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059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059A
KR20170123059A KR1020160052231A KR20160052231A KR20170123059A KR 20170123059 A KR20170123059 A KR 20170123059A KR 1020160052231 A KR1020160052231 A KR 1020160052231A KR 20160052231 A KR20160052231 A KR 20160052231A KR 20170123059 A KR20170123059 A KR 20170123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se
cleaned
air hole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헌
김현철
박정수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059A/ko
Priority to EP17789823.6A priority patent/EP3434165B1/en
Priority to PCT/KR2017/004098 priority patent/WO2017188638A1/ko
Priority to US16/097,118 priority patent/US11076732B2/en
Publication of KR2017012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4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 A47L9/065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with mechanical actuation, e.g. using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부에 형성된 홀을 개폐하여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흡입부는, 일측면에 에어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홀을 개폐하는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팬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한다.
진공청소기는, 크게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 및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와 집진장치 등이 내장되는 본체,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흡입부, 본체와 흡입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관에 설치되는 핸들을 잡고 흡입부를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직립형의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의 상측에 마련되는 핸들을 잡고 업라이트 청소기 본체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사용자는 흡입부를 피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흡입부를 이동시키면서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흡입부가 하드한 피청소면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경우, 흡입부와 피청소면이 잘 밀착되어야 높은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다. 흡입부는 피청소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이동가능하고, 높은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그러나, 피청소면이 카페트인 경우, 흡입부가 피청소면에 밀착되어 높은 흡입력을 유지하면 흡입부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카페트를 청소할 때 사용자는 피청소면을 따라 흡입부를 이동시킬 때 많은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피청소면과 흡입부 간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흡입부는, 일측면에 에어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홀을 개폐하는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에어홀이 개방되고, 상기 프레임이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에어홀이 닫힌다.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프레임을 상부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의 일측이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이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버튼의 타측이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이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에어홀을 차단할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에는 간섭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간섭리브가 접촉되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간섭리브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절곡된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간섭리브가 상기 제1슬라이딩부 또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피청소면을 접촉되는 브러시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브러시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저면은, 피청소면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부로 오목하게 단차진 제2면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홀은 상기 제2면의 측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및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홀을 개폐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간섭리브; 및 상기 프레임에 타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홀을 차단하고,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홀을 개방시킨다.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피청소면에 접촉되는 브러시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러시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임이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러시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부에 형성된 홀을 개폐하여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에 구비되는 홀을 개방하여 카페트 등과 같은 피청소면에서 사용자가 흡입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의 버튼이 조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조작에 따른 에어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조작에 따른 흡입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일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본체(10), 본체(10)에 장착되는 집진장치(101) 및 피청소면에 접촉되는 흡입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본체(10)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2)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2)는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본체(10)의 주행을 위한 휠(100)이 구비될 수 있다. 휠(100)은 본체(10)의 양쪽 측방에 구비될 수 있다. 휠(100)은 일방향으로 주행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체(10)에는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캐스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10)와 흡입부(2)는 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연장관(13) 및 플렉서블하게 구비되는 호스(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13)과 호스(11) 사이에는 핸들관(1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13), 핸들관(12) 및 호스(11)는 모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연장관(13), 핸들관(12) 및 호스(11)를 순차로 통과하여 집진장치(101)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관(12)을 잡고 조작하여 흡입부(2)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관(12)에는 진공청소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조작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20)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 또는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101)는 선회기류를 발생시켜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일 수 있다. 집진장치(101)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는 배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집진장치(101)는 내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는 피청소면과 접촉되어 피청소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함께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2)는 피청소면과 밀착될 때 높은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즉, 흡입부(2)는 피청소면과 밀착되어 흡입부(2)와 피청소면 간에 틈이 없을 때 팬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최대로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흡입부(2)가 접촉되는 피청소면은 하드한 바닥면일 수 있고, 카페트일 수도 있다. 