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795A -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795A
KR20140049795A KR1020120116041A KR20120116041A KR20140049795A KR 20140049795 A KR20140049795 A KR 20140049795A KR 1020120116041 A KR1020120116041 A KR 1020120116041A KR 20120116041 A KR20120116041 A KR 20120116041A KR 20140049795 A KR20140049795 A KR 2014004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홍
정석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코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코스페이스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795A/ko
Publication of KR2014004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환자의 위치 및 상태를 관리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및 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환자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에서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환자용 수신기; 관리구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환자용 수신기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송신기; 및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정보를 생성하는 환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관리구역 이탈 여부 및 출입제한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상기 생체정보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이상 상태로 판단한다.

Description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간호사 또는 의사 한 명이 관리해야 하는 환자의 수는 적게는 수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에 이르기도 한다. 특히, 입원 환자의 경우에는 24시간 내내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여 환자의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발견하고 조치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담당자가 관리해야 하는 환자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건강 상태를 감시하는 업무 이외에도, 입원 환자의 부재 또는 담당 간호사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역을 무단으로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환자 관리 소홀로 인해 추가적인 질병의 감염이나 안전사고의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현행과 같은 입원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는 병원 내에서 발생되는 모든 사고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은 병원 운영자에게 돌아갈 수 있으며, 따라서, 간호사 또는 의사는 담당 환자의 활동 영역 이탈을 중단 없이 감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병원 내 입원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환자의 긴급 상황 발생시에 담당 의사 또는 간호사에게 해당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효율적인 환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거나 신체 외부에 장착된 생체정보 센서를 통해 수집된 환자의 상태정보 및 환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속한 위치 파악 및 이상 상태 발생시에 신속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별로 출입이 제한된 구역을 진입하거나 한곳에 비정상적인 시간 동안 환자가 정지 상태인 경우에 담당자에게 이를 보고하여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에서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환자용 수신기; 관리구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환자용 수신기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송신기; 및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는 환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관리구역 이탈 여부 및 출입제한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상기 건강상태정보의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이상 상태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환자용 수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생체정보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되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는 인접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생체정보 및 환자 ID를 수신하는 RFID 리더, 및 상기 생체정보, 환자 ID를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정보 처리부 및 상기 생체정보 센서는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자용 수신기는, 상기 환자의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호출 신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와 구분되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위치에서의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동이 없는 경우에 상기 환자에 대한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환자 위치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건강상태정보의 각 항목이 정상수치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수치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대한 이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환자용 수신기를 이용한 관리구역 내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은, 환자용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에서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단계; 상기 취합된 생체정보를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 및 인접한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에서 생성된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로 가공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환자의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생성된 호출 신호를 상기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의 RFID 리더로부터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 및 상기 호출 신호를 상기 RFID 리더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용 수신기가 WBAN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환자용 수신기와 연동하도록 관리구역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송신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은, 환자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환자용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환자 관리 서버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로 가공되어 환자 관리용 단말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생체정보를 환자용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의 RFID 리더로부터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환자 관리 서버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은, 환자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취득한 생체정보를 환자용 수신기를 경유하여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 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관리구역 이탈 여부 및 출입제한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환자에 대한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자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상태정보의 각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정상수치 범위 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수치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대하여 이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병원 내에서 환자의 이상 상태 및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상 발생시 신속하게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생체정보 센서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환자용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송신기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환자들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자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100)와, 상기 생체정보 센서(10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하는 환자용 수신기(200)와, 취합된 생체정보를 전달받아 환자의 현재 위치 및 건강 상태를 감시하는 환자 관리 서버(300)와, 상기 환자용 수신기(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환자용 수신기(200)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환자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송신기(4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 관리 서버(300)는 환자의 현재 위치 및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환자 관리용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환자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내부에 이식되거나 신체 내부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10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환자용 수신기(200)에 전송하고, 환자용 수신기(200)에서는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100)로부터 전송된 생체정보를 취합한다.
