(125C)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이동로(125C)는 공기의 흐름이 일방향이 되도록 제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기이동로(125C)는 구획부재(125B) 상에 형성되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공기이동로(125C)는 구획부재(125B) 상에 형성되는 홀에 마련되는 판(125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1251)의 일단은 용기본체(110) 또는 구획부재(125B)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되어 홀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판(1251)은 공기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어 홀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판(1251)은 댐퍼(121)의 토션 스프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토션 스프링이 마련되어, 내압의 변화에 의해 회전된 이후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판(1251)의 고정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판(1251)이 설치되는 연결부재(1252)가 마련될 수 있고, 연결부재(1252)는 양단이 개구되는 원통의 구조를 이루어 일측은 구획부재(125B)의 홀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판(125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130)는 용기본체(110)의 하측에 마련되어 치약을 배출한다. 배출부(130)는 외부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110)의 출구를 개폐하는 펌프(130A, 130B) 또는 밸브(도시하지 않음)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펌프(130A)는 펌프바디(131A), 개폐부(132A) 및 버튼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바디(131A)는 용기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별로 제작되어 용기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바디(131A)는 용기본체(110)로부터 유입된 치약이 경유하여 배출되는 배출로(1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로(1311A)는 용기본체(110)의 출구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의 중공에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부(132A)는 배출로(1311A)를 개폐할 수 있는데,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펌프바디(131A)의 배출로(1311A)를 가로질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하 '평시'로 명칭)에서는 개폐부(132A)가 배출로(1311A)를 폐쇄하고, 외력이 가해진 상태(버튼부를 통해 눌려진 상태로서 이하 '누름 상태'로 명칭)에서는 배출로(1311A)를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132A)는 평시와 누름 상태에 따라 배출로(1311A)와 연통되거나 어긋나게 마련되는 개폐홀(1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평시에는 배출로(1311A)로부터 개폐홀(1321A)이 이격되어 개폐부(132A)가 배출로(1311A)를 폐쇄할 수 있고, 누름 상태에서는 배출로(1311A) 상에 개폐홀(1321A)이 위치되어 개폐부(132A)가 배출로(1311A)를 개방함으로써 치약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132A)의 일측은 스프링(134A)에 연결되어 탄성 지지될 수 있고, 개폐부(132A)의 타측에는 버튼부(133A)가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34A)은 펌프바디(131A)의 내측에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시에는 개폐부(132A)가 외측 방향에 마련되도록 탄성지지하여, 개폐홀(1321A)이 배출로(1311A)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34A)에 의해 개폐부(132A)가 펌프바디(131A)의 외측으로 돌출되나, 스프링(134A)과 개폐부(132A)는 연결된 상태로서, 개폐부(132A)는 펌프바디(131A)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누름 상태에서는 개폐부(132A)가 펌프바디(131A)의 내측으로 밀릴 수 있도록 스프링(134A)이 가압될 수 있다.
버튼부(133A)는 개폐부(132A)를 조작할 수 있으며, 스프링(134A)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개폐부(132A)의 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누름이 편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평시에 개폐부(132A)가 펌프바디(131A)로부터 돌출되는 형태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개폐부(132A)의 이동은 개폐홀(1321A)이 배출로(1311A)와 연통되거가 어긋나게 마련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바디(131A)의 내측에서 이동되어 펌프바디(131A)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펌프(130B)는 실린더(131B), 피스톤(132B), 피스톤링(133B), 스프링(134B) 및 토출관(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31B)는 용기본체(110)의 출구에 연결되어 배출될 치약을 임시로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피스톤(132B), 피스톤링(133B)이 설치되고, 실린더(131B)의 외측에 토출관(135B)이 노출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132B)은 실린더(131B)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움직임에 따라 실린더(131B)의 유효공간(1311B)을 가감시킴으로써 치약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토출관(135B)은 피스톤(132B)의 움직임에 의해 실린더(131B)에 수용된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토출관(135B)은, 배출부(130)에 인접하게 놓이는 칫솔(10)의 칫솔 헤드(부호 도시하지 않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기준으로, 토출관(135B)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 피스톤(132B)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32B)의 측면에 형성된 개폐홀(1321B)이 피스톤링(133B)을 벗어나면서 실린더(131B)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링(133B)은 실린더(131B) 내벽에 마찰로 붙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31B)의 내부에 피스톤(132B)이 마련된 상태로서, 피스톤(132B)으로부터 우측에 형성된 실린더(131B)의 유효공간(1311B) 즉, 실린더(131B) 내부에 치약이 실제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부피는, 피스톤(132B)에 의해 줄어들면서 내압이 증가하게 되고, 실린더(131B) 내 치약이 피스톤(132B) 내부로 유입되어, 개폐홀(1321B)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린더(131B)에서 용기본체(110)로 치약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실린더(131B)와 용기본체(110) 사이에는 실린더(131B)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댐퍼 등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나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32B)이 우측으로 더 이동하면, 피스톤(132B)의 돌기(113)가 피스톤링(133B)을 밀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131B)의 유효공간(1311B)은 더욱 줄게 되어 내압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역시, 치약이 내압에 의해 피스톤(132B)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 이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상태를 해제하도록, 사용자가 치약 용기(100)로부터 손을 떼면, 수축되었던 스프링(134B)이 복원되는 과정에서, 피스톤(132B)이 좌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실린더(131B)와 피스톤링(133B) 사이의 마찰로 인해, 피스톤링(133B)은 피스톤(132B)과 같이 움직이지 않고, 피스톤(132B)의 개폐홀(1321B)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131B)의 유효공간(1311B)이 증가하면서 내압이 줄고, 용기본체(110)의 치약이 실린더(131B)의 유효공간(1311B)으로 빨아들여 질 수 있다.
더욱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34B)이 완전히 복원되어 피스톤(132B)이 좌측으로 더 움직이면, 피스톤링(133B)은 피스톤(132B)의 우측 단턱(1323B)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13) 및 단턱(1323B)은 피스톤링(133B)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피스톤링(133B)과 맞닿도록 이루어지며 일례로 둘레면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거나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펌프(130B)는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토출관(135B)은 배출부(130)에 인접하게 놓이는 칫솔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즉, 토출관(135B)의 눌림 과정에서 치약은 지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칫솔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치약이 칫솔 헤드 상에 배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칫솔(10)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치약을 배출시키기 위한 누름 동작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130)는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밸브는 용기본체(110)의 출구 면적 조절을 통해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는 가름막(도시하지 않음)과 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손잡이에 가름막이 연결되어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름막이 용기본체(110)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는, 일반적인 밸브의 메카니즘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11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이 걸리지 않도록 방지하면서도, 치약이 외기로 인해 굳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치약의 조성물을 조절하여 치약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치약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10) 하부의 형상이 배출부(130)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치약이 하부로 용이하게 모일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에 대하여 동일한 양의 치약이 위치되는 수선면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용기본체(110)의 바닥면에 치약이 퍼지지 않고 배출부(130)로 집중되어 모일 수 있으므로 치약의 잔량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칫솔 100 : 치약 용기
110 : 용기본체 111 : 제1 구역
112 : 제2 구역 113 : 돌기
120 : 진공방지부 121 : 댐퍼
122 : 공기 배출홀 123 : 선택밸브
125A : 공기 압축부 125B : 구획부재
125C : 공기이동로 1251 : 판
1252 : 연결부재 130 : 배출부
130A, 130B : 펌프 131A : 펌프바디
1311A : 배출로 131B : 실린더
1311B : 유효공간 132A : 개폐부
1321A, 1321B : 개폐홀 132B : 피스톤
133A : 버튼부 133B : 피스톤링
134A, 134B : 스프링 135B : 토출관