흡입부(2)가 마루바닥과 같은 하드한 바닥면과 접촉되는 경우, 흡입부(2)는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흡입부(2)가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도 적은 힘으로 흡입부(2)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흡입부(2)가 카페트와 접촉되는 경우, 흡입부(2)와 카페트가 밀착되면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2) 내부가 밀폐된 상태가 되어 흡입부(2)가 카페트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없다. 사용자는 카페트를 청소하면서 흡입부(2)를 이동시키는 데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경우,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을 따라 흡입부(2)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흡입부(2)와 피청소면 간에 소정의 틈이 발생하도록 구비되었다. 이러한 경우, 흡입부(2)의 이동성을 높일 수 있으나, 하드한 바닥면을 청소할 때의 효율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부(2)와 피청소면 간의 밀착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청소효율을 향상시키고 피청소면에서의 이동성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에 구비되는 흡입부(2)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2)는, 피청소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0), 연장관(13: 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연결관(21) 및 접촉부(20)와 연결부(21)를 연결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21)은 접촉부(20)에 대해 일방향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21)에는 연결관(21)을 연장관(13)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관(21)에는, 연장관(13)이 연결된 연결관(21)을 본체(10)에 마련된 고정부(미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2)에는 접촉부(20)가 피청소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휠(220)이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20)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할 때 휠(220)은 바닥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휠(220)은 연결부(22)의 좌우 양쪽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2)에는 연결관(21)과 연통되는 유입구(222)가 구비될 수 있다. 팬모터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이물질은 접촉부(20)에 마련된 흡입구(200)를 통해 흡입되고, 유입구(222)로 유입되어 연결관(21), 연장관(13), 호스(11)를 통해 집진장치(101)로 이동할 수 있다.
유입구(222)와 연결관(21)은 플렉서블한 호스(221)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22)과 연결관(21)은 아코디언 주름이 있는 호스(221)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구(222)와 연결관(21)은 플렉서블한 호스(221)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20)에는, 접촉부(20)와 피청소면 간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23)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버튼(23)을 조작하여 접촉부(20)에 마련된 에어홀(256)을 개폐시킬 수 있다. 버튼(2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접촉부(20)는, 하부케이스(25), 상부케이스(26) 및 프레임(2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7)은 상부케이스(26)와 하부케이스(2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27)은 버튼(23)의 조작에 의해 상부케이스(26) 측으로 이동하거나 하부케이스(25)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27)에는 흡입구(200)와 연통되는 홀(27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7)의 일면에는, 팬모터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레이드(272)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272)는, 프레임(27)이 상부케이스(26)와 하부 케이스(2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수용되면 하부케이스(25) 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272)는 프레임(27)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블레이드(272)는 홀(27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272)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프레임(27)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7)의 일면에는 브러시(271)가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271)는 블레이드(27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레임(27)이 상부케이스(26)와 하붸이스(2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수용되면, 브러시(271)는 하부케이스(25)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271)는 프레임(27)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271)와 블레이드(272)는 프레임(27)의 일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접촉부(20)의 이동 방향을 전후 방향(F,B 방향)이라고 할 때, 블레이드(272)는 프레임(27)의 전방(F) 및 후방(B)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브러시(271)는 프레임(27)의 전방(F) 또는 후방(B)의 모서리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271)와 블레이드(272)는 프레임(27)의 일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7)이 버튼(23)에 의해 하부케이스(25) 측으로 이동하면, 브러시(271)와 블레이드(272)가 피청소면과 밀착되어 피청소면과 접촉부(20) 사이에서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레임(27)은 상부케이스(26)와 하부케이스(25)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하부케이스(25)에 형성되는 에어홀(256)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7)에는 하부케이스(25)에 형성되는 에어홀(256)을 개폐할 수 있는 돌출부(273)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73)는, 에어홀(256)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프레임(27)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73)는, 프레임(27)의 일면의 좌우 방향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73) 및 에어홀(256)의 형성 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케이스(25)에는 흡입구(200)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0)는 하부케이스(25)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5)는 좌우 방향(L,R 방향)으로 연장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하부케이스(25)는 피청소면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면(250) 및 제1면(250)으로부터 상부로 오목하게 단차진 제2면(251)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00)는 제2면(251)의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면(251)은, 접촉부(2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케이스(25)의 좌우 방향(L,R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면(250)의 외측 둘레에는 프레임(27)에 마련된 브러시(271) 및 블레이드(272)가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1삽입홀(254) 및 제2삽입홀(25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홀(254)은 브러시(271)에 대응되도록 제1면(250)의 외측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홀(255)은 블레이드(272)에 대응되도록 제1면(250)의 전후 방향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면(250)에는 피청소면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리닝부(252)가 마련될 수 있다. 클리닝부(252)는 흡입구(200)를 기준으로 하부케이스(25)의 전후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클리닝부(252)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털이 있는 패브릭일 수 있다. 클리닝부(252)에 구비되는 털은 사선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하부케이스(25)의 전방에 위치되는 클리닝부(252)에 마련된 털은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하부케이스(25)의 후방에 위치되는 클리닝부(252)에 마련되는 털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부(252)는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에 접촉되어 피청소면에 위치된 동물의 털과 같이 피청소면에 부착되어 쉽게 떼어지지 않는 이물질을 간섭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피청소면으로부터 떼어진 이물질은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200)로 흡입될 수 있다.
