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664A -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664A
KR20180023664A KR1020160109378A KR20160109378A KR20180023664A KR 20180023664 A KR20180023664 A KR 20180023664A KR 1020160109378 A KR1020160109378 A KR 1020160109378A KR 20160109378 A KR20160109378 A KR 20160109378A KR 20180023664 A KR20180023664 A KR 2018002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nterface
display
sensing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원
강근석
소병석
송현아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664A/ko
Priority to US15/619,899 priority patent/US20180060013A1/en
Priority to CN201710740495.5A priority patent/CN107783746A/zh
Publication of KR2018002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경계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A display apparatus, a multi-display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 정보로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장치,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 기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블이나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서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상이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이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은 서로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은 어느 하나의 영상의 서로 상이한 일부분일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의 일 부분을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경계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경계면에 대향하는 제2 경계면에 형성된 피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수신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미리 정의된 패턴으로 상기 제2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는, 금속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제2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제1 광원은 상기 제2 경계면의 타 말단 주변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제2 광원보다 더 높은 밝기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광원은 서로 상이한 밝기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밝기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광원은 서로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피감지부를 감지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의 위치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가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인덕턴스 센서, 조도 센서 및 색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상기 제1 경계면의 양 말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상기 제1 경계면과 직교하는 경계면에 더 설치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경계면에 형성된 피감지부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경계면에 접하여 설치 가능한 제2 경계면 및 상기 제2 경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피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이 근접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감지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에 형성된 피감지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피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제어 장치가, 상기 상기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의 일 부분을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정형적으로 배치된 경우나 또는 비정형적으로 배치된 경우에서도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제1 경계면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피감지부의 제1 실시예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피감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 대한 측면도다.
도 8은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피감지부의 제2 실시예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피감지부의 제3 실시예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영상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b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도 19b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부품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모순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사시도이고,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실시예에 따라 음성이나 음향을 더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는, 텔레비전, 스마트폰, 셀룰러 폰, 태블릿 피씨, 모니터 장치, 랩톱 컴퓨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휴대용 게임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텔레비전인 일 실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 설명되는 각 구성이나 기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텔레비전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마트폰 등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100a)과, 하우징(100a)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a)은, 표시부(110)를 고정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여러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a)의 전방은, 표시부(110)가 설치되도록 베젤(111)로 둘러싸인 개구가 마련되고, 후방에는 배면 프레임(103)이 설치된다. 베젤(111)의 내측에는 표시부(110)와 하우징(100a)을 연결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베젤(111)은 생략 가능하다. 배면 프레임(103)의 후면 방향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면 등에 장착될 수 있도록 벽걸이 프레임(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a)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스탠드는 배면 프레임(103)의 후면 또는 하우징(100a)의 하 방향 경계면(104)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탠드는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100a)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기판과, 각종 반도체 칩 및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이나 반도체 칩이나 회로 등은 표시부(110)와 배면 프레임(103) 사이에는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며, 하우징(100a) 내측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꼴 또는 이에 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00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고려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0a)은 복수의 경계면(101 내지 10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경계면 중 제1 경계면(101)은 제2 경계면(102)과 대향하여 마련되고, 제3 경계면(103)은 제4 경계면(104)과 대향하여 마련된다. 이 경우, 제1 경계면(101)과 제2 경계면(102)은 서로 평행이고, 제3 경계면(103)과 제4 경계면(104)도 서로 평행일 수 있다. 만약 하우징(100a)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라면, 제1 경계면(101)은 제3 경계면(103) 및 제4 경계면(104)과 직교하고, 제2 경계면(102) 역시 제3 경계면(103) 및 제4 경계면(104)과 직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경계면(101)과 제3 경계면(103)의 사이각, 제1 경계면(101)과 제4 경계면(104)의 사이각, 제2 경계면(102)과 제3 경계면(103)의 사이각, 제2 경계면(102)과 제4 경계면(104)의 사이각은 직각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주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경계면(101) 및 제2 경계면(102)이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방 및 우측방에 배치되고, 제3 경계면(103) 및 제4 경계면(104)이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방 및 하방에 배치되는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1 경계면 내지 제4 경계면(101 내지 104)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경계면(101) 및 제4 경계면(10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는 제1 경계면(101)의 양 말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거나, 및/또는 제4 경계면(104)의 양 말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는 감지 대상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감지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감지부에 대응하여 마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거나 또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피감지부가 설치된 경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경계면(101)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감지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실시예에 따라서, 인덕턴스 센서(inductance sensor), 조도 센서 및 색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턴스 센서는 피감지부의 형상에 따라 생성되는 인덕턴스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 가능한 센서를 의미한다. 