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260A -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260A
KR20170139260A KR1020160071519A KR20160071519A KR20170139260A KR 20170139260 A KR20170139260 A KR 20170139260A KR 1020160071519 A KR1020160071519 A KR 1020160071519A KR 20160071519 A KR20160071519 A KR 20160071519A KR 20170139260 A KR20170139260 A KR 2017013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attern
sensors
fall
bed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구
이승원
정승우
양신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riority to KR102016007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260A/ko
Publication of KR2017013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낙상 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침대 위에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본 발명은 낙상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에서 낙상 방지를 위한 낙상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침대의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사용자가 수면 중에 침대로부터 무의식적으로 이탈하여 지면으로 떨어지는 침대 낙상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침대를 사용하는 유아, 노인, 환자 등은 침대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자의 관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용 사이드 레일이 구비된 침대가 있으나, 이러한 침대는 주로 병원용 침대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다수의 일반 가정용 침대에서는 사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설령, 이탈 방지용 사이드 레일이 설치된 침대의 경우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이드 레일의 자유로운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이드 레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은,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침대 위에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낙상 예방 장치는,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패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낙상 예방 방법은, 침대 위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이,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어 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단계; 및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결과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에서 유아, 환자, 노인의 움직임(자세, 위치)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의 관리자 또는 단말의 사용자가 침대로부터 낙상이 예측되는 경우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낙상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의 일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12는 도 1에 도시한 단말에 설치된 앱 모듈의 실행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낙상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예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100)은 센서 패드(110), 제어 장치(130), 통신망(150), 관리 서버(170) 및 단말(19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낙상 예방 장치"는 센서 패드(110) 및 제어 장치(130)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센서 패드(110)는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감지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는, 예를 들면,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 부위가 침대를 누르는 눌림을 감지하고, 감지된 눌림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일 수 있다. 침대는 가정용 침대(가정용 매트리스) 또는 병원용 침대(병원용 매트리스)일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 유아, 병원에 입원한 환자일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하지 않은 일반인도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장치(130)은 센서 패드(110)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센서 패드(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장치(130)와 센서 패드(110) 간의 통신 연결은 유선으로 가정한다. 다만, 제어 장치(130)와 센서 패드(110)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RFID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센서 패드(110)에 포함된 각 센서는 RFID 태그(RFID tag)로 기능하고, 제어 장치(130)는 RFID 리더(RFID reader)로 기능을 할 수 있다. 각 센서가 태그(tag)로 기능하는 경우,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는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센서 패드(11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 전 상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의 전면 상에서 낙상 사고 위험 영역(falling accident dangerous zone)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니터링 대상자가 낙상 사고 위험 영역(침대의 주변 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낙상의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모니터링 대상자 또는 근처에 있는 보호자에게 사용자의 낙상 사고 위험을 알린다.
또한, 제어 장치(130)는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 전 면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낙상 예측을 하고, 그 분석 및 예측 결과를 통신망(150)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관리 서버(170) 및 단말(19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190)이 관리 서버(170)를 거쳐 분석 및 예측 결과를 제공받는 것으로 가정한다.
통신망(150)은 제어 장치(130)와 관리 서버(170) 및 제어 장치(130)와 단말(190) 간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통신 자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자원은 기지국, 라우터, 게이트웨이, 케이블 등일 수 있다.
관리 서버(170)는 통신망(170)을 통해 제어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의 전면 상에서 낙상 사고 위험 영역(falling accident dangerous zone)에 위치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보호자 소유의 단말(190)로 낙상의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사고 방지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수행한다.
단말(190)은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비디오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 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90)의 사용자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보호자이거나, 모니터링 대상자 본인일 수도 있다. 보호자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가족, 친인척관계에 있거나, 간병인을 포함한다.
단말(190)은, 통신망(150)을 통해, 제어 장치(130)로부터 침대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단말(190)은 제어 장치(130)로부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이 예측되는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팝업창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침대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와 낙상 사고 위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단말(190)에는 낙상 예방과 관련된 앱 모듈이 설치된다.
단말(190)은, 통신망(150)을 통해 관리 서버(17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190)은, 관리 서버(170)를 통해,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와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사고 위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한 주요 구성들(110, 130, 190)에 대해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센서 패드(110)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 2 및 4에서, 센서 패드가 과장된 두께로 표현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센서 패드(110)는 침대용 매트리스(50) 위에 배치되며, 침대 매트리스(50)의 모든 면적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패드(1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센서(SE)들를 포함한다.
