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956A -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956A
KR20180005956A KR1020160086333A KR20160086333A KR20180005956A KR 20180005956 A KR20180005956 A KR 20180005956A KR 1020160086333 A KR1020160086333 A KR 1020160086333A KR 20160086333 A KR20160086333 A KR 20160086333A KR 20180005956 A KR20180005956 A KR 20180005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magnetic
regions
density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3267B1 (en
Inventor
조성남
조중영
최태준
최창학
조태연
오승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267B1/en
Priority to CN201710081451.6A priority patent/CN107591231B/en
Publication of KR2018000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agnetic sheet having at least one magnetic layer. The magnetic layer comprises: a first area arrang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econd area arranged at an external side of the first area; and a third area arranged at an external side of the second area. Moreover,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first area is higher than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second area, and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third area is higher than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second area.

Description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0001]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0002]

본 발명은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sheet and an electronic apparatus.

최근 모바일 휴대용 장치에 무선 충전(WPC) 기능, 근거리 통신(NFC) 기능, 전자 결제(MST) 기능 등이 채용되고 있다. 무선 충전(WPC), 근거리 통신(NFC), 전자 결제(MST) 기술은 동작 주파수, 데이터 전송률, 전송하는 전력량 등에서 차이가 있다.
Recently, a mobile wireless device has adopted a wireless charging (WPC) functio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an electronic payment (MST) function. Wireless charging (WPC), short range communication (NFC), and electronic payment (MST) technologies differ in operating frequency, data rate, and amount of power transferred.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경우, 전자기파를 차단과 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성체 시트가 채용되며, 예컨대, 무선 충전 장치에서는 수신부 코일과 배터리 사이에 자성체 시트를 배치한다. 자성체 시트는 수신부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차폐 및 집속하여 배터리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효율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In su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 magnetic sheet for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shielding and focusing electromagnetic waves is employed. For example, in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 magnetic sheet is disposed between a receiver coil and a battery. The magnetic sheet shields and focuses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receiving coil to prevent the electromagnetic waves from reaching the battery, thereby efficiently trans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최근 전자기기에 대한 소형화, 다기능화의 요구가 커지면서 무선충전 모듈이나 이에 포함된 자성체 시트도 박형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In recent years, demands for miniaturization and multifunctiona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ve increased, and the necessity of thinning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magnetic sheet included therein has been increasing.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저감된 두께에서도 전자파 차폐 기능이 우수하여 슬림화에 유리한 자성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gnetic sheet having excellent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even in a reduced thickness and being advantageous in slimming,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 형태를 통하여 자속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자속 밀도가 균일해질 수 있는 자성체 시트의 신규한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성층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중앙부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고, 상기 제3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은 형태이다.
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ovel structure of a magnetic sheet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magnetic flux and uniform magnetic flux density through one embodiment, and specifically, The magnetic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a second region dispos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dispos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region, The perme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permeability of the third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일 예에서, 상기 자성층은 금속 리본으로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3 영역은 각각 금속 리본의 파쇄에 의하여 형성된 크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agnetic layer is made of a metal ribbon, and the first to third regions may each include a crack portion formed by crushing a metal ribbon.

일 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의 크랙부는 각각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racked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may be regularly formed.

일 예에서, 상기 제1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3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first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third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영역은 서로 투자율이 동일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and third regions may have the same permeability.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외곽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outer peri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circular when viewed from above.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외곽은 동심원을 이룰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concentric.

일 예에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자성층의 최외곽을 이룰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third region may be the outermost region of the magnetic layer.

일 예에서, 상기 자성층은 복수 개 구비되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a plurality of the magnetic layers may be provided and stack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코일 패턴을 갖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자성층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층은 중앙부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고, 상기 제3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And a magnetic sheet disposed on the coil sect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magnetic layer, wherein the magnetic layer has a first region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a second region dispos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has a higher permeability tha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has a higher permeability than the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disposed outside the second region, to provide.

일 예에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코일 패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regio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pattern.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영역은 상기 코일부에서 상기 코일 패턴이 형성되지 아니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and third regions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regions where the coil pattern is not formed in the coil portion.

일 예에서, 상기 자성층은 금속 리본으로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3 영역은 각각 금속 리본의 파쇄에 의하여 형성된 크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agnetic layer is made of a metal ribbon, and the first to third regions may each include a crack portion formed by crushing a metal ribbon.

