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737A -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737A
KR20180051737A KR1020160148147A KR20160148147A KR20180051737A KR 20180051737 A KR20180051737 A KR 20180051737A KR 1020160148147 A KR1020160148147 A KR 1020160148147A KR 20160148147 A KR20160148147 A KR 20160148147A KR 20180051737 A KR20180051737 A KR 2018005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ha
fat
group
omega
m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기백
박용진
박종민
한영민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메딕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메딕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737A/ko
Priority to PCT/KR2017/008632 priority patent/WO2018088679A1/ko
Publication of KR2018005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azoxymethane(AOM)으로 개시되고, dextran sodium sulfate(DSS)의 촉진에 의해 대장염-관련 암(CAC)를 유발시킨 생체 내 실험을 통해 세포사멸과 세포주기 억제에 의한 대장암 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독성,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해 억제, 종양 억제성 15-PGDH의 유도 현상을 등의 항암 메커니즘을 오메가-3 폴리불포화지방산(ω-3 PUFA)이 가지고 있음을 밝혀내고, 또한, 장래의 임상적 활용을 위해서, 중 60kg 당 3g의 오메가-3 폴리불포화지방산을 식이 섭취하는 것이 조직에서 fat-1 생쥐의 대장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ω-6:ω-3 비율을 보일 수 있다는 유용한 정보를 완성하게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고 이를 치료하는 항암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이 1일 60kg 당 3g 투여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Anti concer composition comprising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revented colitis-associated carcinogenesis}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해를 막고, NF-κB 억제에 의해 COX-2를 저해하며, 15-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를 유도함으로써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PUFA)을 활성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at-1 형질전환(TG) 생쥐와 fat-1 TG 소들은 n-3 불포화효소(desaturase)의 형질전환 발현에 의해 ω-6 PUFA를 ω-3 PUFA로 변환시키도록 디자인된 형질전환동물들로, 양성의 대사질환과 염증질환부터 다양한 암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질환에 대한 내인성 ω-3의 효과를 연구하는 이상적인 모델이다.
이러한 TG 동물들의 활용이 가능하기 이전에는, ω-3 PUFAs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생체 내 실험들은 ω-6:ω-3의 비율을 달리 공급하여 조직의 영양분 구성을 변경하는 수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포유류는 n-3 불포화효소가 없어서 ω-6을 ω-3로 본질적으로 변환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섭취한 양과 실제 성분에 비록 작지만 어쩔 수 없는 차이가 발생하여 그 결과들이 일정치 않고 모순적이기도 하였다.
ω-6:ω-3 PUFA 공급을 위해 어류나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는 데에 따른 한계점은 유전자적 접근을 이용한 TG 동물에 의해 극복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들은 C. elegans의 n-3 불포화효소 유전자인 fat-1을 포유류에서 발현시킴으로써 ω-6:ω-3 비율을 변경시킨 것이다. 이들 TG 모델을 통해 얻어진 결과들은 ω-3 PUFAs의 정확한 기능을 해석하기에 보다 신뢰할만할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Kang 등에 의해 fat-1 TG 모델이 소개된 이후, 폐암, 흑색종, 췌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대장암, 대장염 관련 암(CAC) 등의 다양한 암에 대한 ω-3 PUFA의 예방효과에 대해 수많은 자료들이 발표되었다. ω-3 PUFAs의 항암효과가 항염증, 항산화, 항증식 및 항돌연변이 성질들로부터 나타난다는 사실을 일관성 있게 보여주는 수많은 자료들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그 메커니즘을 보통의 항-발암성 기작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특히, 얼마만큼의 외인성 ω-3가 공급되어야만 fat-1 TG 모델에서 보인 것과 같은 정도의 항-발암성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보이는 자료는 없다. 앞서 언급한 ω-3 PUFAs의 암예방 모델을 설명하는 자료들 중 오직 세 개의 자료들, 즉 p48Cre /+ LSL-KrasG12D /+ 를 포함한 췌장관 선종암 모델, APCmin /+를 포함한 대장선종 모델,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HER2 경로의 하향 조절에 의한 유방암 모델에 관한 연구들만이 fat-1 TG 생쥐에서 ω-3 PUFAs 에 의한 암의 예방을 설명하면서 특별한 메커니즘을 보이고 있다. 나머지 연구들은 항염증, 항증식, 항산화작용 등과 같은 일반적인 메커니즘이 암 예방에 관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8200호
fat-1 TG 생쥐는 현저하게 낮은 암 발생을 보인다는 사실과 함께, 본 발명자는 azoxymethane(AOM)으로 개시되고, dextran sodium sulfate(DSS)의 촉진에 의해 대장염-관련 암(CAC)를 유발시킨 생체 내 실험을 통해 ω-3 PUFA의 암 예방 메커니즘이 항증식, 항염증성 및 항산화 작용과 같은 알려진 메커니즘 이외에도, 세포사멸과 세포주기 억제에 의한 대장암 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독성,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해 억제, 종양 억제성 15-PGDH의 유도 현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밝혀내고, 또한, 장래의 임상적 활용을 위해서, 본 발명자는 체중 60kg 당 3g의 ω-3를 식이 섭취하는 것이 조직에서 fat-1 생쥐의 대장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ω-6:ω-3 비율을 보일 수 있다는 유용한 정보를 완성하게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ω-3 폴리불포화지방산(ω-3 PUFA)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항암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항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에콘산(EPA) 또는 도코사헥사에콘산(DH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암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이 1일 60kg 당 3g 투여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해를 막고, NF-κB 억제에 의해 COX-2를 저해하며, 15-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를 유도함으로써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고 이를 치료하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PUFA)을 활성 성분으로 하는 항암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면 1 : DHA가 HCT116 결장암 세포에서 세포사멸 및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해를 통해서 세포독성을 유발한다. (A) 세포 생존울은 MTT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DHA는 시간- 및 용량-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을 현저히 감소시켰다(P<0.05). (B) HCT116 세포를 DHA(30, 60 및 100μM/ml)로 24시간동안 처리한 후 FITC 아넥신 V 및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로 염색하고 유동세포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세포사멸된 세포의 퍼센티지를 Mod-Fit 프로그램으로 결정하였다. (C) HCT116 세포들을 DHA로 24시간 처리한 후 카스파제-8, Bcl-2, p21, CDK-2 및 CDK-4를 포함하는 세포 주기 및 세포사멸 마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해당하는 항체의 발현을 웨스톤 블롯으로 조사하였다. (D) HCT116 세포들을 다른 농도의 DHA로 24시간 처리한 후 세포 용해물을 anti-APC-항체로 면역 침전시킨 후 GSK3β, β-카테닌 및 APC 항체로 각각 면역블롯팅 하였다(위). DHA 처리 후 핵에서의 β-카테닌의 발현을 보기 위한 웨스톤 블롯(아래). (E) HCT116 세포들을 Tcf/Lef-Luc 리포터 벡터로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 후, 세포들을 무혈장 배지에서 DAH와 함께 12시간동안 배양하고, 세포 용해물을 루시페라제 활성의 측정을 위해 획득하였다.