조도 센서는 방출되는 광의 밝기를 감지하고 광의 밝기에 따라서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 가능한 센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 센서는 입사되는 광의 색상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색상 필터(RGB filter)가 설치된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감지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피감지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의 제1 경계면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경계면, 일례로 제1 경계면(101)에는 두 개의 감지부(121, 122)가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감지부(121, 122)는 각각 독립적으로 피감지부(220)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두 개의 감지부(121, 122)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1 경계면(101)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두 개의 감지부(120)는 하우징(100a)의 제1 경계면(101)의 두 개의 지점(p1, p7)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지점(p1, p7)은 제1 경계면(101)의 상방 말단 및 하방 말단(1011, 1012)에 인접한 지점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감지부(121)는 제1 경계면(101)의 상 방향의 일 말단(1011)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2 감지부(122)는 상 방향의 일 말단(1011)에 대양하는 제1 경계면(101)의 타 말단(1012), 즉 하 방향의 일 말단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 경계면(101)와 동일하게 제4 경계면(104)에도 두 개의 감지부(123, 124)가 설치될 수 있으며, 두 개의 감지부(123, 124)는 각각 제4 경계면(104)의 상 방향의 일 말단 및 하 방향의 일 말단에 인접하여 제4 경계면(10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제1 경계면(101) 및 제4 경계면(104) 각각에는 두 개의 감지부(121 내지 124)가 설치된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경계면(101) 및 제4 경계면(104) 각각에 셋 이상의 감지부(1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부(121) 및 제2 감지부(122) 외에도, 제1 경계면(101)의 복수의 지점(p2 내지 p6)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셋 이상의 감지부(120)가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감지부(120)는 소정의 패턴으로 제1 경계면(10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감지부(120)는 등간격으로 제1 경계면(101)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다양한 위치(p1 내지 p7)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는 설치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경계면(101) 및 제4 경계면(104) 각각에는 하나의 감지부(120)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경계면(102) 및 제3 경계면(103) 중 적어도 하나에는 피감지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감지부(120)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즉 제1 경계면(101) 및/또는 제4 경계면(104)에 대향하는 측면, 즉 제2 경계면(102) 및/또는 제3 경계면(103)에는 피감지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피감지부(14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도 13의 200)의 감지부(도 13의 2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감지부(140)는 제2 경계면(102) 및 제3 경계면(103)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피감지부(14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가 감지된 부분에 따라서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다시 말해서, 피감지부(140)가 제1 부분과, 제1 부분과 어느 정도 거리로 이격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부분에서의 감지 결과와, 제2 부분에서의 감지 결과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220)는 피감지부(140) 내의 각 부분에 따라서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감지부(22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피감지부(140)의 어느 부분에 감지부(220)가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 역시 판단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선 후술한다.
이하 피감지부(140)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5는 피감지부의 제1 실시예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피감지부(140)는 제2 경계면(102)의 일 말단(1021)에서 타 말단(1022)까지 연장되어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된 전도체(141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말단(102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 방향에 배치고, 타 말단(1022)은 하 방향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전도체(1410)는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이 인덕턴스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전도체(1410)는 소정의 패턴으로 제2 경계면(102)에 설치될 수 있다. 전도체(1410)가 제2 경계면(102)에 설치된 패턴은 설계자가 선택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1410)는 일 말단(1021)에서 타 말단(1022)까지 폭이 점점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말단(1021)에 인접한 제1 지점(P12)에서의 전도체(1410)의 폭(W1)은, 상대적으로 타 말단(1022)에 인접한 제2 지점(P11) 또는 제3 지점(P10)의 폭(W2, W3)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타 말단(1022)에 인접한 제3 지점(P10)의 폭(W3)은, 상대적으로 일 말단(1021)에 인접한 제1 지점(P12) 또는 제2 지점(P11)의 폭(W2, W3)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계면(102)의 각 위치마다 전도체(1410)의 폭(W1 내지 W3)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위치에서 발생되는 인덕턴스를 서로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전도체(1410)의 폭의 감소율은 모든 구역에서 동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도체(1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도체(141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전도체(1410)의 폭의 감소율은 지점에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도체(1410)의 폭은 일 말단(1021)에서 어느 정도의 지점까지는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어느 정도의 지점 이후부터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경계면(210)에 설치된 감지부(220)가 인덕턴스 센서(1221)이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근함에 따라 인덕턴스 센서(1221)가 전도체(1410)의 일 지점에 접근하게 된다면, 인덕턴스 센서(1221)는 접근한 일 지점의 폭에 따라서 상이한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상이한 측정 결과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 일례로 상이한 전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체(1410)는 위치(P10 내지 P12)에 따라서 폭(W1 내지 W3)이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턴스 센서(1221)는 위치(P10, P11, P12)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전압(V10, V11, V12)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적 신호의 전압(V10, V11, V12)를 이용하여 인덕턴스 센서(1221)가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 전도체(1410) 상의 일 위치(P10, P11, P12)가 판단될 수 있다. 즉, 인덕턴스 센서(1221)가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 부분이 일 말단(1021)에 인접한 부분인지, 타 말단(1022)에 인접한 부분인지, 또는 일 말단(1021)과 타 말단(1022) 사이의 중간 주변에 위치한 부분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경계면(210)의 일 부분, 일례로 일 말단 주변에 설치된 인덕턴스 센서(1221)가 접하거나 근접한 부분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피감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 대한 측면도다.