일 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의 크랙부는 각각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racked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may be regularly formed.

일 예에서, 상기 제1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3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first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third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영역은 서로 투자율이 동일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first and third regions may have the same perme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안하는 자성체 시트의 경우, 집속되는 자속의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자성층의 두께나 적층 수가 저감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모듈이나 전자기기의 슬림화에도 유리하다.
In the case of the magnetic sheet prop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and the number of laminated layers of the magnetic layer can be reduced by effectively dispersing the magnetic flux to be converged.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성체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영역별로 투자율의 변화가 없는 자성체 시트를 적용한 전자기기에서 자속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자성체 시트가 채용된 전자기기에서 자속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서 A 영역을 확대하여 크랙부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wireless charging system.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internal structure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gnetic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magnetic flux in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a magnetic sheet having no change in magnetic permeability per region is appli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magnetic flux in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magnetic sheet of FIG.
Figs. 6 and 7 show the shape of the cracked portion by enlarging the region A in Fig.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a more comple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rdinary artisan.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ymbols. Furthe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means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explaining a main internal configuration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은 무선전력 전송장치(1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전력 수신장치(20)는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30)에 포함될 수 있다.
1 and 2, a typical wireless charging system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 may be a cellular phone, a notebook, a tablet PC, May be included in the same electronic device 30.

무선전력 전송장치(10)의 내부를 보면, 기판(12) 상에 송신부 코일(11)이 형성되어 있어 무선전력 전송장치(10)로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내장된 수신부 코일(21)에는 송신부 코일(11)로부터 유도된 기전력에 의하여 배터리(22)가 충전될 수 있다.
In the insi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 a transmission coil 11 is formed on a substrate 12, and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thereto. Accordingly, the battery 22 can be charged by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from the transmitter coil 11 in the receiver coil 21 built 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 [

배터리(22)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니켈수소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터리(22)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배터리(22)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22 may be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or a lithium ion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attery 22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or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 or the battery 22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as one body.

송신부 코일(11)과 수신부 코일(21)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구리 등의 금속 와이어를 권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권회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크기나 권회 횟수 등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coil 11 and the receiver coil 21 are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nd can be formed by winding a metal wire such as copper. In this case, the winding shape can be 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rhombic, etc., and the overall size, number of turns, etc.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nd set according to required characteristics.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는 자성체 시트(100)이 배치되며, 자성체 시트(100)은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 위치하여 자속을 집속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수신부 코일(21) 측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자성체 시트(100)은 자속 중 적어도 일부가 배터리(22)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coil 21 and the battery 22 and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00 is positioned between the receiving coil 21 and the battery 22 to efficiently collect the magnetic flux 21) side. At the same time,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00 functions to block at least a part of the magnetic flux from reaching the battery 22.

이러한 자성체 시트(100)은 코일부와 결합되어 상술한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 외에도 상기 코일부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100)은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가 아닌 송신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서는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송신부와 수신부 코일을 모두 코일부로 칭하기로 한다. 이하, 자성체 시트(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magnetic sheet 100 may be combined with a coil part and applied to a receiv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coil portion may be used for magnetic security transmission (MS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and the like. Further,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00 may be applied to a transmitting section other than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ransmitting section and the receiving section coil are all referred to as a coil section, unless otherwise required. Hereinafter,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성체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자성체 시트가 채용된 전자기기에서 자속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영역별로 투자율의 변화가 없는 자성체 시트를 적용한 전자기기에서 자속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도 3에서 A 영역을 확대하여 크랙부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gnetic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magnetic flux in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of FIG. 3,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magnetic flux in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magnetic substance sheet without variation of permeability is applied. 6 and 7 show the shape of the cracked portion by enlarging the region A in Fig.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체 시트(100)는 하나 이상의 자성층(101)을 포함하며, 자성층(101)은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을 포함한다. 자성층(101)은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성층(101)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의 경우, 제1 영역(111)은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2 영역(112)은 제1 영역(111)의 외곽에 배치된다. 또한, 제3 영역(113)은 제2 영역(112)의 외곽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성층(101)의 최외곽을 이룰 수 있다.
3,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00 includes at least one magnetic layer 101, and the magnetic layer 101 includes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As shown in FIG. One or more magnetic layers 101 may be provided, and when a plurality of magnetic layers 101 are provided, the magnetic layers 101 may be stack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provided in the magnetic layer 101, the first region 111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the second region 112 is disposed at the out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111, . The third region 113 is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region 112 and may for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magnetic layer 101 as shown in FIG.

