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439B1 - 자동전원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전원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439B1
KR100600439B1 KR1020020025530A KR20020025530A KR100600439B1 KR 100600439 B1 KR100600439 B1 KR 100600439B1 KR 1020020025530 A KR1020020025530 A KR 1020020025530A KR 20020025530 A KR20020025530 A KR 20020025530A KR 100600439 B1 KR100600439 B1 KR 10060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current
current valu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679A (ko
Inventor
황명환
김순
Original Assignee
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 filed Critical 김순
Priority to KR102002002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4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load or no-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06Calibration or setting o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원의 변동이나 부하의 변동에 의하여 임의로 조정가능한 설정값 이하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소정의 시간 이후에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의 미사용시 배선으로 공급되는 대기 전원을 차단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에 있어서, 배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배선의 부하 변동 상태를 감지하는 부하변동 감지부, 배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실행하는 출력부,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 구획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 저장수단에 저장된 (n-1)번째의 시간 간격 내에서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수단,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n번째의 전류값이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출력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오프로 처리하고, 부하변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부하의 변동이 설정수단의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초월하면 출력부에서의 전원의 공급을 온으로 처리하는 처리수단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내의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소비전류를 기존의 장치에 비해 약 10% 이내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원차단, 대기 전원, 전류값, 메모리, 릴레이

Description

자동전원차단장치{AUTOMATIC POWER SUPPLY CUTOFF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전원차단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원차단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차단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도2에 도시된 자동전원차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도2에 도시된 전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류값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전원부 12 : 출력부
13 : 전류 감지부 14 : 부하변동 감지부
15 : 중앙처리장치 16 : 메모리부
20 : 전원공급 및 차단부 30 : 콘센트부
21 : 전자회로 유닛 31 :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의 변동이나 부하의 변동에 따라 자동 설정된 전류값 이하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오디오 등의 가전기기에 있어서 다수의 전원공급단자가 필요하게 되므로서, 소위 멀티탭이라는 전원접속단자가 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접속단자는 주전원 접속단자, 예를들어 가정, 사무실의 벽등에 미리 장착된 주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여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러그, 콘센트와 코드로 이루어지고, 각 전기 및 전자기기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다.
또,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원공급단자에 있어서는 옥외에서 공급되는 전원공급단자와는 별도로 작업장 별로 전원을 차단하는 기구를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기 및 전자기기의 경우, 기기 자체의 전원을 오프로 하여도 전원공급단자와 기기 사이에는 항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 낭비 및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전기 및 전자 기기의 콘센트를 일일이 빼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무실 및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멀티탭에 있어서는 배선 결과의 미관과 배선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통상, 설치된 전자기구의 뒤쪽의 바닥에 장착되므로, 멀티탭의 전원공급 차단 스위치를 온 오프 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또, 이러한 스위치의 온/오프를 항상 확인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이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항상 온된 상태를 유지시켜 사용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30154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끼우는 플러그에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발광스위치를 마련한 것이다. 즉,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우고, 다시 발광 스위치를 ON시켜야만 전원이 도통되는 구조이다. 또, 사용 후에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발광스위치를 OFF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ON/OFF시켜야 하므로, 단순히 플러그를 끼고 빼는 동작을 단순화 시킨 것에 불과하다.
즉, 사용자가 플러그를 끼고 빼는 동작을 망각하는 경우 또는 콘센트가 책상이나 사무기기에 가려진 경우에는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최근에는 멀티탭 내에 전원차단장치를 내장한 상품이 소개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멀티탭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컴퓨터 본체와 멀티탭 사이에 인터페이스 박스를 마련하고, 이 인터페이스 박스에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접속하여 키보드나 마우스가 일정시간 사용되지 않으면 컴퓨터 본체 및 주변 기기(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스피커 등)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장치를 내장하고 있 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멀티탭을 사무실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각각의 컴퓨터마다 별도의 멀티탭과 인터페이스 박스를 장착해야하므로, 설치 비용이 고가로 되고, 또한 사무실이나 공장 등에 있어서는 주전원공급단자와 멀티탭의 단자 사이에 상당한 거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용되고 있는 멀티탭의 코드길이가 1m ∼ 3m에 불과하여 다른 연결 코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멀티탭에 부착된 스위치를 오프로 조작한 경우나 상기와 같이 전원차단장치를 내장한 멀티탭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전원단자와 멀티탭 단자를 연결 하기 위한 부가적인 코드선 사이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청소 등의 작업시 부가적인 코드선을 건드리게 되면, 감전 및 화재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 장기간의 외출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구에 있어서 예를들어 냉장고 등에는 수시로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차단장치를 내장한 멀티탭을 사용할 수 없고, 메인 스위치 즉, 가정용 트랜스의 메인 스위치를 오프로도 할 수 없으므로, 누전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가 없었다.
