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722A -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722A
KR20180033722A KR1020160123019A KR20160123019A KR20180033722A KR 20180033722 A KR20180033722 A KR 20180033722A KR 1020160123019 A KR1020160123019 A KR 1020160123019A KR 20160123019 A KR20160123019 A KR 20160123019A KR 20180033722 A KR20180033722 A KR 2018003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riction member
sheet
friction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쿠야 이토우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722A/ko
Priority to PCT/KR2017/002475 priority patent/WO2018056537A1/ko
Publication of KR2018003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급지장치가 개시된다. 용지적재부 및 용지적재부의 용지적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마찰부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위치한 일측이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되어 용지를 가압한다.

Description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급지성능이 개선된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신호를 화상형성부를 통해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하며,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복사기 또는 복합기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스캔하는 스캐닝부를 더 포함하며, 스캐닝부를 통해 스캔된 화상 신호를 화상형성부로 전송함으로써 스캔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인쇄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나 원고와 같은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나 스캐닝부로 급지하기 위한 급지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급지장치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는 픽업롤러와 같은 픽업장치에 의해 한 장씩 픽업되어 이송롤러와 같은 이송장치를 통해 스캐닝부 또는 화상형성부로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급지장치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2매 이상의 용지가 한번에 픽업되어 이송되는 중송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송으로 인해 이송 과정에서 용지가 걸려 화상형성장치의 오작동이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고자 용지가 이송되는 경로상의 하측에 배치되어 용지이송마찰력이 임계토크값보다 작으면 역회전함으로써 중송을 방지하는 리타드 롤러(retard roller)가 사용되고 있으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용지의 적재 매수에 한계가 있으며, 별도의 부품들로 인해 화상형성장치의 구조가 복잡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된 용지에 마찰력을 가하여 용지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성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지적재부; 및 상기 용지적재부의 용지적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위치한 일측이 상기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되어 용지를 가압하는, 급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스캐닝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장치는, 용지적재부; 및 상기 용지적재부의 용지적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위치한 일측이 상기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되어 용지를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장치는, 용지적재부; 및 상기 용지적재부의 용지적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위치한 일측이 상기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되어 용지를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마찰부재가 용지적재부에 배치되는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급지 트레이에 마찰방지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 카세트에 마찰방지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 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또는 팩시밀리 등이 될 수 있고,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상형성장치(1)는 복합기인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의 스캐닝부로 용지를 이송하는 자동원고급지(ADF; Automatic Document Feeding)장치,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의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 트레이(tray) 또는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의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 카세트(casset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원고급지장치, 급지 트레이 또는 급지 카세트를 포함하는 급지장치를 일괄적으로 급지장치로 통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다수의 급지장치(10, 20, 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급지장치(10), 본체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장치(20) 및 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장치(3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급지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스캐닝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본체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장치(20)는 일단부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시에는 상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에 용지가 적재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급지 트레이(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장치(30)는 본체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30)일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카세트(31, 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급지장치(1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으며, 본체의 측면 및 하부에 배치되는 급지장치(20, 30)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지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지장치(10)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11), 용지적재부(11)를 지지하는 베이스(12), 베이스(1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지적재부(11)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13)를 포함한다.
커버(13)의 내측에는 마찰부재(100), 픽업롤러(200) 및 이송롤러(300)가 배치된다.
마찰부재(100)는 용지적재부(11)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용지와 마찰함으로써 용지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지적재부(11)에 배치된 다수의 용지 중 최상위 용지만이 픽업롤러(200)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롤러(300)에 의해 이송되고, 나머지 용지들은 마찰부재(100)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마찰부재(100)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용지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100)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마찰부재(100)는 용지의 중앙부분과 마찰할 수 있도록 용지의 중앙부분과 대응하는 용지적재부(11)의 위치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단일의 마찰부재(100)만을 도시하였으나, 마찰부재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로 구성된 마찰부재는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용지의 다양한 위치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마찰부재는 용지적재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용지적재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마찰부재(100)는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용지적재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초기각도(θ0)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100)는 용지적재부(11)에 배치된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지적재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부재(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픽업롤러(200)는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최상층의 용지와 접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최상층의 용지에 마찰력을 가해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롤러(200)는 상하로 승강이 가능할 수 있으며, 하강하여 용지에 접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한 장의 용지를 픽업한 뒤 승강하고, 다시 하강하여 회전함으로써 적층된 다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한 장씩 낱장으로 픽업할 수 있다.