자성층(101)은 비정질 합금이나 나노 결정립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 리본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질 합금으로는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자성 합금은 Si를 포함하는 물질, 예를 들어, Fe-Si-B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Fe를 비롯한 금속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포화 자속 밀도가 높아지지만, Fe 원소의 함유량이 과다할 경우 비정질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Fe의 함량은 70-90atomic%일 수 있으며, 비정질 형성 가능성 측면에서는 Si 및 B의 합이 10-30atomic%의 범위인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기본 조성에 부식을 방지시키기 위해 Cr, Co 등 내부식성 원소를 20 atomic% 이내로 첨가할 수도 있고, 다른 특성을 부여하도록 필요에 따라 다른 금속 원소를 소량 포함할 수 있다.
As the magnetic layer 101, a thin metal ribbon made of an amorphous alloy, a nano-crystal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is case, an Fe-based or Co-based magnetic alloy can be used as the amorphous alloy. The Fe-based magnetic alloy may use a material including Si, for example, an Fe-Si-B alloy. The higher the content of Fe and other metals, the higher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However, if the Fe content is excessive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amorphous material, the content of Fe may be 70-90 atomic%, and in terms of amorphous formability, the sum of Si and B is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30 atomic%.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in such a basic composition, corrosion resistance elements such as Cr and Co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20 atomic% or less, and a small amount of other metal elements may be added as needed to impart different properties.

그리고, 나노 결정립 합금을 이용하여 자성층(101)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Fe계 나노 결정립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나노 결정립 합금은 Fe-Si-B-Cu-Nb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magnetic layer 101 is implemented using a nano-crystal alloy, for example, an Fe-based nano-crystal magnetic alloy may be used. The Fe-based nano-crystal alloy can be Fe-Si-B-Cu-Nb alloy.

한편, 자성층(101)은 폐라이트계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Mn-Zn계, Mn-Ni계, Ba, Sr계 페라이트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들 물질을 나노 결정 분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등의 베이스에 자성 입자가 충진된 형태의 폴리머 복합체를 이용하여 자성층(101)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magnetic layer 101 may be formed using a waste-based material, for example, a Mn-Zn-based, Mn-Ni-based, Ba-Sr-based ferrite material, Can be formed into a nanocrystalline powder. The magnetic layer 101 may also be formed using a polymer composite in which magnetic particles are filled in the base of a resin or the like.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의 투자율은 무선충전 송신 모듈 등으로부터의 자속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밀도가 균일해질 수 있도록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11)의 투자율은 제2 영역(112)의 투자율보다 높고, 제3 영역(113)의 투자율은 제2 영역(112)의 투자율보다 높다. 다시 말해, 제2 영역(112)은 인접한 제1 및 제3 영역(111, 113)보다 투자율이 낮다. 이러한 투자율 분포를 갖는 자성층(101)은 자속이 측 방향으로 분산됨으로써 자속이 도달하는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3 영역(111, 113)은 서로 투자율이 동일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영역(111, 113)에 동일한 수준의 크랙을 형성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3 영역(111, 113)의 투자율은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ic permeabilities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are adjusted so that the magnetic flux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r the like is effectively dispersed to make the density uniform. Specifically,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first region 111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112, and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third region 113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112. In other words, the second region 112 has a lower permeability than the adjacent first and third regions 111 and 113. The magnetic layer 101 having such a magnetic permeability distribution can reduce the distance over which the magnetic flux reaches by dispersing the magnetic flux laterally. In this case, the first and third regions 111 and 113 may have the same permeability, which is obtained by forming the same level of cracks in the first and third regions 111 and 113, as described later . However, the magnetic permeabilities of the first and third regions 111 and 113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and may have different permeability ratios depending on the case.

도 4에 도시된 비교 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같이 투자율 분포의 변화가 없는 자성층(120)을 사용하는 경우, 자속(점선으로 표시)은 코일부(21)을 거쳐 자성체 시트(120)로 향하며, 코일부(21)는 코일 기판(201) 상에 형성된 코일 패턴(202)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자속이 배터리(130)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성층(120)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3에서는 3장의 자성층(120)이 사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4, the magnetic flux (indicated by a dotted line) is directed to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20 through the coil section 21, The coil portion 21 is in the form including the coil pattern 202 formed on the coil substrate 201. [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magnetic flux from reaching the battery 130,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layer 120 needs to be sufficiently secured.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magnetic layers 120 are used.