다수의 센서(SE)를 구현하기 위해, 센서 패드(110)는 상부 패드(112), 하부 패드(116) 및 상기 상부 패드(112)와 상기 하부 패드(116) 사이에 개재된 중간 패드(1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패드(112)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제어 장치(130)로부터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상부 전극(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패드(116)는 상기 다수의 상부 전극(12)과 각각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전극(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하부 전극(16)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중간 패드(114)는 탄성 재질로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개구부(OP)를 갖는다. 각 개구부(OP)는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개구부(OP)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개구부(OP)는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 간의 물리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렇게 상기 개구부(OP)를 사이에 두고, 상하 구조로 배치되는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은 하나의 센서(SE)로 구현된다.
센서(SE)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중간 패드(114)를 구성하는 탄성 재질이 갖는 탄성력보다 충분히 큰 압력(또는 눌림)이 상기 상부 전극(12)에 가해지면, 상기 중간 패드가 수축되어, 하부 전극(16)쪽으로 이동하고, 개구부(OP)에 의해,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은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그러면, 상부 전극(12)에 인가된 전기 신호는 상기 하부 전극(16)으로 전달되고, 상기 하부 전극(16)은 상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상기 압력(모니터링 대상자의 하중)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로서 제어 장치(130)로 송신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제어 장치(130)는 센서(SE)들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침대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및 자세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낙상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제어 장치(130)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장치(13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30)는 신호 생성부(131), 신호 수집부(132), 제어부(133), 저장부(134), 출력부(135) 및 통신부(136)를 포함한다.
신호 생성부(131)는, 제어부(133)의 동작 제어에 따라, 센서 패드(110)에 포함된 센서(SE)들 각각이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신호를 센서(SE)들로 출력한다.
신호 수집부(132)는, 제어부(133)의 동작 제어에 따라, 센서(SE)들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버퍼일 수 있으며, 수집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133)로 제공한다.
제어부(133)는 전술한 구성들(131, 132, 134, 135 및 13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소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3)는 센서(SE)들로부터 수집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침대 전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3)는 침대의 전면에서 각 센서(SE)에 할당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감지 신호를 출력한 센서(SE)들이 침대의 전면에서 어떠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분포 패턴을 분석한다. 분석된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를 가상화한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로 변화될 수 있다.
제어부(133)는 분석된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침대 위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를 분석하여,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는 저장부(134)에 저장된다.
제어부(133)는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과 기준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이 예상되는 위험 상황을 예측한다.
제어부(133)는 예측 결과를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 서버(170) 및/또는 사용자 단말(190)에게 통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이 예측되는 분포 패턴을 사전에 학습한 데이터로, 이는 실험 및/또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분포 패턴은, 낙상 위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안전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한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의 전면에서 안전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다. 여기서, 안전 영역은, 침대의 전면을 중심 영역(도 3의 C)과 중심 영역(C)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도 3의 P)으로 구분할 때, 중심 영역(C)으로 정의된다. 주변 영역(P)의 면적은 중심 영역(C)의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중심 영역(C)은 모니터링 대상자를 완전히 포함하는 면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중심 영역(C)의 면적은 모니터링 대상자의 연령 및 침대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중심 영역(C)의 면적이 모니터링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설정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가 유아인 경우에 설정되는 중심 영역(C)의 면적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성인인 경우에 설정되는 중심 영역(C)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주의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모니터링 대상자가 중심 영역(C)과 주변 영역(P)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며, 이때, 중심 영역(C)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는 주변 영역(P)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보다 크게 설정된다.
제3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경고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상기 제2 기준 분포 패턴의 설정 방식과 유사하게, 모니터링 대상자가 중심 영역(C)과 주변 영역(P)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며, 다만, 중심 영역(C)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는 주변 영역(P)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보다 작게 설정되는 점에서 상기 제2 기준 분포 패턴의 설정 방식과 차이가 있다.
제4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위험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모니터링 대상자가 주변 영역(P)에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다. 여기서, 제4 기준 분포 패턴은 중심 영역(C)에서의 분포도와 주변 영역(P)에서의 분포도 간의 분포 비율이 1:9 이상임을 전제로 한다.
제어부(133)는 사전에 학습된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예측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제1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안전 상황으로, 실제 분포 패턴과 제2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주의 상황으로, 실제 분포 패턴과 제3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주의 상황으로, 경고 상황으로, 실제 분포 패턴과 제4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각각 예측 판단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낙상의 예측 판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어부(133)는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별로 실제 분포 패턴과의 매칭 비율을 다르게 하여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가 도 6 내지 9에 각각 도시되는데, 도 6은 안정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1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주의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2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경고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3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위험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3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의 중심 영역(C)에 위치한 상황, 즉, 낙상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상황에서는 제어부(133)가 위험 상황을 예측 판단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지라도 모니터링 대상자에게는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 낮다.