도 4에는 전도체(1410)가 일 말단(1021)에서 타 말단(1022)까지 폭이 좁아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일례에 도시되어 있으나, 전도체(1410)의 배치 패턴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체(1413)는 복수의 부분(1414, 1415, 14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분(1414)는 일 말단(1021)에서 제1 지점까지 형성되고, 제2 부분(1415)은 제1 지점에서부터 제2 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 부분(1416)은 제2 지점에서 타 말단(1022)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 내지 제3 부분(1414 내지 1416)의 각 일부분의 폭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414)는 0에 근접한 폭에서 제4 폭(W4)까지 확장되면서 연장되고, 제2 부분(1415)은 제4 폭(W4)보다 큰 제5 폭(W5)에서 제6 폭(W6)까지 확장되면서 연장되며, 제3 부분(1415)는 제6 폭(W6)보다 작고 제5 폭(W5)보다는 근소하게 큰 제7 폭(W7)에서 제4 폭(W4)보다 근소하게 큰 제8 폭(W8)까지 축소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경우에도, 전도체(1413)의 각 위치에서의 폭은 서로 상이하여 제2 감지부(222)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서로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2 감지부(222)가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 전도체(1413) 상의 일 위치가 판단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두 가지 형태의 패턴으로 배열된 전도체(1410, 1413)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도체(1410, 1413)의 패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도체(1410, 1413)는 감지된 위치에 따라서 감지부(222)가 서로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제2 경계면(102)에 형성 가능하다.
도 8은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9는 피감지부의 제2 실시예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피감지부(140)는 발광 소자(142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1420)는 예를 들어, 백열 전구, 할로겐 램프, 형광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 램프, 형광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아크 조명등, 네온관 램프, 이엘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등과 같은 소정의 발광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발광 장치가 발광 소자(1420)로 채용될 수 있다.
피감지부(140)는 서로 상이한 밝기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 중 어느 하나의 발광 소자는 다른 하나의 발광 소자보다 더 밝거나 또는 더 어두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말단(1021)에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어느 하나의 발광 소자, 일례로 제1 발광 소자(1421)는, 타 말단(1022)에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일례로 제2 발광 소자(1422)나 제3 발광 소자(1423)보다 더 밝은 광을 방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계면(102) 상의 각 위치마다 상이한 밝기의 광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는 일 말단(1021)에서 타 말단(1022)까지 방출하는 광의 밝기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장 밝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일례로 제1 발광 소자(1421)는 일 말단(1021)의 주변에 배치되고, 두 번째로 밝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일례로 제2 발광 소자(1422)는 제1 발광 소자(1421)의 다음에 타 말단(1022)에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가장 어두운 밝기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일례로 제8 발광 소자(1428)는 타 말단(1022)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순차적으로 제2 경계면(102)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한, 방출되는 광의 밝기와 무관하게 임의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는 서로 동일한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모든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가 동일한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 중 일부의 발광 소자는 다른 일부의 발광 소자와 서로 상이한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모든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가 서로 상이한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말단(1021)에서 타 말단(1022)까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로 제2 경계면(10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8)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간격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상이한 것도 가능하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가 조도 센서(1223)인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경계면(20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경계면(10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함에 따라서 조도 센서(1223)는 제2 경계면(10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된다.
