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363A - 접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363A
KR20180005363A KR1020160085329A KR20160085329A KR20180005363A KR 20180005363 A KR20180005363 A KR 20180005363A KR 1020160085329 A KR1020160085329 A KR 1020160085329A KR 20160085329 A KR20160085329 A KR 20160085329A KR 20180005363 A KR20180005363 A KR 2018000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member
surface protection
elastic
elastic arm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928B1 (ko
Inventor
최경해
신현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spherica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상기 기판 및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장부가 갖는 보호부재는 상기 탄성부를 수용하는 보호홈 및 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상면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보호홈에 수용된 탄성부에서 상기 상면보호부재를 향하는 상측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를 지지하는 접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점 커넥터{Contact Connector}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설치된 부품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웨어러블기기, 시계 등의 전자기기는 여러 가지 부품들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에 설치된 부품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접점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기판(미도시)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110), 상기 실장부(110)에 결합된 탄성부(120)와 부품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장부(110)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부(120)를 통해 상기 실장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부품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면, 상기 탄성부(120) 및 상기 실장부(110)를 통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120)는 일측이 상기 실장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120)는 부품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상기 실장부(110), 상기 탄성부(120)와 상기 접속부가 서로 일렬로 결합되므로, 상기 탄성부(120)의 양측이 개방된 상태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전자기기에 대한 조립공정 등을 포함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갑, 옷 등과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상기 탄성부(120)의 개방된 양측을 통해 상기 탄성부(120)에 빈번하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120)가 변형됨에 따라 제품 성능을 저하시키고, 상기 탄성부(120)가 손상 내지 파손됨에 따라 제조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탄성부가 변형되거나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접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는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상기 기판 및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는 상기 탄성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상기 보호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탄성부를 수용하는 보호홈, 및 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상면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보호홈에 수용된 탄성부에서 상기 상면보호부재를 향하는 상측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접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탄성부 및 접속부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부 및 접속부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속부 및 부품이 접속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탄성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탄성부에 대한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부 및 부품을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2에 도시된 것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5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5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2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부 및 탄성부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부품(200, 도 3에 도시됨)(이하, '부품'이라 함) 및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핸드폰, 웨어러블기기, 시계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2), 상기 부품(2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접속부(3), 및 상기 실장부(2)와 상기 접속부(3) 각각에 결합된 탄성부(4)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2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접속부(3)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부품(2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부(3)가 상기 탄성부(4)를 통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탄성부(4)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부품(200)은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3),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장부(2)는 보호부재(21) 및 통과공(22)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탄성부(4)를 수용하는 보호홈(2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홈(20)에 수용되어서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22)은 상기 보호부재(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통과공(22)은 상기 보호부재(21)가 갖는 상면보호부재(2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접속부(3)가 갖는 접속부재(31)가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4)에서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를 향하는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보호부재(21)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접속부재(31)에 기구물 등이 걸릴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이 없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조립공정 등을 포함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갑, 옷 등과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접속부재(31)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접속부재(3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접속부재(31)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가 상기 보호부재(21)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이 상기 보호부재(21)에 간섭되지 않고 접속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200)을 서로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장부(2),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탄성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탄성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부품(200)이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되면, 상기 접속부(3)는 상기 실장부(2)에 지지된 탄성부(4)를 통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부품(200)은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되면,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보호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장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가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21)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가 변형되거나 손상 내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보호홈(20,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탄성부(4)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탄성부(4)에 비해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2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21)는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의 하면은, 상기 실장부(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 상기 기판을 향하는 쪽에 위치한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상면보호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상기 보호홈(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상기 보호홈(2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한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상기 보호홈(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상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홈(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상면을 이룰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상기 탄성부(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제1측면보호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보호홈(20)의 측방을 덮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한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보호홈(20)의 측방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홈(20)의 측방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측면을 이룰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 및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 및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판재를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제2측면보호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는 상기 보호홈(20)의 측방을 덮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각각 상기 보호홈(20)의 서로 다른 측방을 