제2면(251)에는 고무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는 마찰부재(253)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부재(253)는 제2면(251)으로부터 제1면(250)까지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마찰부재(20)가 카페트를 따라 이동할 때, 마찰부재(253)는 카페트와 마찰하여 카페트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부유시킬 수 있다. 부유된 이물질은 흡입구(200)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마찰부재(253)에 의해 카페트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5)의 일측에는 에어홀(256)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256)은, 제2면(251)이 위치되는 하부케이스(25)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256)은 버튼(23)의 조작에 따라 프레임(2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에어홀(256)은 프레임(27)에 마련된 돌출부(27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6)에는 프레임(27)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2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6)의 저면에는 탄성부재(28)가 장착되는 탄성부재 장착부(261)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 장착부(261)는 상부케이스(26)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28)는 탄성부재 장착부(261)에 장착되어, 프레임(27)을 상부케이스(26) 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23)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231,2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31,232)는 제1가압부(231) 및 제1가압부(231)로부터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연장된 제2가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부(231) 및 제2가압부(2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31,232)의 저면에는 간섭리브(23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레임(27)이 상부케이스(26) 측으로 이동하거나 하부케이스(25) 측으로 이동하도록 제1가압부(231) 또는 제2가압부(232)를 가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버튼(23)의 조작에 의해 프레임(27)이 상부케이스(26) 측으로 이동하거나 하부케이스(25) 측으로 이동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의 버튼이 조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23)은 가압부(231,232) 및 가압부(231,23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간섭리브(233)를 포함한다. 가압부(231,232)는, 제1가압부(231) 및 제1가압부(231)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2가압부(232)를 포함한다. 제1가압부(231)와 제2가압부(23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가압부(231)는 제2가압부(23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제1가압부(231) 또는 제2가압부(232)를 가압하여 프레임(27)이 상부케이스(26) 또는 하부케이스(25) 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27)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진 슬라이딩부(274,275)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부(231,232)를 가압하면 간섭리브(233)는 프레임(27)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부(274,27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74,275)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부(274) 및 제1슬라이딩부(274)로부터 하측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절곡된 제2슬라이딩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슬라이딩부(27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슬라이딩부(275)는 하측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1가압부(231) 또는 제2가압부(232)가 가압되면, 간섭리브(233)는 프레임(27)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274,27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1가압부(231)가 가압되면, 간섭리브(233)의 단부는 제2슬라이딩부(275)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간섭리브(233)가 제2슬라이딩부(275)를 따라 이동하는 상하 방향의 높이(h)는 프레임(27)에 구비되는 블레이드(272)의 길이(a1) 또는 브러시(271)의 길이(a2)와 동일하거나 다소 짧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8)는 프레임(27)을 상측으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간섭리브(233)가 제2슬라이딩부(275) 측에 위치되면 프레임(27)은 간섭리브(233)가 하강한 높이(h)만큼 상승할 수 있다. 