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931A - 음용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931A
KR20180009931A KR1020160091885A KR20160091885A KR20180009931A KR 20180009931 A KR20180009931 A KR 20180009931A KR 1020160091885 A KR1020160091885 A KR 1020160091885A KR 20160091885 A KR20160091885 A KR 20160091885A KR 20180009931 A KR20180009931 A KR 2018000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water
tray
hous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현
노형원
조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931A/ko
Publication of KR2018000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67D1/0897Heating arrangements located in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물 또는 스팀을 배출하는 배출 노즐을 구비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1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노즐은 상기 이동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트레이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용수 공급 장치{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수 노즐을 세척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시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킨 후 필터링을 해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된 물을 사용자가 필요 시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 즉,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장치를 통해 정수된 물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되거나 냉동되어 냉수나 얼음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다른 장치와 독립성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외부에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인 디스펜서를 갖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 장치에서 물이 출수되는 노즐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묻어서 오염된 경우에 오염된 물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이 출수되는 출수 노즐을 세척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을 세척할 때에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을 세척할 때에 스팀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의 외부를 스팀에 의해서 세척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물 또는 스팀을 배출하는 배출 노즐을 구비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1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노즐은 상기 이동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트레이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드로워는,상측에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이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 노즐이 상기 이동부의 하단으로부터 노출된 길이는 상기 수용 공간의 깊이 보다 짧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이 상기 고정부의 전면까지 인출되도록 제한하는 스톱퍼를 구비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드로워의 후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는 전면에 표시부가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의 전면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는 음각으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표시부의 후방에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는 상기 표시부를 향해서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에는 회전가능한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서 상하 이동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와 상기 하우징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드로워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에서 누락되는 잔수를 수거하는 제2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트레이와 상기 제2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의 후단에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트레이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트레이는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수 노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와, 상기 출수 노즐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출수되는 출수 노즐이 스팀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어서, 출수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수 노즐을 스팀에 의해서 세척할 때에 출수 노즐이 특정 공간에 밀폐될 수 있어서, 세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아서, 사용자가 스팀에 의해서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스팀에 의해 세척이 된 후에 출수 노즐에 맺힌 물은 사용자가 별도로 버릴 필요 없이 다른 곳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청소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이동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이동부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도 6을 다른 위치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 장치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이동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용수 공급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30)로부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이동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30)의 하단에는 물 또는 스팀을 배출하는 배출 노즐(36)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 노즐(36)은 상기 이동부(30)의 하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부(30)로부터 상기 배출 노즐(36)이 하방으로 튀어나와 있는 형상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 노즐(36)이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배출 노즐(36)의 하방으로 물이 배출될 때에 배출되는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그 위치에 컵 등의 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는 일부는 상기 고정부(20)에 수용되어 있고, 일부는 상기 고정부(20)로부터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부(30) 중에서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손을 파지한 후에 상기 이동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높이가 높은 용기(A)에 물을 담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부(3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배출 노즐(36)의 하방에 용기(A)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2에서와 같이 높이가 높지 않은 용기(B)에 물을 담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부(3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배출 노즐(36)의 하방에 용기(B)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높이가 낮은 용기(B)에 물을 담을 때에 상기 이동부(30)를 하강시키지 않으면, 상기 배출 노즐(36)로부터 물이 배출되면서 용기(B)의 외부로 물이 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제2트레이(90)가 구비되어서, 사용자는 용기(A, B)를 상기 제2트레이(90)의 상측에 놓은 채로, 상기 배출 노즐(36)로부터 물을 담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고정부(20)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제1고정부(22)와 상기 제1고정부(22)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20)의 측면 외관을 이루는 제2고정부(2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제1고정부(22)와 상기 제2고정부(24)와는 달리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20)의 상측에는 버튼(28)이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28)을 눌러서 상기 배출 노즐(36)로 물이 배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28)을 누르면 물이 