덮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한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는 상기 보호홈(20)의 측방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홈(20)의 측방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측면을 이룰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제3측면보호부재(214, 도 5에 도시됨) 및 제4측면보호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는 각각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는 각각 상기 보호홈(20)의 서로 다른 측방을 덮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한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및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보호홈(20)의 서로 다른 측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호부재(21)의 서로 다른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가 상기 보호부재(21)의 전면(前面)을 이루고,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가 상기 보호부재(21)의 후면(後面)을 이루며,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가 상기 보호부재(21)의 우면(右面)을 이루고,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가 상기 보호부재(21)의 좌면(左面)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전면(前面), 후면(後面), 우면(右面), 및 좌면(左面)은 각 구성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는 각각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홈(20)의 측방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측면을 이룰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 및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 및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보호부재(21)는 제1가림부재(216, 도 6에 도시됨) 및 제2가림부재(217,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에서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216) 및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쪽으로 휘어지도록 굽힘 가공됨으로써,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림부재(217)는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에서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가림부재(217)는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가림부재(217)는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쪽으로 휘어지도록 굽힘 가공됨으로써,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각각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 각각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각각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는 상기 보호부재(21)의 전면(前面)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상기 보호부재(21)의 전면(前面)에서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전면(前面)을 통해 상기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각각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가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품(200)이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를 과다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2가림부재(217) 및 상기 제1가림부재(216)는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면보호부재(211) 및 상기 접속부(3)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200)을 통해 상기 탄성부(4)에 과다한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4)에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 및 상기 탄성부(4)가 갖는 탄성력 및 복원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상기 통과공(22)을 포함한다.
상기 통과공(22)은 상기 보호부재(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보호부재(2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탄성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서 상기 접속부(3)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가 상기 보호부재(21)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200)이 상기 보호부재(21)에 간섭되지 않고 접속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200)을 서로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통과공(22)은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22)에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이 서로 이격된 경우,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통과공(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이 서로 접촉된 경우더라도,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되기 이전 상태이면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통과공(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통과공(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통과공(22)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는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접속부재(31)가 삽입 및 이동할 수 있으면 원 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실장부재(23,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부재(23)는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는 상기 보호부재(2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보호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는 상기 보호부재(21)로부터 상기 보호홈(20)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보호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는 상기 보호부재(21)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 및 상기 보호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장부재(23) 및 상기 보호부재(2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는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실장부재(2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장부재(23)들은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3)들은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2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탄성부(4)에 결합된다.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된 부품(200)은, 상기 접속부(3),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속부(3)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200)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4)를 통해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탄성부(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3),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탄성부(4)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접속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부품(2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보호부재(21)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3)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탄성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에 기구물 등이 걸릴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이 없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조립공정 등을 포함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갑, 옷 등과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상기 접속부재(31)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부재(3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재(31)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외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품(200)이 상기 접속부재(31)를 가압하면,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200)이 상기 접속부재(31)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200) 및 상기 접속부재(31)가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돔(Dom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半球)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끝단이 뾰족한 첨단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와 대비할 때, 상기 부품(200)에 접속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에는 경량홈(30, 도 9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량홈(30)은 상기 접속부재(31)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의 일면은, 상기 접속부재(31)에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쪽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경량홈(30)은 상기 접속부재(31)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31)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전자기기를 경량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탄성부(4)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탄성부(4)에서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를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부품(2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부품(200)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4)는 복원력을 갖게 된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부품(200)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탄성부(4)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및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접속부(3)는 제한부재(3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2)는 상기 