Claims (11)

  1. 치약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하측에 마련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단부에 공기 유입구를 이루는 진공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주면에 발수코팅(hydrophobic coatin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하측에서 상측까지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일정 지점까지 단면적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일정 지점에서 상측까지 단면적이 일정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치약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면 공기를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를 개폐하는 밸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향해 마련되어, 치약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서 중심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공기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직경이, 상기 배출부에 마련되어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관에 형성되는 배출로의 직경보다 2배 내지 15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부로 전체길이 중 1/5 내지 1/20 영역을 이루는 제1 구역과,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부까지 이루는 제2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구역과 단면적의 감소비가 달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은,
    단면적의 감소비가 0으로 이루어져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상기 제2 구역보다 단면적의 감소비가 크게 이루어져 급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KR1020160152096A 2016-11-15 2016-11-15 치약 용기 KR20180054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96A KR20180054301A (ko) 2016-11-15 2016-11-15 치약 용기
CN201720627803.9U CN207292867U (zh) 2016-11-15 2017-05-31 牙膏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96A KR20180054301A (ko) 2016-11-15 2016-11-15 치약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01A true KR20180054301A (ko) 2018-05-24

Family

ID=6229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096A KR20180054301A (ko) 2016-11-15 2016-11-15 치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3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495A1 (ko) * 2020-12-10 2022-06-16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KR20220101948A (ko) * 2021-01-12 2022-07-19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KR20220101947A (ko) * 2021-01-12 2022-07-19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495A1 (ko) * 2020-12-10 2022-06-16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KR20220101948A (ko) * 2021-01-12 2022-07-19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KR20220101947A (ko) * 2021-01-12 2022-07-19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301A (ko) 치약 용기
US6623201B2 (en)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9714714B2 (en) Nozzle tip with slit valve for fluid dispenser
RU26883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выдающее текучую среду
TWI413513B (zh) 口腔保健流體輸送系統
RU2428261C2 (ru) Сжимаемый вспениватель
EA000234B1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насосом
US20080317544A1 (en) Shaving lotion dispenser
CN1230907A (zh) 排出一定剂量的液体、胶状或粘性物质的泵
US20110070016A1 (en) Water pump toothbrush
AU2015299924A1 (en)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KR20180054292A (ko) 치약 용기
JP2004073558A (ja) 口腔洗浄具
KR20180054298A (ko) 치약 용기
KR20100022603A (ko) 펌핑 노즐을 일체로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07292867U (zh) 牙膏容器
KR20035456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KR101492836B1 (ko) 휴대용 치간 세정장치
KR102115096B1 (ko) 샤워기 헤드용 필터 카트리지
US20240172794A1 (en) Electronic cigarette
KR20110094522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CA2682362A1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2021102474A (ja) 押出し器具
KR100630610B1 (ko) 텔레스코픽 타입의 피스톤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22219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