조도 센서(122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4) 중 어느 하나의 발광 소자, 일례로 제4 발광 소자(1424)에서 방출되는 광(L)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조도 센서(1223)는 감지된 광(L)의 밝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4)는 조도 센서(1223)의 접근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조도 센서(1223)의 접근에 따라 광(L)을 방출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감지된 광(L)의 밝기를 기초로 복수의 발광 소자(1421 내지 1424) 중 어느 발광 소자, 일례로 제4 발광 소자(1424)가 조도 센서(1223)가 감지한 광(L)을 방출하였는지 여부가 판단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밝기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21 내지 1424)가 각각 소정의 패턴으로 제2 경계면(102)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발광 소자(1421 내지 1424)가 광(L)을 방출하였는지 결정되면, 결정된 발광 소자, 일례로 제4 발광 소자(1424)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경계면(202)의 말단 주변에 배치된 조도 센서(1223)가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 부분이 제2 경계면(102)의 어느 부분인지 여부가 결정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피감지부의 제3 실시예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피감지부(140)는 제2 경계면(102)에 배치되고 소정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3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30)는 백열 전구, 할로겐 램프, 형광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 램프, 형광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아크 조명등, 네온관 램프, 이엘 램프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등과 같이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소자(1430)는, 소정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필라멘트 등과 같은 발광체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필터나 파장 변환 입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경계면(102)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서로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에서 방출되는 광은 가시 광선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에서 방출되는 광은 가시 광선 이외에도, 적외선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제2 경계면(102)의 일 말단(1021)에서 타 말단(1022)까지 적어도 하나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가 방출하는 광의 파장이 긴 순서로 제2 경계면(102)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광의 파장이 짧은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말단(1021)에 주변에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31)가 배치되고, 타 말단(1022)의 주변에는 자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38)가 배치되도록,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제2 경계면(102)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실시에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가 방출하는 광의 파장과 무관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피감지부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로 제2 경계면(102)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8) 사이의 간격은 반드시 등간격일 필요는 없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30)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감지부(220)로 색상 센서(122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경계면(20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경계면(10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되면, 색상 센서(122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4) 중 어느 하나의 발광 소자, 일례로 제4 발광 소자(1434)에 접근하게 되고, 제4 발광 소자(1434)에서 방출되는 광(L)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광(L)이 감지되면, 색상 센서(1225)는 감지된 광(L)의 파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피감지부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복수의 발광 소자(1431 내지 1434)는 계속해서, 주기적으로 또는 색상 센서(1225)의 접근 여부에 따라 소정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21 내지 1424)가 각각 제2 경계면(102)의 특정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지된 광(L)의 파장을 이용하여 색상 센서(1225)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경계면(101)의 어느 지점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12는 하우징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피감지부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피감지부(140)는 제2 경계면(102)의 외면에 도포된 피감지물질(1440)을 포함할 수 있다. 피감지물질(1440)은 서로 상이한 색상이나 또는 서로 상이한 명도의 복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을 포함할 수 있다. 피감지물질(1440)은 안료나 형광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료가 착색되거나 형광 물질이 장착된 평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은 소정의 패턴으로 제2 경계면(10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이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경우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은, 예를 들어,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순서에 따라 제2 경계면(1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이 서로 상이한 명도를 갖는 경우,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의 명도에 따라서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은 다양한 패턴으로 제2 경계면(102) 상에 형성 가능하다.
피감지부(140)가 복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을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는 광을 복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 중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 중 어느 하나) 방향으로 방출하는 광원(미도시)과,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 중 어느 하나)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고 반사된 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방출하는 광 센서(미도시), 일례로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광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광이 반사된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므로, 감지부(22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부(220)가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물질(1441 내지 1447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감지부(220)가 제2 경계면(102) 상의 어느 지점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 역시 알 수 있게 된다.
표시부(11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표시부(110)는, 예를 들어,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및/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10)는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부(110)는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은 전체 영상일 수도 있고, 또는 전체 영상의 일 부분일 수도 있다.
이하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경계면(101 내지 104)를 포함하는 하우징(100a)과, 복수의 경계면(101 내지 10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 일례로 제1 경계면(101) 및 제4 경계면(104)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와, 복수의 경계면(101 내지 10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 일례로 제2 경계면(102) 및 제3 경계면(103)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부(140)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경계면(201 내지 204)를 포함하는 하우징(200a)과, 복수의 경계면(201 내지 20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220)와, 복수의 경계면(101 내지 10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부(24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우징(200a), 감지부(220), 피감지부(240) 및 표시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100a), 감지부(120), 피감지부(140) 및 표시부(11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우징(200a), 감지부(220), 피감지부(240) 및 표시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100a), 감지부(120), 피감지부(140) 및 표시부(110)를 일부 변형한 것일 수 있다.
