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816A -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816A
KR20170136816A KR1020160068824A KR20160068824A KR20170136816A KR 20170136816 A KR20170136816 A KR 20170136816A KR 1020160068824 A KR1020160068824 A KR 1020160068824A KR 20160068824 A KR20160068824 A KR 20160068824A KR 20170136816 A KR20170136816 A KR 20170136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breaker
control
over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용
Original Assignee
김흥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용 filed Critical 김흥용
Priority to KR1020160068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816A/ko
Publication of KR2017013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02B70/3275
    • Y02B70/328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분리 공간으로 분할된 건물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차단기와,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분리 공간의 부하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분배 차단기와, 상기 분배 차단기에 각기 접속된 다수의 차단기 단자대와, 각 분리 공간의 차단기 단자대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 및 상기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를 각기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POW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 및 건물내의 전기 배선 기기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전기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미 사용 부하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 사용 조명, 콘센트 등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 반을 별로도 설치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릴레이 및 제어 컨트롤러를 설치하여야 일괄적인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였다.
또한, 대기 전력을 막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 손수 플러그를 분리하거나 별도의 스위치를 동작시켜야 하는 등의 사용자의 노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이를 전기 에너지의 소비절감 효과에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를 수행하였지만, 이는 센서부등의 지속적인 동작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등록 특허 공보 제10-1301755호 (특허 문헌 2)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1-0106263호 (특허 문헌 3)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8-0068285호 (특허 문헌 4) 등록 특허 공보 제10-13061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영자가 한 장소에서 각 장소의 전등 및 콘센트와 보일러 또는 가스 밸브를 개별 제어하여 과부하 및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 일 수 있고, 배선의 분리 시공으로 인한 단락등의 고장 진단을 할 수 있고, 수동형, 자동형 및 대기전력 차단형의 모듈을 통해 다양한 제어가 가능한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분리 공간으로 분할된 건물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차단기와,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분리 공간의 부하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분배 차단기와, 상기 분배 차단기에 각기 접속된 다수의 차단기 단자대와, 각 분리 공간의 차단기 단자대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 및 기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를 각기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 차단부는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전등 부하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전등 차단부와,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콘센트 차단부와,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대기 전력을 제어하는 다수의 대기 전력 제어부와, 전등 차단부와 콘센트 차단부에 접속된 시스템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등 차단부 및 콘센트 차단부는 수동 제어와 자동 제어가 모두 가능한 형태의 두 라인 단락 가능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 제어부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와,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와,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리 신호를 제공받는 통신부와,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과부하 감지부, 전류 감지부, 사용자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은 신호 및 별도의 대기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시스템 차단부, 메인 차단기 및 분배 차단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 제어부는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가스 스위치를 관리하는 가스 스위치 관리부와, 보일러 구동을 제어하는 보일러 관리부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수동 모드일 경우 차단 제어부의 감지 및 통신 동작을 최소화하는 전원 관리부와, 알람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 또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제어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 모드일 경우에는 과부하 감지부 및 전류 감지부의 동작을 오프 시켜 사용자가 직접 모든 차단기와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 모드일 경우에는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을 제외한 동작을 활성화 시키고, 대기 전력 모드일 경우에는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을 포함한 모든 부분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 모드, 자동 모드 및 대기 전력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대기 전력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과부하 감지 및 과전류 감지를 실시하고, 대기 전력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과부하 및 과전류 및 대기 전력 발생시에는 차단기를 제어하거나,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과부하 및 과전류를 감지하고, 과부하 및 과전류 발생시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력 공급의 차단은 부하에 접속되는 2개의 라인 모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영자가 한 장소에서 각 장소의 전등 및 콘센트와 보일러 또는 가스 밸브를 개별 제어하여 과부하 및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 일 수 있다. 배선의 분리 시공으로 인한 단락등의 고장 진단을 할 수 있고, 수동형, 자동형 및 대기전력 차단형의 모듈을 통해 다양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차단부의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제어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차단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는 다수의 분리 공간으로 분할된 건물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차단기(100)와, 메인 차단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분리 공간의 부하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분배 차단기(200)와, 분배 차단기(200)에 각기 접속된 다수의 차단기 단자대(300)와, 각 분리 공간의 차단기 단자대(300)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400)와,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400)를 각기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메인 차단기(100)는 외부 변압기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이를 건물의 분리 공간에 제공한다. 이때, 건물은 아파트일 수도 있고, 사무실과 같은 공간일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창고, 공장과 같이 다수의 공간으로 분리가능한 다양한 건물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메인 차단기(100)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특정한 한정을 하지 아니한다.