도면 2 : DHA는 COX-2를 억제하고, NF-κB 활성화를 억제하나 15-PGDH 발현은 유도하였다. (A) DHA에 의한 COX-2 억제. HCT116 세포들은 30 및 60μM의 DHA로 24시간 처리하고 나서, COX-2 항체를 이용해 웨스톤 블롯 분석을 하기 위해 세포 용해물을 얻었다. (B) 60μM의 DHA로 처리한 후 COX-2 프로포터 활성. HCT116 세포들을 COX-2 프로모터 조절을 받는 루시페라제 리포터 구축물로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 후 세포들을 비히클 또는 DHA로 배지에서 처리하였다. 세포 용해물은 루시페라제 리포터 활성의 측정에 사용되었다. (C) DHA 처리 후의 PGE2의 변화. PGE2 레벨을 ELISA로 측정하였다. (D) 서로 다른 양의 DHA 처리 후의 인산화된 IκBa 및 β-액틴의 세포질 내 레벨, 핵에서의 NF-κB p65, p50 및 Lamin B의 레벨을 웨스톤 블롯으로 조사한 결과. (E) DHA 처리 후의 15-PGDH 발현을 웨스톤 블롯(좌)이나 공초점 이미징으로 조사하였다.
도면 3 : AOM로 개시되고, DSS로 촉진된 CAC 생체 내 모델 및 CAC 억제에 대한 ω-3 PUFAs의 영향. (A) C57BL/6과 fat-1 TG 생쥐를 이용한 CAC 실험모델의 도식적 개요. 실험동물들은(n=8)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B) 각 그룹을 대표하는 현미경 사진 (C) 각 그룹의 평균 결장 길이 (D) 결장 암 부위에 따른 종양 개수. 종양 개수는 전반부 1/3, 중부 1/3 및 말단부 1/3에서 측정. (E) 종양 크기 >2mm 및 <2mm에 따른 종양 개수 비교.
도면 4 : 실험그룹에 따른 COX-2, NF-κB 및 15-PGDH 발현 변화. (A) COX-2 발현에 대한 웨스톤 블롯. 그룹 2에서는 COX-2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그룹 4에서는 감소되었다. (B) COX-2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염색(위는 100배 확대, 아래는 200배 확대). (C) 그룹별 인산화된 IκBa와 β-액틴의 세포질 내 발현 및 NFκB p65, p50 및 Lamin B의 핵에서의 발현을 웨스톤 블롯으로 조사한 결과. (D) 그룹별 15-PGDH에 대한 웨스톤 블롯. (E) 그룹별 15-PGDH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염색(왼쪽, 중간은 100배 확대, 오른쪽은 200배 확대).
도면 5 : 그룹별 Ki-67, 사이클린 및 β-카테닌의 변화. (A) Ki-67의 면역조직학적 염색(100배 확대). (B) 그룹별 사이클린 D1 및 사이클린 E의 웨스톤 블롯. 그룹 4의 사이클린 D1과 사이클린 E의 발현이 그룹 2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P<0.01). (C) β-카테닌의 면역조직학적 염색, 100배 확대. (D) 조직 균질현탁액의 핵에서 β-카테닌 발현에 대한 웨스톤 블롯. 그룹 4의 핵에서의 β-카테닌 발현은 그룹 2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도면 6 : TUNEL 염색과 웨스톤 블롯으로 조사한 그룹 별 세포사멸. (A) 그룹별 세포사멸 지수 측정을 위한 TUNEL 염색(100배 확대). (B) 세포사멸 시행자로서 FAS 및 Bax, 항-세포사멸 분자로서 서바이빈 및 Bcl-2에 대한 그룹별 웨스톤 블롯.
도면 7 : 서로 다른 양의 ω-3 PUFAs를 투여한 fat-1 TG 생쥐(우측)와 야생형 생쥐(좌측)에서 GC/MS/MS로 결장에서의 DHA 레벨 측정. (A) fat-1 TG와 체중 60kg 당 0.5, 1, 2, 3, 5 및 10g의 ω-3 PUFAs를 투여한 야생형 생쥐에서 결장의 DHA 레벨. (B) fat-1 TG와 서로 다른 양의 ω-3 PUFAs를 투여한 야생형 생쥐의 ω-6:ω-3 PUFAs 비율 계산.