또한, 주전원공급단자가 단선등의 장애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전압계등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하지만, 일반 가정에는 이러한 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만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로서 본 발명자들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1216호가 있다.
도 1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전원차단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의 전원차단장치는 옥외 배선에서 공급되는 220V 또는 120V의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부(1), 전원부(1)에 연결되고 실내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로 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부(2), 전원부(1)에 접속되어 배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3), 전원부(1)에 접속되어 실내 배선에 연결된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부하 변동을 감지하는 부하변동 감지부(4), 전원부(1), 전류 감지부(3) 및 부하변동 감지부(4)에 접속되어 전류 감지부(3) 및 부하변동 감지부(4)에서 감지된 전류 또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 전원부(1)에서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5), 제어부(5)의 제어 조건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기 또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사용전력에 따라 측정될 전류값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6) 및 제어부(5)를 외부신호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원차단장치가 실내의 천정부근에 장착되어 조작이 번거롭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리모콘으로 온/오프시켜 제어부(5)의 제어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신호입력부(7)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설정부(6)을 통해 사용하는 전기 또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사용전력에 따라 측정될 전류값을 임의로 설정해야 하고, 또한 각각의 사용 조건에 따라 무선리모콘으로 온/오프시켜 제어부(5)의 제어상태를 변경해야 하므로, 전기 전자의 활용 능력이 부족한 통상의 사용자로서는 상기 공보에 기재된 전원차단장치를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선에 흐르는 전류를 자동 측정하여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의 미사용시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동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의 차단 후 부하 상태의 변동에 따라 전원을 자동으로 도통시킬 수 있는 자동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선의 단락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자동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외 배선에서 옥내 배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파를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자동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전원차단장치는 가정집, 사무실 또는 공장의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의 미사용시 배선으로 공급되는 대기 전원을 차단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배선의 부하 변동 상태를 감지하는 부하변동 감지부, 상기 배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실행하는 출력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 구획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n-1)번째의 시간 간격 내에서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수단,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n번째의 전류값이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오프로 처리하고, 상기 부하변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부하의 변동이 상기 설정 수단의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초월하면 상기 출력부에서의 전원의 공급을 온으로 처리하는 처리수단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자동전원차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은 24시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동전원차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부하변동 감지부, 저장수단, 설정수단 및 처리수단은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동전원차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저장수단에 있어서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의 구획 및 상기 설정수단에 있어서 (n-1)번째의 시간 간격 내에서 최소 전류값의 범위의 설정은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원차단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11)은 옥외 배선에서 공급되는 220V 또는 120V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AC 또는 DC 5∼10V로 변환하여 전자회로 유닛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소요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이고, (12)는 전원부(11)에 연결되고 주로 출력릴레이로 구성되며, 전원부(11)에서 공급된 AC 220V 또는 120V의 상용 전원를 실내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 등의 배선에 바로 공급하거나 AC 또는 DC 5∼10V를 배선에 공급하여 부하변동 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출력부이다.
(13)은 전원부(11)에 접속되고 배선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주로 C.T로 구성되며 이 C.T 에 흐르는 전류값을 중앙처리장치(15)로 공급하는 전류 감지부이고, (14)는 전원부(11)에 접속되고 실내 배선에 연결된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부하변동에 따라서 변화하는 리액턴스와 저항의 값을 감지하기 위한 리액턴스와 저항측정회로가 내장된 부하변동 감지부이다.
(15)는 전원부(11), 전류 감지부(13) 및 부하변동 감지부(14)에 접속되어 자동전원차단장치를 OFF 하기 위한 최소전류치를 설정하기 위해 기준 전류값 또는 리액턴스값과 전류 감지부(13) 및 부하변동 감지부(14)에서 감지된 전류 또는 부하값을 비교하고, 이 비교값의 변동에 따라 출력부(12)의 릴레이 동작 여부를 제어하여 전원부(11)에서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이다.
(16)은 중앙처리장치(15)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류 감지부(13)에 의해 감지된 전류값, 중앙처리장치(15)에 의해 설정된 기준값 등을 저장하기 위해 ROM, RAM, PROM 등으로 이루어진 메모리부이다.
상술한 부하변동 감지부(14), 중앙처리장치(15) 및 메모리부(16)은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전자모듈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자동전원차단장치에 대해 도 3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원차단장치의 회로도이다.
