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157A -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 Google Patents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157A
KR20180023157A KR1020160108024A KR20160108024A KR20180023157A KR 20180023157 A KR20180023157 A KR 20180023157A KR 1020160108024 A KR1020160108024 A KR 1020160108024A KR 20160108024 A KR20160108024 A KR 20160108024A KR 20180023157 A KR20180023157 A KR 20180023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oupling
plate
girders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481B1 (ko
Inventor
강예석
조성완
이창석
오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0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 사이에 가로방향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횡방향 지지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을 통해 거더교 시공에서 발생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각 상부에 설치되어, 종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다수의 거더와; 상기 거더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에 재하되는 상부하중을 횡분배하여 부담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은 상기 거더 사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더의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판상형의 지지부재와; 배면이 거더 일측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재; 그리고 배면이 인접한 타측 거더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과정 없이 횡방향 지지유닛을 설치하여, 시공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 GIRDER BRIDGE HAVING CROSSING SUPPORT-UNIT }
본 발명은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 사이에 가로방향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거더를 이용한 교량은 교각 및 교대 상부에 사전 제작된 거더를 안치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공기가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철도 및 도로 교량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거더는 종방향 하중을 부담하도록 설계되는 부재로 거더교에는 횡방향의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로보가 설치된다.
통상적인 가로보는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되고, 이때 철근콘크리트 가로보의 시공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를 교량에 설치한 후, 작업자가 거더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철근의 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양생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가로보는 거푸집을 제작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해야 하므로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00402 호에는 강재로 만든 강보로보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존 철근콘크리트 가로보를 강가로보로 대체하여,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 없이도 간단하게 볼트 및 너트결합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거더가 설계상 설치위치에서 벗어나 설치될 경우, 거더와 강가로보를 결합하기 위해서, 거더의 위치를 바로잡아 다시 설치하거나, 간극을 채울 수 있는 간극재(판재)를 추가로 덧대어 설치해야만 했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거더의 시공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보강시공이 필요하여, 공기가 늘어나고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가로보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00402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볼트 및 너트 결합에 의해 간단히 시공될 수 있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더가 설계상의 위치에서 벗어나 오차시공된 경우, 거더의 설치 위치 오차를 횡방향 지지유닛 자체에서 보정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각 상부에 설치되어, 종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다수의 거더와; 상기 거더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에 재하되는 상부하중을 횡분배하여 부담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은 상기 거더 사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더의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판상형의 지지부재와; 배면이 거더 일측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재; 배면이 인접한 타측 거더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거더 내측에 매립된 채 일측 단부가 상기 거더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교각 상부에 설치되어, 종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다수의 거더와; 상기 거더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에 재하되는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은, 상기 거더 사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더의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판상형의 지지부재와; 배면이 상기 거더 일측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재; 배면이 상기 상판 단부 하단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거더 측면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배면판과;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배면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더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거더 내측에 매립된 채 일측 단부가 상기 거더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거더의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면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배면공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거더 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판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판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결합판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배면공은 상기 거더의 전후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하도록, 수평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상기 거더의 수평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하도록, 수평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거더의 수직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하도록, 수직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판이 결합되는 결합면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결합부재 또는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결합된 결합면이 수직방향 하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치형을 갖는 결합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판이 결합되는 결합면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결합부재 또는 상기 제 2결합부재가 결합된 결합면이 수평방향 하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치형을 갖는 결합면으로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과정 없이 횡방향 지지유닛을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더교 시공시, 발생되는 시공오차를 추가적인 보강시공 없이도 횡방향 지지유닛 내에서 보정할 수 있어, 시공오차에 대한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가로보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거더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거더에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의 수직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의 수평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의 전후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거더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거더교는 교각(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200)와 상기 거더(200)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300)과 