fat-1 TG 생쥐는 현저하게 낮은 암 발생을 보인다는 사실과 함께, 본 발명자는 azoxymethane(AOM)으로 개시되고, dextran sodium sulfate(DSS)의 촉진에 의해 대장염-관련 암(CAC)를 유발시킨 생체 내 실험을 통해 ω-3 PUFA의 암 예방 메커니즘이 항증식, 항염증성 및 항산화 작용과 같은 알려진 메커니즘 이외에도, 세포사멸과 세포주기 억제에 의한 대장암 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독성,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해 억제, 종양 억제성 15-PGDH의 유도 현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밝혀내고, 또한, 장래의 임상적 활용을 위해서, 본 발명자는 체중 60kg 당 3g의 ω-3를 식이 섭취하는 것이 조직에서 fat-1 생쥐의 대장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ω-6:ω-3 비율을 보일 수 있다는 유용한 정보를 완성하게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ω-3 폴리불포화지방산(ω-3 PUFA)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항암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항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에콘산(EPA) 또는 도코사헥사에콘산(DH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암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이 1일 60kg 당 3g 투여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이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Ⅰ재료 및 방법
1. 재료 및 세포배양
에이코사펜타에콘산(EPA)와 α-리놀렌산(ALA) 등을 포함하는 n-3 PUFAs 중 도코사헥사에콘산(DHA)이 암세포에 가장 강한 억제 활성을 보여, 이를 선택하였으며, Cayman(Michigan, USA)에서 구매하였다. HCT116 인간 결장암 세포주는 ATCC에서 구매하였다. HCT116 인간 결장암 세포주는 10%(v/v)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im)과 100U/ml 페니실린을 포함하는 RPMI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세포들은 37℃, 5%의 CO2 조건에서 계대배양 하였다.
2. 항체
베타-액틴(β-actin), 베타-카테닌(β-catenin), APC, Lamin B, COX-2, 인산화된 IκBa, NFκB p65, NFκB p50, Fas, Bax 및 서바이빈(survivin) 항체들은 Santa Cruz Biotechnology(Santa Cruz, CA)에서 구매하였다. 사이클린(Cyclin)D1, 사이클린E, CDK2, CDK4, Caspase-8, B치-2, p21, 15-PGDH 및 GSK3β 항체들은 모두 Cell Signaling(Denver, MA)에서 구매하였다.
3. 세포 생존율 측정
MTT(Sigma Aldrich)를 이용한 세포 증식 분석에서, DHA를 첨가하기 전에 세포들을 96-well plate에 1-2 x 104cell/well의 농도로 하루 동안 종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다른 농도의 DHA로 처리하여 1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MTT로 2시간동안 배양하고, 57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세포사멸 분석을 위한 Annexin V
세포들은 DHA로 처리되었으며, 대조군은 PBS로 처리되었다. 트립신 처리 후에, 세포들은 4℃에서 30분 동안 70% 에탄올로 고정하였다. 세포사멸은 Annexin V-FITC Apoptosis Detection Kit(BD Biosciences, CA)를 이용하여 FACS(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로 분석하였다. 유동세포계측(flow cytometry) 분석을 완료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Mod-Fit을 이용하여 얻어진 히스토그램에 의해 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5.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세포들을 1mM의 PMSF를 포함하는 1ml의 cell lysis buffer(Cell Signaling, Denver, MA)에 균질화 하고, 20분 동안 배양한 후, 10,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모아졌다. 모든 샘플은 사용될 때까지 -80℃에서 보관되었다. Mouse PGE2(R&D Systems, Minneapolis, MN) ELISAs는 제조회사의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6. 루시페라제 ( Luciferase ) 리포터 활성 측정
배양된 세포들은 형질주입 전에 24 시간동안 12-well plate에서 80% 면적이 채워질 농도로 종 배양하였다. Tcf / Lef -Luc 리포터 벡터 0.2μg/well의 농도로 세포들을 형질전환 시켰으며, 이것은 Tcf / Lef -Luc 반응유전자의 전사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형질전환 후에, 세포들을 표시된 시간동안 무혈청 배지의 DHA로 처리하였다. 그 후에 세포 용해물을 1 x reporter lysis buffer(Promega, Madison, WI)와 함께 얻어졌다. 루시페라제의 활성은 Victor2 luminometer(Perkin Elmer, Waltham, M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대적인 루시페라제의 활성을 세포 단백질의 normalize 후에 계산하였다. 모든 값은 기초가 되는 활성의 상대적인 활성의 퍼센티지로 표현되었다.
7. 면역조직학적 염색
파라핀을 제거하고 알콜로 재수화한 후, 10mM/L의 citrate buffer로 채워진 압력 병에 있는 조직면에 전자레인지로 10분 동안 열을 가하였다. 슬라이드를 물로 15분 동안 식히고, PBS로 헹궈냈다. 슬라이드를 하루 동안 일차 항체를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그 다음 반응은 VECTOR kit(Vector Laboratories, Inc., Burlingame, CA)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드를 3, 3-diaminobenzidine(Invitrogen Life Technologied, Carlsbad, CA)과 반응 시켰으며, hematoxylin(Sigma Aldrich, St. Louis, MO)로 대비염색 하였다.
8. TUNEL 염색
세포사멸은 TdT(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fRAGel DNA 분절화 검출 kit(Oncogene Research Products, La Jolla, CA)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통상적인 파라핀 제거, 재수화 및 PBS(pH7.4)로 헹궈낸 후에, 조직을 proteinase K(20μg/mL in PBS)와 2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 시키고 헹궈냈다. 조직을 평형(equilibration) buffer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TdT 효소로 37℃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각 그룹의 세포사멸 인덱스를 결정하기 위해, 세포사멸 지점을 찾기 위해 TUNEL-면역 염색된 부분을 낮은 power의 확대( x 100)로 스캔하였다.