생체정보 센서(100)는 환자의 체내 또는 신체에 착용되어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한다. 이러한 생체정보 센서(100)는 신체에의 장착 방법에 따라 환자의 체내에 이식되어 동작하는 이식형(implant) 방식 및 신체에 부착되어 활용되는 착용형(wearable)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생체정보 센서(10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는 생체정보 센서(100)와 환자용 수신기(200) 간의 통신에 의해 환자용 수신기(200)로 전달된다.
이때, 생체정보 센서(100)와 환자용 수신기(200) 간의 통신은 인체를 중심으로 약 2 ~ 3 미터 이내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일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Zigbee 또는 Bluetooth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환자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WBAN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원의 환자 관리 시스템이 관리하는 관리 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송신기(4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 송신기(400)는 구비된 RFID 리더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환자용 수신기(200)의 RFID 태그를 감지하여 인접한 영역에 환자가 있는지 여부 및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환자용 수신기(200)는 생체정보 센서(100)로부터 전송된 생체정보를 RFID 통신을 이용하여 인접한 위치정보 송신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 송신기(400)는 환자용 수신기(2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위치정보는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환자용 수신기(200)에 저장된 환자 ID와 매칭될 수 있다.
환자 관리 서버(300)는 위치확인 송신기(400)로부터 상기 환자용 수신기(200)에 대한 위치정보, 생체정보 및 환자 ID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건강 상태 및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 관리 서버(300)는 상기 환자의 건강 상태 및 현재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환자 관리용 단말(500)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 관리용 단말(500)은 간호사 또는 의사들이 사용하는 모니터링 PC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생체정보 센서(100)와 연동하는 환자용 수신기(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용 수신기(200)는 생체정보 처리부(210), RFID 태그(220) 및 호출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40) 및 카메라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환자용 수신기(200)는 환자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손목 벨트 또는 발목 벨트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환자가 상시 휴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라도 상관없다.
생체정보 처리부(210)는 생체정보 센서(100)로부터 환자에 관한 생체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 처리부(210)는 환자의 체내에 이식되거나 신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100)로부터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생체정보 센서(100)는 혈당 센서(100-1), 심전도 센서(100-2), 산소포화도 센서(100-n)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WBAN 통신을 이용하여 생체정보 처리부(210)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체내에 이식되는 생체정보 센서(100)는 배터리의 재충전이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저전력으로 장기간 구동될 수 있도록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에만 해당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처리부(2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체정보 센서(100)가 신체에 착용되는 형태인 경우에는 생체정보 센서(100)로부터 생체정보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생체정보 처리부(210)는 다수의 생체정보 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를 조합하여 단일의 생체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 데이터는 전송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이외에, 환자 ID, 포함된 생체정보의 개수, 생체정보 생성 시간 등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생체정보는 생체정보 데이터에서의 배치 순서 또는 별도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처리부(210)는 후술할 호출부(230)에서 호출 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호출 신호를 생체정보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호출 신호는 생체정보 데이터에서의 배치순서 또는 별도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생체정보와 구분될 수 있다.