배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28)을 누르지 않으면 물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튼(28)은 물이 배출되는 유로에서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에 연결되어서 밸브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20)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30)가 상기 고정부(20)에 대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캐비닛(10)에는 회전가능한 피니언 기어(40)이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0)는 결합편(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결합편(42)이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편(42)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40)는 상기 결합편(42)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편(42)은 상기 피니언 기어(40)를 원하는 위치까지 돌출시킬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바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니언 기어(40)와 상기 결합편(42)은 각각 한 쌍을 이루어서,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30)의 내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40)에 맞물리는 랙 기어(34)가 구비된다. 상기 랙 기어(34)는 상기 이동부(30)의 내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랙 기어(34)가 상기 피니언 기어(40)에 맞물리면서 상기 이동부(3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34)도 상기 피니언 기어(40)와 같은 수가 구비되어서, 상기 랙 기어(34)는 상기 피니언 기어(40)에 의해서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에는 상기 배출 노즐(36)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부(30)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배출 노즐(36)의 높이가 함께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30)가 상승되면 상기 배출 노즐(36)도 함께 상승되고, 상기 이동부(30)가 하강되면 상기 배출 노즐(36)도 함께 하강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노즐(36)의 상측에는 물 또는 스팀을 이동시킬 수 있는 호스(38)가 결합된다. 상기 호스(38)는 상기 배출 노즐(36)의 상하 이동되더라도 상기 배출 노즐(36)과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호스(38)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 공급부(2) 또는 스팀 공급부(4)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호스(38)에는 상기 물 공급부(2)로부터 물이 공급되거나, 상기 스팀 공급부(4)로부터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배출 노즐(36)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기를 원하면 상기 물 공급부(2)와 상기 호스(38)를 연결하는 유로를 연통시켜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배출 노즐(36)을 세척하기를 원하면 상기 스팀 공급부(4)와 상기 호스(38)를 연결하는 유로를 연통시켜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2)는 필터 등을 포함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물 탱크에 수납된 물을 정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팀 공급부(4)는 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등을 포함해서, 물을 스팀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 공급부(4)에는 상기 물 공급부(2)에서 공급된 물이 공급되어 스팀으로 가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30)의 하방에는 제1트레이(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60)는 상기 캐비닛(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고정된 하우징(80)과 상기 하우징(80)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드로워(6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80)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드로워(62)가 그 전면을 통해서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80)을 향해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0)은 내부에 상기 드로워(6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드로워(62)는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64)와, 상기 개구부(64)의 하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66)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80)은 개구부가 전면에 구비되는 반면에, 상기 드로워(62)는 상기 개구부(64)가 상기 드로워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62)는 상기 드로워(62)의 전면이 상기 고정부(20)의 전면까지 인출되도록 제한하는 스톱퍼(68)를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68)는 상기 드로워(60)의 후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68)에 대응해서, 상기 하우징(80)에는 상기 스톱퍼(68)가 걸리는 걸림턱(8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84)은 상기 하우징(80)에서 상기 하우징(80)의 내측의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스톱퍼(68)가 상기 걸림턱(84)에 걸리기 전까지는 상기 드로워(62)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상기 스톱퍼(68)가 상기 걸림턱(84)에 접촉하면, 상기 드로워(62)는 더 이상 전방으로 인출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 드로워(62)의 전면(72)에는 표시부(7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4)는 사용자에게 상기 배출 노즐(36)을 통해서 스팀이 배출되고 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4)는 상기 드로워(62)의 전면(72)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전면(72)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서 스팀이 배출된다는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팀에 의해서 상기 배출 노즐(36) 세척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80)에는 상기 표시부(74)의 후방에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85)는 상기 표시부(74)를 향해서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85)는 상기 배출 노즐(36)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동안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85)에 빛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배출 노즐(36)에서 스팀이 배출된다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62)의 전면(72)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74)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표시부(74)는 색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더라도 색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74)가 음각으로 형성되면, 상기 엘이디(85)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74)에 닿으면서 다양한 위치로 반사되고 굴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74)의 색 변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인위적으로 칠해진 색에 비해서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면(72)이 투명하기 때문에, 상기 엘이디(85)에서 조사되는 빛 중 일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전면(72)을 관통해서 전달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엘이디(85)에서 빛이 발생되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배출 노즐(36)에서 스팀이 발생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드로워(62)는 상기 하우징(80)에 스프링(76)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6)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직선 형태)로 변형되려고 하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62)를 상기 하우징(80)에 인입시킨 상태를 고정하는 후크 등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드로워(62)가 상기 하우징(8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62)를 상기 하우징(80)에 인입시켜서 후크 등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62)를 상기 하우징(80)에 고정하면, 상기 스프링(76)은 일시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76)이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 형태로 복귀되더라도, 상기 스톱퍼(68)와 상기 걸림턱(84)때문에, 상기 드로워(62)는 상기 하우징(80)으로부터 일정한 제한 거리 이상 멀어지지 못한다.