이와 비교하여, 도 5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상술한 투자율 분포를 갖는 자성층(101)이 구비된 자성체 시트(100)의 경우, 자속(점선으로 표시)이 측 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분산되며, 이는 제2 영역(112)의 주변에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은 갖는 제1 및 제3 영역(111, 11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속이 측 방향으로 분산되어 밀도가 균일해짐에 따라 자속이 도달하는 거리가 짧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성층(101)의 개수를 줄이더라도 배터리(130)에 자속이 미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 4와 비교하여 1개 줄어든 2개의 자성층(101)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제안하는 자성체 시트(100)를 사용할 경우 저감된 두께에서도 전자파 차폐 기능이 우수하며,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의 슬림화에도 유리하다.
5, in the case of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00 provided with the magnetic layer 101 having the magnetic permeability distribution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flux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s shifted laterally, that is, Because the first and third regions 111 and 113 having a relatively high permeability are disposed in the periphery of the second region 112. As the magnetic fluxes are dispersed laterally and the density becomes uniform, the distance to which the magnetic flux reaches can be shortened. Thus, even if the number of the magnetic layers 101 is reduced, the magnetic flux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battery 130.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magnetic layers 101, which are reduced by one compared with FIG. 4, are us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gnetic sheet 100 prop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is excellent even at a reduced thickness, and it is also advantageous for slimming the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한편, 제2 영역(112)의 주변으로 자속이 효과적으로 분산되기 위하여, 제2 영역(112)은 코일부(21)의 코일 패턴(20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3 영역(111, 113)은 코일부(21)에서 코일 패턴(202)이 형성되지 아니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11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pattern 202 of the coil section 21 in order to effectively disperse the magnetic flux around the second region 112. [ In this case, the first and third regions 111 and 113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coil pattern 202 is not formed in the coil portion 21. [

도 3을 참조하여 자성체 시트(100)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 영역(111, 112)의 외곽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영역(111, 112)의 외곽은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3 영역(113)은 제1 및 제2 영역(111, 112)을 둘러싸면서 자성층(101)의 최외곽을 이룰 수 있다. 제2 영역(112)이 도 3과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코일 패턴(202)에 보다 효과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the shape of the magnetic shee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1 and 11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this case, the outli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1 and 112 may be formed as a concentric circle, and the third region 113 may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1 and 112, 101). The second region 112 has a shape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coil pattern 202 can be more effectively matched.

한편, 자성층 내에서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의 투자율 분포를 조절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을 투자율이 다른 물질로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3 영역(111, 113)은 금속 리본으로, 제2 영역(112)은 페라이트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을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되 크랙의 양을 달리하여 투자율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and a low magnetic permeability.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from other materials. For example, the first and third regions 111 and 113 may be formed of metal ribbon, and the second region 112 may be formed of ferrite. Alternatively,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but the permeability may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amount of cracks.

후자의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성층(101)은 금속 리본으로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은 각각 금속 리본의 파쇄에 의하여 형성된 크랙부(C1, C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및 제2 영역(111, 112)만을 보였지만 제3 영역(113)은 제1 영역(111)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금속 리본의 경우, 페라이트 등의 다른 자성 물질보다 투자율이 높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리본에 크랙부(C1, C2)를 형성함으로써 무선충전 모듈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투자율을 가짐과 함께 영역별로 투자율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다.
6, the magnetic layer 101 is made of a metal ribbon, and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are formed by the metal ribbon And may include cracks C1 and C2 formed by the cracks. In FIG. 6, only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1 and 112 are shown, but the third region 113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first region 111. In the case of the metal ribbon, the perme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magnetic materials such as ferrite. In the present embodiment, cracks C1 and C2 are formed in the metal ribbon to provide a magnetic permeability suitable for use in a wireless charging module, .