9. 동물 및 실험절차
C57BL/6 생쥐를 Orient bio(Seoul, Korea)로부터 구매하였으며, C57BL/6 생쥐를 기초로 한 fat-1 TG 생쥐는 Kang JX 박사(Hard Medical School, Boston, MA)에게서 받았다. 그들은 프로젝트를 위해 본 발명자의 시설에서 사육되고, 유전자 분석을 하였다. fat-1 TG 생쥐는 추출된 DNA 꼬리를 이용하여 PCR로 확인하였다. PCR primer의 염기서열은 Jackson 실험실과 Kang JX 박사에게 추천 받았다. 도면 3A에서도 보여주었듯이, 전체 40마리의 생쥐를 각 그룹 당 10마리씩 4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1(WT C57BL/6 background)과 그룹 3(fat-1 TG)은 PBS를 주입하고 수돗물을 마셨으며, 그룹 2(C57BL/6 Wild type)와 그룹 4(fat-1 TG)는 AOM 5mg/kg를 주입하고, 1주 동안 2.5% DSS섭취의 1cycle이 행해진 후, 수돗물을 마셨다(도면 3A). 생쥐는 살균된 상업적 펠릿과 살균된 물을 마음대로 먹을 수 있게 하였으며, 24℃ 온도의 항온 항습실에서 생활하였다. 동물들은 차(CHA)대학 동물센터의 국제 정책에 따른 승인된 동물 시설에서 처리되었다. 16주 후에 모든 생쥐들을 죽이고 결장을 제거하였으며, 세로방향으로 열어 PBS로 헹궈냈다. 총 폴립 종양의 수와 크기를 도표화 하였다. 결장 말단의 1/3 지점으로부터 분리된 조직은 조직학적 조사를 하였으며, 결장 근처 2/3 부분으로부터 긁혀진 점막 조직은 단백질 추출을 위해 즉시 동결하였다.
10. 통계분석
생체 내 동물실험을 제외한 이번 연구의 모든 실험은 3번 이상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현되었다. 모든 자료는 일원성분산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그룹들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Duncan의 multiple range test로 결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인정되었다.
Ⅱ. 결 과
1. HCT116 대장세포에서 세포사멸 및 β- 카테닌 복합체의 분해 억제를 통한 DHA에 의해 조절된 비정상적 세포의 증식
DHA가 세포독성을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HCT116 세포를 각기다른 양의 DHA(30, 60, 100μM/ml)로 12시간 및 24시간 처리하였다. 도면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DHA는 HCT116 세포에서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현저히 유발하였다(P<0.05). DHA의 세포독성이 그의 세포사멸 작용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세포사멸의 생화학적 마커인 fluorescein isothiocyanate(FITC)-Annesin V로 염색한 후, 유동세포계측(flow cytometry)을 수행하였다. 도면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DHA는 HCT116 세포에서 용량-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발하였다(P<0.01). 유동세포계측 실험을 통한 이러한 결과는 caspase-8, Bcl-2, p21, CDK-2 및 CDK-4에 대한 웨스턴 블롯에 의해 더욱 확인되었다(도면 1C). 세포를 60μM DHA로 처리한 경우, 세포사멸 실행자인 caspase-8과 p21의 레벨이 현저히 상승하였으나((P<0.01), Bcl-2, CDK-2 및 CDK-4의 양은 현저히 감소하였는데(P<0.01), 이는 DHA가 세포사멸을 유발함으로써 세포독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DHA가 β-카테닌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β-카테닌 복합체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세포증식을 조절할 수도 있다는 가설에 대해서, 본 발명자는 DHA가 HCT116 세포에서 β-카테닌의 트랜스활성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도면 1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DHA 처리는 아데노마토스 폴리포시스 콜리(Adenomatous polyposis coli, APC)와 결합된 β-카테닌의 레벨 또는 글리코겐 합성 키나제(GSK3β) 레벨을 현저히 상승시켰는데(P<0.001), 이는 그와 결합된 GSK3β 또는 β-카테닌의 분리를 억제하여, 용량 의존적으로 β-카테닌 복합체의 분리를 억제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β-카테닌 또는 GSK3β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DHA는 β-카테닌 복합체의 분리를 억제하여, β-카테닌의 적정한 세포질 레벨 내에서 과다한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도면 1D). 그러므로 HCT116 세포에서 β-카테닌의 핵에서 발현은 증가된 반면, DHA 처리된 세포들은 핵에서 β-카테닌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DHA 처리는 Tcf/Lef 리포터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켜(P<0.05, 도면 1E) β-카테닌과 연관된 비정상적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보였다. 이런 모든 실험결과들은 DHA가 APC에 대한 GSK-3β의 결합을 증가시킴으로써 비정상적인 β-카테닌 관련 세포증식 신호전달을 차단하고, HCT116 세포에서 β-카테닌 복합체 분해를 방해함을 보여준다.
2. DHA 는 COX-2와 NF -κB 활성화를 억제하고 15- PGDH 발현을 유발
ω-3 PUFAs의 항발암성 작용의 또 다른 메커니즘으로서 COX-2 억제 및 NF-κB 비활성화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DHA가 COX-2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면 2A 및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DHA는 COX-2 발현을 24시간동안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P<0.005), HCT116 세포에서 COX-2 프로모터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함으로써(P<0.05) DHA가 부분적으로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COX-2의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COX-2 효소작용의 생성물)의 레벨은 DHA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P<0.005, 도면 2C). DHA에 의한 전사 억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세포질 균질현탁액(homogenate) 또는 핵 분획에서 NF-κB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면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DHA는 NF-κB 발현의 억제자인 IκBα의 인산화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NF-κB p65의 핵으로의 이동을 현저히 감소시켰다(P<0.01). DHA에 의한 COX-2 발현의 변화와 함께, 15-PGDH는 COX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 알려져 왔다. DHA 처리는 용량-의존적으로 15-PGDH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켰다(P<0.01, 도면 2E) ; 이러한 발현 증가현상은 anti 15-PGDH antibody로 염색한 후 행해진 공초점 이미징에 의해 더욱 확인되었다. HCT116 세포의 세포질에서 15-PGDH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생체 외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관찰결과들은 DHA가 염증에 기반한 발암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투여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자는 ω-3 PUFAs가 CAC를 억제할 수 있다는 생체 내 결과를 얻기 위해서 야생형 및 fat-1 TG에서 AOM로 개시되고, DSS로 촉진된 CAC를 비교하였다.