먼저, 도 3에 있어서, (20)은 전원 공급 및 차단부로서 도 2의 구성에 대응하며, (30)은 콘센트부로서 실내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에 직접 접속되는 전원공급단자의 기능을 갖는다.
또, (21)은 도 2에 도시된 전원부(11), 부하변동 감지부(14), 중앙처리장치(15) 및 메모리부(16)이 하나의 PCB상에 탑재된 전자회로 유닛이며, C.T는 도 2의 전류 감지부(13)에 대응하고, (22)∼(25)는 도 1의 출력부(12)에 대응하며, 릴레이 또는 무접점 릴레이로 구성된다.
옥외배선에서 전원공급 및 차단부(20)으로 220V 또는 120V의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실내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기기로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이 때, 전류감지부(13)인 C.T에서 전체 배선에 흐르는 전류값의 측정을 개시한다.
사용자가 컴퓨터의 전원을 오프로 하면, 배선에 흐르는 전류값이 변동되게 되고, 이 변동값을 C.T에서 측정하여 전자회로유닛(21)의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전류값, 예를 들어 3mA이하로 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 이 전류값에서 변동이 없으면 중앙처리장치(15)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다.
즉, C.T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소정값 이하로 되면, 릴레이(22) 및 (23)이 오프로 되고 릴레이(24) 및 (25)는 온으로 된다.
차단후에 흐르는 전압은 전자회로유닛(21)에 의해 AC 또는 DC 5∼10V로 유지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자동전원차단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상호 동작 방법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전원차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류값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가정에서 측정된 전류값의 일예이고, 도 5(b)는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측정된 전류값의 일예이다.
먼저, 전원공급 및 차단부(20)가 옥외에서 사용자의 가정집 또는 사무실, 공장 등으로 공급되는 AC 220V 또는 120V의 배선에 장착된다.
전원공급 및 차단부(20)의 장착시, 전류 감지부(13)은 배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스텝 S10), 중앙처리장치(15)는 전류 감지부(13)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 구획하여 메모리부(16)에 저장한다(스텝 S11).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은, 예를 들어 가정집의 경우 24시간으로 설정하고, 사무실 또는 공장의 경우 8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가정집의 경우로서 전류 감지부(13)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의 변동, 도 5b는 공장 또는 사무실의 경우로서 전류 감지부(13)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의 변동을 시간축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며, 세로축은 전류값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a에 있어서, 구간①은 가정집에서 취침 중으로서 냉장고 이외의 전기기구가 작동되지 않는 기간이며, 구간①의 전류값 변동 부분은 냉장고의 냉장 상태를 위해 냉장고가 주기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구간②는 가정집에서 가족들이 기상하여 아침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어서, 조명기구 및 TV를 온하여 소비전력이 증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구간③은 낮시간 동안 조명기구 및 TV는 오프하고, 세탁기 등을 일시적으로 가동시키는 기간을 나타내며, 구간④는 저녁 시간 대에 몇 시간 동안 조명기구 및 TV를 온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5b에 있어서, 구간⑤는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비상등 등 필요불가결한 전력만 소비하고 그 이외의 모든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를 오프한 상태를 나타내고, 구간⑥은 출근 후 오전 근무시간대로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모든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를 온한 상태를 나타내고, 구간⑦은 사무실 또는 공장의 점심시간으로 일부의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만을 온한 상태를 나타내고, 구간⑧은 오후 근무시간대로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모든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를 온한 상태를 나타내며, 구간⑨은 퇴근 후 구간⑤와 마찬가지로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비상등 등 필요불가결한 전력만 소비하고 그 이외의 모든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를 오프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전류값에 대해 중앙처리장치(15)는 메모리부(16)에 저장된 (n-1)번째의 시간 간격 내에서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설정하고(스텝 S12), 전류 감지부(13)에서 감지된 n번째의 전류값이 중앙처리장치(15)에 의해 설정된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스텝 S13), 출력부(12)에서의 전원 공급을 오프로 처리하여 전원을 차단하고(스텝 S15), 부하변동 감지부(14)에서 감지된 부하의 변동이 중앙처리장치(15)에서 설정된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초 월하면 출력부(12)에서의 전원의 공급을 온으로 처리하여 전원을 공급한다(스텝 S14).