다수의 분배 차단기(200)는 건물의 분리 공간에 대응하여 각 공간마다 하나씩 설치된다. 기존의 차단기는 그 목적에 따라 차단기를 설치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공간 단위로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기존에는 전등, 콘센트를 그룹핑하여 이 그룹에 해당하는 차단기를 각기 설치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공간 아파트의 경우, 거실, 안방, 작은방들, 주방, 화장실 등으로 분리하여 차단기를 설치한다.
차단기 단자대(300)는 분배 차단기(200)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해당 분리 공간의 부하들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의 차단기 단자대(300)가 설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공간의 부하 개수에 따라 이와 같거나 이보다 많은 단자를 갖는 차단기 단자대(300)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스템 차단부(400)는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500)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전등 부하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전등 차단부(410)와,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콘센트 차단부(420)와,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대기 전력을 제어하는 다수의 대기 전력 제어부(430)와, 전등 차단부(410)와 콘센트 차단부(420)에 접속된 시스템 단자부(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등 차단부(410)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오프 조작을 하는 전등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조작은 물론 차단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가 가능한 터치식 전등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전등 차단부(410)는 전등으로 제공되는 두개의 전원 라인 모두에 대한 단락(개방) 하거나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하나의 전원 라인 만을 단락할 때 보다 전력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전등 차단부(410)로 수동 제어와 자동 제어가 가능한 형태의 두 라인 단락 가능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이 수동 모드일 때는 자동 제어가 완전히 동작하지 않게 되어 자동 제어를 위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콘센트 차단부(420)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 터치식 콘센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콘센트 차단부(420)도 콘센트에 제공되는 두개의 전원 라인 모두를 단락하거나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센트 차단부(420) 또한 앞서 언급한 전등 차단부(410)와 같이 수동 제어와 자동 제어가 모두 가능한 형태의 두 라인 단락 가능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 전력 제어부(430)는 콘센트 차단부(420)를 제어하여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로 인한 대기 전력을 절감시킨다. 대기 전력 제어부(430)는 대기 전력을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콘센트 차단부(420)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기타 부하의 대기 전력을 절감한다.
물론, 대기 전력 제어부(430)가 콘센트에 접속되는 두 배선 사이에 위치하고, 배선 접촉을 제어하여 대기 전력 발생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대기 전력 제어부(430)로는 대기 전력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두 개의 배선을 동시에 단선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스위치 내에 2개의 배선 단선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 내의 전원을 중앙 집중 제어하기 위한 차단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차단 제어부(500)는 메인 차단기(100), 분배 차단기(200), 차단기 단자대(300),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400)를 각기 제어한다.