3. 야생형 생쥐와 대비하여 fat -1 TG 생쥐에서 CAC 의 상당한 약화
CAC 억제에 있어 ω-3 PUFAs의 생체 내 효능을 보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AOM로 개시되고, DSS 촉진에 의해 CAC를 유발하기 위해 야생형인 C57BL/6 생쥐 및 fat-1 TG 생쥐를 이용하였다. 발암물질인 AOM은 methylation에 의해 유전체에 돌연변이를 유발하기 위해 도입되었고, 그 이후에 만성적 패턴의 대장염을 유발하고자 DSS를 반복적으로 처리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 생쥐는 눈에 잘 띄는 다수의 종양들이 직장(rectum)에서 시작하여 결장(colon) 중간부에까지 연장되어 생성되었다(도면 3B). 도면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AOM과 DSS 투여는 상당한 대장 염증을 동반하면서 결장(colorectal)에 상당한 종양을 일으켰다. 1:1의 병리학적 관찰에서, 그룹 2의 종양이 그룹 4에서 보인 종양보다 현저히 크게 나타났다. 도면 3C에서 보듯이, 그룹 2의 평균 결장 길이는 그룹 1에 비하여 현저히 줄었으나(P<0.005), 그룹 4의 평균 결장 길이는 그룹 2보다 현저히 증가되었는데(P<0.05), 이는 그룹 4의 약화된 염증이 발암 진행을 줄이는 역할을 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종양의 위치(도면 3D)나 크기(도면 3E)에 따른 발암과정의 분석에 따르면 fat-1 TG 생쥐 직장의 먼 위치(distal colon)에서 현저히 발암 현상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고(P<0.005), 이들 생쥐들은 종양 크기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5). 세부적인 병리학적 분석 결과, 야생형 생쥐에서 발생된 모든 종양들은 어느 정도 분화된 선암(adenocarcinoma)이였고, 어떤 암들은 점막 아래로 침투하기도 하였으나, fat-1 TG 생쥐에서 발생한 암들은 70%가 선종(adenoma)이었고, 30%는 꽤 분화가 일어난 선종암(adenocarcinoma)이었다.
4. 야생형 생주와 비교하여 fat -1 TG 생쥐에서의 COX-2 발현이 약화, NF -κB의 전사 활성화가 억제, 15- PGDH 레벨의 증가
AOM로 개시되고, DSS 촉진에 의한 CAC는 COX-2 및 NF-κB 산화환원-민감성 전사 활성화를 증가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면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룹 2에서는 COX-2의 발현이 상당히 증가되었지만, 그룹 4에서는 그 레벨이 현저히 감소되었다(P<0.05). 그룹별 COX-2 발현을 비교하기 위해 COX-2 항체로 면역조직학적 염색을 한 결과, 야생형과 fat-1 TG 생쥐에서 COX-2 발현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도면 4B). 상당히 증가된 COX-2의 발현이 결장(colon crypt) 상피와 점막 고유층(lamina propria)에 있는 침윤된 염증성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NF-κB는 다양한 염증 관련 유전자에서 염증을 유발하게 하는 전사 활성화의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인자이므로 본 발명자는 각 그룹의 균질현탁액의 세포질 및 핵 분획에 대해서 웨스톤 블롯을 행하였다. 도면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산화된 IκB가 그룹 2에서 현저히 증가되었고(P<0.005), 그에 따라 NF-κB p65의 핵으로의 이동이 증가하였다(P<0.01). 그러나 그룹 4에서는 인산화된 IκB와 NF-κB p65의 양이 현저히 줄었는데, 이는 ω-3 PUFAs가 NF-κB의 전사 활성화를 현저히 억제하였음을 보여준다. 점막에서의 PGE2 레벨은 그룹 2와 대비하여 그룹 4에서 현저히 낮게 나왔다(P<0.01). 15-PGDH는 중요한 종양 억제 인자로써, 특히 CAC를 억제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도면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룹 2의 15-PGDH 레벨이 그룹 1과 대비하여 현저히 낮게 나타났는데(P<0.001), 이는 AOM로 개시되고, DSS 촉진에 의한 발암진행이 15-PGDH의 감소와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15-PGDH의 발현은 그룹 4에서는 현저히 보존되었다(P<0.01). 면역조직학적 염색으로 15-PGDH의 발현을 다시 확인한 결과, 도면 4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룹 2에서는 15-PGDH의 레벨이 현저히 감소된 반면, 그룹 4에서는 15-PGDH의 레벨이 현저히 보존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AOM 로 개시되고, DSS 촉진에 의한 결장암 발생과정 동안, 야생형 생쥐와 비교하여 fat- 1 TG 생쥐에서 Ki -67 및 사이클린의 상당한 감소 및 β- 카테닌의 활성화
종양 세포들은 높은 세포 증식을 보이므로, 본 발명자는 Ki-67과 사이클린(cyclins)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도면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anti-Ki-67 항체로 면역조직학 염색을 한 결과, 그룹 2에서 Ki-67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종양 부위 결장(colon crypt)의 세포질과 핵에서뿐만 아니라 비-종양 부위를 둘러싼 곳에서도 Ki-67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그룹 4에서는 Ki-67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P<0.01). 그 이외에도, 본 발명자는 사이클린 D1, 사이클린 E와 같은 세포주기 관련 인자들을 웨스턴 블롯을 통해 조사하였다. 사이클린 D1과 사이클린 E의 발현은 그룹 2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지만 그룹 4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도면 5B). fat-1 TG 생쥐에서 어떻게 AOM과 DSS의 조합에 의해 유도된 CAC가 억제되는지 알아내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fat-1 TG 생쥐의 항-발암 효과가 궁극적으로 감소된 β-카테닌의 핵으로의 이동에 기인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도면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β-카테닌은 콜로노사이트(colonocyte)의 핵에서 점점 더 발현이 증가된 반면, 그룹 4에서는 β-카테닌은 콜로노사이트의 막(membrane) 부분에서 염색되었다. β-카테닌 발현은 그룹 2에서는 콜로노사이트의 핵에서의 염색이 증가되었으나, 그룹 4에서는 그 발현이 강하지 않고 주로 콜로노사이트의 막 부분에서 염색되었는데(P<0.001), 이는 그룹 4에서 β-카테닌의 핵으로의 이동이 억제되었음을 제시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그룹들에 따라 핵에서의 β-카테닌의 발현을 웨스톤 블롯팅으로 조사하여 더 확인되었다. 도면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룹 2에서는 β-카테닌의 핵에서의 발현이 상당히 증가된 반면, 그룹 4에서의 발현은 그룹 2와 대비하여 현저히 달랐는데(P<0.001), 이는 β-카테닌의 세포질로부터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fat-1 TG 생쥐의 항암 효과를 설명함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는 DHA가 β-카테닌 활성화 조절에 현저히 관여한다는 생체 외 실험결과와도 유사한 결과이다(도면 1D).