그러나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의 주변 영역(P)에 위치한 상황 즉, 낙상 발생 확률이 가장 높은 상황에서는 제어부(133)가 위험 상황을 예측 판단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에, 실제 분포 패턴과 각 기준 분포 패턴들 간의 매칭 비율을 낙상 발생 확률이 높은 순으로 단계적으로 낮게 설정함으로써,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 한다.
저장부(134)는 제어부(133)에서 생성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정보,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33)의 지시에 따라 제어부(133)에 제공되는 기준 분포 패턴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35)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33)에서 예측 판단한 모니터리 대상자의 위험 상황 정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정보 형태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135)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오디오 출력부, 디지털 출력부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위험 상황 정도를 알리는 메시지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며,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는,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디지털 출력부는 위험 상황을 정도를 알리는 메시지를 디지털 형태로 출력하며, 이러한 디지털 출력부는, 예를 들면, 위험 상황을 정도를 알리는 메시지를 텍스트, 그래픽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출력하는 표시화면 또는 색상 별로 출력하는 LED 등일 수 있다.
통신부(136)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150)에 접속된 관리서버(170) 및 단말(190)에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정보, 위치 정보 및 모니터링 대상자가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70)가 병원 내에 구비된 서버인 경우, 통신부(136)는 각 병실 내에 구비된 간호사 호출(nurse call) 장치와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도 1에 도시한 단말에 설치된 앱 모듈로서, 제어 장치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연동하는 낙상 예방 앱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단말(190)에 설치된 앱 모듈의 실행 화면은 크게 인증 화면, 모니터링 대상자의 목록 화면 및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 화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다.
먼저, 인증 화면의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인증 화면은 단말(190)의 사용자가 관리 서버(17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실행 화면으로,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는 영역(61),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영역(63) 및 관리 서버(170)로부터 수신된 인증 번호를 입력하는 영역(65)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190)의 사용자는 자신의 이름과 핸드폰 번호를 해당 영역들(61, 63)에 각각 입력한 후, 인증 번호 발송 버튼(67)을 터치하여,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
이후, 단말(190)이 관리 서버(170)로부터 인증 번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증 번호를 해당 영역(65)에 입력한 후 인증 완료 버튼을 터치하여, 인증 번호를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170)는 설정 시간 이내에 단말(190)로부터 인증 번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 후, 인증 번호의 수신을 확인하면, 사용자에 대한 일련의 인증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모니터링 대상자의 목록 화면의 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에 대한 일련의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관리 서버(170)에 등록된 모니터링 대상자들의 목록이 단말(190)에 제공되는 데, 모니터링 대상자의 목록화면은 관리 서버(170)로부터 제공된 모니터링 대상자들의 목록들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목록은 환자 목록으로서, 이 경우, 낙상 예방 앱은 병원 관계자의 단말에 설치된 것임을 가정한 것이다. 여기서, 병원 관계자는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일 수 있다.
각 목록에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이름(또는 아이디)과 함께, 해당 모니터링 대상자가 사용하는 제어 장치(130)의 켜짐 또는 커짐 상태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를 터치하면, 목록화면은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 화면으로 전환된다.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화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화면은 크게 5개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81)에는 현재 화면의 "상태 보기"와 함께, 이전의 목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제2 영역(83)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이름 또는 모니터링 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와 함께, 관리 서버(170)와 제어 장치(130), 단말(190)과 관리 서버(170) 또는 단말(190)과 제어 장치(130) 간의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제3 영역(85)에는 실제 센서(SE)들에 각각 대응하는 센서 아이콘(85A)들의 배치 상태가 표시되며, 눌림을 감지한 센서에 대응하는 센서 아이콘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4 영역(87)에는 이름, 연락처, 키, 몸무게, 주소와 같은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상세 개인 정보가 표시된다. 제5 영역(89)에는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험 상황 또는 경고 상황의 발생 이력이 표시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낙상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예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의 각 단계에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된 내용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기재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310에서, 침대 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센서가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센서들은 패드 형태로 구현되며, 패드 형태로 구현된 센서들은 침대(침대용 매트리스) 위에 설치된다.
이어, 단계 S1320에서, 제어 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분포 패턴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개수,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위치 및 개수와 위치를 기반으로 침대에 정의된 영역별 분포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단계 S1330에서, 제어 장치가, 상기 분석한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고, 추가로, 상기 분석한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모니터링 대상자의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 정보 등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은 분포 패턴과 낙상 위험 레벨(또는 낙상 위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각각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분포 패턴과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은 서로 다른 매칭 비율로 각각 비교될 수 있다.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은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낙상 위험 레벨은 안전, 주의, 경고 및 위험으로 나눌 수 있다.