제1가압부(231)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더라도 간섭리브(233)는 제2슬라이딩부(275) 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로써 버튼(23)는 제1가압부(231)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프레임(27)은 상부케이스(26)가 위치되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27)에 장착된 블레이드(272) 및 브러시(271)는 프레임(27)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272) 및 브러시(271)는 상부케이스(26)와 하부케이스(25)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가압부(232)가 가압되면, 간섭리브(233)의 단부는 제2슬라이딩부(275)를 지나 제1슬라이딩부(274)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27)은 간섭리브(233)가 상승한 높이(h)만큼 상승한다. 간섭리브(233)가 제1슬라이딩부(274)에 위치되면 프레임(27)은 하부케이스(25)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간섭리브(233)는 제1슬라이딩부(274)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버튼(23)는 제2가압부(232)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27)에 장착된 블레이드(272) 및 브러시(271)는 하부케이스(25)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조작에 따른 에어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23)의 제1가압부(231)가 가압되면, 프레임(27)은 상부로 이동한다. 프레임(27)이 상부로 이동하면, 프레임(27)에 구비되는 돌출부(273)도 함께 상부로 이동하고, 하부케이스(25)에 형성된 에어홀(256)은 개방될 수 있다.
버튼(23)의 제2가압부(232)가 가압되면, 프레임(27)은 하부로 이동한다. 프레임(27)이 하부로 이동하면, 프레임(27)에 구비되는 돌출부(273)도 함께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홀(256)은 돌출부(273)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조작에 따른 흡입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피청소면이 카페트일 경우, 사용자는 버튼(23)의 제1가압부(231)를 가압하여 에어홀(256)을 개방시킬 수 있다. 프레임(27)은 상부로 이동하여 블레이드(272)와 브러시(271)는 접촉부(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5)의 제1면(250)은 피청소면인 카페트에 접촉된다.
일반적으로 흡입부가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에 밀착되는 경우, 흡입부와 피청소면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흡입부를 이동시키기가 어렵다. 즉, 피청소면을 따라 흡입부를 이동시키는 데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피청소면이 카페트일 경우, 접촉부(20)의 일측에 에어홀(256)을 개방시켜 피청소면과 접촉부(20)가 형성하는 공간이 밀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접촉부(20)를 카페트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5)의 제2면(251)에 구비되는 마찰부재(253)는 카페트와 마찰되어 카페트에 위치된 이물질을 부유시킬 수 있다. 팬모터의 흡입력이 발생되면,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어 유입구(222)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관(21), 연장관(13), 호스(11)를 통해 집진장치(101)로 이동할 수 있다.
피청소면이 하드한 바닥면일 경우, 사용자는 (23)의 제2가압부(232)를 가압하어 에어홀(256)을 닫을 수 있다. 피청소면이 마루바닥과 같이 하드한 바닥면일 경우, 에어홀(256)이 개방되어 있으면 팬모터에 의한 흡입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있다. 따라서 흡입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피청소면이 하드한 바닥면일 경우, 에어홀(256)을 닫고 청소를 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27)은 하부로 이동하고, 프레임(27)에 구비되는 브러시(271) 및 블레이드(272)는 하부케이스(25)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브러시(271)는 바닥면을 쓸(sweep) 수 있다. 돌출된 브러시(271)에 의해 팬모터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블레이드(272)는 하부케이스(25)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한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 에어홀(256)을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청소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흡입부(2)에 마련되는 에어홀(256)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다.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에어홀(256)을 개방시켜 흡입부(2)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마루바닥과 같은 하드한 재질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에어홀(256)을 닫아 팬모터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성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1)를 제공할 수 있다.