하우징(100a, 200a), 감지부(120, 220), 피감지부(140, 240) 및 표시부(110, 210)에 대해선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6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또는 각종 영상 등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 가능한 저장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역시 프로세서(260) 및 저장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 260) 및 저장부(162, 262)는 하우징(100a, 200a)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62)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262)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60, 260)는 감지부(120, 220)의 감지 결과를 감지부(120, 220)로부터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전달받고,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기초로 표시부(110, 210)에 표시될 영상을 결정하고, 표시부(110, 210)가 결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 260)는 피감지부(140, 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감지부(140, 240)가 발광 소자(1420, 1430)인 경우, 발광 소자(1420, 1430)가 적어도 하나의 밝기의 광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의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 260)는, 발광 소자(1420, 1430)가 주기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계속해서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60, 260)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접촉 또는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한 경우에는 발광 소자(1420, 1430)가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 260)는 감지부(120, 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 220)가 인덕턴스 센서(1221)이거나, 또는 감지부(120, 220)가 광원 및 광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60, 260)는 인덕턴스 센서(1221) 또는 광원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인덕턴스 센서(1221)가 피감지부(140, 240)의 특정 지점의 폭을 감지하거나, 또는 광 센서가 피감지부(140, 240)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 260)의 각 부품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에 대한 제어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는 회로, 도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 등을 이용하여 각 부품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 260)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 26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PU, Micro Processor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2, 26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98)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62)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262)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162, 262)만이 영상 데이터(98)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62)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262) 각각이 서로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98a, 98b)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62)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262) 각각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98a, 98b)는 서로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것일 수도 있다. 영상 데이터(98)는 프로세서(160, 260) 및 표시부(110, 210)의 동작에 의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62, 262)는 자기 드럼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및/또는 반도체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 저장 장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및/또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프롬(PROM, Programmable ROM), 이프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이이프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또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소정의 데이터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과 같은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캔(CAN)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초 광대역 통신(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및 근 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기술은, 3GPP, 3GPP2 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의 각종 이동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각종 무선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160, 26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10, 210)에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경계면(201)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경계면(10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경계면(201)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부(221, 22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경계면(102)에 형성된 피감지부(140)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는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감지부(221, 222) 중 어느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인지 판단하고, 아울러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경계면(102) 중 어느 위치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60)는 저장부(262)에 저장된 데이터와,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비교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경계면(102) 중 어느 위치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감지부(140)가 전도체(1410, 1413)이고 감지부(220)가 인덕턴스 센서(1221)인 경우, 저장부(262)는 복수의 레벨, 일례로 제1 레벨 내지 제10 레벨로 나누어 정의된 인덕턴스 센서(1221)의 출력 값과, 제1 레벨 내지 제10 레벨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저장부(262)는 제1 레벨은 제2 경계면(102)의 일 말단(1021)의 주변에 대응하고, 제2 레벨은 제2 경계면(102)의 일 말단(1021)에서 타 말단(1022)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구역에 대응하며, 제10 레벨은 제2 경계면(102)의 타 말단(1022)의 주변에 대응된다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덕턴스 센서(1221)에서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면 프로세서(160)는 인덕턴스 센서(1221)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와 저장부(262)에 저장된 출력 값을 비교하여 인덕턴스 센서(1221)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의 레벨을 결정하고, 각 레벨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결정된 레벨에 대응하는 제2 경계면(102)의 일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피감지부(140)가 서로 상이한 밝기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20)이고 감지부(220)가 조도 센서(1223)인 경우, 저장부(262)는 복수의 레벨, 일례로 제1 레벨 내지 제10 레벨로 나누어 정의된 밝기 값과, 제1 레벨 내지 제10 레벨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260)는 이를 이용하여 조도 센서(1223)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의 레벨을 결정하고, 각 레벨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결정된 레벨에 대응하는 제2 경계면(102)의 일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피감지부(140)가 상이한 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1430)이고 색상 센서(1225)인 경우, 저장부(262)는 각각의 색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260)는 색상 센서(1225)에서 출력된 색상에 대한 감지 결과 및 각각의 색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색상에 대응하는 제2 경계면(102)의 일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의 분석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가 접하거나 근접한 제2 경계면(102)의 일 위치와,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종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가 접하거나 근접한 제2 경계면(102)의 일 위치가 주어지면,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고,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감지부(221 및 222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의 위치는 미리 주어진 값이므로,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나란히 배열된 경우, 제1 감지부(221) 및 제2 감지부(222) 모두가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1 감지부(221)는 제2 경계면(102)의 상 방향의 일 말단(1021) 주변을 감지한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2 감지부(222)는 제2 경계면(102)의 하 방향의 일 말단(1022)의 주변을 감지한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60)는 제1 감지부(221)가 제2 경계면(102)의 상 방향의 일 말단(1021) 주변에 위치하고, 제2 감지부(222)는 제2 경계면(102)의 하 방향의 일 말단(1022) 주변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경계면(202)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경계면(102)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26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판단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가 어떠한 영상을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60)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과 관련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영상 사이에 순서가 정의된 경우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에 선행하도록 정의되거나 또는 후행하도록 정의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a는 영상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b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