차단 제어부(500)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510)와,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520)와,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가스 스위치를 관리하는 가스 스위치 관리부(530)와, 보일러 구동을 제어하는 보일러 관리부(540)와,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리 신호를 제공받는 통신부(550)와,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560)와, 과부하 감지부(510), 전류 감지부(520), 사용자 입력부(560) 또는 통신부(550)를 통해 제공받은 신호 및 별도의 대기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시스템 차단부(400), 메인 차단기(100) 및 분배 차단기(200)를 제어하거나, 가스 스위치 관리부(530) 및 보일러 관리부(5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570)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501)와, 수동 모드일 경우 차단 제어부(500)의 감지 및 통신 동작을 최소화하는 전원 관리부(502)와, 알람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503) 또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04)를 포함한다. 이때, 통합 제어기(570)는 사용자 입력부(560) 및 통신부(55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수동 모드, 자동 모드 및 대기전력 모드로 분리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입력부(560)와 표시부(504)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대기 전력 정보는 대기 전력 제어부(43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과부하 감지부(510)는 과부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통합 제어부(570)에 제공한다. 이때, 과부하가 발생한 구역의 시스템 차단부(400)의 위치를 통합 제어기(570)에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이는 각 시스템 차단부(400)는 각기 고유한 번호를 부여 받기 때문에 가능하다. 통합 제어기(570)는 과부하 감지부(510)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1차로 전등 차단부(410) 또는 콘센트 차단부(42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통해 더 이상의 부하가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경보부(503)를 통해 과부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통신부(550)를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과부하 발생을 알려줄 수 있다.
전류 감지부(520)는 과전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분배 차단기(200)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해당 시스템 차단부(400)의 전등 차단부(410) 및 콘센트 차단부(420)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과전류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가스 스위치 관리부(530) 및 보일러 관리부(540)는 이들의 동작을 관리하는 것으로, 언급된 사용자 입력부(560) 및 표시부(504) 이외에 별도 입출력이 가능한 구성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통해 이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50)를 통해 외부에서 가스 스위치 및 보일러를 관리할 수도 있다.
통신부(55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리 및 제어 신호를 제공 받거나,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시 통지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근거리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의 사용이 가능하고, 이더넷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의 사용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560)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리 및 제어 신호를 제공 받는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560)로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560)는 각 시스템 차단부(400) 마다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5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차단부를 각기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합 제어기(570)는 과부하 및 과전류를 감지하고, 대기 전력을 감지하며, 그 감지 결과는 물론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시스템 차단부(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합 제어기(5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 모드일 경우에는 과부하 감지부(510) 및 전류 감지부(520)의 동작을 오프 시키고, 차단기들과 시스템 차단부(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나 명령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모든 차단기와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최소 전력 사용을 위한 모드로 이를 사용하는 경우 각 감지부와 신호 발생으로 인한 전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570)는 자동 모드일 경우에는 전체 동작을 온 시키되,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만을 오프 시킨다. 대기 전력 모드일 경우에는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을 포함한 모든 부분의 동작을 정상화시킨다.
전원 공급부(501)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고, 전원 관리부(502)는 앞서 언급한 모드들에 따라 차단 제어부(500) 및 시스템 차단부(400) 그리고, 차단기(100, 200) 각각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그 동작을 제어한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차단 제어부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 모드, 자동 모드 및 대기 전력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S110).
사용자가 대기 전력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S120), 과부하 감지 및 과전류 감지를 실시하고, 대기 전력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과부하 및 과전류 및 대기 전력 발생시에는 차단기를 제어하거나,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이때, 부하에 접속되는 2개의 라인 모드를 제어한다. 또한, 가스 스위치와 보일러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신호를 제공하여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S130), 과부하 및 과전류를 감지한다. 그리고, 과부하 및 과전류 발생시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S140), 가스 스위치와 보일러 관리를 위한 관리 신호 이외에 다른 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하고,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동작시킨다.