상기 거더(200) 사이에 구비되어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횡방향 지지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더(200)는 강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며,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부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더(200) 사이의 상부하중을 횡분배하여 부담하는 횡방향 지지유닛(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은 상판(300)의 시공단계까지 거더(200)의 전도를 방지하고, 교량의 사용 기간 중 거더(200) 횡변형을 방지하며, 횡하중 작용시 거더(200)의 일체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은 거더(200) 사이의 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10)와 상기 거더(200)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410)를 고정하는 제 1 결합부재(420) 및 제 2 결합부재(430)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와 상기 거더(200)를 고정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에 상기 지지부재(41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거더(200)가 철큰콘크리트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10)은 거더(200) 측면에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거더(200) 내측에 매립된 채 일측 단부가 상기 거더(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는 일측 단부가 상기 거더(200) 내에 매된 채 타측 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앵커볼트의 중앙부가 상기 거더(200)를 관통하여 양측 단부가 상기 거더(20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더(200)가 강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수단(210)은 상기 거더(200)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제 2 결합부재(430)는 상기 고정수단(210)에 의해 일측이 거더(2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4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지지부재(410) 양측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각각 제 1 결합부재(420)와 제 2 결합부재(430)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지지부재(4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에 결합되도록 고정수단(210)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배면판(421)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판(42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판(4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판(421)에는 상기 거더(20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거더(200)의 고정수단(210)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면공(4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판(424)에는 상기 지지부재(410)가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수단(210)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4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는 상기 지지부재(410) 타측에 구비되고, 상술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와 같이, 판상형의 배면판(431)과 배면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판(4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면판(431)에는 배면공(43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434)에는 결합공(43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는 상기 고정수단(210)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공(423)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거더(200)의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재(430) 역시, 상기 고정수단(210)이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배면공(432)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거더(200)의 인접합 타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10)는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상기 결합공(435)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11)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와 결합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판의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다수의 횡방향 지지유닛 중 거더의 최외각부에 설치되어, 상판 단부 하중에 의한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횡방향지지유닛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거더(200)와 지지부재(41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제 1 결합부재로(420), 상기 지지부재(410)와 상판이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제 2 결합부재(430)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제 2 결합부재(430)는 상기 거더(200)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3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는 상기 최외각부 거더(200)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에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제 2 결합부재(430)는 상기 상판(300)의 단부 하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에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타측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재(420)는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판(421)이 배면공(422)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최외각부 거더(200)의 외측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는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배면판(431)이 배면공(432)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상판(300) 단부 하단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10)의 일측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25)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11)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공(435)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11)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부재(4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410)는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300)의 단부 하중에 의한 횡방향 하중을 부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은 시공오차를 결합공 및 배면공의 형태에 따라 보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공 및 배면공의 형태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의 수직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의 수평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의 전후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거더(200)의 시공오차에 따른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설치 위치 오차 발생의 원인을 살피면, 상기 거더(200)가 사전 제작될 때 상기 거더(200)에 형성되는 고정수단(210)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작되므로, 상기 거더(200)가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수단(210) 간의 이격 거리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기 거더(200)가 오차 시공된 경우,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설치 위치가 달라진다.
이때, 발생되는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설치위치 오차는 상기 거더(200)의 거치높이 차이에 의해 발생된 오차로, 상기 거더(200) 사이의 이격거리 차이에 의해 발생된 오차로, 그리고 상기 거더(200)의 거치 시점 및 종점의 차이에 의해 발생된 오차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거더(200) 사이의 거치높이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결합오차를 수직오차라 하고, 상기 거더(200) 사이의 이격거리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결합오차를 수평오차라 하며, 상기 거더(200)의 거치 시점 및 종점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결합오차를 전후방오차라 한다.