6. fat -1 TG 생쥐에서 증가된 세포사멸 및 세포사멸 실행자
ω-3 PUFAs가 암 세포에서 세포독성을 일으킴을 보이는 생체 외 실험결과의 뒷받침을 받아(도면 1), 본 발명자는 그룹 간에 세포사멸 활성을 비교하고자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and labeling) 분석을 행하였다. 도면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룹 4는 그룹 2와 대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세포사멸 인덱스를 보였다(P<0.005). 그룹 4의 종양 및 비-종양 부위에서 의미 있는 높은 TUNEL 양성 반응이 관찰되었다. FAS와 Bcl-2-관련 X 단백질(Bax)을 포함한 세포사멸 분자들과 서바이빈(survivin)과 Bcl-2를 포함하는 항-세포사멸 인자들의 발현을 웨스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도면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룹 4에서는 그룹 2와 대비하여 FAS와 Bax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P<0.01), Bcl-2와 서바이빈의 발현은 그룹 4가 그룹 2와 대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7. 체중 60kg 당 3g ω-3 PUFAs 의 외적 투여로 야생형 생쥐에서 fat -1 TG 생쥐와 비슷한 결장 지방 프로파일의 측정
fat-1 TG 생쥐가 보인 지방 프로파일을 장래의 임상실험에 적용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양의 외인성(exogenous) ω-3 PUFAs가 필요한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야생형 생쥐에 외인성 ω-3 PUFAs를 투여하였고, fat-1 TG 생쥐의 체중 60kg 당 0.1, 1, 2, 3, 5, 10g에 해당하는 ω-3 PUFAs를 투여한 야생형 생쥐의 결장조직에서의 지방 프로파일을 GC-MS/MS로 측정하였다. 도면 7에서 보듯이, 샘플들을 일곱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fat-1 TG 그룹과 외인성 ω-3 PUFAs를 체중 60kg 당 0.5, 1, 2, 3, 5 및 10g을 각각 투여한 C57BL/6 야생형 생쥐의 여섯 그룹이다. 본 발명자는 야생형 생쥐들에게 경구로 외인성 ω-3 PUFA를 일주일 간 투여한 후 모두 희생 시키고, 떼어 낸 조직을 대상으로 GC-MS/MS 분석을 하였다. 도면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장에서 DHA 레벨을 대비하였을 때에, fat-1 TG 생쥐는 10mg의 결장 조직 당 4.8㎍의 DHA를 함유하여 야생형 생쥐에서 보다 현저히 높았다(P<0.05). 체중 60kg 당 1g 이상의 외인성 ω-3 PUFAs를 투여한 경우에 DHA의 양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P<0.05), 체중 60kg 당 3g의 외인성 ω-3 PUFAs를 투여한 경우에는 fat-1 TG 생쥐 그룹과 비슷한 정도인 10mg 결장 조직 무게 당 4.9㎍의 DHA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도면 7A). 서양식 식이요법을 하는 사람들 이외에는 ω-6:ω-3 비율이 10-4:1을 유지하고 ω-3 PUFAs가 부족한 서양식 식이요법에서는 그 비율이 20-15:1의 비율로 나타나므로, ω-6:ω-3 비율로서 지방 프로파일을 계산한 결과, 도면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fat-1 TG 생쥐들은 현저히 낮은 비율의 ω-6:ω-3 비율을 보였고(P<0.001), 체중 60kg 당 3g의 ω-3 PUFAs를 섭취한 그룹은 fat-1 TG 생쥐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P<0.05). fat-1 TG 생쥐 그룹 분석 결과, 적절한 ω-6:ω-3 비율은 6:1인 반면, 야생형 생쥐들은 17:1의 비율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 외인성 ω-3 PUFAs인 DHA의 섭취는 결장 조직에서 8-6:1이 적절한 비율임을 알았다. 이들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자는, 외인성 DHA 투여에 의한 항-발암 효과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체중 60kg 당 3g의 ω-3을 섭취하는 것이 CAC 예방효과가 있다고 가정하였다.