생체정보 처리부(210)에서 생성된 생체정보 데이터는 RFID 태그(220)에 저장될 수 있다. RFID 태그(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환자용 수신기(200)가 위치정보 송신기(400)에 접근하게 되면 위치정보 송신기(400)에 구비된 RFID 리더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 송신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호출부(230)는 환자가 간호사 등의 담당자를 호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버튼 조작이 감지되면 호출부(230)는 호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호출 신호는 상기 생체정보 처리부(210)를 통해 RFID 태그(220)에 저장되어 위치정보 송신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환자용 수신기(200)는 환자 관리용 단말(500)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호출 신호나 영상 전송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마이크로 콘트롤러(MCU)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환자에 대한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비프 또는 램프 점멸 등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호출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환자에 대한 영상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카메라부(250)를 구동시켜서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환자용 수신기(200)는 호출 신호의 수신 및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별도의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에는 무선랜(Wi-Fi) 모듈이나 액티브 RFID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송신기(4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송신기(400)는 RFID 리더(410) 및 통신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송신기(400)는 병원의 관리 구역 내의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어 관리 구역 내에서의 환자의 위치 및 이동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정보 송신기(400)는 RFID 리더(410)를 통해 환자용 수신기(200) 내의 RFID 태그(220)를 감지하여 해당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RFID 리더(410)는 주기적으로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인접한 환자용 수신기(200)의 RFID 태그(220)를 감지한다. 만일, 인접한 위치에 RFID 태그(220)가 존재하는 경우, RFID 태그(220)는 저장된 생체정보 데이터를 RFID 리더(4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환자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환자용 수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생체정보 데이터를 환자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420)는 무선랜(Wi-Fi)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환자 관리 서버(300)와 직접 Peer to Peer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위치정보 송신기(400)는 RFID 리더(410)를 통해 생성된 환자용 수신기(200)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환자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는 상기 위치정보와 매칭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생체정보 데이터와 매칭된 위치정보 및 데이터의 수신 시간 등을 이용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한 환자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서버(3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환자 관리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송신기(400)로부터 전송된 생체정보 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환자의 건강상태를 감시한다. 이를 위해 환자 관리 서버(300)는 통신부(310), 표시부(320), 환자위치 감시부(330), 환자상태 감시부(340), 저장부(360) 및 인증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경유 또는 PtoP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송신기(4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환자용 수신기(200)로 전송할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환자 관리용 단말(5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320)는 환자 관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메뉴 화면 및 환자들의 위치정보, 건강상태정보 등의 필요한 정보를 간호사 또는 의사 등의 담당자에게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320)는 환자 관리 서버(3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의 환자 관리용 단말(500)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환자 위치 감시부(330)는 위치정보 송신기(400)로부터 전달된 환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 정보는 상기 표시부(32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어, 간호사 또는 의사 등의 담당자가 해당 환자의 현재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 위치 감시부(330)는 상기 생성된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관리구역 이탈 여부 및 출입제한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해당 환자가 관리 구역을 이탈한 경우 또는 출입제한구역을 진입한 경우에 상기 표시부(320)를 통해 이를 담당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에 관한 도면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는 관리 구역 내에 위치하는 한 명 이상의 환자들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환자들의 위치 변화는 실시간으로 화면에 반영되며, 만일, 특정 환자가 관리 구역을 이탈하거나 출입 제한 구역을 진입한 경우에는 해당 환자를 나타내는 표시가 점멸되거나 색깔이 바뀌거나 또는 별도의 경고음으로 통해 해당 사실을 담당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환자의 위치를 관리 구역 내에 표시하는 이외의 다른 개인 정보, 예를 들면, 해당 환자의 성명 등의 식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간호사 또는 의사는 특정 환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부(360)를 통한 환자 정보 열람 권한을 인증받을 필요가 있다. 인증부(360)를 통한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도 6의 (b)와 같이 담당자가 선택한 환자의 표시에 별도의 환자 식별 정보, 예를 들어, 환자 성명, 환자 ID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위치 감시부(330)는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환자가 어느 위치에서 일정 시간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환자가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환자에 대한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긴급 상황 신호는 상기 표시부(32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경고 수단을 통해 담당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환자 상태 감시부(340)는 위치정보 송신기(40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에 대한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환자 상태 감시부(340)는 생성된 건강상태정보를 상기 표시부(32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여 담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상태 감시부(340)는 상기 건강상태정보를 구성하는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의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해당 환자를 이상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때, 환자 상태 감시부(340)는 해당 환자에 대한 이상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이상 상태 신호는 표시부(32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경고 수단을 통해 간호사나 의사 등의 담당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환자가 이상 상태인 경우에 도 6의 (b)에서와 같이 해당 환자를 나타내는 표시를 점멸하거나 또는 경고음 발생, 경고 팝업을 띄우는 방법 등으로 긴급 상황임을 담당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저장부(350)는 환자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인증부(360)는 환자 관리 서비스에의 사용 권한 또는 특정 환자에 대한 개인정보 조회를 위한 권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환자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거나 신체 외부에 장착된 생체정보 센서를 통해 수집된 환자의 상태정보 및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위치 파악 및 이상 상태 발생시의 긴급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환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환자용 수신기(200)에서 환자의 체내 또는 외부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100)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를 취득한다(S100). 