1: 진공청소기 2: 흡입부
10: 본체 11: 호스
13: 연결관 20: 접촉부
21: 연결관 22: 연결부
23: 버튼 25: 하부케이스
26: 상부케이스 27: 프레임
28: 탄성부재 200: 유입구
231: 제1가압부 232: 제2가압부
233: 간섭리브 250: 제1면
251: 제2면 256:에어홀
261: 탄성부재 장착부 271: 브러시
272: 블레이드 273: 돌출부
274: 제1슬라이딩부 275: 제2슬라이딩부

Claims (20)

  1.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흡입부는, 일측면에 에어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홀을 개폐하는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에어홀이 개방되고, 상기 프레임이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에어홀이 닫히는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프레임을 상부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일측이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이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버튼의 타측이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이 하부로 이동하는 진공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에어홀을 차단할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는 간섭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간섭리브가 접촉되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간섭리브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진공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절곡된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간섭리브가 상기 제1슬라이딩부 또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진공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피청소면을 접촉되는 브러시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브러시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진공청소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은, 피청소면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부로 오목하게 단차진 제2면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은 상기 제2면의 측면에 위치되는 진공청소기.
  16.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 및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홀을 개폐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간섭리브; 및
    상기 프레임에 타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홀을 차단하고,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홀을 개방시키는 진공청소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피청소면에 접촉되는 브러시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러시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임이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브러시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KR1020160052231A 2016-04-28 2016-04-28 진공청소기 KR20170123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31A KR20170123059A (ko) 2016-04-28 2016-04-28 진공청소기
EP17789823.6A EP3434165B1 (en) 2016-04-28 2017-04-17 Vacuum cleaner
PCT/KR2017/004098 WO2017188638A1 (ko) 2016-04-28 2017-04-17 진공청소기
US16/097,118 US11076732B2 (en) 2016-04-28 2017-04-1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31A KR20170123059A (ko) 2016-04-28 2016-04-28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59A true KR20170123059A (ko) 2017-11-07

Family

ID=6016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231A KR20170123059A (ko) 2016-04-28 2016-04-28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76732B2 (ko)
EP (1) EP3434165B1 (ko)
KR (1) KR20170123059A (ko)
WO (1) WO2017188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03300D0 (en) * 2016-02-25 2016-04-13 Grey Technology Ltd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1596C2 (de) 1992-01-22 2001-07-05 Gerhard Kurz Bodendüse für Staubsauger
KR100240283B1 (ko) * 1997-11-04 2000-04-01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US20070113373A1 (en) * 2005-11-21 2007-05-24 Sharp Kabushiki Kaisha Vacuum cleaner
GB2441495A (en) * 2006-09-09 2008-03-12 Vax Ltd Suction diversion channel in vacuum cleaner head
KR101369227B1 (ko) * 2007-05-28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DE102008012889B4 (de) 2008-03-06 2012-04-19 Wessel-Werk Gmbh Saugdüse für Bodenstaubsauger
KR102015320B1 (ko) * 2012-10-04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DE102013223863A1 (de) * 2013-11-21 2015-05-21 BSH Hausgeräte GmbH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KR101509737B1 (ko) * 2014-10-27 2015-04-07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청소노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76732B2 (en) 2021-08-03
EP3434165A4 (en) 2019-04-17
US20190104901A1 (en) 2019-04-11
EP3434165B1 (en) 2022-09-14
EP3434165A1 (en) 2019-01-30
WO2017188638A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360B1 (ko)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GB2403132A (en) Tilting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body portion
JP2007520293A (ja) 掃除機用床ノズル
US20170086631A1 (en) Vacuum cleaner
US11076732B2 (en) Vacuum cleaner
US7698778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motor-fan unit and a fine filter disposed in an exhaust air stream thereof
CN106333627B (zh) 吸入口器具及电动吸尘器
US11197594B2 (en) Cleaner
JP2000107097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5380712B2 (ja) 電気掃除機
JP200907808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3542286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0136314B1 (ko) 진공청소기의 전면 손잡이부 조립구조
JP2721577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9990073729A (ko) 업라이트청소기의 흡입장치
JP3482137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1702334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220132273A (ko) 청소기
JP20102529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542287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101231310B1 (ko) 물청소 겸용 진공 청소기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3165804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19180474A (ja) 電動チリトリ
JPS60194931A (ja)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