즉, 자성층(101)에서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의 파쇄 정도를 달리하여 상술한 형태의 투자율 분포가 얻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영역(111)의 크랙부(C1)의 밀도는 제2 영역(112)의 크랙부(C2)의 밀도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로부터 크랙(C2)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제2 영역(112)은 투자율이 낮아질 수 있다. 여기서 크랙부(C2)의 밀도가 높다는 것은 파쇄가 더 많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제2 영역(112)에서 크랙부(C2)의 간격과 크기가 제1 영역(110)에서 크랙부(C1)의 간격과 크기보다 더 작다. 마찬가지로, 제3 영역(113)의 크랙부의 밀도는 제2 영역(112)의 크랙부(C2)의 밀도보다 낮을 수 있다.
That is, the magnetic permeability distribution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by varying the degree of fracture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in the magnetic layer 101. As shown in FIG. 6,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C1 of the first region 111 may be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C2 of the second region 112 and the second region 112 of which the amount of the crack C2 is relatively large, Can be lowered. The high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C2 means that the fractured portion is larger and the interval and the size of the cracked portion C2 in the second region 112 are larger than that of the cracked portion C1 in the first region 110. [ It is smaller than gap and size. Similarly,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third region 113 may be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C2 of the second region 112.

한편, 도 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크랙부(C1, C2)가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크랙부(C1, C2)의 크기, 간격 등이 일정하기 아니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랜덤 패턴의 크랙부(C1, C2)는 자성층(100)을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브레이킹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을 나누어서 다른 압력을 가하여 서로 다른 파쇄 패턴을 갖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6, the cracks C1 and C2 are randomly formed, which means that the sizes and intervals of the cracks C1 and C2 are not constant. The cracks C1 and C2 of the random pattern may be formed by pressurizing and braking the magnetic layer 100 as a whole.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may be divided and subjected to different pressures It would be possible to have different crushing patterns.

이러한 랜덤 형태의 크랙부(C1, C2)가 아닌 규칙적인 형태의 크랙부를 이용하여 투자율 분포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의 크랙부(P1, P2)는 각각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규칙적이라 함은 크랙부(P1, P2)의 크기, 간격, 형상 등의 특징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일정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크랙부(P1, P2)는 표면으로부터 파쇄되어 쇄편으로 분할된 형태로 제공되며, 제1 영역(111)보다 제2 영역(112)에서 파쇄가 더 많이 되어 있다. 즉, 제2 영역(112)의 크랙부(P2)의 크기와 간격이 제1 영역(111)의 크랙부(P1)보다 더 작으며, 이러한 형태에 의하여 제2 영역(112)의 투자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The magnetic permeability distribution may be adjusted by using cracks of a regular shape other than the random cracks C1 and C2,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7, the cracks P1 and P2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and 112 may be regularly formed, respectively. Here, the term " regular " means that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such as size, spacing, and shape of the crack portions P1 and P2 is constant. In this case, the cracked portions P1 and P2 are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broken from the surface and divided into the broken pieces, and the second region 112 is more fractured than the first region 111. That is, the size and spacing of the cracked portions P2 of the second regions 112 are smaller than the cracked portions P1 of the first regions 111, and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second regions 112 is relatively . ≪ / RTI >

한편, 이러한 파쇄 패턴(P1, P2)은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롤러를 자성층(101)의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롤러 내에서 영역 별로 돌기의 형태(크기와 간격 등)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한번의 롤링 공정으로 서로 다른 파쇄 형태를 갖는 제1 내지 제3 영역(111, 112, 113)이 동시에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se fracture patterns P1 and P2 can be obtained by applying a roller having protrusions on its surface to the surface of the magnetic layer 101. [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regions 111, 112, and 113 having different crushing shapes can be simultaneously obtained by one rolling process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hape (size, spacing, etc.) There will b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0: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송신부 코일
20: 무선전력 수신장치
21: 수신부 코일(코일부)
22, 130: 배터리
30: 전자기기
100: 자성체 시트
101, 120: 자성층
111, 112, 113: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C1, C2, P1, P2: 크랙부
201: 코일 기판
202: 코일 패턴
1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 Transmission coil
20: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1: Receiver coil (coil part)
22, 130: Battery
30: Electronic device
100: magnetic sheet
101, 120: magnetic layer
111, 112, 113: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 third region
C1, C2, P1, P2: cracks
201: coil substrate
202: coil pattern

Claims (16)