이때, 상기 생체정보 센서(100)와 환자용 수신기(200) 간의 통신은 WBAN 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생체정보 센서(100)에서 이상 상태가 발견된 경우에만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환자용 수신기(200)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는 인접한 위치정보 송신기(400)로 전송된다(S110). 이때, 환자용 수신기(200)에서 위치정보 송신기(400)로의 데이터 전송은 RFID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환자용 수신기(200)에 별도의 액티브 RFID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위치정보 송신기(400)에서 취득한 환자의 생체정보는 환자 관리 서버(300)로 전송된다(S120). 이때, 위치정보 송신기(400)에서 생성된 상기 환자용 수신기(200)의 위치정보가 상기 생체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환자 관리 서버(300)는 위치정보 송신기(400)에서 전송된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환자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 동선 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환자 관리 서버(300)는 생성된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동선 정보를 분석하여 환자가 관리구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 및 환자가 출입제한구역을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만일, 환자가 관리구역을 이탈하거나 출입제한구역을 진입한 경우에는 해당 사실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환자 관리용 단말(500)에 표시하여 담당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S140).
또한, 환자 관리 서버(300)는 실시간 위치 정보 및 동선 정보를 분석하여 환자가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움직이지 않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S150). 이 경우, 환자 관리 서버(300)는 해당 환자가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환자에 대한 긴급 상황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170).
또한, 환자 관리 서버(300)는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각 항목 중에서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 환자가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고(S160), 해당 환자에 대한 이상 상태 신호를 발행시킬 수 있다(S170).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발명을 통해, 본 발명의 환자 관리 방법은 환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이상 상태의 발생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긴급 상태 발생시에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환자의 위치 및 상태를 관리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에서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환자용 수신기;
    관리구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환자용 수신기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송신기; 및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는 환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관리구역 이탈 여부 및 출입제한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상기 건강상태정보의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수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생체정보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되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는,
    인접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생체정보 및 환자 ID를 수신하는 RFID 리더; 및
    상기 생체정보, 환자 ID를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처리부 및 상기 생체정보 센서는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를 전달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수신기는,
    상기 환자의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호출 신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와 구분되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되는,
    환자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위치에서의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동이 없는 경우에 상기 환자에 대한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환자 위치 감시부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관리 서버는, 상기 건강상태정보의 각 항목이 정상수치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수치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대한 이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시스템.
  8. 환자용 수신기를 이용한 관리구역 내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용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에서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단계;
    상기 취합된 생체정보를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 및
    인접한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에서 생성된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로 가공되는,
    관리구역 내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환자의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생성된 호출 신호를 상기 RFID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구역 내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의 RFID 리더로부터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 및 상기 호출 신호를 상기 RFID 리더로 전송하는 단계인,
    관리구역 내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취합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용 수신기가 WBAN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인,
    관리구역 내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
  12. 환자용 수신기와 연동하도록 관리구역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송신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환자용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환자 관리 서버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로 가공되어 환자 관리용 단말에 표시되는,
    위치정보 송신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환자용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의 RFID 리더로부터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인,
    위치정보 송신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14. 환자 관리 서버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센서로부터 취득한 생체정보를 환자용 수신기를 경유하여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송신기로부터 상기 환자용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동선 정보 및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동선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관리구역 이탈 여부 및 출입제한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관리 서버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환자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환자에 대한 긴급 상황 신호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관리 서버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상태정보의 각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정상수치 범위 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수치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대하여 이상 상태 신호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관리 서버에서의 환자 관리 방법.