픽업롤러(200)에 의해 픽업된 용지는 이송롤러(300)에 의해 스캐닝부 또는 화상형성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롤러(300)는 상하로 배치되어 용지의 상면 및 하면에 회전력을 가하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310, 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이송롤러(310, 320)가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용지를 이송할 수 있다.
픽업롤러(200) 및 이송롤러(300)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13)는 마찰부재(100), 픽업롤러(200) 및 이송롤러(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주는 구성으로서, 베이스(12)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오픈되거나 클로즈될 수 있다.
또한, 커버(13)에는 제1 이송롤러(310)가 결합되고, 베이스(12)에는 제2 이송롤러(320)가 결합됨으로써,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용지가 이송되는 도중 제1 이송롤러(310)와 제2 이송롤러(320) 사이에 걸리게 되더라도, 커버(13)를 오픈하여 걸린 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급지장치(10)의 내부에 픽업롤러(200) 및 이송롤러(300)가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픽업롤러 및 이송롤러는 화성형성장치(1) 내의 급지장치와 분리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용지적재부에 배치되는 용지를 픽업하여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지장치(1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10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의 (a)는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급지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의 (b)는 다수의 적층된 용지(P1)가 적재된 급지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P1)는 픽업롤러(200)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롤러(300)로 이송되고, 이송롤러(300)에 의해 스캐닝부 또는 화상형성부로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처럼, 용지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지적재부(11)의 상류(U)에서 하류(L)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상류(U)와 상기 하류(L)는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서, 그 기준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마찰부재(100)는 픽업롤러(200)보다 상류(U)에 배치되어 적층된 용지 중 하층에 배치된 용지에 마찰력을 가해줌으로써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찰부재(100)의 마찰계수는 적층된 용지와 용지 사이의 마찰계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용지적재부(11)는 바닥면(S)에 대해 일정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류(U)에서 하류(L)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가 하류(L)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됨으로써, 픽업롤러(200)에 의해 원활하게 순차적으로 픽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부재(100)는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에 대해 상류(U)에서 하류(L)로 갈수록 미리 설정된 초기각도(θ0)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100)는 용지(P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L)에 위치한 일측이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과 유동 가능하게 이격된다. 아울러, 마찰부재(100)는 용지(P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U)에 위치하는 타측은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에 고정된다.
마찰부재(100)의 타측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부착부재를 통해 용지적재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P1) 중 최하층에 배치된 용지는 마찰부재(100)의 일측과 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찰부재(100)와 용지(P1)는 서로 마찰할 수 있다.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마찰부재(100)는 하류(L)에 위치한 일측이 반대되는 타측보다 상단에 위치하므로 마찰부재(100)의 일측이 용지(P1)와 접하여 용지(P1)에 마찰력을 가하고 타측은 용지(P1)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용지(P1)는 그 무게로 인해 마찰부재(100)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마찰부재(100)의 유동 가능한 일측은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마찰부재(100)는 용지(P1)에 가압됨으로써 일측이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을 향해 하강하게 되며, 따라서,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과 이루는 각도는 초기각도(θ0)보다 작은 제1 각도(θ0)로 경감된다.
따라서, 용지(P1)에 의해 제1 각도(θ1)를 이루도록 이동한 마찰부재(100) 역시, 초기각도(θ0)로 복귀하고자 하는 복원력에 의해 용지(P1)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용지(P1)에 의해 가압되어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을 향해 하강된 마찰부재(100)의 일측이 용지(P1)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찰부재(100)로부터 용지(P1)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처럼, 마찰부재(100)는 하류(L)에 위치한 일측이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됨으로써,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용지(P1)를 향해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찰부재(100)가 다수의 용지(P1)에 가하는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바, 최상층에 배치된 용지보다 하부에 적층된 용지가, 함께 픽업되거나 이송되는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용지적재부(11)에 하류(L)에 위치한 용지(P2)의 일부분이 말린(curling) 상태로 적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2)가 회전하는 픽업롤러(200)에 접함으로써 픽업되는 도중에는, 용지(P2)의 일부분이 픽업롤러(200)를 향해 말릴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용지(P2)의 적재 과정 등에서 용지(P2)의 일부분이 말릴 수 있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2)의 일부분이 픽업롤러(200)를 향해 말리더라도,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마찰부재(100)는 유동 가능한 일측이 용지(P2)의 일부분과 지속적으로 접할 수 있다.