또한, 프로세서(260)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가 하나의 영상(98)의 일부분(97b)을 표시하도록 결정 및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60)는 표시부(210)가 표시할 영상(98)의 일부분(97b)을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표시부(210)가 표시할 영상(98)의 일부분(97b)의 크기나 해상도 역시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영상(98) 중에서 표시될 일부분(97b)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 및 표시될 영상(98)의 일부분(97b)의 크기 등에 따라 영상(98) 내에서 표시부(210)에 의해 표시될 일부분(97b)의 좌표, 일례로 제1 좌표(n4, m4), 제2 좌표(n7, m4), 제3 좌표(n7, m2) 및 제4 좌표(n4, m2)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260)는 제1 좌표(n4, m4), 제2 좌표(n7, m4), 제3 좌표(n7, m2) 및 제4 좌표(n4, m2) 내측의 영상(97b)을 추출한 후, 추출된 영상(97b)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210)로 전송하여 표시부(210)가 영상(98)의 일부분(97b)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60)는 필요에 따라 저장부(262)에 추출된 영상(97b)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더 저장한 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2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6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98) 상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결정하고, 결정한 영상(98) 상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표시부(210)에 의해 표시될 일부분(97b)의 좌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 지점은 영상(98)의 일 모서리, 일례로 영점(0,0)일 수도 있고, 또는 영상(98) 상의 임의의 지점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따라, 표시부(21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영상의 일 부분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피감지부(140)를 감지한 감지부(220)가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달 받고, 각종 정보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의해 표시될 영상(97a)은,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의해 표시될 영상(97b)과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의해 표시될 영상(97a)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의해 표시될 영상(97b)이 모두 동일한 영상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의해 표시될 영상(97a)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의해 표시될 영상(97b)은 일부 중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에 의해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직접 또는 프로세서(260)를 경유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부로 전달되고,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감지부(220)에 의해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260)와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된 방법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한 후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된 방법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한 후, 표시될 영상(97b)의 결정과 동시에 또는 이시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를 획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된 방법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될 영상(97b)을 결정하고, 표시부(210)에 표시될 영상(97b)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될 영상(97b)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될 영상(97b)이 어느 영상(98)의 일부분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8)의 일부분을 결정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될 영상(97b)의 결정과 더불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될 영상(97a)을 함께 동시에 또는 이시에 결정하고, 결정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될 영상(97a)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표시부(110)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 결정된 바에 따른 영상(97a)을 표시하도록 한다.
상술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될 영상은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 장치(100, 200)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적절한 영상(97a, 97b)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가 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될 영상(97b)을 결정하는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될 영상(97b)의 결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된 결과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가 아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로 먼저 전달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 및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 및/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영상(97a)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부(210)에서 표시될 영상(97b)을 더 결정한 후 결정된 영상(97b)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7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2)은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별도로 마련된 제어 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 하우징(100a, 200a)과,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 220)와,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부(140, 240)와, 표시부(110, 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우징(100a, 200a), 감지부(120, 220), 피감지부(140, 240) 및 표시부(110, 210)는 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한다.
제어 장치(900)는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900)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 각각과 개별적 및 독립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경유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900)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및/또는 서버용 컴퓨터 장치 등과 같이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900)는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장치(9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960) 및 영상 데이터(98)가 저장 가능한 저장부(9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900)의 프로세서(96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900)의 저장부(96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162, 262)와 동일하게, 자기 드럼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및/또는 반도체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900)의 프로세서(960)는 상술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160, 26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장치(900)의 프로세서(96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900)의 프로세서(96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감지부(220)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의 표시부(110, 210)에서 표시될 영상(97a, 97b)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장치(900)의 프로세서(96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대적 위치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각각의 표시부(110, 210)에 표시될 영상(97a, 97b)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장치(900)의 프로세서(96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대적 위치 및 각각의 표시부(110, 210)에서 표시될 영상을 모두 결정하는 경우라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6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162, 262) 역시 생략 가능하다.