하나 이상의 자성층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중앙부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고, 상기 제3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은 자성체 시트.
1. A magnetic sheet comprising at least one magnetic layer,
Wherein the magnetic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a second region dispos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dispos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first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permeability of the third region is higher than the permeability of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금속 리본으로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3 영역은 각각 금속 리본의 파쇄에 의하여 형성된 크랙부를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layer is made of a metal ribbon, and the first to third regions each include a cracked portion formed by crushing a metal ribb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의 크랙부는 각각 규칙적으로 형성된 자성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rack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are regularly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3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은 자성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third region is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영역은 서로 투자율이 동일한 자성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third regions have the same magnetic perme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외곽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인 자성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uter peripheries of said first and second regions are circular when viewed from ab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외곽은 동심원을 이루는 자성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outlin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e concentric.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자성층의 최외곽을 이루는 자성체 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third region is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magnetic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복수 개 구비되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agnetic layers are lamin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코일 패턴을 갖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자성층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층은 중앙부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고, 상기 제3 영역의 투자율은 상기 제2 영역의 투자율보다 높은 전자기기.
A coil portion having a coil pattern; And
And a magnetic sheet disposed on the coil port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magnetic layer,
Wherein the magnetic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disposed at a center portion, a second region dispos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dispos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permeability of the third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코일 패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자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econd reg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patter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영역은 상기 코일부에서 상기 코일 패턴이 형성되지 아니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자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and third regions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the coil pattern is not formed in the coil s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금속 리본으로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3 영역은 각각 금속 리본의 파쇄에 의하여 형성된 크랙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agnetic layer is made of a metal ribbon, and the first to third regions each include a crack portion formed by crushing a metal ribb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의 크랙부는 각각 규칙적으로 형성된 전자기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racks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are regularly form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3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크랙부의 밀도보다 작은 전자기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third region is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cracke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영역은 서로 투자율이 동일한 전자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and third regions have the same permeability.
KR1020160086333A 2016-07-07 2016-07-07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KR101843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33A KR101843267B1 (en) 2016-07-07 2016-07-07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CN201710081451.6A CN107591231B (en) 2016-07-07 2017-02-15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33A KR101843267B1 (en) 2016-07-07 2016-07-07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956A true KR20180005956A (en) 2018-01-17
KR101843267B1 KR101843267B1 (en) 2018-03-28

Family

ID=6102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33A KR101843267B1 (en) 2016-07-07 2016-07-07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267B1 (en)
CN (1) CN107591231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727B1 (en) * 2020-04-28 2021-07-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TWI779804B (en) * 2020-08-27 2022-10-01 南韓商Skc股份有限公司 Wireless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ans of transp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091A (en) * 2017-02-02 2018-08-10 삼성전기주식회사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CN114630763A (en) * 2019-10-30 2022-06-14 Skc株式会社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obile tool comprising same
CN112735763A (en) * 2020-11-30 2021-04-30 纵目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Spliced magnetic core and wireless charging transceiving coi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9519B2 (en) * 2008-01-29 2009-11-25 株式会社Maruwa Ferrite sheet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065245A1 (en) * 2011-11-02 2013-05-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Non-contact wireless communication coil, transmission coil,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WO2013069270A1 (en) * 2011-11-08 2013-05-16 株式会社 東芝 Magnetic sheet for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s,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using same, electronic device, and non-contact charger
KR101496353B1 (en) * 2014-10-23 2015-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module consisting composite magnetic she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727B1 (en) * 2020-04-28 2021-07-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TWI779804B (en) * 2020-08-27 2022-10-01 南韓商Skc股份有限公司 Wireless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ans of trans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267B1 (en) 2018-03-28
CN107591231A (en) 2018-01-16
CN107591231B (en)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267B1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US9813114B2 (en) Sheet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for wireless charging element
KR101513052B1 (en) Ultra-thin and high-permeability magnetic sheet commonly used by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658104B2 (en) Magnetic sheet and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028420B2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KR10181334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tic sheet and Roller Therefore
CN107591238B (en) Magnetic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sheet
KR20180096391A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KR101843258B1 (en) Magnetic Sheet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KR20160100786A (en)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CN110913674B (en)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20180054261A (en) Sheet for shielding electromagneric wave,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tic sheet and roller therefore
KR20180054259A (en) Sheet for shielding electromagneric wave for wireless charging element
KR20200055237A (en) Magnetic Sheet
KR20180000490A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CN107887102B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EP3029690B1 (en) Soft magnetic alloy,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90091A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KR101963291B1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57011A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KR101813367B1 (en) Magnetic Sheet
KR101892807B1 (en) Magnetic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tic Sheet
KR102555569B1 (en) Magnetic Sheet
KR20180036203A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009977A (en) Magnetic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