접속부재(3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접속부재(3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과공(22)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재(32)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200)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재(32)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탄성부(4)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부재(32)가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지지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한부재(32)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더 이상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한부재(32)가 상기 통과공(32)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한부재(32)는 상기 통과공(32)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재(32)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탄성부(4)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 및 상기 탄성부(4)가 갖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부재(3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2)에는 상기 경량홈(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량홈(30)은 상기 제한부재(32) 및 상기 접속부재(3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2)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부재(32)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는 이음부재(33,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33)는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탄성부(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탄성부(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33)는 상기 접속부재(31)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이음부재(33)를 통해 상기 탄성부(4)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33)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부재(33)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33) 및 상기 제한부재(32)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과공(2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부재(31)의 직경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가압되면, 상기 통과공(22)에 삽입된 접속부재(31)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과공(22)에서 상기 접속부재(31)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접속부재(3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속부(3)는 돌출부재(34,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4)는 상기 접속부재(3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4)는 상기 접속부재(31)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34)는 상기 통과공(22)에서 상기 접속부재(31)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부분을 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돌출부재(34)를 이용하여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보호홈(20)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조립공정 등을 포함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갑, 옷 등과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부재(2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부재(21)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4)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34)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3) 및 상기 제한부재(32)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접속부(3)가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접속부(3) 각각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200)이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되면, 상기 탄성부(4)는 인장됨으로써 복원력을 갖게 된다. 상기 부품(200)이 상기 접속부(3)로부터 이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4)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2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부(4)를 통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된 부품(200)은,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호부재(21)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부재(21)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가 감소됨으로써, 조립공정 등이 포함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릴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서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3)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가 상기 보호부재(21)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통과공(22)을 통해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200)이 상기 보호부재(21)에 간섭되지 않고 접속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200)을 서로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공(22)에 삽입된 접속부재(31)가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통과공(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제1탄성암(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보호부재(21)에 결합되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제1가림부재(216) 및 상기 제2가림부재(217)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림부재(216) 및 상기 제2가림부재(217)는 상기 제1탄성암(41)의 양측에서 상기 제1탄성암(41)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되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져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림부재(216) 및 상기 제2가림부재(217) 중에서 상기 접속부재(31)가 기울어질 방향에 위치한 것이, 상기 제1탄성암(4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탄성부(4)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 및 상기 탄성부(4)가 갖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로부터 상기 하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200)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림부재(216) 및 상기 제2가림부재(217)는 상기 제1탄성암(41)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화살표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탄성암(41)의 양측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제1탄성암(41)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탄성암(41)이 기울어져서 이동함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제2탄성암(42) 및 제1연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되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제1탄성암(41)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제1연결부재(43)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200)에 가압된 경우,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된 경우,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1탄성암(41)이 서로 이격된 간격은 증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200)에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제2회전방향(R2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방향(R2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200)에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1탄성암(41)이 서로 이격된 간격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1탄성암(41) 각각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1탄성암(41) 각각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1탄성암(4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43),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1탄성암(41)은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곡률중심이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1탄성암(4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1연결부재(43)를 통해 상기 탄성부(4)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부(3)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 및 상기 탄성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의 길이 및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소성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에는 상기 제2탄성암(42)의 일측(42a, 도 10에 도시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의 타측(42b, 도 10에 도시됨)은 상기 일측(42a)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일측(42a)에서 상기 타측(42b)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탄성암(4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가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타측(42b)이 상기 일측(42a)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2탄성암(42)을 통해 상기 탄성부(4)의 길이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부(3)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 및 상기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의 길이 및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소성변형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더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에는 상기 제1탄성암(4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일측(41a, 도 10에 도시됨)이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타측(41b, 도 10에 도시됨)이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일측(41a) 및 상기 타측(41b)이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부재(21)의 크기를 증대시지 않으면서, 상기 제1탄성암(41)의 일측(41a) 및 상기 제2탄성암(42)의 타측(42b)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이 서로 이격된 경우, 상기 