이때, 모드 선택은 입력부를 통한 직접 입력이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한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메인 차단기 200: 다수의 분배 차단기
300: 차단기 단자대 400: 시스템 차단부
410: 전등 차단부 420: 콘센트 차단부
430: 대기 전력 제어부 440: 시스템 단자부
500: 차단 제어부 510: 과부하 감지부
520: 전류 감지부 530: 가스 스위치 관리부
540: 보일러 관리부 550: 통신부
560: 사용자 입력부 570: 통합 제어기

Claims (8)

  1. 다수의 분리 공간으로 분할된 건물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분리 공간의 부하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분배 차단기;
    상기 분배 차단기에 각기 접속된 다수의 차단기 단자대;
    각 분리 공간의 차단기 단자대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 및
    상기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를 각기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차단부는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전등 부하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전등 차단부와,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콘센트 차단부와,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대기 전력을 제어하는 다수의 대기 전력 제어부와, 전등 차단부와 콘센트 차단부에 접속된 시스템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 차단부 및 콘센트 차단부는 수동 제어와 자동 제어가 모두 가능한 형태의 두 라인 단락 가능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제어부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와,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와,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리 신호를 제공받는 통신부와,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과부하 감지부, 전류 감지부, 사용자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은 신호 및 별도의 대기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시스템 차단부, 메인 차단기 및 분배 차단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제어부는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가스 스위치를 관리하는 가스 스위치 관리부와, 보일러 구동을 제어하는 보일러 관리부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수동 모드일 경우 차단 제어부의 감지 및 통신 동작을 최소화하는 전원 관리부와, 알람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 또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 모드일 경우에는 과부하 감지부 및 전류 감지부의 동작을 오프 시켜 사용자가 직접 모든 차단기와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 모드일 경우에는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을 제외한 동작을 활성화 시키고, 대기 전력 모드일 경우에는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을 포함한 모든 부분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7. 청구항 1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 모드, 자동 모드 및 대기 전력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가 대기 전력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과부하 감지 및 과전류 감지를 실시하고, 대기 전력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과부하 및 과전류 및 대기 전력 발생시에는 차단기를 제어하거나,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과부하 및 과전류를 감지하고, 과부하 및 과전류 발생시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의 차단은 부하에 접속되는 2개의 라인 모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
KR1020160068824A 2016-06-02 2016-06-02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36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24A KR20170136816A (ko) 2016-06-02 2016-06-02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824A KR20170136816A (ko) 2016-06-02 2016-06-02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16A true KR20170136816A (ko) 2017-12-12

Family

ID=6094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824A KR20170136816A (ko) 2016-06-02 2016-06-02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8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138A (ko) * 2019-09-02 2020-05-28 김은태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WO2020105793A1 (ko) * 2018-11-20 2020-05-28 김은태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793A1 (ko) * 2018-11-20 2020-05-28 김은태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US11962148B2 (en) 2018-11-20 2024-04-16 EunTae KIM Multipurpose smart switchboard device an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59138A (ko) * 2019-09-02 2020-05-28 김은태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67137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KR101216882B1 (ko) 스마트 전력 절감 지원 스위칭 장치 및 방법
JP2011055643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US9935495B2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KR101810371B1 (ko) 비상전원 자동 절체장치
KR20180054246A (ko) IoT 기반의 실시간 원격감시가 가능한 과부하를 포함하는 아크겸용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장치
KR20170136816A (ko)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89915B1 (ko) 멀티 탭에서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JP2013101136A (ja) 過電流検出装置
CN205725135U (zh) 三相智能双电源无缝自动切换装置
KR102065779B1 (ko) 대기 전력 자동 전환을 위한 전력 자가진단방식의 절전형 전원 분배기
KR100977039B1 (ko) 상용전원 우선절체 동작 시 노 딜레이를 갖는 전원자동절체장치
CN103699034B (zh) 一种集中管理触摸节电开关控制***
KR101163165B1 (ko) 간이형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CN112134360A (zh) 一种电梯供电电路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61676B1 (ko) 대기전력 차단 및 그 차단 해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81216A (ko) 전원차단장치
KR101364565B1 (ko) 분전반 자동 차단 시스템
KR100762356B1 (ko) 어드레스 설정 기능부가 차단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제어방법
US9653918B2 (en) Autonomous thermal event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a network vault
KR100600439B1 (ko) 자동전원차단장치
KR101200192B1 (ko) 절전형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운용방법
KR20110068309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콘센트 및 전기기기의 전원제어장치
KR20180003964A (ko) 스마트 전원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