또, 이러한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의 구획 및 상기 설정수단에 있어서 (n-1)번째의 시간 간격 내에서 최소 전류값의 범위의 설정의 변경은 중앙처리장치(15)의 실행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측정된 전류값은 메모리부(16)에 저장되고, 중앙처리장치(15)는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전류값 중 최소값의 범위, 예를 들어 0.2A 내지 0.3A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소값을 메모리부(16)에 저장시키며, 이 최소값이 가정집, 사무실 또는 공장에서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통상, 전원부(11)의 1차 측에는 항상 AC 220V 또는 120V가 공급되고 있으며, 공급된 전원은 전류감지부(13)의 C.T를 관통한 배선을 거쳐 출력부(12)의 릴레이의 "A" 접점을 통해 전기기기 등의 배선에 전달된다.
사용자가 사용중이던 전기기기 등을 OFF로 하는 경우, 전류감지부(13)의 C.T 에 의한 전류값이 감소되며, 이때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최소 전류값의 범위와 중앙처리장치(15)에서 감지된 전류값이 비교되고, 비교 결과 감지전류가 저장된 전류값의 범위 내에 있으면 출력부(12)의 릴레이가 OFF로 되어 "B"접점 상태로 유지된다.
도 2에 있어서, 릴레이가 "B" 접점상태로 되면, 전원부(11) 내부에 있는 AC 또는 DC 5∼10V가 출력 릴레이의 "B"접점을 통해 전기기기의 배선에 연결되어 배선 에는 AC 220V가 OFF되고, AC 5∼10V 또는 DC 5∼10V가 인가된다.
사용자가 다시 전기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ON 하거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으면, 배선에 인가되어 있던 AC 5∼10V 또는 DC 5∼10V를 이용한 부하변동감지부(14)에서 미세전류의 변화 또는 리액턴스의 변화 등을 감지하여 증폭한 후 이 증폭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5)로 전달한다.
중앙처리장치(15)는 부하변동감지부(14)에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출력부(12)의 릴레이를 ON 시키고, 출력부(12)는 릴레이를 ON 하여 "A" 접점을 통해 AC 220V를 공급하게하여 전기기기등의 정상 작동을 유지시킨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되지 않는 배선으로 인가되는 전압이 AC 또는 DC 5∼10V로 유지되므로, 기존의 220V와 비교하면 10%이하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선에 인가되는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전계 및 자계가 줄어들어 전자파의 영향을 극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선에 인가되는 전압이 AC 또는 DC 5∼10V로 유지되므로, 누전 또는 감전의 사고를 충분히 예방할 수가 있다.
전원이 차단된 후에는 전자회로유닛(21)내의 부하변동감지부(14)에서 배선의 부하상태를 계속 감시한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사용자가 전자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의 전원을 온하는 경우, 부하상태가 설정된 범위내에서 변화하는가를 부하변동감지부(14)에서 측정한다.
부하상태가 설정된 범위내에서, 즉 AC 또는 DC 5∼10V내에서 변화하면 전원 이 온된다.
즉, 전원공급 및 차단부(20)에 있어서 릴레이(24) 및 (25)가 오프로 되고, 릴레이(22) 및 (23)이 온으로 되어 통상의 상용 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트랜스와 실내배선 사이에 전원공급 및 차단부(20)을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도 2에 있어서, 콘센트부(30)은 실내 배선과 병렬로 접속되고, 스위치(31), 저항(32), 표시램프(33) 및 콘센트(34)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31)은 수동으로 또는 무선리모콘에 의해 온/오프를 할 수 있으며, 표시램프(33)은 네오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다.
무선리모콘 또는 수동으로 스위치(31)을 온시키면, 배선의 부하상태가 변화되고, 이를 부하변동감지부(14)에서 감지하여 배선을 온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스위치(31)을 인위적으로 온상태로 하지 않고, 콘센트(34)에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역시 부하상태가 변화되고, 스위치(31)을 온시킨 경우가 마찬가지로 부하변동감지부(4)가 변동상태를 감지하여 배선을 온상태로 유지시킨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부(30)의 스위치(31)을 누르면, 표시램프(33)이 점등되어 이 콘센트부(30)에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스위치(31)을 누르면, 표시램프(33)이 점등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31)을 누르면, 전자회로유닛(21)에서 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 후에 전원이 인가되어 표시램프(33)이 점등된다.