용지(P2)의 일부분이 픽업롤러(200)를 향해 말림으로써 용지(P2)와 픽업롤러(200) 사이의 접하는 힘이 증대되어 마찰력이 증대되더라도, 마찰부재(100)는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으며, 따라서, 마찰부재(100)의 일측이 지속적으로 용지(P2)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부가 말린 형상으로 용지적재부(11)에 용지가 적재되더라도, 용지(P2)의 중송이 마찰부재(100)를 통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의 (d)는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용지(P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되어 적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수의 용지(P3)를 용지적재부(11)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용지(P3)의 일부분이 만곡되거나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되는 등,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과 평행하지 않은 형상으로 용지(P3)가 적재될 수 있다.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됨으로써, 용지(P3)와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는 경우, 용지(P3)는 용지적재부(11)와의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P3)는 보다 작은 힘으로도 픽업 또는 이송될 수 있으므로, 최상층에 배치된 용지와 함께 하부에 적층된 용지가 함께 쉽게 중송될 수 있으나,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마찰부재(100)의 유동 가능한 일측이 용지(P3)의 일부분에 지속적으로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찰부재(100)는 제3 각도(θ3)를 이루며, 마찰부재의 일측이 용지(P3)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P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됨으로써 용지적재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더라도, 마찰부재(100)의 일측은 지속적으로 용지(P3)에 마찰력을 가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지(P3)의 중송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급지장치(10)의 구성 대부분은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급지장치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장치(10)는 마찰부재(100)보다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L)에 배치된 보조마찰부재(110)를 포함한다.
보조마찰부재(110)는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보조마찰부재(110)가 용지(P1, P2, P3)에 가하는 마찰력은 마찰부재(100)가 용지에 가하는 마찰력보다 작을 수 있다.
보조마찰부재(110)는 픽업롤러(200)와 대응되는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의 위치상에 배치됨으로써, 픽업롤러(200)와 수직한 방향에서 용지(P1, P2, P3)를 향해 마찰력을 추가로 가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마찰부재(11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마찰부재(100)와 보조마찰부재(110)를 통해 용지(P1, P2, P3)에 가해지는 마찰력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2)의 일부분이 픽업롤러(200)를 향해 말리거나 용지(P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된 상태로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되더라도, 마찰부재(100)의 유동 가능한 일측이 용지(P2, P3)의 일부분에 지속적으로 접하여 용지(P2, P3)를 가압함으로써 용지(P2, P3)의 중송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급지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급지장치(10)의 구성 대부분은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급지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용지적재부(11')는 중앙부가 용지(P3)를 향해 상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만곡부(111')를 더 포함한다.
만곡부(111') 상에는 마찰부재(100)가 배치됨으로써, 보조마찰부재(110)보다 상단에 마찰부재(1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지(P3)를 향해 돌출형성된 만곡부(111')에 배치된 마찰부재(100)가 용지(P3)에 가하는 압력은 증대될 수 있으며, 용지(P3)와의 마찰력 역시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됨으로써 용지적재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더라도, 마찰부재(100)의 일측은 지속적으로 용지(P3)를 가압할 수 있으며, 용지(P3)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용지(P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됨으로써 용지적재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더라도, 용지(P3)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용지(P3)의 중송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마찰부재(100)가 용지적재부(11)에 배치되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의 (a)를 참조하면, 마찰부재(100)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찰부재(100)를 구성하는 탄성체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마찰부재(100)가 용지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100)의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U)에 위치하는 타측에는 연결부재(400)가 결합된다.