상기 드로워(62)의 후방에는 연통공(69)이 형성되어서, 상기 드로워(62)에 수용된 물이 상기 하우징(8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공(69)은 상기 드로워(62)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66)에 수용된 물은 상기 하우징(80)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62)에 잔수가 남아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제2트레이(9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트레이(90)는 상측에 마련된 커버(9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92)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94)이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배출 노즐(36)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때에 떨어지는 물이 상기 제2트레이(9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 공급 장치 주변에 물이 누설되어 젖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60)와 상기 제2트레이(90)를 연결하는 연결관(10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100)은 상측에 마련된 상기 제1트레이(60)와 하측에 마련된 상기 제2트레이(90)를 연결해서, 상기 제1트레이(6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트레이(9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관(100)은 상기 하우징(80)의 후면을 상기 제2트레이(90)에 연결해서, 상기 하우징(80)에 있는 물을 높이가 낮은 상기 제2트레이(9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이동부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이동부(30)가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피니언 기어(40)는 상기 랙 기어(34)에 맞물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30)가 상하로 이동될 때에 상기 피니언 기어(40)는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랙 기어(34)는 상하로 되면서, 상기 배출 노즐(36)이 함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도 5의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30)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랙 기어(34)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출수 노즐(36)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 7은 도 6을 다른 위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드로어(62)가 상기 하우징(80)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이다.
먼저 상기 드로워(62)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이동부(3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30)의 하단이 상기 드로워(62)의 상단에 만나게 되어서 상기 이동부(30)는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0)의 전면과 상기 드로워(62)의 전면의 위치가 동일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 노즐(36)이 상기 이동부(30)의 하단으로 노출된 깊이(L1)은 상기 수용 공간(66)의 깊이(L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드로워(62)의 상단에 맞닿으면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L1이 L2보다 작아서 상기 배출 노즐(36)이 상기 드로워(62)의 하면에 맞닿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 노즐(36)은 상기 드로워(62)의 상기 수용 공간(66)에 의해서 구획된 공간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 노즐(36)에서 스팀이 배출될 때에 스팀의 열기가 오래 보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노즐(36)에서 배출된 스팀이 구획된 공간 내에 머물기 때문에, 상기 배출 노즐(36)의 내부는 물론 상기 배출 노즐(36)의 외부까지 세척할 수 있어서, 상기 배출 노즐(36)의 오염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음용수 공급 장치를 이용해서 물을 공급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28)을 눌러서 상기 배출 노즐(36)을 통해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물을 받고자 하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해서 높이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출 노즐(36)의 높이도 함께 변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배출 노즐(36)을 세척하기를 원하면 별도의 버튼 등을 이용해서 상기 배출 노즐(36)을 통해서 스팀이 배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그 이전에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62)를 상기 하우징(80)으로부터 인출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62)를 후크 등에 의해 결합된 상기 하우징(80)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76)이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62)가 상기 하우징(8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62)는 상기 스톱퍼(68)가 상기 걸림턱(84)에 걸릴 때까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이동부(30)를 이동시켜서, 상기 드로워(62)의 상단에 마련되 개구부(64)가 상기 이동부(30)의 하면에 의해서 밀폐되게 한다. 