이때, 상기 수직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공(422)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배면공(432) 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의(420)의 결합공(425)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공(435)은 수직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200) 사이의 거치높이 차이에 의해 수직오차가 발생된 경우, 수직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배면공 및 상기 결합공의 수직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설치위치를 이동시켜 수직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25)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공(435)은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200) 사이의 이격거리 차이에 의해 수평오차가 발생된 경우,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상기 결합공의 수평길이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410)의 설치위치를 이동시켜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공(422)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배면공(432)은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200)의 거치 시점 및 종점의 차이에 의해 전후방오차가 발생된 경우,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배면공의 수평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설치위치를 이동시켜 전후방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상기 배면공(422)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상기 배면공(432)이 수직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또는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와 상기 거더(200)가 결합시, 결합면의 결합위치가 수직방향 하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방향 하중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공(422)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상기 배면공(432)은 수평길이 방향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배면공 및 상기 결합공이 형성된 상기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은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공(422)이 수평길이 방향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25)이 수직길 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배면공(432)이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상기 결합공(435)이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와 상기 제 2 결합부재(430)는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이 상기 거더(200)와 결합되는 다른 예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에는 배면공(422)이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공(425)이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에는 배면공(432)이 수평길이 방향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결합공(435)이 수직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와 상기 제 2 결하부재(430)은 상술한 예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22)과 배면공(425)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공(432)과 배면공(435)의 형태가 서로 다른 조합에 의해 유기적으로 수직방향 시공오차, 수평방향 시공오차 및 전후방향 시공오차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은 상술한 상기 결합공(422) 및 상기 배면공(425)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에 가해지는 수평, 수직방향 하중에 의해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이 결합된 위치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에서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결합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에는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와 상기 지지부재(410)가 결합되는 결합면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판(424)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판(434)과 상기 지지부재(410)가 결합되는 결합면은 치형결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25)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공(435)이 수직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와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수직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부재(410)가 결합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판(424)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판(434)에는 수평치형결합면(4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25)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공(435)이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와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수평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부재(410)가 결합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면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판(424)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판(434)에는 수직치형결합면(4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는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제 2 결합부재(430)와 결합되어 결합면이 이동되지 않도록, 일측이 상기 수평치형결합면(414)에 대응하는 수평치형결합면(414)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치형결합면(413)에 대응하는 수직치형결합면(4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은 수직,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부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이 실시되는 최적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배면공(422) 및 결합공(425)은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배면공(432)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공(435)은 수직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10)에는 원형의 체결공(4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은 상기 배면공(422)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거더(200)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는 상기 배면공(432)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거더(200)와 인접한 타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10)는 일측이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판(424) 상에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25)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11)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판(434)상에 상기 제 2 결합부재(420)의 결합공(435)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11)을 관통하는 고정수단(210)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와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하는 결합면이 수직 수평하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상기 수평길이 방향 결합공(425)이 형성되는 결합판(424)에는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부담하는 수직치형결합면(4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상기 수직길이 방향 결합공(435)이 형성되는 결합판(434)에는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의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부담하는 수평치형결합면(4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 일측은 상기 제 1 결합부재(420)의 결합판(424)에 형성된 상기 수직치형결합면(413)에 대응하는 수직치형결합면(413)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결합부재(430)의 결합판(434)에 형성된 상기 수평치형결합면(414)에 대응하는 수평치형결합면(414)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은 거더(200) 사이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 내에서 상기 거더(200)의 설치위치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400)에 가해지는 수직,수평방향 하중을 부담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 사이에 가로방향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횡방향 지지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을 통해 거더교 시공에서 발생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과정 없이 횡방향 지지유닛을 설치하여, 시공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0 : 교각 200 : 거더