제2탄성암(42)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부(4)가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접속부재(31)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제2연결부재(44,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접속부(3) 각각에 결합되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이음부재(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일측이 상기 제2탄성암(4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이음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2연결부재(44)를 통해 상기 탄성부(4)의 길이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은 곡률중심이 상기 제2탄성암(42)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상기 제2연결부재(44)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31) 및 상기 부품(200)이 서로 이격된 경우,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는 상기 제2연결부재(44)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31)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200)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재(44)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상기 탄성부(4)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44)가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에 지지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2연결부재(44) 및 상기 접속부재(31)는 더 이상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통과공(32)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1)가 상기 탄성부(4)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 및 상기 탄성부(4)가 갖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하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31)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3)가 상기 부품(2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상면보호부재(211)의 하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212), 상기 제2측면보호부재(213),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214),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215), 및 상기 제1탄성암(41)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사면이 막혀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2연결부재(44),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2탄성암(42)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충격에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증대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접점 커넥터 2 : 실장부
3 : 접속부 4 : 탄성부
21 : 보호부재 22 : 통과공
23 : 실장부재 31 : 접속부재
32 : 제한부재 33 : 이음부재
34 : 돌출부재 41 : 제1탄성암
42 : 제2탄성암 43 : 제1연결부재
44 : 제2연결부재 211 : 상면보호부재
212 : 제1측면보호부재 213 : 제2측면보호부재
214 : 제3측면보호부재 215 : 제4측면보호부재
216 : 제1가림부재 217 : 제2가림부재

Claims (10)

  1.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상기 기판 및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는 상기 탄성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상기 보호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탄성부를 수용하는 보호홈, 및 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상면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보호홈에 수용된 탄성부에서 상기 상면보호부재를 향하는 상측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상면보호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속부재 및 상기 부품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공에 삽입된 접속부재가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상측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돔(Dome)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으로 상기 접속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부재에 결합된 제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과공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보호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1측면보호부재와 제2측면보호부재,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보호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3측면보호부재와 제4측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에 결합된 제1탄성암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에서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1가림부재,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에서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2가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암은 상기 제1가림부재와 상기 제2가림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림부재와 상기 제2가림부재는 상기 제1탄성암의 양측에서 상기 제1탄성암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에서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1가림부재, 및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에서 상기 제3측면보호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4측면보호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2가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는 상기 제1가림부재와 상기 제2가림부재 각각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림부재와 상기 제2가림부재는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제1측면보호부재가 하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보호부재에 결합된 제1탄성암, 상기 제1탄성암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탄성암, 및 상기 제1탄성암과 상기 제2탄성암 각각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곡률중심이 상기 제1탄성암과 상기 제2탄성암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보호부재에 결합된 제1탄성암, 상기 제1탄성암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탄성암, 상기 제1탄성암과 상기 제2탄성암 각각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탄성암과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보호부재는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가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보호부재에 결합된 제1탄성암, 상기 제1탄성암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탄성암, 상기 제1탄성암과 상기 제2탄성암 각각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탄성암과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암은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된 일측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된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탄성암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가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KR1020160085329A 2016-07-06 2016-07-06 접점 커넥터 KR10255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29A KR102552928B1 (ko) 2016-07-06 2016-07-06 접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29A KR102552928B1 (ko) 2016-07-06 2016-07-06 접점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63A true KR20180005363A (ko) 2018-01-16
KR102552928B1 KR102552928B1 (ko) 2023-07-06

Family

ID=6106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329A KR102552928B1 (ko) 2016-07-06 2016-07-06 접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701A (ko) 2019-03-29 2020-10-07 협진커넥터(주)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CN114321128A (zh) * 2020-09-30 2022-04-12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连接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6207A (ja) * 2013-10-07 2015-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6207A (ja) * 2013-10-07 2015-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701A (ko) 2019-03-29 2020-10-07 협진커넥터(주)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CN114321128A (zh) * 2020-09-30 2022-04-12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连接件
CN114321128B (zh) * 2020-09-30 2024-06-11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连接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928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5349B2 (ja) コネクタ
TWI578647B (zh) 連接器
JP6045953B2 (ja) コネクタ
CN111064050A (zh) 一种弹性接触式接地的连接器组合件
KR20170100806A (ko) 접점 커넥터
JP3953453B2 (ja) フローティング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
KR20180005363A (ko) 접점 커넥터
KR102266623B1 (ko) 접점 커넥터
KR101397284B1 (ko)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US1110158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itch surfaces on the plug and receptacle
KR20170089537A (ko) 전자파 차폐용 쉴드 캔 장치
KR102523379B1 (ko) 접점 커넥터
JP2021140924A (ja) コネクタ
JP5268032B2 (ja) ユニット装置
KR102647096B1 (ko) 접점 커넥터
KR20170110783A (ko) 접점 커넥터
JP2007311427A (ja) 電気回路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8544A (ko) 접점 커넥터
KR102442194B1 (ko) 클립 커넥터
JP6112555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7162648A (ja) コネクタ
KR20160070019A (ko) 접촉 장치
KR20170086945A (ko) 접점 커넥터
KR101370175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1500719B1 (ko) 측면 실장형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