Ⅲ 고 찰
포유류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을 자연적으로 생산할 수가 없으므로 식이요법에 의한 섭취에 의존해야 한다. 주로 어류나 식물성 오일로부터 공급되는 ω-3 PUFAs는 음식 섭취를 통해 더 풍부하게 공급되는 ω-6과 맞서 작용하는(counteract) 데에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불포화지방산의 탄화수소 체인에 이중결합을 부가하여 ω-6를 ω-3로 변화시키는 C. elegansfat-1 유전자를 도입한 생쥐가 CAC로부터 상당히 보호받고 있음을 보였다. 추가적인 연구들은 체중 60kg 당 3g의 ω-3을 섭취하는 것이 fat-1 TG 생쥐 결장에서 관찰된 것과 같은 정도의 ω-3가 조직에 축적된다는 것을 보였다. ω-3 PUFAs는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해 억제, 종양 억제성 15-PGDH 생성 유도, COX-2와 NF-κB 억제 및 암 세포에서의 선택적 세포사멸 유도와 같은 분자레벨의 기작을 통해 장기간의 염증성 장질환을 갖는 환자들에게 암 예방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fat-1 TG 생쥐에서 CAC를 현저히 감소시킨 유사한 결과를 보인 선행 연구들과 달리, 본 발명자의 연구는 아래의 세 가지 암 예방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점에서 상당히 새로운 것이라 할 수 있다 : β-카테닌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적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β-카테닌의 분해를 억제하고, 암 억제인자인 15-PGDH를 현저히 유도하며, 임상적으로 CAC를 예방할 수 있는 권장할만한 외인성 ω-3의 섭취량을 확인한 것이다. 종래의 연구들은 만성염증, 암 예방 및 강력한 항염증제나 영양성분의 관계에 대해서만 주로 집중하여, 대부분의 연구들이 CAC에서 강한 염증매개자인 COX-2-유도된 PGE2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인자, 8-하이드록시데옥시구아닌, 인플릭시마브, 커큐민 등을 이용한 COX 억제제들의 작용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졌었다. ω-3 PUFAs를 이용한 이번 연구에서 보인 바와 같이, COX-2 억제작용과 그와 관련된 NF-κB 억제작용은 CAC와 다른 암의 억제에 일반적인 메커니즘이다. 인간의 결장암 세포를 COX-2를 과발현시켜 배양하는 경우, PGE2 생성이 증가되고 암 성장을 촉진한다; 역으로, COX-2를 줄이는 경우 암 성장이 줄어든다. 왜 EPA보다 DHA 섭취 이후에 COX-2 억제와 NF-κB의 억제가 나타난 것을 보였는지를 강조하기 위해서(도면 1과 2), DHA는 EPA나 아라키토산(arachidonic acid)보다 이들 작용에서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장질환(IBD)을 갖는 환자들이 IBD를 갖지 않은 사람들보다 결장암에 걸릴 위험이 10-40배 높다는 사실, 및 간헐적 결장암의 ‘선종-암 순서’와 대조적으로 ‘염증-이형성증-암 순서’로 이형성증(dysplasia)을 통해 만성적인 지속적 염증성 점막이 선암종으로 진행된다는 사실들로부터, COX-2 억제 및 산화환원 민감성 NF-κB 억제를 타겟으로하는 항염증 물질로 초기에 또는 지속인 조정을 행하는 것이 CAC를 줄이고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다.
금번의 CAC 모델에서 ω-3 PUFAs를 이용한 핵심적 암 예방 메커니즘 연구에서, 본 발명자는 β-카테닌 복합체의 분할을 억제하는 것이 항 발암작용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종래의 연구에서 분화과정이나 암발생에서 다양한 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WNT 조절의 중요인자인 β-카테닌의 활성화에 의한 유용한 증식 억제에 대한 메커니즘들이 밝혀졌다. WNT 시그널이 없을 때, β-카테닌은 GSK3β, APC, Axin과 함께 β-카테닌 분해 복합체로서 세포질 내에 존재하면서 트랜스-인산화되고 프로테오솜에 의한 분해의 타겟이 되나, WNT 시그널이 활성화되면, AOM과 DSS가 분해 복합체를 자극하여 세포질 내에 β-카테닌을 상당히 축적시키고 세포의 핵 내로의 이동이 일어나게 한다. 핵에서는, β-카테닌은 증식에 중요한 타겟 유전자들의 전사를 자극하는 Tcf / Lef와 결합하게 된다. ω-3 PUFAs의 β-카테닌 억제 작용은 담관암종(cholangiocarcinoma) 및 간암발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ω-3 PUFAs가 β-카테닌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고 비정상적 세포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Lef-보조활성인자를 억제하는 자세한 메커니즘은 본 연구에서 설명된 것이다.
ω-3 PFUAs는 CAC와 CRC를 예방하기 위한 또 다른 중요한 경로로 파악된다. COX-2와 COX-2의 산물인 PGE2의 레벨은 CAC에서 종양과 주변의 비종양 조직 모두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PGE2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15-PGDH는 야생형 생쥐에서는 현저히 감소한 반면, fat-1 TG 생쥐에서는 현저히 보존되었다(도면 4D). 15-PGDH의 보존되고 유도된 발현은 NAD(1)-의존성 15-PGDH에 의해 촉진된 PGE2의 대사 불활성에 의해 결장조직에서 발암성의 과도한 PGE2가 제거됨을 설명한다. 따라서 15-PGDH는 결장암 발생에서 COX-2의 생리학적 길항제이고 암 억제물질로 파악되었다. 발암성 메커니즘을 억제함에도 불구하고 15-PGDH가 보존되어 실험적으로 유도된 암 발생을 보호하거나 또는 암이나 형질전환된 세포들을 세포사멸하게 만들고, 궁극적으로는 PGE2의 발암성 작용을 상쇄하는바, 이는 15-PGDH가 암 화학요법적 예방 및 치료에 새로운 분자 타겟임을 의미한다.
ω-3 PUFAs는 또한 CAC를 예방하는 메커니즘에 기여한다. 생체 외 실험에서 Lu 등은 전립선 암 세포에 fat-1 유전자를 직접 이동시켜서 ω-3PUFAs가 β-카테닌과 사이클린 D1을 하향 조절하여 GSK-3β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증가시킴을 보였고, 흑색종 이식 모델을 이용한 생체 내 실험에서 Xia 등은 ω-3 PUFAs의 항암작용이 포스포타제와 염색체 10번 경로에서 제거된 텐신(tensin) 동족체 활성화에 의한 세포사멸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고하였다. ω-3 PUFAs의 세포사멸-유도 활성은 세포 부착 관련 유전자의 하향 조절을 통해 항-전이 활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β-카테닌 활성의 억제 및 사이클린 억제의 조합에 의해, ω-3 PUFAs는 항-세포사멸 유전자인 서바이빈, Bcl-2를 감소시키고, 세포사멸 실행인자들을 상승시켜, AOM로 개시된 발암 프로레스의 완화를 가져온다. Siddiqui 등이 DHA와 커큐민(curcumin)이 서바이빈을 감소시켜 상승적 항암 효과를 가져온다고 보고한 바 있으나, 본 발명자는 ω-3 PUFAs의 서바이빈/Bcl-2 억제기능은 본 연구에서 최초로 밝힌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체중 60kg 당 3g의 ω-3 PUFAs 섭취는 fat-1 TG 생쥐에서 보인 것과 같은 암 예방효과를 달성하는 것인지를 보이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기는 하나, 생체 외 및 생체 내 실험들은 ω-3 PUFAs에 대해 우호적인 결과를 강력히 제시한다. 서양식 식이요법을 하는 사람들 이외에는 ω-6:ω-3 비율이 10-4:1을 유지하고, ω-3 PUFAs가 부족한 서양식 식이요법에서는 그 비율이 20-15:1의 비율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으므로, 본 발명자는 ω-6:ω-3 비율로서 지방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fat-1 TG 생쥐는 보고된 평균치보다 현저히 낮은 ω-6:ω-3 비율을 보였고(P<0.001), 체중 60kg 당 3g의 ω-3 PUFAs를 섭취한 그룹은 fat-1 TG 생쥐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P<0.05). 야생형 생쥐들은 17:1의 비율을 보인 반면, fat-1 TG 생쥐 그룹 분석에서는 적절한 ω-6:ω-3 비율이 6:1로 나타났으나, 이번 연구에서 DHA와 같은 외인성 ω-3 PUFAs의 섭취는 결장 조직에서 ω-6:ω-3 비율을 8-6:1의 적절한 비율로 이끌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자의 실험은 식이 보충에 의한 ω-3의 장기간 투여는 오래되고 재발성이며 관련성이 높은 IBD 환자의 CAC를 예방하거나 내시경 검사에서 폴립을 절제한 적이 있는 환자에서 결장 선종의 재발을 관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laims (3)

  1. ω-3 폴리불포화지방산(ω-3 PUFA)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항암 조성물.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에콘산(EPA) 또는 도코사헥사에콘산(DH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항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ω-3 폴리불포화지방산이 1일 60kg 당 3g 투여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항암 조성물.