연결부재(400)는 용지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에 결합됨으로써 마찰부재(100)를 용지적재부(11)에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용기적재부(11)의 용기적재면에 대해 일정 각도(θ0)로 경사진 경사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401)상에 마찰부재(100)가 결합함으로써 마찰부(100)와 용기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이 일정한 초기각도(θ0)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경사부(401)가 이루는 일정 각도(θ0)를 변경함으로써, 마찰부재(100)와 용기적재부(11)의 용지적재면이 이루는 초기각도(θ0)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100)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400)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마찰부재(100)의 일측이 유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접착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 고무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6a의 (b)를 참조하면, 마찰부재(100)의 하부에는 지지층(500)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층(500)은 마찰부재(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층(500)의 탄성력을 마찰부재(100)의 탄성력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마찰부재(100)가 용지에 가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부재(100)와 지지층(500)은 재질이 상이할 수 있으며, 지지층(500)의 탄성력을 마찰부재(100)의 탄성력보다 크게 구성함으로써, 마찰부재(100)가 용지에 가하는 힘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찰부재(100)가 용지에 가하는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층(500)의 두께를 변경하거나 마찰부재(100)의 하단 일부에만 지지층(500)을 배치하는 등과 같이, 지지층(500)의 변형을 통해 마찰부재(100)가 용지에 가하는 압력 및 마찰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a의 (c)를 참조하면, 마찰부재(100)의 상단 일부에는 마찰부재(100)의 마찰계수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마찰방지부재(6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마찰방지부재(600)는 마찰부재(100)의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U)에 위치하는 타측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용지적재부(11)에 배치된 다수의 용지 중 최상층에 배치된 용지가 픽업롤러(200)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롤러(300)를 통해 이송되기 위해서는, 마찰부재(100)가 최상층에 배치된 용지에 가하는 마찰력보다 픽업롤러(200)에 의해 최상층에 배치된 용지에 가하는 힘이 커야 한다.
용지적재부(11)에 적재된 용지가 순차적으로 픽업되어 이송됨에 있어, 하부에 배치된 용지는 마찰부재(100)의 타측에 걸리거나 마찰부재(100)와의 마찰력이 픽얼롤러(200)의 힘보다 커지게 됨으로써 픽업 또는 이송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찰부재(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마찰방지부재(600)를 통해, 마찰부재(100)의 타측에 접하는 용지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용지가 마찰부재(100)의 타측에 걸리게 되어 픽업 또는 이송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마찰방지부재(600)의 크기나 마찰계수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찰부재(100)가 용지에 마찰력을 가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b의 (d) 및 (e)를 참조하면, 마찰부재(100)는 마찰부재(10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부재(700, 8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부재(100)의 하단에는 지지부재(710, 8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710, 810)는 지지부재(710, 81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720, 820)과 결합될 수 있다.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U)에 위치한 지지부재(710, 810)는 일단이 용지적재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부재(100)는 상류(U)에 위치한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유닛(720, 820)은 마찰부재(100)가 용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마찰부재(1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찰부재(1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720, 820)은 지지부재(710, 810)와 결합함으로써 회전 가능한 마찰부재(100)가 용지를 가압할 수 있다.
도 6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유닛(720)은 지지부재(710)의 일단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720)일 수 있다.
또한, 도 6b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유닛(820)은 용지적재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810)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결합된 압축 스프링(820) 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급지 트레이(20)에 마찰방지부재(10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방지부재(100)는 화상형성장치(1)의 상부에 배치된 급지장치(10) 외에도,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 트레이(20)에 배치될 수 있다.
급지 트레이(20)는 일단부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시에는 용지가 적재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용지적재면이 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급지 트레이(20)의 용지적재면에 배치된 용지는 픽업롤러(미도시) 및 이송롤러(미도시)를 통해 본체의 화상형성부로 급지될 수 있다.
또한, 급지 트레이(20)의 비사용시에는 급지 트레이(20)의 용지적재면이 본체에 접하도록 회전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급지 트레이(20)의 용지적재면의 중앙부에는, 배치된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초기각도(θ0)로 상향 경사지게 마찰부재(10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마찰부재와 그 구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L)에 배치된 마찰부재(100)의 유동 가능한 일측은, 적재된 용지와 마찰함으로써 용지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아울러, 적재된 용지의 일부가 말리거나 만곡되더라도 마찰부재(100)가 지속적으로 용지를 가압하여 마찰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급지 트레이(20)를 통한 화상형성부로의 급지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급지 트레이(20)는 전술한 설명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겠으나, 이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 카세트(31)에 마찰방지부재(10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30)는 제1 및 제2 카세트(31, 32)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카세트(31)에 배치된 마찰부재(100)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제1 카세트(31)는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카세트(31)에 용지를 적재하여 본체에 삽입함으로써 본체의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공급하거나, 제1 카세트(31)를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용지를 추가로 적재할 수 있다.