도 19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고, 도 19b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3)은 셋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 제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는, 표시부(110, 210, 310, 410)와, 하우징(100a, 200a, 300a, 400a)과,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 220, 320, 420)와,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부(140, 240, 34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표시부(110, 210, 310, 410)와, 하우징(100a, 200a, 300a, 400a)과,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0, 220, 320, 420)와,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부(140, 240, 340, 440)는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생략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는, 정형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형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경계면 및 하부 경계면이 좌 측면 또는 우 측면에 배치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경계면 및 하부 경계면과 일렬로(in a line) 배치되고, 또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경계면 및 우측 경계면이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경계면 및 우측 경계면과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열로 나란히 배치되거나, 좌우 대칭적(symmetric)으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된 형상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근사한 형상, 일례로 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이에 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정형적 배치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배치 내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누락된 형상 역시 포함한다.
비정형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형적으로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하부 경계면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부 경계면과 일렬이 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정형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형적으로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일부가 비정형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가 비정형적으로 배치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복수의 감지부(221 내지 224) 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 일례로 제3 감지부(223)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피감지부(140)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96b)을 표시할 수 있게 되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역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96a)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동일하게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복수의 감지부(321 내지 324)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322 내지 324)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200, 400)의 피감지부(240, 440)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지부(322)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피감지부(240)를 감지하고, 제3 감지부(323)와 제4 감지부(324)는 각각 별도로 제4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감지부(440)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독립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96c)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감지 결과, 상대적 위치 판단 결과 및/또는 표시될 영상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96b)을 표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4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복수의 감지부(421 내지 424)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421) 역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제4 디스플레이 장치(300) 역시 제4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96d)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감지부(121 내지 124, 221 내지 224, 321 내지 324, 421 내지 424)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21 내지 124, 221 내지 224, 321 내지 324, 421 내지 424)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가 표시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프로세서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상대적 위치 및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에 표시될 영상을 직접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감지부(121 내지 124, 221 내지 224, 321 내지 324, 421 내지 424)의 감지 결과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 각각의 상대적 위치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 각각에 표시될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지 400)에 전송하거나, 또는 결정 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영상(96a)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술한 제어 장치(9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술한 제어 장치(9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프로세서(160, 260)의 각각의 기능은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분산 처리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감지부(121 내지 124, 221 내지 224, 321 내지 324, 421 내지 424)의 감지 결과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와 별도로 마련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와 직간접적으로 통신 가능한 제어 장치(9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별도로 마련된 제어 장치(900)는 감지부(121 내지 124, 221 내지 224, 321 내지 324, 421 내지 424)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 각각의 상대적 위치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 각각이 표시할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는 네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의 개수는 세 개일 수도 있고, 다섯 이상일 수도 있다.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원형 하우징(501)과, 원형 하우징(501)에 장착된 원형의 표시부(510)와, 원형 하우징(501)의 제1 부분(50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521, 522, 523)와, 원형 하우징(501)의 제2 부분(503)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피감지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502)과 제2 부분(503)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원형 하우징(501)에 마련된다.
표시부(51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커브드 디스플레이이나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521, 522, 523)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감지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인덕턴스 센서(1221)나, 조도 센서(1223)나, 색상 센서(1420)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521, 522, 523)는 광원 및 피감지부(540)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일 수도 있다.
피감지부(54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예를 들어, 전도체(1410)나, 다양한 밝기 및/또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 소자(1420, 1430)나, 또는 피감지물질(1440)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지 400)일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된 방법을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표시부(510)에서 표시될 영상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표시될 영상은 하나의 영상 전체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영상의 일 부분일 수도 있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1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근접할 수 있으며(10),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이 일정 거리 이하로 접근할 수 있다(11).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은 서로 접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근접하기 전에 구동을 개시한 상태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이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에 형성된 피감지부를 감지하게 된다(12).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인덕턴스 센서나, 조도 센서나, 색상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광원 및 피감지부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피감지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인덕턴스 센서에 대응하는 전도체나, 조도 센서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나, 색상 센서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나, 또는 피감지물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는, 피감지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13).
감지부가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면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 결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14).
이 경우, 상대적 위치의 결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마련된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할 영상이 결정된다(15).