KR1020120116041A 2012-10-18 2012-10-18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20140049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041A KR20140049795A (ko) 2012-10-18 2012-10-18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041A KR20140049795A (ko) 2012-10-18 2012-10-18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95A true KR20140049795A (ko) 2014-04-28

Family

ID=5065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041A KR20140049795A (ko) 2012-10-18 2012-10-18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79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951B1 (ko) * 2015-03-27 2016-01-04 주식회사 신성테크 병영생활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1854A (ko) * 2016-07-15 2016-08-03 전대연 휴양지내에서 건강 적신호신고 및 입장신고 앱 시스템
WO2017065442A1 (ko) * 2015-10-13 2017-04-20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19900A (ko) * 2016-08-17 2018-02-2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92301B1 (ko) * 2018-01-30 2019-09-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오펜스와 환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KR20190136835A (ko) * 2018-05-31 2019-12-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체내 이식형 의료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87293B1 (ko) 2021-11-11 2022-04-15 주식회사 광덕안정 통합 고객관리 시스템
KR102494045B1 (ko) * 2022-01-20 2023-01-30 이용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245B1 (ko) * 2007-11-29 2008-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1678A (ko) * 2007-07-27 2009-02-02 최인영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80426B1 (ko) *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9356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이-클리오 고령친화형 헬스케어서비스 시스템
KR20120040601A (ko) * 2010-10-19 2012-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tls를 이용한 병원내 환자 자동 이력 관리 및 위치 파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678A (ko) * 2007-07-27 2009-02-02 최인영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69245B1 (ko) * 2007-11-29 2008-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80426B1 (ko) *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9356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이-클리오 고령친화형 헬스케어서비스 시스템
KR20120040601A (ko) * 2010-10-19 2012-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tls를 이용한 병원내 환자 자동 이력 관리 및 위치 파악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951B1 (ko) * 2015-03-27 2016-01-04 주식회사 신성테크 병영생활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방법
WO2017065442A1 (ko) * 2015-10-13 2017-04-20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91854A (ko) * 2016-07-15 2016-08-03 전대연 휴양지내에서 건강 적신호신고 및 입장신고 앱 시스템
KR20180019900A (ko) * 2016-08-17 2018-02-2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92301B1 (ko) * 2018-01-30 2019-09-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오펜스와 환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KR20190136835A (ko) * 2018-05-31 2019-12-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체내 이식형 의료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87293B1 (ko) 2021-11-11 2022-04-15 주식회사 광덕안정 통합 고객관리 시스템
KR102494045B1 (ko) * 2022-01-20 2023-01-30 이용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US91473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ospital workflow compliance with a hand hygiene network
US7616110B2 (en)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US6954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monitoring activities in a tracking environment
AU20022577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US20150305690A1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CN105125193A (zh) 一种远程健康管理***及管理方法
US20080287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ological data readings, transmission and presentation
KR20140071578A (ko)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CN104644124A (zh) 一种医疗监控***、方法及穿戴式装置
AU20022577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CN105615867A (zh) 医疗***
US904153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wireless devices
US9905105B1 (en) Method of increasing sensing device noticeability upon low battery level
US11568728B2 (en) Security alarm system for newborns
US20210375121A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CN111479225A (zh) 基于物联网的医用智能体温电子胸牌及方法
KR102079924B1 (ko)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140049791A (ko) 간호 정보 알림 시스템 및 간호 정보 알림 방법
KR20190053388A (ko) 매트를 이용한 안전감지 시스템
US20240005760A1 (en) A nurse communication device
KR20150090941A (ko) 유비쿼터스 원격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31119B1 (ko) 활동 감시 장치
JP5487076B2 (ja) 院内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