제1 카세트(31)는 외관을 형성하며 용지가 적재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제1 하우징(311) 및 제1 하우징(3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리프팅판(312)을 포함한다.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U))에 배치되는 리프팅판(312)의 일단(3121)은 제1 하우징(311)의 회전축(3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판(312)의 일단(3121)과 반대되는 타단에는 리프팅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장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프팅판(312)의 타측을 용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리프팅판(312)이 용지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지가 픽업롤러(200)에 지속적으로 접할 수 있으며, 픽업롤러(200)를 통해 용지가 순차적으로 픽업될 수 있다.
아울러, 리프팅판(312)에는 마찰부재(10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마찰부재와 그 구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마찰부재(100)는 배치된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초기각도(θ0)로 상향 경사지게 마찰부재(100)가 배치될 수 있다.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L)에 배치된, 마찰부재(100)의 유동 가능한 일측은 적재된 용지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지에 지속적으로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된 용지의 일부가 말리거나 만곡되더라도 마찰부재(100)가 지속적으로 용지를 가압하여 마찰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제1 카세트(31)를 통한 화상형성부로의 급지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카세트(31)는 전술한 설명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겠으나, 이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20, 30; 급지장치
11; 용지적재부 100; 마찰부재
200; 픽업롤러 300; 이송롤러
400; 연결부재 500; 지지층
600; 마찰방지부재 720, 820; 탄성유닛

Claims (15)

  1. 용지적재부; 및
    상기 용지적재부의 용지적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위치한 일측이 상기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되어 용지를 가압하는,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계수는 용지와 용지 사이의 마찰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보다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보다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결합하여 상기 용지적재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용지적재면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의 탄성력은 상기 마찰부재의 탄성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계수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마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 상기 용지적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찰부재가 용지를 가압하도록 상기 마찰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0. 본체의 스캐닝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장치는,
    용지적재부; 및
    상기 용지적재부의 용지적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위치한 일측이 상기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되어 용지를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 및
    픽업된 용지를 상기 스캐닝부로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본체의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장치는,
    용지적재부; 및
    상기 용지적재부의 용지적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용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위치한 일측이 상기 용지적재면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이격되어 용지를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 트레이(tr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는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 카세트(casset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 및
    픽업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60123019A 2016-09-26 2016-09-26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180033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19A KR20180033722A (ko) 2016-09-26 2016-09-26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CT/KR2017/002475 WO2018056537A1 (ko) 2016-09-26 2017-03-07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19A KR20180033722A (ko) 2016-09-26 2016-09-26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22A true KR20180033722A (ko) 2018-04-04

Family

ID=6168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019A KR20180033722A (ko) 2016-09-26 2016-09-26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33722A (ko)
WO (1) WO2018056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9234B (zh) * 2019-05-27 2020-03-31 西昌市人民医院 一种儿童保健管理信息平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3921A (ja) * 1990-09-21 1992-05-07 Tokyo Electric Co Ltd 給紙カセット
JP3354362B2 (ja) * 1995-11-02 2002-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
JPH11314781A (ja) * 1998-05-07 1999-11-16 Canon Inc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345879B1 (ko) * 1999-04-06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터의 급지 장치
KR100395535B1 (ko) * 2001-10-29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537A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260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51832B2 (ja) 給紙装置
JP3692129B2 (ja) 給紙カセットの用紙分離ガイド,印刷装置の給紙カセット,印刷装置,及び用紙搬送装置
US6227533B1 (en) Multi-functional sheet feeding apparatus
JPH04313532A (ja) シート材の自動供給装置
US20080309000A1 (en) Document-fedding device with improved sheet-separating structure
US20110278792A1 (en) Paper transporting apparatus, paper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33103A (ja) 媒体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及び複合機
KR20180033722A (ko)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913997B2 (en) Sheet feeding device, sheet feeding cassette used for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27988B2 (ja) 原稿給紙装置
JP549564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83202A (ja) 分離給紙装置
US20230257220A1 (en)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0419225B1 (ko) 사무기기의 자동급지 장치
JP6291783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180976A1 (en) Manual paper feed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880381B2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自動原稿読み取り装置
JP2006016170A (ja) プリンタ
JP2001106361A (ja) 給紙装置
US7023590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JP2000044078A (ja) 給紙装置
JP4182820B2 (ja) 給紙装置
KR100318730B1 (ko)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JP2006044830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