KR1020160148147A 2016-11-08 2016-11-08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80051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147A KR20180051737A (ko) 2016-11-08 2016-11-08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PCT/KR2017/008632 WO2018088679A1 (ko) 2016-11-08 2017-08-09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147A KR20180051737A (ko) 2016-11-08 2016-11-08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37A true KR20180051737A (ko) 2018-05-17

Family

ID=6210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147A KR20180051737A (ko) 2016-11-08 2016-11-08 대장염-관련 암 발생을 줄이는 ω-3 폴리불포화지방산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1737A (ko)
WO (1) WO20180886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8008171A (es) * 2005-12-21 2008-11-12 Brudy Technology S L Uso de dha epa o epa derivado de dha para tratamiento de una patologia asociada al daño celular oxidante.
JP5872453B2 (ja) * 2009-04-17 2016-03-01 ナタク ファルマ エセ.エレ. フィタン酸含量が低く、ω−3脂肪酸に富む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679A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ur et al. Silibinin suppresses growth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SW480 cells in culture and xenograft through down-regulation of β-catenin-dependent signaling
Schley et al. Mechanisms of omega-3 fatty acid-induced growth inhibit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Gill et al. Potential anti‐cancer effects of virgin olive oil phenolson colorectal carcinogenesis models in vitro
Huang et al. Quercetin induces growth arrest through activation of FOXO1 transcription factor in EGFR-overexpressing oral cancer cells
Kim et al. Cancer stem cells: potential target for bioactive food components
Han et al. The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revented colitis-associated carcinogenesis through blocking dissociation of β-catenin complex, inhibiting COX-2 through repressing NF-κB, and inducing 15-prostaglandin dehydrogenase
Yang et al. Favourable effects of grape seed extract on intestinal epithelial differentiation and barrier function in IL10-deficient mice
Refaat et al. Vitamin D3 enhances the tumouricidal effects of 5-Fluorouracil through multipathway mechanisms in azoxymethane rat model of colon cancer
Jung et al. β-Caryophyllene potently inhibits solid tumor growth and lymph node metastasis of B16F10 melanoma cell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N mice
Raghu Nadhanan et al. Dietary emu oil supplementation suppresses 5-fluorouracil chemotherapy-induced inflammation, osteoclast formation, and bone loss
Liu et al. Ferroptosis-mediated crosstalk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implicated in cancer progression and therapy
Ravacci et al. Docosahexaenoic acid modulates a HER2‐associated lipogenic phenotype, induces apoptosis, and increases trastuzumab action in HER2‐overexpressing breast carcinoma cells
Bibi et al. Dietary red raspberry reduces colorectal inflammation and carcinogenic risk in mice with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Thompson et al. 1, 25-dihydroxyvitamin D3 enhances the apoptotic activity of MDM2 antagonist nutlin-3a in acute myeloid leukemia cells expressing wild-type p53
Hunke et al. Antineoplastic actions of cinnamic acids and their dimers in breast cancer cells: a comparative study
Zheng et al. Low curcumin concentration enhances the anticancer effect of 5-fluorouracil against colorectal cancer
Sekar et al. Saturated fatty acids promote chondrocyte matrix remodeling through reprogramming of autophagy pathways
Yasui et al. Troglitazone and 9 cis, 11 trans, 13 trans-conjugated linolenic acid: comparison of their antiproliferative and apoptosis-inducing effects on different colon cancer cell lines
Lee et al. Apoptotic effects of 7, 8-dihydroxyflavone in human oral squamous cancer cells through suppression of Sp1
Li et al. The combination of two bioactive constituents, lactoferrin and linolenic acid, inhibits mouse xenograft esophageal tumor growth by downregulating lithocholyltaurine and inhibiting the JAK2/STAT3-related pathway
Bian et al. Resveratrol drives cancer cell senescence via enhancing p38MAPK and DLC1 expressions
Zhang et al. The phytochemical vitexin and syringic acid derived from foxtail fillet bran inhibit breast cancer cells proliferation via GRP78/SREBP-1/SCD1 signaling axis
Li et al. Andrographolide induced ferroptosis in multiple myeloma cells by regulating the P38/Nrf2/HO-1 pathway
Woo et al. Evaluation of preventive and therapeutic activity of nove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CG100649, in colon cancer: Increased expression of TNF-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receptors enhance the apoptotic response to combination treatment with TRAIL
Shuman Moss et al. Dietary intake of a plant phospholipid/lipid conjugate reduces lung cancer growth and tumor angiogen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