표시할 영상의 결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마련된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대적 위치의 결정을 수행한 장치가 표시할 영상의 결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상대적 위치의 결정을 수행하지 않은 장치가 표시할 영상의 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할 영상은 하나의 영상의 전부일 수도 있고, 또는 영상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영상의 제1 부분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영상의 제2 부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상이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할 영상이 결정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결정된 영상을 표시한다(16).
이상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된 실시예를 기초로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셋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된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CD)나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역시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100: 제1 디스플레이 장치 101: 제1 경계면
102: 제2 경계면 103: 제3 경계면
104: 제4 경계면 110: 표시부
120: 감지부 140: 피감지부
160: 프로세서 162: 저장부
200: 제2 디스플레이 장치 300: 제3 디스플레이 장치
900: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1221: 인덕턴스 센서
1223: 조도 센서 1225: 색상 센서
1410: 전도체 1420: 발광 소자
1430: 발광 소자 1440: 피감지물질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경계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면에 대향하는 제2 경계면에 형성된 피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수신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경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미리 정의된 패턴으로 상기 제2 경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금속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제2 경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제1 광원은 상기 제2 경계면의 타 말단 주변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제2 광원보다 더 높은 밝기의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광원은 서로 상이한 밝기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경계면의 일 말단 주변에서 타 말단 주변까지 밝기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광원은 서로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피감지부를 감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의 위치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가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인덕턴스 센서, 조도 센서 및 색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상기 제1 경계면의 양 말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상기 제1 경계면과 직교하는 경계면에 더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경계면에 형성된 피감지부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경계면에 접하여 설치 가능한 제2 경계면 및 상기 제2 경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피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이 근접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경계면에 설치된 감지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경계면에 형성된 피감지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피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제어 장치가, 상기 상기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109378A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23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78A KR20180023664A (ko)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5/619,899 US20180060013A1 (en) 2016-08-26 2017-06-12 Display apparatus, multi-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CN201710740495.5A CN107783746A (zh) 2016-08-26 2017-08-25 显示装置、多显示***及用于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78A KR20180023664A (ko)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64A true KR20180023664A (ko) 2018-03-07

Family

ID=6124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378A KR20180023664A (ko)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60013A1 (ko)
KR (1) KR20180023664A (ko)
CN (1) CN1077837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859A (ko) * 2018-11-09 202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0642A (zh) * 2019-01-31 2020-08-07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用于显示***的显示方法以及显示装置
KR102316550B1 (ko) * 2019-08-06 2021-10-22 주식회사 토비스 복수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결합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비한 게임기
US11030977B2 (en) * 2019-10-14 2021-06-08 Synaptic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panel
CN111445823A (zh) * 2020-05-07 2020-07-24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烧付不良的补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926B2 (en) * 2006-01-26 2008-09-23 Microsoft Corporation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based devices through motion detection
US8933892B2 (en) * 2007-11-19 2015-01-13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US8644757B2 (en) * 2008-12-04 2014-02-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on and control of virtual rendering devices
US9052760B2 (en) * 2010-09-15 2015-06-09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30222266A1 (en) * 2012-02-24 2013-08-29 Dan Zacharias GÄRDENFORS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ed devices
JP6427937B2 (ja) * 2013-09-05 2018-11-28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859A (ko) * 2018-11-09 202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0013A1 (en) 2018-03-01
CN107783746A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36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9741286B2 (en) Interactive display panel with emitting and sensing diodes
US10484091B2 (en) Light-based fiducial communication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9570002B2 (en) Interactive display panel with IR diodes
US96223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emitted light intensity level
US20190101377A1 (en) Light fixture commissioning using depth sensing device
EP2354902B1 (en) Touch input method and device thereof
US20140125813A1 (en)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with variable-field illumination devices
KR101805512B1 (ko) 디스플레이 밝기 및 콘텐츠를 조절하기 위한 주변 광 환경에 대한 파장 정보 사용
JP6191701B2 (ja) Pos端末装置、商品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85129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204524A1 (en) Controlling brightness of an emissive display
EP3419008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JP2009204825A (ja) 表示装置
CN108141280B (zh) 基于光的通信中的自适应波特率
US979925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347211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70047020A1 (en) Display device
KR20150102787A (ko) 전자 장치 및 표시 방법
KR201800686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심 조정 방법
US9972255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0076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휘도 조정 방법
CN106133666A (zh) 光幕设置方法和双向显示装置
EP309530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emitted light to satisfy criterion for reflected 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