상기 출수 노즐(36)의 하단은 상기 드로워(62)의 바닥면에 닿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상기 배출 노즐(36)을 통해서 스팀이 배출되도록 하면, 상기 배출 노즐(36)은 상기 드로워(62)에 의한 공간에 밀폐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 노즐(36)의 내부는 물론 상기 배출 노즐(36)의 외부에도 스팀이 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62)의 내부 공간이 스팀으로 차기 때문에 상기 배출 노즐(36)의 외부에도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은 뜨거운 물방울로 이루어지는데, 외부의 찬 공기에 닿게 되면 물로 상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 노즐(36)로부터 배출된 스팀 중 일부가 물방울로 응결되면 상기 드로워(62)의 수용 공간(66)에 수용되고, 상기 연통공(69)과 상기 하우징(80) 및 상기 연결관(100)을 통해서 상기 제2트레이(90)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스팀 세척을 마친 후에 상기 드로워(62)를 상기 하우징(80)으로 인입시킨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80) 및 상기 연결관(100)을 통해서 물이 상기 제2트레이(9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60)에 비해서 상기 제2트레이(90)의 용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팀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이 상기 제1트레이(60)에 차더라도, 상기 제2트레이(90)를 즉시 비워야 하는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팀에 의해서 세척을 하는 동안, 상기 엘이디(85)는 빛을 조사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배출 노즐(36)에 스팀 세척이 수행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62)의 전면(72)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74)가 음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엘이디(85)에서 조사된 빛이 다양하게 변화되어서 사용자가 스팀 세척이 수행되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팀 세척이 수행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물을 사용자가 별도로 수거해서 버릴 필요가 없어서, 사용자가 청소를 할 때에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 물 공급부 4: 스팀 공급부
10: 캐비닛 20: 고정부
30: 이동부 60: 제1트레이
62: 드로워 80: 하우징
90: 제2트레이

Claims (16)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물 또는 스팀을 배출하는 배출 노즐을 구비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1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노즐은 상기 이동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트레이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노즐이 상기 이동부의 하단으로부터 노출된 길이는 상기 수용 공간의 깊이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이 상기 고정부의 전면까지 인출되도록 제한하는 스톱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드로워의 후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전면에 표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전면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는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표시부의 후방에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상기 표시부를 향해서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회전가능한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서 상하 이동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와 상기 하우징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드로워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에서 누락되는 잔수를 수거하는 제2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레이와 상기 제2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후단에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트레이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레이는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음용수 공급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와, 상기 출수 노즐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
KR1020160091885A 2016-07-20 2016-07-20 음용수 공급 장치 KR20180009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85A KR20180009931A (ko) 2016-07-20 2016-07-20 음용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85A KR20180009931A (ko) 2016-07-20 2016-07-20 음용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31A true KR20180009931A (ko) 2018-01-30

Family

ID=6107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885A KR20180009931A (ko) 2016-07-20 2016-07-20 음용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9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9887B2 (en)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EP2295624B1 (en)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US11730335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steam
WO2015155787A2 (en) Ultrasonic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tains on clothes
KR20040076876A (ko) 세척 리셉터클 내에 배열되어진 세척되어지는 물품을수용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KR101480462B1 (ko) 스팀 오븐
DE602006011304D1 (de) Geschirrspüler mit ausziehbarem Geschirrkorb und Korb dafür
KR101669066B1 (ko) 핸디형 스팀청소기
KR100718696B1 (ko) 자동 손 소독기
KR20190138214A (ko) 증기배출을 유도하는 위생적인 조리실
KR20180009931A (ko) 음용수 공급 장치
KR100852741B1 (ko) 냉장고의 디스펜스부
JP6431716B2 (ja) 加熱調理器
US5875800A (en) Device for cleaning utensils and removable chamber into which the utensils are disposed
JP2019195749A (ja) 超音波洗浄装置
CN210276883U (zh) 一种方便快捷的冲茶装置
JP6340582B2 (ja) 食器洗い機
KR101194464B1 (ko) 스푼 세척기
KR102585490B1 (ko) 음용수 공급 장치
WO2022095299A1 (zh) 一种清洗机
KR20110008929A (ko) 조리기기
CN214549338U (zh) 一种随身物品的电动清洁装置
JP2007135650A (ja) 食器洗い機
KR20040082518A (ko) 스팀청소기
JP7408497B2 (ja) 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