따라서, 콘센트부(30)의 배선의 단락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기존의 플러그, 코드 및 본 발명의 콘센트부(30)으로 이루어지는 멀티탭을 구성하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30154호에 개시된 기술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전원차단장치를 옥외에서 공급되는 배선에 마련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가정집의 각각의 방, 각각의 사무실 또는 공장의 사용 범위를 한정시켜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전원차단장치에 의하면, 실내의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소비전류를 기존의 장치에 비해 약 10% 이내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소비전류가 감소 되어 전계 및 자계가 감소되므로, 전자파의 영향이 그 만큼 감소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휴가 등 장기간의 외출시, 실내에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스의 주전원 공급단자를 오프로 하지 않아도 전원공급 및 차단부(20)이 작동되어 냉장고 등의 동작시 전원이 온으로 되고, 냉장고의 휴지기간동안 전원이 오프로 되므로, 냉장고 등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가정집, 사무실 또는 공장의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의 미사용시 배선으로 공급되는 대기 전원을 차단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배선의 부하 변동 상태를 감지하는 부하변동 감지부,
    상기 배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실행하는 출력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 구획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n-1)번째의 시간 간격 내에서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수단,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n번째의 전류값이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에서의 전원 공급을 오프로 처리하고, 상기 부하변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부하의 변동이 상기 설정수단의 (n-1)번째의 최소 전류값의 범위를 초월하면 상기 출력부에서의 전원의 공급을 온으로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은 24시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변동 감지부, 저장수단, 설정수단 및 처리수단은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있어서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의 구획 및 상기 설정수단에 있어서 (n-1)번째의 시간 간격 내에서 최소 전류값의 범위의 설정은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KR1020020025530A 2002-05-09 2002-05-09 자동전원차단장치 KR10060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530A KR100600439B1 (ko) 2002-05-09 2002-05-09 자동전원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530A KR100600439B1 (ko) 2002-05-09 2002-05-09 자동전원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679A KR20030087679A (ko) 2003-11-15
KR100600439B1 true KR100600439B1 (ko) 2006-07-13

Family

ID=3238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530A KR100600439B1 (ko) 2002-05-09 2002-05-09 자동전원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762A2 (ko) * 2008-03-07 2009-09-11 (주)한빛테크 디지털 자동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335B1 (ko) * 2011-06-23 2013-11-11 김철우 저전류 계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669A (ja) * 1997-03-21 1998-10-09 Nec Eng Ltd 電源制御回路
JP2000207969A (ja) * 1999-01-14 2000-07-28 Takatoshi Kosaka スイッチ付きリモコンホルダ―およびリモコンホルダ―ケ―ス
KR20010081216A (ko) * 2000-02-11 2001-08-29 황명환 전원차단장치
JP2002125315A (ja) * 2000-10-13 2002-04-26 Sony Corp 電源遮断装置
KR20030038948A (ko) * 2001-11-09 2003-05-17 세빛 주식회사 미소 전류 감지 절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669A (ja) * 1997-03-21 1998-10-09 Nec Eng Ltd 電源制御回路
JP2000207969A (ja) * 1999-01-14 2000-07-28 Takatoshi Kosaka スイッチ付きリモコンホルダ―およびリモコンホルダ―ケ―ス
KR20010081216A (ko) * 2000-02-11 2001-08-29 황명환 전원차단장치
JP2002125315A (ja) * 2000-10-13 2002-04-26 Sony Corp 電源遮断装置
KR20030038948A (ko) * 2001-11-09 2003-05-17 세빛 주식회사 미소 전류 감지 절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762A2 (ko) * 2008-03-07 2009-09-11 (주)한빛테크 디지털 자동차단기
WO2009110762A3 (ko) * 2008-03-07 2009-12-30 (주)한빛테크 디지털 자동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679A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7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terrupting power to a secondary device upon the extinguishing of power to a primary device
US20210313827A1 (en) Intelligent automatic transfer switch module
KR100912004B1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US20150091451A1 (en) Lighting device
US20080164768A1 (en) Energy-saving electrical adaptor
KR100980626B1 (ko)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JP2010511367A (ja) 電力供給制御装置
US20110304205A1 (en)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ultiple sockets 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EP1451668A2 (en) Sensing socket assembly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101099505B1 (ko)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KR100970843B1 (ko) 적응형 그린 콘센트
JP2016092881A (ja) ブレーカおよびブレーカ装置制御
WO2013093814A2 (en) Overload detection device
KR20090045472A (ko) 절전형 전원멀티탭 및 그 제어방법
KR100600439B1 (ko) 자동전원차단장치
KR100373452B1 (ko) 전원차단장치
KR101362777B1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장치 및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1201787B1 (ko)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KR10111691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130014789A (ko)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101048035B1 (ko)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제어기
US10965149B2 (en) Electrical power restoration system for a circuit assembly and method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JP3211607U (ja) 待機回路、該待機回路を有するソケット、プラグ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28

Effective date: 200603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12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28

Effective date: 200603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