210 : 고정수단 300 : 상판
400 : 횡방향 지지유닛 410 : 지지부재
411 : 체결공 420 : 제 1 결합부재
421 : 배면판 422 : 배면공
424 : 결합판 425 : 결합공
430 : 제 2 결합부재 431 : 배면판
432 : 배면공 434 : 결합판
435 : 결합공

Claims (8)

  1. 교각 상부에 설치되어, 종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다수의 거더와;
    상기 거더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에 재하되는 상부하중을 횡분배하여 부담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은,
    상기 거더 사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더의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판상형의 지지부재와;
    배면이 거더 일측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재;
    배면이 인접한 타측 거더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거더 내측에 매립된 채 일측 단부가 상기 거더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2. 교각 상부에 설치되어, 종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다수의 거더와;
    상기 거더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과;
    상기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에 재하되는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유닛은,
    상기 거더 사이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더의 횡방향 하중을 부담하는 판상형의 지지부재와;
    배면이 상기 거더 일측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재;
    배면이 상기 상판 단부 하단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거더 측면에 결합되는 판상형의 배면판과;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배면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거더 내측에 매립된 채 일측 단부가 상기 거더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거더의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면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배면공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거더 측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판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판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의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결합판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공은,
    상기 거더의 전후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하도록, 수평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거더의 수평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하도록, 수평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거더의 수직방향 시공오차를 보정하도록, 수직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KR1020160108024A 2016-08-24 2016-08-24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KR101889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24A KR101889481B1 (ko) 2016-08-24 2016-08-24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24A KR101889481B1 (ko) 2016-08-24 2016-08-24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157A true KR20180023157A (ko) 2018-03-07
KR101889481B1 KR101889481B1 (ko) 2018-08-20

Family

ID=6168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024A KR101889481B1 (ko) 2016-08-24 2016-08-24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4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100A (zh) * 2019-10-11 2020-01-17 重庆建工建筑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墩小半径曲线匝道桥现浇平台贝雷梁束施工方法
CN112192741A (zh) * 2020-09-09 2021-01-08 广州瀚阳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关于节段预制桥梁测量精度分析的数控方法
WO2021063225A1 (zh) * 2019-09-30 2021-04-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式车辆的导轨梁、轨道梁单元以及轨道梁
WO2021063226A1 (zh) * 2019-09-30 2021-04-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式车辆的导轨梁、轨道梁单元以及轨道梁
KR20230034003A (ko)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중공 인서트 조임형 강가로보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13Y1 (ko) * 2005-06-29 2005-09-29 (주)한맥기술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KR100700402B1 (ko) 2005-01-18 2007-03-29 (주)신승건설 강가로보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402B1 (ko) 2005-01-18 2007-03-29 (주)신승건설 강가로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97213Y1 (ko) * 2005-06-29 2005-09-29 (주)한맥기술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3225A1 (zh) * 2019-09-30 2021-04-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式车辆的导轨梁、轨道梁单元以及轨道梁
WO2021063226A1 (zh) * 2019-09-30 2021-04-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式车辆的导轨梁、轨道梁单元以及轨道梁
CN110700100A (zh) * 2019-10-11 2020-01-17 重庆建工建筑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墩小半径曲线匝道桥现浇平台贝雷梁束施工方法
CN112192741A (zh) * 2020-09-09 2021-01-08 广州瀚阳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关于节段预制桥梁测量精度分析的数控方法
CN112192741B (zh) * 2020-09-09 2022-04-01 瀚阳国际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关于节段预制桥梁测量精度分析的数控方法
KR20230034003A (ko)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중공 인서트 조임형 강가로보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81B1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81B1 (ko)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US8166717B2 (en) Stiffener for connect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US8539629B2 (en) Fit-together type of precast concrete lining and bridging structural body
US20100071315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904122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015071907A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JP2019199710A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橋軸直角方向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03798B1 (ko) 곡선형 구현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 피에스씨 빔 및 그 시공방법
JP5386379B2 (ja) 橋梁に於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
KR102421682B1 (ko)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바닥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구조의 제작방법
US20090313937A1 (en) Steel beam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JP4650255B2 (ja) 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既設鋼床版の補強方法
KR101921024B1 (ko) 전단연결재
KR20200064856A (ko)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6286737B2 (ja)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JP2010159568A (ja) 既設単純桁橋梁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2508677B2 (ja) 橋梁鉄筋コンクリ−ト床版の補強方法
KR101500591B1 (ko)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방법.
KR20140024637A (ko) 링플레이트가 장착된 원형 거더와 횡방향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50906A (ko) 다중박스거더교의 프리캐스트방식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829631B2 (ja) 柱脚の施工方法、既存柱脚の補強方法
JP4252617B1 (ja) 複合床版橋
KR101659900B1 (ko) 높이조절 및 전도방지기능을 가진 힌지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JP20062833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