제1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중심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패턴이고, 제2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의 둘러싸는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패턴이고, 제3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패턴이다. 그리고 제4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으로 학습된 패턴일 수 있다.
이어, 단계 S1340에서, 제어 장치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결과 정보에는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는 물론,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 정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 정보의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단계 S1350에서, 관리 서버가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고, 상기 결과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단말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의 관리자는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 장치로부터 주의, 경고, 위험 상황 중 어느 하나의 낙상 위험 레벨에 따른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모니터링 대상자의 휴대폰 또는 보호자의 휴대폰 또는 데스크탑 등으로 경고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이어, 단계 S1360에서,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결과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말에는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앱 모듈이 설치되며, 이 앱모듈은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딩하여 단말에 설치할 수 있다. 단말에 설치된 앱모듈은 모니터링 대상자를 모니터링 하도록 단말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실행화면은, 예를 들면,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이름과 상기 관리 서버와 제어 장치 간의 연결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과, 상기 다수의 센서를 나타내고 상기 눌림에 따라 특정 색상으로 표시되는 센서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화면 구성과,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 구성 및 상기 결과 정보의 이력을 표시하는 화면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앱모듈은 관리 서버로부터 경고 상황 및 위험 상황 등과 같은 낙상이 예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팝업창 형식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침대 위에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을 포함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2. 제1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포 패턴과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 중에서 상기 분포 패턴에 매칭되는 기준 분포 패턴에 설정된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중심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으로 학습된 제1 기준 분포 패턴;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의 둘러싸는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제2 기준 분포 패턴;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제3 기준 분포 패턴;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으로 학습된 제4 기준 분포 패턴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1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안전 상황으로 예측하고,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2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주의 상황으로 예측하고,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3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경고 상황으로 예측하고,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4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위험 상황으로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5.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패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낙상 예방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은,
    개구부를 갖는 탄성 재질의 중간 패드;
    상기 중간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상부 전극; 및
    상기 중간 패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눌림에 의해 상기 탄성 재질의 중간 패드가 수축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상기 상부 전극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로서 출력하는 하부 전극
    을 포함하는 낙상 예방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사전 학습을 통해,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부;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디지털 형태 및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장치.
  8. 침대 위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이,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어 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단계; 및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결과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낙상 예방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분포 패턴과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서로 다른 매칭 비율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낙상 위험을 상기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별로 예측된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 또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통보하기 위해, 오디오 및 디지털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방법.
KR1020160071519A 2016-06-09 2016-06-09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9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519A KR20170139260A (ko) 2016-06-09 2016-06-09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519A KR20170139260A (ko) 2016-06-09 2016-06-09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260A true KR20170139260A (ko) 2017-12-19

Family

ID=6092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519A KR20170139260A (ko) 2016-06-09 2016-06-09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2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176A (ko) 2019-08-27 2021-03-09 (주)한국아이티에스 낙상 예측 장치
KR20220125758A (ko)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나인벨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6838A (ko) * 2021-03-09 2022-09-19 (주)에이블 디자인스 자세변환 솔루션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176A (ko) 2019-08-27 2021-03-09 (주)한국아이티에스 낙상 예측 장치
KR20220125758A (ko)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나인벨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6838A (ko) * 2021-03-09 2022-09-19 (주)에이블 디자인스 자세변환 솔루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21303B2 (en) Assist device and system
KR20180010441A (ko) 낙상 예방 시스템 및 낙상 예방 방법
US7652569B2 (en) Mobile telephonic device and base station
US8423000B2 (en) Guardian system for a cognitively-impaired individual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CN203122372U (zh) 基于Android技术和物联网的实时健康监测及智能预警***
US20160247378A1 (en) Monitoring dependent individuals
CN104113618A (zh) 一种基于柔性屏幕的穿戴式监护设备
CN105979110B (zh) 护理呼叫处理方法、装置、护理呼叫分机及移动终端
CN104042196A (zh) 实时健康监测及智能预警***与方法
KR101803359B1 (ko)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CN103841884A (zh) 压力监测***和方法
EP3288000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KR20170139260A (ko)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US8395512B2 (en) Signatur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JP2014166196A (ja) 見守り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9932B2 (ja) 緊急連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緊急連絡システム
JP2019197263A (ja) 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70035459A (ko) 생체 신호 감지 기능과 이동 통신 기능을 연동한 독거노인 및 환자 관리 시스템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KR20190070068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낙상 사고 관리 시스템
JP2006146827A (ja) 生活見守り方法および生活見守りシステム
JP2009110038A (ja) 情報提示システム
US11172861B2 (en) Detection devices and monitoring systems including detec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